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497B1 -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497B1
KR101778497B1 KR1020177015226A KR20177015226A KR101778497B1 KR 101778497 B1 KR101778497 B1 KR 101778497B1 KR 1020177015226 A KR1020177015226 A KR 1020177015226A KR 20177015226 A KR20177015226 A KR 20177015226A KR 101778497 B1 KR101778497 B1 KR 101778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ending
absorbent core
absorbent
out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701A (ko
Inventor
아키라 하마다
히데토시 오오니시
야스유키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6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47Folding; Pleating; Coiling; Stacking;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코어와 상기 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는, (A) 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시트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B) 반송부가 시트를 반송하는 동안에, 시트를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굽히는 굽힘부를 구비하며, (C) 시트 중, 교차 방향에 있어서 굽힘부가 시트를 굽힐 때의 굽힘 부위에 위치하는 제1 부분은, 교차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D) 시트 중, 교차 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보다 흡수성 코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이, 교차 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보다 흡수성 코어측에 위치하는 제3 부분 위로 쓰러지도록, 굽힘부는 시트를 굽히고, (E) 굽힘부가 시트를 굽힐 때 제1 부분이 교차 방향으로 흡수성 코어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갖는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DEVICE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흡수성 코어와 상기 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상기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나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은 이미 주지이며, 흡수성 코어와, 상기 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라인에서는, 예컨대, 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상태의 시트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동안에, 상기 시트를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굽히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 공정은, 예컨대, 최종 제품으로서의 흡수성 물품이 완성된 단계에서, 상기 시트 중의 굽혀진 부분에 소정의 기능을 발현시키기 위해 수행된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 11-506965호 공보
그런데, 시트 중, 상기 시트를 굽힐 때의 굽힘 부위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1 부분이라고 하고,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보다 흡수성 코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2 부분이라고 하며,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보다 흡수성 코어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3 부분이라고 했을 때, 상기한 제1 부분이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3 부분 위로 쓰러지도록, 상기 시트를 굽힘 부위에서 굽힐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시트와 흡수성 코어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시트를 흡수성 코어로부터 이격된 굽힘 부위에서 굽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를 굽힐 때, 상기 시트 중, 흡수성 코어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대해서는, 흡수성 코어가 위치하는 부분(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부분)에 비해 강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제1 부분이 흡수성 코어 쪽으로 끌어당겨져 버릴 수가 있다(흡수성 코어에 접근해 버린다). 이 결과, 시트와 흡수성 코어의 사이에 상기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시트에 당연히 구비시켜야 할 기능이 적절하게 발현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흡수성 코어로부터 이격된 굽힘 부위에서 시트를 굽힐 때, 시트와 흡수성 코어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적절하게 굽히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요한 본 발명은, 흡수성 코어와 상기 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로서, (A) 상기 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상기 시트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B) 상기 반송부가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동안에, 상기 시트를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굽히는 굽힘부를 구비하고, (C) 상기 시트 중,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가 상기 시트를 굽힐 때의 굽힘 부위에 위치하는 제1 부분은,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D) 상기 시트 중,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흡수성 코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이,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흡수성 코어측에 위치하는 제3 부분 위로 쓰러지도록, 상기 굽힘부는 상기 시트를 상기 굽힘 부위에서 굽히고, (E) 상기 굽힘부가 상기 시트를 굽힐 때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교차 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코어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백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성 코어로부터 이격된 굽힘 부위에서 시트를 굽힐 때, 시트와 흡수성 코어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적절하게 굽힐 수 있다.
도 1a는 기저귀(1)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기저귀(1)의 후면도이다.
도 1c는 전개한 기저귀(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중앙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기저귀(1)의 착용 상태에서의 입체 개더부(13)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기저귀 제조 장치(30)의 주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기저귀 연속체(15)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기저귀(1)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제1 도면이다.
도 6b는 기저귀(1)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제2 도면이다.
도 6c는 기저귀(1)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제3 도면이다.
도 7은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복합체(22)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제1 폴딩 공정 후의 복합체(2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b는, 제2 폴딩 공정 후의 복합체(2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c는, 굽힘 공정 후의 복합체(2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굽힘 공정의 흐름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31) 중, 굽힘 공정에 관여하는 기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반송 벨트(42)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굽힘 지그(45)에 의해 굽힘 공정이 수행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유효성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의해, 적어도 다음 사항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은, 흡수성 코어와 상기 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로서, (A) 상기 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상기 시트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부와, (B) 상기 반송부가 상기 시트를 반송하는 동안에, 상기 시트를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굽히는 굽힘부를 구비하고, (C) 상기 시트 중,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가 상기 시트를 굽힐 때의 굽힘 부위에 위치하는 제1 부분은,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D) 상기 시트 중,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흡수성 코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이,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흡수성 코어측에 위치하는 제3 부분 위로 쓰러지도록, 상기 굽힘부는 상기 시트를 상기 굽힘 부위에서 굽히고, (E) 상기 굽힘부가 상기 시트를 굽힐 때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교차 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코어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갖는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에 따르면, 흡수성 코어로부터 이격된 굽힘 부위에서 시트를 굽힐 때, 시트와 흡수성 코어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적절하게 굽힐 수 있다.
또한, 상기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시트를 올려놓는 배치면에 상기 시트를 올려놓아 반송하고, 상기 굽힘부는, 상기 배치면에 놓여진 상태의 상기 시트를 상기 굽힘 부위에서 굽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부분에 걸쳐 상기 시트를 상기 배치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흡인 동작을 수행하는 흡인 기구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흡인 기구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제1 부분이 흡수성 코어에 접근하는 것을 적절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와 상기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을 가지며, 상기 반송부는, 상기 흡수성 코어가 상기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시트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시트를 반송하고, 상기 흡인 기구는,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부분에 걸쳐 상기 필름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흡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시트 중,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으로부터 제3 부분에 이르는 범위를 배치면에 밀착시키기가 쉬워져, 상기 제1 부분이 흡수성 코어에 접근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시트를 올려놓는 배치면에 상기 시트를 올려놓아 반송하고, 상기 굽힘부는, 상기 배치면에 놓여진 상태의 상기 시트를 상기 굽힘 부위에서 굽히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시트와 접촉하여,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부분에 걸쳐 상기 시트를 상기 배치면에 압박하는 압박체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압박체의 압박력을 이용하여, 제1 부분이 흡수성 코어에 접근하는 것을 적절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시트의 양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제3 부분 위에 구비되고, 상기 굽힘부가 2개 구비되며, 일측의 상기 굽힘부는, 2개의 상기 제2 부분 중,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일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3 부분 위로 쓰러지도록, 상기 시트를 일단측 굽힘 부위에서 굽히고, 타측의 상기 굽힘부는,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3 부분 위로 쓰러지도록, 상기 시트를 타단측 굽힘 부위에서 굽히고, 상기 규제부가 2개 구비되며, 일측의 상기 규제부는, 일측의 상기 굽힘부가 상기 시트를 상기 일단측 굽힘 부위에서 굽힐 때, 상기 일단측 굽힘 부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교차 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코어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고, 타측의 상기 규제부는, 타측의 상기 굽힘부가 상기 시트를 상기 타단측 굽힘 부위에서 굽힐 때, 상기 타단측 굽힘 부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교차 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코어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규제부에 의한 규제를 2개의 제1 부분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규제에 따른 조정을 2개의 제1 부분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흡수성 코어와 상기 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상기 시트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과, (B) 상기 반송하는 공정 동안에 상기 시트를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굽히는 공정을 포함하며, (C) 상기 시트 중,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트를 굽힐 때의 굽힘 부위에 위치하는 제1 부분은,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D) 상기 굽히는 공정에서는,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흡수성 코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이,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흡수성 코어측에 위치하는 제3 부분 위로 쓰러지도록, 상기 시트를 상기 굽힘 부위에서 굽히고, (E) 상기 시트를 굽힐 때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교차 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코어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도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흡수성 코어로부터 이격된 굽힘 부위에서 시트를 굽힐 때, 시트와 흡수성 코어와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적절하게 굽힐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저귀(1)를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 들어, 기저귀(1)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즉, 후술하는 기저귀 제조 장치(30)는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의 일례에 해당하며, 기저귀(1)를 제조하는 방법[이하, 기저귀(1) 제조 방법]은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에 해당한다.
