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929B1 -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929B1
KR102642929B1 KR1020230059830A KR20230059830A KR102642929B1 KR 102642929 B1 KR102642929 B1 KR 102642929B1 KR 1020230059830 A KR1020230059830 A KR 1020230059830A KR 20230059830 A KR20230059830 A KR 20230059830A KR 102642929 B1 KR102642929 B1 KR 10264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open
inspection
fixing plate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이채규
민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이채규, 민정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3005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F16G11/025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e.g.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F16G11/05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by using conical plugs insertable between the str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3Wire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저면부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구조물의 낙하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하부에 사전 설정된 보호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상호 이격을 형성하면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구; 각 고정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픈형 고정장치; 상기 보호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에 연결되되 오픈형 고정장치의 착탈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속 또는 분리되는 와이어로프; 및 메쉬망 구조로 상기 보호 영역에 배치되고 테두리 부위가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지지되면서 와이어로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보호망;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Opening type falling object and birds prevention structure for maintenance and inspection of structures}
본 발명은 교량, 고가차도, 복개 구조물 등과 옹벽, 터널, 지하차도 등 기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강재 구조물의 노후화에 따른 표면 박리, 박락, 파손 등에 의하여 구조물의 잔재물이 주변으로 낙하되지 않게 하는 것은 물론 유해 조류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면서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 시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공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 구조물 자체의 노후화와 구조물의 박리, 파손 등이 발생되어 구조물 관리주체에서 보수, 보강 등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하고 있으나, 기대 공용수명이 가까워지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 보수부위의 재손상 등이 빈번히 발생하게 됨으로써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구조물의 표면 콘크리트 일부가 박리, 박락, 파손으로 떨어져 나가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 예로서 도심 지역에 시공되는 교량의 경우, 교량 하부로 도로, 주차장, 보행로 등의 시설이 마련됨에 따라 교량을 이용하는 차량의 하중에 의한 지속적인 진동이 부여됨으로써, 일반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콘크리트의 파손, 탈락 가능성이 높은 편으로 콘크리트 파편이 교량 하부에 마련된 시설로 떨어지게 되면 경제적인 피해뿐 아니라 인명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도심지에 서식하는 비둘기 등의 유해 조류는 교량과 같은 구조물에 서식지를 마련하기 때문에 이들 유해 조류의 배설물로 인한 구조물의 재료 부식 문제는 물론 구조물의 하부를 지나는 사람이나 차량에게도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실안 제20-0124583호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 시 교량 등의 구조물에서 박리, 박락, 파손 등에 따라 콘크리트 잔재물이 시설물 주변으로 낙하하여 보행자나 차량 등에 위해가 될 수 있는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해 조류의 접근을 차단하게 되며, 보호망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물의 유지관리 또는 점검 필요 시 유지관리 행위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이하 "본 발명의 구조"라 칭함)는,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저면부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구조물의 낙하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하부에 사전 설정된 보호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상호 이격을 형성하면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구; 각 고정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픈형 고정장치; 상기 보호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에 연결되되 오픈형 고정장치의 착탈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속 또는 분리되는 와이어로프; 및 메쉬망 구조로 상기 보호 영역에 배치되고 테두리 부위가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지지되면서 와이어로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보호망;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강재 구조물이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입되는 앵커볼트이거나 또는 상기 강재 구조물의 플랜지에 체결되는 빔클램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앵커볼트 또는 빔클램프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는, 판 형상으로 제 1체결공이 구비되고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복수의 구속바가 결합되며 상기 체결볼트의 선택된 위치에 체결되는 제 1고정판과, 판 형상으로 제 2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1고정판의 구속바에 접하도록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제 2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제 1고정판과 제 2고정판 간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고정판은 사각형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속바는 상기 제 1고정판의 각 모서리 부위마다 하나씩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구속바는, 돌출된 끝단부가 상기 제 1체결공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 2고정판은, 상기 구속바의 절곡 부위 상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2고정판은, 상기 구속바와 대면하는 각 부위에 구속바가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으로 제 1고정판의 구속바가 관통된 상태에서 제 1고정판에 인접하도록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어 수용된 상기 와이어로프를 압착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구속바는, 돌출된 끝단부가 상기 제 1체결공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 2고정판은, 제 2체결공과 연통되고 일측면으로 개구부위가 형성되게 하는 절개공이 더 구성되고, 상기 구속바의 절곡 부위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공간에서 