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486B1 -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486B1
KR102375486B1 KR1020210024121A KR20210024121A KR102375486B1 KR 102375486 B1 KR102375486 B1 KR 102375486B1 KR 1020210024121 A KR1020210024121 A KR 1020210024121A KR 20210024121 A KR20210024121 A KR 20210024121A KR 102375486 B1 KR102375486 B1 KR 102375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plate
fixing
frame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현
은종애
Original Assignee
이영현
은종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현, 은종애 filed Critical 이영현
Priority to KR102021002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교차되면서 결속되는 다수의 비계파이프들에 고정되면서 설치되어 작업공간에 대하여 작업자에게 안전한 바닥을 형성하도록;
인접되어 시설되는 안전가설발판들의 단부를 연결하면서 결합하도록 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설발판들의 프레임틀들에서 서로 마주보면서 밀착되는 밀착단부들이 각각 끼움결속되면서 구비되는 밀착단부결속수단과; 상기 안전가설발판들의 프레임틀들에서 상기 밀착단부들에 대하여 측면을 형성하는 각각의 측단부들을 각각 결속지지하는 측단부결속수단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Connection device of safety temporary scaffold}
본 발명은, 서로 교차되면서 결속되는 다수의 비계파이프들에 고정되면서 설치되어 작업공간에 대하여 작업자에게 안전한 바닥을 형성하도록 된 안전가설발판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작업성이 향상되어 신속하게 시설작업을 수행함과 아울러, 안전가설발판들의 결속시 유격오차가 없어 작업바닥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구현하도록 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비계파이프에 의해 고정되는 안전가설발판들이 서로 확고히 결속되어, 안전가설발판들이 일체화하도록 됨에 따라, 각각의 안전가설발판들의 독립적인 유동이 현저히 줄어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확보하도록 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교량 등과 같은 토목 및 건축 구조물 공사시에는,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가설비계시스템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가설비계시스템은, 통상적으로, 공사현장에서 구조물의 외측에 시설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비계파이프들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결속하여 형성되는 지주구조와, 상기 지주구조의 상기 비계파이프에 고정되면서 설치되어 작업공간에 대하여 작업자에게 안전한 바닥을 형성하도록 된 안전가설발판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가설비계시스템에서 상기 안전가설발판은, 통상적으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틀과; 상기 프레임틀의 상단테두리에 용접되어 결합되며 바닥을 형성하는 타공판과; 상기 프레임틀에 구비되며 상기 지주구조의 비계파이프에 결합하면서 록킹되어 지지고정되는 결합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17577호(명칭: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2015.08.2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요홈이 배열 형성되고, 요홈이 형성된 사이 사이에는 미끄럼 방지공이 천공된 발판부와, 발판부의 전후 측에 덧대어져 용접되는 마구리부와, 발판부의 전후양측에 부착되어 가설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에 양측이 걸쳐지도록 연결고리가 전후 상호 대향되게 구비된 공지의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부는 상기 발판부 양단 측을 수용하여 용접 부착되는 커버형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연결고리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 및 연결고리를 장착하기 위한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는 마구리부의 설치공에 안내되어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부가 절곡 형성되되,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공과 일치되어 리벳으로 관통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 양측에 부착되는 마구리부 중 어느 하나의 마구리부 전면에는 상기 파이프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록킹부재가 부착된 안전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42409호(명칭: 작업용 가설 발판/2015.10.1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발빠짐을 방지하고 하중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양단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양단 너클부; 상기 상판에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너클부; 각각 상기 양단 너클부에 배치되어, 상기 양단 너클부와 수평하게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횡지지구조; 상기 각 분리된 횡지지구조를 수직으로 연결하고,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가로 보강재; 상기 가로 보강재는 상기 상판과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횡지지구조를 동시에 지지하고, 상기 횡지지구조는 각각 상기 상판의 양단 너클부에서 연결 또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설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69508호(명칭: 가설구조물용 발판/2018.06.1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수직재와 수평재를 포함하는 가설구조물에 설치되는 발판에 있어서, 상하로 이격된 사각형의 상판 및 하판과, 이 상판 및 하판의 대향되는 두 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하며, 내부에는 전후로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 발판본체; 상기 발판본체의 중공부에 구비되며 상판 및 하판과 직각을 이루되 측판과 나란히 연장되고, 일측에는 좌우로 관통된 장공이 전후로 연장된 격벽; 외측단이 서로 연결되며 좌우로 이격되어 상기 발판본체의 개구된 측면을 통해 중공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는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과, 이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의 인접된 측면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격벽의 장공에 관통 결합된 결합바를 포함하는 보조발판; 및 상기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가설구조물의 수평재에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168013호(명칭: 비계용 안전작업발판/2019.12.1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후단에서 체결하는 체결후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사이에서 수직으로 결합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상측에 안치시키는 타공플레이트와, 상기 타공플레이트의 좌우에서 절곡형성된 절곡편을 관통하여 일체로 체결되는 조립부재로 이루어져 결속력을 높이도록 구성함으로써, 간편하고 편리하게 조립하도록 함과 동시에 견고하고 안정적인 지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안전한 작업을 유도하는 안전작업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17577호(2015.08.20.)