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402A -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402A
KR20080045402A KR1020060114487A KR20060114487A KR20080045402A KR 20080045402 A KR20080045402 A KR 20080045402A KR 1020060114487 A KR1020060114487 A KR 1020060114487A KR 20060114487 A KR20060114487 A KR 20060114487A KR 20080045402 A KR20080045402 A KR 20080045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edge
coupling
side wall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4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5402A/ko
Publication of KR2008004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조립성이 향상된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은 수납용기 및 반사부재를 포함한다. 수납용기의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상면에는 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반사부재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3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4 결합부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보스(boss) 또는 홀일 수 있다. 제3 결합부 및 제4 결합부는 홀 또는 보스일 수 있다.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은 반사부재의 일측 및 타측 가장자리를 눌러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리브(rib)가 형성된 미들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시트를 수납용기에 자동조립 공정으로 조립할 수 있다.
샤시, 반사시트, 보스, 홀, 리브

Description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CONTAINING MODULE USED I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을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을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110 : 수납용기
111 : 제1 측벽 113 : 제2 측벽
112, 114 : 보스 130 : 반사부재
131 : 돌출부 432, 434 : 고정홀
470 : 미들커버 471, 473, 475, 477 : 측면부
472, 474 : 상면부 476 : 리브
8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850 : 램프
860 : 사이드커버 880 : 광학시트
본 발명은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시트와 수납용기 간의 조립성이 향상된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에 채용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원의 배치에 따라 에지(edge)형 백라이트 어셈블리(edge type back light assembly) 및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direct downward type back light assembly)로 구분된다.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경우, 램프가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된다.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표시 장치의 크기가 대형화되면서 중점적으로 개발된 구조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램프들을 일렬로 배열시켜 표시패널에 전면적으로 광을 조사한다. 이러한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에지형 백 라이트 어셈블리에 비해 여러 개의 광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휘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램프들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시트 또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양면 접착태이프를 사용하여 반사시트를 수납용기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반사시트를 수납용기에 고정시키기 위해 양면 접착태이프와 같은 별도의 부재가 소요되며, 수작업으로 반사시트를 수납용기에 고정할 수밖에 없어 조립공정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시트가 수납용기에 직접 고정된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은 수납용기 및 반사부재를 포함한다. 수납용기는 바닥판,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한다. 제1 측벽의 상면에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제2 측벽의 상면에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다. 반사부재는 바닥판에 배치되며, 일측 가장자리에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3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에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4 결합부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결합부 및 제4 결합부는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홀일 수 있고,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홀에 삽입된 보스(Boss)일 수 있다. 제1 측벽의 상면에는 복수의 보스들이 제1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2 측벽의 상면에는 복수의 보스들이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은 미들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커버는 측면부 및 상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대향한다. 상면부는 측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상면과 대향한다. 상면부에는 반사부재의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 접촉된 리브(Ri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반사부재, 복수의 램프들 및 미들커버를 포함한다. 수납용기는 바닥판,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의 상면에는 제1 보스가 형성되며, 제2 측벽의 상면에는 제2 보스가 형성된다. 반사부재는 바닥판에 배치되며, 일측 가장자리에 제1 보스가 삽입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에 제2 보스가 삽입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된다. 램프들은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나란하게 반사부재 상에 배치된다. 미들커버는 측면부 및 상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대향하며, 상면부는 측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상면과 대향한다. 반사부재의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제1 체결홀 및 제2 체결홀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면부의 배면에는 돌출부에 접촉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사이드커 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커버는 램프들의 단부를 커버하며, 바닥판,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대향하는 반사부재에 접촉된다.
이러한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의하면,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을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용 수납모듈(100)은 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은 수납용기(110) 및 반사부재(130)를 포함한다.