<<기저귀(1)의 구성>>
먼저,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를 참조하여 기저귀(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는 기저귀(1)의 측면도이고, 도 1b는 후면도이다. 도 1c는, 전개한 기저귀(1)를 도시한 도면(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중앙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와 도 2에는,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이하, 폭방향이라고 함) 및 두께 방향의 각 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기저귀(1)는, 착용자의 고간에 대어져서 오줌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본체(2)와, 착용자의 등측부 및 배측부를 덮는 한 쌍의 띠(3, 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c에 도시한 전개 상태에서는, 한 쌍의 띠(3, 4)가 간격(D)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흡수성 본체(2)가 걸쳐져서, 외관 형상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H 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기저귀(1)는, 이러한 상태에서,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절곡 위치(Ck)에서 두 겹으로 접혀 있다. 이 두 겹으로 접힌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띠(3, 4)끼리는, 착용자의 옆구리에 맞닿아야 할 부위에서 고정 부착됨으로써 환형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몸통 개구(1a) 및 한 쌍의 다리 개구(1b)가 형성된 착용 상태의 기저귀(1)가 된다(도 1a 및 도 1b 참조).
전술한 고정 부착 구조로서, 용착 등의 분리 불가능한 접합 구조를 이용하면 팬츠형의 제품이 되고, 패스닝 테이프 부재(도시하지 않음) 등의 탈부착 가능한 접합 구조를 이용하면 오픈형의 제품이 된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는 팬츠형의 제품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기저귀(1)의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흡수성 본체(2)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부재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그 주변부보다 피부측(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쪽) 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2)의 주요한 구성 요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5)와, 흡수체(5)를 피부측으로부터 덮는 표면 시트(6)(탑 시트)와, 흡수체(5)를 표면 시트(6)의 반대쪽(이면측)으로부터 덮는 이면 시트(7)(백 시트)와, 이면 시트(7)보다 이면측으로서 기저귀(1)의 외장을 이루는 외장 시트(8)(아우터 시트)이다.
흡수체(5)는,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를 평면에서 보아 대략 표주박 형태로 성형한 흡수성 코어(9)와, 이를 감싸는 티슈 등의 박엽지(10)에 의해 구성된다. 흡수성 코어(9)는 고흡수성 폴리머(SAP)를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표면 시트(6)는, 투액성의 부직포 시트이다. 이면 시트(7)는, 본 발명의 필름의 일례로서, 불투액성의 필름 시트이다. 표면 시트(6) 및 이면 시트(7)는, 모두 흡수체(5)보다 큰 평면 사이즈로 되어 있으며, 이면 시트(7) 쪽이 표면 시트(6)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흡수체(5)는, 표면 시트(6)와 이면 시트(7)의 사이에 낀 상태로 흡수성 본체(2)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시트(6, 7)는 흡수체(5)의 사방으로부터 외측으로 비어져나오는 부분에서 액자 형태로 맞붙여진 상태로 되어 있다.
외장 시트(8)는, 본 발명의 시트의 일례로서, 부직포 시트이다. 이 외장 시트(8)는 표면 시트(6)나 이면 시트(7)보다 큰 평면 사이즈로 되어 있으며, 그 피부측 면에는 상기 2개의 시트(6, 7) 사이에 낀 흡수체(5)가 놓여져 있다. 즉, 외장 시트(8)는, 박엽지(10)에 감싸진 흡수성 코어(9)가 이면 시트(7)를 사이에 두고 놓여진 시트이다. 바꾸어 말하면, 흡수성 본체(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박엽지(10)에 감싸진 흡수성 코어(9)와 외장 시트(8)와의 사이에는 이면 시트(7)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시트(8)의 폭방향 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대략 Z형으로 접혀 개어져 있고, 이러한 접혀 개어짐이 외장 시트(8)의 폭방향 중앙에서 보아 대칭적으로 실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장 시트(8) 중, 폭방향의 외측 쪽으로 뻗어나오는 부분이 내측으로 접혀져서 꺾이고, 폴딩 부위(Bd)의 근방에서 서로 포개지는 부분(이하, 중첩부(8d))끼리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폴딩 부위(Bd)의 근방에는, 실 고무 등의 신축 부재(11)가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장 시트(8) 중,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체(5)를 사이에 끼워넣은 부분에는, 기저귀(1)의 다리 개구(1b)에 신축성을 발현시키는 다리 개더부(12)가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시트(8) 중, 폴딩 부위(Bd)에서 폴딩된 부분은, 그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제2 폴딩 부위(Bk)에서 다시 폴딩되고, 폴딩 부위(Bd)와 제2 폴딩 부위(Bk) 사이에 위치하는 상승 부위(Bt)에서 굴곡되어 약간 상승하게 되어 있다. 이 상승 부분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5)[엄밀하게는, 흡수체(5)를 덮는 표면 시트(6)]에 올라앉고, 제3 폴딩 부위(Bf)에서 폭방향의 외측 쪽으로 다시 폴딩되어 있다. 폴딩된 부분의 선단[제2 폴딩 부위(Bk)가 위치하는 부분] 근방에는, 신축 부재(11)가, 외장 시트(8)에 감싸지면서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장 시트(8) 중, 흡수체(5)의 양편에 위치하는 부분에, 입체 개더부(13)가 형성된다.
입체 개더부(13)는, 기저귀(1)가 착용 상태에 있을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하고, 상기 상승 부위(Bt)를 받침점으로 해서 뒤로 휘어져서 착용자의 서혜 부근에 닿아, 배설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S)을 입체 개더부(13) 사이에 형성한다. 도 3은, 기저귀(1)의 착용 상태에서의 입체 개더부(13)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공간(S)의 폭(폭방향의 길이)은, 흡수성 코어(9)의 폭보다 약간 길게 되어 있다. 즉, 폭방향에서의 상승 부위(Bt) 사이의 간격은, 흡수성 코어(9)의 폭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한, 외장 시트(8)와 흡수성 코어(9) 사이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 쌍의 띠(3, 4)는, 부직포 등의 유연한 시트로서, 모두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커팅되어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과 교차(대략 직교)해 있다. 그리고 띠(3, 4)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띠(3, 4) 사이에 걸쳐진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단부가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 띠(3, 4)를 두 장이 포개진 부직포로 구성한 경우, 흡수성 본체(2)의 길이 방향 단부를 상기 부직포 사이에 끼워넣어 고정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띠(3, 4)에 실 고무나 고무 밴드 등의 고무 부재(14)(도 1c 참조)를 띠(3, 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시킨 상태로 고정하여 각 띠(3, 4)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띠(3, 4)의 귀퉁이 부분을 대략 부채꼴로 다이커팅(도려내어 커팅)하여, 상기 띠(3, 4)의 다리 개구(1b)를 형성하는 부분에 대해 착용자의 대퇴에 대한 피트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띠(3, 4) 중, 착용자의 등측부를 덮는 띠(3)[등측 띠(3)]만을 다이커팅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측부를 덮는 띠(4)[배측 띠(4)]에 대해서도 다이커팅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외장 시트(8)와 흡수성 코어 사이의 위치 관계>>
다음으로, 외장 시트(8)와 흡수성 코어 사이의 위치 관계에 대해, 주로 흡수성 본체(2)의 폭방향에서의 위치 관계를 설명한다.
