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411B1 - 건축용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건축용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411B1
KR102531411B1 KR1020220080442A KR20220080442A KR102531411B1 KR 102531411 B1 KR102531411 B1 KR 102531411B1 KR 1020220080442 A KR1020220080442 A KR 1020220080442A KR 20220080442 A KR20220080442 A KR 20220080442A KR 102531411 B1 KR102531411 B1 KR 10253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pipe
scaffolding
pipes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현
김숙영
김미소
임정호
Original Assignee
엘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코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0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에 거치하여 고정하는 중에 파이프의 하부를 감싸도록 된 보조고정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여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도록;
길이를 가지며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된 '판(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발판본체와; 상기 발판본체의 양단에 구비되며 가설구조물의 파이프에 상부에 걸쳐지면서 지지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발판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의 하부 일측부위를 지지하는 보조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보조고정수단은, 상기 파이프가 진입시에는 상기 파이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발판본체의 내측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하부걸림체와, 상기 파이프의 진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걸림체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파이프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된 복귀탄성체와, 상기 발판본체에 구비되며 하부걸림체의 직선이동경로를 안내하도록 된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안전발판{A construction safety scaffold}
본 발명은, 건축공사시에 작업자가 보행 및 작업하도록 시설되는 것으로, 안전발판들의 연결부위 및 가로바와의 고정부위가 외부에 대하여 차폐되어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건축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파이프에 거치하여 고정하는 중에 파이프의 하부를 감싸도록 된 보조고정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여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된 건축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안전발판은 건축공사장, 토목공사장 또는 일반산업현장 등의 높은 곳에서 인부들이 디디고 작업하거나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해 놓는 가설 발판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분야에서는 안전발판 및 이를 설치하기 위한 바(bar)를 포함하여 비계라고 일컫는다.
상기 바는 가로바와 세로바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발판은, 상기 가로바의 상부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디딜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건축시 필수적으로 구비해야하는 물품이다.
이러한 안전발판은, 필수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부가적으로 설치 및 해체의 용이성, 물류의 용이성 등이 요구된다.
한편, 상기 안전발판은 통상 30 ~ 50cm의 폭을 가지며 기다란 판형상으로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곳곳에 요철부가 형성되며, 설치작업성을 위한 곳곳에 구멍이 뚫려져 경량화 및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양쪽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되어 건물 등의 외벽에 설치되는 가로바에 거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리는 후크형태로 되어 있으며, 하나의 안전발판의 각 모서리에 총 4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가설구조물의 바(bar, 이하 '파이프'라 총칭함) 위에 얹힌 상태에서 들썩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연결고리와 파이프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연결고리에 회동가능한 록킹가이드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17207호(명칭: 건축용 안전발판의 조립구조/2001.06.0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를 사각 형태로 만들고, 이 위에 발판부재가 고정되어진 발판프레임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결합되는 상기 발판프레임들의 가로지지대사이를 연결핀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안전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39444호(명칭: 건축용 안전발판/2001.12.3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를 사각 형태로 만들고, 이 위에 발판부재가 고정되어진 발판프레임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의 상면에 미끄럼방지돌기를 복수개 형성시킨 안전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45166호(명칭: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2015.03.3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요홈이 배열 형성되고, 요홈이 형성된 사이 사이에는 미끄럼 방지공이 천공된 발판부와, 발판부의 전후 측에 덧대어져 용접되는 마구리부와, 발판부의 전후양측에 부착되어 파이프에 걸쳐지는 연결고리를 갖는 공지의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의 전후 측 마구리부에는 파이프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록킹부재가 부착되어 상기 연결고리와 함께 파이프로부터 안전발판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안전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17577호(명칭: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2015.08.2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요홈이 배열 형성되고, 요홈이 형성된 사이사이에는 미끄럼 방지공이 천공된 발판부와, 발판부의 전후 측에 덧대어져 용접되는 마구리부와, 발판부의 전후양측에 부착되어 가설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에 양측이 걸쳐지도록 연결고리가 전후 상호 대향되게 구비된 공지의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부는 상기 발판부 양단 측을 수용하여 용접 부착되는 커버형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연결고리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 및 연결고리를 장착하기 위한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는 마구리부의 설치공에 안내되어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부가 절곡 형성되되,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공과 일치되어 리벳으로 관통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 양측에 부착되는 마구리부 중 어느 하나의 마구리부 전면에는 상기 파이프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록킹부재가 부착된 안전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1,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17207호(2001.06.09.) 