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705B1 - 모터 접지구조 - Google Patents

모터 접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705B1
KR101771705B1 KR1020160012111A KR20160012111A KR101771705B1 KR 101771705 B1 KR101771705 B1 KR 101771705B1 KR 1020160012111 A KR1020160012111 A KR 1020160012111A KR 20160012111 A KR20160012111 A KR 20160012111A KR 101771705 B1 KR101771705 B1 KR 101771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ground
piece
contac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294A (ko
Inventor
장정철
이경주
양현성
강민석
Original Assignee
뉴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모텍(주) filed Critical 뉴모텍(주)
Priority to KR1020160012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7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접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수단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게 하여 에어컨 등 기기 내부의 다른 부품위치에 영향 없이 설치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접지수단의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누설을 차단하여 고주파 노이즈의 발생, 베어링 전식(電食)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 접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 상, 하에 결합한 상, 하부 인슐레이터를 인서트 사출성형한 몰드 하우징 내부 둘레면에 상기 스테이터 코어를 구성하는 티스의 내측면이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몰드 하우징 내측에 형성한 접지부재 안착 요입부(와; 상기 안착 요입부에 안착되는 접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접지 부재를 구성하는 접지편의 하방 양측 접촉면은 상기 티스의 내측면과 티스 내측면에 면접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접지편의 상방 접촉면은 베어링 커버의 내측면과 면접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하여 상기 접지 부재를 몰드 하우징 내부에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터 접지구조{GROUND STRUCTURE FOR MOTOR}
본 발명은 모터 접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수단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게 하여 에어컨 등 기기 내부의 다른 부품위치에 영향 없이 설치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접지수단의 설치가 간편하여 작업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누설을 차단하여 고주파 노이즈의 발생, 베어링 전식(電食)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 접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서 로터가 회전하여 그 회전력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로터의 회전력은 회전축을 통하여 부하를 구동시키게 된다. 한편, 스테이터는 일반적으로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테이터 코어는 인슐레이터 또는 보빈을 통해서 상기 코일과 전기적인 절연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스테이터와 로터가 적어도 일부분은 모터 외관을 이루는 브라켓에 수용되는데, 외부적인 환경이나 진동 등에 의해서 상기 코일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코일의 손상뿐만 아니라 상기 코일이나 스테이터 코어를 통해서 외부로 전기가 통하게 되는 누전이 발생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테이터 코어, 코일 그리고 인슐레이터를 조립하여 스테이터를 형성한 후, 상기 스테이터를 통째로 몰딩하여 하나의 스테이터 어셈블리를 형성한 모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모터는 에어컨을 포함한 가전기기의 구동계로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접지가 되지 않을 경우 누설전류에 의해 사용자가 감전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누설전류에 의해 고주파 노이즈가 발생하여 주변기기가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누설전류가 베어링을 통해 흐르게 되면, 좁은 베어링 사이에서 스파크(spark) 즉, 아크(arc)가 발생하여 베어링 표면에 홈이 생기는 베어링 전식(電食: 전기부식)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베어링이 쉽게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의 접지를 위해 베어링 커버에 별도의 접지 프레임을 형성시키거나 베어링 커버에 홀을 뚫고 상기 홀에 접지단자를 고정 시키는 등의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러한 방식들은 베어링 커버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모터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증가시키며,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분해작업이 어려워 모터 조립에 필요한 전체적인 작업공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선행기술(등록특허 10-1442414호)은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 둘레를 따라 플랜지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수지재질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하면에 상기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결합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베어링 커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내측면에 코일이 권선되는 다수개의 티스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테이터 코어; 그리고, 일단은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 