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730B1 -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 Google Patents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1730B1 KR101761730B1 KR1020160125406A KR20160125406A KR101761730B1 KR 101761730 B1 KR101761730 B1 KR 101761730B1 KR 1020160125406 A KR1020160125406 A KR 1020160125406A KR 20160125406 A KR20160125406 A KR 20160125406A KR 101761730 B1 KR101761730 B1 KR 1017617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vertical
- hook
- longitudinal direction
- scaffol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폭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발판 본체와, 상기 발판 본체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구성된 절곡 결합판과,상기 양측 절곡 결합판 중 일측 절곡 결합판의 수직판 폭방향 양측으로 구성된 걸고리 개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 공사에서 사용되는 비계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는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에 관한 것이다.
삭제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은 통상적으로 비계라고도 불리며, 건축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 가설물을 말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이동 및 자재 운반 또는 확업공간의 확보를 위해 설치된다. 건축 공사용 비계발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주와, 상기 수평지주를 다층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수평지주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지주와, 상기 수평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다.
상기한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을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면을 참조하면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은 직사각형 판재로 형성된 발판 본체(10)와, 상기 발판 본체의 양단부에 수평지주의 세로 골조(3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10a)가 돌출 형성되어, 수평지주의 세로 골조(30)에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의 걸고리(10a)를 걸어 세로 골조와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이 결합된다.
이러한 종래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은 수평지주의 가로 골조(40)와 발판 본체(10)의 유격 및 세로 골조에 단순히 걸리기만 할 뿐 고정되지 못하는 걸고리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도면상 우측에 위치한 발판 본체(10') 및 걸고리(10'a)는 전면 방향으로 이동되고, 도면상 좌측에 위치한 발판 본체(10") 및 걸고리(10"a)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상기한 걸고리(10a)는 지면 방향으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작업중 걸고리(10a)와 세로 골조(30)가 분리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걸고리와 세로 골조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630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은 걸고리의 개방된 방향과 대칭되는 방향에서 세로 골조를 걸어 발판 본체를 고정하는 걸고리개폐구를 형성하여 세로 골조와 걸고리가 분리되는 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은 비계발판의 분해를 위해 걸고리개폐구를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자중에 의해 다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세로 골조에 걸고리개폐구가 걸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비계발판의 분해 조립을 불편하고 힘들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앞서 제시한 발판 본체와 가로 골조의 유격으로 인한 발판 본체의 위치가 이동하는 문제와 함께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계발판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과 세로 골조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고리 개폐부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개폐 작동을 명확하게 하여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폭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발판 본체와, 상기 발판 본체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구성된 절곡 결합판과,상기 양측 절곡 결합판 중 일측 절곡 결합판의 수직판 폭방향 양측으로 구성된 걸고리 개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발판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절곡 결합판의 상부에 각 발판 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절곡 결합판이 겹쳐지고, 제2 절곡 결합판의 수직 결합홈에 절곡 결합판의 수직 결합편이 접속되어 비계발판의 위치 이동이 방지된다. 이러한 작용은 건축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안전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고리 개폐부의 구조가 단순하고 걸고리의 개폐 작동이 명확하게 이루어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
도 7는 종래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
도 7는 종래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이 후 설명에서 길이방향, 폭방향, 길이방향 내측, 길이방향 외측, 폭방향 외측, 폭방향 내측은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폭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발판 본체(100)와, 상기 발판 본체(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구성된 절곡 결합판(200)과, 상기 양측 절곡 결합판(200) 중 일측 절곡 결합판(200)의 수직판(210) 폭방향 양측으로 구성된 걸고리 개폐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판 본체(100)는 판재로 형성되고, 표면에 수개의 배수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 사이에는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공(111)이 형성된다.
절곡 결합판은 발판 본체(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형성된 수직판(210)과 상기 수직판(210)의 상단부에서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수평판(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판(210)은 판재로 형성되고, 발판 본체(10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수직판(210)의 폭방향 양측에는 관통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11)은 아래에서 설명될 걸고리(410)가 접속된다.