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42409호(2015.10.1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69508호(2018.06.18.)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168013호(2019.12.1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가설발판들은, 서로 인접되어 배치되는 각각의 안전가설발판들의 사이가 벌어짐에 따라, 빈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안전가설발판들 사이의 빈 공간에 작업자가 발빠짐, 작업도구의 낙하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가설비계시스템에서 지주구조에 각각의 안전가설발판들이 고정되는 단일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각각의 안전가설발판들이 독립적인 지지고정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지주구조에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안전가설발판들의 유동성이 크게 되어 작업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작업성이 향상되어 신속하게 시설작업을 수행함과 아울러, 안전가설발판들의 결속시 유격오차가 없어 작업바닥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구현하도록 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계파이프에 의해 고정되는 안전가설발판들이 서로 확고히 결속되어, 안전가설발판들이 일체화하도록 됨에 따라, 각각의 안전가설발판들의 독립적인 유동이 현저히 줄어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확보하도록 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는, 인접되어 시설되는 안전가설발판들의 단부를 연결하면서 결합하도록 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설발판들의 프레임틀들에서 서로 마주보면서 밀착되는 밀착단부들이 각각 끼움결속되면서 구비되는 밀착단부결속수단과; 상기 안전가설발판들의 프레임틀들에서 상기 밀착단부들에 대하여 측면을 형성하는 각각의 측단부들을 각각 결속지지하는 측단부결속수단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단부결속수단은, 상기 프레임틀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판(板;plate)' 형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상기 베이스판에서 각각의 상기 프레임틀의 밀착단부와 대면하는 각각의 면들에 구비되며 상기 밀착단부에 형성된 끼움공들에 각각 끼움결합하도록 된 끼움돌기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돌기들은, 상기 끼움공에 신축되면서 탄성적으로 걸림결속되는 중앙부위가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면서 양단이 상기 베이스판에 탄성지지되는 '판스프링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단부결속수단은, 상기 프레임틀의 측단부들과 대면하면서 밀착되는 '판(板;plate)' 형상의 측면판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단부결속수단은, 상기 측면판들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틀의 측단부들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들에 각각 끼움결속되는 각각의 고정돌기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들은, 상기 고정공에 신축되면서 탄성적으로 걸림결속되는 중앙부위가 상기 측면판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면서 양단이 상기 측면판에 탄성지지되는 '판스프링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단들에는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며 관통된 걸림공을 각각 가지는 고리편들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판들에는, 상기 고리편들이 각각 맞춤되면서 관통결합되는 고리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리공을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판은,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부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판은,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부들에서 각각 내측방향으로 탄성가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단부결속수단들과 상기 프레임틀들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가설발판들의 프레임틀들에 대하여 각각 결합되는 상기 고정수단을 잠금하여 무단분리되지 않도록 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단부결속수단은, 상기 프레임틀의 측단부들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들과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면서 대면하여 밀착되는 '판(板;plate)' 형상의 측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은, 양단부가 상기 측면판들의 관통공들과 상기 프레임틀의 고정공들을 관통하면서 결속하는 '⊂' 형상의 고정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고정봉의 양측 종단부위가 끼움결속되어 잠금하도록 된 잠금홈들이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잠금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는,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밀착단부결속수단 및 측단부결속수단들의 끼움결속을 통해 근접된 한 쌍의 안전가설발판들을 연결결합하여 일체화하도록 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어 신속하게 시설작업을 수행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한 쌍의 안전가설발판들의 결속시 연결부위에서의 유격오차가 없어 작업바닥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이 구현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서로 연결되는 안전가설발판들이 일체화 됨에 따라, 각각의 안전가설발판들의 독립적인 유동이 없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결합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안전가설발판에 결합하는 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결합 사시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1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결합 사시 예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1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1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결합 사시 예시도.