외장 시트(8)는, 전술한 각 폴딩 부위(Bd, Bk, Bf)에서 폴딩되고, 외장 시트(8)의 일부가 상승 부위(Bt)에서 상승하여 흡수체(5)의 폭방향 양단부에 올라앉는다(도 2 참조). 그리고 폴딩 부위(Bd) 및 제2 폴딩 부위(Bk) 각각의 근방에 신축 부재(11)가 신장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전술한 다리 개더부(12)나 입체 개더부(13)가 외장 시트(8)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다.
그런데, 상승 부위(Bt)는,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체(5)의 끝보다 외측에 위치해 있다(도 2 참조). 즉, 상승 부위(Bt)는,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9)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해 있다. 이 결과, 폭방향에 있어서, 상승 부위(Bt)로부터 상승한 외장 시트(8)와 흡수성 코어(9)의 사이에는 간극 공간(Ss)이 형성된다(도 2 참조).
상승 부위(Bt)를 상기한 위치로 하는 주요한 이유는, 기저귀(1)의 착용시에 상승 부위(Bt)를 받침점으로 하여 뒤로 휘어지는 입체 개더부(13)의 높이를 최대한 높게 하고, 입체 개더부(13) 사이에 형성되는 배설물의 수용 공간(S)의 용적을 최대한 크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승 부위(Bt)가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9)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외장 시트(8)와 흡수성 코어(9) 사이에 간극 공간(Ss)이 형성되면], 뒤로 휘어진 상태(도 3에 도시한 상태)의 입체 개더부(13)가 높아져 수용 공간(S)의 용적이 커진다. 이상과 같은 이유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장 시트(8)에 있어서 다리 개더부(12)가 형성되는 부분[폴딩 부위(Bd) 근방에서 서로 포개진 중첩부(8d)]의 폭방향 내측의 끝을 상승 부위(Bt)로 하였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면 시트(7)의 폭방향 끝이 상승 부위(Bt)에 도달해 있다(도 2 참조). 즉, 외장 시트(8)의 피부측 면 중, 폭방향에 있어서 상승 부위(Bt)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은, 이면 시트(7)에 덮여져 있게 된다.
<<기저귀(1)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서, 기저귀(1)의 제조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기저귀 제조 장치(30)의 주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기저귀 연속체(15)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기저귀(1)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 도 6b 및 도 6c에서는 흡수성 본체(2)를 단순화하여 도시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1)의 제조 방법은, 제품으로서의 기저귀(1)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저귀 제조 장치(30)에 의해 실행된다. 기저귀 제조 장치(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31), 띠 공급 유닛(32), 전사 유닛(33), 제품 커팅 유닛(34) 등을 구비하고 있다.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31)은, 흡수성 본체(2)를 구성하는 각 요소를 조합함으로써 흡수성 본체(2)를 제조하는 공정(이하,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을 담당하는 유닛이다.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에서는, 표면 시트(6), 이면 시트(7) 및 외장 시트(8) 각각을 롤 형태로 감은 상태에서 풀어내어 시트끼리를 접합하고, 표면 시트(6)와 이면 시트(7) 사이에 흡수체(5)[상세하게는, 박엽지(10)로 감싸진 흡수성 코어(9)]를 끼워넣는다. 또한, 각 시트(6, 7, 8)는 연속 상태로 풀려나오고, 흡수체(5)는 그 연속 방향에 있어서 일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간다. 이 결과, 흡수성 본체(2)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줄로 늘어서도록 연속된 연속체(18)(도 6a 참조)가 형성된다. 이 연속체(18)는, 연속 상태인 채 후단(後段)의 전사 공정으로 반송되고, 전사 공정의 시작시에 제품 단위로 절단되어 개개의 흡수성 본체(2)로 분단된다.
또한,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 중, 외장 시트(8)는 각 폴딩 부위(Bd, Bk, Bf)에서 폴딩되어 일부가 상승 부위(Bt)에서 상승하고, 외장 시트(8)의 소정 부위에 신축 부재(11)가 외장 시트(8)의 연속 방향을 따라 신장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연속체(18)를 구성하는 각 흡수성 본체(2)는, 다리 개더부(12)나 입체 개더부(13)가 형성된 상태로 전사 공정으로 반송된다. 또한,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31) 및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띠 공급 유닛(32)은, 띠(3, 4)를 전사 공정으로 공급하는 유닛이다. 각 띠(3, 4)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띠(19, 20)의 상태로 공급되고,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간 폭이 넓은 분리전 연속띠(17)가 스플리터(35)에 의해 폭방향으로 잘려져 한 쌍의 연속띠(19, 20)로 분리되고, 분리 후의 연속띠(19, 20)는, 제품 완성시의 띠(3, 4) 사이의 간격(D)과 일치하는 간격을 벌리면서 대략 평행하게 늘어선 상태로 이동한다.
전사 유닛(33)은,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흡수성 본체(2)의 연속체(18)를 제품 단위로 절단하여 얻어지는 일 개체로서의 흡수성 본체(2)를, 띠 공급 유닛(32)에 의해 연속띠(19, 20)의 상태로 공급되는 한 쌍의 띠(3, 4)에 전사하는 유닛이다. 전사 유닛(33)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띠(19, 20)의 상태로 공급되는 띠(3, 4) 사이에 흡수성 본체(2)를 연속띠(19, 20)의 연속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걸쳐 놓는다. 이때, 각 흡수성 본체(2)는, 그 길이 방향 단부에서 각 띠(3, 4)에 접합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흡수성 본체(2)가 차례로 띠(3, 4)에 접합되어 감에 따라, 한 쌍의 띠(3, 4)와 그 사이에 걸쳐진 흡수성 본체(2)가 사다리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 후, 각 띠(3, 4)는 계속해서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고, 이러한 반송 동안에, 등측 띠(3)의 연속띠(19)에 대해 다이커팅 가공이 실시된다. 이 다이커팅 가공은, 등측 띠(3)의 연속띠(19) 중, 인접하는 흡수성 본체(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절결하는 처리로서, 도시하지 않은 다이커팅 유닛에 의해 수행된다. 다이커팅 가공이 수행되면, 등측 띠(3)의 연속띠(19)가 그 연속 방향에 있어서 일정 간격마다 대략 반원형으로 도려지고, 상기 도려진 부위에 대략 원호형의 아치(21)가 형성된다(도 6c 참조).
이상까지의 공정에 의해, 전개 상태의 기저귀(1)가 반송 방향으로 한 줄로 늘어서도록 연속된 기저귀 연속체(15)(도 5 참조)가 형성된다. 이 기저귀 연속체(15)는, 연속한 상태로 후단의 제품 커팅 공정으로 보내진다. 상기 제품 커팅 공정에서는, 제품 커팅 유닛(34)이 도시되지 않은 커터에 의해 기저귀 연속체(15)를 제품 단위로 절단한다. 그리고 절단된 기저귀 연속체 편(16)(도 5 참조)에 대해 최종 처리를 수행하면[예컨대, 팬츠형의 제품이라면, 기저귀 연속체 편(16)을 절곡 위치(Ck)에서 두 겹으로 접고, 용착 등으로 띠(3, 4)끼리를 환형으로 연결시켜 고정 부착하면], 제품으로서의 기저귀(1)가 완성된다.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31)에 의한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
본 항에서는, 전술한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31) 및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
먼저,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의 대략적인 흐름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의 흐름도이다. 흡수성 본체 제조 공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체 제조 공정(S001), 반송 공정(S002), 제1 폴딩 공정(S003), 제2 폴딩 공정(S004), 굽힘 공정(S005)을 가지며, 이들 공정이 상기 순서로 실행된다.