상기 수평판(220)은 판재로 형성되고, 수직판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수평판(220)의 폭방향 외측 양쪽 단부에는 절개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절개부(221) 폭 방향 내측에는 수평판(220)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수직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직 결합편(222)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 결합편(222)의 길이방향 내측에는 수평판(220) 일부와 수직판(210)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수직 결합홈(223)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 결합편(222)의 중심과 수직 결합편(222)의 중심은 길이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한다.
걸고리 개폐부(400)는 걸고리 지지구(420)와, 걸고리(41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걸고리 지지구(420)는 수직판(210)의 양측 관통공(211)에서 길이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고리 지지구(420)는 2개의 지지구 측면판(421)과, 상기 지지구 측면판(421)의 저면에 형성된 바닥판(422)과, 상기 지지구 측면판(421)의 길이방향 내측 단부에 형성된 지지구 후면판(4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구 후면판(423)에는 관통 형성된 작동공(424)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424)의 상부에는 스토퍼(425)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을 상부에서 보았을 때, 걸고리 개폐부(400)는 절개부(221)를 통해 걸고리(410)의 걸림턱(411)이 보이는 곳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걸고리 개폐부(400)의 위치는 작업자가 절개부(221)를 통해 걸고리의 개방 작용 또는 폐쇄작용을 발판 본체(100) 상부에서도 쉽게 확인하고, 걸고리(410)의 개방 작용 또는 폐쇄작용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작동공(424)에는 걸고리(410)가 접속된다. 상기 걸고리(410)는 길이방향 외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411)과, 상기 걸림턱(411)의 길이방향 내측에 형성되되 수직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이탈방지턱(412)과, 상기 제1 이탈방지턱(412)의 길이방향 내측에 형성되되 수직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이탈방지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이탈방지턱(413)은 지지구 후면판(423)의 길이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제1 이탈방지턱(412)은 걸고리 지지구(420) 내부에 위치하며, 걸림턱(411)은 관통공(211)을 관통하여 수직판(210)의 길이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측 비계발판(A)과 우측 비계발판(B)을 구별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은 좌측 비계발판(A)의 일측 절곡 결합판(200)이 우측 비계발판(B)의 타측 절곡 결합판(200)과 겹쳐지고, 좌측 비계발판(A)의 일측 수직 결합편(222)이 우측 비계발판(B)의 타측 수직 결합홈(223)에 접속 결합된다. 이러한 접속 결합은 각 비계발판 사이의 견고한 결합으로 이어져 가로 골조(510) 사이에서 비계발판의 위치가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개방부(221)를 통해 걸고리(410)의 현재 상태, 즉 현재 걸고리(410)가 개방 작용 중인지 폐쇄 작용 중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개방부(221)통해 작업자가 발판 본체 위에서도 걸고리(410)를 쉽게 이동시켜 작업용 안전 발판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 개폐부(400)의 걸림턱(411)은 가로 골조(510)의 하측에 걸리면서 폐쇄 작용을 하여 비계발판과 가로 골조(510)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한 폐쇄 작용에서 걸고리(410)의 제2 이탈방지턱(413)은 스토퍼(425)에 닿아 이동을 중지하며 폐쇄 작용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걸고리(410)가 일측으로 이동하며 비계발판과 가로 골조(510)가 분리될 수 있도록 개방 작용을 할 때에는 걸고리의 제1 이탈방지턱(412)이 스토퍼(425) 닿으면서 일측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개방 작용을 할 때에는 걸고리(410)의 자중에 의해 걸고리의 제1 이탈방지턱 쪽 부분이 지면 쪽으로 하강하고, 걸림턱(411) 부분은 반대로 상측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걸고리(410)의 개방 작용은 작업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걸고리가 개방 또는 폐쇄 작용을 하게 되는 종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발판 본체 110: 배수홈
111: 돌출홈 200: 절곡 결합판
210: 수직판 211: 관통공
220: 수평판 221: 절개부
