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610A - 디스태커 - Google Patents

디스태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610A
KR20200004610A KR1020180077698A KR20180077698A KR20200004610A KR 20200004610 A KR20200004610 A KR 20200004610A KR 1020180077698 A KR1020180077698 A KR 1020180077698A KR 20180077698 A KR20180077698 A KR 20180077698A KR 20200004610 A KR20200004610 A KR 20200004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se
moving
shanghai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121B1 (ko
Inventor
구준모
홍영표
엄귀록
이경원
Original Assignee
(주)일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지테크 filed Critical (주)일지테크
Priority to KR102018007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1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4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태커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는 상하이동부와, 상하이동부에 장착되고 비철소재를 낱장 분리시키는 분리부와, 상하이동부에 장착되고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를 받쳐주는 삽입부와,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를 흡착하여 이동하는 흡착부와, 상하이동부와 분리부와 삽입부와 흡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비철소재를 낱장 분리 후 목적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태커{DESTACKER}
본 발명은 디스태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틱을 사용하지 않고 적층된 복수개의 비철소재에 대하여 낱장 분리가 가능한 디스태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가공, 제조 공정 등에서는 1차 공정에서 2차 공정으로의 공급 등과 같이 소재를 운반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소재를 운반하는 과정은 작업속도에도 영향을 끼치므로 작업효율의 증대를 위해 트랜스퍼 로봇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트랜스퍼 로봇은 공정에 필요한 기계의 특성에 따라, 수직 이동 공정(승강 이동 공정), 수평 이동 공정 및 회전 이동 공정 등을 포함하며, 한 공정에 필요한 소재를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운반해야 한다.
이와 같은 소재의 운반 즉 이송장치로는 디스태커(Destacker)가 있고, 이러한 디스태커(Destacker)는 자석 등으로 된 흡착부재를 본체에 상하 자유롭게 유도하도록 부착하고, 이 흡착부재를 이용하여 적재된 케이스를 하나씩 흡착하여 들어 올린 후, 가공장치로 운송하는 흡착기능을 갖는 이송장치를 가리킨다.
그러나, 종래에는 적층된 비금속 소재 사이에 방청을 위한 오일이나 온도에 따른 수분이 발생하므로, 비금속 소재에 대한 흡착 및 낱장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5299호(2017.05.08. 등록, 발명의 명칭 : 디스태커)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마그네틱을 사용하지 않고 적층된 복수개의 비철소재에 대하여 낱장 분리가 가능한 디스태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태커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는 상하이동부; 상기 상하이동부에 장착되고, 비철소재를 낱장 분리시키는 분리부; 상기 상하이동부에 장착되고, 낱장 분리된 상기 비철소재를 받쳐주는 삽입부; 낱장 분리된 상기 비철소재를 흡착하여 이동하는 흡착부; 및 상기 상하이동부와, 상기 분리부와, 상기 삽입부와, 상기 흡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수평판부; 상기 베이스수평판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는 베이스수직판부; 상기 베이스수평판부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베이스바퀴부; 및 상기 베이스수평판부를 고정시키는 베이스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동나사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나사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이동막대부; 상기 이동나사부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동모터부; 및 상기 이동나사부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이동나사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이동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비철소재의 높이를 감지하는 이동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상기 이동모터부가 구동되어 상기 이동판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상하이동부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분리조절부; 및 상기 분리조절부에 형성되어 경사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층된 상기 비철소재를 낱장 분리시키는 분리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걸림부는 상기 분리조절부에 결합되어 경사 이동되는 걸림판부; 및 상기 걸림판부의 저면에 형성되고, 톱니 형상을 하여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상기 비철소재를 낱장 분리시키는 걸림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하이동부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삽입조절부; 및 상기 삽입조절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에 의해 낱장 분리된 상기 비철소재와 적층된 상기 비철소재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태커는 분리부가 적층된 비철소재를 낱장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태커는 삽입부가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를 받쳐주어 비철소재의 낱장 분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태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태커가 비철소재를 낱장 분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태커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태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태커(1)는 베이스부(10)와, 상하이동부(20)와, 분리부(30)와, 삽입부(40)와, 흡착부(50)와,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지지되어 진동 또는 유동이 제한된다. 일 예로, 베이스부(1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 외, 베이스부(10)는 목적지로 이동되고, 이동이 완료되면 지면에 안착되어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하이동부(20)는 베이스부(10)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된다. 이러한 상하이동부(20)는 분리부(30)와 삽입부(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분리부(30)는 상하이동부(20)에 장착되고, 비철소재(100)를 낱장 분리시킨다. 일 예로, 분리부(30)는 적층된 비철소재(100) 중에서 최고지점에 위치되는 비철소재(100)를 들어 올려 낱장으로 분리할 수 있다.