복합체 제조 공정은, 흡수성 본체(2)를 구성하는 각 요소를 맞붙여서 복합체(22)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공정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표주박 형태로 성형된 흡수성 코어(9)를 박엽지(10)로 감싸 흡수체(5)를 생성하고, 흡수체(5)를 표면 시트(6) 및 이면 시트(7)의 사이에 끼운 다음 양 시트(6, 7)를 접합하고, 이들을 외장 시트(8)의 피부측 면에 접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도 8에 도시된 복합체(22)가 생성된다. 도 8은, 복합체(22)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표면 시트(6), 이면 시트(7) 및 외장 시트(8) 각각은 연속 상태로 본 공정에 투입된다. 그리고 복합체(22)에 대해서도 상기한 각 시트(6, 7, 8)의 연속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된 상태로 생성된다. 또한, 외장 시트(8)에는, 다리 개더부(12)를 형성하기 위한 신축 부재(11) 및 입체 개더부(13)를 형성하기 위한 신축 부재(11) 각각이 소정의 접착 위치에 접착되어 있고, 이러한 상태로 복합체 제조 공정에 투입된다. 단, 신축 부재(11)에 대해서는, 이후의 공정에서 접착될 수도 있고, 예컨대, 굽힘 공정 직전에 접착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반송 공정은, 앞의 공정에서 생성된 복합체(22)를 그 연속 방향을 따른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이다. 바꾸어 말하면, 반송 공정은, 박엽지(10)에 감싸진 흡수성 코어(9)가 이면 시트(7)를 사이에 두고 외장 시트(8)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외장 시트(8)를 반송하는 공정이다. 또한, 본 공정은, 나중에 설명하는 반송 기구(41)에 의해 수행된다.
제1 폴딩 공정은, 반송 공정 동안[즉, 반송 기구(41)가 외장 시트(8)를 반송하는 동안]에, 복합체(22) 중의 외장 시트(8)를 제2 폴딩 부위(Bk)에서 폴딩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 의해, 외장 시트(8)는, 도 9a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도 9a는, 제1 폴딩 공정 후의 복합체(2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폴딩 공정에서는, 입체 개더부(13)를 형성하기 위한 신축 부재(11)가 외장 시트(8)[구체적으로는, 제2 폴딩 부위(Bk)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로 감싸지도록 상기 외장 시트(8)를 접는다. 그리고 제1 폴딩 공정 후, 복합체(22)는 계속해서 반송된다.
제2 폴딩 공정은, 반송 공정 동안에, 도 9a의 상태에 있는 외장 시트(8)를, 그 폭방향 양단부가 이면측으로 뒤집히도록, 제3 폴딩 부위(Bf)에서 폴딩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 의해, 외장 시트(8)는, 도 9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9b에 도시한 상태로 이행한다. 도 9b는, 제2 폴딩 공정 후의 복합체(2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복합체(22)는,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계속해서 반송된다.
굽힘 공정은, 반송 공정 동안에, 도 9b의 상태에 있는 외장 시트(8)를 폴딩 부위(Bd)에서 폴딩하고, 다시 상승 부위(Bt)를 굽힘 부위로 하여 굽히는 공정이다. 이 공정에 의해, 외장 시트(8)는 도 9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9c에 도시한 상태로 이행한다. 도 9c는, 굽힘 공정 후의 복합체(2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굽힘 공정이 완료된 단계에서, 외장 시트(8)의 소정 부위에 다리 개더부(12)나 입체 개더부(13)가 형성된다.
이상의 공정을 거쳐, 복합체(22)는 흡수성 본체(2)의 연속체(18)가 되고, 이후, 그 연속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이후의 전사 공정으로 보내진다. 또한, 제1 폴딩 공정 내지 굽힘 공정의 각 공정에서는, 외장 시트(8)의 폴딩이나 굽힘이 상기 외장 시트(8)의 폭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수행된다.
<<굽힘 공정에 대해>>
다음으로, 전술한 굽힘 공정에 대해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굽힘 공정의 흐름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굽힘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 기구(41)가 외장 시트(8)를 반송하는 동안에 수행된다. 본 공정에서는, 먼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시트(8) 중, 폴딩 부위(Bd)에 위치하는 부분을 받침점으로 하여, 상기 폴딩 부위(Bd)보다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폴딩 부위(Bd)보다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 위로 쓰러지도록 외장 시트(8)를 접는다. 이에 따라, 폴딩 부위(Bd)로부터 폭방향 내측 쪽으로 서서히 중첩부(8d)가 형성되어 간다. 이러한 외장 시트(8)의 폴딩이 진행되어 감에 따라, 결국, 외장 시트(8) 중, 상승 부위(Bt)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받침점이 바뀐다. 그 후,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 부위(Bt)에 위치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외장 시트(8)가 회동하도록 굽혀지고, 외장 시트(8) 중, 자유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수체(5) 상에 올라앉을 때까지 쓰러뜨린다.
이상과 같이, 굽힘 공정에서는, 폴딩 부위(Bd)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상승 부위(Bt)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받침점이 바뀌게 되는데, 이러한 받침점의 전환을 구현하기 위해, 굽힘 공정 시에, 폴딩 부위(Bd)로부터 상승 부위(Bt)에 이르는 부분에 미리 핫 멜트 등의 접착제가 도포된다. 즉, 폴딩 부위(Bd)에 위치하는 부분을 받침점으로 하여 외장 시트(8)를 접으면, 외장 시트(8)의 중첩부(8d)가 폴딩 부위(Bd)로부터 폭방향 내측 쪽으로 서서히 넓어지고, 이것이 상승 부위(Bt)까지 도달하면, 상기 상승 부위(Bt)까지 중첩부(8d)끼리가 접합한다. 이와 같이 상승 부위(Bt)까지 중첩부(8d)끼리가 접합함으로써, 받침점이 바뀌고, 이후, 상기 받침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외장 시트(8)의 자유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움직인다.
그런데, 상승 부위(Bt)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받침점이 바뀌는 시점에서, 외장 시트(8)의 자유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장 시트(8)의 폭방향에 있어서 상승 부위(Bt)보다 흡수성 코어(9)와 반대측에 위치한다(도 10b 참조).