222: 수직 결합편 223: 수직 결합홈
400: 걸고리 개폐부 410: 걸고리
411: 걸림턱 412: 제1 이탈방지턱
413: 제2 이탈방지턱 420: 걸고리 지지구
421: 지지구 측면판 422: 바닥판
423: 지지구 후면 수직판 424: 작동공
425: 스토퍼 510: 가로 골조
520: 세로 골조
111: 돌출홈 200: 절곡 결합판
210: 수직판 211: 관통공
220: 수평판 221: 절개부
222: 수직 결합편 223: 수직 결합홈
400: 걸고리 개폐부 410: 걸고리
411: 걸림턱 412: 제1 이탈방지턱
413: 제2 이탈방지턱 420: 걸고리 지지구
421: 지지구 측면판 422: 바닥판
423: 지지구 후면 수직판 424: 작동공
425: 스토퍼 510: 가로 골조
520: 세로 골조
Claims (4)
-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폭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발판 본체(100)와,
상기 발판 본체(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구성된 절곡 결합판(200)과,
상기 절곡 결합판(200)의 수직판(210) 폭방향 양측으로 구성된 걸고리 개폐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걸고리 개폐부(400)는 양측 절곡 결합판(200) 중 일측 절곡 결합판(200)의 폭 방향 양측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걸고리 개폐부(400)는 걸고리 지지구(420)와 걸고리(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걸고리 지지구(420)는 수직판(210)의 양측 관통공(211)에서 길이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걸고리 지지구(420)의 폭방향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구 측면판(421)과, 상기 지지구 측면판(421)의 저면에 형성된 바닥판(422)과, 상기 지지구 측면판(421)의 길이방향 내측 단부에 형성된 지지구 후면판(423)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구 후면판(423)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작동공(424)과, 상기 작동공(424)의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425)를 포함하며,
상기 걸고리(410)는 걸고리 지지구(420)의 작동공(424) 및 일측 절곡 결합판(200)의 관통공(211)에 접속되되,
관통공(211)을 통해 절곡 결합판(20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411)과, 상기 걸림턱(411)의 길이방향 내측에 형성되되 수직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이탈방지턱(412)과, 상기 제1 이탈방지턱(412)의 길이방향 내측에 형성되되 수직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이탈방지턱(413)으로 이루어진 걸고리(410)를 포함하고,
상기 걸고리(410)가 길이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개방 작용을 할 때에는 제1 이탈방지턱(412)이 스토퍼(425)에 접촉되고, 자중에 의해 제2 이탈방지턱(413)은 수직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며, 걸림턱(411)은 수직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탈방지턱(413)의 시소 작용에 의해 수직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 제1항에 있어서,
절곡 결합판(200)은 발판 본체(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판(210)과, 상기 수직판(210)의 상단에서 길이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수평판(2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판(210)은 폭 방향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걸고리(410)가 접속되는 관통공(211)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판(220)은 폭방향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개부(221)와, 상기 양측 절개부(221)의 폭방향 내측에서 수직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 결합편(222)과, 상기 수직 결합편(222)의 길이방향 내측에 구성되되, 수평판(220) 일부와 수직판(210)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수직 결합홈(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5406A KR101761730B1 (ko) | 2016-09-29 | 2016-09-29 |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5406A KR101761730B1 (ko) | 2016-09-29 | 2016-09-29 |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1730B1 true KR101761730B1 (ko) | 2017-08-04 |
Family
ID=5965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5406A KR101761730B1 (ko) | 2016-09-29 | 2016-09-29 |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1730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7824A (ko) | 2019-04-03 | 2020-10-14 | 공연호 |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