도 18 및 도 1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1)는, 작업현장에서 구조물의 외측에 시설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비계파이프(100)'들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결속하여 형성되는 지주구조(미도시됨)와, 상기 지주구조의 상기 비계파이프(100)에 고정되면서 설치되어 작업공간에 대하여 작업자에게 안전한 바닥을 형성하도록 된 안전가설발판(1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설비계시스템'에서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을 연결결합하여 일체화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상기 지주구조에 결속되면서 인접되어 시설되는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각각의 단부들을 연결하면서 결합하는 것에 특히 적용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결속시 연결부위에서의 유격오차가 없어 작업바닥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이 구현됨과 더불어, 서로 연결되는 상기 안전가설발판910)들이 일체화 됨에 따라, 각각의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독립적인 유동이 없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1)는,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프레임틀(11)들에서 서로 마주보면서 밀착되는 밀착단부(12)들이 각각 끼움결속되면서 구비되는 밀착단부결속수단(2)과;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프레임틀(11)들에서 상기 밀착단부(12)들에 대하여 측면을 형성하는 각각의 측단부(13)들을 각각 결속지지하는 측단부결속수단(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상기 프레임틀(11)에서 서로 마주보면서 밀착되는 각각의 밀착단부(12)들이 상기 밀착단부결속수단(2)에 끼움결속하여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프레임틀(11)들의 상기 측단부(13)들이 상기 측단부결속수단(3)들과 결속되어 근접된 한 쌍의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을 일체화하면서 연결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하게 시설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1)에서, 상기 밀착단부결속수단(2)은, 상기 프레임틀(11)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판(板;plate)' 형상의 베이스판(21)과; 상기 상기 베이스판(21)에서 각각의 상기 프레임틀(11)의 밀착단부(12)와 대면하는 각각의 면들에 구비되며 상기 밀착단부(12)에 형성된 끼움공(14)들에 각각 끼움결합하도록 구비된 끼움돌기(2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상기 프레임틀(11)들의 밀착단부(12)의 사이에 상기 베이스판(21)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끼움돌기(22)들이 각각 맞춤되는 위치에 구비된 상기 끼움공(14)들에 각각 끼움결합되면서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상기 프레임틀(11)들의 밀착단부(12)들이 연이어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끼움돌기(22)들은, 상기 끼움공(14)에 신축되면서 탄성적으로 걸림결속되는 중앙부위가 상기 베이스판(21)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면서 양단이 상기 베이스판(21)에 탄성지지되는 '판스프링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끼움돌기(22)들이 상기 끼움공(14)에 맞춤되면서 끼움결합될 때, 끼움결합부위가 압축되면서 관통된 후, 신장되면서 확고히 결속상태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분리시에는, 상기 끼움돌기(22)들의 양단을 압축하여 상기 끼움공(14)에서 이격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1)에서, 상기 측단부결속수단(3)은, 상기 프레임틀(11)의 측단부(13)들과 대면하면서 밀착되는 '판(板;plate)' 형상의 측면판(31)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측면판(31)들이 상기 프레임틀(11)들의 양 측단부(13)들의 외측표면에 밀착되면서 배치됨은 물론, 서로 대면하는 한 쌍의 상기 측면판(31)들의 사이에 수용되도록 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측단부결속수단(3)은, 상기 측면판(31)들에서 상기 프레임틀(11)의 측단부(13)들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15)들에 각각 끼움결속되도록 맞춤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각각의 고정돌기(32)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측면판(31)들이 상기 프레임틀(11)들의 양 측단부(13)들의 외측표면에 밀착되면서 배치되면서 상기 프레임틀(11)의 상기 고정공(15)들에 상기 고정돌기(32)들이 각각 맞춤되게 끼움결속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21)의 위치에서는, 상기 끼움돌기(22)들이 상기 프레임틀(11)의 끼움공(14)들에 각각 결속되고, 상기 측면판(31)의 위치에서는 상기 고정돌기(32)들이 상기 고정공(15)에 끼움결속되어 결합됨에 따라, 평면상 상기 프레임틀(11)들에 대하여 서로 직교하는 방향성을 가지면서 