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781B1 -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781B1
KR102516781B1 KR1020210121781A KR20210121781A KR102516781B1 KR 102516781 B1 KR102516781 B1 KR 102516781B1 KR 1020210121781 A KR1020210121781 A KR 1020210121781A KR 20210121781 A KR20210121781 A KR 20210121781A KR 102516781 B1 KR102516781 B1 KR 102516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fixing
scaffolding
fixing means
scaffol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8993A (ko
Inventor
이영현
은종애
Original Assignee
이영현
은종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현, 은종애 filed Critical 이영현
Priority to KR102021012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781B1/ko
Priority to KR1020220174440A priority patent/KR20230039591A/ko
Publication of KR2023003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작업성이 향상되어 신속하게 시설작업을 수행함과 아울러, 안전발판들의 결합시 유격오차가 없어 작업바닥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구현하도록;
인접되어 시설되는 안전발판들의 단부를 각각 결속하면서 연결하여 일체화하도록 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에 있어서; 연결하고자 하는 각각의 상기 안전발판들의 각각의 프레임틀들에서 서로 마주보면서 밀착되는 밀착단부들에 각각 구비되며, 서로 맞춤끼움되면서 암수 한 쌍 결합하여 결속고정되는 숫고정수단; 및 암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Footrest All-in-one Fixture}
본 발명은, 서로 교차되면서 결속되는 다수의 비계파이프들에 고정되면서 설치되어 작업공간에 대하여 작업자에게 안전한 바닥을 형성하도록 된 안전발판들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하도록 고정하는 안전발판의 일체형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작업성이 향상되어 신속하게 시설작업을 수행함과 아울러, 안전발판들의 결합시 유격오차가 없어 작업바닥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구현하도록 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비계파이프에 의해 고정되는 안전발판들이 서로 확고히 결속되어, 안전발판들이 일체화하도록 됨에 따라, 각각의 안전발판들의 독립적인 유동이 현저히 줄어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확보하도록 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교량 등과 같은 토목 및 건축 구조물 공사시에는,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안전발판으로 형성되는 작업공간을 구현하도록 된 가설비계시스템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가설비계시스템은, 통상적으로, 공사현장에서 구조물의 외측에 시설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비계파이프들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결속하여 형성되는 지주구조와, 상기 지주구조의 상기 비계파이프에 고정되면서 설치되어 작업공간에 대하여 작업자에게 안전한 바닥으로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안전발판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가설비계시스템에서 상기 안전발판은, 통상적으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틀과; 상기 프레임틀의 상단테두리에 용접되어 결합되며 바닥을 형성하는 타공판과; 상기 프레임틀에 구비되며 상기 지주구조의 비계파이프에 결합하면서 록킹되어 지지고정되는 결합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안전발판의 다양한 예시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17577호(명칭: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2015.08.2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다수개의 요홈이 배열 형성되고, 요홈이 형성된 사이 사이에는 미끄럼 방지공이 천공된 발판부와, 발판부의 전후 측에 덧대어져 용접되는 마구리부와, 발판부의 전후양측에 부착되어 가설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에 양측이 걸쳐지도록 연결고리가 전후 상호 대향되게 구비된 공지의 건축용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부는 상기 발판부 양단 측을 수용하여 용접 부착되는 커버형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연결고리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공 및 연결고리를 장착하기 위한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는 마구리부의 설치공에 안내되어 후면에 밀착되는 고정부가 절곡 형성되되,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공과 일치되어 리벳으로 관통 고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 양측에 부착되는 마구리부 중 어느 하나의 마구리부 전면에는 상기 파이프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록킹부재가 부착된 안전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42409호(명칭: 작업용 가설 발판/2015.10.1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발빠짐을 방지하고 하중을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양단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양단 너클부; 상기 상판에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너클부; 각각 상기 양단 너클부에 배치되어, 상기 양단 너클부와 수평하게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횡지지구조; 상기 각 분리된 횡지지구조를 수직으로 연결하고,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가로 보강재; 상기 가로 보강재는 상기 상판과 결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횡지지구조를 동시에 지지하고, 상기 횡지지구조는 각각 상기 상판의 양단 너클부에서 연결 또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설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69508호(명칭: 가설구조물용 발판/2018.06.1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수직재와 수평재를 포함하는 가설구조물에 설치되는 발판에 있어서, 상하로 이격된 사각형의 상판 및 하판과, 이 상판 및 하판의 대향되는 두 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하며, 내부에는 