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438B1 - 루테늄 착체 혼합물, 그 제조방법, 성막용 조성물, 루테늄 함유 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루테늄 착체 혼합물, 그 제조방법, 성막용 조성물, 루테늄 함유 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438B1
KR101770438B1 KR1020127016664A KR20127016664A KR101770438B1 KR 101770438 B1 KR101770438 B1 KR 101770438B1 KR 1020127016664 A KR1020127016664 A KR 1020127016664A KR 20127016664 A KR20127016664 A KR 20127016664A KR 101770438 B1 KR101770438 B1 KR 101770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thenium
dimethylpentadienyl
bis
d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182A (ko
Inventor
아츠시 마니와
노리아키 오시마
카즈히사 카와노
타이시 후루카와
히로카즈 치바
토시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토소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소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소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 C23C16/1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from metallo-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7/00Metallocenes
    • C07F17/02Metallocenes of metals of Groups 8, 9 or 10 of the Periodic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23Pulsed gas flow or change of composition over time
    • C23C16/45525Atomic layer deposition [A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08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a composite, e.g. T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01L21/2850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 H01L21/28512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1/2855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by chemical means, e.g. CVD, LPCVD, PECVD, laser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95Deposition of porous oxides or porous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porous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051Deposition of metallic or metal-silicid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4966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the conductor material next to the insulator being a composite material, e.g. organic material, TiN, MoSi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CVD법을 이용해서 양질의 루테늄 박막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저온에서 해당 박막을 형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열에 대해서 높은 반응성을 지니는 루테늄 화합물에 대한 요망이 있었다. 본 발명은,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원료로서 이용해서 CVD법 등에 의해 루테늄 함유 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양은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에 의거해서 0.1 내지 100중량%이다.

Description

루테늄 착체 혼합물, 그 제조방법, 성막용 조성물, 루테늄 함유 막 및 그 제조방법{RUTHENIUM COMPLEX MIXTURE, METHOD FOR PRODUCING SAME, COMPOSITION FOR FORMING FILM, RUTHENIUM-CONTAIN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등에 유용한 유기금속화합물의 혼합물, 해당 혼합물의 제조방법, 성막용(즉, 막 형성용) 조성물, 금속함유 박막, 및 해당 박막의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라, 메모리셀(memory cell)의 미세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메모리 소자의 전극재료로서, 루테늄, 이리듐, 백금 등의 귀금속이 검토되고 있다. 메모리 소자 중, DRAM 소자에 이용하기 위하여, 루테늄은, 그의 산화물도 전기 전도성을 지니고 미세화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극재료로서 유력시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고집적화된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의 루테늄 함유 박막의 제조방법으로서는 단차 피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이하, CVD법)이 최적이다. 이 CVD법 또는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이하, ALD법)을 이용해서 박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원료물질로서는, 금속화합물 중에서도 취급성이 용이한 유기금속화합물이 적합한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루테늄 박막 또는 루테늄 산화물 박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유기금속화합물로서는, 상온에서 액체이며 취급성이 우수하고 또한 안정성 및 증기압의 관점에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이하 DER이라 기재)이 우수하다(특허문헌 1).
CVD법에 의해서 양질의 루테늄 박막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저온에서의 박막형성이 유리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종래품인 DER보다도 저온에서 높은 반응성을 지니는 루테늄 화합물이 요망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1은 DER보다도 저온에서 높은 반응성을 지니는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 착체는 융점이 89℃로 높기 때문에, 승화에 의해 가스화시킨 후 공급할 필요가 있다. 승화에 의한 가스화에서는 캐리어 가스에의 포화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고체의 표면적 변화로 인해 원료 가스 농도에 변화가 생기므로, 안정한 공급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착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으로서 사용하는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그러나, 이 수법에 의거한 버블링에 의한 원료공급에서는, 용매와 착체 간의 휘발성의 차이 때문에 용매만 휘발하고, 고체가 석출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반드시 안정한 원료공급 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더욱이, 용매에 의한 희석은 원료로서의 루테늄 착체의 농도가 감소하므로, 성막(즉, 막 형성) 속도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 방법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CVD법에 의한 루테늄 박막의 형성은 다른 문제점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원료공급 개시와 기판 상에의 박막 형성의 개시 간에 지연 시간(인큐베이션(incubation) 시간)이 있다. 인큐베이션 시간이 길 경우, 박막의 생산 효율의 저하 및 막 두께의 제어 곤란성 등과 같은 문제를 제기한다. DER은, 그 이전에 검토된 원료와 비교해서 인큐베이션 시간이 짧은 것이 보고되어 있지만 (비특허문헌 2), 여전히 인큐베이션 시간은 존재하고 있다. DER보다도 인큐베이션 시간이 짧은 루테늄 화합물이 요망되고 있다.
