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490B1 -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490B1
KR102374490B1 KR1020210079641A KR20210079641A KR102374490B1 KR 102374490 B1 KR102374490 B1 KR 102374490B1 KR 1020210079641 A KR1020210079641 A KR 1020210079641A KR 20210079641 A KR20210079641 A KR 20210079641A KR 102374490 B1 KR102374490 B1 KR 102374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longitudinal direction
groove
holding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오
Original Assignee
노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진오 filed Critical 노진오
Priority to KR1020210079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공사시 내부에서 통행하는 작업자의 추락 등의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계단, 창틀 등에 폭, 간격 등 다양한 규격에 맞춰 편리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Easy-to-install safety structure for construction work}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공사시 내부에서 통행하는 작업자의 추락 등의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계단, 창틀 등에 폭, 간격 등 다양한 규격에 맞춰 편리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등의 다층 구조의 건축물을 건설하는 건설현장에는 작업자의 안정적인 통행 및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외벽 및 상부에 비계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가 타설된 건축물의 내부에는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계단 및 창틀 등에 임시난간을 설치한다.
그리고 임시로 형성된 난간은 건설이 완성되면 철거하고 본래의 난간, 휀스 등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계단 및 창호 등이 서로 다른 길이, 폭 높이 등의 규격으로 이루어져, 공사현장에 규격에 맞게 설치해야 하므로 다른 건설현장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각 건설현장에 맞춰 제작, 설치하기 위해 공정이 길어지고 설치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는 자재를 운반, 설치작업이 부가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임시로 설치하기 위해 시공시간이 증가하고, 안전을 위해 점검 등이 선행됨에 따라 많은 작업시간이 투자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단의 상,하부에 설치된 난간바에 밴드를 이용하여 난간대를 설치함으로써 난간바 사이에 안전을 위한 난간대를 밴드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및 분리가 쉽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제작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계단의 상,하부에 설치된 난간바에 밴드를 이용하여 난간대를 설치함으로써 난간바 사이에 안전을 위한 난간대를 밴드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및 분리가 쉽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제작 및 설치비용이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규격으로 설계된 공사현장에 맞춰 간격 및 폭 등의 규격에 맞게 설치하기 어려운 구성을 하고 있으며, 공사현장에서 안전을 위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고 있으나, 계단에만 설치되는 한정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다양하게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난간에 체결구를 통해 밴드를 쉽게 설치 및 분리가 쉽게 구성되어 있으나, 난간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함에 작업자의 충돌시 충격 및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선행되는 작업이 복잡하여 작업시간이 증가하고 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9666호(2019.07.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현장에서 건축물의 건설 시,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추락, 낙하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환경에 맞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공구 없이 바닥면, 천장면 등에 밀착시 발생되는 가압력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이 간편하며, 간편하게 해제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재사용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러스트 등의 경량화 및 견고한 구조를 통해 외부 충격 및 하중을 지지하며, 휨, 변형 등을 방지하는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되는 건축의 내부 바닥면과 천장면의 높이에 맞춰, 길이를 조절하여 수직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부가 형성된 지주부; 상기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간격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며, 양끝단에는 양측에 위치한 상기 삽입부에 체결되어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의 길이방햐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부는, 일측끝단에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밀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지주바와, 상기 제1지주바의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길이방향 이동을 통해 간격을 조절하며, 타측끝단이 상기 바닥면 또는 상기 천장면에 밀착되는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제2지주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지주바 및 상기 제2지주바의 끝단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측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제1절개홈과 중앙에 제1관통홈이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절개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부분이 상기 제1몸체의 외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천장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제1관통홈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이 상기 제1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바닥면 및 천장면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일측이 상기 제1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이동을 통해 상기 제1고정판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제1판이 형성된 제1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주바의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된 상기 제2지주바를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지주바의 타측 끝단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지주바에 삽입된 상기 제2지주바를 고정하는 