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378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378B1
KR102356378B1 KR1020210071244A KR20210071244A KR102356378B1 KR 102356378 B1 KR102356378 B1 KR 102356378B1 KR 1020210071244 A KR1020210071244 A KR 1020210071244A KR 20210071244 A KR20210071244 A KR 20210071244A KR 102356378 B1 KR102356378 B1 KR 102356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fixing means
falling
concrete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열
이호근
김병하
이명학
Original Assignee
최종열
이호근
주식회사 코아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열, 이호근, 주식회사 코아하우징 filed Critical 최종열
Priority to KR1020210071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교량, 터널, 지하차도, 복개구조물 등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파손 등에 따라 콘크리트 잔재물이 시설물 주변으로 낙하하여 보행자나 차량 등에 위해가 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고 유해조류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으며, 개폐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향후 보수, 보강 등 유지관리 및 점검이 용이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의 각 모서리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수단; 일 고정수단과 인접한 타 고정수단 간에 연결되어 작용하중을 상기 고정수단으로 전달하는 와이어로프; 및 메쉬 구조로 상기 와이어로프에 의해 마련되는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 내에 위치하고,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 및 지지되는 방지망;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Opening and closing type falling object prevention structure for delamination and spalling of concrete structures and blocking access to harmful birds}
본 발명은 기존 교량, 터널, 지하차도, 복개구조물 등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파손 등에 따라 콘크리트 잔재물이 시설물 주변으로 낙하하여 보행자나 차량 등에 위해가 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고 유해조류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으며, 개폐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향후 보수, 보강 등 유지관리 및 점검이 용이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공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 구조물 자체의 노후화와 구조물의 박리, 파손 등이 발생되어 구조물 관리주체에서 보수, 보강 등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하고 있으나, 기대 공용수명이 가까워지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 보수부위의 재손상 등이 빈번히 발생하게 됨으로써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구조물의 표면 콘크리트 일부가 박리, 박락, 파손으로 떨어져 나가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 예로서 도심 지역에 시공되는 교량의 경우, 교량 하부로 도로, 주차장, 보행로 등의 시설이 마련됨에 따라 교량을 이용하는 차량의 하중에 의한 지속적인 진동이 부여됨으로써, 일반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하여 콘크리트의 파손, 탈락 가능성이 높은 편으로 콘크리트 파편이 교량 하부에 마련된 시설로 떨어지게 되면 경제적인 피해뿐 아니라 인명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실안 제20-0124583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 교량, 터널, 지하차도, 복개구조물 등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파손 등에 따라 콘크리트 잔재물이 시설물 주변으로 낙하하여 보행자나 차량 등에 위해가 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고 유해조류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으며, 개폐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향후 보수, 보강 등 유지관리 및 점검이 용이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낙하물 방지구조(이하 "본 발명의 구조"라 칭함)는,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의 각 모서리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수단; 일 고정수단과 인접한 타 고정수단 간에 연결되어 작용하중을 상기 고정수단으로 전달하는 와이어로프; 및 메쉬 구조로 상기 와이어로프에 의해 마련되는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 내에 위치하고,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 및 지지되는 방지망;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이 콘크리트 또는 강재일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콘크리트에 타입되는 앵커볼트 또는 강재의 플랜지 돌출부에 체결되는 빔클램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방지망은, 투명재질의 폴리아미드 모노망인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와이어로프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로프부재로 구성되고, 일 단위 로프부재와 인접한 타 단위 로프부재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로프의 장력이 조정되게 하는 턴버클;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을 따라 일 고정수단과 인접한 타 고정수단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가 연결되는 보조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방지망을 상기 와이어로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재는, 일단이 상기 방지망 테두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체결되고, 링 형상으로 상기 와이어로프가 관통되면서 선택적으로 와이어로프에 체결 또는 분리되어 상기 방지망이 어느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착탈식 카라비너(karabiner)인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보조 고정수단은, 상기 와이어로프에 착탈식 