JP 2003-342286 A JPH5-132776 A JP 2006-36780 A
: Kazuhisa Kawano et a1., Electrochemical and Solid-State Letters, Vol. 10, Issue 6, pp. D60-D62 (2007) : Tetsuo Shibutami et aI., Electrochemical and Solid-State Letters, Vo1. 6, Issue 9, pp. C117-C119 (2003)
CVD법에 의해 양질의 루테늄 박막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저온에서 박막을 형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품인 DER보다 더욱 저온에서의 박막형성이 가능한 루테늄 화합물이 요망되고 있다. 또, DER보다 인큐베이션 시간이 짧은 루테늄 화합물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DER보다 더욱 저온에서의 박막형성이 가능하고, 또한 DER보다 인큐베이션 시간의 짧은 루테늄 착체 혼합물, 해당 혼합물의 제조방법, 성막용 조성물, 루테늄 함유 박막 및 해당 박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검토를 거듭한 결과, DER과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혼합물을 원료로서 이용함으로써, 종래품인 DER보다도 더욱 저온에서 루테늄 함유 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었다. 더욱이, 전술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이용해서 제작한 루테늄 함유 막은, DER로부터 제작한 루테늄 함유 막보다도 양호한 전기 특성을 지니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요지는, 하기 (1) 내지 (10)항에 존재한다.
(1)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및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되, 상기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양은 상기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에 의거해서 0.1 내지 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착체 혼합물.
(2)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은 상기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에 의거해서 0.1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에 기재된 루테늄 착체 혼합물.
(3)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은 상기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에 의거해서 0.1 내지 15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항에 기재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
(4) 바람직하게는,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유사한 화합물을 함유하되, 해당 유사한 화합물의 양은 상기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에 의거해서 5중량%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루테늄 착체 혼합물.
(5) 상기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함유 막 형성용 조성물.
(6)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양은 상기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에 의거해서 0.1 내지 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루테늄 착체 혼합물의 제조방법.
(7) 아연 및 용매의 존재 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의 양은 상기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몰 당 0.5 내지 1.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루테늄 착체 혼합물의 제조방법.
(8)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이, 2,4-다이메틸-1,3-펜타다이엔을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루테늄과 용매 및 아연의 존재 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인 것인, 상기 (7)항에 기재된 루테늄 착체 혼합물의 제조방법:
[일반식 1]
RuX 3 · nH 2 O
식 중,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n은 0 내지 10을 나타낸다.
(9) 상기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원료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함유 막의 제조방법.
(10) 상기 (9)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함유 막.
즉, 본 발명은, DER 및 해당 DER에 의거해서 0.1 내지 100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함유 막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DER 및 해당 DER에 의거해서 0.1 내지 100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루테늄 착체 혼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아연 및 용매의 존재 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의 양이 상기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몰 당 0.5 내지 1.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루테늄 착체 혼합물의 제조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원료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함유 막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 하는 루테늄 함유 막이다.
본 발명에 의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은, 루테늄 함유 막 형성용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해당 혼합물을 성막용 원료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원료의 안정한 공급이 가능해지고, 또한, DER을 원료로서 이용했을 경우보다도 더욱 저온에서 루테늄 함유 막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얻어진 루테늄 함유 막은, DER로부터 제조한 루테늄 함유 막보다도 양호한 전기 특성을 지닌다. 또한, DER을 원료로서 이용했을 경우보다도 짧은 기간에 루테늄 함유 막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예 14 내지 23 및 28, 및 비교예 1, 3 및 4에서 이용된 CVD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 24에서 측정한 원자간력 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에 의해 얻어진 상(이하, AFM 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 25에서 얻어진 막의 AFM 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 26에서 얻어진 막의 AFM 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막의 AFM 상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루테늄 착체 혼합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DER 및 해당 DER에 의거해서 0.1 내지 100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한다. 이 혼합물은 이들 두 성분을 단지 루테늄 착체로서 함유해도 되거나, 또는 다른 루테늄 착체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루테늄 착체의 예로는 DER 유사 화합물(analogue compound)을 들 수 있다. DER 유사 화합물은, DER 및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이외의 비스다이에틸루테늄 화합물이며, 그 예로는,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등을 들 수 있다.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혼합물이 루테늄 함유 막제조용의 원료로서 이용되도록 의도되어 있으므로, DER 유사 화합물의 함유량은 이들 화합물이 성막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위에 표시된 루테늄 착체, 즉,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등의 경우에, 그 총 함유량은 DER에 의거해서 5중량%까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성막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루테늄 착체의 경우에는, 이들 루테늄 착체는 약 5중량% 혹은 그 이상의 양으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성막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루테늄 착체의 예로는,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들 수 있지만, 이 루테늄 착체로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은, 용매, 안정화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루테늄 착체 혼합물은 균일한 용액상태여도 되고, 또는 DER 및/또는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부분 석출에 의해 형성된 고체가 혼재하는 상태여도 된다. 고체가 혼재할 경우에는, 혼합물이 균일한 용액으로서 사용되도록 해당 혼합물을 가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해당 혼합물은 적절한 용매로 희석해서 균일한 용액을 얻도록 해도 된다.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함유량은, DER에 의거해서 0.1 내지 100중량%이다. 그 함유량이 0.1중량%보다 낮은 경우에는, 이 혼합물을 성막원료로서 저온에서 이용할 경우, 성막 초기 단계에 있어서 생성되는 핵의 양이 적어져서, 저온에서 성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그 함유량이 100중량%를 초과할 경우, 이 혼합물을 성막원료로서 이용했을 경우에, 해당 혼을 균일한 용액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80℃ 이상에서 유지해야만 한다. 그 결과,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이 상당한 열 분해를 받게 된다.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열 분해를 고려하면, 이 혼합물은 DER에 의거해서 0.1 내지 30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DER에 의거해서 0.1 내지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혼합물은, 실온에서 균일한 용액으로 되기 때문에, 취급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DER에 의거해서 1 내지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혼합물은, 인큐베이션 시간의 단축 효과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은, DER을 해당 DER에 의거해서 0.1 내지 100중량%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직접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제조방법 1).
