KR101779134B1 - 집진기 - Google Patents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134B1
KR101779134B1 KR1020160157437A KR20160157437A KR101779134B1 KR 101779134 B1 KR101779134 B1 KR 101779134B1 KR 1020160157437 A KR1020160157437 A KR 1020160157437A KR 20160157437 A KR20160157437 A KR 20160157437A KR 101779134 B1 KR101779134 B1 KR 101779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rtridge
cartridge filter
compressed ai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157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01D46/00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81Venturi's or systems showing a venturi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기에 관한 발명으로, 흡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흡입구를 관통하고 하우징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튜브, 튜브의 일단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의 카트리지 필터, 카트리지 필터를 둘러싸는 카트리지 룸, 튜브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탱크 및 에어탱크와 연결되고, 카트리지 필터 내부를 향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고, 카트리지 룸의 외측면에는, 카트리지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에 따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비중이 가벼운 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기{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기에 관한 발명으로, 에어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로 카트리지 룸에 결합된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고, 도어 개방 시 압축공기에 의해 이탈된 분진을 도어를 통해 카트리지 룸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비중이 가벼운 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집진기(dust collector)란, 일반적으로 오염된 기체 속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 미립자를 제거하는 장치를 말한다. 현재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집진기의 종류는 싸이클론, 멀티싸이클론, 중력식, 여과식, 전기식 등이 있다.
특히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여과식 집진기이며, 이는 필터를 이용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여과식 집진기는 백필터와 비슷하다. 백필터의 형태에 의한 분류로는 원통형, 포켓형, 카트리지 형이 있으며, 소재에 의한 분류로는 부직포형, SPUN-BONDED형, 소결형 등이 있다. 백필터 본체의 형태로는 상향기류방식과 하향기류방식이 있는데 특히 상향기류방식이 많이 이용된다. 상향기류방식은 집진기 호퍼 부분을 통하여 배기가스가 유입되고 상승된 기류는 필터 층을 통과한 후 상부배출구로 배기되는 방식이다. 이때, 유입된 기류가 필터 층을 지속적으로 통과하게 되면, 필터 층에 분진이 많이 뭉치게 된다. 이로 인해 중력 작용으로 분진이 자유 낙하하게 되고, 집진기 하단에 분진이 모이게 되어 이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솜, 스티로폼, 유리섬유 등 부피에 비해 비중이 가벼운 분진의 경우 뭉쳐도 여전히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분진이 집진기 하단으로 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비중이 가벼운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여과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집진기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로 카트리지 룸에 결합된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고, 도어 개방 시 압축공기에 의해 이탈된 분진을 도어를 통해 카트리지 룸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비중이 가벼운 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는, 흡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흡입구를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튜브; 상기 튜브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상부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트리지 룸; 상기 카트리지 룸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카트리지 룸 내부에 배치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의 카트리지 필터; 상기 튜브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탱크; 및 상기 에어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카트리지 필터 내부를 향하여 상기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룸의 외측면에는, 상기 카트리지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에 따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는 상기 호퍼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룸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카트리지 룸 내부로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는 상기 카트리지 필터의 측면부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룸은 카트리지 필터를 이격되도록 둘러싸고,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이격된 공간을 거쳐 카트리지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노즐과 카트리지 필터 사이에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벤츄리관이 형성되고, 압축 공기는 벤츄리관 내부를 거쳐 카트리지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탱크 및 에어노즐은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고, 파이프의 일 지점에는, 압축 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다이어프램 밸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룸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가 결합되고, 도어의 상측부가 힌지에 결합되어 도어가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분진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면이 상면보다 좁은 호퍼의 형상으로 인해, 최초로 호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카트리지 룸 내부로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덮개부로 인해 호퍼로 유입되지 못한 일부 외부공기를 감싸 이를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물리적 장치 없이 중력 및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 밸브로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벤츄리관에 의해 카트리지 필터에 낀 분진을 더욱 더 강하게 카트리지 필터 외부로 밀어낼 수 있어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룸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룸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룸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압축 공기 분사 전의 집진기의 측면도.
