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832B1 - 시편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시편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832B1
KR101767832B1 KR1020160063656A KR20160063656A KR101767832B1 KR 101767832 B1 KR101767832 B1 KR 101767832B1 KR 1020160063656 A KR1020160063656 A KR 1020160063656A KR 20160063656 A KR20160063656 A KR 20160063656A KR 101767832 B1 KR101767832 B1 KR 101767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cut
workpiece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06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01N2001/2873Cutting or clea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는 시편으로 절단되는 피절단소재가 공급되며, 상기 피절단소재를 절단하는 상부날과 하부날이 구비되는 장치바디유닛 및 상기 장치바디유닛에 연계되어 결합되며, 상기 피절단소재의 절단시에 상기 피절단소재에 압착되어 상기 피절단소재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장치바디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피절단소재가 안착되며,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하부고정부 및 상기 장치바디유닛에 결합되고,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피절단소재의 일면에 압착되는 상부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편 가공장치{Processing apparatus for test piece}
본 발명은 시편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강 소재에 대한 각종 시험 및 분석에 사용되기 위해서, 시편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 가공하기 작업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판재인 피절단소재를 절단하여 시편을 가공하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고정하는 부분 없이 시편을 절단함으로써, 시편이 절단 가공되면서 비틀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절단된 시편을 다시 교정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시편을 절단 가공한 후에 시편을 모으는 보관함으로 시편을 전달하는 경우에, 시편이 상기 보관함으로 추락하면서 시편의 모서리가 손상 또는 표면 긁힘 등의 문제도 있었다.
또한, 피절단소재를 절단을 위한 상부날 및 하부날로 공급시에, 상기 피절단소재가 바르게 공급되지 못하여 직각으로 절단 가공되지 않고 의도되지 않은 형상으로 절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하여, 시편을 일정 각도로 절단하려면, 작업자가 피절단소재에 마킹을 하고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절단하였기 때문에, 시편 가공의 정밀도가 낮아지고, 작업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편 가공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절단소재를 절단하여 시편을 가공할 때, 시편의 변형 또는 훼손을 방지하면서도 원하는 형상의 시편으로 가공할 수 있는 시편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는 시편으로 절단되는 피절단소재가 공급되며, 상기 피절단소재를 절단하는 상부날과 하부날이 구비되는 장치바디유닛 및 상기 장치바디유닛에 연계되어 결합되며, 상기 피절단소재의 절단시에 상기 피절단소재에 압착되어 상기 피절단소재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장치바디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피절단소재가 안착되며,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하부고정부 및 상기 장치바디유닛에 결합되고,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피절단소재의 일면에 압착되는 상부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하부고정부는, 상기 장치바디유닛에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피절단소재가 안착되며, 상기 지지대에 상하 이동되게 구비되는 이동대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이동대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완충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이동대에는, 상기 피절단소재가 안착되는 아이들롤러와, 상기 피절단소재가 절단되어 제공되는 시편을 이동시키는 구동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롤러에는 상기 시편과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외피 또는 마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상부날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상부날에 결합되는 결합대, 상기 결합대에 상하 이동되게 구비되는 압착대 및 상기 결합대와 상기 압착대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완충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상부날에 결합되며, 신축하는 일단부에는 상기 결합대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대를 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압착대에는, 상기 피절단소재와 밀착되는 기름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기름롤러에는 유액홀이 형성되어 유성액체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장치바디유닛은, 상기 피절단소재의 위치를 조정하여 공급하는 조정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공급부는, 상기 피절단소재가 안착되어 제공되는 공급대 및 상기 공급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피절단소재를 타측으로 밀어서 정렬시키는 정렬측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정렬측대는, 상기 공급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정렬실린더, 상기 정렬실린더에 결합되어, 상기 공급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는 수직측벽 및 상기 수직측벽에 구비되고, 상기 피절단소재의 측부에 밀착되며 상기 피절단소재를 이송시키는 수직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조정공급부는, 일단부는 상기 정렬실린더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회전되게 상기 공급대에 구비되어, 상기 정렬실린더를 상기 공급대에 결합시키는 수직축 및 상기 수직축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수직축을 회전시키는 방향조정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공급대는, 상기 피절단소재가 안착되는 일면에 구름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장치바디유닛은, 배출되는 시편을 보관하는 시편보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편보관부는, 상기 시편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상부날과 하부날보다 후행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시편이 인입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보관대 및 상기 보관대 내부에 구비되며, 지지스프링에 연계되어, 상기 보관대 내부로 전달되는 시편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지지봉은, 상기 시편과 접하는 일단부에 안착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시편보관부는, 상기 보관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관대의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이 관통되어 제공되는 보관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는 피절단소재를 절단하여 시편을 가공시에, 상기 시편이 비틀리는 등의 변형이나 훼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는 피절단소재를 정렬 및 