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645A - 미세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645A
KR20190089645A KR1020180008463A KR20180008463A KR20190089645A KR 20190089645 A KR20190089645 A KR 20190089645A KR 1020180008463 A KR1020180008463 A KR 1020180008463A KR 20180008463 A KR20180008463 A KR 20180008463A KR 20190089645 A KR20190089645 A KR 20190089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hollow
liquid
colum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연관희
이강렬
황경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0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9645A/ko
Publication of KR20190089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구조물에 설치되며, 미세먼지를 포함한 외부공기를 구조물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부 및 구조물의 길이방향 기준의 상측에 배치되며, 액체를 분사하여 구조물 내로 유입된 미세먼지를 낙하시키는 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장치{Particulate Matter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통행하는 공간에 미세먼지, 분진, 매연 등의 오염물질이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사람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미세먼지는 거대입자와 달리 코나 목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 깊숙이 침투하여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미세먼지의 인체 위해도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먼지의 크기가 10㎛인 PM10 농도가 높을수록 위험율이 높다.
따라서, 사람이 통행하는 공간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인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사람에게 오염물질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사람에게 청정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구조물에 설치되며, 미세먼지를 포함한 외부공기를 구조물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부 및 구조물의 길이방향 기준의 상측에 배치되며, 액체를 분사하여 구조물 내로 유입된 미세먼지를 낙하시키는 여과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람이 통행하는 공간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사람이 오염물질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람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태양광 패널이 생산한 전력을 센서부, 흡입부, 밸브로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태양광 패널이 생산한 전력을 센서부, 흡입부, 밸브로 공급하는 것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흡입부(20), 여과부(30)를 포함한다.
흡입부(20)는 구조물(10)에 설치된다. 흡입부(20)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외부공기를 구조물(10)의 내부로 흡입한다.
여과부(30)는 구조물(10)의 길이방향 기준의 상측에 배치된다. 여과부(30)는 액체를 분사하여 구조물(10) 내로 유입된 미세먼지를 낙하시킨다.
여과부(30)는 하우징(31), 분사부(33), 투과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은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32)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31)은 상부가 개구될 수 있다. 분사부(33)는 수용공간(32)과 연통될 수 있으며, 하우징(31)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구조물(10)의 내부로 액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과부(35)는 하우징(3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투과부(35)는 개구된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투과부(35)는 복수 개의 미세구멍(37)이 형성될 수 있다.
미세구멍(37)의 크기는 외부로부터의 액체의 투과는 허용하되, 이물질의 투과를 허용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투과부(35)는 외부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파티클, 미세먼지, 분진, 매연 등의 오염물질을 여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과부(35)에 의하여, 여과된 액체는 제1 중공(6)을 통해 낙하될 수 있다.
일예로, 미세구멍(37)의 직경은 1mm~10mm 일 수 있다.
구조물(10)은 기둥(1) 및 복수 개의 암(2)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1)은 지면에 수직한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제1 중공(6)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암(2)은 기둥(1)에 수직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중공(6)과 연통된 제2 중공(7)을 형성할 수 있다.
일예로, 구조물(10)은 사람이 통행하는 공간에 설치된 전주, 관형 지지물일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20)는 암(2)의 양단 중에 기둥(1)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고, 제2 중공(7)과 통하는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부(20)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외부공기를 제2 중공(7)을 통해 제1 중공(6)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흡입부(20)는 흡입팬일 수 있다. 흡입팬은 회전하여, 외부공기를 구조물(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여과부(30)는 기둥(1)의 길이방향 기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과부(30)는 분사부(33)를 통해 제1 중공(6)으로 액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체는 우수일 수 있다. 일예로, 액체는 우수에 한정하지 않고, 물, 세제일 수 있다.
제1 중공(6)에 유입된 외부공기 중의 미세먼지는 분사부(33)를 통해, 낙하하는 우수와 함께 구조물(10)의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 이는, 사람이 통행하는 공간에 잔존하는 오염물질(미세먼지, 분진, 매연)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사람이 오염물질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람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기둥(1)은 길이방향 기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제1 중공(6)의 외경을 감소시키도록 테이퍼(5)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공(6)의 외경은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됨으로써, 미세먼지 및 액체를 포집시켜, 후술할 배출유로(8)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센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구조물(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는 미세먼지의 농도뿐만 아니라, 분진, 파티클 등의 대기 위험물질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센서부(50)에서 감지한 미세먼지의 농도에 기초하여, 흡입부(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00)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50㎍/m3 이상이면, 흡입부(20)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밸브(4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40)는 분사부(33)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액체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센서부(50)에서 감지한 미세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밸브(40)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00)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50㎍/m3 이상이면, 밸브(40)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태양광 패널(60)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60)은 구조물(10)에 설치되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60)이 생산한 전력은 흡입부(20), 센서부(50), 밸브(40)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공급될 수 있다.
일예로, 태양광 패널(60)이 생산한 전력은 축전기(61)에 저장될 수 있다.
축전기(61)에 저장된 전력은 흡입부(20), 센서부(50), 밸브(40)의 구동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조물(10)은 기초(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초(3)는 기둥(1)의 길이방향 기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초(3)는 제1 중공(6)과 연통되어 액체를 기초(3)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유로(8)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20)로 유입된 미세먼지는 낙하하는 액체와 함께 배출유로(8)로 배출됨으로써, 사람이 통행하는 공간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사람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배출유로(8)로 배출된 액체 및 미세먼지는 따로 포집하여, 폐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도면에 기초(3)가 배치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기둥(1)의 하측에 미세먼지 및 액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 구조 또한 가능하다.
이는, 사람이 통행하는 공간에 잔존하는 미세먼지를 구조물(10) 내부로 흡입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사람에게 보다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구조물 20: 흡입부
30: 여과부 100: 제어부