KR20200132280A (ko) | 2019-05-16 | 2020-11-25 | 한은석 | 복수개의 발판 본체가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부 고정축이 설치된 작업 발판 |
KR20200136162A (ko) | 2019-05-27 | 2020-12-07 | 송유진 | 건축 공사용 발판 조립체 |
KR20220000101U (ko) * | 2020-07-02 | 2022-01-11 | (주) 제이엠비 | 비계발판용 체결구 |
KR102531411B1 (ko) * | 2022-06-30 | 2023-05-12 | 엘코산업 주식회사 | 건축용 안전발판 |
KR102531412B1 (ko) * | 2022-06-30 | 2023-05-12 | 엘코산업 주식회사 | 건축용 안전발판 |
KR102591224B1 (ko) | 2023-05-08 | 2023-10-20 | (주)대산이엔지 | 회피형 공간 구조를 갖는 비계 발판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36350A (ja) * | 2002-07-08 | 2004-02-05 | Tatsuo Ono | 足場板 |
KR101211037B1 (ko) * | 2011-10-26 | 2012-12-11 | 한국가설산업(주) |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
KR200476580Y1 (ko) * | 2013-10-25 | 2015-03-12 | 주식회사 신영스틸 | 비계발판 |
-
2016
- 2016-09-29 KR KR1020160125406A patent/KR1017617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36350A (ja) * | 2002-07-08 | 2004-02-05 | Tatsuo Ono | 足場板 |
KR101211037B1 (ko) * | 2011-10-26 | 2012-12-11 | 한국가설산업(주) |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
KR200476580Y1 (ko) * | 2013-10-25 | 2015-03-12 | 주식회사 신영스틸 | 비계발판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7824A (ko) | 2019-04-03 | 2020-10-14 | 공연호 |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
KR20200132280A (ko) | 2019-05-16 | 2020-11-25 | 한은석 | 복수개의 발판 본체가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부 고정축이 설치된 작업 발판 |
KR20200136162A (ko) | 2019-05-27 | 2020-12-07 | 송유진 | 건축 공사용 발판 조립체 |
KR20220000101U (ko) * | 2020-07-02 | 2022-01-11 | (주) 제이엠비 | 비계발판용 체결구 |
KR200495306Y1 (ko) * | 2020-07-02 | 2022-04-26 | (주) 제이엠비 | 비계발판용 체결구 |
KR102531411B1 (ko) * | 2022-06-30 | 2023-05-12 | 엘코산업 주식회사 | 건축용 안전발판 |
KR102531412B1 (ko) * | 2022-06-30 | 2023-05-12 | 엘코산업 주식회사 | 건축용 안전발판 |
KR102591224B1 (ko) | 2023-05-08 | 2023-10-20 | (주)대산이엔지 | 회피형 공간 구조를 갖는 비계 발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1730B1 (ko) |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 |
KR101846471B1 (ko) | 건축 비계용 틈새막이판 | |
KR101680968B1 (ko) | 갱폼 하부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 |
KR20170035530A (ko) | 접이식 발판사다리 | |
KR200478630Y1 (ko) |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 |
KR101884465B1 (ko) | 비계용 발판 | |
KR100728668B1 (ko) | 비계용 발판 | |
KR101699425B1 (ko) | 비계용 안전발판 | |
KR20180046603A (ko) | 비계형성용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작업용 발판거치대 | |
KR102167622B1 (ko) | 달비계용 틈새막이 안전발판 | |
KR200490525Y1 (ko) | 콘크리트형틀 버팀대 지지구 | |
KR102033553B1 (ko) | 방충망 이탈 방지재 | |
JP2007046382A (ja) | 仮設足場用手摺り | |
JP2002161635A (ja) | 足場板 | |
JP2002174026A (ja) | 足場板隙間カバー | |
KR20180013643A (ko) | 갱폼 클라이밍 장치 | |
KR102012555B1 (ko) | 건축용 가설구조물의 안전발판 | |
JP2016148182A (ja) | 仮設足場用補強材 | |
JPH0941658A (ja) | 足場板 | |
JP2002161636A (ja) | 足場板 | |
KR102328361B1 (ko) |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완강기 설치구조 | |
KR20200036123A (ko) | 안전 사다리 | |
JP3943391B2 (ja) | 枠組足場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 | |
KR200480447Y1 (ko) | 연결강화형 작업발판 | |
JPH07207923A (ja) | 枠組足場の端部枠用手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