커버가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 될 때 베어링 커버의 결합 홈부에 접촉하고, 타단은 하우징을 관통하여 스테이터 코어에 접촉하는 금속재질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누설을 차단하여 고주파 노이즈의 발생, 베어링 전식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안되고 있으나, 접지수단인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스테이터 코어로 부터 흐르는 전류가 에어컨 등 내부의 다른 부품 등에 영향을 미치게 하거나 점검자나 설치자에 대하여 감전의 우려가 높아 안전성을 크게 해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고, 노출된 커넥터의 돌출에 의하여 에어컨 등 기기 내부에 설치한 다른 부품과의 설치 간섭이 이루어져 용이한 설치가 어려울 뿐 아니라 설치를 위한 간섭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등 불편함과 번거러움이 지적되며, 드릴기계로 하우징 일측면 및 이에 대응하는 스테이터 각각에 뚫은 구멍에 고정볼트를 끼워 커넥터의 일측면을 나사 조립하여 결합해야 하므로, 조립작업공수가 많아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고, 상기 구멍작업 시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고정볼트 및 하우징 전체를 폐기되어야 하므로 생산성을 크게 저하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442414호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술한 스테이터 몰딩 타입 모터에 있어서의 접지수단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증가된 모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 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견고하게, 그리고 정확한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도 불량률을 크게 줄인 모터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 상, 하에 결합한 상, 하부 인슐레이터를 인서트 사출성형한 몰드 하우징 내부 둘레면에 상기 스테이터 코어를 구성하는 티스의 내측면이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몰드 하우징 내측에 형성한 접지 부재 안착 요입부와; 상기 안착 요입부에 안착되는 접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접지 부재의 양측 하부 접촉면은 상기 티스와 티스 사이에 끼워지게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접지 부재의 상부 접촉면은 베어링 커버의 내측면과 면접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하여 상기 접지 부재를 몰드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몰드 하우징 내부에 접지 부재가 설치되도록 하여 접지 부재가 몰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감전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 및 상기 접지 부재의 전기적인 영향이 에어컨 등 다른 부품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배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 부재가 몰드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되지 않게 함으로서 에어컨 등 기기 내부에 설치 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배제한 상태에서의 설치가 용이하고도 정확한 위치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 및 다른 부품과의 설치 간섭을 위한 사전 점검이 불필요하므로 설치의 편리성 유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볼트를 이용한 접지 부재를 고정 방법이 아니므로 고정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구멍의 불량에 따른 몰드 하우징의 폐기를 유발하는 불량률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몰드 하우징 내부에 접지 부재를 안착시키면서도 손쉽게 설치 가능하게 하여 접지 부재 설치에 따른 제조 공정을 크게 단축 시켜 모터의 제조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모터 전체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터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지 부재가 몰드 하우징 내부로 부터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접지편이 끼워진 상태의 일부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접지편을 이탈시킨 상태의 일부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단면도로서, 도 5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지 부재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제시하는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모터 전체 분리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모터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접지 부재가 몰드 하우징 내부로 부터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접지편이 끼워진 상태의 일부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접지편을 이탈시킨 상태의 일부 횡단면도, 도 8은 도 6의 일부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부 발췌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단면도로서, 도 5의 일부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지 부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지 부재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몰드 모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몰드 모터는 몰드 하우징(100)과; 스테이터 어셈블리(200)와; 로터 어셈블리(300)와; 베어링 커버(400) 및 미 도시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 있어, 스테이터 어셈블리(200)와 인쇄회로기판은 인서트 금형 내부에 위치 시킨 후 사출성형하여 몰드 하우징(100)을 성형하게 되고, 상기 몰드 하우징(100) 내부의 중앙에는 회전축(310)이 끼워진 로터 어셈블리(300)가 결합 되며, 몰드 하우징(100) 중앙 상부에 개방된 개방부에는 보호 캡(410)을 포함한 금속제의 베어링 커버(400)가 결합 된다.
