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495B1 - 액세서리 캐치의 개방구 - Google Patents

액세서리 캐치의 개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495B1
KR101773495B1 KR1020157032934A KR20157032934A KR101773495B1 KR 101773495 B1 KR101773495 B1 KR 101773495B1 KR 1020157032934 A KR1020157032934 A KR 1020157032934A KR 20157032934 A KR20157032934 A KR 20157032934A KR 101773495 B1 KR101773495 B1 KR 101773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opening
holding
clasp
movabl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785A (ko
Inventor
마사코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란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란테크
Publication of KR2015014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2Hook or eye fasteners with spring closure of hook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Jewellery holding or retaining articles, e.g. eye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 A47G25/901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for brace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6Joints
    • B25B7/08Joints with fixed fulc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 Knives (AREA)

Abstract

액세서리 캐치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개방구를 제공한다. 신체의 일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선형 액세서리의 일부를 통하는 절결부와, 상기 절결부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와, 상기 폐쇄 부재를 개폐 조작하기 위해, 상기 폐쇄 부재에 연결된 가동 손잡이와, 상기 선형 액세서리의 타부를 통하는 고정 손잡이를 가지는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를 위한 개방구는, 고정 손잡이를 유지하는 제1 유지부와, 가동 손잡이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를 상기 제1 유지부에 상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제2 유지부를 제1 유지부에 대하여 소정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개방구는, 상기 제2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가동 손잡이와 상기 제1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고정 손잡이를 접근시켜 상기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를 개방 상태로 한다.

Description

액세서리 캐치의 개방구{OPENING IMPLEMENT FOR ACCESSORY CATCH}
본 발명은, 액세서리 캐치(accessory catch)를 용이하게 오픈할 수 있는 액세서리 캐치의 개방구(開放具; opening implement)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 클래스프(spring clasp), 랍스터 클래스프(lobster clasp)와 같은 액세서리 캐치의 개방구는, 핀셋형의 소형으로 되어 있는 금속 또는 목제로 제조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액세서리의 클래스프(캐치) 부분은, 매우 작아서 손가락끝으로 잡는 것이 매우 곤란한 동시에, 개방을 위해서는 손가락끝에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손톱이 긴 여성이나, 특히 손가락끝에 힘이 없는 고령자에게는 조작이 용이하지 않아, 대단히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신체의 일부에 장착하여(put around) 사용하는 선형 액세서리의 일부를 통하는 절결부(切缺部)와, 상기 절결부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와, 상기 폐쇄 부재를 개폐 조작하기 위해, 상기 폐쇄 부재에 연결된 가동 손잡이(movable part)와, 상기 선형 액세서리의 타부(他部)를 통하는 고정 손잡이(fixed part)를 가지는 환형(環形)의 액세서리 캐치를 위한 개방구로서,
고정 손잡이를 유지하는 제1 유지부;
가동 손잡이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
상기 제2 유지부를 상기 제1 유지부에 상대(相對)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및
제2 유지부를 제1 유지부에 대하여 소정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가동 손잡이와 상기 제1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고정 손잡이를 접근시켜 상기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를 개방 상태로 하는 개방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개방구에 의하면,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의 미소한 가동 손잡이 및 고정 손잡이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개방구를 조작하여 개방구의 제1 유지부와 제2 유지부를 접근시키는 것만으로,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를 용이하게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방구에 있어서, 상기 소정 방향은,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이라도 된다. 이와 같은 개방구에 의하면, 사용자는,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를 일단 개방 상태로 하면, 어떤 힘을 주지 않고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액세서리의 장착을 더욱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방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지부가 상기 제1 유지부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져도 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가동 손잡이와 상기 고정 손잡이와의 접근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가동 손잡이의 상기 고정 손잡이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압압(押壓)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은 개방구에 의하면, 가압 부재 또는 사용자에 의해 부여되는, 제1 유지부와 제2 유지부를 서로 접근시키는 힘을, 더욱 효율적으로, 가동 손잡이와 고정 손잡이를 접근시키는 힘으로 변환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보다 적은 힘으로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를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방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부에 고정된 제1 손잡이와, 상기 제2 유지부에 고정된 제2 손잡이를 더 가져도 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1 손잡이와의 사이 또한 상기 제2 유지부와 상기 제2 손잡이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지부를 상기 제1 유지부에 상대하여 피봇 가능하게(pivotally) 연결하는 회동축(回動軸)이라도 되고, 상기 제2 유지부는 상기 회동축 중심으로 피벗(pivot)하여 상기 제1 유지부에 접근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방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지부의 돌출부는 판형이라도 되고, 상기 제2 유지부가 상기 판형의 돌출부에 형성된 오목공을 가져도 되고, 제1 유지부가 가요성(可撓性) 부재를 가져도 되고, 상기 가요성 부재가 상기 고정 손잡이를 유지하는 오목공을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개방구에 의하면, 가압 부재 또는 사용자에 의해 부여되는, 제1 유지부와 제2 유지부를 서로 접근시키는 힘을, 더욱 효율적으로, 가동 손잡이와 고정 손잡이를 접근시키는 힘으로 변환할 수 있고, 또한 개방 상태의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를, 액세서리의 장착에 바람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지부가 스프링 클래스프의 고정 손잡이와 폐쇄 부재와의 사이에 구획되는 가동 손잡이가 존재하지 않는 반환부(半環部) 또는 랍스터 클래스프의 폐쇄 부재와 가동 손잡이와의 피벗축(pivotal shaft)을 수용하는 베이스를 수용하는 수용공을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개방구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1 유지부에 의한 고정 손잡이의 유지를 더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방구에 있어서, 팔찌를 손목에 장착하는 사용자가 파지(把持)하는 파지봉(把持棒)이, 상기 제1 손잡이 또는 상기 제2 손잡이 중 어느 한쪽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파지봉을 파지하여,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어 개방 상태로 된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를 팔찌를 장착하는 손목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방구에 의하면, 사용자는, 한 손 만밖에 사용할 수 없는 팔찌의 손목에 대한 장착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개방구 본체는, 하부 가동 날개편(lower movable wing)과 상부 가동 날개편(upper movable wing)을 스프링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하부 가동 날개편에는, 선단에 탄성체를 장착하고, 상기 탄성체에는, 선단을 향해 하부 오목공과 오목형 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가동 날개편에는, 선단의 외주 에지에 상부 오목공을 상기 하부 오목공과 서로 대응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 클래스프의 개방구가 제공된다. 제2 태양(態樣)의 개방구에 의해서도, 제1 태양의 개방구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클래스프의 개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개방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개방구의 하부 가동 날개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개방구의 상부 가동 날개편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개방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개방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개방구에 의한 클래스프의 유지의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3의 A―A 단면도(斷面圖)이며, 상부 가동 날개편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랍스터 클래스프의 개략도이다.
도 9의 (a)∼도 9의 (i)는, 각각 하부 가동 날개편의 유지단부(保持端部; holding end)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의 (a)∼도 10의 (i)는, 각각 상부 가동 날개편의 유지단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개방구의 사시도이다.
