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819B1 -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819B1
KR101635819B1 KR1020140081923A KR20140081923A KR101635819B1 KR 101635819 B1 KR101635819 B1 KR 101635819B1 KR 1020140081923 A KR1020140081923 A KR 1020140081923A KR 20140081923 A KR20140081923 A KR 20140081923A KR 101635819 B1 KR101635819 B1 KR 101635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air
vowel
gripper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972A (ko
Inventor
차재연
양종식
민인기
차민지
Original Assignee
한일기기(주)
차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기기(주), 차재연 filed Critical 한일기기(주)
Priority to KR102014008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8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3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0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 B65B1/24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by mechanical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이 들어 있는 포장팩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가 구성된 설치프레임에 연결설치되어 포장팩의 공기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에 구성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포장팩의 비어있는 상측 부분을 압착시켜 포장팩에 주름을 형성시키는 압착플레이트를 구성한 압착수단;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에 구성되어 포장팩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모아서 잡아주는 모음그립퍼를 구성한 모음수단; 상기 모음수단에 연결설치되어 포장팩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포장팩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팩 공기제거장치{An removing the air inside the pack packaging device}
본 발명은 포장팩 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착수단의 요철을 통해 포장팩의 비어 있는 부분에 주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모음수단을 이용한 포장팩의 모음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음수단을 통해 포장팩의 주름진 부분을 손쉽게 모은 상태에서 공기배출수단을 통해 포장팩의 내부 공기 제거를 손쉽게 이룸으로써 컨베이어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포장팩의 포장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고, 압착수단의 압착플레이트에 구성되는 열선을 통해 주름의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음수단에 의한 포장팩의 비어 있는 부분 모음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포장팩 외부의 습기를 열선을 통해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배출수단에 의한 포장팩 내부의 공기제거시 상기 포장팩이 찢어지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팩 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는 무, 배추 및 오이 등을 소금에 절여서 고추,마늘,파,생강,젓갈 등의 양념을 버무린 후 젖산 생성에 의해 숙성되어 저온에서 발효된 제품으로, 한국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반찬이다.
아울러, 김치를 담그는 것은 채소를 오래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 될 뿐 아니라, 저장 중 여러 가지 미생물의 번식으로 유기산과 방향이 만들어지므로 훌륭한 발효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김치는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의 공급원임은 물론, 젖산균에 의해 정장작용을 하고 식욕을 증진시켜 주므로 건강을 보조하는 식품으로서도 활용도가 매우 높으며, 이러한 장점에 의해, 김치는 2001년 7월 5일 식품 분야의 국제표준인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국제식품 규격으로 승인받기도 하였다.
한편, 김치는 통상적으로 각각의 가정집에서 주부들이 직접 담가서 먹었으나, 현재에 이르러 맞벌이 부부가 많이 생기는 등의 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김치를 담가 먹는 가정이 적어졌으며, 이로 인해, 대규모로 김치를 생산하여 판매하는 업체들이 생겨나 현재에는 많은 양의 김치를 생산하여 이러한 가정에 보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김치는 통상의 채소를 썰어 적층한 상태로 포장되기 때문에 다른 상품과 달리 정형화된 모양이 있질 않을 뿐만 아니라, 김치를 제조하는 과정이 자동화하기에는 매우 어려워, 생산하는 과정 거의 대부분이 인간의 노동력에 의존하여 완전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0729882호와 같은 "식품의 수분을 제거하고 원형상태로 포장하는 방법"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식품의 수분을 제거하고 원형상태로 포장하는 방법은 자연건조시키는 제1수분단계와, 반복적으로 뒤지는 것을 통해 수분을 배출시키는 제2수분제거단계 및 잔여수분제거단계를 거쳐 포장용기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작업 처리 공정이 복잡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포장팩 내, 외부의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팩을 손쉽게 꼬아서 포장할 수 있도록 포장팩의 빈 부분을 모아줄 수 있을 포장팩 공기제거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압착수단의 요철을 통해 포장팩의 비어 있는 부분에 주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모음수단을 이용한 포장팩의 모음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음수단을 통해 포장팩의 주름진 부분을 손쉽게 모은 상태에서 공기배출수단을 통해 포장팩의 내부 공기 제거를 손쉽게 이룸으로써 컨베이어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포장팩의 포장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포장팩 공기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수단의 압착플레이트에 구성되는 열선을 통해 주름의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음수단에 의한 포장팩의 비어 있는 부분 모음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팩 외부의 습기를 열선을 통해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배출수단에 의한 포장팩 내부의 공기제거시 상기 포장팩이 찢어지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팩 공기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상측에 