상기에서, 몰드 하우징(100)은 상면에 베어링 커버(400)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 둘레를 따라서는 베어링 커버(400)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몰드 하우징(100)과 베어링 커버(400)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결합 구성은 공지된 결합방법이다. 그리고, 스테이터 어셈블리(200)는 스테이터 코어(210) 및 상, 하부 인슐레이터(220)(23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 커버(400) 내부에는 베어링(420)이 결합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몰드 하우징(100) 내부에 스테이터 어셈블리(200)를 인서트 사출 성형할 경우 스테이터 코어(210) 내측의 티스(210')의 외측 표면에 합성수지가 박판 형태로 덮어져 티스(210')에 권취된 미 도시한 코일과 몰드 하우징(100) 내부 중앙의 로터(320)와의 자기력관계가 악화 되어 회전불량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티스(210')를 덮은 합성수지 박판을 브러쉬 청소를 통하여 제거하여 티스(210')의 면이 돌출된 상태로 노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도 4 참조), 상기 몰드 성형 시 티스(210')와 티스(210') 사이에는 합성수지가 몰딩 되어 메꾸어 지나, 후술하는 접지 부재 안착 요입부(120)를 몰드 하우징(100) 사출 성형시 몰드 금형을 통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몰드 모터에 있어서, 코일에서 발생한 누설전류가 베어링(420)을 통해 흐르게 되면, 좁은 베어링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여 베어링 표면에 홈이 생기는 베어링 전식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베어링(420)이 쉽게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접지 부재(500)를 몰드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몰드 하우징(100) 내부의 단턱부(110)에 접지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 요입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 요입부(120)에 접지 부재(500)의 접지편(510)을 안착시켜 결합하되, 상기 접지편(510) 하방의 양측 접촉면(510')은 티스(210')와 티스(210') 내측면에 면접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하고, 상기 접지편(510)의 상방 접촉면(510")은 베어링 커버(400)의 내측면과 면접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도 3, 도 4, 도 5 및 도 11 참조).
구체적으로, 접지 부재(500)는 철 등과 같은 금속 전도체로 이루어진 접지편(510)이며, 몰드 하우징(100)의 단턱부(110)에 형성한 안착 요입부(120)의 형상에 따라 절곡진 형상으로 형성하되, 접지편(510)의 하방에는 티스(210')와 티스(210') 내측면에 면접하는 양측 접촉면(510')을 가지며, 접지편(510) 상방은 베어링 커버(400)의 내측면과 면접하는 상방 접촉면(510")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접지편(510)을 안착 요입부(120)에 더욱 견고하고도 정확하게 안착하기 위해서는 접지편(510)의 하부를 뾰족하게 형성한 삽지부(5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삽지부(510'")는 도 4, 도 6 및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 하우징(100)의 내측 하방에 형성한 상광하협한 끼움구멍(130)에 끼워지게 하여 유동성을 배제시키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접지편(510)의 삽지부(510'")를 상기 끼움구멍(130)에 끼워지게 하면 접지편(510) 하방의 양측 접촉면(510')은 티스(210')와 티스(210') 내측면에 면접하게 되어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지부(510'")의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하여 제공하므로 상기 끼움구멍(130)에 끼우기가 매우 수월할 뿐 아니라 상기 끼움을 통하여 별도의 작업 없이도 접지편(510) 하방의 양측 접촉면(510')이 티스(210')와 티스(210') 내측면에 면접하게 되므로 정확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편(510)의 삽지부(510'")를 상기 끼움구멍(130)에 끼워지게한 상태에서 베어링 커버(400)를 몰드 하우징(100) 개방부를 덮어 결합하게 하여 상기 접지편(510)의 상방 접촉면(510")이 베어링 커버(400) 내측면과 면접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접지편(510)을 몰드 하우징(100) 내부에 매우 수월하고도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접지 부재(500)를 몰드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접지를 수행하게 되므로, 접지편(510)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에어컨 등 기기 부품과의 간섭을 배제한 상태에서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몰드 하우징(100) 내부의 단턱부(110)의 상부의 안착 요입부(120) 양 내측에 끼움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110')에 탄성 고정편(600)의 양측의 날개(610)를 끼워 상기 안착 요입부(120)에 안착시킨 접지편(510)의 상방 접촉면(510")을 덮도록 하여 탄성 고정편(600)을 매개로 상방 접촉면(510")과 베어링 커버(400)의 내측면이 더욱 안정적이고도 정확한 위치에서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탄성 고정편(600)은 판 스프링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베어링 커버(400)가 결합할 경우 탄성 고정편(600)의 몸체는 하방으로 눌러지도록 하여 접촉 강도를 