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892B1 -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892B1
KR101764892B1 KR1020170017381A KR20170017381A KR101764892B1 KR 101764892 B1 KR101764892 B1 KR 101764892B1 KR 1020170017381 A KR1020170017381 A KR 1020170017381A KR 20170017381 A KR20170017381 A KR 20170017381A KR 101764892 B1 KR101764892 B1 KR 101764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excavation
parking lot
cutting lin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찬
박도운
박병찬
Original Assignee
(주)마스엑스
박우찬
박도운
박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스엑스, 박우찬, 박도운, 박병찬 filed Critical (주)마스엑스
Priority to KR102017001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Making large underground spaces, e.g. for underground plants, e.g. stations of underground railways; Construction or layout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은, 지하암반의 일측면에 굴착영역을 다수 개 설정하고, 각각의 굴착영역의 하측에 기준공을 수평으로 굴착하는 제1 단계; 상기 굴착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굴착공을 수평방향으로 굴착하는 제2 단계; 이웃하는 두 개의 굴착공 사이를 와이어커터로 절삭하여, 상기 굴착영역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절삭라인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지하암반 중 상기 기준공과 절삭라인 사이에 발파공을 굴착한 후, 상기 발파공에 발파폭약을 설치하여 상기 기준공과 절삭라인 사이의 지하암반을 파쇄시킴으로써 주차공간을 확보하는 제4 단계; 이웃하는 두 개의 주차공간 사이의 지하암반에 다수 개의 개구부를 가공하여 다수 개의 기둥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 {Underground parking lot constructing method at rock field}
본 발명은 암반지대에 지하주차장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하암반의 일부를 지하주차장의 기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하암반을 굴착하는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서는 아파트나 고층빌딩이 널리 보급되어 인구밀집도가 현저히 높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별로 자동차를 적게는 한 대 많게는 두 세대씩 보유하고 있어, 주차난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즉, 지상 주차장만으로는 주차공간이 매우 부족하므로, 상기와 같이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건물의 지하에 주차장을 시공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지하주차장을 시공할 때에는, 먼저 지하 터파기를 하고 바닥에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콘크리트를 부어 일정 기간 동안 양생시킨 후,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다수개의 철근으로 기둥을 형성하고 다시 콘크리트를 철근 사이에 부어 천근 사이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다. 철근 사이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기둥 위에 골조물로 천장판을 시공한 후 다시 콘크리트를 부어 일정 기간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굳을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은 과정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양생을 위해 오랜 기간을 기다려야 하므로, 지하주차장 시공에 많은 기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지하가 암반인 경우에는 암반을 모두 깨어낸 후 상기 언급한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데, 지하주차장을 설치할 만큼 암반을 파쇄하여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지하주차장 시공 기간이 더욱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807395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지하의 암반을 모두 파쇄하여 제거하지 아니하고서도 지하주차장을 시공할 수 있고, 지하의 암반 일부를 지하주차장의 기둥으로 활용함으로써 지하주차장 시공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지하주차장의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은, 지하암반의 일측면에 굴착영역을 다수 개 설정하고, 각각의 굴착영역의 하측에 기준공을 수평으로 굴착하는 제1 단계; 상기 굴착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굴착공을 수평방향으로 굴착하는 제2 단계; 이웃하는 두 개의 굴착공 사이를 와이어커터로 절삭하여, 상기 굴착영역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절삭라인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지하암반 중 상기 기준공과 절삭라인 사이에 발파공을 굴착한 후, 상기 발파공에 발파폭약을 설치하여 상기 기준공과 절삭라인 사이의 지하암반을 파쇄시킴으로써 주차공간을 확보하는 제4 단계; 이웃하는 두 개의 주차공간 사이의 지하암반에 다수 개의 개구부를 가공하여 다수 개의 기둥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기둥의 외측면에 부착되되 상부가 상기 주차공간의 천정면에 밀착되고 하부가 상기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보강판을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5 단계는, 이웃하는 두 개의 주차공간 사이의 지하암반에 수직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타설공을 굴착한 후, 상기 타설공에 복수 개의 철근을 삽입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굴착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외측굴착공을 