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727B1 -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727B1
KR101763727B1 KR1020170017327A KR20170017327A KR101763727B1 KR 101763727 B1 KR101763727 B1 KR 101763727B1 KR 1020170017327 A KR1020170017327 A KR 1020170017327A KR 20170017327 A KR20170017327 A KR 20170017327A KR 101763727 B1 KR101763727 B1 KR 101763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workpieces
fixing block
teeth
blad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7001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톱니(Saw-teeth)가 구비된 블레이드와, 일단에 복수의 톱니가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블레이드가 고정 결합되는 블레이드 고정 블록 및 일측 또는 내부에 블레이드 고정 블록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을 포함하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은, 복수의 톱니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소재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소재의 일측에 맞닿은 상태에서,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이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고, 블레이드는, 복수의 톱니 중 제1 소재의 일측에 맞닿은 적어도 하나의 톱니에 의해 제1 소재의 일측을 복수의 소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Separator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workpie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소재로부터 최상단에 위치하는 소재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복수의 소재 각각의 이송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창고(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는 컴퓨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관리되도록 설계된 창고로서, 소재, 자재, 물품 등(이하, "소재"라고 한다)이 보관되는 각각의 창고 선반에 부여된 주소(고유 번호)를 컴퓨터가 기억하고, 이에 따라 소재를 분류하고 이에 따라 입고 및 출고를 관리한다.
이러한 자동 창고는 각각의 창고 선반에 소재를 넣거나 보관 중인 소재를 꺼내기 위해 레일 위를 이동 가능하게 제작된 지게차, 크레인 등을 이용하는데, 자동 창고에서 소재를 입출고할 때에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속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소재 이송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소재 이송 장치는 일정 위치에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로부터 최상단에 위치하는 소재만 최초 위치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는 것으로, 진공 흡착 등으로 소재를 픽업하는 픽앤플레이스 장치와, 픽앤플레이스 장치를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소재 이송 장치는 진공 흡착 등의 픽앤플레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로부터 최상단에 위치한 소재만 픽업할 때에, 1 개의 소재만 픽업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소재가 겹쳐진 상태로 픽업되는 경우가 많아, 소재의 이송이 정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하로 적층된 소재가 철판(Steel plate), 스테인리스 판(Stainless plate) 등의 다수의 금속 판인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소재 이송 장치는 철판(Steel plate), 스테인리스 판(Stainless plate) 등 금속 판의 모서리 부분에 별도의 진공 흡착 장치나 자성체(Magnet)를 이용하여 인접한 2 개의 금속 판을 서로 분리시키는 구조를 구비하고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진공 흡착 또는 자력에 의한 금속 판의 분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재 이송 장치가 진공 흡착 장치나 자성체(Magnet)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소재 이송 장치 전체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크기가 대형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복수의 소재로부터 최상단에 위치하는 소재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복수의 소재 각각의 이송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재 이송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경사지게 배치된 블레이드가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에 접촉할 때에 상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소재로부터 최상단에 위치하는 소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소재 각각의 이송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톱니(Saw-teeth)가 구비된 블레이드와, 일단에 상기 복수의 톱니가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가 고정 결합되는 블레이드 고정 블록 및 일측 또는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은, 상기 복수의 톱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의 소재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소재의 일측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이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복수의 톱니 중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에 맞닿은 적어도 하나의 톱니에 의해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을 상기 복수의 소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은, 상기 블레이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양측에 한 쌍의 힌지 홀이 형성된 블록 몸체 및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의 타단을 상기 한 쌍의 힌지 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은, 상기 블록 몸체의 개구된 일측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1 회전 멈춤단 및 상기 블록 몸체의 개구된 일측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2 회전 멈춤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은, 상기 블록 몸체의 개구된 일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에 맞닿은 적어도 하나의 톱니에 의해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이 상기 복수의 소재로부터 분리될 때에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재 분리기는, 양단이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과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이 회전할 때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소재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소재의 일측을 상기 복수의 소재로부터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소재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 구동부와, 상기 복수의 소재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소재를 진공 흡착 또는 파지하거나, 제2 위치에서 상기 소재에 대한 진공 흡착을 해제 또는 파지 해제하는 소재 픽업부 및 상기 소재 픽업부에 연결되며, 상기 소재 픽업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소재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는 각각, 상기 복수의 