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594B1 -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594B1
KR102006594B1 KR1020190044317A KR20190044317A KR102006594B1 KR 102006594 B1 KR102006594 B1 KR 102006594B1 KR 1020190044317 A KR1020190044317 A KR 1020190044317A KR 20190044317 A KR20190044317 A KR 20190044317A KR 102006594 B1 KR102006594 B1 KR 102006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ace
water
filter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제우
Original Assignee
차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제우 filed Critical 차제우
Priority to KR1020190044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594B1/ko
Priority to PCT/KR2020/004999 priority patent/WO20202139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5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active 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24F2003/1617
    • F24F2003/1625
    • F24F2003/163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40Geothermal heat-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은,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채, 지면에 기립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이웃하여 배치된 채, 일정 높이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을 따라 상승시키는 흡입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Four season total care system}
본 발명은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공간에 쾌적한 실내공기를 조성하고, 사람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공기여과 장치의 설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건물이나 지하시설 등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에 냉난방 기능뿐만 아니라 공기정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거의 필수적인 것으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공기정화 기능은 주거공간에서의 오염 분진들을 여과하기 위함으로, 상기 오염 분진들은 그 입경이 서브 미크론 단위에서 수십 미크론 단위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분포되고 있으며, 화학적 또는 미생물학적으로도 매우 다른 특성을 갖는 바, 이러한 오염 분진들의 화학적 또는 미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상기 오염 분진들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도 상당하기 때문에 엄격한 필터링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공기여과 장치는 단순한 전처리 필터에 의한 여과뿐만 아니라 전기집진 방식 및 가스상 또는 미생물 오염입자들까지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예컨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59884호(2000. 10. 16. 공개)에서는 그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는 덕트, 상기 유입구에 인접하게 덕트 내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물을 1차로 여과하는 전처리 필터, 상기 전처리 필터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전처리 필터를 통과한 입자상 물질에 하전을 부여하고 가스상의 오염물을 분해하는 플라즈마 방전부, 상기 플라즈마 방전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하전된 먼지를 포집하는 전기 집진부, 상기 전기 집진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가스상의 오염물을 산화 제거시키는 자외선 광촉매부를 포함하는 공기여과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여과 장치는 전기 집진기 및 자외선 광촉매와 펄스 코로나 플라즈마의 상호작용으로 입자상의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가스상 오염물의 분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건물이나 지하시설 등에 공기여과 장치를 시공할 때, 통풍구의 구조나 기타 여러 이유로 인하여, 덕트의 전방부에서 2개 이상의 유입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해야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유입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각 유입구에서 동시에 고압으로 유입되는 기류가 서로 간섭됨으로써 덕트 내부에서 와류가 발생하여 전처리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엘리먼트의 어느 한 부분으로만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와류가 도달하는 전처리 필터 등의 해당 부분에만 과부하가 걸리게 될 뿐만 아니라, 다음 단계의 공기여과 유닛인 플라즈마 방전부, 전기 집진부, 및 자외선 광촉매부에도 영향을 미쳐서, 결국 공기여과 장치의 전체적인 공기여과 효율의 저하로 연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두 개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유입구를 가지는 경우라도 여러 가지 유입경로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와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공기 여과 장치는 와류에 의하여 전처리 필터의 어느 한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부착되는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시로 전처리 필터를 교환하거나 또는 오염물을 세척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전처리 필터의 유지관리가 번거롭고 추가적인 유지비용이 소요되며, 이로 인하여 공기여과 장치의 가동률이 저하된다는 문제점 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은,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채, 지면에 기립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이웃하여 배치된 채, 일정 높이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을 따라 상승시키는 흡입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물이 수용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외기유입부, 상기 외기유입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기유입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공극이 형성된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수조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상기 제1 필터부를 향해 분사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 방향을 따라 굴곡진 이동 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제공된 물과 혼합된 채, 분무 형태로 형성된 외부 공기가 흡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필터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수조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상기 제2 필터부를 향해 분사하여, 상기 제2 필터부의 굴곡진 이동 경로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배관, 상기 제2 필터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터부를 통과한 외부 공기 중의 액적을 제거하는 제1 데미시터부, 상기 제1 데미시터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데미시터부를 통과한 외부 공기 중의 액적을 제거하는 제2 데미시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와 상기 제1 데미시터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수조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상기 제1 데미시터부를 향해 분사하여, 상기 제1 데미시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3 배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프레임의 