상기 제 1고정판에 인접하도록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어 수용된 상기 와이어로프를 압착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고정판 및 제 2고정판은, 압착된 상기 와이어로프에 대면하는 부위를 따라 직선형의 수용홈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고정구가 앵커볼트일 경우, 상기 구조물과 상기 앵커볼트 사이에 연결되는 점검로프; 및 상기 점검로프의 끝단에 연결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와이어로프는, 외주면을 감싸 피복층을 형성하는 보호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망은, 단부가 상기 보호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는, 교량, 고가차도, 복개 구조물 등과 옹벽, 터널, 지하차도 등 기시공된 콘크리트 내지 강재 구조물의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에 밀착 설치되어 구조물의 박리, 박락, 파손 등에 따른 잔재물이 구조물의 주변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물 파손 등의 경제적인 피해뿐 아니라 인명 사고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낙하물의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보호망에 의해 유해 조류 등의 접근은 물론 서식하지 못하게 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유해 조류의 배설물로 인한 피해와 구조물의 안정성 및 수명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망의 메쉬 구조를 통해 평상시 구조물의 육안 점검이 가능할 뿐 아니라, 오픈형 고정장치의 간단한 분리를 통해 와이어로프의 결속이 해제될 수 있기 때문에 보호망의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각 부재들의 완전한 해체 없이도 구조물에 대한 유지관리 또는 점검 필요 시 유지관리 행위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오픈형 고정장치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오픈형 고정장치의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와 보호망 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픈형 고정장치로부터 와이어로프의 일부 구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이동 방식에 의한 보호망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검로프와 무게추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조는 교량, 고가차도, 복개 구조물 등과 옹벽, 터널, 지하차도 등 기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강재 구조물의 저면부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구조물(1)의 낙하물로 인한 기물 파손이나 인명 피해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가 교량에 설치 및 적용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조는 구조물(1)의 노후화로 잔재물의 낙하 위험도가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영역(이하 "보호 영역(3)"이라 칭함)을 따라 상기 구조물(1)에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구(10) 및 상기 고정구(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픈형 고정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조는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20)의 착탈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속 또는 분리되는 와이어로프(30)와 상기 와이어로프(30)에 연결 및 지지되는 보호망(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고정구(10)는 구조물(1)의 하부에 사전 설정된 보호 영역(3)의 테두리를 따라 상호 이격을 형성하면서 고정 설치된다.
이때 고정구(10)는 구조물(1)의 재질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고정부재들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구(10)는 앵커볼트(11) 또는 빔클램프(1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반적인 교량의 상부슬래브 또는 측면의 방호벽 등은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일 수 있으나, 하부 구조인 교각이나 거더의 경우 강재 또는 강재가 합성된 강재 구조물일 수 있다.
이에 상기 구조물(1)이 콘크리트 구조물일 경우 상기 고정구(10)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선택된 위치에 타입되는 앵커볼트(11)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상기 구조물(1)이 강재 구조물일 경우 상기 고정구(10)는 강재 구조물에서 돌출된 플랜지(2)에 체결되는 빔클램프(12)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1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와이어로프(30) 및 보호망(40) 등이 구조물(1)에 이격되게 하면서 그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고정구(10)에 작용하는 인발 및 전단에도 충분한 지지력을 갖는 규격을 사용하여 안전성이 확보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구(10)는 상기 보호 영역(3) 내에서 하중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2m 내지 5m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적합하며,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는 것을 고려하여 내구성과 부식에 유리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100)를 포함하여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20)가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체결볼트(100)는 상기 고정구(10)가 앵커볼트(11)일 경우 외부로 노출된 앵커볼트(11)의 볼트몸체가 연장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100)는 상기 고정구(10)가 빔클램프(12)일 경우 클램프몸체에 별도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너트 체결을 통해 고정되거나 또는 빔클램프(12)의 일측에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된 통상의 볼트부재일 수 있다.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20)는 상기 고정구(10)와 이하에서 설명하는 와이어로프(30) 간을 연결시키기 위한 중간 부재로, 와이어로프(30)의 결속과 분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조물(1)의 보수 또는 점검 시 유지관리 행위가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제 1체결공(201)이 구비되고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된 복수의 구속바(210)가 결합되는 제 1고정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고정판(200)은 사각형 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바(210)는 4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 1고정판(200)의 각 모서리 부위마다 하나씩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구(10)의 체결볼트(100)는 상기 제 1고정판(200)의 제 1체결공(201)을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고정판(200)은 선행적으로 제 1체결공(201)에 체결볼트(100)가 선택된 위치까지 관통된 상태에서 너트 등의 체결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고정판(200)는 도 2 등에서 사각형 판으로 구성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판 또는 원형판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20)는 상기 제 1고정판(200)의 구속바(210)에 접하도록 제 1고정판(200)에 적층 결합되는 제 2고정판(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고정판(250)은 제 1고정판(200)과 마찬가지로 판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체결볼트(1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 2체결공(251)이 구비된다.