소재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톱니(Saw-teeth)가 구비된 블레이드와, 일단에 상기 복수의 톱니가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가 고정 결합되는 블레이드 고정 블록 및 일측 또는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은, 상기 복수의 톱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이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복수의 톱니 중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에 맞닿은 적어도 하나의 톱니에 의해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을 상기 복수의 소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 구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 각각을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평 구동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수평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수평 구동부를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평 구동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수평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수평 구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수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는, 상기 복수의 소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소재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경사지게 배치된 블레이드가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에 접촉할 때에 상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소재로부터 최상단에 위치하는 소재의 일측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소재 각각의 이송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톱니에 의해 최상단에 위치하는 소재의 일측이 복수의 소재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복수의 소재 각각에 대한 분리 작업을 오동작 없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경사지게 배치된 블레이드가 구비된 소재 분리기를 복수의 소재 양측에 한 쌍을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소재 각각에 대한 분리 작업을 오동작 없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소재 분리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소재 분리기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가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소재 분리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100)는, 블레이드(110),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 및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100)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W)로부터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소재(W1)의 일측을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재(Workpiece)(W)는 철판(Steel plate), 스테인리스 판(Stainless plate) 등의 금속 판은 물론, 플라스틱 판(Plastic plate) 등과 같이 얇은 형상을 가지고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모든 종류의 소재(W)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10)는 얇은 두께를 가지고 길게 형성되며, 일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톱니(Saw-teeth)(11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톱니(111)는 인접한 두 변이 일정한 각도 θ(대략 60도)를 이루는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톱니(111)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W) 각각의 두께(t)에 대응하도록 일정한 간격(d)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복수의 톱니(111)가 동일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복수의 톱니(111) 사이의 간격, 배치 형태 등은 복수의 소재(W) 각각의 두께, 적층 형태 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은 블레이드(110)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톱니(111)가 복수의 소재(W)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일단에 블레이드(11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블레이드(110)가 우측 방향을 향해 이동하여 제1 소재(W1)를 상부 방향으로 분리하는 예에서, 복수의 톱니(111)가 블레이드(110)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좌측 하단에서 우측 상단으로 배치되도록 블레이드(110)가 결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은 일단에 블레이드(110)가 경사지게 결합되도록 결합단(121a)이 형성되고, 타단에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 샤프트(132)가 삽입되는 삽입 홀(121b)가 형성된 제1 고정 몸체(121)와, 나사,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10)를 제1 고정 몸체(121)의 결합단(121a)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 몸체(122)로 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은 일측 또는 내부에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블록 몸체(131)와,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을 블록 몸체(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샤프트(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록 몸체(131)는 블레이드(1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소재(W)를 향하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수용 공간(13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록 몸체(131)는 수용 공간(131a)의 양측에 수용 공간(131a)과 연통하도록 한 쌍의 힌지 홀(131b)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샤프트(132)는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의 타단을 한 쌍의 힌지 홀(131b)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데,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을 구성하는 제1 고정 몸체(121)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 홀(121b)과, 블록 몸체(131)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 홀(131b)에 삽입될 수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힌지 샤프트(132)는 삽입 홀(121b)에 고정되고 한 쌍의 힌지 홀(131b)에 부싱(Bushing), 베어링(Bearing)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힌지 샤프트(132)는 삽입 홀(121b)에 부싱(Bushing), 베어링(Bearing)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힌지 홀(131b)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100)는 복수의 톱니(111)가 형성되고 경사지게 배치된 블레이드(110)가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W)에 접촉할 때에 상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소재(W)로부터 최상단에 위치하는 소재(W)의 일측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소재(W) 각각의 