구성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포장팩의 비어있는 상측 부분을 압착시켜 포장팩에 주름을 형성시키는 압착플레이트를 구성한 압착수단; 상기 컨베이어의 상측에 구성되어 포장팩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모아서 잡아주는 모음그립퍼를 구성한 모음수단; 상기 모음수단에 연결설치되어 포장팩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포장팩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포장팩 공기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포장팩 공기제거장치를 이용하면, 압착수단의 요철을 통해 포장팩의 비어 있는 부분에 주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모음수단을 이용한 포장팩의 모음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음수단을 통해 포장팩의 주름진 부분을 손쉽게 모은 상태에서 공기배출수단을 통해 포장팩의 내부 공기 제거를 손쉽게 이룰 수 있으므로 컨베이어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포장팩의 포장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수단의 압착플레이트에 구성되는 열선을 통해 주름의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모음수단에 의한 포장팩의 비어 있는 부분 모음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은 물론, 포장팩 외부의 습기를 열선을 통해 제거할 수 있으므로 공기배출수단에 의한 포장팩 내부의 공기제거시 상기 포장팩이 찢어지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팩 공기제거장치가 설치된 포장팩 자동 포장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포장팩이 안착된 컨베이어와, 압착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압착수단이 위치한 부분을 측면에서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팩이 안착된 컨베이어와, 모음수단 및 공기배출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음수단과 공기배출수단을 통해 포장팩의 비어있는 부분이 모아진 채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된 상태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배출부가 구성된 공기배출수단을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모음수단과 공기배출수단이 작동하는 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들어 있는 포장팩(1)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0)가 구성된 설치프레임(9)에 연결설치되어 포장팩(1)의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포장팩 공기제거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압착수단(20)과, 모음수단(30)과, 공기배출수단(40)으로 구성되어 포장팩(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포장팩 공기제거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압착수단(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의 상측에 구성되어 컨베이어(1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포장팩(1)의 비어있는 상측 부분을 압착시키는 구성으로, 압착을 통해 상기 포장팩(1)에 주름을 형성시키는 압착플레이트(25)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한 압착수단(20)은 포장팩(1)의 압착을 위해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1고정플레이트(21)와,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21)에 각각 슬라이드결합되어 가압실린더(23)의 작동에 따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움직이는 압착플레이트(25)로 구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이때, 상기 압착플레이트(25)의 이동은 통상의 리니어베어링을 통해 안정적으로 가이드 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각의 압착플레이트(25)에는 포장팩(1)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요철(27)이 서로 대향되게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압착되는 포장팩(1)을 가열하는 것을 통해 포장팩(1) 외부의 습기제거를 완전히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압착플레이트(25)에는 열선(29)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압착수단(20)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각각 설치하는 구성은 설치프레임(9)에서 수직방향으로 연결설치되는 설치바(8)를 컨베이어(10)의 전, 후방에 각각 구성한 후, 상기 설치바(8)에 제1고정플레이트(21)가 각각 안착되어 고정설치될 수 있는 안착브라켓(7)을 각각 구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모음수단(30)은 도 1 또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10)의 상측에 구성되어 압착수단(20)을 통해 포장팩(1)에 주름이 형성된 부분을 모아서 잡아주는 구성으로, 상기 포장팩(1)의 주름이 형성된 부분은 모아서 잡아주는 모음그립퍼(35)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한 모음수단(30)은 포장팩(1)의 주름진 부분을 손쉽게 잡아서 모아줄 수 있도록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성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2고정플레이트(31)와,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31)에 각각 슬라이드결합되어 모음실린더(33)의 작동에 따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움직여 포장팩(1)에 주름이 형성된 부분을 모아서 잡아주는 모음그립퍼(35)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이때, 상기 모음그립퍼(35)의 이동은 통상의 리니어베어링을 통해 안정적으로 가이드 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음그립퍼(35)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각각 설치되는 것에 의해 직각 내외 벌어지는 즉,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통상의 고정돌부를 구성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상기 고정돌부가 서로 만나 포장팩(1)을 모아주는 부분에는 상기 포장팩(1)이 모아지는 모음홈이 각각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포장팩(1)이 과도한 압력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모음그립퍼(35)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각각 구성된 고정돌부는, 모음실린더(33)의 작동에 따른 포장팩(1)의 모음작업시 서로 부딪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전방에 배치되는 고정돌부가 하나로 구성되고, 후방에 배치되는 고정돌부는 두개로 구성되어 전방에 배치되는 고정돌부의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할 것이다.