도 7은 압축 공기 분사 후의 집진기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는 수직방향으로 3개의 구역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가장 하부의 구역을 제1 룸(A)이라 칭하며, 집진기의 상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2 룸(B) 및 제3 룸(C)이라 칭한다. 제1 룸(A)의 내부는 도 3에서 도시하였으며, 제2 룸(B)의 내부는 도 4에서 도시하였으며, 제3 룸(C)의 내부는 도 5에서 도시하였다.
집진기는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100)을 뼈대로 하여 내부에 주요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흡입구(101)가 형성된다. 흡입구(101)는 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흡입된 외부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0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상면의 위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0)의 흡입구(101)를 튜브(200)가 관통한다. 튜브(200)는 외부공기를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하우징(100) 내부의 튜브(200)의 일단부의 상단을 기준으로, 튜브(200), 카트리지 필터(300), 벤츄리관(500), 에어노즐(610), 송풍기(700)가 수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즉, 송풍기(700)가 흡입구(101)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상부방향으로 흡입하게 되면, 외부공기는 카트리지 필터(300), 벤츄리관(500) 및 송풍기(700)를 거치고 최종적으로 하우징(100) 상면의 배출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제1 룸(A) 내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제1 룸(A) 내부에는 튜브(200), 카트리지 필터(300) 및 카트리지 룸(400)이 배치된다.
튜브(200)는 양단이 개방된 일반적인 튜브(200) 형상이며,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흡입구(101)를 관통한다. 튜브(200)의 일단부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며, 흡입구(101)에 결합되는 튜브(200)의 타단부는 지면에 수평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면에서 보았을 때 튜브(200)의 형상은 'ㄴ'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200)의 일단부가 지면에 수직방향이게 되면, 송풍기(700)와 평행선 상에 위치되어 효과적으로 외부 공기가 상승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카트리지 룸(400)은 프레임(410), 호퍼(420), 덮개부(430) 및 도어(440)로 구성된다. 프레임(410)은 직육면체의 일반적인 박스형상으로, 프레임(410)의 상부는 제1 룸(A)과 제2 룸(B)이 구분되는 제2 지지부(120)의 하면에 결합되고, 프레임(410)의 하부에는 호퍼(420)가 결합된다.
호퍼(hopper, 42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상면의 입이 하면의 입보다 큰 깔때기 형상이다. 호퍼(420)의 하부에는 튜브(200)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또한, 호퍼(420)의 상부는 프레임(410)의 하부가 결합된다. 튜브(200)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호퍼(420)를 거쳐 카트리지 룸(40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하면이 상면보다 좁은 호퍼의 형상으로 인해, 최초로 호퍼(42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카트리지 룸(400) 내부로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룸(400) 하부에는 덮개부(430)가 결합된다. 덮개부(43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 도 3과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입이 작아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430)는 호퍼(420) 및 튜브(200)의 일단부를 감싸게 되고, 호퍼(42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중 일부가 호퍼(420)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면, 덮개부(430)가 이를 감싸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카트리지 룸(400) 내부에는 카트리지 룸(400)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카트리지 필터(300)가 배치된다. 즉, 카트리지 필터(300)를 카트리지 룸(400)이 둘러싸게 된다. 또한, 호퍼(42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필터(300)는 일반적으로 집진기에서 사용되는 원통형상의 필터로, 분진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카트리지 필터(3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되,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폐쇄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420)로부터 유입된 외부공기가 카트리지 필터(300)의 하면이 아닌, 카트리지 필터(300)의 측면부를 따라 유입되기 위함이다. 카트리지 필터(300)의 상면은 제2 지지부(12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카트리지 룸(40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 가능한 도어(440)가 결합된다(도 3의 확대도 참조). 이때, 카트리지 룸(40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411)가 결합되고, 도어(440)의 상측부가 힌지(411)에 결합되어 도어가 힌지(411)를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 방향'이라 하면 도어(440)가 지면에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방향이고, '하 방향'이라 하면 도어(440)가 지면에 수직되도록 위치되는 방향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해, 후술하겠지만, 공급된 압축공기가 카트리지 필터(300)를 내부에서 외부로 통과하여 도어(440) 내부를 가압하면, 도어(440)가 상 방향으로 개방되어 압축공기 및 분진이 카트리지 필터(3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압축공기가 감쇄되면 중력에 의해 도어 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폐쇄된다. 즉, 별도의 장치 없이 중력을 이용하여 도어(440)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외부공기 및 압축공기의 흐름과 도어(440)의 개폐작용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2 룸(B) 내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제2 룸(B) 내부에는 벤츄리관(500), 에어탱크(600), 에어노즐(610) 등이 배치된다.