전후로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 발판본체; 상기 발판본체의 중공부에 구비되며 상판 및 하판과 직각을 이루되 측판과 나란히 연장되고, 일측에는 좌우로 관통된 장공이 전후로 연장된 격벽; 외측단이 서로 연결되며 좌우로 이격되어 상기 발판본체의 개구된 측면을 통해 중공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는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과, 이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의 인접된 측면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격벽의 장공에 관통 결합된 결합바를 포함하는 보조발판; 및 상기 한 쌍의 보조단위발판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어 가설구조물의 수평재에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168013호(명칭: 비계용 안전작업발판/2019.12.1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후단에서 체결하는 체결후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사이에서 수직으로 결합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상측에 안치시키는 타공플레이트와, 상기 타공플레이트의 좌우에서 절곡형성된 절곡편을 관통하여 일체로 체결되는 조립부재로 이루어져 결속력을 높이도록 구성함으로써, 간편하고 편리하게 조립하도록 함과 동시에 견고하고 안정적인 지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안전한 작업을 유도하는 안전작업발판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17577호(2015.08.20.)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142409호(2015.10.1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69508호(2018.06.18.)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168013호(2019.12.1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발판들은, 서로 인접되어 배치되는 각각의 안전발판들의 사이가 벌어짐에 따라, 빈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안전발판들 사이의 빈 공간에 작업자가 발빠짐, 작업도구의 낙하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가설비계시스템에서 지주구조에 각각의 안전발판들이 고정되는 단일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각각의 안전발판들이 독립적인 지지고정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지주구조에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안전발판들의 유동성이 크게 되어 작업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교차되면서 결속되는 다수의 비계파이프들에 고정되면서 설치되어 작업공간에 대하여 작업자에게 안전한 바닥을 형성하도록 된 안전발판들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하도록 고정하는 것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작업성이 향상되어 신속하게 시설작업을 수행함과 아울러, 안전발판들의 결합시 유격오차가 없어 작업바닥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구현하도록 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계파이프에 의해 고정되는 안전발판들이 서로 확고히 결속되어, 안전발판들이 일체화하도록 됨에 따라, 각각의 안전발판들의 독립적인 유동이 현저히 줄어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확보하도록 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는, 인접되어 시설되는 안전발판들의 단부를 각각 결속하면서 연결하여 일체화하도록 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에 있어서; 연결하고자 하는 각각의 상기 안전발판들의 각각의 프레임틀들에서 서로 마주보면서 밀착되는 밀착단부들에 각각 구비되며, 서로 맞춤끼움되면서 암수 한 쌍 결합하여 결속고정되는 숫고정수단; 및 암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숫고정수단은,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상기 안전발판들 중 하나의 상기 안전발판의 일 밀착단부에 형성되며 타 상기 안전발판의 밀착단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종단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봉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암고정수단은, 상기 숫고정수단이 구비된 상기 안전발판의 밀착단부에 밀착되면서 결속되는 타 상기 안전발판의 밀착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이 내부로 진입하도록 맞춤되는 내경을 가지는 진입요부와, 상기 진입요부의 내측에서 상기 밀착단부의 외측단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의 외경이 진입하도록 맞춤되는 내경을 가지고 내측 테두리부위를 통해 상기 고정판이 걸림고정되는 고정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고정수단이 구비된 밀착단부의 하단에는, 상기 숫고정수단이 구비된 밀착단부의 하단 일부위를 받치면서 지지하도록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편에는, 상기 숫고정수단이 구비된 밀착단부의 하단을 수용하면서 끼움결속하도록 된 지지결속요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는, 한 쌍의 숫고정수단과 암고정수단의 맞춤되는 끼움결속을 통해 안전발판들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하면서 고정할 때, 작업성이 향상되어 신속하게 시설작업을 수행함과 아울러, 고정봉과 고정요부의 결속 및 지지편 및 지지결속요부를 통해 안전발판들의 결합시 유격오차가 없도록 됨에 따라, 작업바닥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각각의 안전발판들의 독립적인 유동이 현저히 줄어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 결합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 평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 측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암고정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1)는, 작업현장에서 구조물의 외측에 시설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비계파이프'들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결속하여 형성되는 지주구조(미도시됨)와, 상기 지주구조의 상기 비계파이프에 고정되면서 설치되어 작업공간에 대하여 작업자에게 안전한 바닥을 형성하도록 된 안전발판(10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설비계시스템'에서 상기 안전발판(100)들을 서로 연결결합하여 일체화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상기 지주구조에 결속되면서 인접되어 시설되는 상기 안전발판(100)들의 각각의 단부들을 연결하여 상기 