DER을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혼합할 때의 온도는,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분해 온도가 210℃이기 때문에, 210℃ 미만인 것이 필수적이다. 또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융점은 89℃이기 때문에, 89℃ 이상에서 DER과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은 임의의 비율로 서로 섞인다. 그러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은 그러한 온도에서 상당한 열 분해를 받기 때문에, 80℃ 이하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혼합 시 적절한 용매를 공존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가열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균일한 용액으로서 제조할 수 있고, DER 및/또는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열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되는 용매의 예로는, 메탄올 ,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뷰틸, 아세트산 아이소아밀 등의 에스터류, 에틸렌글라이콜 모노에틸에터, 에틸렌글라이콜 모노메틸에터, 에틸렌글라이콜 모노부틸에터 등의 글라이콜 에터류, 다이에틸에터, t-뷰틸메틸에터, 글라임, 다이글라임, 트라이글라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터류, t-뷰틸메틸케톤, 아이소뷰틸메틸케톤, 에틸뷰틸케톤, 다이프로필케톤, 다이아이소뷰틸케톤, 메틸아밀케톤, 사이클로헥사논, 아세톤 등의 케톤류, 헥산, 사이클로헥산, 에틸 사이클로헥산, 헵탄, 옥탄,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탄화수소류를 들 수 있지만,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R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으로,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은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방법으로 각각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은,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과 아연 및 용매의 존재 하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제조방법 2). 이 방법에서의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이다.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을 서로 반응시킬 때,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은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몰당 0.5 내지 1.0몰의 양으로 반응시킨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의 양이 0.5몰 미만인 경우에는,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이 다량 미반응인 채로 남고,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이 1.0몰을 초과하여 이용될 경우에는,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이 부산물로서 생성되기 때문이다.
이 방법에서 이용되는 아연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몰당의 그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몰 이상이다. 아연이 대과잉량 이용되더라도, 이 방법은 경제적인 관점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아연은 1.5 내지 100몰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 이 방법에서 이용하기 위한 반응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알코올을 일부 또는 전부의 용매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 중, 특히 메탄올을 이용할 경우, 다음의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반응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켜 과잉의 아연을 제거한 후, 메탄올과 임의로 서로 섞이지 않는 용매를 이용해서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및 DER을 추출한다. 추출물을 농축시키고, 얻어진 유상물 또는 현탁액을 정제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공업적으로 유리한 단계들을 통해서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이용하는 메탄올과 자유로이 섞이지 않는 용매의 예로는, 예를 들어,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등 지방족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펜탄과 헥산은 염가에 입수가능해서, 공업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생성물의 회수 및 정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증류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할 수 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용 담체의 예로는 다이비닐벤젠 공중합체, 스타이렌/다이비닐벤젠 공중합체 등의 다공질 중합체,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지만, 담체는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충전제를 사용할 때, 1종류의 충전제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충전제를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용리액의 예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뷰틸 등의 에스터류,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펜탄, 헥산, 사이클로헥산, 메틸사이클로헥산, 에틸사이클로헥산, 헵탄, 옥탄, 톨루엔, 자일렌 등의 탄화수소류를 들 수 있다. 이들 분리 용매를 사용할 때, 1종류의 분리 용매만을 사용해도 되고, 서로 섞이는 2종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용매 중에서, 분리 용매의 극성의 관점으로부터, 펜탄, 헥산, 헵탄, 옥탄, 사이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가 바람직하며, 제조비용의 면으로부터 헥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반응에 이용되는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은, 2,4-다이메틸-1,3-펜타다이엔과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루테늄과 용매 및 아연의 존재 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일반식 1]
RuX 3 · nH 2 O
식 중,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n은 0 내지 10을 나타낸다.
일반식 1에 있어서,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할로겐의 예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들 수 있다. 할로겐은 바람직하게는 브롬 또는 염소이다. 또 일반식 1에 있어서 n은 0 내지 10을 나타내고, n=0일 때의 일반식 1은 무수물을 나타낸다. n이 0이 아닐 때는, 일반식 1은 수화물을 나타낸다.