제2 룸(B)은 제1 룸(A)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 룸(A)과 제2 룸(B)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넬 형상의 제2 지지부(120)로 구분된다. 제2 룸(B)의 상부에는 제3 룸(C)이 위치되고, 제2 룸(B)과 제3 룸(C)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넬 형상의 제1 지지부(110)로 구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지지부(120)의 중심부에는 제2 홀(121)이 형성되고, 제2 홀(121)의 하부에는 카트리지 필터(300)의 상면이, 제2 홀(121)의 상부에는 벤츄리관(500)의 하면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카트리지 필터(300)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외부공기는, 제2 홀(121)을 거쳐 벤츄리관(500)으로 이동한다.
제2 지지부(120)의 상면에는 벤츄리관(500)의 하면 및 에어탱크(600)의 하면이 결합된다. 에어탱크(600)는 압축 공기를 저장하는 곳이다. 에어탱크(600)의 일 지점은 압축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파이프(620)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파이프(620)의 타단부는 에어노즐(610)과 연결된다. 즉, 압축공기는 에어탱크(600), 파이프(620) 및 에어노즐(610)을 순차적으로 거쳐 벤츄리관(500)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이때, 파이프(620)의 일 지점에는 다이어프램 밸브(도 4의 확대도 참조)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어프램 밸브(diaphragm valve, 630)는 외부 공기압으로 유로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밸브로, 에어탱크(600)로부터 나오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밸브(630)와 연결된 호스 및 기타 조절기구는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닌 다이어프램 밸브(630)의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이를 생략하였다. 따라서, 일정 기준값을 미리 설정하여 다이어프램 밸브(630)를 가동하고, 기준값에 따라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에어노즐(610)은 통상적인 노즐의 형상이며, 에어탱크(600)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벤츄리관(500)에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이때, 에어노즐(610)의 분사구는 상,하면이 개방된 벤츄리관(500)의 상면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필터(300) 내부로 손실량이 적게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함이다.
벤츄리관(venturi pipe, 500)는 관 내에 잘록한 부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잘록한 부분을 기준으로 전, 후의 유량의 속도가 상이한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가 발생하게 된다. 유체역학 측면에서 이를 설명하면, 일정한 속도(v1)로 흐르는 유체는 좁은 부분에서 더 빠른 속도(v2)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벤츄리관(500)을 적용하면, 에어노즐(610)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는 벤츄리관(500)의 일 지점에 형성된 오목부를 지나 순간적으로 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속도가 빨라진 압축공기는 카트리지 필터(300)에 낀 분진을 더욱 더 강하게 카트리지 필터(300) 외부로 밀어낼 수 있어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우징(100)의 외부에는, 에어탱크(600)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R), 하우징(100) 내부의 압력을 관찰할 수 있는 압력계(P), 제어장치(미도시)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닌 장치 가동을 위해 필요한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간략화 하였으며, 반드시 도 4의 위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3 룸(C) 내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제3 룸(C) 내부에는 송풍기(700)가 배치되고, 제3 룸(C)의 상면, 즉,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배출구(102)가 형성된다.
송풍기(fan, 700)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기계장치로, 제1 지지부(110)의 상면에 결합된다. 송풍기(7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부공기를 배출구(102)를 향하도록 윗 방향으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송풍기(700)는 본체부(710) 및 본체 지지부(720)로 구성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110)의 중심부에는 제1 홀(111)이 형성되고, 본체 지지부(720)의 하면은 제1 홀(111)의 상부에 결합된다. 벤츄리관(500)을 거쳐 상승하는 외부공기는 제1 홀(111)을 거쳐 송풍기(700)를 향하고, 송풍기(700)를 거친 외부공기는 배출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배출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외부공기는 카트리지 필터(300)에 의해 분진이 여과된 상태의 깨끗한 공기이다.
도 6은 압축 공기 분사 전의 집진기의 측면도이며, 도 7은 압축 공기 분사 후의 집진기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를 통해 외부공기의 분진이 제거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카트리지 필터(300)에 여과된 분진을 도면부호 'D1'이라하고, 카트리지 필터(300)에서 압축 공기에 의해 이탈되어 분진함(800)을 향하는 분진을 도면부호 'D2'라 한다.