안전발판(100)들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에 특히 적용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안전발판(100)들의 결속시 연결부위에서의 유격오차가 없도록 하여, 작업바닥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이 구현됨과 더불어, 서로 연결되는 상기 안전발판(100)들이 일체화 됨에 따라, 각각의 상기 안전발판(100)들의 독립적인 유동이 없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1)는, 인접되어 시설되는 안전발판(100)들의 단부를 각각 결속하면서 연결하여 일체화하도록 된 것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각각의 상기 안전발판(100)들의 각각의 프레임틀들에서 서로 마주보면서 밀착되는 밀착단부(110)들에 각각 구비되며, 서로 맞춤끼움되면서 암수 한 쌍 결합하여 결속고정되는 숫고정수단(2); 및 암고정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상기 안전발판(100)들의 상기 프레임틀에서 서로 밀착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상기 밀착단부(110)들이 상기 숫고정수단(2) 및 암고정수단(3)을 통해 암수 한 쌍 결합하여 일체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상기 안전발판(100)들의 각각의 상기 밀착단부(110)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일체화하면서 연결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안전발판(100)들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1)에서, 상기 숫고정수단(2)은,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상기 안전발판(100)들 중 하나의 상기 안전발판(100)의 일 밀착단부(110)에 형성되며 타 상기 안전발판(100)의 밀착단부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봉(21)과; 상기 고정봉(21)의 종단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봉(2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고정판(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암고정수단(3)은, 상기 숫고정수단(2)이 구비된 상기 안전발판(100)의 밀착단부(110)에 밀착되면서 결속되는 타 상기 안전발판(100)의 밀착단부(110)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22)이 내부로 진입하도록 맞춤되는 내경을 가지는 진입요부(31)와; 상기 진입요부(31)의 내측에서 상기 밀착단부(110)의 외측단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21)의 외경이 진입하도록 맞춤되는 내경을 가지고 내측 테두리부위를 통해 상기 고정판(22)이 걸림고정되는 고정요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한 쌍을 형성하는 상기 숫고정수단(2)과 상기 암고정수단(3)의 맞춤되는 끼움결속을 통해 안전발판(100)들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화하면서 고정될 때, 상기 고정판(22)이 상기 진입요부(31)를 통해 상기 밀착단부(110)를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틀을 관통하면서 삽입되며, 이때 상기 진입요부(31)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봉(21)이 위치되고, 각각의 상기 밀착단부(110)들은 서로 면접촉하면서 대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기 진입요부(31)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봉(21)이 위치되면서 상기 밀착단부(110)들은 서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숫고정수단(2)이 구비된 상기 안전발판(100)을 상기 암고정수단(3)이 구비된 타 상기 안전발판(100)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진입요부(31)에 배치된 상기 고정봉(21)이 상기 고정요부(32)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결속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봉(21)이 상기 고정요부(32)에 결속되면서, 상기 고정요부(32)의 내측 테두리부위에 대하여 상기 고정판(22)이 걸림고정되어 결속상태가 더욱 확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숫고정수단(2) 및 상기 암고정수단(3)의 결합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어 신속하게 시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숫고정수단(2) 및 상기 암고정수단(3)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 향상을 통해 경제적 이익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요부(32)의 내측면과 상기 진입요부(31)의 내측면은, 서로 경사면을 통해 연결되며; 이때, 상기 고정요부(32)의 내경이 상기 진입요부(31)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암고정수단(3)의 전체형상은, '절첩부채'의 펼쳐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1)에서, 상기 암고정수단(3)의 상기 고정요부(32)에는, 상기 고정봉(21)이 억지끼움되면서 상기 진입요부(31)측 방향으로 걸림되도록 된 걸림턱(3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턱(33)을 통해 상기 고정봉(21)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봉(21)이 상기 고정요부(32)에서 상기 진입요부(31)측 방향으로 무단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숫고정수단(2) 및 상기 암고정수단(3)의 결합상태를 더욱 확고히 유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걸림턱(33)은, 상기 고정요부(32)에서 상부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봉(21)의 상면을 살짝 눌리듯 가압하여 억지끼움결속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걸림턱(33)의 돌출크기 및 돌출형상은, 상기 고정봉(21)이 상기 진입요부(31)에서 상기 고정요부(32)로 이동될 때, 탄력적으로 억지끼움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리될 때에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가압하중에 의해 탄력적으로 관통하여 이동되는 돌출크기 및 돌출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1)에서, 상기 암고정수단(3)이 구비된 밀착단부(110)의 하단에는, 상기 숫고정수단(2)이 구비된 밀착단부(110)의 하단 일부위를 받치면서 지지하도록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편(4);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편(4)에는, 상기 숫고정수단(2)이 구비된 밀착단부(110)의 하단을 수용하면서 끼움결속하도록 된 지지결속요부(4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안전발판(100)들이 서로 일체화하면서 고정될 때, 상기 지지편(4) 및 지지결속요부(41)를 통해 상기 숫고정수단(2)이 구비된 상기 밀착단부(110)의 하단을 확고히 고정하여 상기 안전발판(100)들의 결합시 유격오차가 없도록 됨에 따라, 작업바닥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더욱 구현하게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안전발판(100)의 연결고정작업시에 상기 암고정수단(3)이 구비된 상기 안전발판(100)에 대하여 상기 숫고정수단(2)이 구비된 상기 밀착단부(110)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안내하도록 되어, 작업의 안전성과 작업의 정밀성을 더욱 구현하게 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지결속요부(41)는, 상기 지지편(4)의 종단이 상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연장편(42)과 상기 지지편(4)의 상면의 사이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100 : 안전발판 110 : 밀착단부