원하는 각도로 위치 변경하여 절단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시편으로 가공할 수 있는 이점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하부고정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상부고정부를 도시한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상부고정부와 상부날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조정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조정공급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시편보관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시편보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는 피절단소재(S)를 절단하여 시편(tp)을 가공시에, 상기 시편(tp)이 비틀리는 등의 변형이나 훼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는 피절단소재(S)를 정렬 및 원하는 각도로 위치 변경하여 절단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시편(tp)으로 가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는 시편(tp)으로 절단되는 피절단소재(S)가 공급되며,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절단하는 상부날(130)과 하부날(140)이 구비되는 장치바디유닛(100) 및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에 연계되어 결합되며, 상기 피절단소재(S)의 절단시에 상기 피절단소재(S)에 압착되어 상기 피절단소재(S)를 고정하는 고정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에 결합되고, 상기 피절단소재(S)가 안착되며,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하부고정부(210) 및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에 결합되고,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피절단소재(S)의 일면에 압착되는 상부고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절단하여 시편(tp)을 가공시에, 상기 시편(tp)이 비틀리는 등의 변형이나 훼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우선,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은 상기 피절단소재(S)가 공급되며,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절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기본적으로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이 제공되면,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절단하여 시편(tp)으로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은 상부날(130), 하부날(140), 조정공급부(110), 시편보관부(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날(130)은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의 기본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날(140)은 기본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날(130)은 상하 이동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에 연결되어서 상기 하부날(140)을 향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날(130)과 하부날(140)은 서로 협력하여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절단하는 시편(tp) 가공을 하게 된다.
상기 조정공급부(110)는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정렬 및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위치시켜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시편보관부(120)는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절단하여 가공된 시편(tp)을 수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에서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절단하여 상기 시편(tp)으로 가공할 때, 상기 피절단소재(S)가 고정되지 않으면, 절단되는 시편(tp)이 비틀리는 등으로 예상한 형상으로 가공되지 않는 하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장치바디유닛(100)과 연계되는 고정유닛(200)이 더 구비되게 된다.
즉,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기 시편(tp)을 가공할 때, 상기 시편(tp)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시편(tp)의 가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부고정부(220), 하부고정부(2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부(210)는 상기 피절단소재(S)가 안착되며, 최종적으로 절단 가공된 시편(tp)이 안착되어 제공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하부고정부(210)는 상기 피절단소재(S)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절단 가공되는 상기 시편(tp)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상부고정부(220)와 협력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시편(tp)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부고정부(210)는 지지대(211), 이동대(212), 하부완충스프링(213)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상부고정부(220)는 상기 피절단소재(S)의 상면에 밀착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부고정부(210)와 협력하여 상기 피절단소재(S)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상부고정부(220)도 상기 피절단소재(S)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피절단소재(S)의 훼손을 방지하면서 상기 피절단소재(S)를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상기 시편(tp)을 훼손 없이 절단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부고정부(220)는 결합대(221), 압착대(222), 상부완충스프링(223), 조정실린더(224)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하부고정부(210)를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도 2의 (a)가 상기 하부고정부(210)의 정면도이고, 도 2의 (b)가 상기 하부고정부(210)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하부고정부(210)는,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에 결합되는 지지대(211), 상기 피절단소재(S)가 안착되며, 상기 지지대(211)에 상하 이동되게 구비되는 이동대(212) 및 상기 지지대(211)와 상기 이동대(212)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완충스프링(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하부고정부(210)는 상기 피절단소재(S)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절단 가공되는 상기 시편(tp)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상부고정부(220)와 협력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시편(tp)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대(211)는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이동대(212)가 삽입되는 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대(212)가 상하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이동대(212)는 상기 지지대(211)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대(211)의 홈부에 끼워지는 이동대봉과 상기 이동대봉의 단부에 구비되는 이동대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대(212)의 이동대판의 상면에는 상기 