2,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39444호(2001.12.30.) 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45166호(2015.03.31.) 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17577호(2015.08.2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발판들은, 가로바와 고정되는 부위 및 안전발판들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사이 공간이 개방되어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안전발판들의 연결부위 및 가로바와의 고정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어 작업자가 빠지거나 도구들이 걸려 작업시 안전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중에 파이프의 하부를 감싸도록 된 보조고정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여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된 건축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에 잇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은, 길이를 가지며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된 '판(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발판본체와; 상기 발판본체의 양단에 구비되며 가설구조물의 파이프에 상부에 걸쳐지면서 지지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발판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의 하부 일측부위를 지지하는 보조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보조고정수단은, 상기 파이프가 진입시에는 상기 파이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발판본체의 내측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하부걸림체와, 상기 파이프의 진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걸림체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파이프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된 복귀탄성체와, 상기 발판본체에 구비되며 하부걸림체의 직선이동경로를 안내하도록 된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은, 고정수단을 통해 파이프에 거치되어 고정시설되는 보조고정수단을 통해 파이프의 하부를 감싸면서 지지하여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됨에 따라,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여 사용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보인 개략 결합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구성하는 보조고정수단과 보조잠금수단을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과 파이프의 고정결합 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1)은, 길이를 가지며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된 '판(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발판본체(2)와; 상기 발판본체(2)에 구비되며 가설구조물의 파이프(10)의 상부에 걸쳐지면서 지지되는 고정수단(3);을 포함한다.
즉, 상기 가설구조물의 상기 파이프(10)에 상기 고정수단(3)이 지지고정되면서 시설되어, 작업자가 상기 발판본체(2)의 상부를 디디면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발판본체(2)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된 상판(21)과, 상기 상판(21)의 양측하부에 구비되는 형상의 발판측벽(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수단(3)은, 상기 발판본체(2)의 발판측벽들의 단부들을 각각 폐쇄하면서 고정되는 '판(plate)' 형상의 고정몸체(31)와, 상기 고정몸체(31)의 상단 및 하단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발판본체(2)의 발판측벽(22)들의 단부에서 상면 및 저면을 감싸면서 밀착지지하도록 된 고정편(32)들과, 상기 고정몸체(31)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파이프(10)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된 다 걸이편(33)과, 상기 걸이편(33)의 종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타 안전발판(1)의 상기 걸이편(33)에 상하로 관통되면서 형성된 걸이공(34)에 맞춤춤되면서 걸림고정되는 걸고리(3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몸체(31)와 상기 고정편(32)들이 상기 발판본체(2)의 단부를 감싸면서 고정되며; 상기 걸이편(33)을 통해 상기 파이프(10)의 상부에 얹어지면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파이프(10)의 상부에 하나의 안전발판(1)의 걸이편(33)이 결합된 상태에서, 타 안전발판(1)의 걸이편(33)이 그 상부에 얹져 지지될 때, 상기 걸이공(34)에 상기 걸고리(35)가 삽입고정되어 끼움결합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안전발판(1)들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안전발판(1)들의 사이공간과 파이프(10)와의 고정부위의 사이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발판(1)들의 사이공간과 파이프(10)와의 고정부위의 사이 공간에 대하여 작업자가 빠지거나 도구들이 걸리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31)와 상기 고정편(32)들은, 단면구조가 'ㄷ' 형상을 이루면서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걸이편(33)은, 상기 몸체(31)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의 상부전체면을 감싸도록 된 넓이와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편(33)이 상기 파이프(10)의 상부 전체를 감싸면서 지지고정하도록 수용하여 상기 파이프(10)와의 고정부위가 외부에 대하여 차폐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1)은, 상기 발판본체(2)의 발판측벽(22)에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10)의 하부 일측부위를 지지하는 보조고정수단(4);을 포함한다.