안착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집진장치는, 외부의 기온을 측정하는 온도측정부, 활성 카본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기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 중의 오존을 제거하는 보조필터부 및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크고,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제2 필터부가 설치된 경우, 상기 제2 필터부를 보조필터부로 교체하기 위한 알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상기 보조필터부는, 상기 프레임의 안착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알림부는,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고,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보조필터부가 설치된 경우, 상기 보조필터부를 상기 제2 필터부로 교체하는 알림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상기 제2 필터부는, 이격되어 배치된 채, 상측 방향을 따라 굴곡진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굴곡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굴곡편을 구성하는 각각의 굴곡편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상승 경로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 및 상기 평행부와 연결된 채, 굴곡진 굴곡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행부는, 상기 굴곡제공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평행편 및 제2 평행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굴곡제공부는, 상기 제1 평행편과 연결된 채, 일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 및 일측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연결된 채, 타측으로 경사지고, 타측은 상기 제2 평행편에 연결된 제2 경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는,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1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경사부는,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2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과,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은 상이한 연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수조부 내의 물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측정부, 상기 수조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수조부의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탁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을 기초로, 상기 배수부 및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탁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수조부 내의 물의 탁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수조부의 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고, 상기 배수부에 의해 상기 수조부의 물이 배수되면, 상기 수조부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상기 제2 데미시터부는, 상기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데미시터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상기 프레임를 포위한 채, 상기 집진장치로부터 배출된 정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지면으로부터 제1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2m 이상 3m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의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상기 제2 배관은,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2 필터부를 향해 분사되는 물의 분사 방향이 변화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제2 필터부의 복수의 굴곡편이 형성하는 공간을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상기 수조부는, 상기 제1 배관, 상기 제2 배관 및 상기 제3 배관으로부터 분사된 물이 낙하되는 경우, 수면과의 낙하 충격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면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수용공간은, 상기 수조부와 상기 제1 필터부 사이의 제1 공간,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 사이의 제2 공간, 상기 제2 필터부와 상기 제1 데미시터 사이의 제3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제1 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1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1 연통부, 상기 제2 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2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2 연통부, 상기 제3 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3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3 연통부,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공간의 기압을 측정하는 제1 기압측정부,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공간의 기압을 측정하는 제2 기압측정부 및 상기 제3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3 공간의 기압을 측정하는 제3 기압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을 기초로, 상기 제1 연통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1 연통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을 기초로, 상기 제2 연통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2 연통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3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을 기초로, 상기 제3 연통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3 연통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연통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공간의 기압이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제1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소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연통부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공간의 기압이 높아지도록 하며, 상기 제2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연통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간의 기압이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제2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소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연통부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간의 기압이 높아지도록 하며, 상기 제3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3 연통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3 공간의 기압이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제3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소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3 연통부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제3 공간의 기압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 교환이 필요 없기 때문에 운용비가 저렴하다.
또한, 콤팩트 설계에 따른 장소의 제약이 없으며, 전기집진, 필터방식에 비해 설비 단가가 낮다.
또한, 겨울철에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며, 여름철에는 활성카본을 적용하여 오존저감이 가능하며, 수증기 증발에 따른 잠열을 이용한 온도 강하 효과가 있다.
