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915B1 -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915B1
KR101547915B1 KR1020140015295A KR20140015295A KR101547915B1 KR 101547915 B1 KR101547915 B1 KR 101547915B1 KR 1020140015295 A KR1020140015295 A KR 1020140015295A KR 20140015295 A KR20140015295 A KR 20140015295A KR 101547915 B1 KR101547915 B1 KR 101547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steel structure
clamp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247A (ko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주)상록산업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록산업안전 filed Critical (주)상록산업안전
Priority to KR1020140015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9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5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profiles, e.g. I or H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지지대상물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지지대상물의 일측이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지대상물의 일측에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접촉되며, 상기 지지대상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상기 지지대상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대상물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대상물을 고정하는 클램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골구조물용 클램프{Clamp for steel frame structure}
본 발명은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골구조물의 도장면이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철골구조물에 지지되는 지지력이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하여 철골구조물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축물 또는 교량등과 같은 높은 높이의 건출물의 경우 최하부에 전달되는 하중이 크기 때문에 수지기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기둥과, 그 기둥을 연결하는 큰 빔으로서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철골구조물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철골구조물을 시공할 때 큰 빔 사이의 작은 빔으로 구획되는 공간에 바닥 구조부가 완전히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층의 시설물 공사를 수행하거나, 교량 시공 중 복수개의 스틸박스를 상호 이격되게 설치한 후 스틸박스 상부에 슬리브 공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고소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와, 고소 작업시에 공구나 기타 부속물 등이 낙하되어 안전사고로 직결되는 등의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고층 건축물 시공시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철골구조의 외부에 안전망의 가설이 요구되었다.
종래의 안전망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에 철골구조물을 설치한 후 철골구조물의 일측에 결속클램프를 볼트로 고정하고, 설치위치로 안전망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결속띠로 안전망을 결속클램프에 묶어서 결속하며, 복수의 안전망을 상호 연결하여 가설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망 가설 방법은 작업자가 손수 결속끈으로 안전망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견고한 상태로서 유지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가설 및 해체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고 그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경향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철골구조물용 클램프가 제안된 바 있다.
도1은 종래의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철골구조물용 클램프(100)는 일측에 삽입홈(111)이 형성되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저면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삽입홈(111)에 삽입되는 철골구조물의 일측을 지지하는 볼트부재(120) 및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클램프유닛(1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철골구조물용 클램프(100)를 교량에 적용하여 그 동작을 살펴보면, 본체(110)의 삽입홈(111)에 철골구조물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부재(120)를 회전하여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가압부재의 상단부 및 본체(110)의 내면 일측이 철골구조물의 일측을 가압하도록 하여 본체(110)를 철골구조물의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클램프유닛(130)에 지지파이프 또는 지지와이어를 연결한 후 지지파이프 및 지지와이어에 안전망을 연결하는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개의 안전망을 가설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철골구조물용 클램프(100)는 볼트부재(120)를 이용하여 본체(110)를 철골구조물의 일측에 지지하게 되면서 안전망을 지지하기에는 그 지지력이 현저하게 낮을 뿐 아니라 교량의 스틸박스와 같이 철골구조물의 외면에 도장처리가 된 경우 볼트부재(120)에 의해 철골구조물의 도장면이 탈거되거나 박리되는 등 철골구조물의 도장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골구조물의 도장면이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철골구조물에 지지되는 지지력이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하여 철골구조물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철골구조물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대상물을 2단계로 가압하여 지지대상물에 고정되는 고정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철골구조물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지지대상물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지지대상물의 일측이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지대상물의 일측에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접촉되며, 상기 지지대상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상기 지지대상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대상물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대상물을 고정하는 클램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수단은 장공이 형성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이동블럭 및 일단부가 상기 상하이동블럭의 일측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상물에 지지되는 타단부에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확장부가 형성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용 클램프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유닛은 상단부가 상기 본체의 저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대상물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상물이 지지되는 상기 본체의 일측과, 상기 지지대상물의 일측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면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연질의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는 타단부 중 상기 가압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주를 따라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수단이 지지대상물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지지부재 및 본체의 내면을 통해 지지대상물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철골구조물의 도장면이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철골구조물에 지지되는 지지력이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하여 철골구조물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압수단을 통해 지지대상물을 1차 가압한 후 지지부재의 확장부를 통해 지지대상물을 2차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대상물을 2단계로 가압하여 지지대상물에 고정되는 고정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의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지지대상물의 일측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지지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지지대상물을 2차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용 클램프(1)는 