스토퍼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일측끝단에 상기 체결부가 형성되며, 타측단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연결바와, 상기 제1연결바의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이동을 통해 간격을 조절하며, 타측 끝단에 상기 체결부가 형성된 제2연결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의 내부에 길이방향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의 양측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의 양측끝단으로 노출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와이어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 끝단에 유니버셜조인트를 통해 회전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제2절개홈과 중앙에 제2관통홈이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제2절개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타측이 상기 제2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고정판과, 상기 제2관통홈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단이 상기 제2몸체의 타측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삽입부의 내면에 밀착되고 일측이 상기 제2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이동을 통해 상기 제2고정판을 고정하는 제2가압판이 형성된 가압부재와, 상기 제2몸체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고정판의 일측부분을 눌러 타측이 돌출되도록 상기 제2절개홈에 배치된 누름돌기가 형성된 누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 건축물의 건설 시, 계단, 난간 및 창틀 등의 추락, 낙하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부 및 연결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건축물의 설계, 공간 및 위치 등 다양한 환경에 맞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공구 및 고정구조 없이 고정부 및 체결부가 바작면, 천장면 및 삽입부에 밀착시 발생되는 가압력을 통해 견고하며, 간편하게 고정가능하며, 손쉽게 해제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의 내부에 트러스트 등의 경량화 및 견고한 보강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외부 충격, 하중 등을 지지하며, 휨, 변형 등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높낮이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높낮이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공사시 내부에서 통행하는 작업자의 추락 등의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계단, 창틀 등에 폭, 간격 등 다양한 규격에 맞춰 편리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지주부(100)와, 연결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부(100)는 건설되는 건축의 내부 바닥면과 천장면의 높이에 맞춰, 길이를 조절하여 수직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지주부(100)와 상기 지주부(100)의 간격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며, 양끝단에는 양측에 위치한 상기 삽입부(110)에 체결되어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체결부(210)가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주부(100)를 바닥면과 천장면 사이에 수직으로 다수개 배치한 후, 상기 지주부(100)와 상기 지주부(100) 사이에 연결부(20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지주부(100)는 건설 중인 건축물의 내부에서 계단, 창틀 등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00)를 상기 지주부(100) 사이에 다수개 배치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부(100) 및 상기 연결부(200)는 추락사고 이외에, 건축물 내부를 구획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지주부(100)는 바닥면 및 천장면에 간편하게 설치한 후, 상기 연결부(200)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지주부(100)는 길이조절을 통해 바닥면과 천장면에 양측끝단이 고정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제1지주바(101)와 제2지주바(1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주바(101)는 일측끝단에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밀착되는 고정부(120)가 형성되며,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홈(103)이 형성된다.
상기 제2지주바(102)는 상기 제1지주바(101)의 상기 제1가이드홈(103)에 삽입되어 길이방향 이동을 통해 간격을 조절하며, 타측끝단이 상기 바닥면 또는 상기 천장면에 밀착되는 상기 고정부(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주바(10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가이드홈(103)에 상기 제2지주바(102)가 삽입되어 길이방향 이동을 통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10)는 상기 연결부(200)가 결합되되, 상기 제1지주바(101) 및 상기 제2지주바(102)의 길이방향 이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주바(101)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형상을 통해 상기 연결부(200)가 삽입 체결되며, 상기 제2지주바(102)는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된 다수개의 홈 형상을 통해 상기 연결부(200)가 삽입체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지주바(102)는 상기 제1지주바(101)의 상기 제1가이드홈(103)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며, 돌기 및 홈 형상의 상기 삽입부(110)를 통해 상기 연결부(200)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주바(101) 및 상기 제2지주바(102)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고정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천장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120)는 제1몸체(130), 제1고정판(140), 제1가압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130)는 상기 제1지주바(101) 및 상기 제2지주바(102)의 끝단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측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제1절개홈(131)과 중앙에 제1관통홈(1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몸체(130)는 상기 제1지주바(101)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30)는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제1지주바(101) 및 상기 제2지주바(102)에 축, 힌지 방식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몸체(130)는 상기 제1지주바(101) 및 상기 제2지주바(102)의 양측끝단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판(140)은 상기 제1절개홈(13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몸체(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부분이 상기 제1몸체(130)의 외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천장면에 밀착되다.
