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947B1 -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 Google Patents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947B1
KR101770947B1 KR1020177006490A KR20177006490A KR101770947B1 KR 101770947 B1 KR101770947 B1 KR 101770947B1 KR 1020177006490 A KR1020177006490 A KR 1020177006490A KR 20177006490 A KR20177006490 A KR 20177006490A KR 101770947 B1 KR101770947 B1 KR 10177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ouch
bag
contents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661A (ko
Inventor
노리유끼 사사끼
히데야 곤도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16167A external-priority patent/JP59467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16166A external-priority patent/JP5783190B2/ja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65D29/02Sacks with laminated or multip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65D75/5811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8Individual filled bags or pouches connec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4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self-locking integral or attached closure elements, e.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 B65D33/255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the slide fastener having a non-constant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e.g. slightly undulated interlocking members or castellated str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combined with an open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ste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61Flexible containers, e.g. bags, pouches,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7/00Standing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내용물이 파스너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를 제공한다. 파우치(100)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119)과, 제1 개구부(135)를 갖는 주머니와,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파스너(170)를 갖는다. 이 주머니는, 제1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넣기에 적합하다. 이 주머니는, 제2 개구부(136)를 더 갖고, 제2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넣기에 더욱 적합하다.

Description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POUCH AND POUCH WITH ENCLOSED CONTENTS}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제1 개구부를 갖고, 제1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넣기에 적합한 주머니와,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파스너를 갖는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일례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파우치는, 개구를 갖는 포장체(주머니)와, 개구를 개폐하는 지퍼 부재(파스너)를 갖는다. 특허문헌 1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는, 파우치와, 식재(내용물)를 갖는다.
내용물 봉입 파우치는, 다음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먼저, 노즐에 의해 파우치의 개구로부터 내부 공간에 식재가 충전된다. 이어서, 지퍼 폐쇄 장치에 의해 지퍼 부재가 폐쇄된다. 이어서, 시일 장치에 의해 포장체의 개구가 시일된다. 이에 의해, 식재가 봉입된 포장체의 내부 공간이 밀폐된다. 즉,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제조가 완료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66847호 공보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포장체의 내부 공간에 식재를 충전할 때, 식재가 지퍼 부재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또한, 여기서는 특허문헌 1의 파우치를 예로서 채택하고 있지만, 주머니 및 파스너를 갖는 파우치라면, 상기와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이 파스너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제1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넣기에 적합한 주머니와,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파스너를 갖는 파우치를 제공한다. 상기 주머니는, 제2 개구부를 더 갖고,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넣기에 더욱 적합하다.
상기 주머니는, 제2 개구부를 가지므로,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제2 개구부로부터 주머니의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넣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파스너에 내용물이 부착될 우려가 저감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제2 개구부가 시일된 상기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의 상기 주머니에 수용된 내용물을 갖는 내용물 봉입 파우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파우치에 있어서의 X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내용물이 봉입된 도 1의 파우치.
도 4는 도 3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제조 공정에 관한 도면으로서, (a)는 제2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의 주머니의 정면도, (b)는 제2 개구부에 충전기의 노즐이 삽입된 상태의 주머니의 정면도, (c)는 내부 공간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의 주머니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제조 공정에 관한 도면으로서, (a)는 제2 개구부가 시일되기 전의 주머니의 정면도, (b)는 제2 개구부가 시일되고 있는 도중의 주머니의 정면도, (c)는 제2 개구부가 시일된 후의 주머니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제2 주머니 부분이 제1 주머니 부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8은 제3 실시 형태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파우치를 형성하기 위한 시트 평면도.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D11-D11선을 따른 단면도.
도 12는 내용물이 봉입된 도 10의 파우치 제조 공정에 관한 도면으로서, (a)는 제2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의 파우치의 정면도, (b)는 제2 개구부에 충전기의 노즐이 삽입된 상태의 파우치의 정면도, (c)는 내부 공간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13은 내용물이 봉입된 도 10의 파우치 제조 공정에 관한 도면으로서, (a)는 제2 개구부가 시일되기 전의 파우치의 정면도, (b)는 제2 개구부가 시일되고 있는 도중의 파우치의 정면도, (c)는 제2 개구부가 시일된 후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14는 제5 실시 형태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파우치의 통증부의 확대도.
도 16은 제6 실시 형태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정면도.
도 17은 제6 실시 형태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파우치 고감합 강도부의 D18-D18선을 따른 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파우치 저감합 강도부의 D19-D19선을 따른 단면도.
도 20은 도 16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제조 공정에 관한 도면으로서, (a)는 제2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의 파우치의 정면도, (b)는 제2 개구부에 충전기의 노즐이 삽입된 상태의 파우치의 정면도, (c)는 내부 공간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21은 도 16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제조 공정에 관한 도면으로서, (a)는 제2 개구부가 시일되기 전의 파우치의 정면도, (b)는 제2 개구부가 시일되고 있는 도중의 파우치의 정면도, (c)는 제2 개구부가 시일된 후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22는 도 16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주머니의 일부가 절취되어 있는 도중의 파우치의 정면도.
도 23은 도 16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제1 개구부가 개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파우치의 정면도.
도 24는 도 16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정면도.
도 25는 도 16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저감합 강도부가 개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파우치의 정면도.
도 26은 저감합 강도부의 감합 강도를 변화시켰을 때의 파스너의 개봉 형태에 대하여 검증한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저감합 강도부 길이를 변화시켰을 때의 파스너의 개봉 형태에 대하여 검증한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
(제1 실시 형태)
도 1을 참조하여, 파우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도트가 첨부된 부분은, 파우치(100)의 시일부(12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파우치(100)의 폭 방향은, 파우치(100)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파우치(100)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파우치(100)는 스탠딩 파우치로서의 형태를 갖는다. 파우치(100)는 주머니(110) 및 파스너(170)를 갖는다. 파우치(100)는 제2 개구부(136)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테두리 전부가 시일되어 있다.
주머니(110)는, 제1 주머니 부분(130), 제2 주머니 부분(150), 시일부(120) 및 가이드선(160)을 갖는다. 주머니(110)는, 적층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적층 시트는, 최외층, 중간층 및 최내층을 갖는다. 최외층은 주머니(110)에 있어서의 가장 외측의 층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에 의해 구성된다. 최내층은 주머니(110)에 있어서의 가장 내측의 층이며, 비연신 폴리프로필렌층에 의해 구성된다. 중간층은, 인쇄층, 제1 접착층, 연신 나일론층 및 제2 접착층에 의해 구성된다. 인쇄층은, 최외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착층은, 인쇄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연신 나일론층은, 제1 접착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착층은, 연신 나일론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최내층은, 제2 접착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인쇄층은, 외면에 무늬 및 상품의 설명 등을 갖는다.
주머니(110)는 제1 코너부(111), 제2 코너부(112), 제3 코너부(113), 제4 코너부(114), 제1 측방 테두리(115), 제2 측방 테두리(116), 상부 테두리(117), 하부 테두리(118) 및 내부 공간(119)을 갖는다.
제1 측방 테두리(115)는, 주머니(110)에 있어서의 제1 코너부(111)로부터 제3 코너부(113)까지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다. 제2 측방 테두리(116)는 주머니(110)에 있어서의 제2 코너부(112)로부터 제4 코너부(114)까지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다. 상부 테두리(117)는, 주머니(110)에 있어서 제1 코너부(111)로부터 제2 코너부(112)까지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다. 하부 테두리(118)는, 주머니(110)에 있어서 제3 코너부(113)로부터 제4 코너부(114)까지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다.
제1 측방 테두리(115) 및 상부 테두리(117)는, 제1 코너부(111)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다. 제1 측방 테두리(115) 및 하부 테두리(118)는 제3 코너부(113)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다. 제2 측방 테두리(116) 및 상부 테두리(117)는 제2 코너부(112)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다. 제2 측방 테두리(116) 및 하부 테두리(118)는 제4 코너부(114)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다.
제1 주머니 부분(130)은 주머니 본체부(131), 바닥 가젯(132), 제1 돌출부(133) 및 제2 돌출부(134)를 갖는다.
주머니 본체부(131)은 제1 측방부(131A), 제2 측방부(131B), 제1 개구부(135), 제2 개구부(136), 주머니 소정 부분(137) 및 절단 억제 부분(138)을 갖는다.
제1 측방부(131A)는, 주머니 본체부(131)에 있어서, 도면 중의 이점쇄선(XA1)보다도 내부 공간(119) 측의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2 측방부(131B)는, 주머니 본체부(131)에 있어서, 도면 중의 이점쇄선(XA2)보다도 내부 공간(119) 측의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1 개구부(135)는, 파스너(170)를 포함하는 제1 주머니 부분(130)의 상부 테두리에 위치하고 있다.
제1 개구부(135)는, 주머니(110)가 제1 주머니 부분(130)과 제2 주머니 부분(150)으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내용물을 내부 공간(119)에 수용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제1 개구부(135)는 통증부(14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부(136)는 제1 측방부(131A)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부(136)는 내용물을 내부 공간(119)에 수용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바닥 가젯(132)은, 주머니 본체부(131)를 지지하고 있다. 도면 중의 일점쇄선은, 바닥 가젯(132)과 주머니 본체부(131)의 경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돌출부(133)는 제1 측방부(131A)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제1 돌출부(133)는 제2 개구부(136)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부(134)는 제2 측방부(131B)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제2 돌출부(134)는 통증부(140)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통증부(140)는 내부 공간(119)과 외부를 서로 연통한다. 통증부(140)는 제2 돌출부(134)의 일부분에 있어서 미시일된 부분을 갖는다. 통증부(140)는 통증로(141) 및 통로 시일부(142)를 갖는다. 통증부(140)는 통증로(141) 및 내부 공간(119)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2 돌출부(134)를 시일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 소정 부분(137)은 통증부(140)의 근방에 있어서, 파스너(170)에 대하여 내부 공간(119) 측에 위치하고 있다.
절단 억제 부분(138)은 주머니 소정 부분(137)의 절단이, 내부 공간(119)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는 구조를 갖는다. 절단 억제 부분(138)은 제2 측방부(131B) 측의 통로 시일부(142)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주머니 부분(150)은 개구 시일부(151) 및 통증 시일부(152)를 갖는다.
개구 시일부(151)는 상부 테두리(117)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 시일부(151)는 제1 개구부(135)를 폐쇄하고 있다. 개구 시일부(151)는 통증 시일부(152)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통증 시일부(152)는 통증부(140)를 폐쇄하고 있다. 통증 시일부(152)는 제2 돌출부(134)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시일부(120)는 열 용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시일부(120)는 제1 측방 시일부(121), 제2 측방 시일부(122), 상방 시일부(123) 및 하방 시일부(124)를 갖는다.
제1 측방 시일부(121)는 주머니(110)에 있어서 제1 측방 테두리(115)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제1 측방 시일부(121)는 측방 시일 상측 부분(121A) 및 측방 시일 하측 부분(121B)를 갖는다. 측방 시일 상측 부분(121A) 및 측방 시일 하측 부분(121B)은, 제2 개구부(136)에 의해 서로 분단되어 있다.
측방 시일 상측 부분(121A)은, 주머니(110)에 있어서 제1 코너부(111)로부터 제2 개구부(136)까지의 범위를 시일하고 있다.