피절단소재(S)가 안착되게 제공되어 상기 상부고정부(220)와 협력하여 상기 피절단소재(S)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하부완충스프링(213)은 상기 이동대(212)를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하게 구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부완충스프링(213)은 상기 이동대(212)와 상기 지지대(211) 사이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동대(212)의 이동대봉에 삽입되어 일단부는 상기 이동대판에 의해서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대(211)에 의해서 지지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대(212)는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하게 구비되며,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에 대한 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상부고정부(220)와 협력하여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을 고정하는 가압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은 과도한 가압력에 의한 훼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이동대(212)는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을 지지하면서도 그 이동을 위하여, 구동롤러(212b) 및 아이들롤러(212a)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롤러(212b)는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마찰외피(212c) 또는 마찰 돌기(212d)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이동대(212)에는, 상기 피절단소재(S)가 안착되는 아이들롤러(212a)와, 상기 피절단소재(S)가 절단되어 제공되는 시편(tp)을 이동시키는 구동롤러(212b)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롤러(212b)에는 상기 시편(tp)과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외피(212c) 또는 마찰 돌기(212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외피(212c)는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있는 재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고무 재질로 제공되어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 돌기(212d)는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과의 접촉 부분을 밋밋한 형상으로 구비시키는 것이 아니라, 요철 형상 등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상부고정부(220)를 도시한 정면도 및 저면도로써, 도 3의 (a)가 상기 상부고정부(220)의 정면도이고, 도 3의 (b)가 상기 상부고정부(220)의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상부고정부(220)와 상부날(130)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상부고정부(220)는, 상기 상부날(130)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상부날(130)에 결합되는 결합대(221), 상기 결합대(221)에 상하 이동되게 구비되는 압착대(222) 및 상기 결합대(221)와 상기 압착대(222)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완충스프링(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상부고정부(220)도 상기 피절단소재(S)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피절단소재(S)의 훼손을 방지하면서 상기 피절단소재(S)를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상기 시편(tp)을 훼손 없이 절단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대(221)는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의 상부날(130)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압착대(222)가 삽입되는 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압착대(222)가 상하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압착대(222)는 상기 결합대(221)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결합대(221)의 홈부에 끼워지는 압착대봉과 상기 압착대봉의 단부에 구비되는 압착대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압착대(222)의 압착대판의 하면은 상기 피절단소재(S)의 상면에 밀착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하부고정부(210)와 협력하여 상기 피절단소재(S)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대(222)는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과 접하는 부분에 기름롤러(222b)를 구비시킴으로써, 도유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의 표면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기름롤러(222b)는 유성액체가 보관된 외부의 저장소와 연결되며, 상기 유성액체가 배출될 수 있는 유액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압착대(222)에는, 상기 피절단소재(S)와 밀착되는 기름롤러(222b)가 구비되며, 상기 기름롤러(222b)에는 유액홀이 형성되어 유성액체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압착대(222)에는 상하가이드봉(222b)이 결합되어 제공됨으로써, 압착대판이 상하 이동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하가이드봉(222b)의 일단부는 상기 압착대판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결합대(221)에 형성된 상하가이드홈에 삽입되게 구비된다.
상기 상부완충스프링(223)은 상기 압착대(222)를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하게 구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부완충스프링(223)은 상기 압착대(222)와 상기 결합대(221) 사이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압착대(222)의 압착대봉에 삽입되어 일단부는 상기 압착대판에 의해서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결합대(221)에 의해서 지지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착대(222)는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하게 구비되며,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에 대한 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하부고정부(210)와 협력하여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을 고정하는 가압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은 과도한 가압력에 의한 훼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상부고정부(220)는, 상기 상부날(130)에 결합되며, 신축하는 일단부에는 상기 결합대(221)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대(221)를 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정실린더(2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정실린더(224)에 의해서, 상기 결합대(221)를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의 이동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결합대(221)에 구비된 압착대(222)가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을 고정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시편(tp)의 가공 품질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조정실린더(224)가 상기 결합대(221)를 상기 피절단소재(S) 또는 시편(tp)의 이동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상기 결합대(221) 또는 압착대(222)에는 