수납용기(110)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샤시이거나, 수지로 이루어진 몰드물일 수 있다. 수납용기(110)는 바닥판(105), 제1 측벽(111), 제2 측벽(113), 제3 측벽(115) 및 제4 측벽(117)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105)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바닥판(105)은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장변들과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단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1), 제2 측벽(113), 제3 측벽(115) 및 제4 측벽(117)은 바닥판(105)의 4 개의 변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제1 측벽(111) 및 제2 측 벽(113)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제3 측벽(115) 및 제4 측벽(117)은 서로 대향하며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3)을 각각 연결한다.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3)의 상면은 소정의 요소들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적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111)은, 예를 들어, 바닥판(105)의 일측 장변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며, 굴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 측벽(111)은 다시 굴곡되어 하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 측벽(111)의 단면은 대략 'n' 자 형상을 갖는다. 제2 측벽(113)은 제1 측벽(111)과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2 측벽(113)의 단면도 대략 'n' 자 형상을 갖는다.
제1 측벽(111)의 상면에는 제1 결합부(112)가 형성되고, 제2 측벽(113)의 상면에는 제2 결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12) 및 제2 결합부(114)는 반사부재(130)를 고정한다. 제1 결합부(112) 및 제2 결합부(114)의 형상은 반사부재(1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라면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112) 및 제2 결합부(114)는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보스(boss)이다. 제1 측벽(111)에 형성된 보스를 제1 보스(112)로, 제2 측벽(113)에 형성된 보스를 제2 보스(114)로 각각 정의하며, 제1 결합부(112) 및 제2 결합부(114)와 각각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제1 보스(112) 및 제2 보스(114)의 개수는 표시장치용 수납모듈(100)의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1)의 상면에는 두 개의 제1 보스(112)들이 제1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벽(113)의 상면에는 두 개의 제2 보스(114)들이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 어 있다. 제2 보스(114)들은 모두 제1 보스(112)들 사이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1 보스(112)들의 상호 이격 간격과 제2 보스(114)들의 상호 이격 간격을 다르게 함으로써 상하좌우의 구별이 명확하게 되며, 표시장치용 수납모듈(100)의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
반사부재(130)는 수지로 이루어져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거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부재(130)는 은(Ag)층과 같이 광 반사 효율이 우수한 박막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층과 같은 박막층은 반사부재(130)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반사부재(130)는 바닥판(105),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3)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반사부재(130)는 바닥판(105)에 접촉될 수 있다. 반사부재(130)는 바닥판(105)과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3)이 만나는 모서리 인근에서 굴곡되어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3)과 대향할 수 있다.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5)과 대략 수직을 이룬다. 반사부재(130)는 바닥판(105)에 대해 예각을 이루며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3)과 대향할 수 있다. 반사부재(130)의 일측 가장자리는 제1 측벽(111)의 상면에 배치되고, 반사부재(130)의 타측 가장자리는 제2 측벽(113)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130)의 상기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3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가장자리에는 제4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부는 제1 측벽(111)에 형성된 제1 결합부(112)와 결합되며, 제4 결합부는 제2 측벽(113)에 형성된 제2 결합 부(114)와 결합된다.
제3 결합부 및 제4 결합부의 형상은 제1 결합부(112) 및 제2 결합부(114)의 형상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결합부 및 제4 결합부는 고정홀이다. 제1 보스(112)는 상기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며, 제2 보스(114)는 상기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홀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는 돌출부(131, 133)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홀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재(130)는 접착태이프 등의 다른 부재에 의하지 않고, 직접 수납용기(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장치용 수납모듈(200)은 수납용기(210) 및 반사부재(230)를 포함한다.
수납용기(210)는 제1 결합부(212) 및 제2 결합부를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납용기(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212)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제1 측벽(211) 및 제2 측벽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212)이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212) 및 제2 결합부는 각각 제1 측벽(211) 및 제2 측벽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일 수 있다.
반사부재(230)는 제3 결합부(232) 및 제4 결합부를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반사부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결합부(232) 및 제4 결합부는 각각 반사부재(230)의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보스(232)일 수 있다.