측방 시일 하측 부분(121B)은, 제2 개구부(136)에 있어서, 주머니 본체부(131)와 바닥 가젯(132)의 경계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제2 측방 시일부(122)는 주머니(110)에 있어서 제2 측방 테두리(116)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상방 시일부(123)는 상부 테두리(117)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상방 시일부(123)는 개구 시일부(151)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방 시일부(124)는 하부 테두리(118)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가이드선(160)은 주머니(110)에 있어서 제1 주머니 부분(130) 및 제2 주머니 부분(150)을 서로 분리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파스너(170)는 제1 개구부(135)를 개폐한다. 파스너(170)는 개구 파스너 부분(171) 및 통증 파스너 부분(172)을 갖는다. 개구 파스너 부분(171)은 제1 개구부(135) 및 통증 시일부(152)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통증 파스너 부분(172)은 통증 시일부(152)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가이드선(16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선(160)은 개구 가이드선(161), 통증 가이드선(162), 절단 부분(163) 및 노치(168)를 갖는다.
개구 가이드선(161)은 개구 시일부(151)를 제1 개구부(135)로부터 분리한다. 개구 시일부(151)는 개구 가이드선(161)을 따라 제1 개구부(135)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개구 가이드선(161)은 주머니(110)를 구성하는 필름에 대하여 레이저에 의한 하프컷 가공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통증 가이드선(162)은 통증 시일부(152)를 통증부(140)로부터 분리한다. 통증 시일부(152)는 통증 가이드선(162)을 따라 통증부(14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통증 가이드선(162)은 주머니(110)를 구성하는 필름에 대하여 레이저에 의한 하프컷 가공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절단 부분(163)은 중간 절단 부분(164), 제1 소정 절단 부분(165), 제2 소정 절단 부분(166) 및 중단 부분(167)을 갖는다. 절단 부분(163)은 통증 가이드선(162)의 단부(162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절단 부분(163)은 개구 가이드선(161) 및 통증 가이드선(162)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중간 절단 부분(164)은 파스너(170)를 절단한다. 제1 소정 절단 부분(165)은 중간 절단 부분(164)과 연속되어 있다. 제1 소정 절단 부분(165)은 주머니 소정 부분(137)을 절단한다. 제2 소정 절단 부분(166)은 제1 소정 절단 부분(165)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119) 근처의 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소정 절단 부분(166)의 내부 공간(119) 근처의 단부에 절단 억제 부분(138)이 형성되어 있다. 절단 억제 부분(138)은 제2 소정 절단 부분(166)이 내부 공간(119)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는 구조를 갖는다.
중단 부분(167)은 제1 소정 절단 부분(165)과 제2 소정 절단 부분(166)을 분단하고 있다.
노치(168)는 통증 가이드선(162)과 제2 측방 테두리(116)의 접점에 위치한다. 노치(168)는 통증 가이드선(162)을 따라 통증 시일부(152)를 통증부(140)로부터 분리할 때의 시작점으로서 기능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내용물 봉입 파우치(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용물 봉입 파우치(1)는 내용물(2) 및 파우치(100)를 갖는다. 내용물 봉입 파우치(1)의 파우치(100)는 내부 공간(119)에 내용물(2)이 수용된 상태에서 제2 개구부(136)가 시일되어 있다. 내용물(2)은 액체 조미료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내용물 봉입 파우치(1)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용물 봉입 파우치(1)의 제조 공정은, 제1 공정, 제2 공정(도 4의 (a)), 제3 공정(도 4의 (b)), 제4 공정(도 4의 (c)), 제5 공정(도 5의 (a)), 제6 공정(도 5의 (b)) 및 제7 공정(도 5의 (c))을 포함한다.
제1 공정에 있어서는, 파우치(100)가 제조된다.
제2 공정에 있어서는, 파우치(100)의 제1 코너부(111)의 주변 및 제3 코너부(113)의 주변이 각각 충전기(400)의 척(410)에 의해 척킹된다.
파우치(100)는 도 4의 (a)에 도시되는 상태에서, 충전 라인으로 반송된다. 소정의 충전 라인 위치에 있어서, 제2 개구부(136)는 흡반(도시 생략)에 의해 개구된다.
제3 공정에 있어서는, 도 4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개구부(136)에 노즐(420)이 삽입된다. 노즐(420)은 내부 공간(119)에 내용물(2)을 충전한다.
제4 공정에 있어서는, 도 4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119)에 소정량의 내용물(2)이 충전됨으로써 충전이 종료된다. 내부 공간(119)에의 내용물(2)의 충전이 종료된 후, 노즐(420)은 제2 개구부(136)로부터 빠진다.
제5 공정에 있어서는, 도 5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파우치(100)의 제1 코너부(111)의 주변 및 제3 코너부(113)의 주변이 각각 충전기(400)의 척(410)에 의해 척킹된 상태로 파우치(100)가 시일 가공 라인으로 반송된다.
제6 공정에 있어서는, 도 5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시일 가공 라인 위치에 있어서, 시일 장치(500)는 제2 개구부(136)를 사이에 끼운다. 이에 의해, 제2 개구부(136)가 시일된다.
제7 공정에 있어서는, 시일 가공의 종료 후, 도 5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일 장치(500)는 제2 개구부(136)의 끼워넣기 상태를 해제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내용물 봉입 파우치(1)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머니(110)는 노치(168)를 시작점으로 해서, 통증 가이드선(162), 절단 부분(163), 개구 가이드선(161)의 순서대로 절취되는 것에 의해, 제1 주머니 부분(130)과 제2 주머니 부분(150)으로 분리한 상태(이하, 「분리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통증로(141)를 개재하여 내부 공간(119)과 외부가 연통된 상태로 된다.
분리 상태에 있어서, 제1 개구부(135)는 개구 파스너 부분(171)에 의해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개구부(135)를 개방함으로써, 사용자는, 내부 공간(119)에 고기나 야채 등의 속재료를 추가할 수 있다. 내부 공간(119)에 원하는 속재료를 수용한 후, 사용자는, 개구 파스너 부분(171)에 의해 제1 개구부(135)를 폐쇄한다. 그 후, 제1 주머니 부분(130)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함으로써, 내용물(2) 및 추가한 속재료가 조리된다.
본 실시 형태의 파우치(100)는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1) 주머니(110)는 제2 개구부(136)를 갖는다. 그로 인해, 내용물 봉입 파우치(1)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제2 개구부(136)로부터 주머니(110)의 내부 공간(119)에 내용물(2)을 넣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내용물 봉입 파우치(1)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파스너(170)에 내용물(2)이 부착될 우려가 저감된다.
(2) 주머니(110)는 개구 시일부(151)를 갖는다. 그로 인해, 내용물 봉입 파우치(1)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파스너(170)가 개구될 우려가 저감된다. 이로 인해, 파스너(170)에 내용물(2)이 부착될 우려를 저감하는 효과가 한층 높아진다.
(3) 주머니(110)는 주머니 본체부(131)의 제1 측방부(131A)로부터 돌출된 형상의 제2 개구부(136)를 갖는다. 그로 인해, 내용물 봉입 파우치(1)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제2 개구부(136)를 시일할 때, 충전기(400)의 척(410)이 시일 장치(500)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개구부(136)의 시일 가공이 용이해진다.
(4) 주머니(110)는 내부 공간(119)으로부터 증기를 빼기 위한 통증부(140)를 갖는다. 그로 인해, 통증 시일부(152)가 통증부(14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내용물(2)의 가열에 수반하는 증기의 발생에 의해 내압이 상승했을 때, 내부 공간(119)의 증기가 통증부(140)의 통증로(141)를 개재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로 인해, 주머니(110)가 과도하게 팽창되는 것이 억제된다.
(5) 파우치(100)의 절단 부분(163)은 통증 가이드선(162)의 단부(162A)에 대응하고 있다. 그로 인해, 통증 가이드선(162)에 의해 통증 시일부(152)를 통증부(14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통증 파스너 부분(172)이 개구 파스너 부분(17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로 인해, 통증 시일부(152)를 통증부(14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 및 통증 파스너 부분(172)을 개구 파스너 부분(171)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연속된 하나의 작업이 된다.
(6) 주머니(110)의 절단 부분(163)은 제1 소정 절단 부분(165) 및 제2 소정 절단 부분(166)을 갖는다. 그로 인해, 제1 소정 절단 부분(165) 및 제2 소정 절단 부분(166)을 갖고 있지 않은 구성과 비교하여, 주머니 소정 부분(137)을 주머니(11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제1 소정 절단 부분(165) 및 제2 소정 절단 부분(166)을 갖는 것에 수반하여, 주머니(110)에 있어서의 중간 절단 부분(164)의 연장선상의 부분을 분리하는 힘이 주머니(110)에 작용할 때, 주머니 소정 부분(137)에 있어서 제2 소정 절단 부분(166)의 단부보다도 내부 공간(119) 측의 부분이 제2 소정 절단 부분(166)로부터 순서대로 절단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제2 소정 절단 부분(166)으로부터 순서대로 발생하는 절단이 내부 공간(119)에 도달한 경우에는, 내부 공간(119)이 밀폐되지 않게 된다.
주머니(110)는 이러한 예측을 근거로 하여, 제1 소정 절단 부분(165)과 제2 소정 절단 부분(166) 사이에 중단 부분(167)을 형성하고 있다. 그로 인해, 주머니(110)에 있어서의 중간 절단 부분(164)의 연장선상의 부분을 분리하는 상기 힘이 주머니(110)에 작용할 때, 이 힘이 중단 부분(167)을 절단하기 위한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로 인해, 주머니 소정 부분(137)에 있어서 제2 소정 절단 부분(166)의 단부보다도 내부 공간(119) 측의 부분이 제2 소정 절단 부분(166)으로부터 순서대로 절단될 가능성이 저감된다.
(7) 주머니(110)는 절단 억제 부분(138)을 갖는다. 그로 인해, 주머니(110)에 있어서의 중간 절단 부분(164)의 연장선상의 부분을 분리하는 힘이 주머니(110)에 작용할 때, 주머니 소정 부분(137)이 이 힘에 의해 내부 공간(119)까지 절단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7을 참조하여, 파우치(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되는 도트가 첨부된 부분은, 파우치(200)의 시일부(22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파우치(200)의 폭 방향은, 파우치(200)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파우치(200)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파우치(200)는 스탠딩 파우치로서의 형태를 갖는다. 파우치(200)는 주머니(210) 및 파스너(270)를 갖는다. 파우치(200)는 제2 개구부(236)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테두리 전체가 시일되어 있다.
주머니(210)는 제1 주머니 부분(230), 제2 주머니 부분(250), 시일부(220) 및 가이드선(260)을 갖는다. 주머니(210)는 적층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적층 시트는, 최외층, 중간층 및 최내층을 갖는다. 최외층은 주머니(210)에 있어서의 가장 외측의 층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에 의해 구성된다. 최내층은 주머니(210)에 있어서의 가장 내측의 층이며, 비연신 폴리프로필렌층에 의해 구성된다. 중간층은, 인쇄층, 제1 접착층, 연신 나일론층 및 제2 접착층에 의해 구성된다. 인쇄층은, 최외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착층은, 인쇄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연신 나일론층은, 제1 접착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착층은, 연신 나일론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최내층은, 제2 접착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인쇄층은, 외면에 무늬 및 상품의 설명 등을 갖는다.
주머니(210)는 제1 코너부(211), 제2 코너부(212), 제3 코너부(213), 제4 코너부(214), 제1 측방 테두리(215), 제2 측방 테두리(216), 상부 테두리(217), 하부 테두리(218) 및 내부 공간(219)을 갖는다.
제1 측방 테두리(215)는 주머니(210)에 있어서의 제1 코너부(211)로부터 제3 코너부(213)까지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다. 제2 측방 테두리(216)는 주머니(210)에 있어서의 제2 코너부(212)로부터 제4 코너부(114)까지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다. 상부 테두리(217)는 주머니(210)에 있어서 제1 코너부(211)로부터 제2 코너부(212)까지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다. 하부 테두리(218)는 주머니(210)에 있어서 제3 코너부(213)로부터 제4 코너부(214)까지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다.