반응에 이용되는 아연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루테늄 1몰에 대한 그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몰 이상이다. 아연을 대과잉량 이용해도, 상기 방법은 경제적인 관점에서 불리하므로, 아연은 1.5 내지 100몰의 양으로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2,4-다이메틸-1,3-펜타다이엔을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루테늄과 반응시킬 때, 2,4-다이메틸-1,3-펜타다이엔을 일반식 1의 1몰당 2몰 혹은 그 이상 이용해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4-다이메틸-1,3-펜타다이엔을 대과잉량 이용해도, 이 방법은 경제적인 관점에서 불리하므로, 해당 화합물은 2 내지 20몰의 양으로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2,4-다이메틸-1,3-펜타다이엔을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루테늄과 반응시킬 때, 반응물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2,4-다이메틸-1,3-펜타다이엔을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루테늄과 반응시켜서,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제조할 경우에, 얻어진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단리하는 일없이 동일 용기 내에서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과 직접 반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본 발명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DER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조방법 1에서의 조작 및 제조방법 2에 있어서의 반응은, 질소 또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활성 가스의 예로는, 헬륨, 네온, 아르곤, 크립톤, 제논 및 라돈을 들 수 있다. 질소와 아르곤은 저렴한 비용으로 입수할 수 있고, 공업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에, 질소와 아르곤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원료로서 이용해서 루테늄 함유 막을 제조할 수 있다. 루테늄 함유 막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예로는, CVD법, ALD법, 스핀 코팅법, 딥 코팅법 및 분무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원료로서 이용해서, CVD법 또는 ALD법에 의해 기판 상에 루테늄 함유 막을 제조할 경우,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가스화해서 기판 상에 공급한다.
CVD 혹은 ALD용의 막 증착실(혹은 성막실)에의 원료의 공급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예로는 버블링, 액체 기화/공급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용액 내로의 버블링은,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 간의 증기압의 차이 때문에, 긴 기간에 걸쳐 사용할 경우에는 원료의 조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액체 기화/공급 시스템에 의한 원료의 기화 및 공급이 바람직하다.
ALD 혹은 CVD에 의한 성막 시 이용되는 캐리어 가스는 희 가스 또는 질소가 바람직하다. 경제적인 이유로 질소, 헬륨, 네온 및 아르곤이 바람직하다.
ALD 혹은 CVD에 의한 성막용의 반응 가스의 예로는 수소, 산소, 웃음 가스, 암모니아, 염화수소, 질산 가스, 개미산, 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원료는 열 단독으로도 분해될 수 있다. 또, 광이나 플라즈마 등을 열과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이하의 루테늄 함유 막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단독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금속 루테늄 막이나 루테늄 산화물막 등이 얻어진다. 또한, 루테늄 복합 혼합물을 다른 금속 원료과 조합시켜서 이용할 경우에는, 루테늄 함유 복합 막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루테늄 복합 혼합물을 스트론튬 원료와 조합시켜서 이용할 경우, SrRuO3막이 얻어진다. 이 경우에 얻을 수 있는 스트론튬 함유 막은 이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트론튬 원료의 예로는, 비스(다이피발로일메타나토)스트론튬, 다이에톡시스트론튬, 비스(1,1,1,5,5,5-헥사플루오로-2,4-펜탄다이오나토)스트론튬 등을 들 수 있다. 스트론튬 원료는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루테늄 복합 혼합물을 다른 금속원료와 조합시켜서 이용할 때, 각각의 원료를 개별적으로 공급해도, 혹은 함께 혼합하고 나서 공급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분위기가 아르곤으로 치환된 쉬렝크 관(Schlenk tube)에 DER 10.0g을 칭량하고,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0.1g(DER에 의거해서 1중량%)을 가하였다. 이 내용물을 27℃에서 6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황색 용액 10.1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용액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용액은 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
분위기가 아르곤으로 치환된 쉬렝크 관에 DER 10.0g을 칭량하고,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0.5g(DER에 의거해서 5중량%)을 가하였다. 이 내용물을 27℃에서 6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황색 용액 10.5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용액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용액은 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3)
분위기가 아르곤으로 치환된 쉬렝크 관에 DER 10.0g을 칭량하고,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5g(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을 가하였다. 이 내용물을 27℃에서 6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황색 용액 11.5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용액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용액은 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4)
분위기가 아르곤으로 치환된 쉬렝크 관에 DER 1.0g을 칭량하고,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0g(DER에 의거해서 100중량%)을 가하였다. 이 내용물을 80℃에서 6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황색 용액 2.0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용액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용액은 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00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5)
분위기가 아르곤으로 치환된 쉬렝크 관에 DER 10.0g을 칭량하고,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5g(DER에 의거해서 15중량%)과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0.4g(DER에 의거해서 4.0중량%)을 가하였다. 이 내용물을 27℃에서 6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황색 용액 11.9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용액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용액은 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4.0중량%의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6)
분위기가 아르곤으로 치환된 쉬렝크 관에 DER 10.0g을 칭량하고,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5g(DER에 의거해서 15중량%)과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0.4g(DER에 의거해서 4.0중량%)을 가하였다. 이 내용물을 27℃에서 6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황색 용액 11.9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용액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용액은 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4.0중량%의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7)
분위기가 아르곤으로 치환된 쉬렝크 관에 DER 10.0g을 칭량하고,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5g(DER에 의거해서 15중량%)과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0.4g(DER에 의거해서 4.0중량%)을 가하였다. 이 내용물을 27℃에서 6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황색 용액 11.9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용액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용액은 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4.0중량%의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8)