이러한 상기 제1고정판(140)은 상기 바닥면과 상기 천장에 밀착되는 고정부분과 상기 제1몸체(13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회동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고정판(140)은 상기 힌지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몸체(130)를 상기 바닥면 또는 상기 천장면에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 절곡된 " "단면형상의 판재, 관체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압부재(150)는 상기 제1관통홈(132)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이 상기 제1몸체(130)의 외부로 노출되어 바닥면 및 천장면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일측이 상기 제1몸체(130)의 내부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이동을 통해 상기 제1고정판(140)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가압판(1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가압부재(150)는 상기 제1관통홈(132)에 체결되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천장면에 밀착시 상기 제1몸체(130)의 내부로 이동한다.
즉, 상기 밀착판(151)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천장면과 밀착시 상기 제1몸체(130)의 타측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가압판(152)이 상기 제1고정판(140)의 일측부분을 가압하여 회동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지주부(100)의 양측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후,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천장면과 밀착시 상기 밀착판(151)이 상기 제1몸체(130)의 타측부분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1가압판(152)을 통해 상기 제1고정판(140)을 회동시킨다.
이렇게 회전된 상기 제1고정판(140)은 상기 제1몸체(130)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가 상기 바닥면 및 천장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몸체(130)를 간편한 방법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주부는 별도의 장비, 결합구성 없이 간편한 동작을 통해 상기 지주부를 상기 바닥면과 상기 천장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주바(101)의 상기 제1가이드홈(103)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103)에 삽입된 상기 제2지주바(102)를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160)와, 상기 제1지주바(101)의 타측 끝단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지주바(101)에 삽입된 상기 제2지주바(102)를 고정하는 스토퍼부(161)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160)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103)에 삽입되어 상기 제2지주바(102)가 외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지주바(102)는 상기 탄성부재(160)를 통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원활한 길이 확장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161)는 상기 제1지주바(101) 타측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지주바(102)를 고정하여 상기 탄성부재(160)를 통해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부(161)는 회전운동을 통해 끝단이 상기 제2지주바(102)의 타측끝단을 고정 및 해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지주바(102)에의 타측끝단부분에는 상기 스토퍼부(161)의 끝단이 고정될 수 있는 홈 또는 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스토퍼부(161)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2지주바(102)가 상기 탄성부재(160)를 통해 상기 제1지주바(101)에서 손쉽게 인출되어 탄성력에 의해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밀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지주부(100)와 상기 지주부(100) 사이에 수평 또는 일정각도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길이조절을 통해 양측단이 상기 삽입부(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200)는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삽입부(110)에 체결할 수 있도록 제1연결바(201) 및 제2연결바(2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바(201)는 일측끝단에 상기 체결부(210)가 형성되며, 타측단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홈(203)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바(202)는 상기 제1연결바(201)의 상기 제2가이드홈(203)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이동을 통해 간격을 조절하며, 타측 끝단에 상기 체결부(2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바(201)에 상기 제2연결바(202)를 삽입하여 길이방향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바(201, 202)는 상기 제1 및 제2 지주바(101, 102)와 동일한 방식을 통해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200)와 상기 삽입부(11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바(201) 및 상기 제2연결바(202)의 내부에 길이방향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보강부재(260)와, 상기 보강부재(260)의 양측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200)의 양측끝단으로 노출되어 상기 보강부재(260)의 위치를 조절하는 와이어(261)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보강부재(260)는 상기 제2연결바(202)의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 이동가능한 직경을 가지며, 트러스트 구조 등을 통해 경량으로 이루어지되, 충격, 하중에 의한 상기 연결부의 휨, 절곡 등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260)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바(201, 202)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이루어져, 확장 및 축소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261)는 상기 보강부재(26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200)의 양측면으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261)를 조절하여 상기 보강부재(260)의 위치를 조절하며, 특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261)는 상기 연결부(200)가 상기 지주부(100)에 설치 시, 상기 삽입부(110)의 내부에 보관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삽입부(110)를 통해 외부로 노출시켜 설치 후 상기 보강부재(2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210)는 상기 연결부(200)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 고정되도록 제2몸체(220), 제2고정판(230), 제2가압부재(240) 및 누름부재(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몸체(220)는 상기 연결부(200)의 양측 끝단에 유니버셜조인트(211)를 통해 회전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제2절개홈과 중앙에 제2관통홈(2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몸체(220)는 상기 제1몸체(130)와 같이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200)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220)의 일측단은 상기 유니버셜조인트(211)를 통해 상기 연결부(200)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절개홈(221)은 상기 제2몸체(220)의 타측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판(230)이 노출된다.