제1 측방 테두리(215) 및 상부 테두리(217)는 제1 코너부(211)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다. 제1 측방 테두리(215) 및 하부 테두리(218)는, 제3 코너부(213)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다. 제2 측방 테두리(216) 및 상부 테두리(217)는 제2 코너부(212)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다. 제2 측방 테두리(216) 및 하부 테두리(218)는 제4 코너부(214)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다.
제1 주머니 부분(230)은 주머니 본체부(231), 바닥 가젯(232) 및 돌출부(233)를 갖는다.
주머니 본체부(231)는 제1 측방부(231A), 제2 측방부(231B), 제1 개구부(235) 및 제2 개구부(236)를 갖는다.
제1 측방부(231A)는, 도면 중의 이점쇄선보다도 내부 공간(219) 측의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2 측방부(231B)는, 제2 측방 테두리(216)를 포함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1 개구부(235)는 파스너(270)를 포함하는 제1 주머니 부분(230)의 상부 테두리에 위치하고 있다.
제1 개구부(235)는 주머니(210)가 제1 주머니 부분(230)과 제2 주머니 부분(250)으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내용물을 내부 공간(219)에 수용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제2 개구부(236)는 제1 측방부(231A)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부(236)는 내용물을 내부 공간(219)에 수용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바닥 가젯(232)은, 주머니 본체부(231)를 지지하고 있다. 도면 중의 일점쇄선은, 바닥 가젯(232)과 주머니 본체부(231)의 경계를 나타내고 있다.
돌출부(233)는 제1 측방부(231A)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233)는 제2 개구부(236)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주머니 부분(250)은 개구 시일부(251)를 갖는다.
개구 시일부(251)는 상부 테두리(217)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 시일부(251)는 제1 개구부(235)를 폐쇄하고 있다.
시일부(220)는 열 용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시일부(220)는 제1 측방 시일부(221), 제2 측방 시일부(222), 상방 시일부(223) 및 하방 시일부(224)를 갖는다.
제1 측방 시일부(221)는 주머니(210)에 있어서 제1 측방 테두리(215)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제1 측방 시일부(221)는 측방 시일 상측 부분(221A) 및 측방 시일 하측 부분(221B)을 갖는다. 측방 시일 상측 부분(221A) 및 측방 시일 하측 부분(221B)은, 제2 개구부(236)에 의해 서로 분단되어 있다.
측방 시일 상측 부분(221A)은, 주머니(210)에 있어서 제1 코너부(211)로부터 제2 개구부(236)까지의 범위를 시일하고 있다.
측방 시일 하측 부분(221B)은, 제2 개구부(236)에 있어서, 주머니 본체부(231)와 바닥 가젯(232)과의 경계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제2 측방 시일부(222)는 주머니(210)에 있어서 제2 측방 테두리(216)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상방 시일부(223)는 상부 테두리(217)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상방 시일부(223)는 개구 시일부(251)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방 시일부(224)는 하부 테두리(218)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가이드선(260)은 개구 가이드선(261)과 노치(262)를 갖는다. 개구 가이드선(261)은 주머니(210)에 있어서 제1 주머니 부분(230) 및 제2 주머니 부분(250)을 서로 분리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노치(262)는 개구 가이드선(261)과 제2 측방 테두리(216)와의 접점에 위치하고 있다. 노치(262)는 개구 가이드선(261)을 따라 주머니(210)를 절취할 때의 시작점으로서 기능한다.
파스너(270)는 제1 개구부(235)를 개폐한다.
파우치(20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우치(200)에서는, 제2 개구부(236)를 개재하여 내부 공간(219)에 내용물이 충전된다. 파우치(200)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파우치(100)와 마찬가지의 수순에 의해 내부 공간(219)에 내용물이 충전된다.
파우치(2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제2 주머니 부분(250)이 제1 주머니 부분(230)으로부터 분리된다.
사용자는, 파스너(270)를 개방하고, 내부 공간(219)에 고기나 야채 등의 속재료를 추가한다. 사용자는, 내부 공간(219)에 원하는 속재료를 수용시킨 후, 파스너(270)에 의해 제1 개구부(235)를 폐쇄한다. 그 후, 사용자는, 제1 주머니 부분(230)을 전자레인지에 의해 가열한다. 이에 의해, 내용물 및 추가한 속재료가 조리된다.
또한, 제1 주머니 부분(230)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는 것에 수반하여, 내용물로부터 증기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내부 공간(219) 내의 압력 즉 내부 공간(219)의 내압이 상승한다. 내부 공간(219)의 내압이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하는 것에 수반하여, 파스너(270)가 개방된다. 이로 인해, 파스너(270)를 개재하여 내부 공간(219)에서 발생한 증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내부 공간(219)의 내압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이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의 파우치(200)는 상기 (1) 내지 (3)의 이점을 갖는다.
(제3 실시 형태)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제3 실시 형태의 파우치(300)와 도 7에 도시되는 제2 실시 형태의 파우치(200) 사이의 주요한 상위점은 다음과 같다. 즉, 제2 실시 형태의 파우치(200)는 제2 측방부(231B)에 오목 형상을 갖지 않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파우치(300)는 제2 측방부(231B)에 오목 형상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 형태의 파우치(200)와 상이한 점의 상세를 설명한다.
제1 주머니 부분(230)의 제2 측방부(231B)는, 제2 측방 테두리(216)를 포함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2 측방부(231B)는, 제1 측방부(231A)와 반대측의 측방부이다. 제2 측방부(231B)는, 제2 개구부(236)가 형성된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237)을 갖는다.
도 9를 참조하여, 파우치(300)가 제조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우치(300)는 1매의 시트 상에 복수의 파우치(300)의 틀이 배치된 틀 파우치(600)를 절단함으로써 제조된다. 파우치(300)의 틀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파우치의 틀에 있어서, 한쪽 틀의 제2 측방부(231B)에 다른 쪽 틀의 제2 개구부(236)가 배치된다. 인접하는 파우치(300)의 틀 사이의 폐기 부분(310)은 커터에 의해 절취된다.
본 실시 형태의 파우치(300)는 상기 (1) 내지 (3)의 이점 이외에,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8) 주머니(210)의 제2 측방부(231B)는, 제2 개구부(236)가 형성된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237)을 갖는다. 그로 인해, 인접하는 2개의 파우치(300)의 틀에 있어서, 한쪽 틀의 제2 측방부(231B)에 다른 쪽 틀의 제2 개구부(236)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수율이 향상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10 등에 도시되는 제4 실시 형태의 파우치(700)와 도 7에 도시되는 제2 실시 형태의 파우치(200) 사이의 주요한 상위점은, 다음과 같다. 즉, 제2 실시 형태의 파우치(200)는 파스너(270)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파우치(700)는 파스너(800) 및 역(易)개봉 시일부(900)(easily-openable sealing portion)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 형태의 파우치(200)와 상이한 점의 상세를 설명한다.
파스너(800) 및 역개봉 시일부(9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파스너(800)는 암형(810) 및 수형(820)을 갖는다. 암형(810)은 암형 기재(811) 및 암형 주요부(812)를 갖는다.
암형 기재(811)는 주머니(210)를 형성하는 시트에 열 용착되어 있다. 암형 기재(811)는 암형 주요부(812)를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암형 주요부(812)는 공기형 형상을 갖는다. 암형 주요부(812)는 암형 기재(8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형 주요부(812)는 개봉측 갈고리(813) 및 내용물측 갈고리(814)를 갖는다.
개봉측 갈고리(813)는 암형 기재(811)를 향하여 굴곡되는 형상을 갖는다. 개봉측 갈고리(813)는 내용물측 갈고리(814)보다도 주머니(210)의 개봉측에 위치하고 있다.
내용물측 갈고리(814)는 암형 기재(811)를 향하여 굴곡되는 형상을 갖는다. 내용물측 갈고리(814)는 개봉측 갈고리(813)보다도 주머니(210)의 내부 공간(119) 측에 위치하고 있다.
수형(820)은 수형 기재(821) 및 수형 주요부(822)를 갖는다.
수형 기재(821)는 주머니(210)를 형성하는 시트에 열 용착되어 있다. 수형 기재(821)는 수형 주요부(822)를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수형 주요부(822)는 화살촉형 형상을 갖는다. 수형 주요부(822)는 수형 기재(82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형 주요부(822)는 지지부(823) 및 선단부(824)를 갖는다. 지지부(823)는 수형 기재(821)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823)는 수형 기재(821)로부터 암형 기재(811)에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선단부(824)는 지지부(823)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824)는 개봉측 갈고리(824A) 및 내용물측 갈고리(824B)를 갖는다. 개봉측 갈고리(824A)는, 암형 주요부(812)의 개봉측 갈고리(813)와 끼워 맞춰지는 형상을 갖는다. 내용물측 갈고리(824B)는, 암형 주요부(812)의 내용물측 갈고리(814)와 끼워 맞춰지는 형상을 갖는다. 내용물측 갈고리(824B)와 내용물측 갈고리(814) 사이의 감합 강도는, 개봉측 갈고리(824A)와 개봉측 갈고리(813) 사이의 감합 강도보다도 크다. 이로 인해, 파스너(800)는 내부 공간측보다도 개봉측 쪽으로부터 개봉하기 쉬운 구조를 갖는다.
역개봉 시일부(900)는 내부 공간(219)의 내용물이 파스너(800)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기능한다. 역개봉 시일부(900)는 제1 개구부(235)를 폐쇄하고 있다. 역개봉 시일부(900)는 파스너(800)에 대하여 내부 공간(219) 측에 위치하고 있다. 역개봉 시일부(900)는 주요부(910) 및 주머니 시일부(920)를 갖는다.
주요부(910)는 파스너(800)의 암형 기재(811)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암형 기재(8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요부(910)는 주머니 시일부(920)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주머니 시일부(9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 시일부(920)는 주머니(210)의 내주면과 시일되어 있다. 주머니 시일부(920)는 시일부(220)보다도 낮은 시일 강도를 갖는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파우치(700)를 사용한 내용물 봉입 파우치(710)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용물 봉입 파우치(710)의 제조 공정은, 제1 공정, 제2 공정(도 12의 (a)), 제3 공정(도 12의 (b)), 제4 공정(도 12의 (c)), 제5 공정(도 13의 (a)), 제6 공정(도 13의 (b)) 및 제7 공정(도 13의 (c))을 포함한다.
제1 공정에 있어서는, 파우치(700)가 제조된다.
제2 공정에 있어서는, 파우치(700)의 제1 코너부(211)의 주변 및 제3 코너부(213)의 주변이 각각 충전기(400)의 척(410)에 의해 척킹된다.
파우치(700)는 도 12의 (a)에 도시되는 상태에서, 충전 라인에 반송된다. 소정의 충전 라인 위치에 있어서, 제2 개구부(236)는 흡반(도시 생략)에 의해 개구된다.
제3 공정에 있어서는, 도 12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개구부(236)에 노즐(420)이 삽입된다. 노즐(420)은 내부 공간(219)에 내용물(2)을 충전한다.
제4 공정에 있어서는, 도 12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219)에 소정량의 내용물(2)이 충전됨으로써 충전이 종료된다. 내부 공간(219)에의 내용물(2)의 충전이 종료된 후, 노즐(420)은 제2 개구부(236)로부터 빠진다.
제5 공정에 있어서는, 도 13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파우치(700)의 제1 코너부(211)의 주변 및 제3 코너부(213)의 주변이 각각 충전기(400)의 척(410)에 의해 척킹된 상태로 파우치(700)가 시일 가공 라인에 반송된다.
