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579A - 비계 - Google Patents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579A
KR20190011579A KR1020170094283A KR20170094283A KR20190011579A KR 20190011579 A KR20190011579 A KR 20190011579A KR 1020170094283 A KR1020170094283 A KR 1020170094283A KR 20170094283 A KR20170094283 A KR 20170094283A KR 20190011579 A KR20190011579 A KR 20190011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unit
footrest
axis direc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다인
채수윤
Original Assignee
(주)동은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은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동은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17009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1579A/ko
Publication of KR2019001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에 관한 것으로,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수평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수평바와 직교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수평바, Z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바의 가상의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바, 상기 제1 및 제2 수평바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바와 결합되어 작업자가 이동하는 통로의 바닥이 되는 발판유닛, 상기 발판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판유닛을 상기 제1 수평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발판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판유닛을 상기 제2 수평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계{SCAFFOLD}
본 발명은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공사는 철골조, 철근콘크리트 등 각종 구조시스템에 따라 기둥, 보, 슬래브 등을 구축하여 건물의 뼈대를 형성하는 골조공사와, 골조공사 완료 후 완성된 골조의 외부표면에 타일, 석재, 커튼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등 각종 마감재를 시공하여 건물의 외벽을 장식하는 마감공사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건축 및 토목 공사장이나 선박을 제조하는 조선소 등의 현장에서는 비계를 이용하여 지주를 설치하고, 지주와 이웃하는 다른 지주 사이에는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작업발판은 발판의 모서리에 구비된 갈고리 형상을 갖는 각각의 고정구에 의하여 비계에 고정된다. 종래 작업발판을 가설구조물의 파이프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철선으로 감아서 작업발판을 파이프에 고정시켰다. 이 경우 철선을 감아서 작업을 하므로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이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해체시 철선을 절단하하므로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철선을 절단하면 작업 현장의 바닥에 절단된 철선이 놓여져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에 관해 등록실용신안 432768호의 작업발판용 고정구가 제안되었다.
즉, 종래 비계는 건물의 외벽 전체에 설치되기 때문에 다량의 버팀부재가 사용되며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장작업의 완료시 비계의 해체가 어려워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해체된 자재들의 재활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는 작업에 필요한 각종 작업도구 및 부품을 작업발판의 상측에 올려놓고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작업도중 부주의하여 작업도구 및 부품을 건드리게 되면, 상기 작업도구 및 부품이 작업발판의 아래측으로 낙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와 같이 낙하된 작업도구 및 부품이 작업발판의 아래측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신체 부분을 가격하게 되어 작업자에 심각한 상해를 입히게 되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판유닛과 수평바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비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계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수평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수평바와 직교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수평바, Z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바의 가상의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바, 상기 제1 및 제2 수평바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바와 결합되어 작업자가 이동하는 통로의 바닥이 되는 발판유닛, 상기 발판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판유닛을 상기 제1 수평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발판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판유닛을 상기 제2 수평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는 중앙에 위치되는 중앙홀을 통해 상기 수직바와 결합되는 바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결합부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결합홀을 포함하는 직교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바는 양단에 상기 바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 수평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결합부는, 상기 제1 수평바와 결합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며, Z축 방향으로 홀을 포함하는 2 개의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결합부는 2 개의 상기 제1 연장부 사이에 X축 방향으로 함몰된 제1 수평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바는 양단에 상기 바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수평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결합부는, 상기 제2 수평바와 결합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며, Z축 방향으로 홀을 포함하는 2 개의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결합부는 2 개의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Y축 방향으로 함몰된 제2 수평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는 상기 제1 연장부의 홀과 상기 직교돌출부의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수평바와 상기 수직바를 결합시키는 제1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Z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되며 제1 상부홀을 포함하는 제1 상부연장부, 및 상기 제1 상부연장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상부홀의 크기보다 큰 제1 하부홀을 포함하는 제1 하부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며, 일단에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1 상부홀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1 하부홀의 크기보다 작은 제1 볼록부, 및 타단에 돌출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1 상부홀의 크기보다 큰 제1 머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부의 홀과 상기 직교돌출부의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수평바와 상기 수직바를 결합시키는 제2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Z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되며 제2 상부홀을 포함하는 제2 상부연장부, 및 상기 제2 상부연장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상부홀의 크기보다 큰 제2 하부홀을 포함하는 제2 하부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며, 일단에 X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2 상부홀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2 하부홀의 크기보다 작은 제2 볼록부, 및 타단에 돌출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2 상부홀의 크기보다 