상기 제2고정판(230)은 상기 제2절개홈(221)에 삽입되어, 상기 제2몸체(2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타측이 상기 제2몸체(2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판(230)은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2몸체(220)에 결합되어, 회동을 통해 타측이 상기 제2몸체(2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판(230)은 상기 제2몸체(220)가 상기 삽입부(110) 시, 상기 삽입부(1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가압부재(240)는 상기 제2관통홈(222)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단이 상기 제2몸체(220)의 타측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삽입부(110)의 내면에 밀착되고 일측이 상기 제2몸체(220)의 내부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이동을 통해 상기 제2고정판(230)을 고정하는 제2가압판(24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가압부재(240)는 상기 제2관통홈(222)에 삽입되어 상기 제2몸체(220)의 내부 및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몸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몸체(22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고정판(230)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가압판(2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가압부재(240)는 일측이 상기 제2몸체(220)의 외부로 노출 시, 상기 제2가압판(241)에 의해 상기 제2고정판(230)의 타측단을 고정하여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2가압부재(240)의 일측이 상기 삽입부(110)에 밀착되어 상기 제2몸체(220) 내부로 이동시 상기 제2가압판(241)이 상기 제2고정판ㅍ과 이탈되어 상기 제2고정판(230)이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제2고정판(230)은 상기 제2가압부재(240)에 의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압판(241)과 상기 제2몸체(220)의 일측내면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을 배치하여, 상기 제2가압부재(240)의 일측이 상기 제2몸체(220)의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2몸체(220)가 상기 삽입부(110)에서 이탈시 상기 제2가압판(241)을 통해 상기 제2고정판(230)이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누름부재(250)는 상기 제2몸체(220)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고정판(230)의 일측부분을 눌러 타측이 돌출되도록 상기 제2절개홈(221)에 배치된 누름돌기(25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재(250)는 상기 제2절개홈(22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몸체(220)의 외주면에 회전 또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누름돌기(251)는 상기 누름부재(25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절개홈(221)에 삽입되어 상기 제2고정판(230)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누름부재(250)의 회전시, 상기 제2절개홈(221)의 일측단은 측방향으로 절개된 "ㄱ"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누름돌기(251)는 상기 제2절개홈(221)의 내부에서 상기 제2몸체(220)의 둘레를 따라 회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250)의 길이방향 이동시, 상기 누름돌기(251)는 상기 제2절개홈(221)의 중단에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고정판(230)의 일측을 가압한다.
이와 같이 상기 누름부재(250)는 상기 제2몸체(220)가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 후, 개별적으로 회동 또는 이동시켜 상기 제2고정판(230)을 통해 상기 제2몸체(22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누름부재(250)의 내주면에는 이탈돌기(252)가 부가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탈돌기(252)는 상기 누름돌기(25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돌기(251)가 상기 제2고정판(230)에서 이탈시, 상기 제2고정판(230)의 하단부분을 눌러 상기 제2고정판(230)의 타측이 상기 제2몸체(22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탈돌기(252)는 상기 제2고정판(230)의 초기상태로 위치할 수 있도록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에 이격시며, 상기 제2가압부재(240)를 통해 상기 제2고정판(230)을 용이하게 고정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지주부(100)는 건설되는 건축물의 계단, 창틀 등과 같이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한다.