도 12의 (a)는, 스프링 클래스프와 라운드 점프링(round jumpring)과의 연결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2의 (b)는, 랍스터 클래스프와 라운드 점프링과의 연결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의 (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개방구에 의해 스프링 클래스프를 개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개방구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용법을 설명하면, 제1 실시형태의 개방구(100)의 개방구 본체(1)는, 하측의 하부 가동 날개편(2)과 상측의 상부 가동 날개편(3)을, 서로 대응하여 돌출한 접속편(15)을 회동축(13)에 가동 가능하게 축 장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부 가동 날개편(2)에는, 선단의 일부에 탄성체(4)를 장착한다. 탄성체(4)에는, 길이 방향의 오목형 홈(5)을 형성하는 동시에, 선단에 하부 오목공(6)을 형성한다(도 2).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선단에 형성된 외주 에지(14)에는, 하부 오목공(6)과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오목공(7)이 형성되어 있다(도 3). 하부 가동 날개편(2)과 상부 가동 날개편(3)을 개방하고,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와 고정 손잡이(11)를 개방하고,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와 고정 손잡이(11)에 걸어맞추어 가동축(可動軸)(9)을 개방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걸이 클래스프의 개방구 본체(1)는, 상대하는 하부 가동 날개편(2)과 상부 가동 날개편(3)을, 각각의 접속편(15)을 회동축(13)에 축 장착하여 개폐 가능하게 연결한 구성을 가진다. 회동축(13)의 외주(外周)에는, 복원용의 스프링(12)을 감고 있다. 하부 가동 날개편(2)은, 길이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의 한쪽에 유지단부(2a), 다른 쪽에 손잡이(handle)(2b)를 가지고, 유지단부(2a)와 손잡이(2b)와의 사이에 회동축(13), 스프링(12)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 가동 날개편(3)은 하부 가동 날개편(2)과는 별체이며, 길이 방향의 한쪽에 유지단부(3a), 다른 쪽에 손잡이(handle)(3b)를 가지고, 유지단부(3a)와 손잡이(3b)와의 사이의 회동축(13), 스프링(12)이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12)은, 유지단부(2a)와 유지단부(3a)가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하부 가동 날개편(2), 상부 가동 날개편(3)을 가압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하부 가동 날개편(2)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고, 회동축(13)과 평행한 방향을 개방구(100)의 좌우 방향이라고 하고, 유지단부(2a) 측으로부터 손잡이(2b) 측을 본 좌측, 우측을 각각 개방구(100)의 좌측, 우측이라고 한다. 또한, 하부 가동 날개편(2)의 길이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개방구(100)의 상하 방향으로 한다.
하부 가동 날개편(2)에는, 유지단부(2a) 근방에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가요성 부재)(4)가 장착되어 있다. 탄성체(4)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오목형 홈(5)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체(4)의 유지단부(2a) 측의 단부(端部)에 하부 오목공(6)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가동 날개편(3)에는, 유지단부(3a)의 외주 에지(14)의 하부 오목공(6)과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오목공(7)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클래스프(8)는, 내부에 가동축(폐쇄 부재)(9)과, 그 일부에 가동 손잡이(10)를 가진다. 또한, 클래스프(8)에는, 가동 손잡이(10)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 손잡이(11)를 장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개방구(100)의 효과를 이하에 정리한다.
개방구 본체(1)는, 상부 가동 날개편(3)과 하부 가동 날개편(2)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클래스프 부분이 작아서, 손가락끝에 힘이 약한 사람이나 고령자라도 용이하게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상하의 가동 날개편과 스프링(12)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힘이 없어도 용이하게 협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가동 날개편(2)에는, 유지단부(2a)에 고무 등의 탄성체(4)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협지했을 때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탄성체(4)에 형성한 하부 오목공(6)과 오목형 홈(5)은, 상대하는 가동 손잡이(10)와 고정 손잡이(11)를 확실히 견고하게 협지(sandwich)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개방구(100)에 의하면,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유지단부(3a)에 있어서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를 유지하고 또한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유지단부(2a)에 있어서 클래스프(8)의 고정 손잡이(11)를 유지한 상태에서,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의해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유지단부(3a)와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유지단부(2a)를 접근시키고,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와 고정 손잡이(11)를 접근시키고 있다. 이로써, 클래스프(8)의 가동축(9)이 이동하고, 클래스프(8)가 개방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개방구(100)에 의하면, 사용자는, 개방구(100)의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손잡이(2b) 및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손잡이(3b)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클래스프(8)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환언하면, 사용자는, 미소한 부분인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 및 고정 손잡이(11)를 직접 손가락으로 조작하지 않고, 클래스프(8)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단부(2a)를 조작하기 위해 유지단부(2a)와 일체로 형성된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손잡이(2b)는, 상부 가동 날개편(3) 및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손잡이(3b)와 대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부 가동 날개편(3) 및 손잡이(3b)에 대향한 상태를 유지한 채, 상부 가동 날개편(3) 및 손잡이(3b)에 대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유지단부(2a)를 유지단부(3a)에 대하여, 접근·이격시킨다. 다시 말하자면,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손잡이(2b)는, 상부 가동 날개편(3)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지 않고, 따라서 유지단부(2a)는 유지단부(3a)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지 않고, 회동축(13) 주위로 피벗하여, 유지단부(3a)에 접근·이격된다. 마찬가지로, 유지단부(3a)를 조작하기 위해 유지단부(3a)와 일체로 형성된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손잡이(3b)는, 하부 가동 날개편(2) 및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손잡이(2b)와 대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하부 가동 날개편(2) 및 손잡이(2b)에 대향한 상태를 유지한 채, 하부 가동 날개편(2) 및 손잡이(2b)에 대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유지단부(3a)를 유지단부(2a)에 대하여, 접근·이격시킨다. 다시 말하자면,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손잡이(3b)는, 하부 가동 날개편(2)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지 않고, 따라서 유지단부(3a)는 유지단부(2a)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지 않고, 회동축(13) 주위로 피벗하여, 유지단부(2a)로 접근·이격된다.
본 실시형태의 개방구(100)에 의하면, 사용자가 하부 가동 날개편(2) 및 상부 가동 날개편(3)에 힘을 부여하지 않는 동안은,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유지단부(2a) 및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유지단부(3a)는,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의해 접근한 위치에 유지되고, 나아가서는 클래스프(8)가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개방구(100)에 의하면, 사용자는, 일단 클래스프(8)를 개방한 후에는, 어떤 힘을 가하지 않고 클래스프(8)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목걸이 등의 액세서리를 장착하기 위해 클래스프(8)를 개방한 사용자는, 이어서, 클래스프(8)와, 목걸이의 클래스프(8)와는 상이한 위치(일례로서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된 부분[일례로서 링부(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여, 목걸이를 폐환(閉環) 형태로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미소(微小)한 클래스프(8)의 개방부에, 마찬가지로 미소한 링부 등을 걸어맞추는 집중력을 가지는 작업이 요구된다. 본 실시형태의 개방구(100)에 의하면, 사용자는, 클래스프(8)의 개방 상태의 유지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클래스프(8)의 개방부에 목걸이의 링부 등을 통하는 작업에만 집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하부 가동 날개편(2)에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단부(2a) 근방에 탄성체(4)가 장착되어 있고, 탄성체(4)의 유지단부(2a) 측의 단부에는, 깊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斷面)이 대략 반원형인 하부 오목공(6)이 형성되어 있다(도 5). 하부 가동 날개편(2)은, 탄성체(4)의 하부 오목공(6)에, 클래스프(8)의 고정 손잡이(11)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고정 손잡이(11)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하부 가동 날개편(2)은, 고정 손잡이(11)의 좌우 방향의 미끄러짐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단부(2a) 및 탄성체(4)는 선형 부재는 아니고, 고정 손잡이(11)에 면접촉하여 이것을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개방구(100)의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유지단부(3a)에는,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 에지부로부터 세워져 하부 가동 날개편(2)을 향해 돌출하는 외주 에지(14)(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 에지(14)의 일부에, 깊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대략 반원형인 상부 오목공(7)이 형성되어 있다(도 5).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가동 날개편(3)은, 상부 오목공(7)의 상단부(7a)에 의해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를 압압(押壓)하고, 가동 손잡이(10)를 고정 손잡이(11)를 향해 슬라이딩시킨다. 여기서, 상부 오목공(7)의 상단부(7a)는, 가동 손잡이(10)의, 고정 손잡이(1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면을 압압한다. 따라서 스프링(12)의 가압력은, 가동 손잡이(10)를 고정 손잡이(11)에 접근시키는 압압력(押壓力)에 의해, 효율적으로 변환된다. 또한, 상부 가동 날개편(3)은, 상부 오목공(7)에 가동 손잡이(10)가 끼워넣은 상태에서 가동 손잡이(10)를 압압한다. 따라서 가동 손잡이(10)의 좌우 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이 억제된다. 그리고, 유지단부(3a)는 선형 부재는 아니고, 가동 손잡이(10)를 에워싸지 않고 이것을 압압한다.