이송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서는 소재 분리기(100)가 복수의 소재(W)를 향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4의 (b)에서는 소재 분리기(100)의 블레이드(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톱니(111)가 복수의 소재(W)에 접촉할 ‹š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4의 (c)에서는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이 회전하여 복수의 톱니(111)가 제1 소재(W1)의 일측을 복수의 소재(W)로부터 분리시키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은 복수의 톱니(111)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소재(W)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소재(W1)의 일측에 접촉할 때까지 복수의 소재(W)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블레이드(110)가 경사지게 결합된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은 초기 위치(도 4의 (a)에서, 수평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은 상태이며,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의 높이는 복수의 소재(W)가 적층된 상태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톱니(111)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소재(W)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소재(W1)의 일측에 맞닿은 상태에서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이 복수의 소재(W)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은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블레이드(110)는 복수의 톱니(111) 중 제1 소재(W1)의 일측에 맞닿은 적어도 하나의 톱니(111)에 의해 제1 소재(W1)의 일측을 복수의 소재(W)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100)의 변형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소재 분리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은, 도 2에 도시된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과는 달리,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록 몸체(131)가 제1 블록 몸체(131A)와 제2 블록 몸체(131B)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 몸체(131A)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수용 공간(131a)이 형성되고, 일측에 수용 공간(131a)과 연통하도록 제1 힌지 홀(131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블록 몸체(131B)는 제1 블록 몸체(131A)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나사,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1 블록 몸체(131A)와 결합될 때에 힌지 샤프트(13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힌지 홀(131b)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힌지 홀(131c)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을 구성하는 블록 몸체(131)는 복수의 소재(W)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일측에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의 회전 각도를 상하로 제한하기 위해 제1 회전 멈춤단(133)과 제2 회전 멈춤단(13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멈춤단(133)은 블록 몸체(131)(도 5의 예에서는, 제1 블록 몸체(131A))의 개구된 일측 하단에 형성되며,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의 일측 하단에 맞닿아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 멈춤단(134)은 블록 몸체(131)(도 5의 예에서는, 제1 블록 몸체(131A))의 개구된 일측 상단에 형성되며,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의 일측 상단에 맞닿아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제1 회전 멈춤단(133)이 수용 공간의 하단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제2 회전 멈춤단(134)이 개구된 일측 상단에 경사지게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회전 멈춤단(133) 및 제2 회전 멈춤단(134)의 위치 및 형상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100)를 구성하는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은 고정 블록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1 회전 멈춤단(133)과 제2 회전 멈춤단(134)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소재(W)로부터 최상단에 위치하는 소재(W)의 일측을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소재 분리기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은, 도 2에 도시된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과는 달리, 블록 몸체(131)가 공기(A)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홀(135)은 블록 몸체(131)의 개구된 일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소재(W1)의 일측에 맞닿은 적어도 하나의 톱니(111)에 의해 제1 소재(W1)의 일측이 복수의 소재(W)로부터 분리될 때에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A)를 복수의 소재(W)를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몸체(131)에 형성된 관통 홀(135)은, 블레이드(110)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111)가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소재(W1)의 일측을 복수의 소재(W)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제1 소재(W1)와 나머지 복수의 소재(W) 사이에 공기(A)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소재(W1)의 일측은 복수의 톱니(111) 이외에 공기(A)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블록 몸체(131)의 개구된 일측 양 쪽에 2 개의 관통 홀(135)이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 홀(135)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100)는 복수의 톱니(111)에 의해 최상단에 위치하는 소재(W)의 일측이 복수의 소재(W)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공기(A)를 분사함으로써, 복수의 소재(W) 각각에 대한 분리 작업을 오동작 없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가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때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소재 분리기(100)는, 도 2에 도시된 소재 분리기(100)와는 달리,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에 연결된 탄성 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140)는 양단이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과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에 각각 연결되며,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이 회전할 때에 복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40)는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또는, 인장 스프링) 형태의 제1 탄성 부재(141)와, 힌지 샤프트(132)를 감싸고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 또는 블레이드(110) 회전 지지블록에 설치되는 회전 스프링 형태의 제2 탄성 부재(14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압축 스프링(또는, 인장 스프링) 형태의 제1 탄성 