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116B1 - 평판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평판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116B1
KR101770116B1 KR1020170025277A KR20170025277A KR101770116B1 KR 101770116 B1 KR101770116 B1 KR 101770116B1 KR 1020170025277 A KR1020170025277 A KR 1020170025277A KR 20170025277 A KR20170025277 A KR 20170025277A KR 101770116 B1 KR101770116 B1 KR 101770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circuit board
side frame
led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철
양서일
박재활
장현석
Original Assignee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후지라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5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deformation of parts or snap action mountings, e.g. using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6Optical design with parabolic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과 측면프레임 간의 전기적 절연 및 원활한 열전달이 가능하고, LED 소자의 파손이 방지되며 동시에, 누설광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평판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조명장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중첩되는 반사필름; 상기 도광판의 타면에 중첩되는 확산판;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체결되는 측면프레임;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일면에 LED 소자가 실장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 끝단과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측면프레임을 절연시키는 절연가이드; 및 상기 절연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도광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LED 소자에서 발산하는 광을 상기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LED 소자에 대향하는 측에 상기 LED 소자의 둘레방향으로 확산되는 누설광을 상기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도광판의 외곽에는 상기 반사필름 및 상기 확산판의 외곽보다 돌출된 돌출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반사면은 상기 돌출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길이로 연장된다.

Description

평판형 조명장치{FLAT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평판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 소자의 광을 도광판에 조사하여 면발광을 구현하는 평판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 평판형 조명장치는 LED 소자를 도광판의 측면에 위치시켜 LED에서 발산하는 광을 도광판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입사되도록 한 후 도광판의 내부전반사를 통해 광을 방출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LED 평판형 조명장치는 도광판의 측면에 장착되는 바 형상의 측면프레임의 내부에 LED 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LED 소자 및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열전도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측면프레임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에 공급되는 전류가 측면프레임으로 통전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측면프레임 간의 전기적 절연이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프레임과 인쇄회로기판 간의 절연을 위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007호에는 인쇄회로기판과 측면프레임 사이에 절연부재를 삽입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007호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에 의한 LED 평판형 조명장치는, 절연부재가 단순히 인쇄회로기판의 상단과 하단만 감싸는 형태이기 때문에 LED 소자에서 발산하는 광이 도광판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누설광의 양이 많아서 조명효율이 저감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복수의 LED 소자들 간에 미세하게 높이차이가 있거나 인쇄회로기판이 뒤틀린 경우, LED 소자와 도광판 사이에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간극(들뜸)이 발생하여 누설광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LED 평판형 조명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LED 소자 및 인쇄회로기판과 측면프레임 간의 열전달 및 부품사이의 간극을 통한 누설광 발생으로 인한 광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측면프레임이 도광판 방향으로 가압되어 측면프레임과 인쇄회로기판이 밀착되도록 조립된다.
그러나, 측면프레임이 도광판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도광판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된 LED 소자가 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LED 소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LED 소자를 도광판에서 이격시키는 경우에는 LED 소자와 도광판 사이의 간극으로 인해 누설광의 양이 더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과 측면프레임 간의 전기적 절연 및 원활한 열전달이 확보되고, LED 소자의 파손이 방지되며 동시에, 누설광의 양을 최소화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KR 20-0469007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누설광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평판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인쇄회로기판과 측면프레임 간의 전기적 절연 및 원활한 열전달이 가능한 평판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LED 소자의 파손이 방지할 수 있는 평판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중첩되는 반사필름; 상기 도광판의 타면에 중첩되는 확산판;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체결되는 측면프레임;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일면에 LED 소자가 실장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 끝단과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측면프레임을 절연시키는 절연가이드; 및 상기 절연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도광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LED 소자에서 발산하는 광을 상기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LED 소자에 대향하는 측에 상기 LED 소자의 둘레방향으로 확산되는 누설광을 상기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도광판의 외곽에는 상기 반사필름 및 상기 확산판의 외곽보다 돌출된 돌출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반사면은 상기 돌출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길이로 연장된 평판형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LED 소자에 대향하는 측에 상기 LED 소자의 둘레방향으로 확산되는 누설광을 상기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조명장치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LED 소자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돌출되어 상기 도광판의 외곽에 지지되는 지지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LED 소자의 누설광을 최소화하여 조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의 방열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LED 소자의 조립하중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과 프레임 간의 절연이 확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평판형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평판형 조명장치의 코너부분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평판형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도광판, 측면프레임, 절연가이드 및 회로기판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평판형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회로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평판형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절연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평판형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도광판, 측면프레임, 절연가이드 및 회로기판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평판형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절연가이드 및 회로기판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조명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평판형 조명장치(100)는 도광판(110), 반사필름(120), 확산판(130), 백플레이트(140), 측면프레임(150), 코너프레임(160), 회로기판(170), 지지블럭(180) 및 절연가이드(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10)은 LED 소자(175)에서 발산하는 광을 굴절시켜 확산판(130)으로 조사시키는 부재이다.