즉, 상기 보조고정수단(4)을 통해 상기 파이프(10)의 일측 하부를 받침하여 지지함으로써, 상기 파이프(10)와 상기 안전발판(1)의 결합을 더욱 확고히 하게 된다.
상기에서 보조고정수단(4)은, 상기 파이프(10)가 상기 걸림편(33)의 하부로 진입시에 상기 파이프(1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발판본체(2)의 내측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하부걸림체(41)와, 상기 파이프(10)의 상기 걸림편(33)의 하부로의 진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걸림체(41)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파이프(10)의 하부 일측부위를 받침하여 지지지하도록 된 복귀탄성체(42)와, 상기 발판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직선이동경로를 안내하도록 된 안내부재(43)를 포함한다.
즉, 상기 하부걸림체(41)가 상기 안내부재(43)에 의해 직선적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발판본체(2)의 내외측방향으로 진퇴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10)가 상기 걸이편(33)의 하단으로 진입하는 중에 상기 하부걸림체(41)를 상기 발판본체(2)의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정적으로 진입하여 상기 걸이편(33)의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0)의 상기 걸이편(33)의 하단으로 진입이 완료되면, 상기 하부걸림체(41)를 상기 발판본체(2)의 외측방향으로 탄성가압하도록 된 상기 복귀탄성체(42)에 의해 탄성가압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파이프(10)의 하부 일부위를 받침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10)의 상부는 상기 걸림편(33)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파이프(10)의 하부는 상기 하부걸림체(41)에 의해 지지되면서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구조적 안정성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에서 하부걸림체(41)는, 선단 하부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10)의 수직이동시 상기 발판본체(2)측 방향으로 가압하중을 인가받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파이프(10)의 진입운동시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상기 발판본체(2)로의 이동이 연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복귀탄성체(42)는, 일단은 상기 하부걸림체(41)에 고정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발판본체(2)에 고정지지되어 신축탄성되는 '스프링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안내부재(43)는, 상기 하부걸림체(41)상에서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진퇴운동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된 '장공'의 안내공(431)과, 상기 안내공(431)을 관통하면서 상기 발판본체(2)에 '리벳결합구조'로 결속되는 안내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공(431)이 상기 안내핀(432)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진퇴운동방향으로 작선적으로 안내되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건축용 안전발판(1)은, 상기 발판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종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무단으로 진퇴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보조잠금구단(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발판본체(2) 상에서 상기 하부걸림체(41)가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파이프(10)의 하부를 받침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잠금수단(5)을 통해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종단을 지지하여 상기 하부걸림체(41)가 상기 발판본체(2)의 내측방향으로 밀림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력(충격 등)에 의해 상기 하부걸림체(41)가 무단으로 진퇴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잠금하게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확고히 구현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0)에서 안전발판(1)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종단에 대하여 상기 보조잠금수단(5)을 해제하여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진퇴운동이 이루어지게 한 후, 상기 파이프(10)에서의 분리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잠금수단(5)은, 상기 발판본체(2)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되 일단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된 레버(51)가 구비된 잠금축(52)과, 상기 잠금축(52)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잠금축(52)의 회전시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종단과 밀착되는 부위와 상기 잠금축(52)과의 간격이 가변되어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진퇴운동을 잠금해제하도록 된 잠금캠휠(5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레버(51)를 손으로 잡고 상기 잠금축(52)을 180°정역회전시키면, 상기 잠금캠휠(53)이 180°정역회전되면서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진퇴운동을 잠금해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안전발판 10 : 파이프
2 : 발판본체 21 : 상판
22 : 발판측벽 3 : 고정수단
31 : 고정몸체 32 : 고정편
33 : 걸이편 34 : 걸이공
35 : 걸고리 4 : 보조고정수단
