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329B1 -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329B1
KR101775329B1 KR1020170059237A KR20170059237A KR101775329B1 KR 101775329 B1 KR101775329 B1 KR 101775329B1 KR 1020170059237 A KR1020170059237 A KR 1020170059237A KR 20170059237 A KR20170059237 A KR 20170059237A KR 101775329 B1 KR101775329 B1 KR 101775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groove
cable tray
support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시광
Original Assignee
성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시광 filed Critical 성시광
Priority to KR1020170059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support means for ends of the slee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위에 소켓 하우징을 고정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를 양생한 다음 거푸집 제거 후 이동소켓을 통해 결합된 행거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와, 상기 소켓 하우징을 거푸집 위에 고정시킨 후 단부캡을 결합하고, 거푸집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를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의 내측에 이동소켓을 삽입 설치하며, 행거의 상단부를 상기 이동소켓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소켓홈에 나사 결합시키고, 행거의 하단부에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SOCKET STRUCTURE FOR CONSTRUCTION OF POWER CABLE TRAY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POWER CABLE TRAY}
본 발명은 전기공사의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케이블이 안내되는 트레이의 폭에 따라 행거의 위치를 자유롭고 세밀하게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공장, 빌딩 등의 건물에는 전력선과 통신선 등을 위한 많은 전력 케이블이 설치되는데 주로 천장을 따라 배치되고, 전력 케이블을 공중에 배선할 경우 자체 하중으로 인해 아래로 처질 뿐만 아니라 다른 구조물과 간섭되어 손상될 수 있으며 미관을 해치거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케이블을 정리 정돈된 상태로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를 천장슬래브 아래로 설치된 행거에 안착시켜 지지하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불연성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 지지대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좌·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측면레일과, 한쌍의 측면레일을 횡 방향으로 서로 연결해 주는 횡부재로 이루어진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케이블 트레이(10)가 건물의 천장슬래브(20)의 저부에 행거(30)에 의해 지지되어 전력 케이블을 원하는 위치로 배선되도록 안내하고, 그 시공방법은 먼저 천장슬래브(20)의 저면에 케이블 트레이(10)의 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드릴 등의 공구로 결합홈(40)을 일정한 깊이로 형성하고, 결합홈(40)에 암나사가 형성된 소켓(50)을 삽입시킨다. 이어서, 상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행거(30)를 소켓(50)에 삽입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행거(30)의 타단에 케이블 트레이(10)를 위치시켜 고정볼트로 조임하여 케이블 트레이(10)를 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한쌍의 사이드패널과, 사이드패널 사이에 횡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진 케이블 트레이를 행거나 랙 등의 지지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대략 직사각형을 갖는 금속판이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져 양단이 각각 케이블 트레이가 안착되는 지지체의 상면과 사이드패널의 절곡단부 상면을 가압하도록 고정체의 상면에 볼트 결합되는 케이블 트레이 고정구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케이블 트레이의 현장 시공시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위치 등 설계가 변경되는 경우 또는 전력 케이블의 수가 증가하여 보다 큰 폭의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행거의 고정 위치가 변경되므로 드릴과 소켓을 더 준비해서 다른 위치에 결합홈들을 더 형성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전력 케이블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의 하중에 의해 소켓이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드릴 등의 공구로 결합홈을 형성할 때 콘크리이트 분진 등이 낙하하여 오염되고 작업자의 안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0960호(2003.01.15.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케이블 트레이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시켜 행거를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소켓을 이동시켜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천장슬래브에 홈을 뚫을 필요가 없어 작업이 간편하고 분진 등 낙하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외부 충격 발생시 완충이 이루어져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푸집 위에 소켓 하우징을 고정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를 양생한 다음 거푸집 제거 후 이동소켓을 통해 결합된 행거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로서, 하부 양측에 구비된 플랜지를 거푸집 위에 고정한 후 천장슬래브 하부에 설치되고 양단부가 개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부에 T자 형상의 지지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양측의 지지편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이격 형성되고, 지지편의 하측에 이동소켓이 이동하는 레일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레일홈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된 소켓 하우징; 상기 소켓 하우징의 양단부에 결합하여 개방된 상태를 폐쇄하고, 타설되는 콘크리이트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부캡; 및 상기 소켓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에 지지편에 지지되는 헤드부를 갖는 T자 형상의 지지체가 형성되어 지지홈에 삽입되고, 양측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가이드홈에 체결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행거의 상단부가 체결되는 소켓홈이 형성된 