또한, 자체 세정기능이 설치되어 일정한 풍량과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4의 AA'에 따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배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온도측정부 및 알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제2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데미시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배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1)은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1)은, 프레임(10), 흡입부(20) 및 집진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채, 지면에 기립된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흡입부(20)는, 상기 프레임(10)과 이웃하여 배치된 채, 일정 높이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수용공간을 따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부(20)는, 상기 프레임(10)과 연통된 채, 흡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프레임(10)의 수용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2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팬(fan)에 의해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집진장치(30)는, 상기 수용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진장치(30)는 수조부(31), 외기유입부(32), 제1 필터부(F1), 제1 배관(L1), 제2 필터부(F2), 제2 배관(L2), 제1 데미시터부(D1), 제2 데미시터부(D2) 및 제3 배관(L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조부(31)는,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기유입부(32)는, 상기 수조부(31)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20)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부(20)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F1)는, 상기 외기유입부(32)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기유입부(32)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극은, 상기 외기유입부(32)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와 상기 제1 배관(L1)으로부터 낙하한 물이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공극을 통해 이동되는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인 오염물질이 물(세정액)의 입자와 접촉/충돌하여 물에 흡착됨으로써, 정화 또는 여과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L1)은, 상기 제1 필터부(F1)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수조부(31)로부터 제공된 물을 상기 제1 필터부(F1)를 향해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F2)는, 상기 제1 배관(L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 방향을 따라 굴곡진 이동 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필터부(F1)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 배관(L1)으로부터 제공된 물과 혼합된 채, 분무 형태로 형성된 외부 공기가 흡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관(L2)은, 상기 제1 배관(L1)과 상기 제2 필터부(F2)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수조부(31)로부터 제공된 물을 상기 제2 필터부(F2)를 향해 분사하여, 상기 제2 필터부(F2)의 굴곡진 이동 경로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는, 상기 제2 필터부(F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터부(F2)를 통과한 외부 공기 중의 액적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 데미시터부(D2)는,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를 통과한 외부 공기 중의 액적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3 배관(L3)은, 상기 제2 필터부(F2)와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수조부(31)로부터 제공된 물을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를 향해 분사하여,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30)의 수조부(31)는, 상기 제1 배관(L1), 제2 배관(L2) 및 제3 배관(L3)으로부터 분사된 물이 낙하되는 경우, 수면과의 낙하 충격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면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펀지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펀지부(311)는, 물이 배수될 수 있으며, 상측에서 낙하하는 물이 1차적으로 흡수된 채, 하측으로 배수되도록 하며, 낙하되는 물의 충격을 감쇄시켜, 수면으로의 낙하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1)은, 상기 흡입부(20) 및 프레임(10)부를 포위한 채, 상기 집진장치(30)로부터 배출된 정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41)를 구비한 커버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41)는, 지면으로부터 제1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2m 이상 3m 미만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1)이 사람들의 이동 또는 활동이 많은 공간에 설치되므로, 상기 배출구(41)는, 사람들이 호흡하는 활동 영역으로의 공기 배출을 위해 상기 제1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40)는, 상기 배출구(41)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41)로의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부(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쉬부(42)는, 상기 배출구(41)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집진장치(30) 및 흡입부(20)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온도측정부 및 알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30)의 제2 필터부(F2)는, 상기 프레임(10)의 안착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공간은, 상기 제2 필터부(F2)가 안착된 채,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은, 상기 프레임(10)에 돌출된 부재 또는 함입된 부재에 상기 제2 필터부(F2)가 안착되거나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1)의 집진장치(30)는, 온도측정부(33) 및 알림부(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부(33)는, 외부의 기온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란 상기 커버부(40)의 외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34)는, 상기 온도측정부(33)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크고,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제2 필터부(F2)가 설치된 경우, 상기 제2 필터부(F2)를 보조필터부(F3)로 교체하기 위한 알람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부(34)는, 소리 또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필터의 교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보조필터부(F3)는, 활성 카본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기유입부(32)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 중의 오존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필터부(F2)는 겨울철에 발생하는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상기 보조필터부(F3)는 여름철에 발생하는 오존을 제거하는 동시에 흡수된 물의 증발열을 이용한 외부 온도 저하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온도측정부(33)에 의해 측정된 외부의 기온 변화 값에 따라 적절한 필터 설정을 위하여, 사용자에게 필터 교환을 알린다.