상기 반사필름(120)은 도광판(110)의 일면에 중첩되어 도광판(110)의 내부에서 굴절에 의해 산란된 광 중에서 도광판(110)의 일면으로 진행하는 광을 확산판(13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확산판(130)은 도광판(110)의 타면에 중첩되어 도광판(110)의 내부에서 굴절에 의해 산란된 광을 전체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백플레이트(140)는 반사필름(120)의 일면에 중첩되어 반사필름(120)의 평탄도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광판(110)은 반사필름(120) 및 확산판(130)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110), 반사필름(120) 및 확산판(130)이 중첩된 경우, 도광판(110)의 외곽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필름(120) 및 확산판(130)의 외곽보다 돌출된 돌출부위(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위(110a)는 후술할 절연가이드(190)의 반사부(194)에서 반사된 빛이 도광판(110)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구성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위(110a)의 광 유입 구조에 대한 내용은 반사부(194)의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측면프레임(150)은 도광판(110)의 측면에 체결되는 바 형태의 부재로서, 일측에 개구형태의 시트삽입홈(15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시트삽입홈(151)은 도광판(110), 반사필름(120), 확산판(130) 및 백플레이트(140)가 중첩 조립된 시트형태의 조립체의 외곽 일부가 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프레임(150)의 일측에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시트삽입홈(151)의 상단과 하단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형태 조립체의 면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52)가 구비될 수 있다. 플랜지부(152)는 백플레이트(140)의 일면과 확산판(130)의 타면을 지지하여 도광판(110), 반사필름(120), 확산판(130) 및 백플레이트(140)의 중첩 구조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측면프레임(150)에는 후술할 코너프레임(160)의 암부(162)가 삽입되는 조립홈(153)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립홈(153)은 측면프레임(150)의 양단에 폐단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측면프레임(150)의 내부에는 후술할 회로기판(170) 및 절연가이드(190)가 삽입되는 기판설치홈(154)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설치홈(154)은 측면프레임(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170) 및 절연가이드(190)를 측면프레임(150)의 양단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개구될 수 있다.
또한, 기판설치홈(154)에 삽입된 회로기판(170)에 실장된 LED 소자(175)에서 발산하는 광이 시트삽입홈(151)에 삽입된 도광판(110)의 측면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기판설치홈(154)과 시트삽입홈(151)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측면프레임(150)은 회로기판(170)의 열을 전달받아서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면프레임(15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측면프레임(15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기판설치홈(154)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150)의 내벽에는 회로기판(170)의 타면에 접하는 열전달부(155)가 구비될 수 있다. 열전달부(15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70)의 타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LED 소자(175) 및 회로기판(170)에서 발생한 열은 열전달부(155)를 통해 측면프레임(150)으로 전달될 수 있고, 측면프레임(150)으로 전달된 열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열전달부(155)는 회로기판(170)과의 열교환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회로기판(170)의 타면 중에서 후술할 절연가이드(190)의 절연부(192)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 부분에 접촉하도록 회로기판(170)과의 접촉부위가 편평한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코너프레임(16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면프레임(150)을 서로 연결시키는 조립매개체로서, 연결되는 2개의 측면프레임(150) 각각의 조립홈(153)에 삽입되는 2개의 암부(162)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150)의 기판설치홈(154)에 삽입되는 회로기판(170) 및 절연가이드(190)는 끝단 일부가 측면프레임(150)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코너프레임(16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170) 및 절연가이드(190)의 끝단 일부가 측면프레임(150)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구조는, 회로기판(170) 및 절연가이드(190)를 기판설치홈(154)에서 인출하는 분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70)은 일면에 복수의 LED 소자(175)가 실장되며 복수의 LED 소자(175)에 전원을 공급하는 요소로서, 측면프레임(150)의 길이 이상으로 긴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기판(170)은 측면프레임(150)의 기판설치홈(154)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도광판(11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170)과 도광판(110) 사이에는 LED 소자(175)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로기판(170)의 타면은 측면프레임(150)의 열전달부(155)에 접촉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로기판(170)의 일단에는 회로기판(17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 및 전원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회로기판(170) 및 복수의 LED 소자(17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도광판(110)의 측면 네 곳 중에서 대칭되는 두 곳에만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로기판(170) 