본 실시형태의 개방구(100)는,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유지단부(2a)에 의해, 클래스프(8)의 고정 손잡이(11)의 좌우 방향의 미끄러짐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유지단부(3a)에 의해,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의 좌우 방향의 미끄러짐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개방구(100)에 의하면, 클래스프(8)가 개방구(100)에 대하여 선 상태[클래스프(8)가 개방구(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 또는 클래스프(8)의 환부(環部)(8C)의 중심축(X1, X4)(도 12)이, 유지단부(2a)와 유지단부(3a)가 접근하여 이격되는 소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 또는 클래스프(8)의 환부(8C)의 중심축(X1, X4)(도 12)이, 개방구(100)의 회동축(13)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클래스프(8)를 유지하여, 클래스프(8)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있어서는 클래스프(8)는 스프링 클래스프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클래스프(8)는, 도 8에 나타낸 랍스터 클래스프라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랍스터 클래스프도 스프링 클래스프와 마찬가지로, 가동축(9), 가동 손잡이(10), 고정 손잡이(11)를 가진다. 랍스터 클래스프를 개방할 때는, 가동 손잡이(10)를 고정 손잡이(11)에 접근시키고, 가동축(9)을 도 8 중의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프링 클래스프의 고정 손잡이(11)(도 6), 랍스터 클래스프의 고정 손잡이(11)(도 8)에는, 스프링 클래스프 또는 랍스터 클래스프와 액세서리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원환(圓環)이 형성되어 있다. 그 외에 클래스프(8)는, 가동축(9), 가동 손잡이(10), 고정 손잡이(11)를 가지고, 스프링 클래스프, 랍스터 클래스프와 동등하게 작용 가능한 임의의 부품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유지단부(2a)는, 클래스프(8)의 환부(8C)를 유지하지 않고, 고정 손잡이(11)만을 유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개방구(100)는, 클래스프(8)가 스프링 클래스프인 경우에는, 스프링 클래스프의 환부(8C)가 어떠한 사이즈라도, 고정 손잡이(11)만을 유지하여, 바람직하게 클래스프(8)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지단부(2a)는, 클래스프(8)가 일반적으로 스프링 클래스프와는 두께가 상이한 랍스터 클래스프라도 바람직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랍스터 클래스프가 어떠한 사이즈라도, 고정 손잡이(11)만을 유지하여, 바람직하게 클래스프(8)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단부(2a)를, 고정 손잡이(11)에 더하여 환부(8C)도 유지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유지단부(2a)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탄성체(4)의 유지단부(2a) 측의 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3개의 하부 오목공(6)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도 9의 (f)], 2개 또는 3개 이상의 하부 오목공(6)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탄성체(4)에 형성되는 하부 오목공(6)은, 좌우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는 대략 V자의 절입(切入; cutout)이라도 된다[도 9의 (g)]. 또는, 탄성체(4)의 하부 오목공(6)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대략 V자 절입을 형성해도 되고, 그 수는 2개 이상에서 임의이다[도 9의 (h)].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형 홈(5)을 가지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탄성체(4)는, 하부 오목공(6)만을 가지고, 오목형 홈(5)을 가지지 않는 구조라도 된다. 또한, 탄성체(4)는, 오목형 홈(5)과 하부 오목공(6)의 양쪽을 가지지 않는 구조라도 된다[도 9의 (i)].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유지단부(2a)에는, 탄성체(4)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유지단부(2a)에, 깊이 방향의 단면이 대략 반구형인 3개의 하부 오목공(6)을 형성해도 되고,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하부 오목공(6)을 형성해도 된다[도 9의 (a)]. 또는, 유지단부(2a)에 형성하는 하부 오목공(6)은, 좌우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는 대략 V자의 절입이라도 되고[도 9의 (b)],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대략 V자 절입이라도 된다[도 9의 (c)]. 또는, 유지단부(2a)는 하부 오목공(6)을 가지지 않고, 유지단부(2a)로부터 상승하는 외주 에지(14)를 가지는 것만이라도 된다[도 9의 (d)].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유지단부(3a)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유지단부(3a)에는, 좌우 방향으로 3개의 상부 오목공(7)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도 10의 (a)], 2개 또는 4개 이상의 상부 오목공(7)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유지단부(3a)에 형성되는 상부 오목공(7)은, 좌우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는 대략 V자의 절입이라도 된다[도 10의 (b)]. 또는, 유지단부(3a)에 형성되는 상부 오목공(7)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대략 V자 절입을 형성해도 되고, 그 수는 2개 이상에서 임의이다[도 10의 (c)]. 또한, 유지단부(3a)는, 상부 오목공(7)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도 10의 (d)].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유지단부(3a)에, 탄성체(43)가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탄성체(43)는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깊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대략 반원형인 상부 오목공(7)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도 10의 (e)], 좌우 방향으로 3개의 상부 오목공(7)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도 10의 (f)], 2개 또는 4개 이상의 상부 오목공(7)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는 탄성체(43)의 가지는 상부 오목공(7)은, 좌우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는 대략 V자의 절입이라도 되고[도 10의 (g)],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대략 V자 절입이라도 된다[도 10의 (h)]. 또는, 탄성체(43)는 상부 오목공(7)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상기 다양한 변형예의 유지단부(2a), 유지단부(3a)를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례로서, 좌우 방향으로 3개의 하부 오목공(6)이 형성된 탄성체(4)를 가지는 유지단부(2a)[도 9의 (f)]와, 좌우 방향으로 3개의 상부 오목공이 형성된 유지단부(3a)[도 10의 (a)]를 사용함으로써, 유지단부(2a, 3a)에 의한 클래스프(8)의 유지가 더욱 용이해진다. 하부 오목공(6), 상부 오목공(7)이 각각 3개 존재함으로써, 사용자는, 개방구(100)의 좌우 방향의 중심 근방에 클래스프(8)를 배치하지 않아도, 하부 오목공(6)과 고정 손잡이(11)와의 걸어맞춤, 및 상부 오목공(7)과 가동 손잡이(10)와의 걸어맞춤을 더욱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유지단부(2a)를, 유지단부(2a)에 직접 3개의 하부 오목공(6)이 형성된 태양[도 9의 (a)]이나, 유지단부(2a) 또는 탄성체(4)에 복수의 V자 절입이 형성된 태양[도 9의 (c)], 도 9의 (h)와 치환하여, 및/또는 유지단부(3a)를, 탄성체(43)에 3개의 상부 오목공(7)이 형성된 태양[도 10의 (f)]이나 유지단부(3a) 또는 탄성체(43)에 복수의 V자 절입이 형성된 태양[도 10의 (c)], 도 10의 (h)으로 치환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클래스프(8)의 유지의 용이화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하부 오목공(6)으로서 v자 절입이 형성된 탄성체(4)를 가지는 유지단부(2a)[도 9의 (g)]와, 상부 오목공(7)으로서 v자 절입이 형성된 유지단부(3a)[도 10의 (b)]를 사용함으로써, 유지단부(2a, 3a)에 의한 클래스프(8)의 유지가 더욱 용이해진다. 하부 오목공(6)이 v자 절입이므로, 좌우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하부 오목공(6)의 근방에 배치된 클래스프(8)의 고정 손잡이(11)는, 하부 오목공(6)에 맞닿은 후, 하부 오목공(6)의 표면을 슬라이딩 이동하여 좌우 방향의 중앙부로 가이드된다. 마찬가지로, 상부 오목공(7)이 v자 절입이므로, 좌우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상부 오목공(7)의 근방에 배치된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는, 상부 오목공(7)에 맞닿은 후, 상부 오목공(7)의 표면을 슬라이딩 이동하여 좌우 방향의 중앙부로 가이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우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클래스프(8)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좌우 방향의 중앙부(V자 절입의 가장 깊은 부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클래스프(8)를 개방하거나 또한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단부(2a)를, 유지단부(2a)에 직접 v자 절입인 하부 오목공(6)이 형성된 태양[도 9의 (b)]으로 치환하여, 및/또는 유지단부(3a)를, 탄성체(43)에 V자 절입인 상부 오목공(7)이 형성된 태양[도 10의 (g)]으로 치환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클래스프(8)의 유지의 용이화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외에, 유지단부(2a)와 유지단부(3a)는, 도 9, 도 10에 나타낸 변형예의 임의의 조합이라도 된다.