Claims (10)

  1. 구조물에 설치되며, 미세먼지를 포함한 외부공기를 상기 구조물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구조물의 길이방향 기준의 상측에 배치되며,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구조물 내로 유입된 상기 미세먼지를 낙하시키는 여과부;
    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되,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조물의 내부로 상기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되, 복수 개의 미세구멍이 형성된 투과부;
    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세구멍의 크기는, 외부로부터의 상기 액체의 투과는 허용하되, 상기 미세먼지의 투과를 허용하지 않도록 형성된 미세먼지 제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지면에 수직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제1 중공을 형성한 기둥 및 상기 기둥에 수직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중공과 연통된 제2 중공을 형성한 복수 개의 암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상기 암의 양단 중에 상기 기둥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되, 상기 제2 중공과 통하는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제2 중공을 통해 상기 제1 중공으로 유동시키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 기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제1 중공으로 상기 액체를 분사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우수이며, 상기 제1 중공에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 중의 상기 미세먼지는 상기 우수와 함께 낙하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되, 상기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상기 미세먼지의 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분사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상기 미세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를 조절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이 생산한 전력은, 상기 흡입부, 상기 센서부, 상기 밸브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공급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기초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초는,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 기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중공과 연통되며, 상기 액체를 상기 기초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유로가 형성된 미세먼지 제거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길이방향 기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중공의 외경을 감소시키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0180008463A 2018-01-23 2018-01-23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190089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63A KR20190089645A (ko) 2018-01-23 2018-01-23 미세먼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463A KR20190089645A (ko) 2018-01-23 2018-01-23 미세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645A true KR20190089645A (ko) 2019-07-31

Family

ID=6747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463A KR20190089645A (ko) 2018-01-23 2018-01-23 미세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96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395B1 (ko) * 2019-09-20 2020-04-24 송인선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 가로등
KR102111475B1 (ko) 2019-09-27 2020-05-15 한국토지주택공사 먼지제거장치
KR102231382B1 (ko) 2020-08-04 2021-03-23 송인선 습식공기정화부가 구비된 태양광 공기청정기
KR20210070561A (ko) * 2019-12-05 2021-06-15 송인선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 가로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395B1 (ko) * 2019-09-20 2020-04-24 송인선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 가로등
KR102111475B1 (ko) 2019-09-27 2020-05-15 한국토지주택공사 먼지제거장치
KR20210070561A (ko) * 2019-12-05 2021-06-15 송인선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 가로등
KR102231382B1 (ko) 2020-08-04 2021-03-23 송인선 습식공기정화부가 구비된 태양광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9645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US10792599B2 (en) Dust collection method, dust collection device, and laser processing machine
ES2717948T3 (es) Colector multiciclón
KR101959980B1 (ko) 필터 없는 미세먼지 제거기
KR101609512B1 (ko) 습식집진기
KR102277299B1 (ko) 물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1819336B1 (ko) 필터부재 청소장치
WO2014054315A1 (ja) 安全キャビネット
KR102329234B1 (ko) 집진부 일체형 절삭유 정제장치
KR101704995B1 (ko) 파티클의 비산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공기 분사식 세정기
JP2008064403A (ja) エアシャワー装置
KR101532936B1 (ko) 복합전기집진 구조를 갖는 인테리어형 클린흡연부스
KR102064137B1 (ko) 미세먼지의 양에 대응하여 용액 분사량을 조절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102006594B1 (ko)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KR101732273B1 (ko) 공기유도판이 구비된 내부 포집형 집진기
JP2000126537A (ja) ガス流れからのガス成分の吸着又は化学吸着装置及び方法
KR101943027B1 (ko) 집진장치
KR101483224B1 (ko) 다공 형성 부품의 입자 검사 장치
KR102322198B1 (ko) 자동 필터 청소 기능이 구비된 소형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IoT가 연동된 집진 시스템
KR200479561Y1 (ko) 이중에어커튼이 구비된 클린부스
KR101573398B1 (ko) 하이브리드 환기구조를 갖는 흡연부스
KR20190121037A (ko) 자동 이동형 공기 청정기
KR20080003315U (ko) 수위감지장치가 구비된 소형 습식 집진기
KR101604088B1 (ko) 습식 대기정화장치
KR101779134B1 (ko) 집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