높이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고정편(600)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단턱부(110) 상부의 안착 요입부(120)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고정편(600)의 양측의 날개(610)를끼움홈(110')에 끼운 상태에서 접지편(510)의 삽지부(510'")를 상기 끼움구멍(130)에 끼워지게 함과 동시에 접지편(510)의 상방 접촉면(510")을 상기 탄성 고정편(600)의 내측에 끼워 접지 부재(500)를 설치하므로, 접지 부재(500)의 설치 작업이 매우 수월하고도 안정적인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접지편(510)을 변형 시킨 다른 실시예로서, 접지편(510)의 상방 접촉면(510") 양단에 끼움 날개편(510a)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몰드 하우징(100) 내부의 단턱부(110) 상부의 안착 요입부(120) 양 내측에 끼움홈(110')에 끼워 결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접지편(510)을 변형시킨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접지편(510) 하방의 양측 접촉면(510')에 일정격을 두고 부식시켜 형성한 접착홈(510b)에 전도성 접착재(700)를 도포하여 상기 전도성 접착재(700)와 접지편(510) 하방의 양측 접촉면(510')이 상호 접착되게 함으로서 전기적 접촉이 더욱 증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접지편(510)을 변형 시킨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접지편(510) 하방의 양측 접촉면(510')에 접촉면적을 확장시킨 접촉 확장부(510c)를 형성하여 티스(210')와 티스(210') 각각의 내측면에 더욱 확실한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몰드 하우징 110 : 단턱부
110' : 끼움홈 120 : 안착 요입부
130 : 끼움구멍 200 : 스테이터 어셈블리
210 : 스테이터 코어 210' : 티스
220, 230 : 상, 하부 인슐레이터 300 : 로터 어셈블리
310 : 회전축 400 : 베어링 커버
410 : 보호 캡 420 : 베어링
500 : 접지 부재 510 : 접지편
510a : 끼움 날개편 510b : 접착홈
510c : 접촉 확장부 510' : 양측 접촉면
510" : 상방 접촉면 510'" : 삽지부
600 : 탄성 고정편 610 : 날개
700 : 전도성 접착재

Claims (8)

  1. 스테이터 코어(210)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 상, 하에 결합한 상, 하부 인슐레이터(220)(230)를 인서트 사출성형한 몰드 하우징(100) 내부 둘레면에 상기 스테이터 코어(210)를 구성하는 티스(210')의 내측면이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된 모터 접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몰드 하우징(100) 내측에 형성한 접지부재 안착 요입부(120)와; 상기 안착 요입부(120)에 안착되는 접지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접지 부재(500)를 구성하는 접지편(510) 하방의 양측 접촉면(510')은 상기 티스(210')의 내측면과 티스(210') 내측면에 면접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접지편(510)의 상방 접촉면(510")은 베어링 커버(400)의 내측면과 면접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하여 상기 접지 부재(500)를 몰드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접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접지 부재(500)는 금속 전도체로 이루어진 접지편(510)이며, 몰드 하우징(100)의 단턱부(110)에 형성한 안착 요입부(120)의 형상에 따라 절곡진 형상으로 형성하되, 접지편(510)의 하방에는 티스(210')와 티스(210') 내측면에 면접하는 양측 접촉면(510')을 가지며, 접지편(510) 상방은 베어링 커버(400)의 내측면과 면접하는 상부 접촉면(510")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접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접지편(510)의 하방에 삽지부(510'")를 뾰족하게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접지구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접지편(510)의 하부를 뾰족하게 형성한 삽지부(510'")를 몰드 하우징(100)의 내측 하방에 형성한 상광하협한 끼움구멍(130)에 끼워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접지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몰드 하우징(100) 내부의 단턱부(110)의 상부 안착 요입부(120) 양 내측에 끼움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110')에 탄성 고정편(600)의 양측 날개(610)를 끼워 상기 안착 요입부(120)에 안착시킨 접지편(510)의 상방 접촉면(510")을 덮도록 하여 탄성 고정편(600)을 매개로 상방 접촉면(510")과 베어링 커버(400)의 내측면이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접지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접지편(510)의 상방 접촉면(510") 양단에 끼움 날개편(510a)을 돌출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접지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접지편(510) 하방의 양측 접촉면(510')에 일정격을 두고 부식시켜 형성한 접착홈(510b)에 전도성 접착재(700)를 도포하여 상기 전도성 접착재(700)와 접지편(510) 하방의 양측 접촉면(510')이 상호 접착되도록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접지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접지편(510) 하방의 양측 접촉면(510')에 접촉면적을 확장시킨 접촉 확장부(510c)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접지구조.