삽입부(40)는 상하이동부(20)에 장착되고,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100)를 받쳐준다. 일 예로, 삽입부(40)는 분리부(30)에 의해 들어 올려진 비철소재(100)와 적층된 비철소재(100) 사이에 삽입되어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100)를 받쳐줄 수 있다.
흡착부(50)는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100)를 흡착하여 목적지로 이동한다. 일 예로, 흡착부(50)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고, 흡입력에 의해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100)를 흡착한 후 목적지로 이동하는 로봇이 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상하이동부(20)와, 분리부(30)와, 삽입부(40)와, 흡착부(50)를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60)의 제어로 상하이동부(20)가 상하 이동되어 비철소재(100)와 대응되는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의 제어로 분리부(30)와 삽입부(40)가 순차로 작동되어 비철소재(100)에 대한 낱장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의 제어로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100)는 흡착부(50)에 흡착되어 목적지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는 베이스수평판부(11)와, 베이스수직판부(12)와, 베이스바퀴부(13)와, 베이스고정부(14)를 포함한다.
베이스수평판부(11)는 상하로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베이스수직판부(12)는 상하단부가 베이스수평판부(11)에 결합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는다.
베이스바퀴부(13)는 베이스수평판부(11)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하다. 일 예로, 베이스바퀴부(13)는 베이스수평판부(11)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베이스부(10) 자체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베이스고정부(14)는 베이스수평판부(11)를 고정시킨다. 일 예로, 베이스고정부(14)는 베이스수평판부(11)에 장착되고, 지면과 밀착되어 베이스부(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 외, 베이스고정부(14)는 베이스바퀴부(13)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부(20)는 이동나사부(21)와, 이동막대부(22)와, 이동모터부(23)와, 이동판부(24)를 포함한다.
이동나사부(21)는 베이스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일 예로, 이동나사부(21)는 상하단부가 베이스수평판부(11)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동막대부(22)는 베이스부(10)에 장착되고, 이동나사부(2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 이동막대부(22)는 상하단부가 베이스수평판부(11)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동모터부(23)는 이동나사부(21)에 연결되고, 이동나사부(21)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일 예로, 이동모터부(23)는 베이스수평판부(11)의 상측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이동나사부(21)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될 수 있으며, 이동모터부(23)의 축방향으로 이동나사부(2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동판부(24)는 이동나사부(21)와 나사 결합되고, 이동나사부(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일 예로, 이동나사부(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판부(24)는 이동막대부(22)에 안내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부(20)는 이동감지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감지부(25)는 이동판부(24)에 형성되고, 비철소재(100)의 높이를 감지한다. 일 예로, 이동감지부(25)는 이동판부(24)의 단부에 형성되고, 적층된 비철소재(100)에 대하여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되돌아오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비철소재(100)의 실시간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동감지부(25)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60)의 제어로 이동모터부(23)가 구동되어 이동판부(24)의 높이가 조절된다. 일 예로, 제어부(60)의 제어로 이동모터부(23)가 구동됨으로써, 분리부(30)와 삽입부(40)가 작업이 가능하도록 이동판부(24)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30)는 분리조절부(31)와 분리걸림부(32)를 포함한다.