카라비너(karabiner)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둘 이상의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이 인접하여 상호 경계부위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경계부위를 따라 설치되는 와이어로프에 대면하는 방진망은 상기 와이어로프에 고정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는, 교량, 고가차도, 복개 구조물 등과 옹벽, 터널, 지하차도 등 기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에 밀착 설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파손 등에 따라 콘크리트 잔재물이 시설물 주변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물 파손 등의 경제적인 피해뿐 아니라 인명 사고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는 경우, 유해조류 등이 구조물에 접근해 둥지를 틀지 않게 하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구조물의 안정성 및 수명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방지망이 투명재질의 폴리아미드 모노망으로 구성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 가능함과 더불어 커튼식 개폐 구조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방지망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점검이나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며 도심지역에서 구조물의 미관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튼식 개폐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3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식 개폐구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교량 중앙부나, 종조인트, 분리형 교량 구간 등에 본 발명의 고정식 구조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교량의 켄틸레버 구간에 본 발명의 커튼식 개폐 구조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교량의 방호벽 측면에 본 발명의 고정식 구조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강교에 본 발명의 커튼식 개폐 구조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구조는 교량, 고가차도, 복개 구조물 등과 옹벽, 터널, 지하차도 등 기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에 따른 표면 박리, 박락, 파손 등에 의하여 콘크리트 잔재물이 구조물 주변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가 교량에 설치 및 적용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구조는 기존 교량에 있어 콘크리트 잔재물의 낙하 시 위험도가 높은 영역(이하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이라 칭함)에 설치되어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 하부 구역에 대한 기물 파손이나 인명 피해를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수단(10)과, 상기 고정수단(10)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20) 및 상기 와이어로프(20)에 연결 및 지지되는 방지망(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10)은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의 각 모서리 부위에 고정 설치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10)은 상기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을 구성하는 재질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고정부재들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교량의 상부슬래브 또는 측면의 방호벽 등은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되나 하부 구조물인 교각이나 거더의 경우 강재 또는 강재가 합성된 구조물일 수 있다. 이에 고정수단(10)은 콘크리트에 타입되는 앵커볼트(11) 또는 강재의 플랜지 돌출부에 체결되는 빔클램프(1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앵커볼트(11)와 빔클램프(12)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상기 고정수단(10)은 교량에 직접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로프(20) 및 방지망(30) 등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고정수단(10)에 작용하는 인발 및 전단에도 충분한 지지력을 갖는 규격을 사용함으로써,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0)은 하중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2m 내지 5m의 간격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합한 바, 상기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을 설정함에 있어 상기 고정수단(10)의 설치 간격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10)은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는 것을 고려하여 내구성과 부식에 유리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10)의 일 예로서 앵커볼트(11)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앵커볼트(11)에 아이너트(13)을 연결하여 와이어로프(20)의 일단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어어로프(20)는 일 고정수단(10)과 인접한 타 고정수단(10) 간에 연결된다. 즉 상기 와이어로프(20)는 상기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면서 복수의 고정수단(10)에 의해 고정되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지망(3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로프(20) 역시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는 것을 고려하여 내구성과 부식에 유리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프에 작용하는 인장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적어도 4mm 이상의 직경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로프(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로프부재(21)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조는 일 단위 로프부재(21)와 인접한 타 단위 로프부재(21) 사이에 체결되는 턴버클(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턴버클(40)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수단(10)에 