이동소켓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편의 상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각각 복수 개의 톱니들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홈의 상부에 신축 가능한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부캡의 하부에 단부측으로 연장된 연장판이 형성되고 연장판에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케이블 트레이에 횡설된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하부 고정재와, 하부 고정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 회전부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나사홈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봉과, 나사봉의 하부와 결합된 상부 고정재와, 상부 고정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단 회전부와, 하단 회전부와 상단 회전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진 완충장치에 의하여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공급이나 통신을 위해 건물의 천장슬래브 하측에 행거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에 있어서, 양단부가 개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부에 T자 형상의 지지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양측의 지지편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이격 형성되고, 지지편의 하측에 이동소켓이 이동하는 레일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레일홈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플랜지가 연장 형성된 소켓 하우징을 준비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의 내측에 이동소켓을 삽입 설치하되, 상기 이동소켓의 상부에 구비된 T자 형상의 지지체를 헤드부가 지지편에 지지되도록 지지홈에 삽입하고, 상기 이동소켓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상기 가이드홈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이동소켓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소켓 하우징의 플랜지를 고정부재로 거푸집 위에 고정시킨 후, 상기 소켓 하우징의 양단부에 단부캡을 결합하여 개방된 상태를 폐쇄하고, 거푸집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를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행거의 상단부를 상기 이동소켓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소켓홈에 나사 결합시키고, 행거의 하단부에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홈의 상부에 신축 가능한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횡설된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하부 고정재와, 하부 고정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 회전부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나사홈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봉과, 나사봉의 하부와 결합된 상부 고정재와, 상부 고정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단 회전부와, 하단 회전부와 상단 회전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진 완충장치를 준비하고, 상기 나사봉을 상기 단부캡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판의 나사홈에 나사 체결하여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 트레이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시켜 행거를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소켓을 이동시켜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천장슬래브에 홈을 뚫을 필요가 없어 작업이 간편하고 분진 등 낙하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외부 충격 발생시 완충이 이루어져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전력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전력 케이블 트레이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켓 하우징의 거푸집 고정에 관한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를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행거의 상단부를 이동소켓 내측의 소켓홈에 나사 결합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구를 이용하여 이동소켓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장치를 설치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는 거푸집(F) 위에 소켓 하우징(100)을 고정한 후 거푸집(F)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S)를 양생한 다음 거푸집(F) 제거 후 이동소켓(300)을 통해 결합된 행거(H)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로서, 전력 케이블이 안내되는 케이블 트레이(T)의 폭에 따라 행거(H)의 위치를 자유롭고 세밀하게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으며, 소켓 하우징(100), 단부캡(200) 및 이동소켓(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소켓 하우징(100)은 거푸집(F) 위에 고정한 후 천장슬래브(S)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이동소켓(300)이 삽입 설치될 수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소켓 하우징(100)은 상부에 T자 형상의 지지홈(11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도록 내면 중간에 형성된 양측의 지지편(120)이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되 서로 이격 형성되어 레일홈(130)과 연통된다. 지지편(120) 하측에는 이동소켓(300)이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레일홈(13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레일홈(130)의 양측에는 요입된 가이드홈(14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편(120)의 상부에 복수 개의 톱니(121)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홈(110)의 상부 공간에 신축 가능한 탄성부재(115)가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소켓 하우징(100)은 하부 양측에 플랜지(150)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50)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각 플랜지홀에 고정부재를 관통시켜 거푸집(F) 위에 고정한다.
상기 단부캡(200)은 상기 소켓 하우징(100)의 개방된 양단부에 결합하여 개방된 상태를 폐쇄하여 추후 타설되는 콘크리이트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단부캡의 하부에 단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판(210)이 형성되고, 연장판(210)에는 나사홈(220)이 형성된다.