큰 제2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유닛은 상기 발판유닛의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고정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발판유닛의 측면에서 Y축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제1 고정부가 슬라이딩되는 제1 슬라이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양단이 절곡된 ㄷ자 형태를 이루며, 절곡된 일단 부분에 돌출되어 위치되는 제1 슬라이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고정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부가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내측 끝단에 위치되면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외측 끝단에 위치되면 상기 발판유닛과 상기 제1 수평바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연통되는 제1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홈은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부가 삽입되는 입구측이 상기 발판유닛의 측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절곡된 타단 부분에 돌출된 안착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돌기부는 상기 제1 삽입홈의 입구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고정부를 상기 제1 수용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발판유닛은, 상기 발판유닛의 일단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제2 수평바와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발판부, 상기 발판유닛의 타단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제2 수평바와 결합되고 양측의 볼록부 사이에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2 발판부, 상기 제1 발판부의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고정부를 수용하는 제2a 수용부, 및 상기 제2 발판부의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고정부를 수용하는 제2b 수용부를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발판유닛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발판부가 상기 제2 발판부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a 수용부는, 상기 제1 발판부의 측면에서 X축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가 슬라이딩되는 제2a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b 수용부는, 상기 제2 발판부의 볼록부 측면에서 X축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가 슬라이딩되는 제2b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양단이 절곡된 ㄷ자 형태를 이루며, 절곡된 일단 부분에 돌출되어 위치되는 제2 슬라이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돌기부는 상기 제2a 또는 제2b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고정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돌기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2a 또는 제2b 슬라이딩홈의 외측 끝단에 위치되면 상기 발판유닛과 상기 제2 수평바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a 수용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돌기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a 슬라이딩홈과 연통되고 상기 제1 발판부의 측면으로 개방되는 제2a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b 수용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돌기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b 슬라이딩홈과 연통되고 상기 제2 발판부의 볼록부 측면으로 개방되는 제2b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는 상기 발판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발판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발판부의 돌출된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2 발판부의 볼록부로 각각 연장되는 2 개의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발판부 중앙에서 상기 제2 발판부의 오목부 중앙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발판부에 연장된 2 개의 제1 지지부 사이의 길이보다 상기 제2 발판부에 연장된 2 개의 제1 지지부 사이의 길이가 더 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는 상기 발판유닛 및 제1 수평바와 결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발판유닛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결합홈과 결합되며 중앙에 중앙중공을 포함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수평바와 접촉되며 중앙에 상기 중앙중공과 연통되는 중공을 포함하고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제2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1 탄성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평바와 접촉되는 면에 복수 개의 원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는, 상부 보다 하부의 직경이 큰 원뿔대 형태인 상부탄성부, 및 상기 상부탄성부의 하부 직경과 원기둥 형태의 상기 제2 탄성부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원기둥 형태인 하부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탄성부와 하부탄성부는 상기 중앙중공과 측면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유닛과 수평바를 결합시키는 고정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비계를 해체하는 경우 발판유닛과 수평바 등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고정부가 발판유닛과 수평바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설치나 해체 시에 소음 발생이 적다.
발판유닛이 제1 및 제2 수평바의 상측에 설치되어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안전성과 내구성이 높고, 발판유닛과 제1 및 제2 수평바 사이에 빈 공간이 없어 틈 아래로 물건이 떨어지는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수평결합부가 수평홈과 상하부홀을 포함하여 바결합부 및 걸림부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다.
제1 삽입홈이 발판유닛의 측면으로 개구되어 있고, 제2a 삽입홈이 제1 발판부의 측면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제2b 삽입홈이 제2 발판부의 볼록부 측면으로 개구되어 있어 비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걸림부에 볼록부가 있어 걸림부가 수평결합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이웃하는 발판유닛의 제1 발판부의 볼록부와 제2 발판부의 오목부가 삽입결합되어 이웃하는 발판유닛 사이에 빈 공간을 없게하여 발판유닛 사이의 틈 아래로 물건이 떨어지거나 작업자가 이동 중 틈에 발이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가 제1 발판부와 제2 발판부를 지지하여 발판유닛의 제2 수평바와의 결합강도와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부는 발판유닛과 제1 수평바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비계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발판유닛과 수평바 사이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중앙중공, 개구부, 하부탄성부, 제2 탄성부의 중공 및 원형돌기는 탄성부의 빈 공간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발판유닛과 수평바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고 발판유닛과 제1 수평바의 마찰과 소음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수직바와 결합된 바결합부와 수평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수평결합부와 걸림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제1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제1 수용부의 단면도와 제1 고정부의 이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제1 발판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제2 발판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제2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제2 수용부의 단면도와 제2 고정부의 이동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탄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탄성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일실시예의 