셋째, 공기배출수단(40)는 상기 모음수단(30)에 연결설치되어 포장팩(1)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모음수단(30)의 모음그립퍼(35)에 연결설치되는 설치브라켓(41)과, 상기 설치브라켓(41)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승강실린더(43)와, 상기 제1승강실린더(43)에 결합되어 모음수단(30)에 의해 모아진 포장팩(1)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공기배출수단(4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설치된 모음수단(30)의 모음그립퍼(35)에만 연결되어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나, 전술한 모음수단(30)과 마찬가지로 서로 대향되도록 전, 후방향에 각각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공기배출수단(40)의 공기배출부(50)는 포장팩(1)의 모아진 부분을 잡아주는 통상의 그립퍼(53, 57)와, 상기 그립퍼(53, 57)를 승강작동시킴으로써 포장팩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상의 승강실린더(52, 56)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기배출부(50)를 하나의 구성으로 이룰 수도 있으나, 포장팩(1)의 내부 공기를 순차적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1, 2공기배출부(54, 58)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배출부(50)의 제1공기배출부(54)는 상기 제1승강실린더(43)의 로드(43a)에 결합되어 승강작동하는 승강브라켓(51)과, 상기 승강브라켓(51)에 결합되어 제1작동실린더(52)의 작동에 따라 모음그립퍼(35)의 상측에 위치된 포장팩(1)의 일부분을 그립하는 중간그립퍼(53)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설치브라켓(41)에는 승강실린더(43)의 작동에 따라 승강작동하는 승강브라켓(51)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봉(51a)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수단(40)이 전방에 설치된 모음수단(30)에만 설치될 때에는, 제1공기배출부(54)의 중간그립퍼(53)를 좌우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설치한 후, 상기 중간그립퍼(53)에 제1작동실린더(52)를 각각 연결설치하여 제1작동실린더(52)의 작동에 따라 중간그립퍼(53)가 포장팩(1)을 그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상기 공기배출부(50)의 제2공기배출부(58)는 제1공기배출부(54)에 연결설치되어 포장팩(1)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배출토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공기배출부(54)의 승강브라켓(51)에 고정설치되는 제2승강실린더(55)와, 상기 제2승강실린더(55)에 의해 승강작동하며 제2작동실린더(56)의 작동에 따라 중간그립퍼(53)의 상측에 위치된 포장팩(1)의 일부분을 그립하는 마감그립퍼(57)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마감그림퍼(57)는 전술한 중간그립퍼(53)와 동일한 구성에 의해 작동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베이어(10)를 통해 내용물이 들어 있는 포장팩(1)이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하나의 포장팩(1)이 압착수단(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압착수단(20)에 구성된 가압실린더(23)가 자동 작동한다.