분위기가 아르곤으로 치환된 쉬렝크 관에 DER 10.0g을 칭량하고,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5g(DER에 의거해서 15중량%)과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0.2g(DER에 의거해서 2.0중량%)과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0.2g(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을 가하였다. 이 내용물을 27℃에서 6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황색 용액 11.9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용액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용액은 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의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의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9)
분위기가 아르곤으로 치환된 쉬렝크 관에 DER 10.0g을 칭량하고,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5g(DER에 의거해서 15중량%)과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0.2g(DER에 의거해서 2.0중량%)과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0.2g(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을 가하였다. 이 내용물을 27℃에서 6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황색 용액 11.9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용액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용액은 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의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의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10)
분위기가 아르곤으로 치환된 쉬렝크 관에 DER 10.0g을 칭량하고,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5g(DER에 의거해서 15중량%)과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0.2g(DER에 의거해서 2.0중량%)과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0.2g(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을 가하였다. 이 내용물을 27℃에서 6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황색 용액 11.9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용액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용액은 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의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의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11)
분위기가 아르곤으로 치환된 쉬렝크 관에 DER 10.0g을 칭량하고,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5g(DER에 의거해서 15중량%)과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0.1g(DER에 의거해서 1.0중량%)과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0.1g(DER에 의거해서 1.0중량%)과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0.1g(DER에 의거해서 1.0중량%)을 가하였다. 이 내용물을 27℃에서 60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황색 용액 11.8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용액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용액은 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1.0중량%의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1.0중량%의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1.0중량%의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12)
3구 플라스크에 아연 1.36g을 칭량하고, 해당 용기 내의 분위기를 아르곤 치환하였다. 여기에, 2,4-다이메틸-1,3-펜타다이엔 4.32g 및 메탄올 12㎖을 가해서 현탁액을 얻었다. 3염화루테늄 n수화물(n = 약 3) 2.52g을 메탄올 40㎖에 용해시킨 용액을 40분에 걸쳐서 빙냉 하에 상기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적가 종료 후, 얻어진 혼합물을 빙냉 하에 12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이 혼합물을 60℃로 승온시겨, 1시간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일단 방냉한 후,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 0.96g을 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그대로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나서, 60℃로 승온시키고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글래스 필터를 이용해서 미반응 아연을 제거하였다. 그 후, 이 혼합물을 헥산 30㎖로 1회, 헥산 20㎖로 4회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얻어진 유상물에 대해서 진공 증류를 행하여, 목적물인 DER과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혼합물을 2.18g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혼합물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혼합물은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함유량이 DER에 의거해서 14중량%이고, 수율은 69.5%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13)
3구 플라스크에 아연 1.36g을 칭량하고, 해당 용기 내의 분위기를 아르곤 치환하였다. 여기에, 2,4-다이메틸-1,3-펜타다이엔 4.32g 및 메탄올 12㎖을 가해서 현탁액을 얻었다. 3염화루테늄 n수화물(n = 약 3) 2.53g을 메탄올 40㎖에 용해시킨 용액을 40분에 걸쳐서 빙냉 하에 상기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적가 종료 후, 얻어진 혼합물을 빙냉 하에 12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이 혼합물을 60℃로 승온시키고, 1시간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일단 방냉한 후,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 0.52g을 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그대로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나서, 60℃로 승온시키고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글래스 필터를 이용해서 미반응 아연을 제거하였다. 그 후, 이 혼합물을 헥산 30㎖로 1회, 헥산 20㎖로 4회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얻어진 현탁액에 대해서, 알루미나를 칼럼 충전제로서 그리고 헥산을 용리액으로서 이용해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해서, 목적물로서 DER과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혼합물을 2.98g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 혼합물의 조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혼합물은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함유량이 DER에 의거해서 98중량%이고, 수율은 82.5%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함)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도 1의 장치를 이용해서, 원료온도 66℃, 캐리어 가스(Ar) 유량 30sccm, 원료압력 150Torr, 희석 가스(Ar) 유량 169sccm, 반응 가스(O2) 유량 13
0.16sccm, 기판온도 240℃, 반응실 내부 압력 10Torr의 조건 하에, CVD법에 의해 SiO2/Si 기판상에 1시간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 분광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주사형 전자현미경(이하, SEM)에 의해 조사한 바, 그의 막 두께는 20㎚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함)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도 1의 장치를 이용해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건 하에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SEM에 의해 확인한 바, 그의 막 두께는 25㎚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함)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도 1의 장치를 이용해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건 하에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SEM에 의해 조사한 바, 그의 막 두께는 30㎚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17)