탄성부 밑면의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계(2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수직바(300)와 결합된 바결합부(700)와 수평바(100, 200)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수평결합부(110, 210)와 걸림부(800, 90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제1 고정부(50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제1 수용부(410)의 단면도와 제1 고정부(500)의 이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비계(2000)는 수평바(100, 200), 수직바(300), 발판유닛(400), 고정부(500, 600), 바결합부(700), 걸림부(800, 900), 지지부(1000), 탄성부(1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계(200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수평바(100),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수평바(100)와 직교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수평바(200), Z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및 제2 수평바(100, 200)의 가상의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바(300), 상기 제1 및 제2 수평바(100, 200)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바(100, 200)와 결합되어 작업자가 이동하는 통로의 바닥이 되는 발판유닛(400), 발판유닛(4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발판유닛(400)을 제1 수평바(1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고정부(500), 및 발판유닛(4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발판유닛(400)을 제2 수평바(2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고정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계(2000)는 중앙에 위치되는 중앙홀(710)을 통해 수직바(300)와 결합되는 바결합부(700)를 더 포함하며, 바결합부(700)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결합홀(730)을 포함하는 직교돌출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수평바(10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발판유닛(400)의 하부에서 발판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수평바(100)는 건축물 등의 외벽을 시공하는 경우 외벽 등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2 줄로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수평바(200)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수평바(100)와 직교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발판유닛(400)의 하부에서 발판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수직바(30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수평바(100)와 제2 수평바(200)의 가상의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것으로, 수평바(100, 200)와 결합하여 수평바(100, 200)를 지지하는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결합부(700)는 수직바(300) 및 수평바(100, 200)와 결합되어 수평바(100, 200)를 수직바(3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중앙홀(710)과 직교돌출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결합부(700)는 중앙에 위치되는 중앙홀(710)을 통해 수직바(30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바결합부(700)는 수직바(300)와 용접결합될 수 있다. 직교돌출부(720)는 이웃하는 돌출 부분의 가상 중심선이 서로 직교되게 X축 및 Y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내부에 후술하는 걸림부(800, 900)가 삽입되는 결합홀(7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바(100)는 양단에 바결합부(700)와 결합되는 제1 수평결합부(110)를 포함하며, 제1 수평결합부(110)는, 제1 수평바(100)와 결합되는 제1 베이스부(120), 및 제1 베이스부(120)에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며, Z축 방향으로 홀(132, 136)을 포함하는 2 개의 제1 연장부(130)를 포함하고, 제1 수평결합부(110)는 2 개의 제1 연장부(130) 사이에 X축 방향으로 함몰된 제1 수평홈(140)을 포함하며, 비계(2000)는 제1 연장부(130)의 홀(132, 136)과 직교돌출부(720)의 결합홀(730)을 관통하여 제1 수평바(100)와 수직바(300)를 결합시키는 제1 걸림부(800)를 더 포함하며, 제1 연장부(130)는, Z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되며 제1 상부홀(132)을 포함하는 제1 상부연장부(131), 및 제1 상부연장부(131)의 하측에 위치되며 제1 상부홀(132)의 크기보다 큰 제1 하부홀(136)을 포함하는 제1 하부연장부(135)를 포함하며, 제1 걸림부(80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며, 일단에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되며 제1 상부홀(132)의 크기보다 크고 제1 하부홀(136)의 크기보다 작은 제1 볼록부(810) 및 타단에 돌출되어 위치되며 제1 상부홀(132)의 크기보다 큰 제1 머리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수평결합부(110)는 제1 수평바(100)의 양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 수평바(100)를 바결합부(7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베이스부(120), 제1 연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20)는 제1 수평바(10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 수평결합부(110)의 몸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연장부(130)는 제1 베이스부(120)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가운데 부분에 중공이 생기도록 서로 이격되어 두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홀(132, 13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연장부(130)는 Z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제1 상부연장부(131)와 제1 상부연장부(131)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1 하부연장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상부홀(132)은 제1 상부연장부(131)에 위치되는 것으로, Z축 방향으로 개방되어 후술하는 걸림부(800)가 관통할 수 있다. 제1 하부홀(136)은 제1 하부연장부(135)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 상부홀(132)의 크기보다 크며 Z축 방향으로 개방되어 제1 상부홀(132)을 관통한 걸림부(800)가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평홈(140)은 제1 상부연장부(131)와 제1 하부연장부(135)가 이격되어 형성된 중공에 생기는 홈으로 제1 수평결합부(110)가 바결합부(700)에 삽입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걸림부(80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로, 제1 연장부(130)의 홀(132, 136)과 직교돌출부(720)의 결합홀(730)을 관통하여 제1 수평바(100)와 수직바(3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볼록부(810)와 제1 머리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볼록부(810)는 제1 걸림부(800)의 하측인 일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 수평바(100)의 연장방향과 직교방향인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볼록부(810)는 제1 상부홀(132)의 크기보다 크고 제1 하부홀(136)의 크기보다 작아 제1 수평결합부(110)에 삽입된 제1 걸림부(800)가 제1 상부홀(132)에 걸려 제1 수평결합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머리부(820)는 제1 걸림부(800)의 상측인 타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 상부홀(13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평바(200)는 양단에 바결합부(700)와 결합되는 제2 수평결합부(210)를 포함하며, 제2 수평결합부(210)는, 제2 수평바(200)와 결합되는 제2 베이스부(220), 및 제2 베이스부(220)에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며, Z축 방향으로 홀을 포함하는 2 개의 제2 연장부(230)를 포함하고, 제2 수평결합부(210)는 2 개의 제2 연장부(230) 사이에 Y축 방향으로 함몰된 제2 수평홈(240)을 포함하며, 비계(2000)는 제2 연장부(230)의 홀과 직교돌출부(720)의 결합홀(730)을 관통하여 제2 수평바(200)와 수직바(300)를 결합시키는 제2 걸림부(900)를 더 