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427B1 - 반목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반목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427B1
KR101274427B1 KR1020110071890A KR20110071890A KR101274427B1 KR 101274427 B1 KR101274427 B1 KR 101274427B1 KR 1020110071890 A KR1020110071890 A KR 1020110071890A KR 20110071890 A KR20110071890 A KR 20110071890A KR 101274427 B1 KR101274427 B1 KR 101274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edge
supporting member
banjo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018A (ko
Inventor
강옥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1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4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목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목의 쐐기에 대향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가 배치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며 반목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작업자가 과도한 힘을 쓰지 않으면서, 반목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반목조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목조정장치{Adjustment apparatus for support of ship}
본 발명은 반목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 시에는 선체의 블록을 대상으로 용접, 도장 등의 작업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반목을 이용하여 블록을 작업장의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받쳐놓게 된다.
이러한, 반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블록에 대한 도장 작업을 수행하고, 반목과 맞닿은 블록의 받침부위에 도장 마감작업을 하기 위해 블록을 받치고 있는 반목을 치운 후, 받침부위에 도장 마감작업을 하게 되는 등, 선박의 건조 중에는 반목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목(10)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반목(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반목(10)은, 하부반목(11), 상부반목(13) 및 쐐기(15)를 포함한다.
이러한 반목(10)은 블록의 바닥면에 배치되는데, 콘크리트(9)의 상부에 하부반목(11)과 상부반목(13)이 차례로 적층된다.
상부반목(13)은 블록의 저면에 접촉되어 블록의 무게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부반목(13)과 하부반목(11) 사이에는 상부반목(13)을 들어올려 높이를 조절하는 쐐기(15)가 구비된다.
쐐기(15)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또한, 하부반목(11)의 상부는 쐐기(15)의 경사진 각도와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면을 이룬다. 이에 따라 쐐기(15)를 삽입하거나 빼면, 쐐기(15)의 상부에 위치된 상부반목(13)이 승하강하며 높이가 조절된다.
여기서, 반목(10)은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자체 하중이 상당히 무거울 뿐만 아니라, 블록의 하중 또한 상당하여, 반목(1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해머를 이용하여 강한힘으로 쐐기(15)의 측면을 가격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해머를 이용하는 경우, 쐐기(15)를 가격하는 힘이 약하면 쐐기(15)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힘이 강하면 높낮이의 미세작업이 어려워진다.
특히, 반목(10)은 블록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블록이 다수개의 반목(10)에 지지되는 과정에서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일부의 반목(10)과 접촉한 블록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의 특정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블록이 손상을 입을 수 있고, 반목(10)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게다가, 작업자가 해머를 이용시 많은 힘이 소요되고, 투입되는 인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목의 높이조정을 미세하게 하며, 작업자의 공수가 줄어들 수 있는 반목조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목조정장치는, 반목의 쐐기에 대향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가 배치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며 반목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유압잭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유압잭의 외측 둘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와 연결되는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와 연결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밑변이 길어지는 삼각형태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보강부재는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보강부재의 하단부에 연결되되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반목에 볼팅되는 볼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목조정장치는 가압부 및 지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유압을 이용함으로써, 작업자가 과도한 힘을 쓰지 않고, 반목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 반목의 파손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공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를 이용하여 반목조정장치를 쉽게 설치 및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반목마다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강제의 낭비를 초래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반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조정장치가 반목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조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조정장치(100)가 반목(10)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목조정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반목조정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목조정장치(100)는 가압부(11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반목조정장치(100)는 지면과 블록 하부 사이에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블록 하부에 설치되는 반목(10)의 높이를 조정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가압부(110)는 쐐기를 가압하는 장치로서, 반목(10)의 쐐기(15)에 대향한다. 이러한, 가압부(110)는 강한 힘으로 쐐기(15)를 가압하기 위해 유압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110)는 예를 들어 유압잭(oil jack)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해머를 가격하여 쐐기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큰 힘을 낼 수 있는 유압잭을 이용함으로써, 장시간 작업자가 작업을 하여도 근육통 및 타박상 등의 발생을 예방하며, 투입되는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유압잭은 강한 가압력을 가할 수 있으면서 돌출길이가 미세하게 조정가능하므로, 쐐기(15)를 밀고자 하는 측에 배치된 유압잭에 의해 반목(10)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가압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밀고자 하는 방향의 쐐기(15) 측부에 배치되는 가압부(110)를 받치며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20)는 받침부재(121), 지지부재(123) 및 연결부재(125)를 포함한다.
받침부재(121)는 가압부(110)를 받치는 구성으로서, 하부반목(11)과 상부반목(13)의 사이에 구비되는 쐐기(15)에 대향하여 가압부(11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9)와 이격될 수 있다.
받침부재(121)는 가압부(110)가 유압잭을 포함하는 경우, 유압잭의 외측 둘레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재(121)는 예를 들어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유압잭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23)는 가압부(110)의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쐐기(15)의 반대측으로 가압부(11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재(123)는, 일측에 받침부재(121)의 일단이 연결되어 가압부(110)를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부재(123)는 수직부재(123A) 및 보강부재(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재(123A)는 받침부재(121)를 콘크리트(9)와 이격시키도록 수직한 형태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받침부재(121)는 안정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수직부재(123A)의 넓은 면과 받침부재(121)의 일단부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받침부재(121)의 일단이 수직부재(123A)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보강부재(123B)는 수직부재(123A)의 지지력을 증가시키도록, 수직부재(123A)의 타면에 연결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밑변이 길어지는 삼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보강부재(123B)는, 수직부재(123A)에서 받침부재(121)가 설치된 일면의 반대편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수직부재(123A)의 강성을 좀 더 높일 수 있도록, 보강부재(123B)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부재(123B)가 수직부재(123A)의 일면에 두 개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에 따라, 보강부재(123B)가 수직부재(123A)의 측부를 지지하여 가압부(110)에 의해 수직부재(123A)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부재(123A)와 보강부재(123B)는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철강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123)는, 보강부재(123B)의 하면에 결합되며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충부재(12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충부재(123C)는 받침부재(121)가 쐐기(15)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높이를 맞추면서, 반목조정장치(100)의 전체 무게를 절감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반목조정장치(100)를 운반시 피로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보충부재(123C)는 상단이 철강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철강으로 이루어진 상단이 보강부재(123B)와 용접으로 연결되고, 철강으로 이루어지는 보충부재(123C)의 상단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하단이 볼트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25)는 지지부재(123)와 반목(10)을 연결하는 매개물로서, 일단이 지지부재(123)의 일측에 연결되며 타단이 반목(10)에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부재(125)에는 결합홀(12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20)는 결합홀(125A)을 관통하여 반목(10)에 볼팅되는 볼트부재(126)를 더 포함하여 이들을 볼팅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25)가 반목(10)과 연결되기 위해, 하부반목(11)에는 에어드릴 등에 의해 홀(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반목조정장치(100)를 반목(10)의 높이 조정이 필요한 곳에 쉽게 볼팅 및 해제하여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므로, 개별 반목(10)마다 부재를 설치할 필요도 없어, 강제의 낭비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높이조절을 미세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반목조정장치 110 : 가압부
120 : 지지부 121 : 받침부재
123 : 지지부재 123A : 수직부재
123B : 보강부재 123C : 보충부재
125 : 연결부재