실시예 5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4.0중량%의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함)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도 1의 장치를 이용해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건 하에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SEM에 의해 조사한 바, 그의 막 두께는 25㎚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18)
실시예 6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4.0중량%의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함)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도 1의 장치를 이용해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건 하에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SEM에 의해 조사한 바, 그의 막 두께는 25㎚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19)
실시예 7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4.0중량%의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함)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도 1의 장치를 이용해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건 하에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SEM에 의해 조사한 바, 그의 막 두께는 25㎚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0)
실시예 8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의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의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함)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도 1의 장치를 이용해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건 하에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SEM에 의해 조사한 바, 그의 막 두께는 25㎚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1)
실시예 9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의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의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함)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도 1의 장치를 이용해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건 하에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SEM에 의해 조사한 바, 그의 막 두께는 25㎚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2)
실시예 10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의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2.0중량%의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함)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도 1의 장치를 이용해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건 하에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SEM에 의해 조사한 바, 그의 막 두께는 25㎚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3)
실시예 11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1.0중량%의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1.0중량%의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1.0중량%의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함)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도 1의 장치를 이용해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건 하에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SEM에 의해 조사한 바, 그의 막 두께는 27㎚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4)
실시예 14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함유 막의 전기 특성을 4-탐침법으로 측정한 바, 상기 막의 저항률은 260μΩ·㎝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막의 표면평활성을 AFM으로 평가한 바(도 2), 막의 산술 평균 조도는 6㎚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5)
실시예 15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함유 막의 전기 특성을 4-탐침법으로 측정한 바, 상기 막의 저항률은 60μΩ·㎝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막의 표면평활성을 AFM으로 평가한 바(도 3), 막의 산술 평균 조도는 4㎚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6)
실시예 16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함유 막의 전기 특성을 4-탐침법으로 측정한 바, 상기 막의 저항률은 50μΩ·㎝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막의 표면평활성을 AFM으로 평가한 바(도 4), 막의 산술 평균 조도는 3㎚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7)
실시예 23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함유 막의 전기 특성을 4-탐침법으로 측정한 바, 상기 막의 저항률은 55μΩ·㎝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8)
실시예 11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DER과 해당 DER에 의거해서 15중량%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1.0중량%의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1.0중량%의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DER에 의거해서 1.0중량%의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함)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도 1의 장치를 이용해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건 하에 0.5시간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SEM에 의해 조사한 바, 그의 막 두께는 5㎚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들 결과 및 실시예 23의 결과로부터 인큐베이션 시간을 산출한 바, 23분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비교예 1)
DER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도 1의 장치를 이용해서,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건 하에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SEM에 의해 조사한 바, 그의 막 두께는 5㎚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한 루테늄 함유 막의 전기 특성을 4-탐침법으로 측정한 바, 해당 막은 절연 막이었다. 표면을 AFM으로 평가한 바(도 5), 산술 평균 조도는 9㎚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비교예 3)
DER을 원료로 해서, 도 1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건 하에, 단, 기판온도 255℃에서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SEM에 의해 조사한 바, 그의 막 두께는 20㎚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제작한 막의 저항률을 4-탐침법에 의해 측정한 바, 2,340μΩ·㎝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비교예 4)
DER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도 1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예 14와 마찬가지 조건 하에 2시간 막 증착을 행하였다. 제작한 박막을 형광 X선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루테늄에 귀속하는 특성 X선이 관측되었다. 막 두께를 SEM에 의해 조사한 결과, 그의 막 두께는 30㎚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들 결과 및 비교예 1의 결과로부터 인큐베이션 시간을 산출한 바, 48분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이하를 이해할 수 있다.