각각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결속상태를 안정적으로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돌기(32)들은, 상기 고정공(15)에 신축되면서 탄성적으로 걸림결속되는 중앙부위가 상기 측면판(31)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면서 양단이 상기 측면판(31)에 탄성지지되는 '판스프링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돌기(32)들이 상기 고정공(15)에 맞춤되면서 끼움결합될 때, 끼움결합부위가 압축되면서 관통된 후, 신장되면서 확고히 결속상태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분리시에는, 상기 고정돌기(32)들의 양단을 압축하여 상기 고정공(15)에서 이격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1)은, 상기 베이스판(21)의 양측단들에는,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며 관통된 걸림공(23)을 각각 가지는 고리편(24)들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판(31)들에는, 상기 고리편(24)들이 각각 맞춤되면서 관통결합되는 고리공(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23)을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체결부재(4);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판(21)과 상기 측면판(31)들이 상기 체결부재(4)를 통해 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판(31)들의 상기 고리공(33)들에 각각 맞춤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판(21)의 상기 고리편(24)들이 관통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4)를 통해 상기 고리편(24)들을 잠금하여 결속하여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확고히 결속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체결부재(4)는, 양단부가 상기 고리편(24)들의 각각의 상기 고리공(23)들을 관통하면서 결속하는 '⊂' 형상의 '봉(rod)'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1)에서, 상기 측면판(31)은, 상기 베이스판(21)의 양단부에 각각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판(31)은, 상기 베이스판(21)의 양단부들에서 각각 내측방향으로 탄성가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틀(11)의 측단부(13)에 상기 측면판(31)이 결합될 때, 작업자에 의해 상기 측면판(31)이 외측방향으로 탄성굴곡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32)들이 상기 고정공(15)에 맞춤되는 위치에 배치한 후, 상기 측면판(31)의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자동적으로 상기 고정돌기(32)들이 상기 고정공(15)에 끼움되면서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결합된 상태를 확고히 유지하게 될 수 있으며; 분리작업시에는, 상기 프레임틀(11)에서 상기 측면판(31)을 외측방향으로 탄성굴곡하여 상기 고정공(15)에서 상기 고정돌기(32)를 이탈시킨 후, 분리하는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면 분리작업이 완료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1)에서, 상기 측면판(31)에는, 상기 프레임틀(11)의 측단부(13)들에 각각 형성된 상기 고정공(15)들과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공(34)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1)는, 상기 측단부결속수단(3)들과 상기 프레임틀(11)들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수단(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수단(5)은, 상기 관통공(34) 및 상기 고정공(15)들을 관통하면서 체결하는 '봉(rod)' 형상의 '봉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사봉'구조로 이루어져 '너트'를 통해 체결되어 결합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공(15)들과 맞춤되는 각각의 관통공(34)들을 일치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고정수단(5)을 통해 결속하여 결합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1)는,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프레임틀(11)들에 대하여 각각 결합되는 상기 고정수단(5)을 잠금하여 무단분리되지 않도록 되는 잠금부재(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공(15)들과 맞춤되는 각각의 관통공(34)들을 일치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고정수단(5)을 통해 결속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6)를 통해 상기 고정수단(5)을 잠금하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1)에서, 상기 측단부결속수단(3)은, 상기 프레임틀(11)의 측단부(13)들에 각각 형성된 상기 고정공(15)들과 일치하는 위치에 상기 관통공(34)들이 각각 형성되면서 대면하여 밀착되는 '판(板;plate)' 형상의 상기 측면판(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5)은, 