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804B1 - 자숙기 - Google Patents

자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804B1
KR101770804B1 KR1020150127117A KR20150127117A KR101770804B1 KR 101770804 B1 KR101770804 B1 KR 101770804B1 KR 1020150127117 A KR1020150127117 A KR 1020150127117A KR 20150127117 A KR20150127117 A KR 20150127117A KR 101770804 B1 KR101770804 B1 KR 10177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se
transfer
transfer uni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931A (ko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150127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8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5/00Apparatus for mixing meat, sausage-meat, or mea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8Protective roofs or arch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6Cleaning devices for gathering residue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자숙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자숙기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구비되고, 식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와, 이송부에 구비되어 이송부 내부를 개폐하는 덮개부 및 이송부와 베이스를 이격시키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숙기{STEAM APPLIANCE}
본 발명은 자숙기에 관한 것으로서, 승하강 구조에 의해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자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쁜 현대인들을 위해 데워서 바로 섭취가능한 가공식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가공식품 특히, 육가공 식품은 이동하는 육가공 식품에 열을 가하여 익히게 되며, 이와 같이 컨베이어로 제품을 이송하면서 스팀으로 자숙 및 살균처리하는 기기를 자숙기(증숙기)라고 한다.
일반적인 육가공 식품을 익히기 위한 자숙기는 회전가능하게 일정 간격 다수개의 회전 롤러를 갖는 이동부와, 이동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전워 인가에 대응되게 열을 발산하여 육가공 식품을 익힐 수 있도록 일정 간격 다수개로 구비되는 전기히터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숙기는 이동중인 육가공 식품에 전기히터부를 통하여 열을 직접 가열하여 익히게 되므로, 육가공식품에 함유된 수분 감량이 많이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고압의 증기를 공급하여 식품을 익히는 추세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99085호 (2011.12.20, 발명의 명칭 : 증숙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이 이송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커버하는 덮개부를 베이스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어 스팀공간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자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되는 각 구간의 밀폐력을 향상시켜 식품의 자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숙기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구비되고, 식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와, 이송부에 구비되어 이송부 내부를 개폐하는 덮개부 및 이송부와 베이스를 이격시키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식품에서 발생되는 낙하물을 수거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하우징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식품이 안착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무한궤적운동을 하는 이송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와 상기 이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덮개부의 개방 이후 상기 이송부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이송부에 형성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연결핀부와, 상기 연결핀부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내부를 밀폐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이송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밀폐부 및 상기 이송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밀폐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액체가 수용되는 제1수조 및 상기 제1수조에 수용되도록 상기 이송부에 형성되는 제1밀폐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밀폐부는 상기 이송부에 구비되어 액체가 수용되는 제2수조 및 상기 제2수조에 수용되도록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제2밀폐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이송부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숙기는 식품이 이송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커버하는 덮개를 베이스와 이격시켤 수 있어 스팀공간의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트부의 승강구간에 따라 덮개부와 이송부의 선택적 개방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이송부 사이, 이송부와 덮개부 사이에 각각 밀폐부가 구비되어 스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자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특히, 물이 수용되는 수조를 이용한 단순한 구조에 의해 안착되는 것만으로 밀폐가 가능하여 별도의 밀폐부재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의 리프트부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 리프트부의 연결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의 이송부와 덮개부의 개방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숙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의 리프트부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 리프트부의 연결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의 이송부와 덮개부의 개방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100)는, 베이스(110), 이송부(120), 스팀공급부(130), 덮개부(140) 및 리프트부(15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하부에 구비되어 이송부(120)와 덮개부(140)가 안착되고,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부(120)는 베이스(110)에 구비되고 식품을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하우징(122)과 하우징(122)에 구비되는 구동부(124) 및 하우징(122) 내에 구비되어 식품이 안착되고 구동부(124)의 구동력에 의해 무한궤적운동을 하는 이송네트(128)를 포함한다. 하우징(122)은 상하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정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구동부(124)는 하우징(122)에 일체로 구비된다. 보다 자세하게 구동부(124)는 하우징(122)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25)와 구동모터(125)에 의해 회전되는 스프라켓(126)으로 이루어지며, 이송네트(128)는 스프라켓(126)의 회전에 의해 무한궤적운동을 하여 식품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킨다.
하우징(122)에는 이송네트(128)가 무한궤적운동을 하도록 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롤러(127)가 복수개 구비된다.
스팀공급부(130)는 이송부(120)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한다. 이러한 스팀공급부(130)는 베이스(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이송부(120)의 하부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한다.
덮개부(140)는 이송부(120)에 구비되어 이송부(120) 내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이송부(1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송부(120)의 상부를 커버한다.
따라서, 베이스(110)의 상부에 이송부(120)가 안착되고, 이송부(120)의 상부에 덮개부(140)가 커버되어 스팀공간을 형성하고, 스팀공급부(130)로부터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면, 이송부(120)에 의해 이송되는 식품을 자숙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110)에는 자숙시 식품에서 낙하하는 낙하물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115)가 구비된다. 배출부(115)는 낙하물을 일측으로 모으는 배출호퍼(116) 및 배출호퍼(116)와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17)을 포함한다.