그리고, 탄성체(4, 43)로서는, 실리콘, 고무 등 임의의 가요성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가요성 부재는, 클래스프(8)를 개방할 때, 가동 손잡이(10) 및 고정 손잡이(11)가 가라앉지(sinking) 않을 정도의 경도(硬度)를 가지고, 또한 유지한 가동 손잡이(10), 고정 손잡이(11)의 좌우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억제할 수 있을 정도의 정마찰(靜摩擦; static friction) 계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프링(12)은, 회동축(13)의 주위에 배치된 토션 스프링이지만, 스프링(12)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스프링 등 임의의 구조라도 된다. 또한, 스프링(12)은,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유지단부(2a)와 접속편(15)과의 사이, 및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유지단부(3a)와 접속편(15)과의 사이에 장착된 인장(引張) 스프링이라도 되고,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손잡이(2b)와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손잡이(3b)와의 사이에 장착된 압축 스프링이라도 된다. 이들 스프링(12)에 의해서도, 유지단부(2a)와 유지단부(3a)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하부 가동 날개편(2), 상부 가동 날개편(3)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12)은, 유지단부(2a)와 유지단부(3a)를 접근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었지만, 스프링(12)은, 유지단부(2a)와 유지단부(3a)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해도 된다. 이와 같은 개방구(100)에 의해서도, 사용자는, 개방구(100)의 손잡이(2b) 및 손잡이(3b)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클래스프(8)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환언하면, 사용자는, 미소한 부분인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 및 고정 손잡이(11)를 직접 손가락으로 조작하지 않고, 클래스프(8)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부 가동 날개편(2)에 탄성체(4)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하부 가동 날개편(2)의 유지단부(2a)에 연마 처리를 행하고, 유지단부(2a)와의 접촉에 의한 클래스프(8)의 고정 손잡이(11)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부 가동 날개편(3)에 탄성체(43)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 가동 날개편(3)의 유지단부(3a)에 연마 처리를 행하고, 유지단부(3a)와의 접촉에 의한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부 가동 날개편(3) 상면에, 상부 오목공(7)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사용자는, 마크를 육안으로 관찰하ㅇ여,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와 상부 오목공(7)과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는, 상부 가동 날개편(3) 중 적어도 유지단부(3a) 근방을 투명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도,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와 상부 오목공(7)과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도 11∼도 13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는, 하부 가동 날개편(32)의 유지단부(32a)가, 클래스프(8)를 유지하는 유지공(保持孔)(31)을 구비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개방구(100)와 주로 상이하게 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는, 길이 방향(도 1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가동 날개편(32)과 동일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가동 날개편(33)을 가지고, 하부 가동 날개편(32)과 상부 가동 날개편(33)은, 회동축(34)을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 가동 날개편(32) 및 상부 가동 날개편(33)은, 회동축(34) 주위로 피벗 가능하다.
하부 가동 날개편(32)의 한쪽의 단부는, 유지단부(32a)이며, 다른 쪽의 단부 및 그 근방은 손잡이(32b)이다. 도 11에서는, 도면 중의 좌측 방향에 유지단부(32a)를, 우측에 손잡이(32b)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하부 가동 날개편(32)의, 유지단부(32a)와 손잡이(32b)와의 사이에는 넥(neck)(32c)이 구획되어 있다. 유지단부(32a)는, 대략 반구형(半球形)이며, 상면(32au)가, 넥(32c)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만큼 경사져 있다.
유지단부(32a)의 상면(32au)에는, 유지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공(31)은, 대략 타원형의 메인홀(main hole)(31m), 대략 직사각형의 세로홈(31v) 및 대략 직사각형의 가로홈(31h)을 가진다. 메인홀(31m)은 대략 타원형이며, 그 주축(主軸) 방향과 하부 가동 날개편(32)의 길이 방향이 평행이다. 세로홈(31v)은, 메인홀(31m)의 넥(32c) 측의 단부에 연이어 접촉되어, 메인홀(31m)의 주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로홈(31h)은, 메인홀(31m)의 넥(32c) 측의 단부에 연이어 접촉하고, 메인홀(31m)의 주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홀(31m)은, 클래스프(8)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공이며, 이로써, 클래스프(8)를 유지한다. 메인홀(31m)에 의한 클래스프(8)의 유지는, 클래스프(8)의 환부(8C)를, 중심축(X1, X4)(도 12)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지지하여 행해지고, 이로써, 클래스프(8)가 개방구(300)에 대하여 선 상태[클래스프(8)가 개방구(3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 또는 클래스프(8)의 환부(8C)의 중심축(X1, X4)(도 12)이, 유지단부(32a)와 유지단부(33a)가 접근해 이격되는 소정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 또는 클래스프(8)의 환부(8C)의 중심축(X1, X4)(도 12)이, 개방구(300)의 회동축(34)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메인홀(31m)을 사용하여 클래스프(8)의 유지를 행하기 위해, 클래스프(8)의 폐쇄 부재(9)를 개방할 때,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클래스프(8)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에 있어서는, 메인홀(31m)에 클래스프(8)의 환부(8C)를 수용하여 클래스프(8)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는, 클래스프(8)가 스프링 클래스프라도 랍스터 클래스프라도, 또는 그 외의 구조라도, 또한 스프링 클래스프나 랍스터 클래스프의 환부(8C)가 어떠한 사이즈라도, 메인홀(31m) 내에서 개방구(300)에 대하여 선 상태로 지지될 수 있는 한, 메인홀(31m)에 의해 바람직하게 클래스프(8)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홀(31m)은, 클래스프(8)가 스프링 클래스프인 경우에는, 환부(8C) 중, 고정 손잡이(11)와 가동축(9)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가동 손잡이(10)가 존재하지 않는 원호부인 반환부(8Ch)를 수용·지지하고, 클래스프(8)가 랍스터 클래스프인 경우에는, 환부(8C) 중, 가동축(9)과 가동 손잡이(10)와의 피벗축(X7)을 수용하는 베이스(8Cb)를 수용·지지한다(도 12). 그리고, 메인홀(31m)의 형상은 대략 타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형상·치수의 클래스프(8)를, 개방구(300)에 대하여 선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세로홈(35v)은, 클래스프(8)에 연결된 라운드 점프링(C)(도 12)의 일부를, 클래스프(8)와 평행하게 유지하는 부분이다. 가로홈(35h)은, 클래스프(8)에 연결된 라운드 점프링(C)의 일부를, 클래스프(8)와 직교하여 유지하는 부분이다.