및 복수의 LED 소자(175)는 필요에 따라 도광판(110)의 측면 네 곳 전체 또는 한 곳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블럭(180)은 회로기판(170)의 일면에 구비되어 LED 소자(175)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블럭(18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70)의 일면에 배열된 복수의 LED 소자(175) 사이의 간격에 설치될 수 있으며, LED 소자(175)가 회로기판(17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길이(h1)보다 긴 돌출길이(h2)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블럭(180)은 LED 소자(175)의 돌출길이(h1)보다 0.1 내지 0.2mm 긴 돌출길이(h2)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도광판(110)의 측면에 지지되는 부분은 지지블럭(180)이 되고, LED 소자(175)과 도광판(110)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블럭(18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조명장치(1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측면프레임(150)의 열전달부(155)와 회로기판(170) 간의 열전도 향상을 위한 밀착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측면프레임(150)을 도광판(110) 방향으로 가압할 때 측면프레임(150)과 도광판(110) 사이에 가해지는 압력에 저항하여 LED 소자(17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가이드(190)는 회로기판(170)과 측면프레임(150) 간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재질의 부재로서, 측면프레임(150)의 기판설치홈(154)에서 회로기판(170)의 폭방향(도 7의 상하방향) 끝단과 측면프레임(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가이드(190)는 한 쌍이 회로기판(170)의 폭방향 양단에 대칭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가이드(190)는 절연부(192), 반사부(194) 및 후크부(19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부(192)는 회로기판(170)의 폭방향 끝단이 삽입되는 기판삽입홈(193)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부(19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70)의 폭방향 끝단 일부를 감싸는 'ㄷ'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부(192)는 회로기판(170)과 측면프레임(150) 간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킴으로써, 회로기판(170)과 측면프레임(150) 간의 쇼트(short)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170)의 폭방향 끝단의 모서리부에는 뾰족한 형상으로 인해 전계가 집중되어 절연에 취약할 수 있으나, 절연가이드(190)의 절연부(192)는 회로기판(170)의 모서리부분을 감쌈으로써 회로기판(170)의 전계 집중 부위와 측면프레임(150)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부(19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70)의 모서리부분을 감싸고 회로기판(170)의 폭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회로기판(170)의 모서리부분과 측면프레임(150) 간의 절연거리를 증대시킴으로써, 회로기판(170)과 측면프레임(150) 간을 안정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부(194)는 절연가이드(190)에 구비되며, 도광판(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LED 소자(175)에서 발산하는 광을 도광판(110)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LED 소자(175)와 도광판(110)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블럭(180)으로 인해 간극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간극을 통해 LED 소자(175)의 둘레방향으로 확산되는 누설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누설광은 도광판(110)으로 유입되지 않고 도광판(110)의 외측으로 진행한 후 소멸되기 때문에 장치의 조명효율 저감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조명장치(100)는, 절연가이드(190)에 반사부(194)를 구비하여 누설광을 도광판(110)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조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사부(194)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192)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반사부(194)는 절연부(192)의 끝단에서 도광판(110)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부(194)는 LED 소자(175)에 대향하는 면에 누설광을 도광판(110)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195)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사면(195)은 가시광선 반사율이 좋은 색상(예를 들어, 흰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사면(195)만 반사율이 좋은 색상으로 도색될 수도 있고, 절연가이드(190) 전체가 반사율이 우수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반사면(195)은 반사율이 높은 물질이 부착되거나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광판(110)이 측면프레임(150)의 시트삽입홈(15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도광판(110)에 의해 반사부(19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부(19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10)의 설치공간에서 벗어나도록 도광판(110)과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반사부(194)와 도광판(110) 사이의 간격을 통해 누설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194)와 도광판(110) 사이의 간격을 통한 누설광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반사면(19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10)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위(110a)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위(11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광판(110) 중에서 반사필름(120) 및 확산판(130)에 비해 외곽으로 돌출된 부위를 의미한다.