부재(141)와 회전 스프링 형태의 제2 탄성 부재(142)를 모두 구비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탄성 부재(141) 또는 제2 탄성 부재(142)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100)는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이 회전할 때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140)를 더 포함함으로써,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100)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1)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100)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100),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 구동부(200), 소재 픽업부(300) 및 소재 이송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재 분리기(100)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W)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소재(W)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소재(W1)의 일측을 복수의 소재(W)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소재 분리기(100)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소재(W)와 인접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소재(W)를 구성하는 4 개의 모서리 중 마주보는 2 개의 모서리의 양 끝단에 4 개의 소재 분리기(100)가 배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소재 분리기(100)의 개수, 배치 형태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소재 분리기(100)는 블레이드(110), 블레이드 고정 블록(120) 및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소재 분리기 구동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100)에 연결되며, 복수의 소재(W)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소재 분리기 구동부(200)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0 및 도 11에서는 복수의 소재(W)를 사이에 두고 각각 2 개의 소재 분리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해 복수의 소재(W) 양측에 한 쌍의 소재 분리기 구동부(200)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소재 분리기 구동부(200)의 개수, 배치 형태 등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분리기 구동부(200)는 각각의 소재 분리기(100)를 3축 방향(도 10의 예에서, ±X 방향, ±Y 방향, ±Z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제1 수평 구동부(210), 제2 수평 구동부(220) 및 수직 구동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를 구성하는 소재 분리 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 구동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100) 각각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100) 각각을 복수의 소재(W)를 향하는 방향, 즉, 소재(W)의 길이 방향(도 10의 예에서, ±X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평 구동부(210)는 소재(W)의 길이에 따라 소재 분리기(100)를 이동시켜 소재(W)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소재 분리기(100)의 초기 위치를 결정한 후, 복수의 소재(W)로부터 제1 소재(W1)의 일측을 분리시키기 위해 소재(W)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재 분리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 구동부(21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등의 제1 액츄에이터(211), 제1 액츄에이터(211)에 연결되고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볼 스크류(Ball screw)(도시되지 않음)와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 제1 동력 전달 부재(212), 일단에 소재 분리기(100)가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동력 전달 부재(212)에 결합되는 제1 이동 블록(2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평 구동부(210)는 소재 분리기(100)의 개수, 배치 형태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소재(W)의 폭 방향(도 10의 예에서, ±Y 방향)을 따라 양 끝단에 2 개의 제1 수평 구동부(210)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수평 구동부(210)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소재(W)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제2 수평 구동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평 구동부(210)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수평 구동부(210)를 복수의 소재(W)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소재(W)의 폭 방향(도 10의 예에서, ±Y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평 구동부(220)는 소재(W)의 폭에 따라 소재 분리기(100)가 연결된 제1 수평 구동부(210)를 이동시켜 소재 분리기(100)의 초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평 구동부(22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액츄에이터(221), 제2 액츄에이터(221)에 연결되고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제2 동력 전달 부재(222), 일단에 제1 수평 구동부(210)가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동력 전달 부재(222)에 결합되는 제2 이동 블록(2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평 구동부(220)는 소재 분리기(100), 제1 수평 구동부(210)의 개수, 배치 형태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소재(W)의 폭 방향(도 10의 예에서, ±Y 방향)을 따라 양 끝단에 위치하는 2 개의 제1 수평 구동부(210)에 각각 2 개의 제2 수평 구동부(220)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수평 구동부(220)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소재(W)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수직 구동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평 구동부(220)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수평 구동부(220)를 상하 방향(도 10의 예에서, ±Z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수직 구동부(230)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W)의 위치 및 높이에 따라 소재 분리기(100) 및 제1 수평 구동부(210)가 연결된 제2 수평 구동부(220)를 이동시켜 소재 분리기(100)의 초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구동부(23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 액츄에이터(231), 제3 액츄에이터(231)에 연결되고 회전 구동력을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제3 동력 전달 부재(232),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수평 구동부(220)가 결합되고 타단은 제3 동력 전달 부재(232)에 결합되는 제3 이동 블록(2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구동부(230)는 소재 분리기(100), 제1 수평 구동부(210) 및 제2 수평 구동부(220)의 개수, 배치 형태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2 개의 제2 수평 구동부(220)에 동시에 연결되는 1 개의 수직 구동부(230)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수직 