여기서, 외부의 기온은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 기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온 변화가 요동치는 경우, 상기 알림부(34)에 의한 반복적인 필터 교환 알림은 잦은 필터 교환에 따른 가동 시간 감소로 인한 공기 정화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상기 알림부(34)는, 상기 온도측정부(33)에 의해 일정 기간 동안의 기온 평균 값을 통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필터부(F3)는, 상기 프레임(10)의 안착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34)는, 상기 온도측정부(33)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고,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보조필터부(F3)가 설치된 경우, 상기 보조필터부(F3)를 상기 제2 필터부(F2)로 교체하는 알람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제2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30)의 제2 필터부(F2)는, 이격되어 배치된 채, 상측 방향을 따라 굴곡진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굴곡편(F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굴곡편(F21)을 구성하는 각각의 굴곡편(F21)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상승 경로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 및 상기 평행부와 연결된 채, 굴곡진 굴곡제공부(F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평행부는, 상기 굴곡제공부(F21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평행편(F211) 및 제2 평행편(F2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평행편(F211)은 상기 제2 평행편(F213)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곡제공부(F212)는, 제1 경사부(F212a) 및 제2 경사부(F21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부(F212a)는, 상기 제1 평행편(F211)과 연결된 채, 일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부(F212b)는, 일측은 상기 제1 경사부(F212a)와 연결된 채, 타측으로 경사지고, 타측은 상기 제2 평행편(F2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부(F212a)는,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1 관통홀(H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부(F212b)는,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2 관통홀(H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관통홀(H1) 및 상기 제2 관통홀(H2)은, 상기 제1 필터부(F1)를 통과한 외부 공기가 상기 제2 필터부(F2)에 충돌할 경우, 부분적으로 동압이 정압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액적의 충돌을 방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충돌효율(액적 제거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외부 공기의 일부분이 상기 제1 관통홀(H1) 및 상기 제2 관통홀(H2)을 통과되도록 하여, 동압이 정압으로 전환하는 것을 일부 저감시켜 난류도를 증가시키고, 이 때 충돌 제거 효율을 상승시키는 것입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H1)과,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H2)은 상이한 연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관통홀(H1)을 통과한 외부 공기가 상승 중에 상기 제2 관통홀(H2)을 통과하려면, 연직 상승 방향이 아닌 굴곡진 상승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야 하므로, 외부 공기의 난류도가 증가하여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충돌 정압을 낮출 수 있어 액적 제거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30)는, 탁도측정부(35), 배수부(361), 급수부(362) 및 제어부(3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탁도측정부(35)는, 상기 수조부(31) 내의 물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물의 탁도란 상기 수조부(31) 내에 수용된 물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지표값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물의 탁도가 높을수록 수용된 물의 오염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배수부(361)는, 상기 수조부(31)의 물을 배수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362)는, 상기 수조부(3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7)는, 상기 탁도측정부(35)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을 기초로, 상기 배수부(361) 및 급수부(36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7)는, 상기 탁도측정부(35)에 의해 측정된 상기 수조부(31) 내의 물의 탁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수조부(31)의 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부(36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7)는, 상기 배수부(361)에 의해 상기 수조부(31)의 물이 배수되면, 상기 수조부(31)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부(36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이 형성하는 수용공간은, 상기 수조부(31)와 상기 제1 필터부(F1) 사이의 제1 공간(S1), 상기 제1 필터부(F1)와 상기 제2 필터부(F2) 사이의 제2 공간(S2), 상기 제2 필터부(F2)와 상기 제1 데미시터 사이의 제3 공간(S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집진장치(30)는, 제1 연통부(381), 제2 연통부(382), 제3 연통부(383), 제1 기압측정부(391), 제2 기압측정부(392) 및 제3 기압측정부(39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통부(381)는, 상기 제1 공간(S1)을 규정하는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1 공간(S1)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통부(382)는, 상기 제2 공간(S2)을 규정하는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2 공간(S2)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통부(383)는, 상기 제3 공간(S3)을 규정하는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3 공간(S3)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압측정부(391)는, 상기 제1 공간(S1)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공간(S1)의 기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압측정부(392)는, 상기 제2 공간(S2)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공간(S2)의 기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기압측정부(393)는, 상기 제3 공간(S3)에 설치되어, 상기 제3 공간(S3)의 기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7)는, 상기 제1 기압측정부(391)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을 기초로, 상기 제1 연통부(381)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1 