제6 공정에 있어서는, 도 13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시일 가공 라인 위치에 있어서, 시일 장치(500)는 제2 개구부(236)를 사이에 끼운다. 이에 의해, 제2 개구부(236)가 시일된다.
제7 공정에 있어서는, 시일 가공의 종료 후, 도 13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일 장치(500)는 제2 개구부(236)의 끼워넣기 상태를 해제한다.
본 실시 형태의 파우치(700)는 상기 (1) 내지 (3)의 이점 이외에,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9) 주머니(210)는 역개봉 시일부(900)를 갖는다. 역개봉 시일부(900)는 제1 개구부(235)를 폐쇄하고 있다. 역개봉 시일부(900)는 파스너(800)에 대하여 내부 공간(219)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개구부(236)로부터 주머니(210)의 내부 공간(219)에 내용물(2)을 넣을 때에, 내용물(2)이 파스너(800)에 부착될 우려가 보다 저감된다.
도 14 등에 도시되는 제5 실시 형태의 파우치(950)와 도 7에 도시되는 제2 실시 형태의 파우치(200) 사이의 주요한 상위점은, 다음과 같다. 즉, 제2 실시 형태의 파우치(200)는 시일부(220)에 통증부를 갖지 않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파우치(950)는 시일부(220)에 통증부(951)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 형태의 파우치(200)와 상이한 점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통증부(95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증부(951)는 내부 공간(219)에서 발생한 증기를 내부 공간(219)으로부터 외부의 공간에 배출하도록 기능한다. 통증부(951)는 파우치(200)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형상을 갖는다. 통증부(951)는 제2 측방 시일부(222)의 일부가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오목해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파우치(95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우치(950)에서는, 제2 개구부(236)를 개재하여 내부 공간(219)에 내용물이 충전된다. 파우치(950)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파우치(100)와 마찬가지의 수순에 의해 내부 공간(219)에 내용물이 충전된다.
파우치(95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제2 주머니 부분(250)이 제1 주머니 부분(230)으로부터 분리된다.
사용자는, 파스너(270)를 개봉하여, 내부 공간(219)에 고기나 야채 등의 속재료를 추가한다. 사용자는, 내부 공간(219)에 속재료를 수용한 후, 파스너(270)에 의해 제1 개구부(235)를 폐쇄한다. 그 후, 사용자는, 제1 주머니 부분(230)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한다. 이에 의해, 내용물 및 추가한 속재료가 조리된다.
또한, 제1 주머니 부분(230)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는 것에 수반하여, 내용물에서 증기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내부 공간(219)의 내압이 상승한다.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219)의 내압이 소정의 압력까지 상승하는 것에 수반하여, 통증부(951)의 시일이 박리된다. 이로 인해, 통증부(951)에 개구(951A)가 형성된다. 내부 공간(219)에서 발생한 증기는, 개구(951A)를 개재하여 외부의 공간에 배출된다. 이로 인해, 내부 공간(219)의 내압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6 실시 형태)
도 16을 참조하여,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6, 도 7 및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되는 도트가 첨부된 부분은, 파우치(10)의 시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는 파우치(10) 및 내용물(2)을 갖는다. 파우치(10)는 스탠딩 파우치로서의 형태를 갖는다. 파우치(10)의 제2 개구부(61)(도 17 참조)는 시일되어 있다. 내용물(2)은 액체 조미료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파우치(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우치(10)는 주머니(20) 및 파스너(1000)를 갖는다. 파우치(10)는 제2 개구부(61)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테두리 전체가 시일되어 있다.
주머니(20)는 주 주머니부(30), 부 주머니부(70), 시일부(80) 및 절단 보조부(90)을 갖는다. 주머니(20)는 적층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적층 시트는, 최외층, 중간층 및 최내층을 갖는다. 최외층은, 주머니(20)에 있어서의 가장 외측의 층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에 의해 구성된다. 최내층은, 주머니(20)에 있어서의 가장 내측의 층이며, 비연신 폴리프로필렌층에 의해 구성된다. 중간층은, 인쇄층, 제1 접착층, 연신 나일론층 및 제2 접착층에 의해 구성된다. 인쇄층은, 최외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착층은, 인쇄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연신 나일론층은, 제1 접착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착층은, 연신 나일론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최내층은, 제2 접착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인쇄층은, 외면에 무늬 및 상품의 설명 등을 갖는다.
주머니(20)는 제1 코너부(21), 제2 코너부(22), 제3 코너부(23), 제4 코너부(24), 제1 측방 테두리(25), 제2 측방 테두리(26), 상부 테두리(27), 하부 테두리(28) 및 내부 공간(29)을 갖는다.
제1 측방 테두리(25)는 주머니(20)에 있어서의 제1 코너부(21)로부터 제3 코너부(23)까지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다. 제2 측방 테두리(26)는 주머니(20)에 있어서의 제2 코너부(22)로부터 제4 코너부(24)까지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다. 상부 테두리(27)는 주머니(20)에 있어서 제1 코너부(21)로부터 제2 코너부(22)까지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다. 하부 테두리(28)는 주머니(20)에 있어서 제3 코너부(23)로부터 제4 코너부(24)까지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다.
제1 측방 테두리(25) 및 상부 테두리(27)는 제1 코너부(21)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다. 제1 측방 테두리(25) 및 하부 테두리(28)는 제3 코너부(23)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다. 제2 측방 테두리(26) 및 상부 테두리(27)는 제2 코너부(22)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다. 제2 측방 테두리(26) 및 하부 테두리(28)는 제4 코너부(24)에 있어서 서로 연속되어 있다.
주 주머니부(30)는 주머니 본체부(40), 바닥 가젯(50) 및 돌출부(60)를 갖는다.
주머니 본체부(40)는 제1 측방부(41), 제2 측방부(42) 및 제1 개구부(43)를 갖는다.
제1 측방부(41)는 도면 중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경계선(XA3)보다도 내부 공간(29) 측의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2 측방부(42)는 제2 측방 테두리(26)를 포함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1 개구부(43)는 파스너(1000)를 포함하는 주 주머니부(30)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부(43)는 주머니(20)가 주 주머니부(30)와 부 주머니부(70)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내용물을 내부 공간(29)에 수용하도록 기능한다.
바닥 가젯(50)은, 주머니 본체부(40)를 지지한다. 도면 중의 이점쇄선(XA4)은, 바닥 가젯(50)과 주머니 본체부(40)의 경계선을 나타내고 있다.
돌출부(60)는 제1 측방부(41)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60)는 제2 개구부(61)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부(61)는 내용물을 내부 공간(29)에 수용하도록 기능한다.
부 주머니부(70)는 절단 보조부(90)를 개재하여 주 주머니부(3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시일부(80)는 열 용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시일부(80)는 제1 측방 시일부(81), 제2 측방 시일부(82), 상방 시일부(83), 하방 시일부(84) 및 역개봉 시일부(85)를 갖는다.
제1 측방 시일부(81)는 주머니(20)에 있어서 제1 측방 테두리(25)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제1 측방 시일부(81)는 측방 시일 상부(81A) 및 측방 시일 하부(81B)를 갖는다. 측방 시일 상부(81A) 및 측방 시일 하부(81B)는, 제2 개구부(61)에 의해 서로 분단되어 있다.
측방 시일 상부(81A)는, 주머니(20)에 있어서 제1 코너부(21)로부터 제2 개구부(61)까지의 범위를 시일하고 있다.
측방 시일 하부(81B)는, 제2 개구부(61)에 있어서, 주머니 본체부(40)와 바닥 가젯(50)의 경계 부분을 시일한다.
제2 측방 시일부(82)는 주머니(20)에 있어서 제2 측방 테두리(26)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부분을 시일한다. 상방 시일부(83)는 상부 테두리(27)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상방 시일부(83)는 상부 테두리(27)에 형성되어 있다. 상방 시일부(83)는 제1 개구부(43)를 폐쇄하고 있다. 하방 시일부(84)는 하부 테두리(28)를 포함하는 바닥 가젯(50)의 소정 범위의 부분을 시일하고 있다. 역개봉 시일부(85)는 주머니 본체부(40)를 형성하는 2매의 시트를 시일하고 있다. 역개봉 시일부(85)는 제1 개구부(43)를 폐쇄하고 있다. 역개봉 시일부(85)는 파스너(1000)와 내부 공간(29)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절단 보조부(90)는 주머니(20)를 주 주머니부(30)와 부 주머니부(70)로 서로 분리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절단 보조부(90)는 노치(91) 및 가이드선(92)을 갖는다. 노치(91)는 주머니(20)를 주 주머니부(30)와 부 주머니부(70)로 분리하기 위한 계기 부분 즉 시작부로서 기능한다. 노치(91)는 제1 측방 테두리(25) 및 제2 측방 테두리(26)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선(92)은 주머니(20)를 주 주머니부(30)와 부 주머니부(70)로 서로 분리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기능한다. 가이드선(92)은 주머니(20)를 구성하는 필름에 대하여 레이저에 의한 하프컷 가공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파스너(1000)는 제1 개구부(43)를 개폐하도록 기능한다. 파스너(1000)는 제1 파스너 단부(1001), 제2 파스너 단부(1002), 고감합 강도부(1100) 및 저감합 강도부(1200)를 갖는다. 파스너(1000)는 파스너 길이(LA)를 갖는다. 파스너 길이(LA)는, 제1 파스너 단부(1001)로부터 제2 파스너 단부(1002)까지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제1 파스너 단부(1001)는 측방 시일 상부(81A)의 내측 테두리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파스너 단부(1002)는 제2 측방 시일부(82)의 내측 테두리에 위치하고 있다.
고감합 강도부(1100)는 제1 파스너 단부(1001)로부터 저감합 강도부(1200)의 제1 저감합 단부(1200A)까지의 제1 부분과, 제2 파스너 단부(1002)로부터 저감합 강도부(1200)의 제2 저감합 단부(1200B)까지의 제2 부분을 포함한다.
고감합 강도부(1100)의 제1 부분은, 제1 고감합 강도부 길이(LB)를 갖고, 고감합 강도부(1100)의 제2 부분은 제2 고감합 강도부 길이(LC)를 갖는다. 제1 고감합 강도부 길이(LB)는, 제1 파스너 단부(1001)로부터 제1 저감합 단부(1200A)까지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제2 고감합 강도부 길이(LC)는, 제2 파스너 단부(1002)로부터 제2 저감합 단부(1200B)까지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제1 고감합 강도부 길이(LB)와 제2 고감합 강도부 길이(LC)는 동등하다.
저감합 강도부(1200)는 저감합 강도부 길이(LD)를 갖는다. 저감합 강도부 길이(LD)는, 제1 저감합 단부(1200A)로부터 제2 저감합 단부(1200B)까지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저감합 강도부 길이(LD)는, 파스너 길이(LA)의 20%의 길이를 갖는다.
도 18을 참조하여, 고감합 강도부(1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는, 역개봉 시일부(8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고감합 강도부(1100)는 암형 기재(1110), 통상 암형(1120), 수형 기재(1150) 및 통상 수형(1160)을 갖는다.
암형 기재(1110)는 주머니(20)를 형성하는 시트에 열 용착된다. 암형 기재(1110)는, 통상 암형(1120)을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통상 암형(1120)은 공기형 형상을 갖는다. 통상 암형(1120)은 암형 기재(11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상 암형(1120)은 개봉측 통상 갈고리(1130) 및 내용물측 통상 갈고리(1140)를 갖는다. 개봉측 통상 갈고리(1130)는 암형 기재(1110)를 향하여 굴곡되는 형상을 갖는다. 개봉측 통상 갈고리(1130)는 내용물측 통상 갈고리(1140)보다도 주머니(20)의 개봉측에 위치하고 있다.