굴착하는 과정과, 상기 굴착영역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되 상기 외측굴착공의 배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 개의 내측굴착공을 굴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외측굴착공이 일렬로 연결되도록 외측절삭라인을 형성하는 과정과, 복수 개의 내측굴착공이 일렬로 연결되도록 내측절삭라인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발파공 굴착 이전에 상기 외측절삭라인과 상기 내측절삭라인 사이의 지하암반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지하암반을 모두 제거하지 아니하고 지하주차장을 시공할 수 있어 지하주차장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지하암반 일부를 기둥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건축자재 절감 및 공기단축이 가능해지며, 기후에 큰 영향을 받지 아니하면서 자연재해에 안전한 지하주차장을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기둥에 보강판이 추가로 설치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기둥에 철근과 콘크리트가 매립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은 암반 지대에 지하주차장을 시공하기 위한 공법으로서, 지하암반(10)을 모두 제거한 후 지하주차장을 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암반(10) 중 일부만을 굴착하여 지하암반(10)의 나머지 일부를 기둥(30)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 기후변화나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암반(10)의 일측면에 굴착영역(200)을 다수 개 설정하고 각각의 굴착영역(200)의 하측에 기준공(100)을 수평으로 굴착한다. 이때, 이웃하는 두 개의 굴착영역(200) 사이에 존재하는 지하암반(10)은 향후 기둥(30) 역할을 하게 되는 부위로서, 상기 복수 개의 굴착영역(200)은 최종적으로 형성될 기둥(30)의 규격에 맞춰 상호 이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굴착영역(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지하암반(10)은 향후 주차장의 천정역할을 하게 되는 부위로서,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지하암반(10)의 강성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상기 기준공(100)은 암반용 드릴이나 굴착기 등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암반용 드릴이나 굴착기는 본원발명이 해당하는 분야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건설장비이므로, 상기 기준공(100)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준공(100)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영역(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굴착공(300)을 수평방향(더 명확하게는 기준공(100)과 평행한 방향)으로 굴착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굴착공(300) 사이를 절삭하여 상기 굴착영역(200)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절삭라인(400)을 형성한다.
이때, 두 개의 굴착공(300) 사이를 절삭할 때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와이어커터(5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터(500)는, 굴착공(3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막대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진입대(510)와, 상기 한 쌍의 진입대(510) 선단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520)와, 상기 한 쌍의 진입대(510) 후단과 연결되되 상기 진입대(510)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레일(530)과, 상기 가이드레일(530)을 따라 왕복 이송 가능한 주행부(540)와, 상기 주행부(54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동롤러(550)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520)와 상기 구동롤러(550)에 걸쳐지도록 장착되어 상기 구동롤러(550) 회전 시 이송되는 절삭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진입대(510)가 이웃하는 두 개의 굴착공(300)에 삽입된 후 상기 주행부(54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구동롤러(550)가 회전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롤러(520) 사이의 절삭와이어가 당겨짐과 동시에 회전하므로 지하암반(10)을 절삭하게 된다. 절삭와이어가 최대한 당겨지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롤러(520) 사이의 절삭와이어가 수직을 이루도록 긴장되는바, 이웃하는 두 개의 굴착공(300) 사이의 지하암반(10)은 완전히 커팅된다. 이와 같은 와이어커터(500)는 종래의 암벽굴착기(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49328호)에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와이어커터(500)의 내부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와이어커터(500)로 한 쌍의 굴착공(300) 사이의 지하암반(10)을 절단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한 쌍의 굴착공(300) 사이의 지하암반(10) 절삭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와이어커터(500)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커팅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굴착영역(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삭라인(400)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공(100)과 절삭라인(400) 사이에 위치하는 지하암반(10)에 발파공(600)을 굴착한 후, 상기 발파공(600)에 발파폭약을 설치하여 기준공(100)과 절삭라인(400) 사이의 지하암반(10)을 파쇄시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공간(20)을 확보한다.