연통부(381)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7)는, 상기 제1 기압측정부(391)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연통부(381)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공간(S1)의 기압이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제1 기압측정부(391)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소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연통부(381)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공간(S1)의 기압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공간(S1)의 기압이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경우, 상기 제1 공간(S1)을 규정하는 부재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공간(S1)의 기압이 너무 높은 경우, 상기 외기유입부(32)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유입력이 저하되어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외부 공기의 양이 줄어 공기 정화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7)는, 상기 제2 기압측정부(392)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을 기초로, 상기 제2 연통부(382)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2 연통부(38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7)는, 상기 제2 기압측정부(392)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이 최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연통부(382)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간(S2)의 기압이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제2 기압측정부(392)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소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연통부(382)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간(S2)의 기압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공간(S2)의 기압이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경우, 상기 제2 공간(S2)을 규정하는 부재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공간(S2)의 기압이 너무 높은 경우, 상기 외기유입부(32)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유입력이 저하되어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외부 공기의 양이 줄어 공기 정화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7)는, 상기 제3 기압측정부(393)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을 기초로, 상기 제3 연통부(383)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3 연통부(383)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7)는, 상기 제3 기압측정부(393)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3 연통부(383)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3 공간(S3)의 기압이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제3 기압측정부(393)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소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3 연통부(383)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제3 공간(S3)의 기압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 공간(S3)의 기압이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경우, 상기 제3 공간(S3)을 규정하는 부재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3 공간(S3)의 기압이 너무 높은 경우, 상기 외기유입부(32)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유입력이 저하되어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외부 공기의 양이 줄어 공기 정화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의 데미시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30)의 제1 데미시터부(D1)는, 상기 프레임(10)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프레임(10)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데미시터부(D2)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와 상기 제2 데미시터부(D2)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와 상기 제2 데미시터부(D2) 사이의 기압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와 상기 제2 데미시터부(D2) 사이의 기압이 너무 높은 경우,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와 상기 제2 데미시터부(D2)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와 상기 제2 데미시터부(D2)의 파손 또는 손상이 야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에 적체된 공기에 의해 상승 공기양의 저하를 초래하여, 공기 정화양이 줄어들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와 상기 제2 데미시터부(D2)의 이격 거리를 크게 하여,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와 상기 제2 데미시터부(D2) 사이의 기압 저하를 통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와 상기 제2 데미시터부(D2) 사이의 기압이 낮은 경우,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와 상기 제2 데미시터부(D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작게 하여, 상기 제1 데미시터부(D1)와 상기 제2 데미시터부(D2)의 외부 공기 체류 시간을 늘려, 외부 공기 중의 액적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30)의 상기 제2 배관(L2)은,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2 필터부(F2)를 향해 분사되는 물의 분사 방향이 변화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제2 필터부(F2)의 복수의 굴곡편(F21)이 형성하는 공간을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배관(L2)은 상기 수조부(31)로부터 물이 이동되는 유수부(L21) 및 상기 유수부(L21)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채, 물이 분사되는 분사부(L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L22)는, 상기 유수부(L21)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 필터부(F2)의 복수의 굴곡편(F21) 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부(L22)의 상기 유수부(L21)에 대한 회동은, 상기 복수의 굴곡편(F21)에 가해지는 물의 방향 및 물의 세기를 변화시켜, 상기 복수의 굴곡편(F21)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10: 프레임
20: 흡입부
30: 집진장치
40: 커버부

Claims (12)

  1.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 채, 지면에 기립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이웃하여 배치된 채, 일정 높이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프레임의 수용공간을 따라 상승시키는 흡입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물이 수용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외기유입부,