의해 고정된 와이어로프(20)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방지망(30)의 설치 시 와어어로프(20)뿐 아니라 방지망(30)이 처지지 않고 상기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지망(30)은 메쉬 구조로 상기 와이어로프(20)에 의해 마련되는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 내에 위치하고,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와이어로프(20)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지망(30)은 메쉬본체(31)와 상기 메쉬본체(31)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고장력로프(32) 및 상기 메쉬본체(31)의 테두리를 따라 메쉬코에 상기 고장력로프(32)가 연결되게 하는 복수의 호그링(33)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방지망(30)에 지속적인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고장력로프(32)에 의하여 메쉬본체(31)가 쉽게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구조에서 상기 방지망(30)에 사용되는 재료를 한정하진 않으나, 합성섬유(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터, 폴리아라미드), 금속(알루미늄, 철, 스테인레스), 보강섬유(유리섬유, 탄소섬유)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금속망의 경우 내구성이 뛰어나고 지탱하는 하중이 큰 편이나 무게가 무겁고 가격이 비싸며 설치가 어려우며, 보강섬유는 재료의 생산이 어렵고 가격이 비싸며 가공 및 시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는 바, 합성섬유 재질의 방지망(3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섬유는 재료 특성상 다양한 재질이 있으며, 망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모노망과 합사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모노망은 단일 선을 이용하여 짜인 그물망이며, 합사망은 여러 개의 얇은 모노선을 꼬아서 한 선을 만든 후 이를 이용하여 짜인 그물망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그물망은 대부분 합사망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합사망은 방지망(30)이 버틸 수 있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선의 표면적을 넓혀 주변의 먼지 등 불순물을 흡착하며, 흡착된 먼지는 또 다른 먼지를 흡착하는 과정이 반복되어 쉽게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모노망은 단면이 단일한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먼지 등으로 인한 오염으로부터 자유롭고, 그 형태로 인하여 바람의 영향도 적게 받게 된다.
특히 상기 모노망은 투명으로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도심 지역에 시공된 교량 등에 설치 시 미관을 해치지 않아 유리한 측면이 있고, 폴리아미드 모노망의 경우 강도가 뛰어난 소재에 단일선을 이용한 망으로 단위 면적당 무게가 PE 합사망 또는 모노망에 비해 월등히 적게 나간다. 이러한 무게의 차이는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나타나게 되는 바, 본 발명의 방지망(30)은 투명 재질의 폴리아미드 모노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지망(30)은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는 것을 고려하여 UV처리가 된 모노망을 채용하여 자외선 차단에 따른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교량 등의 점검이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상기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은 선택적으로 노출이 필요한 바, 상기 방지망(30)은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상기 방지망(30)을 상기 와이어로프(2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부재(50)를 더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결속부재(50)는 일단이 상기 방지망(30) 테두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체결되고, 링 형상으로 상기 와이어로프(20)가 관통되면서 선택적으로 와이어로프(20)에 체결 또는 분리되어 상기 방지망(30)이 어느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착탈식 카라비너(karabiner)인 것이 특징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재(50)가 착탈식 카라비너(karabiner)로 구성됨에 따라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에서 한 쌍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와이어로프(20) 중 어느 한 방향에 연결되는 방지망(30)만을 분리시키게 되면 분리된 방향을 따라 카라니너가 와이어로프(20)에 체결된 상태로 자유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방지망(30)에 대한 커튼식 개폐가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튼식 개폐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둘 이상의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이 인접하여 상호 경계부위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경계부위를 따라 설치되는 와이어로프(20)에 대면하는 방진망(30)은 상기 와이어로프(20)에 직접적으로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 간에 형성되는 경계부위 즉 상호 중첩되는 위치의 고정수단(10) 간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20)에는 방지망(30)을 직접 걸고, 양단에서 위치하는 각 와이어로프(20)에는 카라비너를 이용하여 방지망(30)이 체결되게 하여, 처음과 끝 양단에 체결된 카라비너를 와이어로프(20)에서 선택적으로 분리시키게 되면, 양단으로부터 경계부위의 가운데 방향으로 자유 이동이 가능하여 방지망(30)의 시공성과 개폐 효과를 더욱 높여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a)을 따라 일 고정수단(10)과 인접한 타 고정수단(10)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20)가 연결되는 보조 고정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방지망(30)을 연결하는 와이어로프(20)의 처짐이 과대 발생할 경우, 상기 보조 고정수단(60)을 더 마련함으로써 처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 고정수단(60) 역시 앞서 설명한 앵커볼트(11) 또는 빔클램프(1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와이어로프(20)와의 연결은 착탈이 가능하도록 착탈식 카라비너(karabiner)(51)를 통해 연결되게 함으로써, 상기 방지망(30)의 커튼식 개폐 과정 중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분리될 수 있다.