즉, 비교예 1과 실시예 14의 비교, 비교예 1과 실시예 15의 비교, 비교예 1과 실시예 16의 비교, 및 비교예 1과 실시예 17 내지 23과의 비교로부터, 기판온도 240℃에 있어서의 막 증착 속도는,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이용했을 경우는, DER을 이용했을 경우보다도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17 내지 23과 비교예 1과의 비교로부터,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은 1종 이상의 DER 유사 화합물[즉,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및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DER에 의거해서 합계로 5중량% 이하 함유해도,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은, DER에 비해서 막 증착 속도가 훨씬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 비교예 2와 실시예 24의 비교(도 5와 도 2의 비교), 비교예 2와 실시예 25의 비교(도 5와 도 3의 비교) 및 비교예 2와 실시예 26의 비교(도 5와 도 4의 비교)로부터,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로부터 제작한 막은, DER로부터 제작한 막의 표면 조도보다 양호한 표면 조도를 지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와 실시예 24의 비교, 비교예 2와 실시예 25의 비교 및 비교예 2와 실시예 26의 비교로부터,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이용해서 제조한 막은, DER로부터 제작한 막보다도 작은 산술평균 조도를 지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비교예 3과 실시예 24의 비교, 비교예 3과 실시예 25의 비교, 비교예 3과 실시예 26의 비교 및 비교예 3과 실시예 27의 비교로부터,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이용해서 기판온도 240℃에서 제작한 막은 DER을 이용해서 기판온도 255℃에서 제작한 막의 저항률보다도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 및 4와 실시예 23 및 28과의 비교로부터,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이용했을 경우는, DER을 이용했을 경우보다도 인큐베이션 시간이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이용하면, 보다 저온에서 보다 저항률이 낮은 막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DER을 원료로서 이용했을 경우보다도 짧은 기간에 루테늄 함유 막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또한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없이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이 행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09년 12월 28일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특허 출원 제2009-297196호) 및 2010년 8월 9일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특허 출원 제2010-178697호)에 의거한 것으로, 이들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루테늄 착체 혼합물은, 루테늄 함유 막 형성용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해당 혼합물을 성막 원료로서 이용함으로써, 원료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해지고, 또한 DER을 원료로서 이용했을 경우보다도 더욱 저온에서 루테늄 함유 막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얻어진 루테늄 함유 막은, DER로부터 제조한 루테늄 함유 막보다도 양호한 전기 특성을 지닌다. 또한, DER을 원료로서 이용했을 경우보다도 짧은 기간에 루테늄 함유 막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업적 가치는 현저하다.
1: 원료용기 2: 항온조
3: 반응실 4: 기판
5: 반응 가스 6: 희석 가스
7: 캐리어 가스 8: 질량 유량 제어기
9: 질량 유량 제어기 10: 질량 유량 제어기
11: 진공 펌프 12: 배기

Claims (10)

  1.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및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함유하되, 상기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양은 상기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에 의거해서 0.1 내지 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착체 혼합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유사한 화합물을 함유하되, 해당 유사한 화합물의 양은 상기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에 의거해서 5중량%까지이고, 상기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유사한 화합물이 비스(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 및 비스(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착체 혼합물.
  5. 제1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함유 막 형성용 조성물.
  6.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의 양은 상기 (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에닐)루테늄에 의거해서 0.1 내지 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루테늄 착체 혼합물의 제조방법.
  7. 아연 및 용매의 존재 하,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을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에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의 양은 상기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 1몰 당 0.5 내지 1.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루테늄 착체 혼합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이, 2,4-다이메틸-1,3-펜타다이엔을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할로겐화 루테늄과 용매 및 아연의 존재 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비스(2,4-다이메틸펜타다이에닐)루테늄인 것인, 루테늄 착체 혼합물의 제조방법:
    [일반식 1]
    RuX 3 · nH 2 O
    식 중,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n은 0 내지 10을 나타낸다.
  9. 제1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루테늄 착체 혼합물을 원료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함유 막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테늄 함유 막.
KR1020127016664A 2009-12-28 2010-11-29 루테늄 착체 혼합물, 그 제조방법, 성막용 조성물, 루테늄 함유 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770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7196 2009-12-28
JPJP-P-2009-297196 2009-12-28
JPJP-P-2010-178697 2010-08-09
JP2010178697A JP5732772B2 (ja) 2009-12-28 2010-08-09 ルテニウム錯体混合物、その製造方法、成膜用組成物、ルテニウム含有膜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0/071208 WO2011080978A1 (ja) 2009-12-28 2010-11-29 ルテニウム錯体混合物、その製造方法、成膜用組成物、ルテニウム含有膜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182A KR20120120182A (ko) 2012-11-01