도 6은 압축 공기가 분사되기 전 외부 공기가 배출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화살표는 외부 공기의 흐름이다.
외부공기는 송풍기(700)의 흡입력으로 인해 튜브(200)를 통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다. 튜브(200)를 거친 외부공기는 호퍼(420)를 지난다. 이때, 카트리지 필터(300)의 하면은 폐쇄되어 있으므로, 외부공기는 카트리지 필터(300)와 카트리지 룸(400)의 프레임(410) 사이의 소정의 이격된 공간으로 이동한다. 3차원 적으로 보자면, 카트리지 필터(300)의 측면부를 감싸게 된다.
이때, 도어(440)는 중력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므로, 외부공기는 도어(440)를 통해 카트리지 룸(400)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카트리지 필터(300)의 내부로 향하게 된다.
카트리지 필터(300)와 카트리지 룸(400)의 프레임(410) 사이의 소정의 이격된 공간으로 이동한 외부공기는 카트리지 필터(300)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카트리지 필터(300)에 의해 분진(D1)이 여과된다. 분진(D1)이 여과되었으므로, 깨끗한 공기만이 카트리지 필터(300) 내부로 유입된다.
카트리지 필터(30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제2 홀(121), 벤츄리관(500) 및 제1 홀(111)을 수직 상승하여 거치게 된다. 이후, 송풍기(700)를 거친 외부공기는 배출구(102)에 의해 깨끗한 공기 상태로 하우징(100)외부로 배출된다.
지속적인 분진기의 운영으로 카트리지 필터(300)에 분진(D1)이 쌓이게 되면, 사용자는 이를 압축공기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미도시 하였지만,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다이어프램 밸브(630)를 조정하여 압축공기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이로 인해, 에어노즐(610)이 압축공기를 벤츄리관(500) 방향으로 분사하게 된다. 도 7의 화살표는 에어노즐(610)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다만, 송풍기(700)의 윗 방향으로의 흡입은 지속되고 있으며, 압축공기의 분사는 송풍기(700)의 흡입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때, 압축공기의 분사 세기는 송풍기(700)의 윗 방향으로의 흡입 세기보다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440)의 개방을 위함이다.
에어노즐(610)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는 벤츄리관(500)을 통과하면서 속도가 증가한다. 압축공기는 제1 홀(11)을 거쳐 수직 하강하고, 카트리지 필터(300) 내부로 유입된다. 카트리지 필터(300)의 하면은 폐쇄되었으므로, 카트리지 필터(300)의 측면부를 향하여 압축공기는 이동한다. 속도가 증가된 압축공기의 힘으로 인해 카트리지 필터(300)에 여과된 분진(D1)은 카트리지 필터(3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압축공기는 카트리지 필터(300)를 통과하면서 도어(440)를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힌지(411)에 의해 회전운동이 가능한 도어(440)는 상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되고, 개방된 틈으로 압축공기가 이동한다. 도어(440)가 개방되면, 카트리지 필터(300)로부터 이탈된 분진(D2)은 압축공기와 함께 개방된 도어(440)를 통과하여 카트리지 룸(400) 외부로 배출된다.