    상기 외기유입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외기유입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공극이 형성된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의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수조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상기 제1 필터부를 향해 분사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 방향을 따라 굴곡진 이동 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 배관으로부터 제공된 물과 혼합된 채, 분무 형태로 형성된 외부 공기가 흡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필터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수조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상기 제2 필터부를 향해 분사하여, 상기 제2 필터부의 굴곡진 이동 경로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배관,
    상기 제2 필터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터부를 통과한 외부 공기 중의 액적을 제거하는 제1 데미시터부,
    상기 제1 데미시터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데미시터부를 통과한 외부 공기 중의 액적을 제거하는 제2 데미시터부 및
    상기 제2 필터부와 상기 제1 데미시터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수조부로부터 제공된 물을 상기 제1 데미시터부를 향해 분사하여, 상기 제1 데미시터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3 배관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프레임의 안착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집진장치는,
    외부의 기온을 측정하는 온도측정부,
    활성 카본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기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 중의 오존을 제거하는 보조필터부,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크고,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제2 필터부가 설치된 경우, 상기 제2 필터부를 보조필터부로 교체하기 위한 알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필터부는, 상기 프레임의 안착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알림부는,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고, 상기 안착공간에 상기 보조필터부가 설치된 경우, 상기 보조필터부를 상기 제2 필터부로 교체하는 알림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는,
    이격되어 배치된 채, 상측 방향을 따라 굴곡진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굴곡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굴곡편을 구성하는 각각의 굴곡편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의 상승 경로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행부 및 상기 평행부와 연결된 채, 굴곡진 굴곡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평행부는, 상기 굴곡제공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평행편 및 제2 평행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굴곡제공부는,
    상기 제1 평행편과 연결된 채, 일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 및 일측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연결된 채, 타측으로 경사지고, 타측은 상기 제2 평행편에 연결된 제2 경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경사부는,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1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경사부는,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2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과,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은 상이한 연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수조부 내의 물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측정부,
    상기 수조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수조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탁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을 기초로, 상기 배수부 및 급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탁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수조부 내의 물의 탁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수조부의 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부를 제어하고, 상기 배수부에 의해 상기 수조부의 물이 배수되면, 상기 수조부에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미시터부는,
    상기 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데미시터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 및 프레임를 포위한 채, 상기 집진장치로부터 배출된 정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지면으로부터 제1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2m 이상 3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의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관은,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2 필터부를 향해 분사되는 물의 분사 방향이 변화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제2 필터부의 복수의 굴곡편이 형성하는 공간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는,
    상기 제1 배관, 상기 제2 배관 및 상기 제3 배관으로부터 분사된 물이 낙하되는 경우, 수면과의 낙하 충격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면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수용공간은,
    상기 수조부와 상기 제1 필터부 사이의 제1 공간,
    상기 제1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 사이의 제2 공간,
    상기 제2 필터부와 상기 제1 데미시터 사이의 제3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집진장치는,
    상기 제1 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1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1 연통부,
    상기 제2 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2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2 연통부,
    상기 제3 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제3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3 연통부,
    상기 제1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공간의 기압을 측정하는 제1 기압측정부,