포함하며, 제2 연장부(230)는, Z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되며 제2 상부홀(232)을 포함하는 제2 상부연장부(231), 및 제2 상부연장부(231)의 하측에 위치되며 제2 상부홀(232)의 크기보다 큰 제2 하부홀(236)을 포함하는 제2 하부연장부(235)를 포함하며, 제2 걸림부(90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며, 일단에 X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되며 제2 상부홀(232)의 크기보다 크고 제2 하부홀(236)의 크기보다 작은 제2 볼록부(910), 및 타단에 돌출되어 위치되며 제2 상부홀(232)의 크기보다 큰 제2 머리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수평결합부(210)는 제2 수평바(200)의 양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2 수평바(200)를 바결합부(7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베이스부(220), 제2 연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20)는 제2 수평바(20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2 수평결합부(210)의 몸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연장부(230)는 제2 베이스부(220)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가운데 부분에 중공이 생기도록 서로 이격되어 두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홀(232, 23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연장부(230)는 Z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제2 상부연장부(231)와 제2 상부연장부(231)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 하부연장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상부홀(232)은 제2 상부연장부(231)에 위치되는 것으로, Z축 방향으로 개방되어 후술하는 걸림부(900)가 관통할 수 있다. 제2 하부홀(236)은 제2 하부연장부(235)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2 상부홀(232)의 크기보다 크며 Z축 방향으로 개방되어 제2 상부홀(232)을 관통한 걸림부(900)가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평홈(240)은 제2 상부연장부(231)와 제2 하부연장부(235)가 이격되어 형성된 중공에 생기는 홈으로 제2 수평결합부(210)가 바결합부(700)에 삽입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걸림부(900)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로, 제2 연장부(230)의 홀(232, 236)과 직교돌출부(720)의 결합홀(730)을 관통하여 제2 수평바(200)와 수직바(3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볼록부(910)와 제2 머리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볼록부(910)는 제2 걸림부(900)의 하측인 일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2 수평바(200)의 연장방향과 직교방향인 X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볼록부(910)는 제2 상부홀(232)의 크기보다 크고 제2 하부홀(236)의 크기보다 작아 제2 수평결합부(210)에 삽입된 제2 걸림부(900)가 제2 상부홀(232)에 걸려 제2 수평결합부(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머리부(920)는 제2 걸림부(900)의 상측인 타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2 상부홀(23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발판유닛(400)은 발판유닛(400)의 측면에 위치되며 제1 고정부(500)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410)를 포함하며, 제1 수용부(410)는 발판유닛(400)의 측면에서 Y축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위치되고 제1 고정부(500)가 슬라이딩되는 제1 슬라이딩홈(4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500)는 양단이 절곡된 ㄷ자 형태를 이루며, 절곡된 일단 부분에 돌출되어 위치되는 제1 슬라이딩돌기부(510)를 포함하고, 제1 슬라이딩돌기부(510)는 제1 슬라이딩홈(411)에 삽입되어 제1 고정부(500)를 이동시키며, 제1 고정부(500)는, 제1 슬라이딩돌기부(510)가 제1 슬라이딩홈(411)의 내측 끝단에 위치되면 제1 수용부(410)에 수용되고, 제1 슬라이딩돌기부(510)가 슬라이딩되어 제1 슬라이딩홈(411)의 외측 끝단에 위치되면 발판유닛(400)과 제1 수평바(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수용부(410)는 제1 슬라이딩돌기부(510)가 삽입되며 제1 슬라이딩홈(411)과 연통되는 제1 삽입홈(412)을 포함하며, 제1 삽입홈(412)은 제1 슬라이딩돌기부(510)가 삽입되는 입구(413)측이 발판유닛(400)의 측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500)는 절곡된 타단 부분에 돌출된 안착돌기부(520)를 더 포함하며, 안착돌기부(520)는 제1 삽입홈(412)의 입구(413)측에 삽입되어 제1 고정부(500)를 제1 수용부(4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발판유닛(400)은 제1 및 제2 수평바(100, 200)의 상측에 위치되며, 후술하는 고정부(500, 600)에 의해 제1 및 제2 수평바(100, 200)와 결합되어 작업자가 이동하는 통로의 바닥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용부(410, 440, 450), 발판부(420, 430), 및 결합홈(4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수용부(410)는 발판유닛(400)의 측면으로부터 발판유닛(400) 내측으로 홈 형태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1 고정부(50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슬라이딩홈(411)과 제1 삽입홈(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홈(411)은 발판유닛(400)의 측면에서 Y축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위치되는 것으로, 제1 고정부(500)가 슬라이딩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삽입홈(412)은 제1 슬라이딩홈(411)과 연통되며 후술하는 제1 슬라이딩돌기부(510)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412)의 입구(413)측이 발판유닛(400)의 측면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제1 슬라이딩돌기부(510)가 삽입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삽입홈(412)이 발판유닛(400)의 측면으로 개구되어 있어 비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부(500)는 양단이 절곡된 ㄷ자 형태를 이루며, 발판유닛(4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판유닛(400)과 제1 수평바(10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슬라이딩돌기부(510)와 안착돌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돌기부(510)는 절곡된 제1 고정부(500)의 일단 부분에 돌출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제1 슬라이딩홈(411)에 삽입되어 일자 형태의 제1 슬라이딩홈(411)을 왕복함으로써 제1 고정부(500)를 발판유닛(4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안착돌기부(520)는 절곡된 제1 고정부(500)의 타단에 돌출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제1 수용부(410) 제1 삽입홈(412)의 입구(413)측에 삽입되어 제1 고정부(500)를 제1 수용부(410)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 슬라이딩돌기부(510)가 제1 슬라이딩홈(411)의 내측 끝단에 위치되는 경우 안착돌기부(520)는 제1 삽입홈(412)의 입구(413)측에 삽입되어 제1 고정부(500)가 제1 수용부(41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고정부(500)는 도 6(a)의 예시와 같이 제1 슬라이딩돌기부(510)가 제1 슬라이딩홈(411)의 내측 끝단에 위치되는 경우 제1 수용부(410)에 수용되고, 도 6(b)(c)의 예시와 같이 제1 슬라이딩돌기부(510)가 슬라이딩되어 제1 슬라이딩홈(411)의 외측 끝단에 위치되는 경우 발판유닛(400)과 제1 수평바(1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발판유닛(400)과 제1 수평바(100)를 결합하고 있는 제1 고정부(500)를 발판유닛(400)과 제1 수평바(100)를 결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발판유닛(400)과 제1 수평바(100)의 결합을 분리할 수 있다. 즉 도 6의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제1 고정부(500)를 이동시켜 발판유닛(400)과 제1 수평바(1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지하여 발판유닛(400), 제1 고정부(500), 및 제1 수평바(100)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제1 발판부(42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제2 발판부(430)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제2 고정부(60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제2 수용부(440, 450)의 단면도와 제2 고정부(600)의 이동상태도이다.