41 : 하부걸림체 42 : 복귀탄성체
43 : 안내부재 431 : 안내공
432 : 안내핀 5 : 보조잠금수단
51 : 레버 52 : 잠금축
53 : 잠금캠휠

Claims (1)

  1. 길이를 가지며 상하로 관통된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된 '판(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발판본체(2)와; 상기 발판본체(2)의 양단에 구비되며 가설구조물의 파이프(10)에 상부에 걸쳐지면서 지지되는 고정수단(3)과; 상기 발판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10)의 하부 일측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파이프(10)가 진입시에는 상기 파이프(1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발판본체(2)의 내측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하부걸림체(41)와, 상기 파이프(10)의 진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걸림체(41)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파이프(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된 복귀탄성체(42)와, 상기 발판본체(2)에 구비되며 하부걸림체(41)의 직선이동경로를 안내하도록 된 안내부재(43)를 구비하는 보조고정수단(4);을 포함하는 건축용 안전발판(1)에 있어서;
    상기 발판본체(2)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종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무단으로 진퇴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보조잠금수단(5);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잠금수단(5)은,
    상기 발판본체(2)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되 일단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된 레버(51)가 구비된 잠금축(52)과, 상기 잠금축(52)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잠금축(52)의 회전시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종단과 밀착되는 부위와 상기 잠금축(52)과의 간격이 가변되어 상기 하부걸림체(41)의 진퇴운동을 잠금해제하도록 된 잠금캠휠(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발판.
KR1020220080442A 2022-06-30 2022-06-30 건축용 안전발판 KR10253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442A KR102531411B1 (ko) 2022-06-30 2022-06-30 건축용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442A KR102531411B1 (ko) 2022-06-30 2022-06-30 건축용 안전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411B1 true KR102531411B1 (ko) 2023-05-12

Family

ID=8638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442A KR102531411B1 (ko) 2022-06-30 2022-06-30 건축용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4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350A (ja) * 2002-07-08 2004-02-05 Tatsuo Ono 足場板
KR20150045166A (ko) 2013-10-18 2015-04-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KR20150117577A (ko) 2014-04-10 201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전력 크기 조절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761730B1 (ko) * 2016-09-29 2017-08-04 주식회사 신영스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350A (ja) * 2002-07-08 2004-02-05 Tatsuo Ono 足場板
KR20150045166A (ko) 2013-10-18 2015-04-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KR20150117577A (ko) 2014-04-10 201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전력 크기 조절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761730B1 (ko) * 2016-09-29 2017-08-04 주식회사 신영스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392B1 (en) Scaffold with vertical and transverse supports
KR102531411B1 (ko) 건축용 안전발판
WO2018225918A1 (ko) 건축용 안전발판
KR20190113468A (ko) 잠금부를 구비한 갱폼 추락방지장치
KR102531412B1 (ko) 건축용 안전발판
JP4683595B2 (ja) 枠組み足場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
JP2009299307A (ja) ユニット式足場および連結具
JP3860864B2 (ja) 足場板等のフック装置
KR200469390Y1 (ko) 선박용 비계
KR102511294B1 (ko) 건축용 안전발판
JP2014043678A (ja) 安全支柱用の型枠取付け金具
KR200425674Y1 (ko) 가설대용 안내걸림슈
KR102516781B1 (ko)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KR100680277B1 (ko)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KR102375486B1 (ko)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KR20200107046A (ko) 가설구조물용 발판
KR200483649Y1 (ko) 비계 수직봉 연장 설치용 지지대
JP4117238B2 (ja) 作業用足場
KR102012555B1 (ko) 건축용 가설구조물의 안전발판
KR20130127763A (ko) 작업용 비계
KR102558801B1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KR102241259B1 (ko) 가설 작업발판 틈새 막이
JP5226707B2 (ja) 足場板隙間プレート
AU2017232163B2 (en) Guard Panel System
CN208294089U (zh) 一种铝模板施工操作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