구동부(230)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소재(W)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다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소재 픽업부(300)는 복수의 소재(W)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며, 제1 위치(도 10의 I)에서 복수의 소재(W)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소재(W1)를 진공 흡착 또는 파지하거나, 제1 위치에서 떨어진 제2 위치(도시되지 않음)에서 소재(W)에 대한 진공 흡착을 해제 또는 파지 해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픽업부(300)는 진공 흡착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재 픽업부(300)는 외부에 구비된 진공 펌프 등과 같은 진공 발생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진공압을 제공 받아 소재(W)의 표면을 진공 흡착하거나 진공 흡착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픽업부(300)는 복수의 소재(W) 각각의 크기, 종류 등에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흡착 헤드(310), 복수의 흡착 헤드(310)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흡착 헤드(310)는 진공압에 의해 소재(W)를 흡착하기 위한 진공 패드(Vacuum pad)(311)와, 진공 패드(311)가 소재(W)에 맞닿을 때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스프링 등의 완충 부재(31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재(W)를 진공 흡착하는 예를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재(W)를 진공 흡착하는 대신 각각의 소재(W)를 그리퍼(Gripper)(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파지하여 이송하거나 파지 해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그리퍼는 소재(W)를 파지할 때에 소재(W)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재(W)와 맞닿는 부분은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소재 이송부(400)는 소재 픽업부(300)에 연결되며, 소재 픽업부(300)를 제1 위치(도 10의 I)에서 제2 위치(도시되지 않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소재 이송부(400)는 소재 픽업부(300)를 3축 방향(도 10의 예에서, ±X 방향, ±Y 방향, ±Z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액츄에이터, 리니어 모션 가이드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100)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1)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100)는, 복수의 소재(W)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소재(W)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소재 분리기(100A, 100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복수의 소재(W)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소재 분리기(100A, 100B)를 구동시키기 위한 소재 분리기 구동부(200A, 200B)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복수의 소재(W)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소재(W) 일측(도 13의 예에서, 좌측)에 배치된 제1 소재 분리기(100A)가 제1 소재 분리기 구동부(200A)에 의해 복수의 소재(W)를 향하는 방향(도 10의 예에서, +X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소재(W1)의 일측이 제1 블레이드(110)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톱니(111)에 의해 회전하여 분리되지 않고 제1 소재 분리기(100A)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밀리는 경우에도, 복수의 소재(W) 타측(도 13의 예에서, 우측)에 배치된 제2 소재 분리기(100B)가 제2 소재 분리기 구동부(200B)에 의해 복수의 소재(W)를 향하는 방향(도 10의 예에서, -X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2 블레이드(110)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톱니(111)에 의해 제1 소재(W1)의 타측이 회전하여 복수의 소재(W)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분리기(100)는 복수의 톱니(111)가 형성되고 경사지게 배치된 블레이드(110)가 구비된 소재 분리기(100)를 복수의 소재(W) 양측에 한 쌍을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소재(W) 각각에 대한 분리 작업을 오동작 없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재 이송 장치 W: 소재
100: 소재 분리기 110: 블레이드
120: 블레이드 고정 블록 130: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
140: 탄성 부재
200: 소재 분리기 구동부 210: 제1 수평 구동부
220: 제2 수평 구동부 230: 수직 구동부

Claims (8)

  1.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톱니(Saw-teeth)가 구비된 블레이드;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일단에 상기 복수의 톱니가 상기 복수의 소재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가 고정 결합되는 블레이드 고정 블록; 및
    일측 또는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은,
    상기 복수의 톱니가 상기 복수의 소재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이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복수의 톱니가 상기 복수의 소재에 대해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톱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의 소재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소재의 일측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이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 소재가 분리되는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복수의 톱니 중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에 맞닿은 적어도 하나의 톱니에 의해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을 상기 복수의 소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분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은,
    상기 블레이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양측에 한 쌍의 힌지 홀이 형성된 블록 몸체; 및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의 타단을 상기 한 쌍의 힌지 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분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은,
    상기 블록 몸체의 개구된 일측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1 회전 멈춤단; 및
    상기 블록 몸체의 개구된 일측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2 회전 멈춤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분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은,
    상기 블록 몸체의 개구된 일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에 맞닿은 적어도 하나의 톱니에 의해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이 상기 복수의 소재로부터 분리될 때에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분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분리기는,
    양단이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과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이 회전할 때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분리기.