발판유닛(400)은, 발판유닛(400)의 일단에 위치되며, 제2 고정부(600)에 의해 제2 수평바(200)와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발판부(420), 발판유닛(400)의 타단에 위치되며, 제2 고정부(600)에 의해 제2 수평바(200)와 결합되고 양측의 볼록부(431) 사이에 오목부(432)를 포함하는 제2 발판부(430), 제1 발판부(420)의 측면에 위치되며 제2 고정부(600)를 수용하는 제2a 수용부(440), 및 제2 발판부(430)의 측면에 위치되며 제2 고정부(600)를 수용하는 제2b 수용부(450)를 포함하며, 이웃하는 발판유닛(400)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발판부(420)가 제2 발판부(430)의 오목부(432)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a 수용부(440)는, 제1 발판부(420)의 측면에서 X축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위치되고 제2 고정부(600)가 슬라이딩되는 제2a 슬라이딩홈(441)을 포함하며, 제2b 수용부(450)는, 제2 발판부(430)의 볼록부(431) 측면에서 X축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위치되고 제2 고정부(600)가 슬라이딩되는 제2b 슬라이딩홈(451)을 포함하며, 제2 고정부(600)는 양단이 절곡된 ㄷ자 형태를 이루며, 절곡된 일단 부분에 돌출되어 위치되는 제2 슬라이딩돌기부(610)를 포함하고, 제2 슬라이딩돌기부(610)는 제2a 또는 제2b 슬라이딩홈(441, 451)에 삽입되어 제2 고정부(600)를 이동시키며, 제2 고정부(600)는, 제2 슬라이딩돌기부(610)가 슬라이딩되어 제2a 또는 제2b 슬라이딩홈(441, 451)의 외측 끝단에 위치되면 발판유닛(400)과 제2 수평바(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2a 수용부(440)는 제2 슬라이딩돌기부(610)가 삽입되며 제2a 슬라이딩홈(441)과 연통되고 제1 발판부(420)의 측면으로 개방되는 제2a 삽입홈(442)을 포함하고, 제2b 수용부(450)는 제2 슬라이딩돌기부(610)가 삽입되며 제2b 슬라이딩홈(451)과 연통되고 제2 발판부(430)의 볼록부(431) 측면으로 개방되는 제2b 삽입홈(4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발판부(420)는 발판유닛(400)의 일단에 돌출되어 제2 수평바(200)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2 고정부(600)에 의해 제2 수평바(2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발판부(430)는 발판유닛(400)의 타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양측의 볼록부(431) 사이에 오목부(432)를 포함하는 형태로 2 개의 볼록부(431)가 제2 수평바(200) 위에 설치되어 제2 고정부(600)에 의해 제2 수평바(2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a 수용부(440)는 제1 발판부(420)의 측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2 고정부(60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a 슬라이딩홈(441)과 제2a 삽입홈(4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a 슬라이딩홈(441)은 제1 발판부(420)의 측면에서 X축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위치되는 것으로, 제2 고정부(600)가 슬라이딩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a 삽입홈(442)은 제2a 슬라이딩홈(441)과 연통되며 후술하는 제2 슬라이딩돌기부(610)가 삽입되는 제2a 삽입홈(442)의 입구(443)측이 제1 발판부(420)의 측면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제2 슬라이딩돌기부(610)가 삽입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a 삽입홈(442)이 제1 발판부(420)의 측면으로 개구되어 있어 비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제2b 수용부(450)는 제2 발판부(430)의 볼록부(431) 측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2 고정부(60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b 슬라이딩홈(451)과 제2b 삽입홈(4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b 슬라이딩홈(451)은 제2 발판부(430)의 볼록부(431) 측면에서 X축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위치되는 것으로, 제2 고정부(600)가 슬라이딩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b 삽입홈(452)은 제2b 슬라이딩홈(451)과 연통되며 후술하는 제2 슬라이딩돌기부(610)가 삽입되는 제2b 삽입홈(452)의 입구(453)측이 제2 발판부(430)의 볼록부(431) 측면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제2 슬라이딩돌기부(610)가 삽입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b 삽입홈(452)이 제2 발판부(430)의 볼록부(431) 측면으로 개구되어 있어 비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발판유닛(400)은 제1 발판부(420)의 볼록부(431)가 제2 발판부(430)의 볼록부(431) 사이의 오목부(432)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판유닛(400)의 배치는 발판유닛(400) 사이의 빈 공간을 최소화하여 발판유닛(400) 사이로 물체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발판유닛(400) 사이의 이격으로 인해 넘어지거나 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고정부(600)는 양단이 절곡된 ㄷ자 형태를 이루며, 발판유닛(4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판유닛(400)과 제2 수평바(20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 슬라이딩돌기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돌기부(610)는 절곡된 제2 고정부(600)의 일단 부분에 돌출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제2a 또는 제2b 슬라이딩홈(441, 451)에 삽입되어 일자 형태의 제2a 또는 제2b 슬라이딩홈(441, 451)을 왕복함으로써 제2 고정부(600)를 발판유닛(4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고정부(600)는 제2a 수용부(440) 2 곳과 제2b 수용부(450) 2 곳의 총 4 개의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고정부(600)는 도 10의 예시와 같이 제2 슬라이딩돌기부(610)가 슬라이딩되어 제2a 또는 제2b 슬라이딩홈(441, 451)의 내측 끝단에 위치되는 경우 발판유닛(400)과 제2 수평바(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발판유닛(400)과 제2 수평바(200)를 결합하고 있는 제2 고정부(600)를 발판유닛(400)과 제2 수평바(200)를 결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발판유닛(400)과 제2 수평바(200)의 결합을 분리할 수 있다. 즉 도 10의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제2 고정부(600)를 이동시켜 발판유닛(400)과 제2 수평바(2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지하여 발판유닛(400), 제2 고정부(600), 및 제2 수평바(200)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지지부(1000)의 사시도이다.