분리조절부(31)는 상하이동부(20)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된다. 일 예로, 분리조절부(31)는 자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실린더가 될 수 있으며, 이동판부(24)에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분리조절부(31)는 이동판부(24)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별도의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분리걸림부(32)는 분리조절부(31)에 형성되어 경사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층된 비철소재(100)를 낱장 분리시킨다. 일 예로, 분리걸림부(32)는 걸림판부(321)와 걸림돌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판부(321)는 분리조절부(31)의 단부에 결합되어 경사 이동될 수 있다. 걸림돌기부(322)는 걸림판부(321)의 저면에 형성되고, 톱니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부(322)는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비철소재(100)에 걸려 적층된 비철소재(100)의 최상단부를 낱장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40)는 삽입조절부(41)와 삽입막대부(42)를 포함한다.
삽입조절부(41)는 상하이동부(20)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된다. 일 예로, 삽입조절부(41)는 자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실린더가 될 수 있으며, 이동판부(24)의 상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삽입막대부(42)는 삽입조절부(41)에 형성되고, 분리부(30)에 의해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100)와 적층된 비철소재(100) 사이로 삽입된다. 일 예로, 삽입막대부(42)는 삽입조절부(41)의 단부에 결합되고,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형상을 하여 비철소재(100) 사이로 삽입될 때 비철소재(100)와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 삽입부(40)는 삽입완충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완충부(43)는 삽입막대부(42)를 커버하되, 완충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낙하되는 비철소재(100)의 충격을 흡수하고 비철소재(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태커가 비철소재를 낱장 분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디스태커(1)가 비철소재(100)를 낱장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감지부(25)가 적층된 비철소재(100)의 최고점을 감지하여 제어부(60)에 전송하면, 제어부(60)의 제어로 이동모터부(23)가 구동되어 이동판부(24)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동판부(24)가 적층된 비철소재(100)의 최고점과 대응되는 높이로 이동되면, 제어부(60)의 제어로 분리조절부(31)의 길이가 줄어들어 분리걸림부(32)가 비철소재(10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최고점에 위치되는 비철소재(100)를 들어올린다.
분리조절부(31)의 줄어들면, 제어부(60)의 제어로 삽입조절부(41)의 길이가 늘어나, 삽입막대부(42)가 적층된 비철소재(100)와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100) 사이로 삽입된다.
삽입막대부(42)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어부(60)의 제어로 분리조절부(31)의 길이가 늘어나 비철소재(100)와 이격된다. 이로 인해,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100)가 삽입막대부(42)에 안착된다.
이때, 분리조절부(31)는 자체 회전되면서 길이가 늘어나므로, 분리걸림부(32)와 비철소재(10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100)가 삽입막대부(42)에 안착되면, 제어부(60)의 제어로 흡착부(50)가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100)를 흡착하여 목적지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태커(1)는 분리부(30)가 적층된 비철소재(100)를 낱장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태커(1)는 삽입부(40)가 낱장 분리된 비철소재(100)를 받쳐주어 비철소재(100)의 낱장 분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부 11 : 베이스수평판부
12 : 베이스수직판부 13 : 베이스바퀴부
14 : 베이스고정부 20 : 상하이동부
21 : 이동나사부 22 : 이동막대부
23 : 이동모터부 24 : 이동판부
25 : 이동감지부 30 : 분리부
31 : 분리조절부 32 : 분리걸림부
40 : 삽입부 41 : 삽입조절부
42 : 삽입막대부 50 : 흡착부
60 : 제어부 100 : 비철소재

Claims (7)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는 상하이동부;
    상기 상하이동부에 장착되고, 비철소재를 낱장 분리시키는 분리부;
    상기 상하이동부에 장착되고, 낱장 분리된 상기 비철소재를 받쳐주는 삽입부;
    낱장 분리된 상기 비철소재를 흡착하여 이동하는 흡착부; 및
    상기 상하이동부와, 상기 분리부와, 상기 삽입부와, 상기 흡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태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수평판부;
    상기 베이스수평판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길이를 갖는 베이스수직판부;
    상기 베이스수평판부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베이스바퀴부; 및
    상기 베이스수평판부를 고정시키는 베이스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태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동나사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나사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이동막대부;
    상기 이동나사부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동모터부; 및
    상기 이동나사부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이동나사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태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이동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비철소재의 높이를 감지하는 이동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상기 이동모터부가 구동되어 상기 이동판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태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상하이동부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분리조절부; 및
    상기 분리조절부에 형성되어 경사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적층된 상기 비철소재를 낱장 분리시키는 분리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태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걸림부는
    상기 분리조절부에 결합되어 경사 이동되는 걸림판부; 및
    상기 걸림판부의 저면에 형성되고, 톱니 형상을 하여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상기 비철소재를 낱장 분리시키는 걸림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태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하이동부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삽입조절부; 및
    상기 삽입조절부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에 의해 낱장 분리된 상기 비철소재와 적층된 상기 비철소재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태커.