내용물측 통상 갈고리(1140)는 암형 기재(1110)를 향하여 굴곡되는 형상을 갖는다. 내용물측 통상 갈고리(1140)는 내용물측 통상 갈고리(1130)보다도 주머니(20)의 내부 공간(29) 측에 위치하고 있다. 내용물측 통상 갈고리(1140)와 개봉측 통상 갈고리(1130)는, 통상 거리(LE)를 갖는다. 통상 거리(LE)는, 통상 암형(1120)에 대하여 통상 수형(1160)이 끼워 맞춰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내용물측 통상 갈고리(1140)와 개봉측 통상 갈고리(1130)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수형 기재(1150)는 주머니(20)를 형성하는 시트에 열 용착된다. 수형 기재(1150)는 통상 수형(1160)을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통상 수형(1160)은 화살촉형 형상을 갖는다. 통상 수형(1160)은 수형 기재(115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상 수형(1160)은, 통상 지지부(1170) 및 통상 선단부(1180)를 갖는다. 통상 지지부(1170)는 수형 기재(115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통상 지지부(1170)는 수형 기재(1150)로부터 암형 기재(1110)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통상 지지부(1170)는 기단부 경계부(1170A) 및 선단 경계부(1170B)를 갖는다. 기단부 경계부(1170A)는, 통상 지지부(1170)와 수형 기재(1150)와의 경계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선단 경계부(1170B)는, 통상 지지부(1170)와 통상 선단부(1180)와의 경계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 지지부(1170)는, 통상 지지부 길이(LF)를 갖는다. 통상 지지부 길이(LF)는, 기단부 경계부(1170A)와 선단 경계부(1170B)와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통상 선단부(1180)는, 통상 지지부(117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통상 선단부(1180)는 개봉측 통상 갈고리(1180A) 및 내용물측 통상 갈고리(1180B)를 갖는다. 개봉측 통상 갈고리(1180A)는, 통상 암형(1120)의 개봉측 통상 갈고리(1130)와 끼워 맞춰지는 형상을 갖는다. 내용물측 통상 갈고리(1180B)는, 통상 암형(1120)의 내용물측 통상 갈고리(1140)와 끼워 맞춰지는 형상을 갖는다. 내용물측 통상 갈고리(1180B)와 내용물측 통상 갈고리(1140) 사이의 감합 강도는, 개봉측 통상 갈고리(1180A)와 개봉측 통상 갈고리(1130) 사이의 감합 강도보다도 크다. 이로 인해, 파스너(1000)는 내부 공간측보다도 개봉측 쪽으로부터 개봉하기 쉬운 구조를 갖는다.
도 19를 참조하여, 저감합 강도부(1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는, 역개봉 시일부(8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저감합 강도부(1200)는 고감합 강도부(1100)에 0%의 감합 강도를 갖는다. 저감합 강도부(1200)는 고감합 강도부(11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파스너(1000)를 소정 압력, 소정 시간 및 소정 온도의 조건 하에서, 누름(crush)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저감합 강도부(1200)는 암형 기재(1210), 변형 암형(1220), 수형 기재(1250) 및 변형 수형(1260)을 갖는다.
암형 기재(1210)는 주머니(20)를 형성하는 시트에 열 용착된다. 암형 기재(1210)는 변형 암형(1220)을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변형 암형(1220)은 공기형 형상을 갖는다. 변형 암형(1220)은 암형 기재(12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변형 암형(1220)은 개봉측 변형 갈고리(1230) 및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40)을 갖는다. 개봉측 변형 갈고리(1230)은 암형 기재(1210)를 향하여 굴곡되는 형상을 갖는다. 개봉측 변형 갈고리(1230)은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40)보다도 주머니(20)의 개봉측에 위치하고 있다.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40)는 암형 기재(1210)를 향하여 굴곡되는 형상을 갖는다.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40)는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40)보다도 주머니(20)의 내부 공간(29) 측에 위치하고 있다.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40)와 개봉측 변형 갈고리(1230)는, 변형 거리(LG)를 갖는다. 변형 거리(LG)는,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40)와 개봉측 변형 갈고리(1230)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변형 거리(LG)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통상 거리(LE)보다도 크다.
수형 기재(1250)는 주머니(20)를 형성하는 시트에 열 용착된다. 수형 기재(1250)는 변형 수형(1260)을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변형 수형(1260)은 화살촉형 형상을 갖는다. 변형 수형(1260)은 수형 기재(125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변형 수형(1260)은 변형 지지부(1270) 및 변형 선단부(1280)를 갖는다. 변형 지지부(1270)는 수형 기재(125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변형 지지부(1270)는 수형 기재(1250)로부터 암형 기재(1210)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변형 지지부(1270)는 기단부 경계부(1270A) 및 선단 경계부(1270B)를 갖는다. 기단부 경계부(1270A)는, 변형 지지부(1270)와 수형 기재(1250)와의 경계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선단 경계부(1270B)는, 변형 지지부(1270)와 변형 선단부(1280)와의 경계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변형 지지부(1270)는 변형 지지부 길이(LH)를 갖는다. 변형 지지부 길이(LH)는, 기단부 경계부(1270A)와 선단 경계부(1270B)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변형 지지부 길이(LH)는, 도 18에 도시되는 통상 지지부 길이(LF)보다도 짧다.
변형 선단부(1280)는 변형 지지부(1270)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변형 선단부(1280)는 개봉측 변형 갈고리(1280A) 및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80B)를 갖는다. 개봉측 변형 갈고리(1280A)는, 변형 암형(1220)의 개봉측 변형 갈고리(1230)와 끼워 맞춰지는 형상을 갖는다. 개봉측 변형 갈고리(1280A)와 개봉측 변형 갈고리(1230)는, 0%의 감합 강도를 갖는다.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80B)는, 변형 암형(1220)의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40)와 끼워 맞춰지는 형상을 갖는다.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80B)와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40)는, 0%의 감합 강도를 갖는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의 제조 공정은, 제1 공정, 제2 공정(도 20의 (a)), 제3 공정(도 20의 (b)), 제4 공정(도 20의 (c)), 제5 공정(도 21의 (a)), 제6 공정(도 21의 (b)) 및 제7 공정(도 21의 (c))을 포함한다.
제1 공정에 있어서는, 파우치(10)가 제조된다.
제2 공정에 있어서는, 파우치(10)의 제1 코너부(21)의 주변 및 제3 코너부(23)의 주변이 각각 충전기(400)의 척(410)에 의해 척킹된다.
파우치(10)는 도 20의 (a)에 도시되는 상태에서, 충전 라인에 반송된다. 소정의 충전 라인 위치에 있어서, 제2 개구부(61)는 흡반(도시 생략)에 의해 개구된다.
제3 공정에 있어서는, 도 20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개구부(61)에 노즐(420)이 삽입된다. 노즐(420)은 내부 공간(29)에 내용물(2)을 충전한다.
제4 공정에 있어서는, 도 20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29)에 소정량의 내용물(2)이 충전됨으로써 충전이 종료된다. 내부 공간(29)에의 내용물(2)의 충전이 종료된 후, 노즐(420)은 제2 개구부(61)로부터 빠진다.
제5 공정에 있어서는, 도 21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파우치(10)의 제1 코너부(21)의 주변 및 제3 코너부(23)의 주변이 각각 충전기(400)의 척(410)에 의해 척킹된 상태로 파우치(10)가 시일 가공 라인에 반송된다.
제6 공정에 있어서는, 도 21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시일 가공 라인 위치에 있어서, 시일 장치(500)는 제2 개구부(61)를 사이에 끼운다. 이에 의해, 제2 개구부(61)가 시일된다.
제7 공정에 있어서는, 시일 가공의 종료 후, 도 21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일 장치(500)는 제2 개구부(61)의 끼워넣기 상태를 해제한다. 그 후, 시일 장치(500)는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로부터 이격된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머니(20)는 노치(91)를 시작점으로 해서, 가이드선(92)을 따라 절취되는 것에 의해, 주 주머니부(30)와 부 주머니부(70)로 분리한 상태(이하, 「분리 상태」)로 된다. 주머니(20)는 분리 상태에 있어서, 고감합 강도부(1100)의 감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파스너(1000)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제1 개구부(43)가 개구된다. 또한, 이때 역개봉 시일부(85)도 박리된다.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개구부(43)가 개구된 상태에 있어서, 내부 공간(29)에 속재료(3000)를 투입한다. 속재료(3000)로서는, 고기, 야채 등, 사용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다.
도 2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파우치(10)는 내부 공간(29)에 내용물(2) 및 속재료(3000)가 투입된 상태에서, 파스너(1000)가 다시 폐쇄된다. 파우치(10)는 파스너(1000)가 다시 폐쇄된 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된다.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는 가열됨으로써, 내부 공간(29)에서 증기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는 내부 공간(29) 내의 압력, 즉 내압이 상승한다.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의 내압이 상승하는 것에 수반하여,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에는, 서로 대향하여 파우치(10)의 내부 공간(29)을 형성하는 시트를 이격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또한,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의 내압이 상승하는 것에 수반하여,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에는, 고감합 강도부(1100)의 감합 상태를 해제시키려고 하는 힘(이하, 「감합 해제력」)이 작용한다.
또한,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를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함으로써, 내부 공간(29)에서 발생한 증기는, 약간이지만 저감합 강도부(1200)를 개재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저감합 강도부(1200)를 개재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의 배출 속도는, 내부 공간(29)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발생 속도와 비교하여 매우 작다. 이로 인해, 내부 공간(29)의 압력이 상승한다.
도 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에서는, 감합 해제력이 고감합 강도부(1100)의 감합 강도를 상회하기 전에, 저감합 강도부(1200)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저감합 강도부(1200)를 개재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의 배출 속도가, 내부 공간(29)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발생 속도를 상회한다. 이로 인해,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의 내압 상승이 온화해지고, 곧 내압의 상승은 정지된다. 또한, 저감합 강도부(1200)의 개봉을 계기로 해서, 고감합 강도부(1100)의 일부 감합 상태가 해제된다.
도 26을 참조하여, 고감합 강도부의 감합 강도에 대한 저감합 강도부의 감합 강도의 비율(이하, 「강도 비율」)을 변화시켰을 때의, 파스너(1000)의 개봉 형태에 대하여 검증한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험은, 150㎜의 파스너 길이를 갖는 파스너의 중앙 부분에 저감합 강도부를 형성함으로써 행하여졌다. 본 실험의 고감합 강도부는, 38N/20㎜의 감합 강도를 갖는다. 고감합 강도부는, 파스너 중 저감합 강도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저감합 강도부는, 파스너의 중앙 부분이, 소정 압력, 소정 시간 및 소정 온도의 조건 하에서, 눌려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저감합 강도부는, 20㎜의 저감합 강도부 길이를 갖는다.
강도 비율이 100%, 즉, 파스너에 저감합 강도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때, 가열에 수반하는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내압 상승에 의해, 파스너는 큰 소리와 함께 개방되었다.
강도 비율이 95%일 때, 가열에 수반하는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내압 상승에 의해, 파스너는 큰 소리와 함께 개방되었다.
강도 비율이 70%, 80% 및 90%일 때, 가열에 수반하는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내압 상승에 의한 파스너 개봉시의 소리는, 강도 비율이 95% 및 100%일 때와 비교하여 약간 작아졌다.
강도 비율이 0%, 30% 및 50%일 때, 가열에 수반하는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내압 상승에 의한 파스너 개봉시의 소리는, 강도 비율이 70%, 80%, 90%, 95% 및 100%일 때와 비교하여 작아졌다.