여기서, 외장 시트(8) 중, 폭방향에 있어서 상승 부위(Bt)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1 부분(8a)이라 하고,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8a)보다 흡수성 코어(9)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2 부분(8b)이라 하며,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8a)보다 흡수성 코어(9)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3 부분(8c)이라고 한다. 굽힘 공정 중, 상승 부위(Bt)에 위치하는 부분[즉, 제1 부분(8a)]으로 받침점이 바뀌는 단계에서는, 외장 시트(8)의 자유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2 부분(8b)에 해당하고, 상승 부위(Bt)보다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제3 부분(8c)에 해당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굽힘 공정은, 제2 부분(8b)이 제3 부분(8c) 위로 쓰러지도록 외장 시트(8)를 굽힘 부위[상승 부위(Bt)]에서 굽히는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굽힘 공정이 수행되고 있을 때, 제3 부분(8c)의 폭방향 중앙 위에는 흡수체(5)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부분(8a)은,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9)로부터 이격되어 있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굽힘 공정에서는,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9)로부터 이격된 굽힘 부위에서 외장 시트(8)를 굽히게 된다. 이에 따라, 굽힘 공정이 수행된 후의 복합체(22)에는, 폭방향에 있어서 외장 시트(8)와 흡수성 코어(9)의 사이에 전술한 간극 공간(Ss)이 형성되게 된다(예컨대 도 13 참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굽힘 공정에서는, 외장 시트(8)가 그 폭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굽혀진다. 즉, 제1 폴딩 공정 및 제2 폴딩 공정을 거쳐 굽힘 공정을 향하는 복합체(22) 중의 외장 시트(8)는, 그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8a)이 외장 시트(8)의 양단측에 위치하고, 제2 부분(8b)이 제1 부분(8a)보다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며, 제3 부분(8c)이 제1 부분(8a)들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장 시트(8)가 각 상승 부위(Bt)를 굽힘 부위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굽혀진다. 이하에서는, 폭방향에 있어서 일단측에 위치하는 상승 부위(Bt)를 일단측 상승 부위(Bt)(일단측 굽힘 부위에 해당함)라고 칭하고,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승 부위(Bt)를 타단측 상승 부위(Bt)(타단측 굽힘 부위에 해당함)라고 칭한다.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31)에 대해>>
다음으로,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31) 중, 주로 전술한 굽힘 공정에 관여하는 기기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31) 중, 굽힘 공정에 관여하는 기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자재의 흐름 방향[예컨대, 복합체(22)의 반송 방향]을 MD 방향이라고 하고, 수평면에 있어서 MD 방향과 교차(직교)하는 방향을 CD 방향이라고 한다.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31)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부의 일례인 반송 기구(41)와, 굽힘부의 일례인 굽힘 지그(45, 46)와, 흡인 기구(47, 48)를 갖는다. 이하, 이들 기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송 기구(41)>
반송 기구(41)는, 전술한 반송 공정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복합체(22)를 상기 복합체(22)의 연속 방향을 따른 MD 방향으로 반송한다. 반송 기구(41)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반송 벨트(42)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벨트(42)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환 벨트로서, 회전함으로써, 그 상측 표면인 배치면(43)에 놓여진 자재를 MD 방향으로 반송한다. 도 12는, 반송 벨트(42)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한 쌍의 반송 벨트(42)는 서로 협동하여, 제2 폴딩 공정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복합체(22)를 수취하고, 상기 배치면(43)에 복합체(22)의 하면, 즉 외장 시트(8)를 대향 접촉시키면서 복합체(22)를 반송한다. 즉, 반송 벨트(42)의 배치면(43)은, 복합체(22)의 외장 시트(8)를 올려놓는 배치면(43)이다. 또한, 복합체(22)는, 그 폭방향이 CD 방향을 향한 상태로 MD 방향으로 반송된다. 바꾸어 말하면, 외장 시트(8)를 비롯한 복합체(22)의 각 구성 요소의 폭방향은, 반송 방향에 교차(직교)해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반송 벨트(42)가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CD 방향 일단측에 있는 반송 벨트(42)의 배치면(43)에는, 외장 시트(8)의 폭방향 일단부가 올려지고, CD 방향 타단측에 있는 반송 벨트(42)의 배치면(43)에는, 외장 시트(8)의 폭방향 타단부가 놓여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장 시트(8)를 포함하는 복합체(22)는, 도 9b에 도시한 상태로 한 쌍의 반송 벨트(42)에 수취된다. 그리고 외장 시트(8) 중, 제3 부분(8c)의 폭방향 일단부와, 이보다 더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CD 방향 일단측에 있는 반송 벨트(42)의 배치면(43)에 놓여진다. 다른 한편으로, 외장 시트(8) 중, 제3 부분(8c)의 폭방향 타단부와, 이보다 더 타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CD 방향 타단측에 있는 반송 벨트(42)의 배치면(43)에 놓여진다.
또한, 반송 벨트(42) 사이에는 간격이 있으므로, 외장 시트(8) 중, 제3 부분(8c)의 폭방향 중앙부에 대해서는 배치면(43)에 놓이지 않고(즉, 지지되지 않고), 복합체(22)가 반송되게 된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송 벨트(42)끼리가 간격을 두지 않고 나란히 배치되고, 제3 부분(8c)의 폭방향 중앙부도 배치면(43)에 놓여진 상태로 복합체(22)가 반송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반송 기구(41)는, 복합체(22)를 반송하므로, 바꾸어 말하면, 흡수성 코어(9)가 놓여진 외장 시트(8)를 MD 방향으로 반송하게 된다[즉, 반송 공정은, 흡수성 코어(9)가 놓여진 외장 시트(8)를 MD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이다]. 또한, 반송 기구(41)에 의해 반송되는 단계에서 외장 시트(8)는, 그 피부측 면의 대부분이 이면 시트(7)로 덮인 상태에 있다. 즉, 반송 기구(41)는, 흡수성 코어(9)가 이면 시트(7)를 사이에 두고 외장 시트(8)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외장 시트(8)를 반송한다. 또한, 이면 시트(7)는, 폭방향에 있어서, 일단측 상승 부위(Bt)로부터 타단측상승 부위(Bt)까지 넓어져 있다(도 9c 참조).
<굽힘 지그(45, 46)>
굽힘 지그(45, 46)는, 전술한 굽힘 공정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구비되어 있다. 2개의 굽힘 지그(45, 46) 각각은, 반송 기구(41)가 외장 시트(8)를 포함하는 복합체(22)를 반송하는 동안에, 외장 시트(8)를 반송 방향 인 MD 방향과 교차하는 CD 방향(즉, 외장 시트(8)의 폭방향)으로 굽힌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2개의 굽힘 지그(45, 46) 중, 일측의 굽힘 지그(45)는, CD 방향 일단측에 있는 반송 벨트(42)에 부착되어 있다(도 11 참조). 그리고 일측의 굽힘 지그(45)는, 반송 벨트(42)의 배치면(43)에 놓여진 상태의 외장 시트(8)를 일단측 상승 부위(Bt)에서 굽힌다[즉, 폭방향에 있어서 일단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8b)이 제3 부분(8c) 위로 쓰러지도록 굽힌다]. 타측의 굽힘 지그(46)는, CD 방향 타단측의 반송 벨트(42)에 부착되어 있으며(도 11 참조), 상기 반송 벨트(42)의 배치면(43)에 놓여진 상태의 외장 시트(8)를 타단측 상승 부위(Bt)에서 굽힌다[즉, 폭방향에 있어서 타단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8b)이 제3 부분(8c) 위로 쓰러지도록 굽힌다].
각 굽힘 지그(45, 46)는, 좌우 대칭으로 대략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일측의 굽힘 지그(45)에 대해 설명한다. 굽힘 지그(45)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판형 부재로서, 도 9b에 도시한 상태에 있는 복합체(22)가 MD 방향에 있어서 굽힘 지그(45)가 구비된 위치를 통과할 때, 외장 시트(8)의 폭방향 일단부를 내측으로 서서히 끌어당긴다. 도 13은, 굽힘 지그(45)에 의해 굽힘 공정이 수행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합체(22)가 MD 방향에 있어서 굽힘 지그(45)가 구비된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외장 시트(8)의 폴딩 부위(Bd)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굽힘 지그(45)와 접촉한다. 그리고 복합체(22)가 MD 방향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감에 따라, 외장 시트(8)의 폭방향 일단부가 이면측으로 감기는 형태로 감기도록 끌어 당겨지고, 외장 시트(8)가 폴딩 부위(Bd)에 위치하는 부분을 받침점으로 하여 폴딩된다. 이후, 외장 시트(8)의 접힘이 진행되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받침점이 상승 부위(Bt)에 위치하는 부분[즉, 제1 부분(8a)]으로 바뀌고, 제2 부분(8b)이 흡수성 코어(9) 위로 올라앉도록 쓰러진다[즉, 제3 부분(8c) 위로 쓰러진다]. 이 결과, 외장 시트(8)를 포함하는 복합체(22)는, MD 방향에 있어서 굽힘 지그(45)가 구비된 위치를 통과한 시점에서 도 9c에 도시한 상태가 되고, 외장 시트(8)는 상승 부위(Bt)에서 굽혀져서 약간 위로 올라간 상태가 된다.
<흡인 기구(47, 48)>
흡인 기구(47, 48)는, 굽힘 지그(45, 46)에 의한 굽힘 공정이 수행되고 있을 때, 외장 시트(8)의 소정 부분을 반송 벨트(42)의 배치면(43)에 밀착시키기 위한 흡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인 기구(47, 48)가 2개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의 흡인 기구(47)는, CD 방향 일단측에 있는 반송 벨트(42)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의 흡인 기구(48)는, CD 방향 타단측에 있는 반송 벨트(4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흡인 기구(47, 48)는, 동일한 구성이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일측의 흡인 기구(47)를 예로 들어, 그 기능 등에 대해 설명한다.