KR1020180077698A 2018-07-04 2018-07-04 디스태커 KR102148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698A KR102148121B1 (ko) 2018-07-04 2018-07-04 디스태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698A KR102148121B1 (ko) 2018-07-04 2018-07-04 디스태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610A true KR20200004610A (ko) 2020-01-14
KR102148121B1 KR102148121B1 (ko) 2020-08-27

Family

ID=6915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698A KR102148121B1 (ko) 2018-07-04 2018-07-04 디스태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1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6946A (zh) * 2020-09-23 2021-03-12 宁波韵升粘结磁体有限公司 一种充磁磁钢自动注塑的方法
EP4143114A4 (en) * 2020-04-26 2024-01-03 Abb Schweiz Ag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OBJEC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500B1 (ko) * 2005-11-25 2007-02-12 주식회사 이큐스팜 기판의 자동 언로딩 장치
KR20170069132A (ko) * 2015-12-10 2017-06-20 박재홍 지류 분리장치
KR101763727B1 (ko) * 2017-02-08 2017-08-01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500B1 (ko) * 2005-11-25 2007-02-12 주식회사 이큐스팜 기판의 자동 언로딩 장치
KR20170069132A (ko) * 2015-12-10 2017-06-20 박재홍 지류 분리장치
KR101763727B1 (ko) * 2017-02-08 2017-08-01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소재 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 이송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3114A4 (en) * 2020-04-26 2024-01-03 Abb Schweiz Ag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OBJECTS
CN112476946A (zh) * 2020-09-23 2021-03-12 宁波韵升粘结磁体有限公司 一种充磁磁钢自动注塑的方法
CN112476946B (zh) * 2020-09-23 2022-06-21 宁波韵升粘结磁体有限公司 一种充磁磁钢自动注塑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121B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98894B (zh) 一种可翻转箱体的抓取机械手
KR20200004610A (ko) 디스태커
CA27337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and attaching corrective elements for unbalance correction, in particular in a balancing machine
CN106426151B (zh) 一种z轴行走机构及带有重力平衡机构的机械手
US20200030869A1 (en) Eddy current separation of blanks for the automated destacking of aluminum sheet
CN111003517A (zh) 一种磁力下料装置
JP2020512195A (ja) センタリング装置
CN220200707U (zh) 一种便于调节的码垛机
KR101253876B1 (ko) 벨트컨베이어 장치
CN112824063A (zh) 工件取出装置
CN107234470A (zh) 一种旋转定位装置
KR101553810B1 (ko) 자동 이송장치
CN111605783A (zh) 机械爪以及包装机
JP6792526B2 (ja) 走行台車
CN208556848U (zh) 一种圆锯片自动上料分片装置
CN114988110A (zh) 码垛机器人
JP2016023045A (ja) ワーク搬送方法及びワーク搬送システム
CN215973643U (zh) 尼龙板材供料机构
KR101776580B1 (ko) 목재 적재 장치
CN211944950U (zh) 一种磁力下料装置
CN107150276A (zh) 一种实木门门芯板抛光设备的出料装置
KR102620874B1 (ko) 소재분리장치
KR102606293B1 (ko) 물품 이송장치
CN206742413U (zh) 新能源汽车组装电池成套涂胶设备的堆叠装置
KR101109752B1 (ko) 턴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