상기 제 1체결공(201) 및 제 2체결공(251)의 경우 구조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판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고정판(250)은 상기 제 2체결공(251)에 체결볼트(100)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 1고정판(200)의 구속바(210)에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볼트(100)에 너트 등의 체결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고정판(200) 및 제 2고정판(250)은 상기 체결볼트(100)에 체결된 너트의 분리를 통해 간단하게 상호 간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와이어로프(30)는 상기 제 1고정판(200)과 제 2고정판(250) 간 형성된 공간(21)에 수용된다.
상기 제 1고정판(200)과 제 2고정판(250) 간 형성된 공간(21)에 수용된 와이어로프(30)는 각 모서리 부위마다 결합된 구속바(210)에 의해 상기 공간(21) 내에서 구속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반대로 제 1고정판(200)으로부터 상기 제 2고정판(250)이 분리될 경우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와이어로프(30) 역시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2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낙하물 및 조류 방지를 위하여 본 발명의 구조를 설치한 이후 교량의 점검, 보수 등 유지 관리가 필요할 시 보호망(40)을 개폐하거나, 와이어로프(30) 또는 보호망(40) 등 부재의 보수가 필요할 경우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20)를 분리하여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고정판(200)의 구속바(210)는 돌출된 끝단부가 상기 제 1체결공(201)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구속바(2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2고정판(250)은 상기 구속바(210)의 절곡 부위(211) 상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체결볼트(100)에 너트 등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2고정판(250)은 제 2체결공(251)과 연통되면서 일측면으로 개구부위가 형성되게 하는 절개공(253)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고정판(250)은 상기 절개공(25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볼트(100)에 관통하는 방식이 아니 측면을 통해 슬라이딩 삽입 방식으로 상기 제 1고정판(200)에 적층될 수 있으며, 너트 등의 체결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2고정판(25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속바(210)의 절곡 부위(211)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공간에서 상기 제 1고정판(200)에 인접하도록 상기 체결볼트(100)에 체결될 수 있으며, 수용된 상기 와이어로프(30)를 압착시킴으로써 상기 제 1고정판(200)과 제 2고정판(250) 간 형성된 공간(21)에서 와이어로프(30)의 구속과 함께 그 수용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와이어로프(30)의 압착을 통해 위치 고정 방식의 경우 연속 배치된 와이어로프(30)의 일 구간이 파단되더라도 나머지 구간이 다른 오픈형 고정장치(2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손상에 따른 와이어로프(30) 자체는 물론 이에 지지 연결된 보호망(4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고정판(250)은 상기 구속바(210)와 대면하는 각 부위에 구속바(210)가 관통되는 통공(25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공(252)으로 직성형 구조를 갖는 제 1고정판(200)의 구속바(210)가 관통된 상태에서 제 1고정판(200)에 인접하도록 상기 체결볼트(100)에 너트 등을 통해 체결되어 수용된 상기 와이어로프(30)를 압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실시 예에 같이 와이어로프(30)에 대한 압착 방식에 적용되는 경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고정판(200) 및 제 2고정판(250)은 압착된 상기 와이어로프(30)에 대면하는 부위를 따라 직선형의 수용홈(202, 254)이 각각 구성됨으로써 와이어로프(30)의 압착 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와이어로프(30)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조는 와이어로프(3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턴버클(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턴버클(7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와이어로프(30)의 선택된 일 부위를 절단시킨 후 절단된 와이어로프(30)의 양단을 각각 턴버클(70)에 연결해야 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턴버클(70)은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20)에 와이어로프(30)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배치가 완료된 와이어로프(30)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와어어로프(30)뿐 아니라 와어어로프(30)에 연결된 보호망(40)의 처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망(40)은 메쉬망 구조로 상기 보호 영역(3)에 배치되고 테두리 부위가 상기 와이어로프(30)에 연결되어 지지되면서 와이어로프(3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보호망(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로프(3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고리구멍(400)을 형성한다. 