  6.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소재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소재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소재의 일측을 상기 복수의 소재로부터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소재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 구동부;
    상기 복수의 소재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소재를 진공 흡착 또는 파지하거나, 제2 위치에서 상기 소재에 대한 진공 흡착을 해제 또는 파지 해제하는 소재 픽업부; 및
    상기 소재 픽업부에 연결되며, 상기 소재 픽업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소재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는 각각,
    상기 복수의 소재 각각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톱니(Saw-teeth)가 구비된 블레이드;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일단에 상기 복수의 톱니가 상기 복수의 소재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블레이드가 고정 결합되는 블레이드 고정 블록; 및
    일측 또는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은,
    상기 복수의 톱니가 상기 복수의 소재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이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복수의 톱니가 상기 복수의 소재에 대해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톱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회전 지지 블록이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 소재가 분리되는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고정 블록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복수의 톱니 중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에 맞닿은 적어도 하나의 톱니에 의해 상기 제1 소재의 일측을 상기 복수의 소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분리기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 구동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 각각을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수평 구동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수평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수평 구동부를 상기 복수의 소재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수평 구동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수평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수평 구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수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분리기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재 분리기는,
    상기 복수의 소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소재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분리기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
KR1020170017327A 2017-02-08 2017-02-08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 KR101763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327A KR101763727B1 (ko) 2017-02-08 2017-02-08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327A KR101763727B1 (ko) 2017-02-08 2017-02-08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727B1 true KR101763727B1 (ko) 2017-08-01

Family

ID=5965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327A KR101763727B1 (ko) 2017-02-08 2017-02-08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610A (ko) * 2018-07-04 2020-01-14 (주)일지테크 디스태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525A (ja) * 1999-04-30 2000-11-14 Koyabe Seiki:Kk フィーダーに於ける吊上時の金属板分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525A (ja) * 1999-04-30 2000-11-14 Koyabe Seiki:Kk フィーダーに於ける吊上時の金属板分離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610A (ko) * 2018-07-04 2020-01-14 (주)일지테크 디스태커
KR102148121B1 (ko) * 2018-07-04 2020-08-27 (주)일지테크 디스태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7250B2 (ja) 板材搬送装置
US9278513B2 (en) Sheet material adhesive agent application method
JPH10267128A (ja) Oリング自動装着装置
US9004848B2 (en) Feeding device
JP2013123788A (ja) ワーク作業システム
CN109896297B (zh) 自动供料系统
US20230066277A1 (en) Goods box take-out mechanism, device, and method, and transport robot
KR101763727B1 (ko)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
KR20040068878A (ko) 기판 캐리어를 정지시키기 위한 오버헤드 전달 플랜지 및지지체
JP7037922B2 (ja) 供給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ロボットシステム
CN214217410U (zh) 一种取放装置及加工设备
CN113371471A (zh) 用于码垛包装箱体的码垛装置和码垛系统
CN112110189B (zh) 夹取物料传输机构
KR20140061279A (ko) 기판 반송용 핸드 및 기판 반송 방법
CN212634948U (zh) 微动开关端子自动装配装置
CN210025341U (zh) 一种端拾器
KR100999383B1 (ko) 플로팅 유닛 및 이 플로팅 유닛을 구비한 물품 지지 장치
KR19980063635A (ko) Ic리드 프레임 가공시스템
CN216004474U (zh) 用于码垛包装箱体的码垛装置和码垛系统
CN111710100B (zh) 一种自动售货机及其使用方法
CN220787486U (zh) 一种丝印加工的下料装置
JP5369746B2 (ja) 搬送装置システム
CN211365833U (zh) 仓储取物装置和仓储管理系统
CN111318798B (zh) 一种电源模块的感应焊接生产线
CN217263241U (zh) 磁性件组合摆放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