흡인 기구(47)가 수행하는 흡인 동작은, 배치면(43)에 형성된 통기 구멍(44)을 통해 공기를 흡인(흡기)하는 동작이다. 여기서, 통기 구멍(44)은, 배치면(43) 중, MD 방향에 있어서 굽힘 지그(45)가 구비되어 있는 범위(즉, 굽힘 공정이 수행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구멍(44)은, 상기 범위 중, CD 방향에 있어서 내측 절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시트(8)의 이면측 면[배치면(43)과의 접촉면] 중,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8a)으로부터 제3 부분(8c)의 폭방향 단부에 이르는 부분은, 배치면(43)의 통기 구멍(44)이 형성된 범위와 대향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통기 구멍(44)이 형성된 범위와 대향하지 않는다(도 13 참조).
따라서, 흡인 기구(47)가 통기 구멍(44)을 통해 공기를 흡인하면, 상기 통기 구멍(44)이 형성된 배치면(43)에 외장 시트(8)가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8a)으로부터 제3 부분(8c)에 걸쳐 밀착하게 된다. 즉, 흡인 기구(47, 48)에 의한 흡인 동작은, 굽힘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8a)으로부터 제3 부분(8c)에 걸쳐 외장 시트(8)를 배치면(43)에 밀착시키기 위한 동작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 시트(8)가 배치면(43)에 놓여져 있는 단계에서는, 이면 시트(7)가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8a)으로부터 제3 부분(8c)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즉, 흡인 기구(47)는, 외장 시트(8) 중, 배치면(43)의 통기 구멍(44)이 형성된 범위와 대향하는 부분 위에 이면 시트(7)가 마련된 상태로 흡인 동작을 수행한다. 이면 시트(7)는 통기성이 부족한 필름이기 때문에, 이것이 제1 부분(8a)으로부터 제3 부분(8c)에 걸쳐 마련됨으로써, 외장 시트(8)의 이면측 면을 그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8a)으로부터 제3 부분(8c)에 걸쳐 배치면(43)에 밀착시키는 효과를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흡인 기구(47)가 흡인 동작을 수행하여 제1 부분(8a) 및 제3 부분(8c)을 배치면(43)에 밀착시키는 결과, 굽힘 공정 중에 제1 부분(8a) 및 제3 부분(8c)이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굽힘 공정 중에 제1 부분(8a)이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9)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고, 외장 시트(8)를 상승 부위(Bt)에서 굽혔을 때, 전술한 간극 공간(Ss)이 외장 시트(8)와 흡수성 코어(9)의 사이에 적절하게 확보되게 된다.
즉, 흡인 기구(47)는, 굽힘 지그(45)가 외장 시트(8)를 굽힐 때, 상기한 흡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부분(8a)이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9)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에 해당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의 굽힘 공정에서는, 외장 시트(8)를 굽힐 때 제1 부분(8a)이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9)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흡인 기구(47, 48)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의 흡인 기구(47)는, 일측의 굽힘 지그(45)가 외장 시트(8)를 전술한 일단측 상승 부위(Bt)에서 굽힐 때, 상기 일단측 상승 부위(Bt)에 위치하는 제1 부분(8a)이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9)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한다. 타측의 흡인 기구(48)는, 타측의 굽힘 지그(46)가 외장 시트(8)를 전술한 타단측 상승 부위(Bt)에서 굽힐 때, 상기 타단측 상승 부위(Bt)에 위치하는 제1 부분(8a)이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9)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규제부로서의 흡인 기구(47, 48)가 각 굽힘 지그(45, 46)에 대해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 기구(47, 48)에 의한 규제를 2개의 제1 부분(8a)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규제에 따른 조정(예컨대, 흡인 압력의 조정)을 2개의 제1 부분(8a)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유효성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저귀 제조 장치(30) 및 기저귀(1)를 제조하는 방법에 따르면, 흡수성 코어(9)로부터 이격된 굽힘 부위에서 외장 시트(8)를 굽힐 때, 외장 시트(8)와 흡수성 코어(9)의 사이에 간극 공간(Ss)을 확보하면서 적절하게 굽힐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유효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장 시트(8)와 흡수성 코어(9)의 사이에 간극 공간(Ss)이 형성되도록,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9)로부터 이격된 굽힘 부위에서 외장 시트(8)를 굽히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기저귀(1)의 착용시에 입체 개더부(13)가 뒤로 휘었을 때의 상기 입체 개더부(13)의 높이를 높게 하여, 배설물의 수용 공간(S)의 용적을 크게 함에 있어서 상기 간극 공간(Ss)이 필요해지고, 이러한 간극 공간(Ss)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9)로부터 이격된 상승 부위(Bt)를 굽힘 부위로 하여 외장 시트(8)를 굽힌다.
그러나, 상기한 굽힘 부위에서 외장 시트(8)를 굽힐 때, 상기 굽힘 부위에 위치하는 제1 부분(8a)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제1 부분(8a)이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9)에 근접하도록 어긋나게 이동하여, 간극 공간(Ss)이 적절하게 확보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 이유는, 외장 시트(8) 중, 흡수성 코어(9)로부터 이격된 부분이, 흡수성 코어(9)가 위치하는 부분[흡수성 코어(9)가 놓여진 부분]에 비해 강성이 낮기 때문이다. 즉, 양 부분 사이에는 강성차가 있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9)로부터 이격된 굽힘 부위에서 외장 시트(8)를 굽히려고 하면, 외장 시트(8) 중, 흡수성 코어(9)와 굽힘 부위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오그라들거나 꺾여 버린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부분(8b)을 내측으로 끌어당기면서 제3 부분(8c) 위로 쓰러뜨리도록 외장 시트(8)를 굽히는 경우에는, 흡수성 코어(9)와 굽힘 부위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굴곡이 현저하게 발생한다.
이상의 결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굽힘 부위에 위치하는 제1 부분이 흡수성 코어(9) 쪽으로 끌어 당겨져서 상기 흡수성 코어(9)에 접근하여, 외장 시트(8)와 흡수성 코어(9)의 사이에 충분한 간극 공간(Ss)이 확보되지 않게 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유효성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굽힘 공정에서는, 외장 시트(8)를 굽힐 때,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8a)으로부터 제3 부분(8c)에 걸쳐 외장 시트(8)를 반송 벨트(42)의 배치면(43)에 밀착시켜 고정하고(폭방향에서의 어긋남을 억제하고), 제1 부분(8a)이 폭방향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9)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비록 굽힘 부위에 위치하는 제1 부분(8a)이 외장 시트(8) 중에서 강성이 낮은 부분에 해당한다고 해도, 외장 시트(8)와 흡수성 코어(9)의 사이에 간극 공간(Ss)이 적당히 확보되도록, 외장 시트(8)를 상기 굽힘 부위에서 굽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외장 시트(8)에 당연히 구비시켜야 할 기능[예컨대, 입체 개더부(13)를 형성하는 기능]이 적합하게 발휘되게 된다.