비계(2000)는 발판유닛(4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발판유닛(400)을 지지하는 지지부(1000)를 더 포함하며, 지지부(1000)는, 제1 발판부(420)의 돌출된 양단으로부터 제2 발판부(430)의 볼록부(431)로 각각 연장되는 2 개의 제1 지지부(1010), 및 제1 발판부(420) 중앙에서 제2 발판부(430)의 오목부(432) 중앙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1020)를 포함하며, 제1 발판부(420)에 연장된 2 개의 제1 지지부(1010) 사이의 길이보다 제2 발판부(430)에 연장된 2 개의 제1 지지부(1010) 사이의 길이가 더 긴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1000)는 발판유닛(400)의 하부에 위치되는 막대 형태로, 발판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지지부(1010, 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010)는 제1 발판부(420)의 돌출된 양단으로부터 제2 발판부(430)의 2 개의 볼록부(431)로 각각 연장되는 2 개의 지지부(1000)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발판부(420)의 양단의 길이보다 제2 발판부(430)의 2개의 볼록부(431) 사이의 길이가 더 길어서 제1 발판부(420)에 연장된 2 개의 제1 지지부(1010) 사이의 길이보다 제2 발판부(430)에 연장된 2 개의 제1 지지부(1010) 사이의 길이가 더 길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부(1010)의 배치는 구조적으로 약할 수 있는 제1 발판부(420)와 제2 발판부(430)의 볼록부(431)를 지지하여 발판유닛(400)을 구조적으로 강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020)는 제1 발판부(420)의 중앙으로부터 제2 발판부(430)의 오목부(432) 중앙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수평바(200)와 평행한 지지대를 발판유닛(400) 하부에 설치하여 발판유닛(400)을 격자 형태의 지지부(1000)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탄성부(110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탄성부(1100)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2000) 일실시예의 탄성부(1100) 밑면의 사시도이다.
비계(2000)는 발판유닛(400) 및 제1 수평바(100)와 결합되는 탄성부(11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부(1100)는, 발판유닛(400)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결합홈(490)과 결합되며 중앙에 중앙중공(1111)을 포함하는 제1 탄성부(1110), 및 제1 수평바(100)와 접촉되며 중앙에 중공(1122)을 포함하고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제2 탄성부(1120)를 포함하며, 제2 탄성부(1120)는 제1 탄성부(1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수평바(100)와 접촉되는 면에 복수 개의 원형돌기(1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1110)는, 상부 보다 하부의 직경이 큰 원뿔대 형태인 상부탄성부(1112), 및 상부탄성부(1112)의 하부 직경과 원기둥 형태의 제2 탄성부(1120)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원기둥 형태인 하부탄성부(1113)를 포함하며, 상부탄성부(1112)와 하부탄성부(1113)는 중앙중공(1111)과 측면을 관통하는 개구부(1114)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1100)는 발판유닛(400)의 결합홈(490)에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제1 수평바(100)와 접촉되어 발판유닛(400)과 제1 수평바(100)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탄성부(1110)와 제2 탄성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홈(490)은 발판유닛(400)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 수평바(100)의 상측에 위치하여 발판유닛(400)과 제1 수평바(100)가 접촉될 수 있는 부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홈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결합홈(490)은 발판유닛(400)을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제1 탄성부(1110)는 결합홈(490)과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 중앙에 중앙중공(11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탄성부(1112)와 하부탄성부(1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또는 도 1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중앙중공(1111)은 제1 탄성부(1110) 상측으로 개방되고 후술하는 제2 탄성부(1120)의 중공(1122)과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탄성부(1112)는 상부 보다 하부의 직경이 큰 원뿔대 형태일 수 있다. 하부탄성부(1113)는 상부탄성부(1112)의 하부 직경과 원기둥 형태인 후술하는 제2 탄성부(1120)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원기둥 형태로 상부탄성부(1112)와 제2 탄성부(1120) 사이에서 오목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1114)는 상부탄성부(1112)와 하부탄성부(1113)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탄성부(1110)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중공(1111)과 연통되어 제1 탄성부(1110)의 측면의 일부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탄성부(1120)는 내부에 중공(1122)을 포함하는 원기둥 형태로 하부가 제1 수평바(100)와 접촉되어, 발판유닛(400)과 제1 수평바(100)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원형돌기(1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탄성부(1120)는 제1 탄성부(1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 중공(1122)이 제1 탄성부(1110)의 중앙중공(1111)과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형돌기(1121)는 제2 탄성부(1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원기둥 형태의 돌기가 원형으로 배치되어 탄성부(1100)와 제1 수평바(100)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중앙중공(1111), 개구부(1114), 하부탄성부(1113), 제2 탄성부(1120)의 중공(1122) 및 원형돌기(1121)는 탄성부(1100)의 빈 공간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발판유닛(400)과 수평바(100, 200)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고 발판유닛(400)과 제1 수평바(100)의 마찰과 소음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발판유닛(400)과 수평바(100, 200)를 결합시키는 고정부(500, 6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비계(2000)를 해체하는 경우 발판유닛(400)과 수평바(100, 200) 등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고정부(500, 600)가 발판유닛(400)과 수평바(100, 20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설치나 해체 시에 소음 발생이 적다. 발판유닛(400)이 제1 및 제2 수평바(100, 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내구성이 높고, 발판유닛(400)과 제1 및 제2 수평바(100, 200) 사이에 빈 공간이 없어 틈 아래로 물건이 떨어지는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수평결합부(110, 210)가 수평홈(140, 240)과 상하부홀(132, 136, 232, 236)을 포함하여 바결합부(700) 및 걸림부(800, 900)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다. 제1 삽입홈(412)이 발판유닛(400)의 측면으로 개구되어 있고, 제2a 삽입홈(442)이 제1 발판부(420)의 측면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제2b 삽입홈(452)이 제2 발판부(430)의 볼록부(431) 측면으로 개구되어 있어 비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걸림부(800, 900)에 볼록부(431)가 있어 걸림부(800, 900)가 수평결합부(110, 21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이웃하는 발판유닛(400)의 제1 발판부(420)의 볼록부(431)와 제2 발판부(430)의 오목부(432)가 삽입결합되어 이웃하는 발판유닛(400) 사이에 빈 공간을 없게하여 발판유닛(400) 사이의 틈 아래로 물건이 떨어지거나 작업자가 이동 중 틈에 발이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1000)가 제1 발판부(420)와 제2 발판부(430)를 지지하여 발판유닛(400)의 제2 수평바(200)와의 결합강도와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부(1100)는 발판유닛(400)과 제1 수평바(100)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비계(20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발판유닛(400)과 수평바(100, 200) 사이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 제1 수평바 110 : 제1 수평결합부