보스(232)는 제1 측벽(211) 및 제2 측벽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212)에 삽입된다. 보스(232)의 단부는 보스(232)의 중간부분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보스(232)는 체결홀(212)에 강제로 삽입되며, 보스(232)의 단부의 형상으로 인해 반사부재(230)가 제1 측벽(211) 및 제2 측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을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장치용 수납모듈(400)은 수납용기(410), 반사부재(430) 및 미들커버(470)를 포함한다. 수납용기(410) 및 반사부재(4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납용기(110) 및 반사부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용기(410)는 바닥판(405), 제1 측벽(411), 제2 측벽(413), 제3 측벽(415) 및 제4 측벽(417)을 포함한다. 제1 측벽(411)의 상면에는 2 개의 제1 보스(412)들이 제1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벽(413)의 상면에는 2 개의 제2 보스(414)들이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재(430)는 바닥판(405), 제1 측벽(411) 및 제2 측벽(413)과 대향하게 배치된다. 반사부재(430)의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2 개의 돌출 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각 상기 돌출부에는 제1 보스(412) 또는 제2 보스(414)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다.
미들커버(470)는 수납용기(410)를 수납하며, 반사시트가 제1 측벽(411) 및 제2 측벽(4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미들커버(470)는 수납용기(410)의 형상에 대응하여 4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미들커버(470)는 측면부 및 상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는 제1 측벽(411), 제2 측벽(413), 제3 측벽(415) 및 제4 측벽(417)과 대향한다. 상면부는 측면부로부터 연장되며 제1 측벽(411) 및 제2 측벽(413)의 상면과 대향한다. 따라서, 측면부 중 제1 측벽(411), 제2 측벽(413), 제3 측벽(415) 및 제4 측벽(417)에 대응하는 부분들을 각각 제1 측면부(471), 제2 측면부(473), 제3 측면부(475) 및 제4 측면부(477)로 정의한다. 또한, 제1 측벽(411)의 상면 및 제2 측벽(413)의 상면에 대응하는 상면부를 각각 제1 상면부(472) 및 제2 상면부(474)로 정의한다.
제1 상면부(472) 및 제2 상면부(474)의 배면에는 리브(476)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476)는 제1 상면부(472) 및 제2 상면부(474)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상면부(472) 및 제2 상면부(474)의 배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한 복수의 리브(476)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상면부(472) 및 제2 상면부(474)의 배면에는 각각 3 개의 리브(476)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상면부(472)에 형성된 리브(476)들 중 가운데에 위치한 리브(476)는 반 사부재(43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부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측벽(411)에 형성된 제1 보스(412)는 돌출부에 형성된 고정홀을 관통하여 가운데에 위치한 리브(476)와 수납공간의 내측에 가장 근접한 리브(476)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브(476)들은 수납용기(410)와 미들커버(470)를 상호 정렬시키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리브(476)들 중 수납공간으로부터 가장 외측에 근접한 리브(476)는 제1 측벽(411)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고, 반사부재(430)의 일측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거나, 반사부재(430)와 가운데 위치한 리브(476)의 접촉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상면부(474)에 형성된 리브(476)들은 제1 상면부(472)에 형성된 리브(476)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반사부재(430)의 타측 가장자리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미들커버(470)는 제1 보스(412) 및 제2 보스(414)에 의해 제1 측벽(411) 및 제2 측벽(413)의 상면에 고정된 반사부재(4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용 수납모듈(500)은 수납용기(510), 반사부재(530) 및 미들커버(570)를 포함한다. 미들커버(57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미들커버(4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수납용기(510)는 제1 측벽(511) 및 제2 측벽(513)의 상면에서 제1 보스 및 제2 보스가 제거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반사부재(530)는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부(531)들에서 고정홀이 제거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반사부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반사부재(530)의 일측 가장자리는 제1 측벽(511)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부(531)는 제1 측벽(511)의 상면 중앙을 넘어서까지 배치될 수 있다.