이상의 결과, 강도 비율을 90% 이하로 함으로써, 파스너 개봉시의 소리의 크기 저감에 대하여 효과가 알아내졌다. 특히, 강도 비율을 50% 이하로 함으로써, 파스너 개봉시의 소리의 크기 저감에 대하여 현저한 효과가 알아내졌다.
도 27을 참조하여, 파스너 길이에 대한 저감합 강도부 길이의 비율(이하, 「강도부 길이 비율」)을 변화시켰을 때의, 파스너(1000)의 개봉 형태에 대하여 검증한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험은, 150㎜의 파스너 길이를 갖는 파스너의 중앙 부분에 저감합 강도부를 형성함으로써 행하여졌다. 고감합 강도부는, 파스너 중 저감합 강도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저감합 강도부는, 파스너의 중앙 부분이, 소정 압력, 소정 시간 및 소정 온도의 조건 하에서, 눌려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저감합 강도부는, 0N/20㎜의 감합 강도를 갖는다.
강도부 길이 비율이 0%, 즉, 파스너에 저감합 강도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때, 가열에 수반하는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내압 상승에 의해, 파스너는 큰 소리와 함께 개방되었다.
강도부 길이 비율이 5%일 때, 가열에 수반하는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내압 상승에 의한 파스너 개봉시의 소리는, 강도부 길이 비율이 0%일 때와 비교하여 약간 작아졌다.
강도부 길이 비율이 10%, 20% 및 50%일 때, 가열에 수반하는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내압 상승에 의한 파스너 개봉시의 소리는, 강도부 길이 비율이 0% 및 5%일 때와 비교하여 작아졌다.
강도부 길이 비율이 70%일 때, 가열에 수반하는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내압 상승에 의한 파스너 개봉시의 소리는, 강도부 길이 비율이 0%, 5%, 10%, 20% 및 50%일 때와 비교하여 작아졌다. 그러나, 강도부 길이 비율이 70%일 때, 파스너에 의한 파우치의 밀봉성이 저하되었다.
강도부 길이 비율이 80%일 때, 가열에 수반하는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내압 상승에 의한 파스너 개봉시의 소리는, 강도부 길이 비율이 0%, 5%, 10%, 20%, 50% 및 70%일 때와 비교하여 작아졌다. 그러나, 강도부 길이 비율이 80%일 때, 파스너에 의한 파우치의 밀봉성이 강도부 길이 70%일 때와 비교하여 더욱 저하하였다.
이상의 결과, 강도부 길이 비율을 5% 이상으로 함으로써, 파스너 개봉시의 소리의 크기 저감에 대하여 효과가 알아내졌다. 특히, 강도부 길이 비율을 5% 이상 내지 70% 이하로 함으로써, 파스너에 의한 파우치의 밀봉성 저하를 억제하고 또한 파스너 개봉시의 소리의 크기 저감에 대하여 효과가 알아내졌다.
제6 실시 형태의 파우치(10)는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
(10) 파우치(10)는 파스너(1000)를 갖는다. 파스너(1000)는 고감합 강도부(1100) 및 저감합 강도부(1200)를 갖는다. 이로 인해, 파우치(10)를 사용한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를 가열했을 때, 내압의 상승에 수반하여 상승하는 감합 해제력이, 고감합 강도부(1100)의 감합 강도보다도 먼저 저감합 강도부(1200)의 감합 강도에 도달한다. 이로 인해, 저감합 강도부(1200)의 감합 상태가 고감합 강도부(1100)의 감합 상태보다도 먼저 해제된다. 이에 의해, 감합 해제력이, 고감합 강도부(1100)의 감합 강도에 도달하기 전에, 내부 공간(29)에서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압의 상승에 수반하는 파우치(10)의 개봉 시에 발생하는 소리를 작게 할 수 있다.
(11) 파우치(10)는 제1 개구부(43) 외에, 제2 개구부(61)를 갖는다. 이로 인해,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제2 개구부(61)로부터 파우치(10)의 내부 공간(29)에 내용물(2)을 넣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파스너(1000)에 내용물이 부착될 우려가 저감된다.
(12) 파우치(10)는 주머니(20)를 갖는다. 주머니(20)는 주머니 본체부(40), 바닥 가젯(50) 및 돌출부(60)를 갖는다. 돌출부(60)는 제2 개구부(61)를 갖는다. 제2 개구부(61)는 주머니 본체부(40)로부터 주머니(2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로 인해,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제2 개구부(61)를 시일할 때, 파우치(10)를 척킹하는 척(410)이 시일 장치(500)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개구부(61)의 시일 가공이 용이해진다.
(13) 파우치(10)는 역개봉 시일부(85)를 갖는다. 역개봉 시일부(85)는 제1 개구부(43)를 폐쇄하고 있다. 역개봉 시일부(85)는 파스너(1000)와 내부 공간(29)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개구부(61)로부터 주머니(20)의 내부 공간(29)에 내용물(2)을 넣을 때에, 내용물(2)이 파스너(1000)에 부착될 우려가 저감된다.
(기타 실시 형태)
본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는,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6 실시 형태 이외의 실시 형태를 포함한다. 이하,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의 그밖의 실시 형태로서의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각 변형예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서로 조합할 수도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파우치(100)는 제1 측방부(131A)에 제2 개구부(136)를 갖는다. 한편, 변형예의 파우치는, 제1 측방부(131A) 대신에, 바닥 가젯(132)에 제2 개구부(136)를 갖는다. 요컨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개구부(136)의 형성 위치는 예시이며, 제2 개구부(136)의 기능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파우치(100)의 제2 개구부(136)는 주머니 본체부(131)의 제1 측방부(131A)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변형예의 파우치는, 제1 측방부(131A)에 제2 개구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변형예의 파우치(100)는 제2 개구부(136)가 형성되는 돌출부를 갖지 않다.
·제1 실시 형태의 절단 부분(163)은 중간 절단 부분(164), 제1 소정 절단 부분(165), 제2 소정 절단 부분(166) 및 중단 부분(167)을 갖는다. 한편, 변형예의 절단 부분(163)은 중간 절단 부분(164), 제1 소정 절단 부분(165), 제2 소정 절단 부분(166) 및 중단 부분(167) 중 중간 절단 부분(164)만을 갖는다. 요컨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절단 부분(163)의 구성은 예시이며, 파스너(170)의 절단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한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절단 억제 부분(138)은 제2 소정 절단 부분(166)의 내부 공간(119) 근처의 단부가 내부 공간(119)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변형예의 절단 억제 부분(138)은 제2 소정 절단 부분(166)의 내부 공간(119) 근처의 단부의 주변 시일 강도가 국소적으로 높여진 강 시일부를 갖는다.
·제1 실시 형태의 통증부(140)는 시일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통증로(141)를 갖는다. 한편, 변형예의 통증부(140)는 약 시일 가공이 실시된 통증로(141)를 갖는다. 약 시일 가공이 실시된 부분의 시일 강도는, 시일부(120)의 시일 강도보다도 낮다.
·제1 실시 형태의 개구 가이드선(161) 및 통증 가이드선(162)은 주머니(110)를 구성하는 필름에 대하여 레이저에 의한 하프컷 가공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변형예의 개구 가이드선 및 통증 가이드선 중 적어도 한쪽은, 주머니(110)를 구성하는 필름에 대하여 재봉선 가공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파우치(100)는 열 용착에 의한 시일 가공이 실시된 시일부(120)를 갖는다. 한편, 변형예의 파우치(100)는 임펄스 시일 가공, 고주파 시일 가공 및 초음파 시일 가공 중 적어도 1개에 의한 시일 가공이 실시된 시일부(120)를 갖는다.
·제1 실시 형태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1)는 내용물(2)로서 액체 조미료를 내부 공간(119)에 수용한다. 한편, 변형예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1)는 내용물(2)로서, 의료용 기구 또는 포유병을 수용한다.
·제4 실시 형태의 파우치(700)는 역개봉 시일부(900)를 갖는다. 역개봉 시일부(900)는 주머니 시일부(920)를 갖는다. 주머니 시일부(920)는 주머니(210)의 내주면과 시일되어 있다. 한편, 변형예의 역개봉 시일부는, 주머니(210)가 대향되는 내주면이 서로 시일됨으로써 이지 박리성을 갖는다.
·제5 실시 형태의 파우치(950)는 파스너(270)를 갖지 않는다. 한편, 변형예의 파우치는, 파스너(270)를 갖는다. 변형예의 파우치는, 통증부(951)와 가이드선(260) 사이에 파스너(270)를 갖는다. 그로 인해, 내부 공간(219)에 속재료를 추가한 후, 제1 개구부(235)를 다시 폐쇄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의 파스너(1000)는 단일의 저감합 강도부(1200)를 갖는다. 한편, 변형예의 파스너는, 복수의 저감합 강도부(1200)를 갖는다.
·제6 실시 형태의 파스너(1000)의 저감합 강도부 길이(LD)는, 파스너 길이(LA)의 20%의 길이를 갖는다. 한편, 변형예의 저감합 강도부 길이(LD)는, 파스너 길이(LA)의 5% 이상 내지 70% 이하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된다.
·제6 실시 형태의 제1 고감합 강도부 길이(LB)와 제2 고감합 강도부 길이(LC)는 동등하다. 한편, 변형예의 제1 고감합 강도부 길이는, 제2 고감합 강도부 길이와 상이하다. 요컨대, 제1 고감합 강도부 길이 및 제2 고감합 강도부 길이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의 저감합 강도부(1200)는 고감합 강도부(1100)의 감합 강도의 0%의 감합 강도를 갖는다. 한편, 변형예의 저감합 강도부의 감합 강도는, 고감합 강도부(1100)의 감합 강도의 0% 이상 내지 90% 이하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된다.
·제6 실시 형태의 저감합 강도부(1200)는 고감합 강도부(11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의 파스너(1000)가 소정 압력, 소정 시간 및 소정 온도의 조건 하에서, 눌려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변형예의 저감합 강도부는, 고감합 강도부(1100)보다도 감합 강도가 낮은 파스너가 별도로 삽입됨으로써 형성된다.
·제6 실시 형태의 저감합 강도부(1200)는 변형 암형(1220)을 갖는다. 변형 암형(1220)은 개봉측 변형 갈고리(1230) 및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40)를 갖는다. 한편, 변형예의 변형 암형은, 개봉측 변형 갈고리(1230) 및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40) 중 적어도 한쪽을 갖지 않다.
·제6 실시 형태의 저감합 강도부(1200)는 변형 수형(1260)을 갖는다. 변형 수형(1260)은 개봉측 변형 갈고리(1280A) 및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80B)를 갖는다. 한편, 변형예의 변형 수형은, 개봉측 변형 갈고리(1280A) 및 내용물측 변형 갈고리(1280B) 중 적어도 한쪽을 갖지 않다.
·제6 실시 형태의 파우치(10)는 상방 시일부(83), 역개봉 시일부(85), 돌출부(60) 및 제2 개구부(61)를 갖는다. 한편, 변형예의 파우치는, 상방 시일부(83), 역개봉 시일부(85), 돌출부(60) 및 제2 개구부(61) 중 적어도 하나를 갖지 않다.
·제6 실시 형태의 파우치(10)는 스탠딩 파우치로서의 형태를 갖는다. 한편, 변형예의 파우치는, 평형 파우치 등, 파우치로서의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2000)는 내용물(2)을 갖는다. 내용물(2)은 액체 조미료가 선택된다. 한편, 변형예의 내용물 봉입 파우치가 갖는 내용물(2)은 의료구나 포유병 등의 살균 소독된 물품이 선택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형태도 갖는다.