===변형예에 대해===
상기 실시 형태(이하, 본건예라고도 함)에서는, 굽힘 공정에서 제1 부분(8a)이 흡수성 코어(9)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흡인 기구(47, 48)로 하여금 흡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8a)으로부터 제3 부분(8c)에 걸쳐 외장 시트(8)를 반송 벨트(42)의 배치면(43)에 밀착시키는 것으로 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외장 시트(8)를 배치면(43)에 밀착시키기 위해,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8a)으로부터 제3 부분(8c)의 폭방향 단부에 이르는 부분만을, 배치면(43)의 통기 구멍(44)이 형성된 범위와 대향시키고,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범위와 대향시키지 않는 것으로 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예도 생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굽힘 공정에서 제1 부분(8a)이 흡수성 코어(9)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는 다른 예로서,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변형예>>
제1 변형예에서는, 흡인 기구(47, 48)로 하여금 흡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외장 시트(8)를 반송 벨트(42)의 배치면(43)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점에서는 본건예와 동일하다. 한편, 제1 변형예에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면(43)의 대략 전체면에 걸쳐 통기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변형예에서는, 외장 시트(8) 중, 제1 부분(8a)으로부터 제3 부분(8c)에 이르는 부분 외에, 다리 개더부(12)가 형성되는 부분에도 흡인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도 15는,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도, 제1 부분(8a)이 흡수성 코어(9)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면서, 제2 부분(8b)이 제3 부분(8c) 위로 쓰러지도록 외장 시트(8)를 굽힘 부위에서 굽힐 수 있다(즉, 본건예와 동일한 굽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예에서는, 굽힘 공정 중, 다리 개더부(12)가 형성되는 부분에 대해서도 배치면(43)에 밀착시키므로, 상기 부분의 펄럭거림을 억제하면서 외장 시트(8)를 굽힐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변형예는, 외장 시트(8) 중, 제1 부분(8a)으로부터 제3 부분(8c)에 이르는 부분 외에, 다리 개더부(12)가 형성되는 부분에도 흡인 압력이 작용하는 점에서 본건예와 다르지만, 그 이외의 구성에서는 본건예와 동일하며, 본건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건예나 제1 변형예에서는, 흡인 기구(47, 48)가 흡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반송 벨트(42)의 배치면(43)에 통기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통기 구멍(44)은, 예컨대, 반송 벨트(42)에 천공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혹은, 반송 벨트(42)를 메쉬 벨트로 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변형예>>
제2 변형예에서는, 흡인 기구(47, 48) 대신, 도 16에 도시된 막대형 부재(49)가 구비되어 있다. 도 16은,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막대형 부재(49)는 압박체의 일례로서, 반송 벨트(42)의 배치면(43)에 놓여진 상태의 외장 시트(8)가 굽힘 부위[즉, 상승 부위(Bt)]에서 굽혀질 때, 피부측으로부터 외장 시트(8)[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부분(8c)의 폭방향 경계 부분 및 폭방향 단부]와 접촉한다. 그리고 막대형 부재(49)는,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8a)으로부터 제3 부분(8c)에 걸쳐 외장 시트(8)를 배치면(43)에 압박한다. 이에 따라, 외장 시트(8)가, 폭방향에 있어서 제1 부분(8a)으로부터 제3 부분(8c)에 걸쳐 배치면(43)에 압박되어 고정된다. 즉, 굽힘 공정 중에 제1 부분(8a)이 흡수성 코어(9)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변형예에서는, 흡인 기구(47, 48)의 흡인을 이용하는 대신, 막대형 부재(49)의 압박에 의해 제1 부분(8a)의 어긋남을 억제한다. 이러한 점에서, 제2 변형예는 본건예와 다르지만,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건예와 동일하며, 본건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즉, 막대형 부재(49)를 이용하여 제1 부분(8a)이 흡수성 코어(9)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면, 외장 시트(8)와 흡수성 코어(9)의 사이에 간극 공간(Ss)이 적당히 확보되도록 외장 시트(8)를 굽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막대형 부재(49)와 다른 막대형 부재(이하, 다른 막대형 부재)를 흡수성 코어(9)의 양편에 위치시키면서, 외장 시트(8)를 굽힘 부위에서 굽히는 케이스도 생각할 수 있다. 다른 막대형 부재는, 외장 시트(8)를 배치면(43)에 압박하는 기능을 갖지는 않지만, 흡수성 코어(9)의 양편에서 일정 공간을 점유한다. 따라서, 다른 막대형 부재를, 전술한 막대형 부재(49) 대신 사용하면, 굽힘 공정에서 흡수성 코어(9)의 양편에 다른 막대형 부재의 폭만큼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굽힘 공정 중에 제1 부분(8a)이 흡수성 코어(9)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여, 외장 시트(8)와 흡수성 코어(9)의 사이에 간극 공간(Ss)이 적당히 확보되게 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는, 주로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제조 장치(30) 및 기저귀(1)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으나,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아울러,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형상 등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굽힘 부위인 상승 부위(Bt)의 외측에 다리 개더부(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굽힘 부위의 외측에 다리 개더부(12)가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성 코어(9)와 외장 시트(8) 사이에 이면 시트(7)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이면 시트(7)의 폭방향 단부가 외장 시트(8)의 폭방향에 있어서 상승 부위(Bt)에 도달해 있는 것으로 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면 시트(7)가 개재되지 않거나, 혹은, 개재는 되어 있더라도 그 폭방향 단부는 상승 부위(Bt)까지 도달해 있지 않은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다리 개더부(12) 및 입체 개더부(13)가 외장 시트(8)에 형성되는 것으로 했으나, 예컨대, 외장 시트(8) 이외의 시트(예컨대, 외장 시트(8)의 피부면에 접합되는 시트)에 상기한 각 개더부(12, 13)가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외장 시트(8)에 접합된 다른 시트에 흡수성 본체(2)가 놓여지고, 상기 다른 시트를 소정의 굽힘 부위에서 굽혀 각 개더부(12, 13)를 형성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기저귀(1)를 예로 들어,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른 흡수성 물품으로는, 생리대, 실금 패드, 와이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1 기저귀(흡수성 물품), 1a 몸통 개구, 1b 다리 개구, 2 흡수성 본체, 2a 융기부, 2b 두께가 얇은 부분, 2c 피부측 면, 2d 이면측 면, 3 띠(등측 띠), 4 띠(배측 띠), 5 흡수체, 6 표면 시트, 7 이면 시트(필름), 8 외장 시트(시트), 8a 제1 부분, 8b 제2 부분, 8c 제3 부분, 8d 중첩부, 9 흡수성 코어, 10 박엽지, 11 신축 부재, 12 다리 개더부, 13 입체 개더부, 14 고무 부재, 15 기저귀 연속체, 16 기저귀 연속체 편, 17 분리전 연속띠, 18 연속체, 19 연속띠, 20 연속띠, 21 아치, 22 복합체, 30 기저귀 제조 장치(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31 흡수성 본체 제조 유닛, 32 띠 공급 유닛, 33 전사 유닛, 34 제품 커팅 유닛, 35 스플리터, 41 반송 기구(반송부), 42 반송 벨트, 43 배치면, 44 통기 구멍, 45 굽힘 지그(굽힘부), 46 굽힘 지그(굽힘부), 47 흡인 기구(규제부), 48 흡인 기구(규제부), 49 막대형 부재(압박체), Bd 폴딩 부위, Bt 상승 부위(굽힘 부위), Bk 제2 폴딩 부위, Bf 제3 폴딩 부위, S 수용 공간, Ss 간극 공간

Claims (5)

  1. 흡수성 코어와 상기 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흡수성 코어가 놓여진 상기 시트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과,
    상기 반송하는 공정 동안에 상기 시트를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굽히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 중,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트를 굽힐 때의 굽힘 부위에 위치하는 제1 부분은,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굽히는 공정에서는,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흡수성 코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이,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흡수성 코어측에 위치하는 제3 부분 위로 쓰러지도록, 상기 시트를 상기 굽힘 부위에서 굽히고,
    상기 시트를 굽힐 때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교차 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코어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시트를 올려놓는 배치면에 상기 시트를 올려놓아 반송하고,
    상기 굽히는 공정에서는, 상기 배치면에 놓여진 상태의 상기 시트를 상기 굽힘 부위에서 굽히고,
    상기 규제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부분에 걸쳐 상기 시트를 상기 배치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흡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와 상기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을 가지며,
    상기 반송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흡수성 코어가 상기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시트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시트를 반송하고,
    상기 흡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부분에 걸쳐 상기 필름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흡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시트를 올려놓는 배치면에 상기 시트를 올려놓아 반송하고,
    상기 굽히는 공정에서는, 상기 배치면에 놓여진 상태의 상기 시트를 상기 굽힘 부위에서 굽히며,
    상기 규제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시트와 접촉하여,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부분에 걸쳐 상기 시트를 상기 배치면에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시트의 양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보다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제3 부분 위에 구비되고,
    상기 굽히는 공정에서의 굽힘부가 2개 구비되며, 일측의 상기 굽힘부는, 2개의 상기 제2 부분 중,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 일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3 부분 위로 쓰러지도록, 상기 시트를 일단측 굽힘 부위에서 굽히고, 타측의 상기 굽힘부는,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3 부분 위로 쓰러지도록, 상기 시트를 타단측 굽힘 부위에서 굽히고,