더불어, 케이블 트레이(T)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불연성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 지지대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좌·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측면레일(T1)과, 한쌍의 측면레일(T1)을 횡 방향으로 서로 연결해 주는 횡부재(T2)로 이루어지며, 한쌍의 측면레일(T1)의 하부를 횡 방향으로 가로 질러 지지부재(T3)가 설치되고, 지지부재(T3)의 양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입설된 행거(H)의 하단부가 고정볼트로 조임되어 결합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H)의 외측에 완충장치(U)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장치(U)는 상기 지지부재(T3)의 양단부에 각각 하부 고정재(U1)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고정재(U1)에 하단 회전부(U2)가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단부캡(200)의 연장판(210)에 형성된 나사홈(220)에 나사봉(U3)이 나사 체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봉(U3)의 하부에는 상부 고정재(U4)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 고정재(U4)에 상단 회전부(U5)가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단 회전부(U2)와 상단 회전부(U5)는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봉(U6)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봉(U6)은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T)가 행거(H)에 의해 천장슬래브(S)에 고정 지지됨과 동시에 완충장치(U)에 의해 완충 지지됨으로써, 외부 충격 발생시 완충이 이루어져 케이블 트레이(T)를 보호하고,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소켓(300)은 상기 소켓 하우징(100)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고, 작업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있는 나사봉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봉의 하부에 핸들이 구비된 공구(A)를 이동소켓(300)의 내측에 임시로 체결한 채 핸들(A1)을 잡고 공구를 이동시켜 이동소켓(300)을 소켓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소켓(300)은 외부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일례로 외부 형상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에 T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지지체(310)가 형성되어 지지홈(110)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체(310)는 상부에 하부보다 폭이 넓은 헤드부(315)를 갖고, 상기 헤드부(315)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이동이 원활하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헤드부(315)는 상기 지지편(120) 위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이동소켓(300)은 상기 레일홈(130)에 삽입되어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양측에 가이드돌기(320)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40)에 체결되어 이동소켓(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내측에 원형의 평단면을 갖는 소켓홈(330)이 형성되고 소켓홈(33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행거(H)의 상단부가 체결된다.
상기 헤드부(315)의 하부면에 복수 개의 톱니(311)들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톱니(121)들과 서로 맞물린 상태로 체결된 채 고정이 유지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지지체(310)가 지지편(120)에 지지되고 더불어 상하측에서 톱니들이 맞물려 체결되므로 이동소켓(300)이 임의로 다른 위치로 이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지지홈(110)의 상부 공간에 신축 가능한 탄성부재(115)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홈(110)의 하부 공간에 상기 지지체(310)의 헤드부(315)가 삽입되며, 이로써, 상기 이동소켓(300)이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15)의 신장력 내지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측에서 헤드부(315)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소켓(300)이 임의로 다른 위치로 이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더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반면에, 케이블 트레이의 폭에 따라 이동소켓(300)의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이동소켓(300)의 내측에 임시 체결한 공구(A)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때 복수 개의 톱니(121,311)들이 서로 맞물리거나 어긋남을 반복하면서 서로 어긋날 때 하측에서 상측으로 힘이 작용하여 상기 탄성부재(115)가 압축되어 상기 이동소켓(30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케이블 트레이(T)의 현장 시공시 케이블 트레이(T)의 설치 위치 등 설계가 변경되거나, 전력 케이블의 수가 증가하여 보다 큰 폭의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T)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시켜 행거(H)를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이동소켓(300)을 복수 개의 톱니(121,311)들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서 행거(H)가 고정될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력 공급이나 통신을 위해 건물의 천장슬래브(S) 하측에 행거(H)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양단부가 개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부에 T자 형상의 지지홈(11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양측의 지지편(120)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120)의 하측에 상기 이동소켓(300)이 이동하는 공간이 되는 레일홈(130)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레일홈(30)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40)이 요입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플랜지(150)가 연장 형성된 소켓 하우징(100)을 준비한다.
설치할 케이블 트레이(T)의 폭에 맞도록 소켓 하우징(100)의 내측에 이동소켓(300)을 삽입 설치하되, 도 2a와 같이 이동소켓(300)을 소켓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시키고, 이동소켓(300)의 상부에 구비된 T자 형상의 지지체(310)를 헤드부(315)가 지지편(120)에 지지되도록 지지홈(110)에 삽입하고, 이동소켓(300)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20)를 가이드홈(140)에 체결함으로써 이동소켓(300)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b와 같이 이동소켓(300)이 삽입 설치된 소켓 하우징(100)의 플랜지(150)를 고정부재로 거푸집(F) 위에 고정시킨 후, 소켓 하우징(100)의 양단부에 상기 단부캡(200)을 끼움 결합하여 양단부의 개방된 상태를 폐쇄한다.
다음에, 도 3a 및 도 3b와 같이 거푸집(F)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S)를 양생한 후 거푸집(F)을 제거한다.