(부기 수단 1)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넣기에 적합한 주머니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파스너를 갖는 파우치로서, 상기 주머니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개구 시일부와, 상기 개구 시일부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개구 가이드선과,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증기를 빼기 위한 통증부와, 상기 통증부를 폐쇄하는 통증 시일부와, 상기 통증 시일부를 상기 통증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통증 가이드선과, 적어도 상기 파스너를 절단하는 절단 부분을 갖고, 상기 개구 시일부는 상기 개구 가이드선을 따라 상기 개구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통증 시일부는 상기 통증 가이드선을 따라 상기 통증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통증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구 시일부는, 상기 통증 시일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파스너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통증 시일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상에 위치하는 개구 파스너 부분과, 상기 통증 시일부 상에 위치하는 통증 파스너 부분을 갖고, 상기 절단 부분은, 상기 통증 가이드선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파우치를 제공한다.
상기 파우치의 절단 부분은, 통증 가이드선의 단부에 대응하고 있다. 이로 인해, 통증 가이드선을 따라 통증 시일부를 통증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통증 파스너 부분이 개구 파스너 부분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로 인해, 통증 시일부를 통증부로부터 분리하는 작업 및 통증 파스너 부분을 개구 파스너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연속된 하나의 작업이 된다.
(부기 수단 2)
상기 주머니는, 상기 파스너에 대하여 상기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는 주머니 소정 부분을 갖고, 상기 절단 부분은, 상기 파스너를 절단하는 중간 절단 부분과, 상기 중간 절단 부분에 연속하여 상기 주머니 소정 부분을 절단하는 제1 소정 절단 부분과, 상기 제1 소정 절단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내부 공간 근처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2 소정 절단 부분과, 상기 제1 소정 절단 부분과 상기 제2 소정 절단 부분을 분단하는 중단 부분을 갖는 부기 수단 1에 기재된 파우치를 제공한다.
상기 주머니의 절단 부분은, 제1 소정 절단 부분 및 제2 소정 절단 부분을 갖기 때문에, 제1 소정 절단 부분 및 제2 소정 절단 부분을 갖고 있지 않은 구성과 비교하여, 주머니 소정 부분을 주머니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제1 소정 절단 부분 및 제2 소정 절단 부분을 갖는 것에 수반하여, 주머니에 있어서의 중간 절단 부분의 연장선상의 부분을 분리하는 힘이 주머니에 작용할 때, 주머니 소정 부분에 있어서 제2 소정 절단 부분의 단부보다도 내부 공간측의 부분이 제2 소정 절단 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절단될 가능성이 있다. 제2 소정 절단 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발생하는 절단이 내부 공간에 도달한 경우에는, 내부 공간이 밀폐되지 않게 된다. 상기 발명은, 이러한 예측을 근거로 하여, 제1 소정 절단 부분과 제2 소정 절단 부분 사이에 중단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주머니에 있어서의 중간 절단 부분의 연장선상의 부분을 분리하는 상기 힘이 주머니에 작용할 때, 이 힘이 중단 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로 인해, 주머니 소정 부분에 있어서 제2 소정 절단 부분의 단부보다도 내부 공간측의 부분이 제2 소정 절단 부분으로부터 순서대로 절단될 가능성이 저감된다.
(부기 수단 3)
상기 주머니는, 상기 절단 부분의 연장선상에 있어서 절단 억제 부분과, 적어도 상기 개구 시일부 및 통증 시일부를 포함하는 시일부를 갖고, 상기 절단 억제 부분은, 상기 절단 부분의 연장선상을 따르는 상기 시일부의 절단이 상기 내부 공간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기능하거나(부기 수단 1) 또는 (부기 수단 2)에 기재된 파우치를 제공한다.
상기 주머니는, 절단 억제 부분을 갖기 때문에, 주머니에 있어서의 중간 절단 부분의 연장선상의 부분을 분리하는 힘이 주머니에 작용할 때, 주머니의 시일부가 이 힘에 의해 내부 공간까지 절단되는 것이 억제된다.

Claims (3)

  1.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제1 개구부를 가지는 주머니와,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파스너를 가지는 파우치로서,
    상기 주머니는 제2 개구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넣을 수 있고,
    제2 개구부는 열 용착에 의해 시일될 수 있으며,
    상기 주머니는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주머니 본체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주머니 본체부의 측방부로부터 상기 주머니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는 스탠딩 파우치로서의 형태를 가지고, 바닥 가젯을 가지며,
    상기 바닥 가젯은 상기 주머니 본체부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주머니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증기를 빼기 위한 통증부를 갖는,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역(易)개봉 시일부(easily-openable sealing portion)를 더 가지며,
    상기 역개봉 시일부는 상기 제1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와 상기 내부 공간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파우치.
  3. 내용물 봉입 파우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의 파우치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주머니의 측방 테두리 양단의 코너부 또는 그 주변을 척킹하여, 상기 제2 개구부를 개구하는 공정과,
    상기 제2 개구부에 노즐을 삽입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과,
    상기 노즐을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빼는 공정과,
    상기 코너부 또는 그 주변을 척킹된 상태로, 상기 제2 개구부를 시일 장치의 사이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개구부를 시일하는 공정과,
    상기 제2 개구부를 시일하는 공정 후, 상기 제2 개구부의 끼워넣기를 해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


KR1020177006490A 2012-02-03 2013-02-01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KR101770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2409 2012-02-03
JP2012022409 2012-02-03
JPJP-P-2012-238963 2012-10-30
JP2012238963 2012-10-30
JP2013016167A JP5946780B2 (ja) 2012-10-30 2013-01-30 パウチおよび内容物封入パウチ
JPJP-P-2013-016167 2013-01-30
JPJP-P-2013-016166 2013-01-30
JP2013016166A JP5783190B2 (ja) 2012-02-03 2013-01-30 パウチ、内容物封入パウ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3/052353 WO2013115362A1 (ja) 2012-02-03 2013-02-01 パウチおよび内容物封入パウ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815A Division KR101721817B1 (ko) 2012-02-03 2013-02-01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661A KR20170029661A (ko) 2017-03-15
KR101770947B1 true KR101770947B1 (ko) 2017-08-23

Family

ID=5184561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812A KR20160060776A (ko) 2012-02-03 2013-02-01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KR1020167012814A KR101749011B1 (ko) 2012-02-03 2013-02-01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KR1020177006490A KR101770947B1 (ko) 2012-02-03 2013-02-01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KR1020167012815A KR101721817B1 (ko) 2012-02-03 2013-02-01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KR1020147024168A KR101687882B1 (ko) 2012-02-03 2013-02-01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812A KR20160060776A (ko) 2012-02-03 2013-02-01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KR1020167012814A KR101749011B1 (ko) 2012-02-03 2013-02-01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815A KR101721817B1 (ko) 2012-02-03 2013-02-01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KR1020147024168A KR101687882B1 (ko) 2012-02-03 2013-02-01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9296537B2 (ko)
EP (5) EP2810890B1 (ko)
KR (5) KR20160060776A (ko)
CN (4) CN105775353B (ko)
IN (1) IN2014MN01557A (ko)
MY (1) MY170732A (ko)
WO (1) WO2013115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2577B2 (en) 2010-10-27 2019-10-15 S.C. Johnson & Son, Inc. Reclosable pouch with leakproof clos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560835B1 (en) * 2011-04-08 2017-02-07 Frank A. Bastone, Jr. Portable liquid package and dispensing method for animals
EP2810890B1 (en) 2012-02-03 2018-06-06 Toppan Printing Co., Ltd. Pouch and pouch with enclosed contents
JP6473907B2 (ja) * 2014-12-22 2019-02-27 福岡丸本株式会社 ガセット包装袋
JP2017013886A (ja) * 2015-07-06 2017-01-19 凸版印刷株式会社 パウチおよび内容物封入パウチ
JP2017086402A (ja) * 2015-11-09 2017-05-25 岡村 一夫 手提げ袋
US10104941B2 (en) 2016-02-25 2018-10-23 Nike, Inc. Customization kit for articles of footwear
JP7009736B2 (ja) 2016-11-30 2022-01-2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デバイス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DE102017102250A1 (de) * 2017-02-06 2018-08-09 Huhtamaki Flexible Packaging Germany Gmbh & Co. Kg Flexibler Behält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US10750829B2 (en) 2017-05-15 2020-08-25 Nike, Inc. Method of making a customization kit for articles of footwear
JP6988255B2 (ja) * 2017-08-16 2022-01-05 凸版印刷株式会社 通蒸型平パウチ
WO2019222792A1 (en) * 2018-05-25 2019-11-28 Icon Plastics Pty Ltd Liquid container
KR102049465B1 (ko) 2018-07-12 2019-11-27 주식회사 아워홈 안전한 개봉이 가능한 식품 포장용 자립형 파우치
DE202018106857U1 (de) 2018-12-03 2018-12-07 Takigawa Corporation Japan Reißfester Verpackungsbeutel
KR102085913B1 (ko) 2019-07-29 2020-03-06 주식회사 아워홈 안전한 개봉이 가능한 식품 포장용 자립형 파우치
KR102273316B1 (ko) * 2019-12-16 2021-07-06 (주)실리만 지퍼백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7141053B (zh) * 2023-10-27 2024-01-05 湖南大道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双子袋生产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6847A (ja) 2008-01-10 2009-07-30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1108A (en) 1983-12-30 1985-12-24 Union Carbide Corporation Interlocking closure bag for use in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US4767220A (en) 1983-12-30 1988-08-30 First Brands Corporation Interlocking closure bar for use in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US5140727A (en) * 1990-03-09 1992-08-25 Dowbrands L.P. Zipper for reclosable thermoplastic bag,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US5070584A (en) 1990-03-09 1991-12-10 Dowbrands Inc. Zipper for a reclosable thermoplastic bag and 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US5962040A (en) 1990-03-27 1999-10-05 Dowbrands L.P. Apparatus for making a zipper for a reclosable thermoplastic bag
JP2843100B2 (ja) 1990-03-31 1999-01-06 オリヒロ株式会社 流体入りスタンドパックの連続的製法
US5174658A (en) * 1991-07-12 1992-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lf-expanding and reclosable flexible pouch
JP3156287B2 (ja) 1991-09-05 2001-04-16 三菱化学株式会社 C82炭素クラス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5419638A (en) * 1993-05-06 1995-05-30 Jamison; Mark D. Pressure sensitive gas valve for flexible pouch
US5904425A (en) * 1994-04-11 1999-05-18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Closure arrangement having a peelable seal
US5511884A (en) * 1994-12-05 1996-04-30 Bruno; Edward C. Recloseable plastic bag with easy open and easy reclose profiles
JPH08198280A (ja) * 1995-01-18 1996-08-06 Okura Ind Co Ltd 充填口を設けたチャック付きスタンドパック用袋
JP2000264381A (ja) * 1995-09-19 2000-09-26 Nakamoto Pakkusu Kk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の収容袋
JPH09169349A (ja) 1995-12-19 1997-06-30 Mitsubishi Alum Co Ltd 合成樹脂フイルムの包装袋
US5875611A (en) 1997-02-25 1999-03-02 Illinois Tool Works Inc. Offset sealing method for plastic films