이러한 고리구멍(400)은 보호망(40)이 상기 와이어로프(30)에서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와이어로프(3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호망(40)은 단부가 고리구멍(400)을 형성할 만큼 연장된 상태에서 고리구멍(400)을 제외한 겹침 부위(401)를 호그링(410) 또는 용융 등의 접합 방식으로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로프(30)는 상기 보호망(40)에 의해 형성된 고리구멍(400)에 수용되어, 보호망(40)이 상기 와이어로프(30)에 지지 상태를 유지한 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작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호망(40)은 상기 와이어로프(30)가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2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개방 작동이 지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20)의 설치 간격을 고려하여 개방이 필요한 구간에 존재하는 오픈형 고정장치(20)의 제 2고정판(250)를 분리하고 수용된 와이어로프(30)의 구속을 일시적으로 해제한 상태 즉 와이어로프(30)를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20)에서 빼내면 보호망(40)의 연속적인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로프(30)는 복수의 소선 가닥이 나선형으로 연선된 것으로, 초기에 소선들의 집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지만, 노후화에 따라 일부 소선 등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바, 이는 상기 보호망(40)의 슬라이딩 이동을 방해할 뿐 아니라 보호망(40)의 손상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와이어로프(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을 감싸 피복층을 형성하는 보호튜브(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망(40)은 단부가 연장되어 고리구멍를 형성하면서 상기 고리구멍이 상기 보호튜브(3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보호망(40)의 슬라이딩 이동 시 보호망(40)이 와이어로프(30)의 소선 등에 걸려 개방 작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망(40)에 사용되는 재료를 한정하진 않으나, 합성섬유(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터, 폴리아라미드), 금속(알루미늄, 철, 스테인레스), 보강섬유(유리섬유, 탄소섬유)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금속망의 경우 내구성이 뛰어나고 지탱하는 하중이 큰 편이나 무게가 무겁고 가격이 비싸며 설치가 어려우며, 보강섬유는 재료의 생산이 어렵고 가격이 비싸며 가공 및 시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는 바, 합성섬유 재질의 보호망(4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섬유는 재료 특성상 다양한 재질이 있으며, 망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모노망과 합사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모노망은 단일 선을 이용하여 짜인 그물망이며, 합사망은 여러 개의 얇은 모노선을 꼬아서 한 선을 만든 후 이를 이용하여 짜인 그물망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그물망은 대부분 합사망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합사망은 보호망(40)이 버틸 수 있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선의 표면적을 넓혀 주변의 먼지 등 불순물을 흡착하며, 흡착된 먼지는 또 다른 먼지를 흡착하는 과정이 반복되어 쉽게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모노망은 단면이 단일한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먼지 등으로 인한 오염으로부터 자유롭고, 그 형태로 인하여 바람의 영향도 적게 받게 된다.
특히 상기 모노망은 투명으로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도심 지역에 시공된 교량 등에 설치 시 미관을 해치지 않아 유리한 측면이 있고, 폴리아미드 모노망의 경우 강도가 뛰어난 소재에 단일선을 이용한 망으로 단위 면적당 무게가 PE 합사망 또는 모노망에 비해 월등히 적게 나간다. 이러한 무게의 차이는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나타나게 되는 바, 본 발명의 보호망(40)은 투명 재질의 폴리아미드 모노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호망(40)은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는 것을 고려하여 UV처리가 된 모노망을 채용하여 자외선 차단에 따른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조물(1)이 콘크리트 구조물일 경우 고정구(10)로서 앵커볼트(11)가 적용되는 바, 와이어로프(30) 및 보호망(40) 등의 하중을 지지하는 앵커볼트(11)의 타입 상태를 감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1)과 상기 앵커볼트(11) 사이에 연결되는 점검로프(50) 및 상기 점검로프(50)의 끝단에 연결되는 무게추(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검로프(50)는 피아노선이나 낚시줄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점검로프(50)를 콘크리트부재와 앵커볼트(11)의 너트 사이에 배치시킨 후 앵커볼트(11)의 너트를 조여 압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점검로프(50)의 끝단에는 일정한 하중을 부여하는 무게추(60)가 연결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구조 설치 후 앵커볼트(11)의 빠짐 또는 앵커볼트(11)가 설치된 콘크리트 모재의 파손이나 균열 등에 의해 앵커볼트(11)의 지압응력이 빠지면 무게추(60)가 연결된 점검로프(50)가 앵커볼트(11)의 압착력 저하에 의해 아래로 낙하될 수 있다.