리프트부(150)는 이송부(120)를 베이스(110)로부터 승하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리프트부(150)는 지지프레임(160) 및 지지프레임(160)에 구비되어 이송부(12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17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60)은 베이스(11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로 기립형성된다. 그리고, 하부로 연장되어 자숙기(100)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승강구동부(170)는 지지프레임(160)에 구비되는 유압실린더(172) 및 유압실린더(172)와 이송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75)를 포함한다. 즉, 유압실린더(172)의 구동에 의해 연결부재(175)를 잡아당김으로써, 이송부(120)를 베이스(11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구동부(170)를 유압실린더(172)와 연결부재(175)로 도시하였지만 베이스(110)로부터 이송부(120)를 들어올릴 수 있는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승강구동부(170)는 베이스(110)로부터 이송부(120)를 승강시킬 뿐만 아니라 이송부(120)에서 덮개부(14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은 연결부재(175)의 구조에 의해 가능하다.
연결부재(17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40)의 개방 이후 이송부(1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175)는 이송부(120)에 형성되는 연결브라켓(176)과, 연결브라켓(17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덮개부(140)에 형성되는 연결핀부(177) 및 연결핀부(177)와 유압실린더(172)를 연결하는 와이어(178)를 포함한다. 즉, 연결브라켓(176)에는 슬라이드홀(176a)가 형성되어 연결핀부(177)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압실린더(172)에 의해 와이어(178)가 당겨지면, 덮개부(140)가 상승하여 이송부(120) 내부를 개방하게 되고, 연결핀부(177)가 연결브라켓(176)의 단부에 위치되면, 이송부(120)가 상승되어 베이스(110)의 내부를 개방하게 된다(도 3 참고).
본 실시예에서는 리프트부(150)에 의해 베이스(110)로부터 이송부(120)를 승하강시켜 내부를 개방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이송부(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110)를 하강시켜 내부를 개방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100)는 이송부(120)의 내부를 밀폐하는 밀폐부(180)가 더 구비된다. 밀폐부(18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와 이송부(120) 사이에 구비되는 제1밀폐부(181) 및 이송부(120)와 덮개부(140) 사이에 구비되는 제2밀폐부(185)를 포함한다. 제1밀폐부(181)와 제2밀폐부(185)는 위치를 달리할 뿐 동일한 구조를 지닌다. 제1밀폐부(181)는 베이스(110)에 구비되어 액체가 수용되는 제1수조(182) 및 제1수조(182)에 수용되도록 이송부(120)에 형성되는 제1밀폐리브(184)를 포함하고, 제2밀폐부(185)는 이송부(120)에 구비되어 액체가 수용되는 제2수조(186) 및 제2수조(186)에 수용되도록 덮개부(140)에 형성되는 제2밀폐리브(188)를 포함한다.
즉, 베이스(110)와 이송부(120), 이송부(120)와 덮개부(140) 사이에 액체층을 형성할 수 있어 내부를 별도의 밀폐부재 없이 적층되는 구조만으로 밀폐가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상부에는 이송부(120)가 안착되고, 이송부(120)의 상부에는 덮개부(140)가 안착된 상태이다. 이때, 베이스(110)에 구비되는 제1수조(182)에 이송부(120)의 제1밀폐리브(184)가 수용된 상태이고, 이송부(120)에 구비되는 제2수조(186)에 덮개부(140)의 제2밀폐리브(188)가 수용된 상태이며, 제1,2수조(182,186)에 액체가 수용되어 이송부(120)의 내부공간은 밀폐된 상태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구동모터(125)의 작동에 의해 식품이 이송네트(128)에 의해 이송되고, 스팀공급부(130)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에 의해 식품은 자숙된다.
여기서 베이스(110), 이송부(120), 덮개부(140)가 안착되는 단순한 구조로 스팀공간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밀폐력의 향상으로 고온의 스팀 누수를 차단할 수 있어 자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 이송부(120), 덮개부(140)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밀폐부재가 필요치 않으며, 밀폐를 위해 액체인 물만 보충하면 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100)는 베이스(110)로부터 이송부(120)와 덮개부(140)를 각각 이격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 및 청소가 용이하다. 특히, 식품의 자숙시 발생되는 낙하물이 베이스(110)의 내부 및 베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공급부(130)의 분사부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송부(120)를 베이스(110)로부터 들어올려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내부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인 식품제조가 가능하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부품 교체와 같은 유지보수 및 청소 필요 시 리프트부(150)에 의해 이송부(120)와 덮개부(14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160)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압실린더(172)가 작동되면, 와이어(178)가 당겨지고 와이어(178)가 덮개부(140)의 연결핀부(177)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덮개부(140)를 상승시킨다. 이로 인해 이송부(120)의 내부는 개방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172)가 지속적으로 작동되면, 연결핀부(177)가 연결브라켓(176)의 단부에 걸리게 되어 이송부(120)를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110)로부터 이송부(120)를 이격시켜 베이스(110) 내부가 개방된다(도 3참고).