120 : 제1 베이스부 130 : 제1 연장부
131 : 제1 상부연장부 132 : 제1 상부홀
135 : 제1 하부연장부 136 : 제1 하부홀
140 : 제1 수평홈 200 : 제2 수평바
210 : 제2 수평결합부 220 : 제2 베이스부
230 : 제2 연장부 231 : 제2 상부연장부
232 : 제2 상부홀 235 : 제2 하부연장부
236 : 제2 하부홀 240 : 제2 수평홈
300 : 수직바 400 : 발판유닛
410 : 제1 수용부 411 : 제1 슬라이딩홈
412 : 제1 삽입홈 420 : 제1 발판부
430 : 제2 발판부 431 : 볼록부
432 : 오목부 440 : 제2a 수용부
441 : 제2a 슬라이딩홈 442 : 제2a 삽입홈
450 : 제2b 수용부 451 : 제2b 슬라이딩홈
452 : 제2b 삽입홈 490 : 결합홈
500 : 제1 고정부 510 : 제1 슬라이딩돌기부
520 : 안착돌기부 600 : 제2 고정부
610 : 제2 슬라이딩돌기부 700 : 바결합부
710 : 중앙홀 720 : 직교돌출부
730 : 결합홀 800 : 제1 걸림부
810 : 제1 볼록부 820 : 제1 머리부
900 : 제2 걸림부 910 : 제2 볼록부
920 : 제2 머리부 1000 : 지지부
1010 : 제1 지지부 1020 : 제2 지지부
1100 : 탄성부 1110 : 제1 탄성부
1111 : 중앙중공 1112 : 상부탄성부
1113 : 하부탄성부 1114 : 개구부
1120 : 제2 탄성부 1121 : 원형돌기
2000 : 비계

Claims (15)

  1.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수평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수평바와 직교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수평바;
    Z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바의 가상의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바;
    상기 제1 및 제2 수평바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바와 결합되어 작업자가 이동하는 통로의 바닥이 되는 발판유닛;
    상기 발판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판유닛을 상기 제1 수평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발판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판유닛을 상기 제2 수평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비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앙에 위치되는 중앙홀을 통해 상기 수직바와 결합되는 바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결합부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결합홀을 포함하는 직교돌출부를 포함하는 비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바는 양단에 상기 바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 수평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결합부는,
    상기 제1 수평바와 결합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며, Z축 방향으로 홀을 포함하는 2 개의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결합부는 2 개의 상기 제1 연장부 사이에 X축 방향으로 함몰된 제1 수평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바는 양단에 상기 바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수평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결합부는,
    상기 제2 수평바와 결합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며, Z축 방향으로 홀을 포함하는 2 개의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평결합부는 2 개의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Y축 방향으로 함몰된 제2 수평홈을 포함하는 비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홀과 상기 직교돌출부의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수평바와 상기 수직바를 결합시키는 제1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Z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되며 제1 상부홀을 포함하는 제1 상부연장부; 및
    상기 제1 상부연장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상부홀의 크기보다 큰 제1 하부홀을 포함하는 제1 하부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며,
    일단에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1 상부홀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1 하부홀의 크기보다 작은 제1 볼록부; 및
    타단에 돌출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1 상부홀의 크기보다 큰 제1 머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부의 홀과 상기 직교돌출부의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수평바와 상기 수직바를 결합시키는 제2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Z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되며 제2 상부홀을 포함하는 제2 상부연장부; 및
    상기 제2 상부연장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상부홀의 크기보다 큰 제2 하부홀을 포함하는 제2 하부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며,
    일단에 X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2 상부홀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2 하부홀의 크기보다 작은 제2 볼록부; 및
    타단에 돌출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2 상부홀의 크기보다 큰 제2 머리부;를 포함하는 비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유닛은 상기 발판유닛의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고정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발판유닛의 측면에서 Y축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제1 고정부가 슬라이딩되는 제1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는 비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양단이 절곡된 ㄷ자 형태를 이루며, 절곡된 일단 부분에 돌출되어 위치되는 제1 슬라이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고정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부가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내측 끝단에 위치되면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홈의 외측 끝단에 위치되면 상기 발판유닛과 상기 제1 수평바를 결합시키는 비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연통되는 제1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홈은 상기 제1 슬라이딩돌기부가 삽입되는 입구측이 상기 발판유닛의 측면으로 개방되는 비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절곡된 타단 부분에 돌출된 안착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돌기부는 상기 제1 삽입홈의 입구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고정부를 상기 제1 수용부에 안착시키는 비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유닛은,