클래스프(8)가 스프링 클래스프인 경우에는,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손잡이(11)가, 스프링 클래스프의 환부(8C)의 중심축(X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심축(X2)을 가지는 대략 원환으로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고정 손잡이(11)에 연결되는 라운드 점프링(C)의 중심축(X3)은, 스프링 클래스프의 환부(8C)의 중심축(X1)과 평행하게 된다. 한편, 클래스프(8)가 랍스터 클래스프인 경우에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손잡이(11)가, 랍스터 클래스프의 환부(8C)의 중심축(X4)과 평행한 방향으로 중심축(X5)을 가지는 대략 원환으로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고정 손잡이(11)에 연결되는 라운드 점프링(C)의 중심축(X6)은, 랍스터 클래스프의 환부(8C)의 중심축(X4)과 직교한다. 따라서, 한정은 되지 않지만, 유지공(31)의 세로홈(35v)은 스프링 클래스프에 연결된 라운드 점프링(C)을 유지하는 데 적합하고, 가로홈(35h)은 랍스터 클래스프에 연결된 라운드 점프링(C)을 유지하는 데 적합하다.
상부 가동 날개편(33)의 한쪽의 단부는, 유지단부(33a)이며, 다른 쪽의 단부 및 그 근방은 손잡이(33b)이다. 도 11에서는, 도면 중의 좌측 방향에 유지단부(33a)를, 우측에 손잡이(33b)를 나타내고 있다. 유지단부(33a)는, 유지단부(32a)를 향해 되접힌 벤딩부[박판부(薄板部)](33c1)를 가지고 있고, 벤딩부(33c1)에는 상부 오목공(37)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가동 날개편(32)과 상부 가동 날개편(33)은, 회동축(34)의 근방에 배치된 판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유지단부(32a)와 유지단부(33a)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32b, 33b)를 파지하여 유지단부(32a)와 유지단부(33a)를 이격시킬 수 있고[도 13의 (a)], 손잡이(32b, 33b)를 해방(릴리스)하여 유지단부(32a)와 유지단부(33a)를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도 13의 (b)]. 그리고, 유지단부(32a)를 조작하기 위해 유지단부(32a)와 일체로 형성된 하부 가동 날개편(32)의 손잡이(32b)는, 상부 가동 날개편(33) 및 상부 가동 날개편(33)의 손잡이(33b)와 대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부 가동 날개편(33) 및 손잡이(33b)에 대향한 상태를 유지한 채, 상부 가동 날개편(33) 및 손잡이(33b)에 대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유지단부(32a)를 유지단부(33a)에 대하여, 접근·이격시킨다. 다시 말하자면, 하부 가동 날개편(32)의 손잡이(32b)는, 상부 가동 날개편(33)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지 않고, 따라서 유지단부(32a)는 유지단부(33a)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지 않고, 회동축(34) 주위로 피벗하여, 유지단부(33a)에 접근·이격된다. 마찬가지로, 유지단부(33a)를 조작하기 위해 유지단부(33a)와 일체로 형성된 상부 가동 날개편(33)의 손잡이(33b)는, 하부 가동 날개편(32) 및 하부 가동 날개편(32)의 손잡이(32b)와 대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하부 가동 날개편(32) 및 손잡이(32b)에 대향한 상태를 유지한 채, 하부 가동 날개편(32) 및 손잡이(32b)에 대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유지단부(33a)를 유지단부(32a)에 대하여, 접근·이격시킨다. 다시 말하자면, 상부 가동 날개편(33)의 손잡이(33b)는, 하부 가동 날개편(32)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지 않고, 따라서 유지단부(33a)는 유지단부(32a)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지 않고, 회동축(34) 주위로 피벗하여, 유지단부(32a)에 접근·이격된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클래스프(8)를 개방할 때는, 먼저, 손잡이(32b, 33b)를 손가락(F)으로 파지하여 유지단부(32a)와 유지단부(33a)를 서로 이격시켜, 유지공(31)에 클래스프(8)를 배치한다[도 13의 (a)].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클래스프 또는 랍스터 클래스프의 환부(8C)를 메인홀(31m)에, 스프링 클래스프 또는 랍스터 클래스프에 연결된 라운드 점프링(C)을, 세로홈(31v) 또는 가로홈(31h)에 배치한다. 이 때, 클래스프(8)의 고정 손잡이(11)는, 세로홈(31v)과 가로홈(31h)과의 교차부(31x)에 있어서 유지되고, 라운드 점프링(C)는 세로홈(31v) 또는 가로홈(31h)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클래스프(8)의 환부(8C)의 중심축(X1, X4)은, 유지단부(32a)와 유지단부(33a)가 서로 접근, 이격되는 소정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방향[회동축(34)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유지공(31)은, 클래스프(8)의 고정 손잡이(11) 또는 고정 손잡이(11)에 연결된 라운드 점프링(C) 중 어느 한쪽만을 유지하여 클래스프(8)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유지공(31)은 메인홀(31m)만을 가지고, 세로홈(35v), 가로홈(35h)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고정 손잡이(11)의 유지는, 메인홀(31m)의 에지에 있어서, 유지단부(32a)의 상면(32au)에 의해 행해진다. 즉, 유지단부(32a)의 상면(32au)이 고정 손잡이(11)를 유지하는 유지부로 된다.