이때, 상기 기준공(100)은 폭약발파에 의해 파쇄된 지하암반(10)이 아래로 무너질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준공(100)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파쇄된 지하암반(10)이 아래로 무너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공(100)은 일정 수준 이상의 크기를 갖도록 굴착되어야 하는데, 상기 기준공(100)을 크게 굴착하기 위해서는 굴착이 어려워지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상기 기준공(100)의 크기는 굴착영역(200)의 크기나 지하암반(10)의 특성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웃하는 두 개의 주차공간(20) 사이로 차량이 지날 수 있도록, 이웃하는 두 개의 주차공간(20) 사이의 지하암반(10)에는 다수 개의 개구부를 가공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는 종래의 암반용 드릴이나 굴착기 등 다양한 종류의 굴착장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개의 주차공간(20) 사이의 지하암반(10)에 다수 개의 개구부가 가공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개의 주차공간(20) 사이에 잔존하는 지하암반(10)은 기둥(30)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을 이용하면, 기둥(30)을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시공이 필요치 아니하므로 지하주차장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지하암반(10) 일부를 기둥(30)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건축자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하암반(10)은 외기를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지하암반(10) 내부에 형성된 주차공간(20)은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즉, 겨울철에는 주차공간(20)의 온도가 지상보다 높고 여름철에는 주차공간(20)의 온도가 지상보다 낮으므로, 주차공간(20)의 냉난방을 위한 에너지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주차공간(20)의 사방이 지하암반(10)으로 둘러싸이도록 구성되면, 상기 주차공간(20)이 하나의 벙커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장점 즉, 산사태나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되었을 때 대피소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0은 기둥(30)에 보강판(700)이 추가로 설치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암반은 압축강도는 높지만 휨강도는 비교적 낮다는 물질적 특성이 있는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공간(20)의 천정이 다수 개의 기둥(30)에 의해서만 지지되면 상기 주차공간(20)의 천정에 수평방향의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기둥(30)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은, 상기 기둥(30)의 휨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기둥(30)에 보강판(700)을 추가로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7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30)의 외측면에 부착되되 주차공간(20)의 천정면에 밀착되도록 절곡된 상단지지부(710)와 주차공간(2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절곡된 하단지지부(7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기둥(30)에 보강판(700)이 추가로 설치되면, 상기 기둥(30)은 압축강도와 휨강도가 모두 높아지므로, 주차공간(20)의 안정성이 현저히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판(700)은 기둥(30)의 휨강도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면 철강이나 FRP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기둥(30)에 철근(810)과 콘크리트(820)가 매립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보강판(700)을 설치하지 아니하고서도 기둥(30)의 휨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은, 주차공간(20) 확보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개의 주차공간(20) 사이의 지하암반(10)에 수직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타설공(40)을 굴착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설공(40)에 복수 개의 철근(810)을 삽입시킨 후 콘크리트(820)를 타설함으로써, 상기 기둥(3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둥(30)의 내부에 철근(810)과 콘크리트(820)가 시공되면, 상기 기둥(30)은 철근(810)에 의해 휨강성이 보강되고 콘크리트(820)에 의해 압축강도가 더욱 보강되므로, 주차공간(20)을 더욱 튼튼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기둥(30)의 전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타설공(40)은 주차공간(20)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점까지 깊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타설공(40)에 2개의 철근(810)이 매립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철근(810)의 개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개의 굴착공(300)을 연결하는 절삭라인(400)은 두께가 매우 얇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파폭약으로 기준공(100)과 절삭라인(400) 사이의 지하암반(10)을 파쇄시킬 때 폭약의 발파압력이 주차공간(20)의 기둥(30)과 천정에 인가되어 상기 기둥(30)과 천정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지하주차장 시공방법은, 기준공(100)과 절삭라인(400) 사이의 지하암반(10)을 발파폭약으로 파쇄시킬 때, 폭약의 발파압력이 주차공간(20)의 기둥(30)이나 천정에 인가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지하암반(10)에 굴착공(300)을 굴착할 때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착영역(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외측굴착공(310)을 굴착하고 상기 굴착영역(200)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되 상기 외측굴착공(310)의 배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 개의 내측굴착공(320)을 굴착하며, 지하암반(10)을 절삭할 때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외측굴착공(310)이 일렬로 연결되도록 외측절삭라인(410)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내측굴착공(320)이 일렬로 연결되도록 내측절삭라인(4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삭라인(400)이 2열로 형성되면, 발파공(600) 굴착 이전에 상기 외측절삭라인(410)과 내측절삭라인(420) 사이의 지하암반(10)을 제거함으로써, 발파폭약에 의해 파쇄될 부위와 파쇄되지 아니할 부위(더 명확하게는 주차공간(20)의 기둥(30)과 천정부위) 사이의 이격공간(50)이 매우 넓게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외측절삭라인(410)과 내측절삭라인(420) 사이의 지하암반(10)은 별도의 드릴이나 굴착기에 의해 파쇄된 후 제거되거나, 석재용 절삭휠에 의해 절삭된 후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발파폭약에 의해 파쇄될 부위와 파쇄되지 아니할 부위의 이격공간(50)이 넓어지면, 폭약의 발파압력이 주차공간(20)의 기둥(30)과 천정부위까지는 크게 전달되지 아니하는바, 상기 주차공간(20)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발파폭약의 발파압력이 주차공간(20)의 바닥면으로 직접 전달되지 아니하도록, 발파폭약에 의해 파쇄될 부위는 별도의 스페이서(60)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지하암반 20 : 주차공간