즉 상기 무게추(60)가 연결된 점검로프(50)의 빠짐 여부를 작업자 등이 육안 확인하여 앵커볼트(11)가 설치된 콘크리트 모재의 상태가 이상이 있음을 사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속한 후속 조치를 실시하여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조는 구조물(1)의 면적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나누어서 구간별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보호하려는 낙하물의 크기와 무게가 결정되면 설치하려는 단면의 구조 형태를 적용해 사전에 구조계산을 실시하고, 구조계산에서 적용된 하중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재료 즉 와이어로프(30)의 직경이나 보호망(40)의 메쉬간격 및 망의 굵기 등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고정구 11 : 앵커볼트
12 : 빔클램브 20 : 오픈형 고정장치
30 : 와이어로프 40 : 보호망
50 : 점검로프 60 : 무게추
100 : 체결볼트 200 : 제 1고정판
210 : 구속바 250 : 제 2고정판
252 : 통공 253 : 절개공
300 : 보호튜브

Claims (10)

  1.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저면부로부터 이격 설치되어 구조물의 낙하물과 유해조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하부에 사전 설정된 보호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상호 이격을 형성하면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구;
    각 고정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픈형 고정장치;
    상기 보호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에 연결되되 오픈형 고정장치의 착탈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속 또는 분리되는 와이어로프; 및
    메쉬망 구조로 상기 보호 영역에 배치되고 테두리 부위가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지지되면서 와이어로프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보호망;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강재 구조물이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타입되는 앵커볼트이거나 또는 상기 강재 구조물의 플랜지에 체결되는 빔클램프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앵커볼트 또는 빔클램프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오픈형 고정장치는, 판 형상으로 제 1체결공이 구비되고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복수의 구속바가 결합되며 상기 체결볼트의 선택된 위치에 체결되는 제 1고정판과, 판 형상으로 제 2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1고정판의 구속바에 접하도록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제 2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제 1고정판과 제 2고정판 간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속바는, 돌출된 끝단부가 상기 제 1체결공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고정판은, 제 2체결공과 연통되고 일측면으로 개구부위가 형성되게 하는 절개공이 더 구성되며, 상기 구속바의 절곡 부위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공간에서 상기 제 1고정판에 인접하도록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되어 수용된 상기 와이어로프를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판은 사각형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속바는 상기 제 1고정판의 각 모서리 부위마다 하나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판 및 제 2고정판은,
    압착된 상기 와이어로프에 대면하는 부위를 따라 직선형의 수용홈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가 앵커볼트일 경우,
    상기 구조물과 상기 앵커볼트 사이에 연결되는 점검로프; 및
    상기 점검로프의 끝단에 연결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는,
    외주면을 감싸 피복층을 형성하는 보호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망은,
    단부가 상기 보호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KR1020230059830A 2023-05-09 2023-05-09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KR102642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830A KR102642929B1 (ko) 2023-05-09 2023-05-09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9830A KR102642929B1 (ko) 2023-05-09 2023-05-09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929B1 true KR102642929B1 (ko) 2024-03-14

Family

ID=9024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9830A KR102642929B1 (ko) 2023-05-09 2023-05-09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929B1 (ko)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226U (ja) * 1991-12-06 1993-06-22 大成建設株式会社 水平ネット張設用器具
KR0124583Y1 (ko) 1994-12-23 1998-10-15 박광수 커튼형 개폐식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막
JPH11193510A (ja) * 1997-12-26 1999-07-21 Tokyo Seiko Co Ltd 落石等防護工のロープ張設工法と落石等防護ネツト
KR200335042Y1 (ko) * 2003-09-02 2003-12-01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20100108979A (ko) * 2009-03-31 2010-10-08 허만철 수직보호망 장치
KR101007626B1 (ko) * 2009-11-04 2011-01-12 김영수 조류 접근 방지망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그 설치방법
JP2011084890A (ja) * 2009-10-14 2011-04-28 Yuzo Sakamoto 落石防護工におけるワイヤロープの張力保持方法