다음에, 손잡이(32b, 33b)를 파지하는 힘을 약하게 하여 손잡이(32b, 33b)를 해방(릴리스)하면, 유지단부(33a)가 유지단부(32a)에 접근하고,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에 벤딩부(33c1)의 상부 오목공(37)이 걸어맞추어진다. 그 후 벤딩부(33c1)는, 가동 손잡이(10)의, 고정 손잡이(1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압압함으로써, 세로홈(31v)과 가로홈(31h)과의 교차부(31x)에 의해 유지된 고정 손잡이(11)를 향해 가동 손잡이(10)를 슬라이딩시켜, 클래스프(8)를 개방한다[도 13의 (b)].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클래스프(8)에, 목걸이의 클래스프(8)와는 상이한 부분(일례로서,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된 링 등을 통한 후, 재차 손잡이(32b, 33b)를 파지하여 클래스프(8)의 유지를 해제함으로써, 목걸이의 장착을 완료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에 의하면, 클래스프(8)를 유지공(31)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어서, 손잡이(32b, 33b)를 유지하는 힘을 약하게 하면 용이하게 클래스프(8)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1 실시형태의 개방구(100)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클래스프(8)를 더 한층 용이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에 있어서, 메인홀(31m)의 형상은 대략 타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형상·치수의 클래스프(8)를, 클래스프(8)의 환부(8C)의 중심축(X1, X4)이 유지단부(32a)와 유지단부(33a)가 서로 접근, 이격되는 소정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방향[회동축(34)과 평행한 방향]에 배치되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일례로서, 메인홀(31m)은, 스프링 클래스프인 클래스프(8)의 반환부(8Ch) 중 적어도 2분의 1을, 중심축(X1)의 양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3분의 2를 중심축(X1)의 양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랍스터 클래스프인 클래스프(8)의 베이스(8Cb)의 고정 손잡이(11)와 가동축(9)과의 사이에 연장되는 변을 대략 전역(全域)에 걸쳐서 중심축(X4)의 양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에 있어서, 유지단부(33a)의 벤딩부(33c1)는 상부 오목공(37)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그 외에, 유지단부(33a)의 구조는, 단일의 상부 오목공(37)을 가지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제1 실시형태의 개방구(100)와 마찬가지로, 도 10의 (a)∼도 10의 (i)에 나타낸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에 있어서, 유지단부(32a)는 임의의 재료에 의해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실리콘이나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지공(31)의 표면에 실리콘 등을 코팅하고, 유지공(31)에 쿠션성을 부여해도 된다. 또한, 유지공(31)에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보다 다채로운 형상·치수의 클래스프(8)를 바람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도 14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개방구(500)는, 하부 가동 날개편(52)에 연결된 파지봉(58)을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의 개방구(100),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와 다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개방구(500)는, 길이 방향(도 14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가동 날개편(52)과 동일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가동 날개편(53)을 가지고, 하부 가동 날개편(52)과 상부 가동 날개편(53)은, 회동축(54)을 통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 가동 날개편(52) 및 상부 가동 날개편(53)은, 회동축(54) 주위로 피벗 가능하다.
하부 가동 날개편(52)의 한쪽의 단부는, 유지단부(52a)이며, 다른 쪽의 단부 및 그 근방은 손잡이(52b)이다. 도 14에서는, 도면 중의 좌측 방향에 유지단부(52a)를, 우측에 손잡이(52b)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하부 가동 날개편(52)의, 유지단부(52a)와 손잡이(52b)와의 사이에는 넥(52c)이 구획되어 있다. 유지단부(52a)는, 대략 반구형이며, 상면(52au)이, 넥(52c)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만큼 경사져 있다.
유지단부(52a)의 상면(52au)에는, 유지공(51)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공(51)의 구성은,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의 유지공(31)과 동일하다. 또한, 손잡이(52b)에는, 하부 가동 날개편(52)의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여, 파지봉(58)이 착탈(着脫)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파지봉(58)은, 직경이 약 1센치 정도의 원기둥형이다.
상부 가동 날개편(53)의 한쪽의 단부는, 유지단부(53a)이며, 다른 쪽의 단부 및 그 근방은 손잡이(53b)이다. 도 14에서는, 도면 중의 좌측 방향에 유지단부(53a)를, 우측에 손잡이(53b)를 나타내고 있다. 유지단부(53a)는,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의 유지단부(33a)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지고, 벤딩부(53c1)와 상부 오목공(57)을 가진다.
하부 가동 날개편(52)과 상부 가동 날개편(53)은, 회동축(54)의 근방에 배치된 판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유지단부(52a)와 유지단부(53a)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봉(58)을 파지하여, 엄지에 의해 손잡이(53b)에 압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유지단부(52a)와 유지단부(53a)를 이격시킬 수 있고(도 14), 손잡이(33b)를 해방(릴리스)하여 유지단부(52a)와 유지단부(53a)를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유지단부(52a)를 조작하기 위해 유지단부(52a)와 일체로 형성된 하부 가동 날개편(52)의 손잡이(52b)는, 상부 가동 날개편(53) 및 상부 가동 날개편(53)의 손잡이(53b)와 대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부 가동 날개편(53) 및 손잡이(53b)에 대향한 상태를 유지한 채, 상부 가동 날개편(53) 및 손잡이(53b)에 대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유지단부(52a)를 유지단부(53a)에 대하여, 접근·이격시킨다. 다시 말하자면, 하부 가동 날개편(52)의 손잡이(52b)는, 상부 가동 날개편(53)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지 않고, 따라서 유지단부(52a)는 유지단부(53a)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지 않고, 회동축(54) 주위로 피벗하여, 유지단부(53a)에 접근·이격된다. 마찬가지로, 유지단부(53a)를 조작하기 위해 유지단부(53a)와 일체로 형성된 상부 가동 날개편(53)의 손잡이(53b)는, 하부 가동 날개편(52) 및 하부 가동 날개편(52)의 손잡이(52b)와 대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하부 가동 날개편(52) 및 손잡이(52b)에 대향한 상태를 유지한 채, 하부 가동 날개편(52) 및 손잡이(52b)에 대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유지단부(53a)를 유지단부(52a)에 대하여, 접근·이격시킨다. 다시 말하자면, 상부 가동 날개편(53)의 손잡이(53b)는, 하부 가동 날개편(52)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지 않고, 따라서 유지단부(53a)는 유지단부(52a)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지 않고, 회동축(54) 주위로 피벗하여, 유지단부(52a)에 접근·이격된다.
제3 실시형태의 개방구(500)을 사용하여, 클래스프(8)를 개방하는 방법은,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에서의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형태의 개방구(500)의 파지봉(58)은, 일례로서, 팔찌를 팔에 장착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팔찌를 좌측 팔에 장착하도록 하는 사용자는, 먼저 유지공(51)과 유지단부(53a)를 사용하여, 클래스프(8)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파지봉(58)의 선단부를 왼손의 손가락과 손바닥으로 협지하고, 개방구(500)의 유지단부(52a)를 왼손목 상에 배치한다. 이로써, 개방된 클래스프(8)는, 유지단부(52a), 하부 가동 날개편(52), 파지봉(58)을 통하여, 왼손에 의해, 왼손목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이 상태의 아래, 사용자는, 클래스프(8)에, 팔찌의 클래스프(8)와는 반대측의 단부 등에 배치된 링 등을 걸어맞추어, 용이하게 팔찌의 장착을 완료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파지봉(58)은, 목걸이를 장착할 때도 사용할 수 있다. 목걸이를 장착하도록 하는 사용자는, 파지봉(58)을 파지함으로써, 목주위의 높은 위치까지 팔을 올리지 않고, 개방 상태의 클래스프(8)를 목 부분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링 등을 통하는 작업에 시간이 걸린 경우라도, 개방구(500)를 유지하는 팔을 높은 위치에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방구(500)를 유지하는 팔의 피로가 경감된다.