본체(10)와, 지지부재(20)와, 완충부재(30)와, 가압수단(40) 및 클램프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일측에 삽입홈(11)이 형성되어 대략 "ㄷ"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지지부재(20)와 함께 철골구조물의 일측에 지지되어 후술하는 클램프유닛(50)이 철골구조물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체(10)는 외면 일측에 후술하는 지지부재(20)가 통과하는 장공(13)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20)가 장공(1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지지부재(20)가 안정적으로 상하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20)는 일측이 장공(13)을 통과하여 삽입홈(11) 내에 배치되는 지지몸체(21)와, 지지몸체(21)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리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압수단(4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철골구조물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본체(10)가 철골구조물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지지몸체(21)는 대략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넓은 면적으로 철골구조물의 일측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몸체(21)의 양측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고리부(22)를 결합함으로써 작업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결속와이어의 결속영역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완충부재(30)는 본체(10)의 내면 중 철골구조물과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제1 완충부(31)와, 지지몸체(21)의 외면 중 철골구조물과 대응되는 영역에 결합되는 제2 완충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완충부재(30)는 지지부재(20) 및 본체(10)의 내면이 후술하는 가압수단(40)에 의해 철골구조물의 일측을 가압하는 경우 지지부재(20) 및 본체(10)의 내면이 철골구조물에 직접 접촉되어 지지부재(20) 및 본체(10)의 내면에 의해 도장면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완충부재(30)는 마찰력이 높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바 지지부재(20) 및 본체(10)의 내면이 철골구조물의 일측에 지지된 경우 그 지지위치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수단(40)은 본체(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하단부가 지지부재(20)의 상면 일측에 지지되며,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지지부재(20)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지지부재(20) 및 본체(10)의 내면 일측이 철골구조물의 일측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은 가압수단(40)으로 볼트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클램프유닛(50)은 상단부가 본체(10)의 저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51)와, 연결부재(5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정대상물, 교량을 일예로 들면 안전망을 지지하는 지지관체 또는 결속와이어의 일측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재(51)는 대략 막대형상의 나사봉으로 형성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단부가 본체(10)의 전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고정부재(52)를 본체(10)에 연결함과 아울러 고정부재(52)의 위치를 상하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재(52)는 제1 고정몸체(52a)와, 제1 고정몸체(52a)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고정몸체(52b) 및 제1 고정몸체(52a)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부재(52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지지관체 또는 결속와이어에 결합되어 이를 파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은 고정부재(52)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지지대상물의 일측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수단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지지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용 클램프(1)유닛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의 삽입홈(11)에 철골구조물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본체(10)를 배치하되, 이때 삽입홈(11)에 배치된 철골구조물의 일측이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0)의 하부와 본체(10)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 가압부재를 회전함에 따라 가압부재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동된 가압부재의 하단부가 지지부재(20)의 상면을 가압하며, 가압부재의 의해 가압된 지지부재(20)는 하방으로 이동되어 철골구조물의 일측을 가압한다.
이에, 지지부재(20)와, 본체(10)의 내면 일측이 철골구조물의 일측을 강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서 본체(10)가 철골구조물의 일측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체(10)가 철골구조물의 일측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부재(52)를 지지관체의 외면 일측에 결속하여 지지관체를 고정하고, 고정부재(52)에 의해 고정된 지지관체의 일측에 안전망을 연결하는데, 복수의 안전망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 가설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용 클램프의 단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지지대상물을 2차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 내지 도9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3 내지 도7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지지대상물을 2단계로 가압하여 보다 큰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8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지지부재(20')가 상하이동블럭(21')과, 지지몸체(22') 및 고리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하이동블럭(21')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공(13)이 형성된 본체(1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후술하는 지지몸체(22')의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하이동블럭(21')은 지지몸체(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사공(21'a)을 제공하여 지지몸체(22')가 회전하는 경우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몸체(22')는 대략 원통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봉체(22'a)와, 봉체(22'a)의 타단부에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는 확장부(22'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압수단(40)에 의해 지지대상물을 가압하되, 가압수단(40)이 일측에 지지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대상물을 2차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봉체(22'a)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단부가 상하이동블럭(21')의 나사공(21'a)에 나사결합되어 상하이동블럭(21')이 상하이동되는 경우 상하방향으로 동반이동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회전력이 제공되는 경우 회전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확장부(22'b)가 길이방향으로 동반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확장부(22'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체(22'a)의 타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외면 일측에 가압수단(40)이 지지된 상태에서 일방향, 즉 봉체(22'a)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확장되는 직경에 의해 지지대상물을 2차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고리부(23')는 봉체(22'a)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전 실시예와 같이 작업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결속와이어의 결속영역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확장부(22'b)는 외면 중 가압수단(40)이 지지되는 일측에 외주를 따라 나선홈(22'ba)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경우 가압수단(40)이 나선홈(22'ba)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구조물용 클램프(1)의 동작을 첨부된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 실시예와 같이 가압수단(40)을 회전하여 가압수단(40)의 하단부가 지지부재(20')의 외면 일측을 가압함에 따라 지지부재(20')가 삽입홈에 삽입된 지지대상물의 일측을 1차 가압하도록 한다.