미들커버(570)의 상면부에 형성된 리브(576)는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여 제1 측벽(511) 및 제2 측벽(513)의 상면에 고정시킨다. 표시장치에서 미들커버(570)의 상부에는 광학시트 및 표시패널 등 다른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미들커버(570), 광학시트 및 표시패널 등의 자중으로 인해 리브(576)는 돌출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수납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장치용 수납모듈(600)은 수납용기(610), 반사부재(630) 및 미들커버(670)를 포함한다.
수납용기(610)는 도 3에 도시된 수납용기(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측벽(611) 및 제2 측벽의 상면에는 결합홀(612)들 또는 결합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결합홀(612)은 도 3에 도시된 체결홀(212)과 달리 리브(676)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1 측벽(611) 및 제2 측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재(6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반사부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 다. 다만,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부(631)는 리브(676)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며, 돌출부(631)에는 도 1에 도시된 고정홀과 달리 리브(676)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게 걸림홀(632)이 형성될 수 있다.
미들커버(67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미들커버(4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상면부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676)들 중 가운데에 위치한 리브(676)는 도 5에 도시된 리브(676)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재(63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홀(632)이 제1 측벽(611)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홀(612)에 대응하게 반사부재(630)는 수납용기(610)에 배치된다.
미들커버(670)는 수납용기(610)를 수납하며, 가운데에 위치한 리브(676)는 걸림홀(632) 및 결합홀(612)을 관통한다. 따라서, 반사부재(630)의 일측 가장자리는 제1 측벽(611)의 상면에 고정된다. 타측 가장자리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측벽의 상면에 고정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II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수납용기(810), 반사부재(830), 복수의 램프(850)들 및 미들커버(870)를 포함한다.
수납용기(810)는 제3 측벽(815) 및 제4 측벽(817) 인근의 바닥판(805)에 복 수의 와이어 인출용 개구(807)들이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반사부재(830)는 바닥판(805)과 제1 측벽(811) 및 제2 측벽(813)이 만나는 모서리에서 굴곡된 형상을 갖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반사부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사부재(830)의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홀들(832, 834)에는 제1 보스(812) 또는 제2 보스(814)가 삽입되어 있다.
램프(850)들은 제1 측벽(811) 및 제2 측벽(813)과 나란하게 반사부재(830) 상에 배치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램프홀더(855) 및 사이드커버(8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램프홀더(855)는 램프(850)의 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단부에 형성된 램프(850)의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램프홀더(855)에는 2 개의 램프(850)들이 결합되어 있다. 램프(850)의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가 바닥판(805)에 형성된 개구(807)를 통해 수납용기(810)의 배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반사부재(830)는 램프홀더(855)의 인근까지 배치된다.
사이드커버(860)는 램프홀더(855)를 커버하며, 반사부재(830)의 단변측 가장자리를 눌러 가이드한다. 사이드커버(860)는 제3 측벽(815) 및 제4 측벽(817)측에 각각 배치된다. 사이드커버(860)는 단턱부(861), 제1 지지부(863) 및 제2 지지부(865)를 포함할 수 있다. 단턱부(861)는 바닥판(805)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1 지지부(863) 및 제2 지지부(865)는 단턱부(861)의 에지로부터 서로 대향하게 바닥판(805)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1 지지부(863) 및 제2 지지부(865)는 램프홀더(855)의 인근에 배치된 반사부재(830)의 단변측 가장자리를 누른다. 제1 지지부(863)의 하단에는 램프(850)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홈(864)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부(863)의 좌우측(사이드커버(860)의 길이 방향) 에지는 바닥판(805)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재(830)는 상기 좌우측 에지를 따라 가이드되며, 따라서, 반사부재(830)는 바닥판(805)과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측벽(811) 및 제2 측벽(813)에 근접한 램프(850)로부터 출사된 광이 보다 효율적으로 상부로 반사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광학시트(8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880) 순차적으로 적층된 확산판(881), 확산시트(883) 및 집광시트(885)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시트(880)는 사이드커버(860)의 단턱부(861) 및 제1 측벽(811) 및 제2 측벽(813)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광학시트(880)의 가장자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811)의 상면 및 미들커버(870)의 상면부 사이에 개재된다. 제1 측벽(811)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보스(812)는 광학시트(880)가 평면상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면부는 광학시트(880)가 상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 광학시트(880)의 가장자리에는 제1 보스(812) 및 제2 보스(814)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태이프 등 다른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반사부재의 형상 및 수납용기의 형상적 특징만에 의해 반사부재를 수납용기의 측벽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수가 감소되고, 접착태이프와 같은 부재가 삭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바닥판, 상면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대향하며 상면에 제2 결합부가 형성된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및
    상기 바닥판에 배치되며,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3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4 결합부가 형성된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부 및 제4 결합부는 상기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홀이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고정홀에 삽입된 보스(Bo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의 상면에는 복수의 상기 보스들이 제1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2 측벽의 상면에는 복수의 상기 보스들이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대향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 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상면과 대향하며, 상기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 접촉된 리브(Rib)가 형성된 상면부를 포함하는 미들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홀 또는 체결홈이고,