이후, 행거(H)의 상단부를 상기 이동소켓(300)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소켓홈(330)에 나사 결합시키고, 행거(H)의 하단부를 케이블 트레이(T)의 지지부재(T3)에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지홈(110)의 상부 공간에 신축 가능한 탄성부재(115)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지지홈(110)의 하부 공간에 상기 지지체(310)의 헤드부(315)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추후, 케이블 트레이(T)의 설치 위치 등 설계가 변경되거나, 전력 케이블의 수가 증가하여 보다 큰 폭의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작업자는 이동소켓(300)에 체결된 행거(H)를 분리시킨 후, 외주면에 나사산이 있는 나사봉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봉의 하부에 핸들이 구비된 공구(A)를 이동소켓(300)의 내측에 임시로 체결한 채 핸들(A1)을 잡고 공구(A)를 이동시키면 이동소켓(300)이 레일홈(130)을 따라 이동한 다음 이동소켓(300)에 행거(H)를 재결합시킬 수 있고, 이로써 케이블 트레이(T)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시켜 행거(H)를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이동소켓(300)을 복수 개의 톱니(121,311)들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서 행거(H)가 고정될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케이블 트레이(T)에 횡설된 지지부재(T3)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하부 고정재(U1)와, 하부 고정재(U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 회전부(U2)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나사홈(220)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봉(U3)과, 나사봉(U3)의 하부와 결합된 상부 고정재(U4)와, 상부 고정재(U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단 회전부(U5)와, 하단 회전부(U2)와 상단 회전부(U5)를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봉(U6)으로 이루어진 완충장치(U)를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나사봉(U3)을 상기 단부캡(200) 하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판(210)의 나사홈(220)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공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은 케이블 트레이의 폭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를 변경시켜 행거를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소켓을 이동시켜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천장슬래브에 홈을 뚫을 필요가 없어 작업이 간편하고 분진 등 낙하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외부 충격 발생시 완충이 이루어져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A. 공구 A1. 핸들
F. 거푸집 H. 행거
S. 천장슬래브 T. 케이블 트레이
T1. 측면레일 T2. 횡부재
T3. 지지부재 U. 완충장치
U1. 하부 고정재 U2. 하단 회전부
U3. 나사봉 U4. 상부 고정재
U5. 상단 회전부 U6. 연결봉
100. 소켓 하우징 110. 지지홈
115. 탄성부재 120. 지지편
121. 톱니 130. 레일홈
140. 가이드홈 150. 플랜지
151. 플랜지홀 200. 단부캡
210. 연장판 220. 나사홈
300. 이동소켓 310. 지지체
311. 톱니 315. 헤드부
320. 가이드돌기 330. 소켓홈

Claims (7)

  1. 거푸집 위에 소켓 하우징을 고정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를 양생한 다음 거푸집 제거 후 이동소켓을 통해 결합된 행거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로서,
    하부 양측에 구비된 플랜지를 거푸집 위에 고정한 후 천장슬래브 하부에 설치되고 양단부가 개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부에 T자 형상의 지지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양측의 지지편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이격 형성되고, 지지편의 하측에 이동소켓이 이동하는 레일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레일홈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된 소켓 하우징;
    상기 소켓 하우징의 양단부에 결합하여 개방된 상태를 폐쇄하고, 타설되는 콘크리이트가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부캡; 및
    상기 소켓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에 지지편에 지지되는 헤드부를 갖는 T자 형상의 지지체가 형성되어 지지홈에 삽입되고, 양측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가이드홈에 체결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행거의 상단부가 체결되는 소켓홈이 형성된 이동소켓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의 상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각각 복수 개의 톱니들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로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의 상부에 신축 가능한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캡의 하부에 단부측으로 연장된 연장판이 형성되고 연장판에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케이블 트레이에 횡설된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하부 고정재와, 하부 고정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 회전부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나사홈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봉과, 나사봉의 하부와 결합된 상부 고정재와, 상부 고정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단 회전부와, 하단 회전부와 상단 회전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진 완충장치에 의하여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5. 전력 공급이나 통신을 위해 건물의 천장슬래브 하측에 행거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에 있어서,
    양단부가 개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부에 T자 형상의 지지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양측의 지지편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이격 형성되고, 지지편의 하측에 이동소켓이 이동하는 레일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레일홈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플랜지가 연장 형성된 소켓 하우징을 준비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의 내측에 이동소켓을 삽입 설치하되, 상기 이동소켓의 상부에 구비된 T자 형상의 지지체를 헤드부가 지지편에 지지되도록 지지홈에 삽입하고, 상기 이동소켓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상기 가이드홈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이동소켓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소켓 하우징의 플랜지를 고정부재로 거푸집 위에 고정시킨 후, 상기 소켓 하우징의 양단부에 단부캡을 결합하여 개방된 상태를 폐쇄하고,