전후가이드봉(222c)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날(130)에 형성된 전후가이드홀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상기 전후가이드봉(222c)에 의해서 상기 결합대(221) 또는 압착대(222)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조정공급부(110)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조정공급부(11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은, 상기 피절단소재(S)의 위치를 조정하여 공급하는 조정공급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공급부(110)는, 상기 피절단소재(S)가 안착되어 제공되는 공급대(111) 및 상기 공급대(111)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피절단소재(S)를 타측으로 밀어서 정렬시키는 정렬측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이해서, 상기 조정공급부(110)는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급대(111)는 상기 피절단소재(S)가 제공되는 구성으로써, 외부에서 전달되는 피절단소재(S)가 안착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피절단소재(S)를 상기 정렬측대(112)에 의해서 이동되게 되는데, 상기 공급대(111)는 이동하는 상기 피절단소재(S)가 훼손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구름볼(111a)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공급대(111)는, 상기 피절단소재(S)가 안착되는 일면에 구름볼(111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피절단소재(S)는 상기 구름볼(111a)에 접촉되게 구비됨으로서, 상기 공급대(111)에 안착되며, 상기 구름볼(111a)은 자유 회전할 수 있게 구비되어 상기 피절단소재(S)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지 않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정렬측대(112)는 상기 피절단소재(S)의 측면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정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피절단소재(S)가 상기 공급대(111)에 안착되면, 상기 공급대(111)의 일측에 제공되는 상기 공급대(111)의 가이드측대 또는 제1정렬측대(112) 방향으로 상기 피절단소재(S)가 밀착되도록, 상기 공급대(111)의 타측에 제공되는 제2정렬측대(112)가 밀게 구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정렬측대(112)는, 상기 공급대(11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정렬실린더(112a), 상기 정렬실린더(112a)에 결합되어, 상기 공급대(1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는 수직측벽(112b) 및 상기 수직측벽(112b)에 구비되고, 상기 피절단소재(S)의 측부에 밀착되며 상기 피절단소재(S)를 이송시키는 수직롤러(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실린더(112a)는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정렬하도록 미는 힘을 부가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수직측벽(112b)은 상기 정렬실린더(112a)에 의해서 상기 공급대(1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정렬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측벽(112b)에는 상기 피절단소재(S)의 훼손 없이 상기 피절단소재(S)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롤러(112c)가 구비된다.
즉, 상기 수직롤러(112c)는 상기 피절단소재(S)의 측부에 밀착되며, 상기 피절단소재(S)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상기 공급대(111)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수직롤러(112c)는 상기 피절단소재(S)를 상기 상부날(130) 및 하부날(140)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수직모터(112d)와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롤러(112c)는 상기 수직모터(112d)와 기어결합되어 상기 수직모터(112d)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상기 피절단소재(S)를 상기 상부날(130) 및 하부날(14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롤러(112c)가 상기 수직측벽(112b)에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모터(112d)와 연결되는 구동 수직롤러(112c)에서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해서, 다른 수직롤러(112c)인 수동 수직롤러(112c)들은 상기 구동 수직롤러(112c)와 체인 또는 기어벨트(112e)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기어벨트(112e)란 내측에 기어이가 형성된 벨트로써, 상기 수직롤러의 외면에 형성된 기어이와 기어결합되어 일측의 회전력을 타측으로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조정공급부(110)는, 일단부는 상기 정렬실린더(112a)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회전되게 상기 공급대(111)에 구비되어, 상기 정렬실린더(112a)를 상기 공급대(111)에 결합시키는 수직축(113) 및 상기 수직축(113)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수직축(113)을 회전시키는 방향조정모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정렬하여 상기 상부날(130) 및 하부날(140)로 공급하는 것은 물론, 상기 피절단소재(S)를 원하는 각도로 위치 변경하여 상기 상부날(130) 및 하부날(140)로 절단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시편(tp)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축(113)은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정렬하는 상기 정렬측대(112)에 결합되어 상기 정렬측대(112)를 일정 각도로 회신시켜 위치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축(113)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상기 방향조정모터(114)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방향조정모터(114)는 상기 수직축(113)과 기어결합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직축(113)의 외면에 형성된 기어이와 상기 방향조정모터(114)에 결합된 회전기어가 기어결합되어, 상기 방향조정모터(114)의 회전력을 상기 수직축(113)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시편보관부(120)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시편 가공장치에서 시편보관부(12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장치바디유닛(100)은, 배출되는 시편(tp)을 보관하는 시편보관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시편보관부(120)는, 상기 시편(tp)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상부날(130)과 하부날(140)보다 후행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시편(tp)이 인입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보관대(121) 및 상기 보관대(121) 내부에 구비되며, 지지스프링(122a)에 연계되어, 상기 보관대(121) 내부로 전달되는 시편(tp)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봉(1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시편보관부(120)는 상기 피절단소재(S)를 절단하여 가공된 시편(tp)을 수집하기 위해서, 보관대(121), 지지봉(122)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관대(121)는 상기 시편(tp)을 수용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지지봉(122)이 구비되어, 상기 시편(tp)을 훼손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보관대(121)는 상기 시편(tp)이 인입하는 개구가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봉(122)은 상기 보관대(121) 내부에 탄력적으로 구비되게 된다.