따라서, 내용물이 들어 있지 않은 포장팩(1)의 상측 부분은 압착플레이트(25)에 구성된 요철(27)에 의해 전후방향에서 가압되게 되어 상기 포장팩(1)에 주름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압착플레이트(25)에는 열선(27)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포장팩(1)에 주름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내용물에 의해 포장팩(1) 외부에 생긴 습기까지 제거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 후에는, 주름이 형성된 포장팩(1)이 컨베이어(10)의 작동에 따라 모음수단(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주름진 부분이 모아지는 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새로운 하나의 포장팩(1)은 컨베이어(10)의 작동에 따라 전술한 압착수단(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한 작업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음수단(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포장팩(1)은 모음실린더(33)의 작동에 따라 포장팩(1)의 상측에 위치되어 주름진 부분이 모음그립퍼(35)에 의해 모아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모음그립퍼(35)에 연결되어 설치된 공기배출수단(40)이 작동하여 포장팩(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공기배출수단(40)의 작동은 제1, 2작동실린더(52, 56)의 가동에 따라 중간그립퍼(53)와 마감그립퍼(57)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모음그립퍼(35)의 상측에 위치된 포장팩(1)의 일부분을 그립하는 작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그 후, 제1승강실린더(43)가 가동되는 것을 통해 중간그립퍼(53)와 마감그립퍼(57)가 동시에 상승작동하여 포장팩(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작업시 시작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승강실린더(43)의 가동은 중간그립퍼(53)가 포장팩(1)이 모아진 부분의 중간 지점에 위치되었을 때 정지되어 공기의 1차 배출이 이루어지고, 이 후, 제2승강실린더(55)의 가동을 통해 마감그립퍼(57)가 포장팩(1)이 모아진 부분의 최상단 지점에 위치되게 됨으로써 포장팩(1) 내부의 공기 배출이 완료되는데, 이와 같은 공기를 2차에 걸려 배출하면, 포장팩(1)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파손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제1, 2승강실린더(43, 55)의 작동에 따른 포장팩(1) 내부의 공기 배출시, 상기 포장팩(1)이 압착플레이트(25)에 의해 가열압착되어 포장팩(1) 외부의 수분이 완전제거된 상태이므로 중간그립퍼(53)와 마감그립퍼(57)의 승강작동에 의한 포장팩(1)의 찢어짐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작용효과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팩(1)의 비어 있는 공간이 모아진 채로 공기의 배출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수작업 또는 반자동 공정을 통해 모아진 포장팩(1)을 손쉽게 꼬아 포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자동 포장에 접목시켜 포장팩 자동 포장시스템(1000)을 구축하는 것을 통해 자동포장을 용이하게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1 : 포장팩 7 : 안착브라켓 8 : 설치바 9 : 설치프레임
10 : 컨베이어
20 : 압착수단 21 : 제1고정플레이트 23 : 가압실린더 25 : 압착플레이트 27 : 요철 29 : 열선
30 : 공기배출수단 31 : 제2고정플레이트 33 : 모음실린더 35 : 모음그립퍼
40 : 공기배출수단 41 : 설치브라켓 43 : 제1승강실린더
50 : 공기배출부 51 : 승강브라켓 52 : 제1작동실린더 53 : 중간그립퍼 54 : 제1공기배출부 55 : 제2승강실린더 56 : 제2작동실린더 57 : 마감그립퍼 58 : 제2공기배출부
100 :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Claims (6)

  1. 내용물이 들어 있는 포장팩(1)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0)가 구성된 설치프레임(9)에 연결설치되어 포장팩(1)의 공기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의 상측에 구성되어 컨베이어(1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포장팩(1)의 비어있는 상측 부분을 압착시켜 포장팩(1)에 주름을 형성시키는 압착플레이트(25)를 구성한 압착수단(20);
    상기 컨베이어(10)의 상측에 구성되어 포장팩(1)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모아서 잡아주는 모음그립퍼(35)를 구성한 모음수단(30);
    상기 모음수단(30)에 연결설치되어 포장팩(1)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수단(40);을 구성하여,