2 : 숫고정수단 21 : 고정봉
22 : 고정판
3 : 암고정수단 31 : 진입요부
32 : 고정요부 33 : 걸림턱
4 : 지지편 41 : 지지결속요부
42 : 연장편

Claims (4)

  1. 연결하고자 하는 각각의 안전발판(100)들의 각각의 프레임틀들에서 서로 마주보면서 밀착되는 밀착단부(110)들에 각각 구비되며, 서로 맞춤끼움되면서 암수 한 쌍 결합하여 결속고정되는 숫고정수단(2); 및 암고정수단(3);을 포함하는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1)에 있어서;
    상기 숫고정수단(2)은,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상기 안전발판(100)들 중 하나의 상기 안전발판(100)의 일 밀착단부(110)에 형성되며 타 상기 안전발판(100)의 밀착단부(110)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봉(21)과, 상기 고정봉(21)의 종단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봉(2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고정판(22)을 포함하며;
    상기 암고정수단(3)은,
    상기 숫고정수단(2)이 구비된 상기 안전발판(100)의 밀착단부(110)에 밀착되면서 결속되는 타 상기 안전발판(100)의 밀착단부(110)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22)이 내부로 진입하도록 맞춤되는 내경을 가지는 진입요부(31)와, 상기 진입요부(31)의 내측에서 상기 밀착단부(110)의 외측단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21)의 외경이 진입하도록 맞춤되는 내경을 가지고 내측 테두리부위를 통해 상기 고정판(22)이 걸림고정되는 고정요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21781A 2021-09-13 2021-09-13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KR102516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781A KR102516781B1 (ko) 2021-09-13 2021-09-13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KR1020220174440A KR20230039591A (ko) 2021-09-13 2022-12-14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781A KR102516781B1 (ko) 2021-09-13 2021-09-13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4440A Division KR20230039591A (ko) 2021-09-13 2022-12-14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993A KR20230038993A (ko) 2023-03-21
KR102516781B1 true KR102516781B1 (ko) 2023-03-30

Family

ID=858009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781A KR102516781B1 (ko) 2021-09-13 2021-09-13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KR1020220174440A KR20230039591A (ko) 2021-09-13 2022-12-14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4440A KR20230039591A (ko) 2021-09-13 2022-12-14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67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674B1 (ko) * 2018-05-31 2019-01-02 이재웅 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839B1 (ko) 2014-04-10 202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전력 크기 조절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659258B1 (ko) 2014-06-12 2016-09-23 주식회사 케이엔제이 패널 에지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80069508A (ko)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룸의 격벽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674B1 (ko) * 2018-05-31 2019-01-02 이재웅 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993A (ko) 2023-03-21
KR20230039591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4430B1 (en) Peripheral slab formwork system
JP5314994B2 (ja) 親綱支柱
CN113250450A (zh) 平衡梁
WO2005001220A1 (en) Improvements in scaffolding brackets
KR102516781B1 (ko)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CA2570528A1 (en) Fittings for builders' trestles
KR20080037348A (ko) 비계 발판
KR20130007502U (ko)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KR101895448B1 (ko) 합벽지지대용 앙카볼트 고정구
KR101599139B1 (ko) 비계
KR100559118B1 (ko) 고소 작업대
KR20120014569A (ko) 비계 부재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 및 비계 시스템을 세우기 위한 방법
KR102375486B1 (ko)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KR200438983Y1 (ko) 조립식 작업대
KR102181982B1 (ko) 가설구조물용 발판
KR101973798B1 (ko) 비계용 토보드
JP6574726B2 (ja) 仮設足場における階段開口部の手摺枠
JP7348148B2 (ja) 仮設足場における階段開口部用手すり枠
KR20200100249A (ko) 비계발판
JP7050376B1 (ja) 支柱補強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仮設足場
JP3236083U (ja) 仮設足場用幅木
KR200481467Y1 (ko)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
KR20190011579A (ko) 비계
JP6968327B1 (ja) 単管足場用先行筋交い及び仮設足場
KR102511294B1 (ko) 건축용 안전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