상기 지지봉(122)이 상기 보관대(121) 내부에 탄력적으로 구비되기 위해서, 상기 지지봉(122)은 지지스프링(122a)에 연계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122)은 상기 시편(tp)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상기 시편(tp)과의 접촉시에 상기 시편(tp)에 스크래치 등의 훼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시편(tp)과 접하는 상측 일단부에 안착볼(122b)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지지봉(122)은, 상기 시편(tp)과 접하는 일단부에 안착볼(122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가공장치의 상기 시편보관부(120)는, 상기 보관대(1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관대(121)의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122)이 관통되어 제공되는 보관함(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관함(123)은 상기 보관대(121)에 수집된 시편(tp)을 용이하게 외부로 다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시 말해, 상기 보관대(121) 내부에 상기 보관함(123)이 구비되어 상기 시편(tp)이 상기 보관함(123) 내부에 수집되면, 상기 보관함(123)을 상기 보관대(121)에서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관함(123)은 상기 보관대(121)의 개구를 통하여 상기 보관대(121) 내부에 구비되며, 이때 상기 지지봉(122)은 상기 보관함(123)을 관통하여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관함(123)의 상단부에는 상기 보관대(121)의 상단부에 걸리는 함손잡이가 구비되고, 이러한 함손잡이는 상기 보관대(121)에서 상기 보관함(123)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100: 장치바디유닛 110: 조정공급부
111: 공급대 112: 정렬측대
113: 수직축 114: 방향조정모터
120: 시편보관부 121: 보관대
122: 지지봉 123: 보관함
130: 상부날 140: 하부날
200: 고정유닛 210: 하부고정부
211: 지지대 212: 이동대
213: 하부완충스프링 220: 상부고정부
221: 결합대 222: 압착대
223: 상부완충스프링 224: 조정실린더

Claims (13)

  1. 시편으로 절단되는 피절단소재가 공급되며, 상기 피절단소재를 절단하는 상부날과 하부날이 구비되는 장치바디유닛; 및
    상기 장치바디유닛에 연계되어 결합되며, 상기 피절단소재의 절단시에 상기 피절단소재에 압착되어 상기 피절단소재를 고정하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장치바디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피절단소재가 안착되며,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하부고정부; 및
    상기 장치바디유닛에 결합되고,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되게 구비되며, 상기 피절단소재의 일면에 압착되는 상부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바디유닛은,
    배출되는 시편을 보관하는 시편보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시편보관부는,
    상기 시편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상부날과 하부날보다 후행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시편이 인입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보관대; 및
    상기 보관대 내부에 구비되며, 지지스프링에 연계되어, 상기 보관대 내부로 전달되는 시편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봉;
    을 포함하는 시편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는,
    상기 장치바디유닛에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피절단소재가 안착되며, 상기 지지대에 상하 이동되게 구비되는 이동대;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이동대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완충스프링;
    을 포함하는 시편 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에는, 상기 피절단소재가 안착되는 아이들롤러와, 상기 피절단소재가 절단되어 제공되는 시편을 이동시키는 구동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롤러에는 상기 시편과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외피 또는 마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상부날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상부날에 결합되는 결합대;
    상기 결합대에 상하 이동되게 구비되는 압착대; 및
    상기 결합대와 상기 압착대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완충스프링;
    을 포함하는 시편 가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는,
    상기 상부날에 결합되며, 신축하는 일단부에는 상기 결합대가 결합되어, 상기 결합대를 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정실린더;
    를 포함하는 시편 가공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대에는, 상기 피절단소재와 밀착되는 기름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기름롤러에는 유액홀이 형성되어 유성액체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가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바디유닛은,
    상기 피절단소재의 위치를 조정하여 공급하는 조정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공급부는,
    상기 피절단소재가 안착되어 제공되는 공급대; 및
    상기 공급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피절단소재를 타측으로 밀어서 정렬시키는 정렬측대;
    를 포함하는 시편 가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측대는,
    상기 공급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정렬실린더;
    상기 정렬실린더에 결합되어, 상기 공급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는 수직측벽; 및
    상기 수직측벽에 구비되고, 상기 피절단소재의 측부에 밀착되며 상기 피절단소재를 이송시키는 수직롤러;
    를 포함하는 시편 가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공급부는,
    일단부는 상기 정렬실린더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회전되게 상기 공급대에 구비되어, 상기 정렬실린더를 상기 공급대에 결합시키는 수직축; 및
    상기 수직축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수직축을 회전시키는 방향조정모터;
    를 포함하는 시편 가공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대는, 상기 피절단소재가 안착되는 일면에 구름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가공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시편과 접하는 일단부에 안착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 가공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보관부는,
    상기 보관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관대의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이 관통되어 제공되는 보관함;
    을 포함하는 시편 가공장치.