이처럼 베이스(110)의 내부, 이송부(120)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어 내부의 부품 교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청소가 용이하여 위생적인 식품의 자숙이 가능하다(도 5참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숙기에 의하면, 식품이 이송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커버하는 덮개부를 베이스로부터 승하강시킬 수 있어 자숙기의 청소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베이스와 이송부 사이, 이송부와 덮개부 사이에 각각 밀폐부가 구비되어 스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어 자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자숙기 110 : 베이스
115 : 배출부 116 : 배출호퍼
117 : 배출관 120 : 이송부
122 : 하우징 124 : 구동부
125 : 구동모터 126 : 스프라켓
127 : 전환롤러 130 : 스팀공급부
140 : 덮개부 150 : 리프트부
160 : 지지프레임 170 : 승강구동부
172 : 유압실린더 175 : 연결부재
176 : 연결브라켓 176a: 슬라이드홀
177 : 연결핀부 178 : 와이어
180 : 밀폐부 181 : 제1밀폐부
182 : 제1수조 184 : 제1밀폐리브
185 : 제2밀폐부 186 : 제2수조
188 : 제2밀폐리브

Claims (1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식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 내부를 개폐하는 덮개부;
    상기 이송부와 상기 베이스를 이격시키는 리프트부; 및
    상기 이송부의 내부를 밀폐하는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이송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밀폐부; 및
    상기 이송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밀폐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액체가 수용되는 제1수조; 및
    상기 제1수조에 수용되도록 상기 이송부에 형성되는 제1밀폐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밀폐부는
    상기 이송부에 구비되어 액체가 수용되는 제2수조; 및
    상기 제2수조에 수용되도록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제2밀폐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식품에서 발생되는 낙하물을 수거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식품이 안착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무한궤적운동을 하는 이송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숙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와 상기 이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숙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덮개부의 개방 이후 상기 이송부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숙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이송부에 형성되는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브라켓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연결핀부; 및
    상기 연결핀부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숙기.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이송부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숙기.
KR1020150127117A 2015-09-08 2015-09-08 자숙기 KR10177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117A KR101770804B1 (ko) 2015-09-08 2015-09-08 자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117A KR101770804B1 (ko) 2015-09-08 2015-09-08 자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931A KR20170029931A (ko) 2017-03-16
KR101770804B1 true KR101770804B1 (ko) 2017-08-23

Family

ID=5849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117A KR101770804B1 (ko) 2015-09-08 2015-09-08 자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482A (ko) 2020-10-19 2022-04-26 서홍석 선택적 틸팅 기능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자동배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5834A (zh) * 2020-08-14 2020-12-08 芜湖市中天管桩股份有限公司 一种混凝土管桩生产用连续硬化成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0866A (ja) 2007-10-22 2009-05-14 Calbee Foods Co Ltd クッカー
KR100999274B1 (ko) * 2010-08-18 2010-12-07 박병현 맥반석 김 구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0866A (ja) 2007-10-22 2009-05-14 Calbee Foods Co Ltd クッカー
KR100999274B1 (ko) * 2010-08-18 2010-12-07 박병현 맥반석 김 구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482A (ko) 2020-10-19 2022-04-26 서홍석 선택적 틸팅 기능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자동배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931A (ko)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8864B (fi) Kokanordning och foerfarande foer kokning
KR101854712B1 (ko) 전자동 업소용 취반기
CN112716256B (zh) 一种蒸熟式食品机
KR101770804B1 (ko) 자숙기
JP6076619B2 (ja) ユニット式真空フライヤ
WO2010044258A1 (ja) フライヤー装置
JP4138861B1 (ja) 誘導加熱調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食品および無菌包装食品の製造方法
CN210018902U (zh) 炒菜锅组件及自动炒菜机
CN105919397A (zh) 气吹防溢电饭锅
KR100675131B1 (ko) 전기히터를 이용한 자동연속 튀김장치
CN107397428B (zh) 食品加工处理方法及食品加工的前处理设备
JP2011030449A (ja) 食品処理装置および方法
CN207450415U (zh) 一种改进型奶油包装机
CN208850639U (zh) 一种炒货机
CN111802414B (zh) 一种智能煎饼馃子制售机
CN213428163U (zh) 一种食品加工用蒸饭设备
CN111977102A (zh) 一种花生粒自动脱皮包装设备
CN210095449U (zh) 撕膜装置及自动炒菜机
JP2004065200A (ja) 食品加熱装置及び食品加熱方法
KR200386546Y1 (ko) 전기히터를 이용한 자동연속 튀김장치
KR101635819B1 (ko)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KR20130111111A (ko) 김 공급장치
CN217970216U (zh) 一种新型食材杀菌装置
CN219750821U (zh) 一种食品机械输送带
CN218200664U (zh) 保鲜袋包装用热收缩定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