다만, 도광판(110)의 측면으로 입사된 광이 상기 돌출부위(110a)를 통해 누설되는 광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위(110a)를 최소길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위(110a)에 의한 광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 예로서, 돌출부위(110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94)의 선단부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도광판(110)의 양면 중에서 확산판(130)이 배치된 측은 누설광이 확산판(130)으로 유입되어 광손실이 적을 수 있으나, 반사필름(140)이 배치된 측은 누설광이 반사필름(140)의 외측으로 누설된 경우 반사필름(140)에 의해 도광판(110)으로 유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도광판(110)의 양면 중에서 반사필름(140)이 배치된 측 면의 돌출부위(110a)는 반사부(194)의 선단부에 의해 가려지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사부(194)에 의해 도광판(110)으로 빛이 반사될 수 있다면, 상기 돌출부위(110 a)가 반드시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면(195)은 LED 소자(175)의 누설광을 도광판(110)의 돌출부위(110a)로 반사시키도록 돌출부위(110a)를 향해 만곡진 곡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반사면(195)의 곡면 형태는 LED 소자(175)와 도광판(110) 사이의 간극을 통해 다양한 각도로 진행하는 누설광의 입사각 및 반사각을 고려하여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반사면(195)은 도 7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각도로 누설되는 누설광을 도광판 측으로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198)는 절연부(192)와 협력하여 절연가이드(190)가 측면프레임(150)의 기판설치홈(154)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후크부(198)는 측면플레임의 내부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절연가이드(190)가 다른 부품에 지지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기판설치홈(154)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절연가이드(190)를 측면프레임(15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후크부(198)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94)의 끝단에서 회로기판(170)의 폭방향 즉, 반사면(195)의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면프레임(150)의 내측에는 후크부(198)가 측면프레임(150)에서 탈거되는 방향으로 걸리는 걸림돌기(156)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후크부(198)가 측면프레임(150)에서 탈거되는 방향은 절연가이드(190)를 기준으로 시트삽입홈(151) 방향을 의미하며, 절연가이드(190)가 기판설치홈(154)에서 길이방향으로 인출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후크부(198)와 걸림돌기(156)의 걸림구조를 통해, 절연가이드(1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150)에 회로기판(170)보다 선조립될 수 있다. 절연가이드(190)가 회로기판(170)과 독립적으로 선조립될 수 있는 구조는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달리, 종래에는 프레임에 절연부재를 독립적으로 지지하는 별도의 구조가 없으므로, 인쇄회로기판과 한 쌍의 절연부재를 선조립한 후 조립체를 프레임에 삽입하기 때문에 조립체를 프레임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과 절연부재가 서로 분리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후크부(198)는 회로기판(170)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탄성변형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후크부(198)는 측면프레임(150)과 도광판(110)의 조립시 지지블럭(180)과 도광판(110)의 밀착 및 회로기판(170)과 열전달부(155)의 밀착을 허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부품의 설계오차 및 가공오차로 인해 지지블럭(180)이 도광판(110)에 접촉하기 전에 후크부(198)가 측면프레임(150)의 내벽에 먼저 접촉하도록 제작된 경우, 후크부(198)가 탄성변형 불가하면 후크부(198)가 도광판(110)과 지지블럭(180)의 밀착 및 회로기판(170)과 열전달부(155)의 밀착을 방해할 수 있다. 여기서, 도광판(110)과 지지블럭(180)이 밀착되지 않으면 도광판(110)과 LED 소자(175) 간의 간극이 설계치보다 넓어지게 되어 반사부(194)의 반사면(195)을 통한 누설광 집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회로기판(170)과 열전달부(155)이 밀착되지 않으면 회로기판(170)의 방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평판형 조명장치
110: 도광판 110a: 돌출부위
120: 반사필름 130: 확산판
140: 백플레이트 150: 측면프레임
151: 시트삽입홈 152: 플랜지부
153: 조립홈 154: 기판설치홈
155: 열전달부 156: 걸림돌기
160: 코너프레임 162: 암부
170: 회로기판 175: LED 소자
180: 지지블럭 190: 절연가이드
192: 절연부 193: 기판삽입홈
194: 반사부 195: 반사면
198: 후크부

Claims (10)

  1.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중첩되는 반사필름;
    상기 도광판의 타면에 중첩되는 확산판;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체결되는 측면프레임;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일면에 LED 소자가 실장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 끝단과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측면프레임을 절연시키는 절연가이드; 및
    상기 절연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도광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LED 소자에서 발산하는 광을 상기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LED 소자에 대향하는 측에 상기 LED 소자의 둘레방향으로 확산되는 누설광을 상기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도광판의 외곽에는 상기 반사필름 및 상기 확산판의 외곽보다 돌출된 돌출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반사면은 상기 돌출부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길이로 연장된 평판형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가이드는,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 끝단이 삽입되는 기판삽입홈이 형성된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절연부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평판형 조명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상기 누설광을 상기 돌출부위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돌출부위를 향해 만곡진 곡면형태로 이루어진 평판형 조명장치.