여기서 건축물 내부의 구획하거나, 위험구역, 편의를 위해 부가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지주부(100)는 상기 제1지주바(101)에 상기 제2지주바(102)를 삽입 후, 상기 바닥면과 상기 천장면에 수직으로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2지주바(102)는 상기 탄성부재(160) 또는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바닥면과 상기 천장면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부(161)를 통해 상호 고정된 상기 제1지주바(101)와 상기 제2지주바(102)를 이격시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주부(100)의 양측단에는 고정부(120)를 설치하여 상기 지주부(100)가 안정적으로 바닥면 및 천장면에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천장면에 밀착시 상기 제1가압부재(150)가 상기 제1몸체(1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판(140)을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지주부(100)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경사진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천장면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지주부(100)는 건축물의 내부에 다수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지주부(100)와 상기 지주부(100) 사이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추락 및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바(202)가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지주바에 안정적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즉, 상기 연결부(200)의 길이 조절시, 상기 체결부(210)가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210)는 상기 연결부(200)와 상기 유니버셜조인트(211)를 통해 연결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여 상기 지주부(100)와 상기 지주부(100) 사이에 용이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210)는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 시, 상기 제2고정판(230)을 통해 가압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체결부(210)는 상기 제1지주바(101)의 경우 돌출된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되고, 상기 제2지주바(102)의 경우 함몰된 상기 삽입부(110)에 삽입되되, 이에 맞춰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200)의 내부에는 선택적으로 보강부재(260)를 삽입 후, 위치조절을 통해 충격, 하중 등에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휨, 변형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작업자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된 상기 지주부(100) 및 상기 연결부(200)는 역순으로 손쉽게 해제 및 보관이 용이하다.
이를 통해 상기 지주부(100) 및 상기 연결부(200)를 통해 건축물의 내부의 평면, 경사면 및 계단면 등의 다양한 환경에 맞춰 필요한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체결구조 및 도구 없이 간편한 방식을 통해 작업시간을 단축하며, 다양한 공사현장에 적용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를 안정적으로 지탱하여 추락 및 낙하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지주부 101: 제1지주바 102: 제2지주바
103: 제1가이드홈
110: 삽입부
120: 고정부 130: 제1몸체
131: 제1절개홈 132: 제1관통홈
140: 제1고정판 150: 제1가압부재
151: 밀착판 152: 제1가압판
160 탄성부재 161: 스토퍼부
200: 연결부 201: 제1연결바 202: 제2연결바
203: 제2가이드홈
210: 체결부 211: 유니버셜조인트
220: 제2몸체 221: 제2절개홈
222: 제2관통홈 230: 제2고정판
240: 제2가압부재 241: 제2가압판
250: 누름부재 251: 누름돌기
252: 이탈돌기
260: 보강부재 261: 와이어

Claims (7)

  1. 건설되는 건축의 내부 바닥면과 천장면의 높이에 맞춰, 길이를 조절하여 수직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부(110)가 형성된 지주부(100);
    상기 지주부(100)와 상기 지주부(100)의 간격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며, 양끝단에는 양측에 위치한 상기 삽입부(110)에 체결되어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체결부(210)가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연결부(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주부(100)는,
    일측끝단에 바닥면 또는 천장면에 밀착되는 고정부(120)가 형성되며,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홈(103)이 형성된 제1지주바(101)와,
    상기 제1지주바(101)의 상기 제1가이드홈(103)에 삽입되어 길이방향 이동을 통해 간격을 조절하며, 타측끝단이 상기 바닥면 또는 상기 천장면에 밀착되는 상기 고정부가 형성된 제2지주바(102)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제1지주바(101) 및 상기 제2지주바(102)의 끝단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측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제1절개홈(131)과 중앙에 제1관통홈(132)이 형성된 제1몸체(130)와,
    상기 제1절개홈(13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몸체(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부분이 상기 제1몸체(130)의 외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천장면에 밀착되는 제1고정판(140)과,
    상기 제1관통홈(132)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이 상기 제1몸체(130)의 외부로 노출되어 바닥면 및 천장면에 밀착되는 밀착판(151)과, 일측이 상기 제1몸체(130)의 내부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이동을 통해 상기 제1고정판(140)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가압판(152)이 형성된 제1가압부재(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주바(101)의 상기 제1가이드홈(103)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103)에 삽입된 상기 제2지주바(102)를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160)와,