KR1020160063656A 2016-05-24 2016-05-24 시편 가공장치 KR101767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56A KR101767832B1 (ko) 2016-05-24 2016-05-24 시편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56A KR101767832B1 (ko) 2016-05-24 2016-05-24 시편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832B1 true KR101767832B1 (ko) 2017-08-14

Family

ID=6014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656A KR101767832B1 (ko) 2016-05-24 2016-05-24 시편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8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538B1 (ko) * 2017-09-01 2018-11-16 주식회사 포스코 추출 복재 시료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90050244A (ko)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가공 장치
KR102264666B1 (ko) * 2020-11-03 2021-06-14 대한민국 미세플라스틱 분석을 위한 시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10125128A (ko) * 2020-04-07 2021-10-18 (주)펨트론 리드탭 제작용 메탈 컷팅 장치
KR20210125129A (ko) * 2020-04-07 2021-10-18 (주)펨트론 메탈 컷팅 장치
KR20210125131A (ko) * 2020-04-07 2021-10-18 (주)펨트론 2열 리드탭 제작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016B1 (ko) * 2005-05-20 2006-03-17 주식회사 세원정공 자동차 문짝틀 소재 절단장치의 소재이송 및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016B1 (ko) * 2005-05-20 2006-03-17 주식회사 세원정공 자동차 문짝틀 소재 절단장치의 소재이송 및 지지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538B1 (ko) * 2017-09-01 2018-11-16 주식회사 포스코 추출 복재 시료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90050244A (ko)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가공 장치
KR20210125128A (ko) * 2020-04-07 2021-10-18 (주)펨트론 리드탭 제작용 메탈 컷팅 장치
KR20210125129A (ko) * 2020-04-07 2021-10-18 (주)펨트론 메탈 컷팅 장치
KR20210125131A (ko) * 2020-04-07 2021-10-18 (주)펨트론 2열 리드탭 제작 시스템
KR102415523B1 (ko) * 2020-04-07 2022-07-04 (주)펨트론 2열 리드탭 제작 시스템
KR102416147B1 (ko) * 2020-04-07 2022-07-06 (주)펨트론 리드탭 제작용 메탈 컷팅 장치
KR102421706B1 (ko) * 2020-04-07 2022-07-19 (주)펨트론 메탈 컷팅 장치
KR102264666B1 (ko) * 2020-11-03 2021-06-14 대한민국 미세플라스틱 분석을 위한 시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832B1 (ko) 시편 가공장치
CN1192841C (zh) 管子切割刀具
KR101497638B1 (ko) 이동식 용접 개선용 파이프 외경 면취기
KR101415939B1 (ko) 절단 길이의 조정이 가능한 컷팅기
CN108311892B (zh) 一种环形靠模锤子柄形状加工及抛光设备
CN111872485B (zh) 一种环形工件内孔倒角装置
CN210209374U (zh) 一种机械自动化加工用的冲孔打磨装置
KR20150078131A (ko) 금속판재 절단장치
CN110605571A (zh) 一种卡簧压装装置
CN108247511B (zh) 一种双靠模锤子柄加工及抛光设备
CN113500428A (zh) 一种坡口机
CN220438031U (zh) 水泥胶砂试块的抗折抗压装置
CN210818938U (zh) 一种双工位自动拉丝机
CN110280787A (zh) 用于多边形车削的可对接式自动化双主轴数控机床
KR20150018193A (ko) 널링공구대 이동형 소재 자동 널링 가공장치
KR101904395B1 (ko) 롤러형 밴딩 프레스장치
CN213915595U (zh) 一种自动折弯装置
CN214759501U (zh) 一种鞋底磨边机
KR101711035B1 (ko) 인발기용 강봉 낙하 완충장치
KR101026866B1 (ko) 종이 절단장치
US6988436B2 (en) Turret punch press
JP3161095U (ja) エッジトリミング装置
CN211894816U (zh) 一种橡胶循环上料装置
KR20120015645A (ko) 목기가공장치
KR102020436B1 (ko) 시편 가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