그리고, 파지봉(58)은 길이가 가변(可變)이라도 된다. 일례로서, 망원경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에 의해 파지봉(58)을 형성함으로써, 길이 가변의 파지봉(58)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파지봉(58)과 하부 가동 날개편(52)와의 사이의 각도는 가변이라도 된다. 사용자는, 파지봉(58)의 길이, 및 파지봉(58)과 하부 가동 날개편(52)과의 사이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가능한 위치에 있어서, 개방한 클래스프(8)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지봉(58)은 하부 가동 날개편(52)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었지만, 파지봉(58)과 하부 가동 날개편(52)과는 서로 분리 불가능해도 된다. 또한, 파지봉(58)은, 상부 가동 날개편(53)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제1 실시형태의 개방구(100),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에, 제3 실시형태의 파지봉(58)을 부여해도 된다.
상기한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 제3 실시형태의 개방구(500)에 있어서, 하부 가동 날개편(32, 52)의 유지단부(32a, 52a)는, 넥(32c, 52c)에 대하여 착탈 가능해도 된다. 이 경우, 유지공(31, 51)의 치수,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유지단부(32a, 52a)를 사용하고, 이것을 택일적으로 넥(32c, 52c)에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치수·형상의 클래스프(8)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개방구(300, 500)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 제3 실시형태의 개방구(500)에 있어서, 유지공(31, 51)에 연통되는 퇴피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유지공(31, 51)에 의해 유지되는 라운드 점프링(C)에 연결하고 있는 목걸이 등의 액세서리 본체를, 이 퇴피홈에 배치함으로써, 액세서리 본체와, 상부 가동 날개편(33, 53)과의 접촉을 회피하여, 더욱 바람직하게 클래스프(8)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한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 제3 실시형태의 개방구(500)에 있어서는, 판스프링을 사용하여 유지단부(32a, 52a)와 유지단부(33a, 53a)를 가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 제3 실시형태의 개방구(500)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의 개방구(100)와 마찬가지로, 토션 스프링, 인장 스프링, 압축 스프링 등을 사용한 다양한 구성에 의해, 유지단부(32a, 52a)와 유지단부(33a, 53a)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한 제2 실시형태의 개방구(300), 제3 실시형태의 개방구(500)에 있어서는, 판스프링(가압 부재)은, 유지단부(32a, 52a)와, 유지단부(33a, 53a)를 접근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었지만, 판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는, 유지단부(32a, 52a)와, 유지단부(33a, 53a)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해도 된다. 이와 같은 개방구(300, 500)에 의해서도, 사용자는, 개방구(300, 500)의 하부 가동 날개편(32, 52)의 손잡이(32b, 52b) 및 상부 가동 날개편(33, 53)의 손잡이(33b, 53b)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클래스프(8)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환언하면, 사용자는, 미소한 부분인 클래스프(8)의 가동 손잡이(10) 및 고정 손잡이(11)을 직접 손가락으로 조작하지 않고, 클래스프(8)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상기한 각각의 실시형태의 개방구(100, 300, 500)는, 루페(loupe; 확대경)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거나, 또는 확대경을 장착 가능한 장착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개방구를 사용하여 클래스프(8)와 링을 걸어맞추고, 액세서리를 장착하는 작업은 양 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클래스프(8)와 링과의 걸어맞춤 시에 확대경을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방구에 의하면, 개방구를 유지하는 것만으로 확대경을 통하여 클래스프(8)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으므로, 클래스프(8) 및 링을 확대하여 보며, 클래스프(8)와 링과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한 각각의 실시형태의 개방구(100, 300, 500)에 있어서, 유지단부(2a, 32a, 52a)와, 유지단부(3a, 33a, 53a)를 접근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2) 등의 가압 부재는, 가압을 정지하는 록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개방구에 의하면, 록 기능을 사용하여 유지단부(2a, 32a, 52a)와, 유지단부(3a, 33a, 53a)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단부(2a, 32a, 52a)에 의한 클래스프(8)의 고정 손잡이(11)의 유지, 유지단부(3a, 33a, 53a)에 의한 가동 손잡이(10)의 유지를,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록 기능은, 손잡이(2b, 32b, 52b) 및 손잡이(3b, 33b, 53b)에 압압력을 부여하는 것만으로 해제할 수 있는 기구(機構)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 클래스프와 랍스터 클래스프의 양쪽에 사용 가능한 개방구를 예시했지만, 랍스터 클래스프 또는 스프링 클래스프, 또는 그 어느 하나에 유사한 액세서리 클래스프에 특화한 개방구로 되도록, 개방구의 구조를 개변(改變)해도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을 유지하는 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생각되는 그 외의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의 힘이나 손톱의 길이, 시력 등에 관계없이, 누구라도 간단하게 목걸이 등의 액세서리의 클래스프를 개방할 수 있는 개방구를 제공할 수 있다.
100, 300, 500; 개방구
1; 개방구 본체
2, 32, 52; 하부 가동 날개편
2a, 32a, 52a; 유지단부
2b, 32b, 52b; 손잡이
3, 33, 53; 상부 가동 날개편
3a, 33a, 53a; 유지단부
3b, 33b, 53b; 손잡이
31, 51; 유지공
4, 43; 탄성체
5; 오목형 홈
58; 파지봉
6; 하부 오목공
7, 37, 57; 상부 오목공
8; 클래스프
9; 가동축
10; 가동 손잡이
11; 고정 손잡이
12; 스프링
13, 34, 54; 회동축
14; 외주 에지
15; 접속편

Claims (10)

  1. 신체의 일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선형 액세서리의 일부를 통하는 절결부(切缺部); 상기 절결부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 상기 폐쇄 부재를 개폐 조작하기 위해, 상기 폐쇄 부재에 연결된 가동 손잡이(movable part); 및 상기 선형 액세서리의 타부(他部)를 통하는 고정 손잡이(fixed part);를 구비하는 환형(環形)의 액세서리 캐치(accessory catch)를 위한 개방구(開放具)로서,
    고정 손잡이를 유지하는 제1 유지부;,
    가동 손잡이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 및
    상기 제2 유지부를 상기 제1 유지부에 상대(相對)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가동 손잡이와 상기 제1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고정 손잡이를 접근시켜 상기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를 개방 상태로 하고,
    상기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는 스프링 클래스프(spring clasp) 또는 랍스터 클래스프(lobster clasp)이며,
    상기 제1 유지부가, 상기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로서의 상기 스프링 클래스프의 일부 및 상기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로서의 상기 랍스터 클래스프의 일부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세서리 캐치를 개방하기 전에,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지부는, 상기 수용부에 의해, 상기 제1 유지부만으로 상기 환형 액세서리 캐치로서의 상기 스프링 클래스프 및 상기 랍스터 클래스프 중 어느 하나를 개방구에 대하여 선 상태로 유지하는,
    액세서리 캐치를 위한 개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수용공이며, 상기 수용공은 상기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가 스프링 클래스프인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 클래스프의 고정 손잡이와 상기 폐쇄 부재 사이에 구획되는 가동 손잡이가 존재하지 않는 반환부(半環部)를 수용하고, 상기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가 상기 랍스터 클래스프인 경우에는 상기 랍스터 클래스프의 폐쇄 부재와 가동 손잡이와의 피벗축(pivotal shaft)을 수용하는 베이스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공의 에지가 상기 고정 손잡이를 유지하는, 액세서리 캐치를 위한 개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수용공과, 상기 스프링 클래스프의 고정 손잡이에 연결된 원환(圓環)을 수용하는 세로홈과, 상기 랍스터 클래스프의 고정 손잡이에 연결된 원환을 수용하는 가로홈을 가지고, 상기 수용공은 상기 세로홈 및 상기 가로홈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세로홈과 상기 가로홈은 서로 직교하는, 액세서리 캐치를 위한 개방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은, 상기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가 스프링 클래스프인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 클래스프의 고정 손잡이와 폐쇄 부재 사이에 구획되는 가동 손잡이가 존재하지 않는 반환부를 수용하고, 상기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가 랍스터 클래스프인 경우에는 상기 랍스터 클래스프의 폐쇄 부재와 상기 가동 손잡이와의 피벗축을 수용하는 베이스를 수용하고, 상기 세로홈과 상기 가로홈과의 교차부가 상기 고정 손잡이를 유지하는, 액세서리 캐치를 위한 개방구. .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은, 상기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가 스프링 클래스프인 경우에는, 상기 반환부 중 적어도 2분의 1의 영역을 유지하는, 액세서리 캐치를 위한 개방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부가, 상기 수용부에 연통되는 퇴피홈으로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환형의 액세서리 캐치를 수용할 때, 상기 액세서리 캐치에 연결된 상기 선형 액세서리의 일부가 배치되는 퇴피홈를 더 구비하는, 액세서리 캐치를 위한 개방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더 구비하는, 액세서리 캐치를 위한 개방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지부가, 상기 제1 유지부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손잡이와 상기 고정 손잡이와의 접근은,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가동 손잡이의 상기 고정 손잡이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압압(押壓)함으로써 행해지는, 액세서리 캐치를 위한 개방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판형이며, 상기 제2 유지부는, 상기 판형의 돌출부에 형성된 오목공을 가지는, 액세서리 캐치를 위한 개방구.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부에 연결된 제1 손잡이와, 상기 제2 유지부에 연결된 제2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손잡이 또는 상기 제2 손잡이 중 어느 한쪽에 파지봉(把持棒)이 연결되어 있는, 액세서리 캐치를 위한 개방구.