KR101770438B1 true KR101770438B1 (ko) 2017-08-22

Family

ID=4422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664A KR101770438B1 (ko) 2009-12-28 2010-11-29 루테늄 착체 혼합물, 그 제조방법, 성막용 조성물, 루테늄 함유 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42153B2 (ko)
EP (1) EP2520690B1 (ko)
JP (1) JP5732772B2 (ko)
KR (1) KR101770438B1 (ko)
CN (1) CN102686771B (ko)
SG (1) SG181458A1 (ko)
TW (1) TWI526565B (ko)
WO (1) WO2011080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8638B2 (ja) * 2013-06-26 2017-08-09 東ソー株式会社 ルテニウム錯体及びその製造方法、ルテニウム含有薄膜及びその作製方法
KR102578747B1 (ko) 2021-06-08 2023-09-15 (주)원익머트리얼즈 루테늄 유기금속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8936B1 (ko) 2021-09-13 2023-12-28 (주)원익머트리얼즈 신규한 루테늄 유기금속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2286A (ja) 2001-09-12 2003-12-03 Tosoh Corp ルテニウム錯体、その製造方法、及び薄膜の製造方法
JP2008538126A (ja) 2005-03-16 2008-10-0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パターン化された基板上にルテニウム金属層を形成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8252B2 (ja) 1991-10-02 2004-01-19 日本酸素株式会社 化学気相析出用有機金属錯体溶液
JP2006036780A (ja) 2001-09-12 2006-02-09 Tosoh Corp ルテニウム錯体の製造方法
KR100727372B1 (ko) * 2001-09-12 2007-06-12 토소가부시키가이샤 루테늄착체, 그 제조방법 및 박막의 제조방법
JP2004067601A (ja) 2002-08-07 2004-03-04 Tanaka Kikinzoku Kogyo Kk Cvd原料用の有機化合物及び該有機化合物を用いた金属又は金属化合物薄膜の製造方法
US7211509B1 (en) 2004-06-14 2007-05-01 Novellus Systems, Inc, Method for enhancing the nucleation and morphology of ruthenium films on dielectric substrates using amine containing compounds
US7288479B2 (en) 2005-03-31 2007-10-30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for forming a barrier/seed layer for copper metallization
US20070069383A1 (en) 2005-09-28 2007-03-29 Tokyo Electron Limited Semiconductor device containing a ruthenium diffusion barrier and method of forming
JP2009007270A (ja) * 2007-06-27 2009-01-15 Tosoh Corp ルテニウム化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薄膜の製造方法
US7737028B2 (en) * 2007-09-28 2010-06-15 Applied Materials, Inc. Selective ruthenium deposition on copper materials
JP4600526B2 (ja) 2008-06-12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2010178697A (ja) 2009-02-06 2010-08-19 Osaka Univ β遮断薬有効群の選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2286A (ja) 2001-09-12 2003-12-03 Tosoh Corp ルテニウム錯体、その製造方法、及び薄膜の製造方法
JP2008538126A (ja) 2005-03-16 2008-10-0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パターン化された基板上にルテニウム金属層を形成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53124A (ja) 2011-08-11
EP2520690B1 (en) 2018-04-11
JP5732772B2 (ja) 2015-06-10
CN102686771A (zh) 2012-09-19
TWI526565B (zh) 2016-03-21
US20120227625A1 (en) 2012-09-13
KR20120120182A (ko) 2012-11-01
CN102686771B (zh) 2015-03-25
EP2520690A1 (en) 2012-11-07
TW201137154A (en) 2011-11-01
SG181458A1 (en) 2012-07-30
EP2520690A4 (en) 2013-11-13
US8742153B2 (en) 2014-06-03
WO2011080978A1 (ja)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6576B2 (ja) 有機ルテニウ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04714B1 (ko) 단차피복성이 우수한 루테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여 증착시킨 박막
JP4517565B2 (ja) ルテニウム錯体、その製造方法、及び薄膜の製造方法
KR101770438B1 (ko) 루테늄 착체 혼합물, 그 제조방법, 성막용 조성물, 루테늄 함유 막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6444A (ko) 몰리브데넘 함유 전구체, 이를 이용한 몰리브데넘 함유 박막 및 이의 제조 방법.
US8920875B2 (en) Cyclooctatetraenetricarbonyl ruthenium complex,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film using the complex as raw material
KR102634502B1 (ko) 루테늄 화합물, 박막 형성용 원료 및 박막의 제조 방법
KR101748403B1 (ko) 루테늄 화합물, 그 제조방법, 그것을 이용한 루테늄―함유 박막제조방법 및 루테늄―함유 박막
JP2010215982A (ja) ルテニウム錯体有機溶媒溶液を用いたルテニウム含有膜製造方法、及びルテニウム含有膜
JP3511228B2 (ja) エチルシクロペンタジエニル(1,5−シクロオクタ ジエン)イリジウ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 イリジウム含有薄膜の製造方法
JP6321252B1 (ja) イリジウム錯体からなる化学蒸着用原料及び該化学蒸着用原料を用いた化学蒸着法
US7601392B2 (en) Organic-metal precursor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etal thin film using the same
JP2009007270A (ja) ルテニウム化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薄膜の製造方法
JP2012111696A (ja) ルテニウム錯体混合物、成膜用組成物、ルテニウム含有膜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20058106A1 (en) Process for preparing a bis (alkylcyclopentadienyl) ruthenium, bis (alkylcyclopentadienyl) ruthenium prepared thereby, and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a ruthenium film or ruthenium-compound film
US11999756B2 (en) Method for producing organometallic compound and thin film fabricated using organometallic compound obtained thereby
US20220356198A1 (en) Method for producing organometallic compound and thin film fabricated using organometallic compound obtained thereby
JP2006036780A (ja) ルテニウム錯体の製造方法
KR20220082351A (ko) 백금 함유 전구체, 이를 이용한 백금 함유 박막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3058451A1 (ko) 단차피복성이 우수한 루테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여 증착시킨 박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