    상기 제3 결합부 및 제4 결합부는 상기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 또는 체결홈에 삽입된 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6.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주변부로부터 연장된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대향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상기 바닥판에 배치되며,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측벽의 상면에 배치되고, 타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2 측벽의 상면에 배치된 반사부재; 및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대향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면과 대향하며, 상기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리브가 형성된 상면부를 포함하는 미들커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결합홈 또는 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홈 또는 결합홀에 대응하며, 상기 리브가 관통하는 걸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9. 바닥판, 상면에 제1 보스가 형성된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대향하며 상면에 제2 보스가 형성된 수납용기;
    상기 바닥판에 배치되며,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 보스가 삽입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2 보스가 삽입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된 반사부재;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나란하게 상기 반사부재 상에 배치된 복수의 램프들; 및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대향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의 상면과 대향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미들커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체결홀 및 제2 체결홀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의 배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접촉된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들의 단부를 커버하며, 상기 바닥판, 제1 측벽 및 제2 측벽과 대향하는 반사부재에 접촉되는 사이드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20060114487A 2006-11-20 2006-11-20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80045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487A KR20080045402A (ko) 2006-11-20 2006-11-20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487A KR20080045402A (ko) 2006-11-20 2006-11-20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402A true KR20080045402A (ko) 2008-05-23

Family

ID=3966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487A KR20080045402A (ko) 2006-11-20 2006-11-20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54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20B1 (ko) * 2008-07-31 2011-06-20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백라이트 유닛,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2628564A (zh) * 2011-12-30 2012-08-0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直下式背光模块及使用其的显示装置
KR20200116368A (ko) * 2019-04-01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006525A1 (en) * 2019-07-08 2021-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20B1 (ko) * 2008-07-31 2011-06-20 엡슨 이미징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백라이트 유닛,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2628564A (zh) * 2011-12-30 2012-08-0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直下式背光模块及使用其的显示装置
KR20200116368A (ko) * 2019-04-01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006525A1 (en) * 2019-07-08 2021-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210006111A (ko) * 2019-07-08 2021-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3924524A (zh) * 2019-07-08 2022-01-11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US11340650B2 (en) 2019-07-08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892B1 (ko) 표시장치용 수납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85226B1 (ko)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101533662B1 (ko) 표시 장치
KR101515459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94012B1 (ko) 램프홀더, 전원공급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KR10185371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7445368B2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ame
US20110085107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2017030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090060748A (ko) 표시 장치, 상부 수납 용기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20100119679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33030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20080259608A1 (en) Led lamp assembly
JP2005078917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KR101494209B1 (ko) 램프 가이드 프레임, 이를 갖는 커넥팅 모듈,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EP2261732B1 (en) Liquid crystal module
KR20080045402A (ko)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100081499A (ko) 액정 표시 장치
JP5050876B2 (ja) 液晶モジュール
JP2005285535A (ja) 照明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316979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組立方法
KR2008001755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0983505B1 (ko) 액정표시장치
JP3969332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5134554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