양단부가 상기 측면판(31)들의 관통공들과 상기 프레임틀(11)의 고정공(15)들을 관통하면서 결속하는 '⊂' 형상의 고정봉(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부재(6)는, 상기 고정봉(51)의 양측 종단부위가 끼움결속되어 잠금하도록 된 잠금홈(61)들이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잠금판(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이 상기 밀착단부결속수단(2)을 통해 1차적으로 결속한 후, 상기 고정봉(51)을 통해 한 쌍의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각각의 상기 프레임틀(11)들의 고정공(15)들과 이와 맞춤되는 상기 측면판(31)들의 관통공(34)들을 동시에 각각 관통하면서 끼움하여 결속한 후, 상기 잠금판(62)을 통해 상기 고정봉(51)의 양측 종단부위를 끼움결속하여 잠금하면, 한 쌍의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연결결합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에서 고정봉(51)의 양측 종단부위에는, 상기 잠금판(62)의 잠금홈(61)부위가 걸림하여 잠금고정하도록 'V'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잠금돌부(52)'가 형성되어, 확고한 결속상태를 형성하도록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1)는, 상기 밀착단부결속수단(2) 및 상기 측단부결속수단(3)들의 끼움결속을 통해 근접된 한 쌍의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프레임틀(11)들을 연결결합하여 일체화하도록 된 것을 구조적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연결장치 10 : 안전가설발판
11 : 프레임틀 12 : 밀착단부
13 : 측단부 14 : 끼움공
15 : 고정공 2 : 밀착단부결속수단
21 : 베이스판 22 : 끼움돌기
23 : 걸림공 24 : 고리편
3 : 측단부결속수단 31 : 측면판
32 : 고정돌기 33 : 고리공
34 : 관통공 4 : 체결부재
5 : 고정수단 51 : 고정봉
52 : 잠금돌부 6 : 잠금부재
61 : 잠금홈 62 : 잠금판
100 : 비계파이프

Claims (12)

  1. 인접되어 시설되는 안전가설발판(10)들의 단부를 연결하면서 결합하도록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프레임틀(11)들에서 서로 마주보면서 밀착되는 밀착단부(12)들이 각각 끼움결속되면서 구비되는 밀착단부결속수단(2)과;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상기 프레임틀(11)들에서 상기 밀착단부(12)들에 대하여 측면을 형성하는 각각의 측단부(13)들과 대면하면서 밀착되어 각각 결속지지하는 '판(板;plate)' 형상의 측면판(31)들을 구비하는 측단부결속수단(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1)에 있어서;
    상기 측단부결속수단(3)은,
    상기 측면판(31)들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틀(11)의 측단부(13)들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15)들에 각각 끼움결속되는 각각의 고정돌기(32)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단부결속수단(2)은,
    상기 프레임틀(11)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판(板;plate)' 형상의 베이스판(21)과; 상기 상기 베이스판(21)에서 각각의 상기 프레임틀(11)의 밀착단부(12)와 대면하는 각각의 면들에 구비되며 상기 밀착단부(12)에 형성된 끼움공(14)들에 각각 끼움결합하도록 된 끼움돌기(2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22)들은,
    상기 끼움공(14)에 신축되면서 탄성적으로 걸림결속되는 중앙부위가 상기 베이스판(21)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면서 양단이 상기 베이스판(21)에 탄성지지되는 '판스프링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32)들은,
    상기 고정공(15)에 신축되면서 탄성적으로 걸림결속되는 중앙부위가 상기 측면판(31)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면서 양단이 상기 측면판(31)에 탄성지지되는 '판스프링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21)의 양측단들에는,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며 관통된 걸림공(23)을 각각 가지는 고리편(24)들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판(31)들에는,
    상기 고리편(24)들이 각각 맞춤되면서 관통결합되는 고리공(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리공(33)을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체결부재(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31)은,
    상기 베이스판(21)의 양단부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31)은,
    상기 베이스판(21)의 양단부들에서 각각 내측방향으로 탄성가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단부결속수단(3)들과 상기 프레임틀(11)들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수단(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설발판(10)들의 상기 프레임틀(11)들에 대하여 각각 결합되는 상기 고정수단(5)을 잠금하여 무단분리되지 않도록 되는 잠금부재(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단부결속수단(3)은,