    상기 규제하는 공정에서의 규제부가 2개 구비되며, 일측의 상기 규제부는, 일측의 상기 굽힘부가 상기 시트를 상기 일단측 굽힘 부위에서 굽힐 때, 상기 일단측 굽힘 부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교차 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코어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고, 타측의 상기 규제부는, 타측의 상기 굽힘부가 상기 시트를 상기 타단측 굽힘 부위에서 굽힐 때, 상기 타단측 굽힘 부위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교차 방향으로 상기 흡수성 코어에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KR1020177015226A 2009-04-03 2010-03-29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KR101778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91501A JP5396132B2 (ja) 2009-04-03 2009-04-03 吸収性物品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方法
JPJP-P-2009-091501 2009-04-03
PCT/JP2010/055540 WO2010113855A1 (ja) 2009-04-03 2010-03-29 吸収性物品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352A Division KR20120011851A (ko) 2009-04-03 2010-03-29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701A KR20170066701A (ko) 2017-06-14
KR101778497B1 true KR101778497B1 (ko) 2017-09-13

Family

ID=428281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352A KR20120011851A (ko) 2009-04-03 2010-03-29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KR1020177015226A KR101778497B1 (ko) 2009-04-03 2010-03-29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352A KR20120011851A (ko) 2009-04-03 2010-03-29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20073760A1 (ko)
EP (1) EP2415433A4 (ko)
JP (1) JP5396132B2 (ko)
KR (2) KR20120011851A (ko)
CN (1) CN102378607B (ko)
AR (1) AR076033A1 (ko)
AU (1) AU2010231716A1 (ko)
BR (1) BRPI1006785A2 (ko)
EA (1) EA201101448A1 (ko)
NZ (1) NZ595516A (ko)
SG (1) SG174256A1 (ko)
TW (1) TWI473602B (ko)
WO (1) WO2010113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6131B2 (ja) * 2009-04-03 2014-01-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を製造する方法
JP2014512235A (ja) 2011-04-29 2014-05-2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レッグガスケットカフを備える吸収性物品
BR112013032991A2 (pt) 2011-06-21 2017-01-31 Procter & Gamble artigo absorvente com um cós e punho para pernas que tem franzidos
US9358161B2 (en) 2011-06-21 2016-06-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band having contraction
EP2849702A1 (en) 2012-05-15 2015-03-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pants with advantageous stretch and manufacturability featur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976054B1 (en) 2013-03-22 2020-06-1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10342710B2 (en) * 2014-11-14 2019-07-09 Zuiko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worn article
BR112017019869A2 (pt) 2015-03-18 2018-05-29 Procter & Gamble artigo absorvente com punhos para as pernas
MX2017011923A (es) 2015-03-18 2017-12-15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con dobleces para piernas.
CN107405227B (zh) 2015-03-18 2020-09-11 宝洁公司 具有腰衬圈元件和腿箍的吸收制品
US10716716B2 (en) 2015-03-18 2020-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CA2980145A1 (en) 2015-03-18 2016-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MX2017011924A (es) 2015-03-18 2017-12-15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con dobleces de pierna.
US10588790B2 (en) 2015-03-18 2020-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cuffs
EP3270851B1 (en) 2015-03-18 2019-04-2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asketing element and leg cuffs
BR112017019861A2 (pt) 2015-03-18 2018-05-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go absorvente com elemento de vedação na cintura e braçadeiras para pernas
CN108093621A (zh) 2015-03-18 2018-05-29 宝洁公司 带有腰衬圈元件和腿箍的吸收制品
JP5982529B1 (ja) 2015-04-24 2016-08-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部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JP6116657B1 (ja) * 2015-12-25 2017-04-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17208775A1 (ja) * 2016-05-30 2017-12-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901313B2 (ja) * 2016-05-30 2021-07-1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0731A2 (en) 2000-02-18 2001-08-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acuum ear-folding process and apparatus
US20060151091A1 (en) 2002-11-29 2006-07-13 Ka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gather forming member
WO2006104502A2 (en) * 2004-09-30 2006-10-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rapped absorbent core
JP2009039441A (ja) 2007-08-10 2009-02-26 Uni Charm Corp 着用物品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65A (ja) 1991-06-26 1993-01-14 Nec Ic Microcomput Syst Ltd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の製造方法
US5827387A (en) * 1996-12-20 1998-10-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article having leg cuffs combined with containment flaps
JP3515910B2 (ja) * 1998-10-02 2004-04-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4386501B2 (ja) * 1999-08-05 2009-12-16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3737399B2 (ja) * 2001-07-24 2006-01-18 花王株式会社 立体ギャザー形成用部材の製造方法
US20040102757A1 (en) * 2002-11-21 2004-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n elastic waistband and easy tear side seams
JP2005089126A (ja) * 2003-09-18 2005-04-07 Pigeon Corp 折り装置
JP4833646B2 (ja) * 2005-11-28 2011-12-0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7335150B2 (en) * 2005-12-15 2008-0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for making pre-fastened absorbent undergarments
JP4954788B2 (ja) * 2007-05-16 2012-06-2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個装体の製造方法
WO2008142946A1 (ja) * 2007-05-24 2008-11-27 Zuiko Corporation ウェブの折り装置、ウェブの折り方法および着用物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0731A2 (en) 2000-02-18 2001-08-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Vacuum ear-folding process and apparatus
US20060151091A1 (en) 2002-11-29 2006-07-13 Ka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gather forming member
WO2006104502A2 (en) * 2004-09-30 2006-10-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rapped absorbent core
JP2009039441A (ja) 2007-08-10 2009-02-26 Uni Charm Corp 着用物品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03505A (en) 2011-02-01
AR076033A1 (es) 2011-05-11
AU2010231716A1 (en) 2011-10-27
WO2010113855A1 (ja) 2010-10-07
KR20170066701A (ko) 2017-06-14
EP2415433A4 (en) 2013-07-17
US20120073760A1 (en) 2012-03-29
EA201101448A1 (ru) 2012-05-30
NZ595516A (en) 2013-01-25
JP2010240110A (ja) 2010-10-28
CN102378607B (zh) 2014-12-17
JP5396132B2 (ja) 2014-01-22
TWI473602B (zh) 2015-02-21
CN102378607A (zh) 2012-03-14
EP2415433A1 (en) 2012-02-08
SG174256A1 (en) 2011-10-28
KR20120011851A (ko) 2012-02-08
BRPI1006785A2 (pt) 201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497B1 (ko)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TWI453003B (zh) 吸收性物品及吸收性物品之製造方法
JP5277254B2 (ja) パンツ型の失禁用品を製造する方法
EP1415629B1 (en) Underpants type disposable wear article
KR101600657B1 (ko)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JP4953730B2 (ja) 吸収性物品
EP2717819B1 (en) Absorbent article
EP3544563B1 (en) Disposable pant-type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elastic regions
KR101927040B1 (ko) 채널 및 성형 탄성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KR101709359B1 (ko) 흡수성 물품 제조 장치 및 흡수성 물품 제조 방법
EP3326596B1 (en) Method of making wearable article comprising elastic belt
JP3719975B2 (ja) 吸収体の製造方法
WO2013065449A1 (ja) 展開型の使い捨ておむつ
US11166859B2 (en) Method of making wearable article comprising elastic belt
JP6763268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EP4112022A1 (en) An absorbent sanitary artic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314069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N111182873A (zh) 吸收垫
JP2016150026A (ja) 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