    상기 제2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공간의 기압을 측정하는 제2 기압측정부, 및
    상기 제3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3 공간의 기압을 측정하는 제3 기압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을 기초로, 상기 제1 연통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1 연통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을 기초로, 상기 제2 연통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2 연통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3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을 기초로, 상기 제3 연통부가 개폐되도록 상기 제3 연통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연통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공간의 기압이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제1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소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연통부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제1 공간의 기압이 높아지도록 하며,
    상기 제2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연통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간의 기압이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제2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소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연통부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제2 공간의 기압이 높아지도록 하며,
    상기 제3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3 연통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3 공간의 기압이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제3 기압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 값이 기 설정된 범위 값의 최소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3 연통부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제3 공간의 기압이 높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KR1020190044317A 2019-04-16 2019-04-16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KR102006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17A KR102006594B1 (ko) 2019-04-16 2019-04-16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PCT/KR2020/004999 WO2020213908A1 (ko) 2019-04-16 2020-04-14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317A KR102006594B1 (ko) 2019-04-16 2019-04-16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594B1 true KR102006594B1 (ko) 2019-08-01

Family

ID=6761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317A KR102006594B1 (ko) 2019-04-16 2019-04-16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6594B1 (ko)
WO (1) WO20202139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908A1 (ko) * 2019-04-16 2020-10-22 주식회사 카본텍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KR102256116B1 (ko) * 2020-10-11 2021-05-25 김도영 살균및탈취공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986A (ja) * 1995-01-20 1996-08-09 Ebara Shinwa:Kk 向流式冷却塔用の消音マット及びこの消音マットを使用した向流式冷却塔
KR101005636B1 (ko) * 2010-03-26 2011-01-05 정장근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이용한 유해가스 및 복합악취 제거용 정화시스템
KR101891474B1 (ko) * 2017-07-06 2018-08-27 (주)지티앤 마이크로버블 복합 다단 탈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2602A (ja) * 2004-06-02 2005-12-15 Nichias Corp 波板積層体フィルタ
KR101303289B1 (ko) * 2010-07-15 2013-09-03 주식회사 시뮬레이션테크 배기가스 오염물 저감시스템과 그 모니터링 방법
KR102006594B1 (ko) * 2019-04-16 2019-08-01 차제우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986A (ja) * 1995-01-20 1996-08-09 Ebara Shinwa:Kk 向流式冷却塔用の消音マット及びこの消音マットを使用した向流式冷却塔
KR101005636B1 (ko) * 2010-03-26 2011-01-05 정장근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이용한 유해가스 및 복합악취 제거용 정화시스템
KR101891474B1 (ko) * 2017-07-06 2018-08-27 (주)지티앤 마이크로버블 복합 다단 탈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908A1 (ko) * 2019-04-16 2020-10-22 주식회사 카본텍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KR102256116B1 (ko) * 2020-10-11 2021-05-25 김도영 살균및탈취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908A1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381B1 (ko) 광고 기능을 갖는 초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006594B1 (ko) 포시즌 토탈 케어 시스템
KR101469509B1 (ko)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101609512B1 (ko) 습식집진기
KR102256116B1 (ko) 살균및탈취공조장치
KR102121466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102026933B1 (ko) 교실 환기시스템
KR101086728B1 (ko) 4차 여과식 공기 여과 장치
KR102214470B1 (ko)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KR200430268Y1 (ko) 이동식 공기여과장치
KR20180110738A (ko)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 중 복합오염물질 처리용 집진장치
KR20210034223A (ko)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KR20200115845A (ko) 미세 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017910B1 (ko) 클린룸 시스템
KR102277573B1 (ko) 스탠드형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제거 장치
KR101765226B1 (ko) 실내 유입공기 정화장치
KR100464516B1 (ko) 공기청정기
KR100519301B1 (ko) 환기기능을 겸비한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KR102169511B1 (ko) 원전 해체용 방사화 콘크리트 포집 공조 시스템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KR102204943B1 (ko) 공기 청정 장치
CN112789098B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113587331A (zh) 一种液洗空气净化消毒器
KR100686897B1 (ko) 지하철의 환기장치
KR20040078740A (ko) 워터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