이후,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지지몸체(22')가 회전하면서 봉체(22'a)의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봉체(22'a)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확장부(22'b) 또한 동반 이동된다.
이때, 확장부(22'b)가 봉체(22'a)와 동반이동됨에 따라 가압수단(40)과 대응되는 일측의 직경이 확장되는데,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확장된 직경에 의해 지지대상물을 보다 큰 힘으로 2차 가압하게 되면서 지지대상물에 고정되는 고정력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10 : 본체
11 : 삽입홈 12 : 수용공간
13 : 장공 20 : 지지부재
21 : 지지몸체 22 : 고리부
30 : 완충부재 31 : 제1 완충부
32 : 제2 완충부 40 : 가압수단
50 : 클램프유닛 51 : 연결부재
52 : 고정부재 52a : 제1 고정몸체
52b : 제2 고정몸체 52c : 잠금부재
20' : 지지부재 21' : 상하이동블럭
21'a : 나사공 22' : 지지몸체
22'a : 봉체 22'b : 확장부
23' : 고리부

Claims (5)

  1. 일측에 지지대상물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지지대상물의 일측이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지대상물의 일측에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접촉되며, 상기 지지대상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상기 지지대상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대상물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대상물을 고정하는 클램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수단은
    장공이 형성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이동블럭; 및
    일단부가 상기 상하이동블럭의 일측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상물에 지지되는 타단부에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확장부가 형성되는 지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유닛은
    상단부가 상기 본체의 저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대상물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상물이 지지되는 상기 본체의 일측과, 상기 지지대상물의 일측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면 일측에 각각 형성되는 연질의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는 타단부 중 상기 가압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주를 따라 나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KR1020140015295A 2014-02-11 2014-02-11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KR10154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95A KR101547915B1 (ko) 2014-02-11 2014-02-11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95A KR101547915B1 (ko) 2014-02-11 2014-02-11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47A KR20150094247A (ko) 2015-08-19
KR101547915B1 true KR101547915B1 (ko) 2015-08-27

Family

ID=5405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295A KR101547915B1 (ko) 2014-02-11 2014-02-11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9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879B1 (ko) * 2016-06-03 2016-12-13 김기영 관부재 고정장치
KR102642929B1 (ko) * 2023-05-09 2024-03-14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879Y1 (ko) * 2015-12-24 2017-07-0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아치형 터널의 작업자 안전장치
CN108843011A (zh) * 2018-08-28 2018-11-20 广州云奇科技有限公司 键槽式脚手架组合连接固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3741A (ja) * 2006-09-05 2008-03-21 Nippon Tetsupan Kk 足場用吊り具及びこれを用いた吊り足場構築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3741A (ja) * 2006-09-05 2008-03-21 Nippon Tetsupan Kk 足場用吊り具及びこれを用いた吊り足場構築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879B1 (ko) * 2016-06-03 2016-12-13 김기영 관부재 고정장치
KR102642929B1 (ko) * 2023-05-09 2024-03-14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47A (ko)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915B1 (ko)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KR101760680B1 (ko) 내진 보강 장치
US9593505B2 (en) Self-centering braced frame for seismic resistance in buildings
KR101458973B1 (ko) 강선지지구, 강선 긴장용 유압잭 및 유압잭을 이용한 휨 부재 가변지주 공법
US20190047139A1 (en) Support rail for a robot platform that is displaceable in a translatory manner, and displacement system and robot system having such a support rail
KR200477671Y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대
KR101049900B1 (ko) 긴장부재 어셈블리
JP2011241633A (ja) Pc構築物の施工方法およびpc構築物の施工用金具
JP6208090B2 (ja) 免震化工事の仮設支持構造及び既存建築物の免震化工法
JP2013213351A (ja) 鉄骨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鉄骨構造物の固定部材
KR101274427B1 (ko) 반목조정장치
KR20170011230A (ko) 트러스 거더 설치용 지지대
JP6845632B2 (ja) 免震装置設置工法
JP6370167B2 (ja) 立て起こし具及び立て起こし方法
JP5877573B1 (ja) 支柱固定具
JP2016079759A (ja) 高層建物解体方法及び装置
CN203837929U (zh) 脚手架构件的抗压性能试验装置
KR101016057B1 (ko) 철골 콘크리트 건축물의 철근 배근 장치
JP6882728B2 (ja) 緊張材の緊張装置
CN205804922U (zh) 一种新型预埋工具式脚手架连墙件
JP6257372B2 (ja) コンクリート溝形成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既設コンクリート柱の耐震補強工法
JP4021408B2 (ja) 鋼製束の伸長方法及び伸長装置
CN205576391U (zh) 整经机抱箍平台结构
KR10248292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US11421754B2 (en) Wedge socket se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