US6257763B1 (en) 1997-04-08 2001-07-10 Huntsman Kcl Corporation Tamper evident zipper slider
US5911508A (en) * 1997-11-10 1999-06-15 Dobreski; David V. Vented reclosable bag
JPH11157550A (ja) 1997-11-27 1999-06-15 Fujimori Kogyo Kk 包装袋
JPH11178713A (ja) * 1997-12-19 1999-07-06 Okura Ind Co Ltd 電子レンジ加熱用袋体
US5941643A (en) * 1998-04-07 1999-08-24 Triangle Package Machinery Company Partially zippered pouch and machine for making same
US6231236B1 (en) * 1998-07-28 2001-05-15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Resealable package having venting structure and methods
US6053635A (en) * 1999-04-26 2000-04-25 Pac One, Inc. Reclosable pouch with reinforced handle
JP3409159B2 (ja) 2000-01-31 2003-05-26 ダイワ包材株式会社 袋体及び袋体の圧力調整機構
US6467956B1 (en) * 2000-04-05 2002-10-22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Tamper evident package having slider device, and methods
US6691491B2 (en) * 2000-08-18 2004-02-17 Pacmac, Inc. Vertical form, fill and seal packaging machine
US6616333B2 (en) * 2000-09-22 2003-09-09 Kraft Foods Holdings, Inc. Fastener closure arrangement for flexible packages
JP2002225955A (ja) * 2001-01-31 2002-08-14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加熱用パウチ
JP2003011984A (ja) * 2001-07-02 2003-01-15 Koji Onuma 自立性袋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自立性袋の包装体
JP2003040356A (ja) 2001-07-30 2003-02-13 Nakamoto Pakkusu Kk 食品収容袋およびこれを用いた加熱調理方法
US20030029884A1 (en) * 2001-08-07 2003-02-13 Minuteman International, Inc. (An Illinois Corporation) Pouch container for measuring and dispensing liquids
US6692147B2 (en) * 2001-08-24 2004-02-17 Charles Nelson Venting reclosable bags
JP4284016B2 (ja) * 2001-09-07 2009-06-24 株式会社細川洋行 再閉自在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517242B1 (en) * 2001-10-24 2003-02-11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Reclosable package; and methods
US20030101552A1 (en) 2001-11-30 2003-06-05 Plourde Eric P. Variable alignment zipper for reclosable bags
US20030124294A1 (en) * 2001-12-28 2003-07-03 Hodson Jay D. Scored package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040810B2 (en) * 2002-03-26 2006-05-09 Mark Steele Flexible package with a transverse access panel device
US6712510B2 (en) * 2002-04-26 2004-03-30 Illinois Tool Works Inc. Slider zipper package with wide mouth opening
US6863646B2 (en) * 2002-06-19 2005-03-08 Kraft Foods Holdings, Inc. Reclosable system for flexible packages having interlocking fasteners
US7510328B2 (en) 2002-10-02 2009-03-31 Illinois Tool Works Inc. Reclosable package having slider with pull tab
US6951421B2 (en) * 2003-02-14 2005-10-04 Illinois Tool Works Inc. Reclosable packaging having slider-operated string zipper
JP2004256157A (ja) * 2003-02-27 2004-09-16 Nihon Tokkyo Kanri Co Ltd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袋
US7004632B2 (en) * 2003-03-31 2006-02-28 The Glad Products Company Ventable storage bag
JP4015592B2 (ja) 2003-06-25 2007-11-28 健 藤井 包装容器
US7416336B2 (en) * 2003-07-10 2008-08-26 Illinois Tool Works Inc. Tamper-evident slider-actuated string-zippered bag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EP1650139B1 (en) * 2003-07-24 2011-06-29 Toppan Printing Co., Ltd. Packaging bag with steam releasing function
SE525979C2 (sv) 2003-10-02 2005-06-07 Eco Lean Res & Dev As Förpackningsämne och förpackning framställd därav
JP4569249B2 (ja) * 2003-11-28 2010-10-27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
US20070071855A1 (en) 2003-11-28 2007-03-29 Toyo Seikan Kaisha, Ltd. Packaging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FR2872140A1 (fr) * 2004-06-23 2005-12-30 Concept Nature Com Sarl Lab Sachet souple et procede pour la cuisson et le conditionnement de produits, notamment de denrees alimentaires perissables
US7322747B2 (en) * 2004-06-29 2008-01-29 The Glad Products Company Leak proof closure device with spring member
US7351188B2 (en) * 2004-08-05 2008-04-01 Illinois Tool Works Inc. Hooded reclosable packages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KR101216396B1 (ko) * 2004-12-20 2012-12-28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주출구 부착 봉지형 용기
US20060210199A1 (en) * 2005-03-18 2006-09-21 Flex Pack U.S.A., Inc. Container for distributing granular material and associated method
JP2006282189A (ja) 2005-03-31 2006-10-19 Tokyo Autom Mach Works Ltd ジッパ付き袋、ジッパ端部成形装置及びジッパ貼り付け装置
GB0506847D0 (en) * 2005-04-05 2005-05-11 Steamfast Europ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ainers for cooking foodstuffs
JP2007022572A (ja) 2005-07-14 2007-02-01 Toyo Seikan Kaisha Ltd 有底の流動食用パウチ
JP4797557B2 (ja) * 2005-10-14 2011-10-19 凸版印刷株式会社 レトルト用ジッパー付き包装袋と該包装袋を用いたレトルト用ジッパー付き包装体
WO2007086969A2 (en) * 2005-10-27 2007-08-02 Pbm Products, Inc. Containers for powdered products
JP5123844B2 (ja) 2006-03-20 2013-01-23 株式会社細川洋行 ファスナ付き包装袋
US20070230834A1 (en) * 2006-03-31 2007-10-04 Schneider John H Packages having reclosable pour spout with slider-operated zipper
US7437805B2 (en) * 2006-06-23 2008-10-21 Edward Alan Berich Reclosable storage bag closure with internal valving
US20080011752A1 (en) * 2006-07-12 2008-01-17 Fusako Saitoh Structure of check valve and vacuum sealing container for food and other objects
JP4675309B2 (ja) 2006-11-07 2011-04-20 壽一 葛西 プラスチックチャック付袋体の製袋方法
JP2008127021A (ja) * 2006-11-16 2008-06-05 En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加圧排出用容器
JP2008222295A (ja) 2007-03-15 2008-09-25 Nisshin Seifun Group Inc 口封異常を感知する粉粒体充填包装装置および口封異常感知方法
JP2008285190A (ja) * 2007-05-16 2008-1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自立性袋体、および即席食品
EP2011742A1 (fr) * 2007-07-03 2009-01-07 Pro-Portions S.A. Sachet à maintien vertical pour la cuisson vapeur et méthode de cuisson vapeur
JP5125310B2 (ja) * 2007-08-21 2013-01-23 東洋製罐株式会社 注出口付きジッパーパウチ
JP5118979B2 (ja) 2008-01-10 2013-01-16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袋
GB2458645A (en) * 2008-03-25 2009-09-30 Carl Olson Interrupted zip lock closure providing pressure relief for microwaveable reusable pouches or sachets
ATE554020T1 (de) * 2008-04-22 2012-05-15 Mondi Ag Mikrowellengeeigneter beutel mit vent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2010095277A (ja) 2008-10-16 2010-04-30 Daiwa Gravure Co Ltd 液体収納袋体
JP5401908B2 (ja) * 2008-10-16 2014-01-29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体
FR2938514B1 (fr) * 2008-11-17 2010-12-31 S2F Flexico Procede de fabrication d'ensembles de fermeture comportant des lumieres, procede de formation de sachets, bande d'ensembles et sachets correspondants
JP5512956B2 (ja) * 2008-11-17 2014-06-04 株式会社クレハ ジッパ付き包装袋の製造方法
US8250718B2 (en) * 2008-11-18 2012-08-28 Illinois Tool Works Inc. Zipper hole punch treatment
JP5644066B2 (ja) * 2009-06-19 2014-12-24 凸版印刷株式会社 詰替え容器
KR101060883B1 (ko) * 2009-11-05 2011-08-31 주식회사 원지 내압배출수단이 형성된 전자레인지용 파우치
JP2011230775A (ja) * 2010-04-23 2011-11-17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調理用袋
BRPI1003492A2 (pt) * 2010-09-23 2013-01-01 Itap Bemis Ltda disposição em válvula de embalagem flexìvel, embalagem flexìvel e filme flexìvel de laminado de plástico contendo a válvula e métodos aperfeiçoados de fabricação de filme flexìvel de laminado de plástico contendo a válvula e de conformação e enchimento da embalagem flexìvel contendo a válvula
US11180286B2 (en) 2010-10-29 2021-11-23 S. C. Johnson & Son, Inc. Reclosable bag having a loud sound during closing
US9327875B2 (en) * 2010-10-29 2016-05-03 S.C. Johnson & Son, Inc. Reclosable bag having a loud sound during closing
US8974118B2 (en) 2010-10-29 2015-03-10 S.C. Johnson & Son, Inc. Reclosable bag having a sound producing zipper
EP2646331B1 (en) * 2010-11-29 2018-03-07 Illinois Tool Works Inc. Zipper profile manufactured by cut and stretch methods
US8568031B2 (en) * 2011-02-22 2013-10-29 S.C. Johnson & Son, Inc. Clicking closure device for a reclosable pouch
US8469593B2 (en) 2011-02-22 2013-06-25 S.C. Johnson & Son, Inc. Reclosable bag having a press-to-vent zipper
FR2982848B1 (fr) * 2011-11-21 2014-11-28 S2F Flexico Dispositif de fermeture pour sachets a effet tactile et sonore
EP2810890B1 (en) * 2012-02-03 2018-06-06 Toppan Printing Co., Ltd. Pouch and pouch with enclosed contents
EP2824036B1 (en) * 2012-03-07 2017-04-05 Toppan Printing Co., Ltd. Steam release standing pouch and content-enclosing standing pou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6847A (ja) 2008-01-10 2009-07-30 Toppan Printing Co Ltd 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011B1 (ko) 2017-06-19
KR20160060776A (ko) 2016-05-30
CN105775363A (zh) 2016-07-20
CN105966737B (zh) 2023-09-08
CN104349985A (zh) 2015-02-11
US20140334748A1 (en) 2014-11-13
CN105775353A (zh) 2016-07-20
EP2810890A1 (en) 2014-12-10
US20150344187A1 (en) 2015-12-03
KR20160060777A (ko) 2016-05-30
US9580220B2 (en) 2017-02-28
WO2013115362A1 (ja) 2013-08-08
KR101687882B1 (ko) 2016-12-19
KR20160060778A (ko) 2016-05-30
KR20140126347A (ko) 2014-10-30
CN105966737A (zh) 2016-09-28
EP3061703A2 (en) 2016-08-31
IN2014MN01557A (ko) 2015-07-03
KR101721817B1 (ko) 2017-03-30
US10988294B2 (en) 2021-04-27
KR20170029661A (ko) 2017-03-15
EP3305679B1 (en) 2023-03-22
CN105775363B (zh) 2019-08-30
US20150344189A1 (en) 2015-12-03
CN104349985B (zh) 2017-05-17
US20150344188A1 (en) 2015-12-03
US20210130064A1 (en) 2021-05-06
EP2810890A4 (en) 2016-01-13
EP3061702A3 (en) 2016-11-02
EP3305679A3 (en) 2018-05-30
EP3061701B1 (en) 2018-10-10
EP3061702A2 (en) 2016-08-31
US11332291B2 (en) 2022-05-17
EP3061703A3 (en) 2016-11-09
EP3061701A1 (en) 2016-08-31
CN105775353B (zh) 2019-04-12
EP3061703B1 (en) 2020-06-24
EP3305679A2 (en) 2018-04-11
US9296537B2 (en) 2016-03-29
MY170732A (en) 2019-08-27
EP2810890B1 (en) 201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947B1 (ko) 파우치 및 내용물 봉입 파우치
JP6350557B2 (ja) パウチ、内容物封入パウ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824036B1 (en) Steam release standing pouch and content-enclosing standing pouch
JP6409719B2 (ja) パウチ
US20180127156A1 (en) Pouch and contents-enclosing pou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