    상기 포장팩(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20)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1고정플레이트(21)와,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21)에 각각 슬라이드결합되어 가압실린더(23)의 작동에 따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움직이는 압착플레이트(25)로 구성되며, 상기 압착플레이트(25)에는 포장팩(1)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요철(27)이 서로 대향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플레이트(25)에는 열선(29)이 더 포함구성되어 포장팩(1)을 가열압착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수단(30)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2고정플레이트(31)와,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31)에 각각 슬라이드결합되어 모음실린더(33)의 작동에 따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움직여 포장팩(1)에 주름이 형성된 부분을 모아서 잡아주는 모음그립퍼(35)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수단(40)은 상기 모음수단(30)에 연결설치되는 설치브라켓(41)과, 상기 설치브라켓(41)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승강실린더(43)와, 상기 제1승강실린더(43)에 결합되어 모음수단(30)에 의해 모아진 포장팩(1)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5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수단(40)의 공기배출부(50)는,
    상기 제1승강실린더(43)에 결합되어 승작작동하는 승강브라켓(51)과, 상기 승강브라켓(51)에 결합되어 제1작동실린더(52)의 작동에 따라 모음그립퍼(35)의 상측에 위치된 포장팩(1)의 일부분을 그립하는 중간그립퍼(53)로 이루어진 제1공기배출부(54);
    상기 제1공기배출부(54)의 승강브라켓(51)에 고정설치되는 제2승강실린더(55)와, 상기 제2승강실린더(55)에 의해 승강작동하며 제2작동실린더(56)의 작동에 따라 중간그립퍼(53)의 상측에 위치된 포장팩(1)의 일부분을 그립하는 마감그립퍼(57)로 이루어진 제2공기배출부(58);로 구성되어, 제1, 2승강실린더(43, 55)의 작동에 따라 포장팩(1) 내부의 공기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KR1020140081923A 2014-07-01 2014-07-01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KR10163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23A KR101635819B1 (ko) 2014-07-01 2014-07-01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23A KR101635819B1 (ko) 2014-07-01 2014-07-01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972A KR20160003972A (ko) 2016-01-12
KR101635819B1 true KR101635819B1 (ko) 2016-07-05

Family

ID=5516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923A KR101635819B1 (ko) 2014-07-01 2014-07-01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29696B (zh) * 2023-12-18 2024-04-02 黑龙江火龙神农业生物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方便定位袋口的肥料加工用灌装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360B1 (ko) * 1998-12-07 2002-04-22 김강권 단감비닐포장기
KR20050093011A (ko) * 2004-03-18 2005-09-23 한기용 식품포장대 묶음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972A (ko)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29855B (zh) 全自动多功能包装机
CN201989972U (zh) 一种预制袋自动装袋包装机
CN203681922U (zh) 纸币捆包塑封一体机
CN202828129U (zh) 一种卫生巾全自动包装机
KR101635822B1 (ko) 발효식품 자동 포장시스템
KR101635819B1 (ko) 포장팩 공기제거장치
CN104354910B (zh) 一种杯、碗、盖的多功能自动套袋装置
CN110562547A (zh) 一种全自动自立袋无菌软包装设备及工艺
CN206583267U (zh) 包装袋的除水烘干装置
CN203392024U (zh) 多用可调无室抽真空热封袋装置
CN203047553U (zh) 全自动多功能包装机
CN210793877U (zh) 一种全自动自立袋无菌软包装设备
CN111802414B (zh) 一种智能煎饼馃子制售机
KR101770804B1 (ko) 자숙기
CN204078195U (zh) 一种袋装食品包装机的封口装置
CN204173241U (zh) 给袋式包装机的包装袋压平及热封机构
CN211481530U (zh) 一种高效智能节能微波烤箱
CN203094469U (zh) 炒茶茶末的自动袋装器
CN106218967A (zh) 一种用于型材包装的送料设备
CN206670289U (zh) 一种能够连续运转的餐巾布烘干装置
CN211732024U (zh) 一种食品包装袋封口机
CN205872542U (zh) 全自动连续封盒包装机
CN204871817U (zh) 一种打叶复烤成品包装预压压头自动清洁装置
KR20160003974A (ko) 포장팩 꼬임장치
CN203219872U (zh) 一种新型茶叶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