카트리지 룸(400) 외부로 배출된 분진(D2)은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분진함(800)으로 낙하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에는 오로지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분진을 낙하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압축 공기의 가압력이 추가되어 비중이 가벼운 분진도 쉽게 분진함(800)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에어노즐(610)이 잠기면 압축공기는 더 이상 카트리지 필터(300) 내부로 공급되지 않는다. 압축공기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게 되면 도어(440)를 개방하도록 가압하는 힘이 점차 줄어들게 되므로, 도어(440)는 힌지(411)를 중심으로 하 방향으로 회전하여 폐쇄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도어(440) 개폐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중력의 힘으로만 도어(440)를 개폐할 수 있어 별도의 물리적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경제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하면이 상면보다 좁은 호퍼의 형상으로 인해, 최초로 호퍼(42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카트리지 룸(400) 내부로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덮개부(430)는 호퍼(420) 및 튜브(200)의 일단부를 감싸게 되고, 호퍼(42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중 일부가 호퍼(420)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면, 덮개부(430)가 이를 감싸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별도의 장치 없이 중력을 이용하여 도어(440)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정 기준값을 미리 설정하여 다이어프램 밸브(630)를 가동하고, 기준값에 따라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노즐(610)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는 벤츄리관(500)의 일 지점에 형성된 오목부를 지나 순간적으로 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속도가 빨라진 압축공기는 카트리지 필터(300)에 낀 분진을 더욱 더 강하게 카트리지 필터(300) 외부로 밀어낼 수 있어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분진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우징 200...튜브
300...카트리지 필터 400...카트리지 룸
500...벤츄리관 600...에어탱크
700...송풍기 800...집진함

Claims (6)

  1. 흡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흡입구를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튜브;
    상기 튜브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상부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트리지 룸;
    상기 카트리지 룸의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카트리지 룸 내부에 배치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의 카트리지 필터;
    상기 튜브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탱크; 및
    상기 에어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카트리지 필터 내부를 향하여 상기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룸의 외측면에는,
    상기 카트리지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에 따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튜브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는 상기 호퍼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룸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카트리지 룸 내부로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는 상기 카트리지 필터의 측면부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필터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즐과 상기 카트리지 필터 사이에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벤츄리관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 공기는 상기 벤츄리관 내부를 거쳐 상기 카트리지 필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 및 상기 에어노즐은 파이프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의 일 지점에는,
    상기 압축 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다이어프램 밸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룸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가 결합되고,
    상기 도어의 상측부가 상기 힌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분진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KR1020160157437A 2016-11-24 2016-11-24 집진기 KR101779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37A KR101779134B1 (ko) 2016-11-24 2016-11-24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37A KR101779134B1 (ko) 2016-11-24 2016-11-24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134B1 true KR101779134B1 (ko) 2017-09-19

Family

ID=6003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437A KR101779134B1 (ko) 2016-11-24 2016-11-24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8767A (zh) * 2018-09-27 2018-12-25 景德镇学院 一种旋风除尘器卸料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221A (ja) 1999-08-31 2001-03-13 Sandee Kogyo Kk フィルター用脱油水機構を備えた濾過型湿性ミスト集塵機
KR200366738Y1 (ko) 2004-08-12 2004-11-06 신기섭 도장용 터빈이 장착된 집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221A (ja) 1999-08-31 2001-03-13 Sandee Kogyo Kk フィルター用脱油水機構を備えた濾過型湿性ミスト集塵機
KR200366738Y1 (ko) 2004-08-12 2004-11-06 신기섭 도장용 터빈이 장착된 집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8767A (zh) * 2018-09-27 2018-12-25 景德镇学院 一种旋风除尘器卸料装置
CN109078767B (zh) * 2018-09-27 2023-11-03 景德镇学院 一种旋风除尘器卸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00558A1 (zh) 吸尘器
JP5869578B2 (ja) 塗料オーバースプレーを分離するための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方法
KR101566204B1 (ko) 진공청소기의 습식분리형 집진장치
US20220362691A1 (en) Method for intermittently cleaning a filter, and filter device for a metal printing device
JP4659912B2 (ja) 湿式集塵装置
KR101779134B1 (ko) 집진기
CA2219180A1 (en) Air and liquid separator for a carpet extractor
KR20190089645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EP0188250A2 (en) Liquid aspirator vacuum attachment
JP2010120007A (ja) 湿式集塵装置
KR101732273B1 (ko) 공기유도판이 구비된 내부 포집형 집진기
JP3783799B2 (ja) 穿孔装置のプレクリーナ
KR102549582B1 (ko) 톤백 세척장치
KR200479561Y1 (ko) 이중에어커튼이 구비된 클린부스
US2962117A (en) Vacuum cleaner
CN212467450U (zh) 一种布袋除尘器
KR102071349B1 (ko) 클린룸 내부설치용 분리형 집진장치
CN209237549U (zh) 一种布袋除尘器
CN209204880U (zh) 一种布袋除尘器
CN206934965U (zh) 一种脉冲反吹式滤筒除尘器
KR20090044479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604088B1 (ko) 습식 대기정화장치
EP1505899A1 (en) Liquid bath filter device for a vacuum cleaner apparatus
KR20210028453A (ko) 이동형 에어건
CN109610388A (zh) 一种吸尘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