    상기 프레임틀(11)의 상기 측단부(13)들에 각각 형성된 상기 고정공(15)들과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공(34)들이 각각 형성되면서 대면하여 밀착되는 '판(板;plate)' 형상의 상기 측면판(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5)은,
    양단부가 상기 측면판(31)들의 상기 관통공(34)들과 상기 프레임틀(11)의 상기 고정공(15)들을 관통하면서 결속하는 '⊂' 형상의 고정봉(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부재(6)는,
    상기 고정봉(51)의 양측 종단부위가 끼움결속되어 잠금하도록 된 잠금홈(61)들이 형성된 '판(板;plate)' 형상의 잠금판(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KR1020210024121A 2021-02-23 2021-02-23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KR102375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121A KR102375486B1 (ko) 2021-02-23 2021-02-23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121A KR102375486B1 (ko) 2021-02-23 2021-02-23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486B1 true KR102375486B1 (ko) 2022-03-16

Family

ID=8093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121A KR102375486B1 (ko) 2021-02-23 2021-02-23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4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373U (ja) * 1993-06-25 1995-01-31 行世 小山 すのこ板及びすのこ板連結具
JPH09203190A (ja) * 1996-01-25 1997-08-05 Masusetsuto Kk 踏み板組立て方法および踏み板連結部材
KR20090011644U (ko) * 2008-05-13 2009-11-18 탁권진 연결 장치가 구비된 안전발판
KR20150117577A (ko) 2014-04-10 201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전력 크기 조절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50142409A (ko) 2014-06-12 2015-12-22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80069508A (ko)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룸의 격벽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373U (ja) * 1993-06-25 1995-01-31 行世 小山 すのこ板及びすのこ板連結具
JPH09203190A (ja) * 1996-01-25 1997-08-05 Masusetsuto Kk 踏み板組立て方法および踏み板連結部材
KR20090011644U (ko) * 2008-05-13 2009-11-18 탁권진 연결 장치가 구비된 안전발판
KR20150117577A (ko) 2014-04-10 201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전력 크기 조절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50142409A (ko) 2014-06-12 2015-12-22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80069508A (ko)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룸의 격벽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340B1 (ko) 상하부 작업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갱폼 케이지
US20060243523A1 (en) Scaffolding brackets
US6722470B2 (en) Anchorage adapter,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fall protection
JP4900673B2 (ja) フェン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375486B1 (ko)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KR20130007502U (ko)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KR200467252Y1 (ko)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JP5386134B2 (ja) 床付き布枠及び枠組足場
KR101457917B1 (ko) 철근 이송장치
KR101138805B1 (ko) 안전 작업대유닛
JP6491895B2 (ja) 仮設構造物の補強フレーム
JP2014043678A (ja) 安全支柱用の型枠取付け金具
KR102516781B1 (ko)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JP2013124541A5 (ko)
JPH1113274A (ja) ベント作業足場
EP1972739A2 (en) Extendable safety guardrail
KR200372312Y1 (ko) 구조물 공사용 고소작업 안전발판
JP4091587B2 (ja) 安全手摺
KR101181367B1 (ko) 작업용 발판
JP7348148B2 (ja) 仮設足場における階段開口部用手すり枠
JP5180499B2 (ja) 床付き布枠及び枠組足場
KR20190041976A (ko) 비계용 지주의 우선난간
JP6276073B2 (ja) 拡幅・狭幅用足場部材及びこの足場部材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