도 6은 교량 중앙부나, 종조인트, 분리형 교량 구간 등에 본 발명의 고정식 구조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교량의 켄틸레버 구간에 본 발명의 커튼식 개폐 구조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교량의 방호벽 측면에 본 발명의 고정식 구조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강교에 본 발명의 커튼식 개폐 구조가 적용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 강교의 경우 강박스거더와 켄틸레버부에 방지망(30)을 설치 시 켄틸레버부와 방호벽 측면에는 앵커볼트(11)와 아이너트(13)로 지지하고, 강박스거더 외측부는 강박스 하부플랜지 하부 돌출부에 빔클램프(12)로 지지해서 커튼식 방지망(3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강교 강박스 거더와 거더 사이의 경우는, 콘크리트 중앙부와 같이 설치 가능하며, 강박스 거더 하부플랜지에 설치시는 빔클램프(12)로 양쪽을 지지하고 와이어로프(20)를 연결한다. 고장력로프(32)에 메쉬본체(31)을 호그링(33)으로 걸어주고 메시본체(31)가 연결된 고장력로프(32)와 와이어로프(20)를 카라비너로 연결하여 커튼식 개폐 방식을 갖는 방지망(30)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고정수단 11 : 앵커볼트
12 : 빔클램프 13 : 아이볼트
20 : 와이어로프 30 : 방지망
31 : 메쉬본체 32 : 고장력로프
33 : 호그링 40 : 턴버클
50 : 결속부재 60 : 보조 고정수단

Claims (8)

  1.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의 각 모서리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수단;
    일 고정수단과 인접한 타 고정수단 간에 연결되어 작용하중을 상기 고정수단으로 전달하는 와이어로프;
    메쉬 구조로 상기 와이어로프에 의해 마련되는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 내에 위치하고,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 및 지지되는 방지망;
    상기 방지망을 상기 와이어로프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부재; 및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을 따라 일 고정수단과 인접한 타 고정수단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가 연결되는 보조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결속부재는,
    일단이 상기 방지망 테두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체결되고, 링 형상으로 상기 와이어로프가 관통되면서 선택적으로 와이어로프에 체결 또는 분리되어 상기 방지망이 어느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착탈식 카라비너(karabiner)로 구성되어,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에서 한 쌍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와이어로프 중 어느 한 방향에 연결되는 방지망을 분리시켜 분리된 방향을 따라 카라비너가 와이어로프에 체결된 상태로 자유 이동되게 하며,
    상기 보조 고정수단은,
    상기 와이어로프에 착탈이 가능하게 하는 카라비너(karabiner)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결속부재에 의한 방지망의 개폐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이 콘크리트 또는 강재일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콘크리트에 타입되는 앵커볼트 또는 강재의 플랜지 돌출부에 체결되는 빔클램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망은,
    투명재질의 폴리아미드 모노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로프부재로 구성되고,
    일 단위 로프부재와 인접한 타 단위 로프부재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와이어로프의 장력이 조정되게 하는 턴버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낙하물 방지 대상 영역이 인접하여 상호 경계부위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경계부위를 따라 설치되는 와이어로프에 대면하는 방진망은 상기 와이어로프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KR1020210071244A 2021-06-02 2021-06-02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KR102356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244A KR102356378B1 (ko) 2021-06-02 2021-06-02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244A KR102356378B1 (ko) 2021-06-02 2021-06-02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378B1 true KR102356378B1 (ko) 2022-02-08

Family