    거푸집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여 천장슬래브를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고,
    행거의 상단부를 상기 이동소켓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소켓홈에 나사 결합시키고,
    행거의 하단부에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의 상부에 신축 가능한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케이블 트레이에 횡설된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하부 고정재와, 하부 고정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 회전부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나사홈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봉과, 나사봉의 하부와 결합된 상부 고정재와, 상부 고정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단 회전부와, 하단 회전부와 상단 회전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진 완충장치를 준비하고,
    상기 나사봉을 상기 단부캡의 하부에 연장 형성된 연장판의 나사홈에 나사 체결하여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
KR1020170059237A 2017-05-12 2017-05-12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 KR101775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37A KR101775329B1 (ko) 2017-05-12 2017-05-12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37A KR101775329B1 (ko) 2017-05-12 2017-05-12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329B1 true KR101775329B1 (ko) 2017-09-06

Family

ID=5992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237A KR101775329B1 (ko) 2017-05-12 2017-05-12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3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1490A (zh) * 2017-12-26 2018-04-13 数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移动充电桩群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880406B1 (ko) * 2017-12-26 2018-07-19 성시광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KR102267576B1 (ko) 2020-11-06 2021-06-21 주식회사코노바코리아 조명 설치용 레일들을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장치
KR102303992B1 (ko) * 2021-02-01 2021-09-27 (주)이룸이앤씨 케이블 트레이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143B1 (ko) 2006-07-25 2006-12-08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력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지지를 위한 시공방법
KR100761047B1 (ko) 2007-04-10 2007-09-21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1351359B1 (ko) 2013-03-04 2014-01-14 주식회사 린노 천장 매립형 라인 타입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143B1 (ko) 2006-07-25 2006-12-08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력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지지를 위한 시공방법
KR100761047B1 (ko) 2007-04-10 2007-09-21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
KR101351359B1 (ko) 2013-03-04 2014-01-14 주식회사 린노 천장 매립형 라인 타입 조명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1490A (zh) * 2017-12-26 2018-04-13 数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移动充电桩群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880406B1 (ko) * 2017-12-26 2018-07-19 성시광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CN107911490B (zh) * 2017-12-26 2023-12-05 数源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移动充电桩群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267576B1 (ko) 2020-11-06 2021-06-21 주식회사코노바코리아 조명 설치용 레일들을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장치
KR102303992B1 (ko) * 2021-02-01 2021-09-27 (주)이룸이앤씨 케이블 트레이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329B1 (ko)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을 위한 소켓 구조체 및 전력 케이블 트레이 시공 방법
KR101759163B1 (ko)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KR100915369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신축식 연결구조
KR200416740Y1 (ko) 가변형 케이블 트레이
KR101880406B1 (ko)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KR101547915B1 (ko)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KR20190002905U (ko) 건물 난간용 로프 설치 장치
KR102072484B1 (ko) 천장패널용 행거 내진 장치의 설치 방법
KR100655143B1 (ko) 전력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지지를 위한 시공방법
KR101544599B1 (ko) 레일 구조를 이용한 끼움 설치식 볼트
KR101527564B1 (ko)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KR101752828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전기케이블 트레이 고정대
KR101285865B1 (ko) 이중바닥판 어셈블리
KR20190068290A (ko) 진동흡수용 천정석고보드 프레임 구조체
JP6542315B2 (ja) レール状部材
KR101341618B1 (ko) 거푸집장치
KR101571326B1 (ko) 확장형 가이드 장치
JP2006274670A (ja) 仮柱構造、仮柱付き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の施工方法
KR102374490B1 (ko)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
JP4158974B2 (ja) 養生器具
WO2019064513A1 (ja) エレベータ用ピット梯子装置、及びエレベータ用乗場ドア装置
CN217898622U (zh) 一种汽车屏加工减震平台
JP2003147957A (ja) 作業用足場
KR101156801B1 (ko) 천정 점검구
KR10248292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