    상기 발판유닛의 일단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제2 수평바와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발판부;
    상기 발판유닛의 타단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제2 수평바와 결합되고 양측의 볼록부 사이에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2 발판부;
    상기 제1 발판부의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고정부를 수용하는 제2a 수용부; 및
    상기 제2 발판부의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고정부를 수용하는 제2b 수용부;를 포함하며,
    이웃하는 상기 발판유닛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발판부가 상기 제2 발판부의 오목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비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a 수용부는, 상기 제1 발판부의 측면에서 X축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가 슬라이딩되는 제2a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b 수용부는, 상기 제2 발판부의 볼록부 측면에서 X축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가 슬라이딩되는 제2b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양단이 절곡된 ㄷ자 형태를 이루며, 절곡된 일단 부분에 돌출되어 위치되는 제2 슬라이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돌기부는 상기 제2a 또는 제2b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고정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돌기부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2a 또는 제2b 슬라이딩홈의 외측 끝단에 위치되면 상기 발판유닛과 상기 제2 수평바를 결합시키는 비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a 수용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돌기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a 슬라이딩홈과 연통되고 상기 제1 발판부의 측면으로 개방되는 제2a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b 수용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돌기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b 슬라이딩홈과 연통되고 상기 제2 발판부의 볼록부 측면으로 개방되는 제2b 삽입홈을 포함하는 비계.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발판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발판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발판부의 돌출된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2 발판부의 볼록부로 각각 연장되는 2 개의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발판부 중앙에서 상기 제2 발판부의 오목부 중앙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발판부에 연장된 2 개의 제1 지지부 사이의 길이보다 상기 제2 발판부에 연장된 2 개의 제1 지지부 사이의 길이가 더 긴 비계.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유닛 및 제1 수평바와 결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비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발판유닛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결합홈과 결합되며 중앙에 중앙중공을 포함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수평바와 접촉되며 중앙에 상기 중앙중공과 연통되는 중공을 포함하고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제2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1 탄성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평바와 접촉되는 면에 복수 개의 원형돌기를 포함하는 비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는,
    상부 보다 하부의 직경이 큰 원뿔대 형태인 상부탄성부; 및
    상기 상부탄성부의 하부 직경과 원기둥 형태의 상기 제2 탄성부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원기둥 형태인 하부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탄성부와 하부탄성부는 상기 중앙중공과 측면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비계.
KR1020170094283A 2017-07-25 2017-07-25 비계 KR20190011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283A KR20190011579A (ko) 2017-07-25 2017-07-25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283A KR20190011579A (ko) 2017-07-25 2017-07-25 비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870A Division KR102029910B1 (ko) 2019-07-18 2019-07-18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579A true KR20190011579A (ko) 2019-02-07

Family

ID=6536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283A KR20190011579A (ko) 2017-07-25 2017-07-25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15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224B1 (ko) * 2023-05-08 2023-10-20 (주)대산이엔지 회피형 공간 구조를 갖는 비계 발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224B1 (ko) * 2023-05-08 2023-10-20 (주)대산이엔지 회피형 공간 구조를 갖는 비계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1579A (ko) 비계
KR101616302B1 (ko) 승강기 통로용 작업발판 고정대
KR100826556B1 (ko) 슬라브용 패널구조체
KR101979700B1 (ko) 토보드시스템
KR101387296B1 (ko)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KR101811001B1 (ko) 작업 발판을 구비하는 원형 강관 버팀보
KR20080037348A (ko) 비계 발판
KR20190088937A (ko) 발판
KR20050029967A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지지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슬라브 거푸집 시공방법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20090109991A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JP2014043678A (ja) 安全支柱用の型枠取付け金具
KR101978804B1 (ko) 안전난간대
KR101973798B1 (ko) 비계용 토보드
KR101033530B1 (ko)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KR101899893B1 (ko) 다양한 구조로 조립 가능한 조립식 작업 발판
KR102516781B1 (ko) 발판 일체형 고정장치
KR102375486B1 (ko) 안전가설발판의 연결장치
JP2020117879A (ja) 木製横架材と鋼製横架材との接合構造および受け金物
KR20240022135A (ko) 비계 겸용 건축용 서포트
KR100668457B1 (ko)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KR101988242B1 (ko) 건축용 계단 난간 구조
KR200339373Y1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지지체 어셈블리
JP2013129961A (ja) 鉄骨階段の仮止め固定方法と、鉄骨階段支持用のパイプサポート
JP2011246994A (ja) 足場用幅木の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