  6.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LED 소자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돌출되어 상기 도광판의 외곽에 지지되는 지지블럭을 더 포함하는 평판형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벽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접하는 열전달부가 구비된 평판형 조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가이드는 한 쌍이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 양단에 대칭형태로 구비되는 평판형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가이드는 상기 반사부의 끝단에서 절곡 형성된 후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측면프레임에서 탈거되는 방향으로 걸리는 걸림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절연가이드를 상기 측면프레임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설치가 가능한 평판형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평판형 조명장치.
KR1020170025277A 2017-02-27 2017-02-27 평판형 조명장치 KR101770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277A KR101770116B1 (ko) 2017-02-27 2017-02-27 평판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277A KR101770116B1 (ko) 2017-02-27 2017-02-27 평판형 조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958A Division KR101855513B1 (ko) 2017-08-14 2017-08-14 평판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116B1 true KR101770116B1 (ko) 2017-08-24

Family

ID=5975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277A KR101770116B1 (ko) 2017-02-27 2017-02-27 평판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1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0616A (zh) * 2018-09-30 2019-02-15 晨辉光宝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简便的面板灯
KR102046945B1 (ko) * 2018-07-03 2019-11-21 (주) 선일일렉콤 Led 조명장치
KR20190142835A (ko) * 2018-06-19 2019-12-30 (주)Cb반도체 엣지형 led 조명등
KR102097918B1 (ko) * 2019-09-05 2020-04-06 주식회사 바이더엠 사각라운드 엣지형 led등기구
KR102219172B1 (ko) * 2020-03-26 2021-02-22 절강해녕쉬리조명유한공사 간편 조립구조를 갖는 평판형 엣지 조명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9493B2 (ja) * 2009-10-30 2013-10-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源装置
JP2014038827A (ja) * 2012-08-20 2014-02-27 Samsung Display Co Ltd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KR101691488B1 (ko) * 2015-09-03 2017-01-02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광학성, 발열성, 유지보수, 시공성 및 절연기능을 향상시킨 초슬림 led 조명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9493B2 (ja) * 2009-10-30 2013-10-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源装置
JP2014038827A (ja) * 2012-08-20 2014-02-27 Samsung Display Co Ltd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KR101691488B1 (ko) * 2015-09-03 2017-01-02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광학성, 발열성, 유지보수, 시공성 및 절연기능을 향상시킨 초슬림 led 조명등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835A (ko) * 2018-06-19 2019-12-30 (주)Cb반도체 엣지형 led 조명등
KR102182287B1 (ko) * 2018-06-19 2020-11-24 (주)선텍 엣지형 led 조명등
KR102046945B1 (ko) * 2018-07-03 2019-11-21 (주) 선일일렉콤 Led 조명장치
CN109340616A (zh) * 2018-09-30 2019-02-15 晨辉光宝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简便的面板灯
KR102097918B1 (ko) * 2019-09-05 2020-04-06 주식회사 바이더엠 사각라운드 엣지형 led등기구
KR102219172B1 (ko) * 2020-03-26 2021-02-22 절강해녕쉬리조명유한공사 간편 조립구조를 갖는 평판형 엣지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513B1 (ko) 평판형 조명장치
KR101770116B1 (ko) 평판형 조명장치
US20120105762A1 (en) Edge-lit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0149636A (ja) 面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平面表示装置
CN104749818A (zh) 侧光式背光模组及其导光板
JP2004335880A (ja) 発光装置
KR20060046023A (ko) 백라이트 모듈
KR101733697B1 (ko) 평판형 led 조명장치
CN110262130B (zh) 背光模块
US11947158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JP2005285535A (ja) 照明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815448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having contact protrusion between top chassis and bottom chassis
JP5846365B2 (ja) 光照射装置
JP4786266B2 (ja) 光源装置およびこの光源装置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US20240151386A1 (en) Led lighting device
US8337042B2 (en) Liquid crystal module
JP4275548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CN215068982U (zh) 一种背光源及移动终端
CN220103058U (zh) 一种改进散热的侧部发光面光源结构和机器视觉装置
KR20200085131A (ko) 슬림형 led 조명
CN210442623U (zh) 光学引擎以及投影设备
CN220323704U (zh) 一种dlp装置
JP7418263B2 (ja) 照明器具
JP7016245B2 (ja) 基板固定構造、照明装置及び基板固定方法
WO2013005553A1 (ja) 面発光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