KR1020157032934A 2013-06-03 2014-06-03 액세서리 캐치의 개방구 KR101773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03494U JP3185676U (ja) 2013-06-03 2013-06-03 ネックレス留め金具の開放具
JPJP-U-2013-003494 2013-06-03
PCT/JP2014/064759 WO2014196537A1 (ja) 2013-06-03 2014-06-03 アクセサリ留具の開放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785A KR20150144785A (ko) 2015-12-28
KR101773495B1 true KR101773495B1 (ko) 2017-08-31

Family

ID=5042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934A KR101773495B1 (ko) 2013-06-03 2014-06-03 액세서리 캐치의 개방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89768A1 (ko)
EP (1) EP2995214B1 (ko)
JP (1) JP3185676U (ko)
KR (1) KR101773495B1 (ko)
CN (1) CN105283096B (ko)
TW (1) TWI517941B (ko)
WO (1) WO2014196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2067A (ja) * 2016-05-10 2017-11-16 高史 石部 リングコネクタ
US10709274B2 (en) 2017-06-30 2020-07-14 Tommy H. Shouse Bracelet mount and clasp positioning device
USD885965S1 (en) 2018-07-02 2020-06-02 Tommy H. Shouse Bracelet clasp positioning device
USD951129S1 (en) 2020-06-16 2022-05-10 Venus by Maria Tash, Inc. Lobster clasp
CN114309158B (zh) * 2022-01-21 2023-08-08 广东佳骏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龙虾扣件自动组装的组装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33260A (en) 1998-01-15 1999-07-21 Barry Wofford Jewellery clasp clamping device
JP3113063B2 (ja) * 1992-06-01 2000-11-27 国際技術開発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70074375A1 (en) * 2005-10-05 2007-04-05 Karen Papernik Jewelry fastening ai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2997A (en) * 1956-08-28 1958-07-15 Ralph E Wentling Fastener holding pliers
JPH0195109U (ko) * 1987-12-15 1989-06-23
US5934526A (en) * 1997-05-05 1999-08-10 Rosenbaum; Richard L. Device for facilitating manipulation of jewelry clasps
JP2000245517A (ja) * 1999-03-03 2000-09-12 Mariko Ishii ネックレスチェーンの留め金部分を開閉させるピンセット
US7100474B2 (en) * 2004-02-18 2006-09-05 The Hilsinger Company Tool for adjusting rimless eyewear
KR100781071B1 (ko) * 2004-07-14 2007-11-30 유겐가이샤 호세키 노 엔젤 액세서리 체인 단부용 체결구
JP3113063U (ja) * 2005-05-11 2005-09-02 逸生 礒崎 ネックレス等の装飾品の連結補助具
US7536759B2 (en) * 2005-11-21 2009-05-26 Masahiro Hoshino Clasp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7784383B2 (en) * 2007-01-12 2010-08-31 Peter Salva Jewelry aid
JP4238276B2 (ja) * 2007-09-21 2009-03-18 隼人 野口 装飾品用操作具
JP2009285437A (ja) * 2008-05-30 2009-12-10 Koji Goto 腕輪留め補助具。
USD736050S1 (en) * 2014-02-17 2015-08-11 Cathy Barouch Charm ope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063B2 (ja) * 1992-06-01 2000-11-27 国際技術開発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GB2333260A (en) 1998-01-15 1999-07-21 Barry Wofford Jewellery clasp clamping device
US20070074375A1 (en) * 2005-10-05 2007-04-05 Karen Papernik Jewelry fastening a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785A (ko) 2015-12-28
JP3185676U (ja) 2013-08-29
WO2014196537A1 (ja) 2014-12-11
CN105283096B (zh) 2017-09-22
TWI517941B (zh) 2016-01-21
EP2995214A1 (en) 2016-03-16
TW201505785A (zh) 2015-02-16
CN105283096A (zh) 2016-01-27
US20160089768A1 (en) 2016-03-31
EP2995214B1 (en) 2017-09-20
EP2995214A4 (en)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495B1 (ko) 액세서리 캐치의 개방구
TWI271014B (en) Soft-grip wire stripper
US5168629A (en) Scissor assembly
US8777287B2 (en) Sliding handle reacher
JP2011074554A (ja) 人工まつげとそれを装着する方法
US20160311123A1 (en) Tool worn on user&#39;s hand
US5791705A (en) Tool holding apparatus for persons with limited use of hands
US10933514B1 (en) Device for protecting the hand when gripping objects
US20140046363A1 (en) Surgical forceps
CA2504936A1 (en) A hair clip
JP5725633B2 (ja) アクセサリ留具の開放具
US20170273704A1 (en) Combined tweezers and method of using combined tweezers
US9521834B2 (en) Device for retaining fishing line on a fishing rod
JP2014233587A (ja) 孫の手
RU2679816C2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ювелирных изделий
KR20160064430A (ko) 인조 속눈썹 보조장치
CA2385754C (en) Nail clipper having nesting integral finger loops
JP3137758U (ja) 美顔具
JP4431359B2 (ja) 身体塗布剤容器のホルダ
JP4988944B1 (ja) 保持補助付器具及び保持補助具
US20110107605A1 (en) Structure of scissors
CA2978385C (en) Jewelry helper
US10287128B2 (en) Tape dispenser
US10065330B1 (en) Utility scissors assembly
JP2008168097A (ja) 身障者用箸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