30 : 기둥 40 : 타설공
100 : 기준공 200 : 굴착영역
300 : 굴착공 310 : 외측굴착공
320 : 내측굴착공 400 : 절삭라인
410 : 외측절삭라인 420 : 내측절삭라인
500 : 와이어커터 510 : 진입대
520 : 가이드롤러 530 : 가이드레일
540 : 주행부 550 : 구동롤러
600 : 발파공 700 : 보강판
710 : 상단지지부 720 : 하단지지부
810 : 철근 820 : 콘크리트

Claims (4)

  1. 지하암반(10)의 일측면에 굴착영역(200)을 다수 개 설정하고, 각각의 굴착영역(200)의 하측에 기준공(100)을 수평으로 굴착하는 제1 단계;
    상기 굴착영역(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굴착공(300)을 수평방향으로 굴착하는 제2 단계;
    이웃하는 두 개의 굴착공(300) 사이를 와이어커터(500)로 절삭하여, 상기 굴착영역(200)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절삭라인(400)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지하암반(10) 중 상기 기준공(100)과 절삭라인(400) 사이에 발파공(600)을 굴착한 후, 상기 발파공(600)에 발파폭약을 설치하여 상기 기준공(100)과 절삭라인(400) 사이의 지하암반(10)을 파쇄시킴으로써 주차공간(20)을 확보하는 제4 단계;
    이웃하는 두 개의 주차공간(20) 사이의 지하암반(10)에 다수 개의 개구부를 가공하여 다수 개의 기둥(30)을 형성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굴착영역(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외측굴착공(310)을 굴착하는 과정과, 상기 굴착영역(200)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되 상기 외측굴착공(310)의 배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다수 개의 내측굴착공(320)을 굴착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외측굴착공(310)이 일렬로 연결되도록 외측절삭라인(410)을 형성하는 과정과, 복수 개의 내측굴착공(320)이 일렬로 연결되도록 내측절삭라인(42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발파공(600) 굴착 이전에 상기 외측절삭라인(410)과 상기 내측절삭라인(420) 사이의 지하암반(10)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기둥(30)의 외측면에 부착되되 상부가 상기 주차공간(20)의 천정면에 밀착되고 하부가 상기 주차공간(20)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보강판(700)을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이웃하는 두 개의 주차공간(20) 사이의 지하암반(10)에 수직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타설공(40)을 굴착한 후, 상기 타설공(40)에 복수 개의 철근(810)을 삽입시키고 콘크리트(820)를 타설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
  4. 삭제
KR1020170017381A 2017-02-08 2017-02-08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 KR101764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381A KR101764892B1 (ko) 2017-02-08 2017-02-08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381A KR101764892B1 (ko) 2017-02-08 2017-02-08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892B1 true KR101764892B1 (ko) 2017-08-04

Family

ID=5965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381A KR101764892B1 (ko) 2017-02-08 2017-02-08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8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81B1 (ko) * 2014-12-17 2016-06-27 연 근 박 암반을 이용한 납골당용 공동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81B1 (ko) * 2014-12-17 2016-06-27 연 근 박 암반을 이용한 납골당용 공동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599B1 (ko) 가설흙막이 구조물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JP6274406B2 (ja) 既存地下躯体の解体を伴う新設地下躯体の施工方法
CN104652839B (zh) 一种降低钢筋混凝土框架结构高度的方法
KR101109520B1 (ko)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JP6543176B2 (ja) 躯体構築方法
JP2007308995A (ja) アンダーパスの施工方法およびアンダーパス
JP2009235809A (ja) 基礎杭を有する地下構造物の解体撤去工法
JP2012097416A (ja)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KR100978097B1 (ko) 비파괴 기초 보강구조 및 이의 보강방법
KR101764892B1 (ko) 암반지대에서의 지하주차장 시공방법
KR101974183B1 (ko) 근접병설터널 시공방법
JP5356780B2 (ja) 構造物及び構造物の施工方法並びに設計方法
KR100898969B1 (ko) 쉬트 파일을 이용한 터널 굴착 공법 및 이에 의한 터널구조물
CN111042104A (zh) 在既有地下结构处施工地连墙的方法
JP2007046343A (ja) 既存建物の直下地盤の液状化防止工法
JP2000179161A (ja) 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JP4228308B2 (ja) 既存床の補強工法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JP2013155592A (ja) 境界近接地中コンクリート構築体の解体工法
JP4789549B2 (ja) 既存建物の建替工法
JP4481882B2 (ja) 建築物の無型枠基礎構造体
KR101091081B1 (ko) 양방향 터널 굴착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형성된 양방향 터널
JP6543177B2 (ja) 躯体構築方法
JP3930358B2 (ja) トンネルの構築方法
JP2005307688A (ja) 新設地下躯体用の山留壁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利用した新設躯体の構築方法
JP2002302939A (ja) 連続地中壁の打ち継ぎ部用スペー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