Claims (5)

  1. 반목의 쐐기에 대향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가 배치되는 받침부재와, 일측에 상기 받침부재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가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반목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받침부재의 일단이 일면에 연결되는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타면에 연결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밑변이 길어지는 삼각형태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유압잭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유압잭의 외측 둘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조정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보강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는 보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조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반목에 볼팅되는 볼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조정장치.
KR1020110071890A 2011-07-20 2011-07-20 반목조정장치 KR101274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90A KR101274427B1 (ko) 2011-07-20 2011-07-20 반목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90A KR101274427B1 (ko) 2011-07-20 2011-07-20 반목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018A KR20130011018A (ko) 2013-01-30
KR101274427B1 true KR101274427B1 (ko) 2013-06-17

Family

ID=4784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890A KR101274427B1 (ko) 2011-07-20 2011-07-20 반목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4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081B1 (ko) * 2013-05-31 2014-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진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GB2551761B (en) * 2016-06-29 2021-07-21 Devonport Royal Dockyard Ltd Dry dock vessel supporting apparatus
CN107856820B (zh) * 2017-11-10 2023-07-25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布墩方法
KR102541903B1 (ko) * 2022-12-19 2023-06-13 (주)엠테스 유압방식의 서포트 잭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8497U (ja) * 1983-02-17 1984-08-29 日立造船株式会社 盤木矢締め装置
JPS62113688A (ja) * 1985-11-14 1987-05-25 Nippon Kokan Kk <Nkk> 進水駒用矢締機
KR950027352U (ko) * 1994-03-26 1995-10-18 엄승삼 선박 건조용 반목의 착탈장치
KR20000005032U (ko) * 1998-08-21 2000-03-15 추호석 분리형 탑재반목 제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8497U (ja) * 1983-02-17 1984-08-29 日立造船株式会社 盤木矢締め装置
JPS62113688A (ja) * 1985-11-14 1987-05-25 Nippon Kokan Kk <Nkk> 進水駒用矢締機
KR950027352U (ko) * 1994-03-26 1995-10-18 엄승삼 선박 건조용 반목의 착탈장치
KR20000005032U (ko) * 1998-08-21 2000-03-15 추호석 분리형 탑재반목 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018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427B1 (ko) 반목조정장치
US7219609B1 (en) Apparatus for shipping and installation of ATM
CN105971272A (zh) 装配式铝模板砌块填充墙钢筋混凝土构造柱及施工方法
EP2481853A1 (de) Fundamentverankerung für Arbeitsmaschine
US9365998B2 (en) Elevated equipment assemblies, equipment-supporting platforms, and related methods
US11519189B2 (en) Bracket and adjustable structures for leveling a building
JP6573479B2 (ja) 高架構造物の構築方法
CN108313615B (zh) 一种矿用皮带夹持装置
KR200442299Y1 (ko) 선박 건조용 전동식 반목
JP5390553B2 (ja) 杭の圧入装置
JP4377311B2 (ja) 杭柱建込装置
CN113120189A (zh) 一种可调节支墩装置
CN206241725U (zh) 轴类零件的夹具
US4247073A (en) Concrete form tie assemblies
CN206397136U (zh) 装配式铝模板砌块填充墙钢筋混凝土构造柱
CN210263912U (zh) 一种楼承板连接件
CN202337982U (zh) 高频液压振动锤夹持转换接头
CN104912333A (zh) 墙体施工系统及施工方法
KR101098878B1 (ko) 강관파일용 밴드 압착식 두부보강장치
KR101586376B1 (ko) 인상잭이 설치된 강관을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CN104029797B (zh) 一种钻井平台的甲板吊基座加强方法
CN210104736U (zh) 一种用于黄河施工的抢险打桩机
CN208778420U (zh) 一种薄壁结构的简易连接装置
JP2012092605A (ja) 建築物の解体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昇降締付け装置
JP2011094456A (ja) 荷重支持架台、支持材、及び荷重支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