KR1020160012111A 2016-02-01 2016-02-01 모터 접지구조 KR10177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111A KR101771705B1 (ko) 2016-02-01 2016-02-01 모터 접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111A KR101771705B1 (ko) 2016-02-01 2016-02-01 모터 접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294A KR20170091294A (ko) 2017-08-09
KR101771705B1 true KR101771705B1 (ko) 2017-08-25

Family

ID=5965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111A KR101771705B1 (ko) 2016-02-01 2016-02-01 모터 접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7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83B1 (ko) * 2017-12-06 2019-10-10 주식회사 아모텍 냉각 팬
JP2022050215A (ja) * 2020-09-17 2022-03-3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接地用部品
KR20220109838A (ko) * 2021-01-29 2022-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144B1 (ko) 2012-06-11 2013-10-08 뉴모텍(주) 모터
KR101442414B1 (ko) 2013-05-23 2014-09-24 뉴모텍(주) 모터 접지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144B1 (ko) 2012-06-11 2013-10-08 뉴모텍(주) 모터
KR101442414B1 (ko) 2013-05-23 2014-09-24 뉴모텍(주) 모터 접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294A (ko)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3406B2 (en) Ground structure for motor
CN110771017B (zh) 具有壳体的电驱动单元
US7466056B2 (en) Dynamoelectric machine brush holder assembly and method
CN109314446B (zh) 接地端子、盖组件及包括其的电机
CN108886294B (zh) 电机和用于制造电机的方法
CN107231057B (zh) 电机以及用于制造电机的方法
KR102566067B1 (ko) 브러시 홀딩 부품 및 플러그 모듈을 포함한 전기 기계
KR101771705B1 (ko) 모터 접지구조
US11075565B2 (en) Electrical machine, and methods for producing an electrical machine
JP2013535777A (ja) 高電流用挿入接続コネクタ
EP3787153B1 (en) Brushed permanent magnet micromoto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CN111765289A (zh) 线圈部件及具有其的电子膨胀阀
WO2017073290A1 (ja) 端子
CN109524826B (zh) 模块用连接器
KR102613969B1 (ko)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EP1009087B1 (en) Miniature electric motor
JP2013005705A (ja) ポンプ用直流電動機
KR101655112B1 (ko) 브러쉬리스 dc 모터
KR20140001918A (ko) 브러시 정류식 전기 모터용 차폐 장치 및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위치 설정 부재
CN110365166B (zh) 带有极壳体和电子器件壳体的电的驱动单元
KR102250167B1 (ko) 탄성 접촉 구조가 구비된 이중 접지 터미널을 포함한 모터 장치
KR20180047042A (ko) Bldc 모터
US3431446A (en) Electric motor brush holder,cap and spring
KR101539595B1 (ko) 차량의 프런트 와이퍼용 모터의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의 인쇄 회로 기판에 구비된 브러시 홀더의 접지 구조
JP7119648B2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