    상기 제1지주바(101)의 타측 끝단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지주바(101)에 삽입된 상기 제2지주바(102)를 고정하는 스토퍼부(16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0)는,
    일측끝단에 상기 체결부(210)가 형성되며, 타측단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연결바(201)와,
    상기 제1연결바(201)의 상기 제2가이드홈(203)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이동을 통해 간격을 조절하며, 타측 끝단에 상기 체결부(210)가 형성된 제2연결바(20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201) 및 상기 제2연결바(202)의 내부에 길이방향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보강부재(260)와,
    상기 보강부재(260)의 양측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200)의 양측끝단으로 노출되어 상기 보강부재(260)의 위치를 조절하는 와이어(261)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10)는,
    상기 연결부(200)의 양측 끝단에 유니버셜조인트(211)를 통해 회전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제2절개홈(221)과 중앙에 제2관통홈(222)이 형성된 제2몸체(220)와,
    상기 제2절개홈(221)에 삽입되어, 상기 제2몸체(2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타측이 상기 제2몸체(2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고정판(230)과,
    상기 제2관통홈(222)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일측단이 상기 제2몸체(220)의 타측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삽입부(110)의 내면에 밀착되고 일측이 상기 제2몸체(220)의 내부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이동을 통해 상기 제2고정판(230)을 고정하는 제2가압판(241)이 형성된 제2가압부재(240)와,
    상기 제2몸체(220)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고정판(230)의 일측부분을 눌러 타측이 돌출되도록 상기 제2절개홈(221)에 배치된 누름돌기(251)가 형성된 누름부재(2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


KR1020210079641A 2021-06-18 2021-06-18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 KR102374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41A KR102374490B1 (ko) 2021-06-18 2021-06-18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41A KR102374490B1 (ko) 2021-06-18 2021-06-18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490B1 true KR102374490B1 (ko) 2022-03-14

Family

ID=8082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641A KR102374490B1 (ko) 2021-06-18 2021-06-18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4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97B1 (ko) * 2005-11-16 2006-03-10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난간
KR20070057106A (ko) * 2007-05-08 2007-06-04 정윤진 조립식 펜스
KR200489666Y1 (ko) 2017-05-10 2019-07-19 최정화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
JP2019534959A (ja) * 2016-09-16 2019-12-05 ディバ インベストメンツ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アズ トラスティー フォー ハンドレイル ホールディング トラストDiva Investments Pty Ltd Astrustee For Handrail Holding Trust 安全レール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97B1 (ko) * 2005-11-16 2006-03-10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난간
KR20070057106A (ko) * 2007-05-08 2007-06-04 정윤진 조립식 펜스
JP2019534959A (ja) * 2016-09-16 2019-12-05 ディバ インベストメンツ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アズ トラスティー フォー ハンドレイル ホールディング トラストDiva Investments Pty Ltd Astrustee For Handrail Holding Trust 安全レールシステム
KR200489666Y1 (ko) 2017-05-10 2019-07-19 최정화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9301A1 (en) Architectual climbing system with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KR20190114731A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1243178B1 (ko) 복합 공정 및 안전 확보를 위한 비계 설치 장치
JP2021529275A (ja) 建築用システム足場
KR102374490B1 (ko) 설치가 용이한 건설공사용 안전 구조물
KR102041392B1 (ko) 슬라브패널 드롭시공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JP5645334B2 (ja) 構造物解体システム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102420849B1 (ko)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KR20060095220A (ko) 방망 설치장치 및 그 방법
KR101253030B1 (ko)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KR200300595Y1 (ko) 안전발판장치
KR20000018037A (ko) 현수 거푸집공법
KR101134360B1 (ko)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KR200251745Y1 (ko) 수평 방호망 장치
KR200182858Y1 (ko)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20240008519A (ko) 건축용 슬래브 패널 조립체
KR200459397Y1 (ko) 갱 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지지브라켓 구조
JP2013129961A (ja) 鉄骨階段の仮止め固定方法と、鉄骨階段支持用のパイプサポート
KR102433546B1 (ko) 슬라브 판넬 지지장치
KR102259942B1 (ko)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KR102374870B1 (ko) 보조수직재 결합형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
KR102262313B1 (ko) 접철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케이지의 지지대
KR102066636B1 (ko)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