ID=80252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244A KR102356378B1 (ko) 2021-06-02 2021-06-02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3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553B1 (ko) * 2022-06-03 2022-08-08 이노블루산업 주식회사 교량용 버드넷 설치구조
CN115198663A (zh) * 2022-09-19 2022-10-18 中铁建安工程设计院有限公司 一种可自动升降的步进式桥墩施工防坠装置
CN115251037A (zh) * 2022-07-12 2022-11-01 黄河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防坠落台车式启闭机室防鸟网
KR102642929B1 (ko) * 2023-05-09 2024-03-14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226U (ja) * 1991-12-06 1993-06-22 大成建設株式会社 水平ネット張設用器具
KR0124583Y1 (ko) 1994-12-23 1998-10-15 박광수 커튼형 개폐식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막
KR101007626B1 (ko) * 2009-11-04 2011-01-12 김영수 조류 접근 방지망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그 설치방법
KR20110131693A (ko) * 2010-05-31 2011-1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축공사현장의 커튼식 건물외부면 보호막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226U (ja) * 1991-12-06 1993-06-22 大成建設株式会社 水平ネット張設用器具
KR0124583Y1 (ko) 1994-12-23 1998-10-15 박광수 커튼형 개폐식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막
KR101007626B1 (ko) * 2009-11-04 2011-01-12 김영수 조류 접근 방지망 및 와이어 텐션을 이용한 그 설치방법
KR20110131693A (ko) * 2010-05-31 2011-1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축공사현장의 커튼식 건물외부면 보호막 설치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553B1 (ko) * 2022-06-03 2022-08-08 이노블루산업 주식회사 교량용 버드넷 설치구조
CN115251037A (zh) * 2022-07-12 2022-11-01 黄河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防坠落台车式启闭机室防鸟网
CN115251037B (zh) * 2022-07-12 2023-07-07 黄河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防坠落台车式启闭机室防鸟网
CN115198663A (zh) * 2022-09-19 2022-10-18 中铁建安工程设计院有限公司 一种可自动升降的步进式桥墩施工防坠装置
KR102642929B1 (ko) * 2023-05-09 2024-03-14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637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 박락 및 유해조류 접근 차단을 위한 개폐형 낙하물 방지 구조
AU2007216373B2 (en) Device for protecting a cable or the like of a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ing project from fire
JP6786070B2 (ja) 橋梁点検用恒久足場の無足場設置工法
JP2012177255A (ja) 落橋防止構造及び落橋防止装置
EP0698154A1 (en) A building structure
CA3081489A1 (en) Sheath for a structural cable of a construction work, methods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JP2013151788A (ja) セグメント桁、塩害対応外ケーブル桁橋の構築およびその施工法
JP4357677B2 (ja) 移動式支保工
KR102642929B1 (ko) 구조물의 유지관리와 점검을 위한 개방형 낙하물 및 조류 방지 구조
KR20090120371A (ko) 이동식 교량 점검차
CN209323547U (zh) 一种圆形沉井防水雨棚
CN107119561A (zh) 一种吊篮式桥梁维修作业平台
JP2016098492A (ja) 移動式足場および該移動式足場を用いた点検補修方法
CN106968201B (zh) 车辆阻拦系统
KR102513266B1 (ko) 철도 교량의 도색을 위한 공중 비계 설치방법
JP3228129U (ja) 橋梁ケーブルの定着具の透視モニタリング構造
KR102576807B1 (ko) 전도방지구조체가 구비된 무주탑 보도 현수교의 세그먼트 교량체
GB2343061A (en) Protective device for use in replacement of overhead cables
CN205554182U (zh) 一种地铁疏散平台
RU93923U1 (ru) Висячий мост для транспортера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DE202006009780U1 (de) Schutzvorrichtung für Fassaden von Gebäuden
CN113969583B (zh) 横穿大跨径基坑中部高压电缆管线的悬吊保护施工方法
KR20140135186A (ko) 다수의 섹션들로 이루어진 이동식 밀폐 빌딩
Andrew et al. Forth Road Bridge-maintenance challenges
KR101403871B1 (ko) 교량의 케이블 보수보강 작업용 케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