JP2011179197A (ja) * 2010-02-26 2011-09-15 Ube Nitto Kasei Co Ltd コンクリート剥落防止用ネットの固定具
KR20110131693A (ko) * 2010-05-31 2011-1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축공사현장의 커튼식 건물외부면 보호막 설치구조
KR20120129415A (ko) * 2011-05-20 2012-11-28 (주) 대광이앤씨 낙석방지망 설치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KR101547915B1 (ko) * 2014-02-11 2015-08-27 (주)상록산업안전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KR20150115742A (ko) * 2013-02-12 2015-10-14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사면 보호구조 및 보호방법
KR101797749B1 (ko) * 2017-04-21 2017-11-14 (주)큐 지진대비 기능을 갖는 한옥의 지붕 및 지진대비 기능을 갖는 지붕이 구비된 한옥
KR101827432B1 (ko) * 2017-04-21 2018-02-08 (주)큐 지진 대비 기능을 갖는 한옥
JP2018040110A (ja) * 2016-09-05 2018-03-15 前田工繊株式会社 補強材固定具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剥落防止構造
KR102356378B1 (ko) * 2021-06-02 2022-02-08 최종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226U (ja) * 1991-12-06 1993-06-22 大成建設株式会社 水平ネット張設用器具
KR0124583Y1 (ko) 1994-12-23 1998-10-15 박광수 커튼형 개폐식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막
JPH11193510A (ja) * 1997-12-26 1999-07-21 Tokyo Seiko Co Ltd 落石等防護工のロープ張設工法と落石等防護ネツト
KR200335042Y1 (ko) * 2003-09-02 2003-12-01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20100108979A (ko) * 2009-03-31 2010-10-08 허만철 수직보호망 장치
JP2011084890A (ja) * 2009-10-14 2011-04-28 Yuzo Sakamoto 落石防護工におけるワイヤロープの張力保持方法
KR101007626B1 (ko) * 2009-11-04 2011-01-12 김영수 조류 접근 방지망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그 설치방법
JP2011179197A (ja) * 2010-02-26 2011-09-15 Ube Nitto Kasei Co Ltd コンクリート剥落防止用ネットの固定具
KR20110131693A (ko) * 2010-05-31 2011-1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축공사현장의 커튼식 건물외부면 보호막 설치구조
KR20120129415A (ko) * 2011-05-20 2012-11-28 (주) 대광이앤씨 낙석방지망 설치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KR20150115742A (ko) * 2013-02-12 2015-10-14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 엔지니어링 사면 보호구조 및 보호방법
KR101547915B1 (ko) * 2014-02-11 2015-08-27 (주)상록산업안전 철골구조물용 클램프
JP2018040110A (ja) * 2016-09-05 2018-03-15 前田工繊株式会社 補強材固定具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剥落防止構造
KR101797749B1 (ko) * 2017-04-21 2017-11-14 (주)큐 지진대비 기능을 갖는 한옥의 지붕 및 지진대비 기능을 갖는 지붕이 구비된 한옥
KR101827432B1 (ko) * 2017-04-21 2018-02-08 (주)큐 지진 대비 기능을 갖는 한옥
KR102356378B1 (ko) * 2021-06-02 2022-02-08 최종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637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US10329781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Park Inspection of collapse cause of Sampoong Department Store
JP5234360B2 (ja) 既設ブロック塀の防護装置
US9528285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KR101326292B1 (ko) 와이어로프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 방지 시설
US8459409B2 (en) Post anchor extension for a horizontal lifeline system
CA2564340C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irds accessing a habitable part of a structure
KR102642929B1 (ko)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KR20110127629A (ko) 캔틸레버 시공용 행거식 가설재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부 시공방법
KR100977061B1 (ko)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인상장치가 부설된 피시빔 주형 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 및 인장보수보강공법
AU2001239558B2 (en) Method of constructing structures useful as catwalks and building scaffolds on slopes, and catwalk and building scaffold constructed thereby
KR100944458B1 (ko) 건축공사용 케이지의 이탈방지 장치
JP2008019673A (ja) 落石防護柵及び落石防護網
CN104278828A (zh) 一种混凝土烟囱拆除操作平台
KR101789124B1 (ko) 종방향 교량 점검대
JP5678077B2 (ja) ゴミ処理施設用の分解可能なモジュール式プラットフォーム
JP2015101948A (ja) 雪崩予防施設
JP2020190142A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JP6230854B2 (ja) ネット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GB2533691A (en) An overhead line crossing guard system, a method of assembling an overhead line crossing guard system and a method of disassembling an overhead line
RU134563U1 (ru) Лестничное ограждение
JP3480915B2 (ja) タンク
RU116514U1 (ru) Защитные покровные сетчатые конструкции
FR2852620A1 (fr) Dispositif de refuge parasism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