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037B1 -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 Google Patents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037B1
KR101211037B1 KR1020110109835A KR20110109835A KR101211037B1 KR 101211037 B1 KR101211037 B1 KR 101211037B1 KR 1020110109835 A KR1020110109835 A KR 1020110109835A KR 20110109835 A KR20110109835 A KR 20110109835A KR 101211037 B1 KR101211037 B1 KR 101211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caffold
spring
piec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호
Original Assignee
한국가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설산업(주) filed Critical 한국가설산업(주)
Priority to KR102011010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발판의 외측 모서리에 결합된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걸이고정구는 래치걸림홀이 형성된 고정구몸체의 일측에 외측 하부로 만곡지게 걸이편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걸이편과 대응되는 고정구몸체의 타측 상,하단에 외측으로 상,하부결합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몸체의 외측과 상,하부결합편 사이에 찬넬형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래치걸림홀에 언록킹래치의 단부가 노출되게 슬라이드 인입되어 언록킹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구몸체의 걸이편 하부가 비계에 얹혀짐과 동시에 비계의 표면 일부가 상기 노출된 언록킹래치의 단부를 가압시켜 래치걸림홀에 언록킹된 언록킹래치가 슬라이드 인출되어 록킹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HANGER ANCHOR OF WORK SCAFFOLD}
본 발명은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발판의 외측 모서리에 각각 결합된 걸이고정구의 걸이편 하부가 비계에 얹혀짐과 동시에 래치걸림홀에서 인출되어지는 언록킹래치에 의하여 록킹되어지도록 하고, 비계에서 작업발판을 분리함과 동시에 래치걸림홀의 내부로 언록킹래치가 밀려들어가 언록킹된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 공사장이나 선박을 제조하는 조선소 등의 현장에서비계등을 이용하여 지주가 설치되어지도록 하고, 지주와 이웃하는 다른 지주 사이에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작업발판은 발판의 모서리에 구비된 갈고리 형상을 갖는 각각의 고정구에 의하여 비계에 고정되어지게 된다.
작업발판을 비계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는 일측단이 작업발판의 측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지고, 타측단이 하부가 개방되도록 걸림편이 형성되어지고, 걸림편의 일측으로 두개의 핀에 의하여 유동장공을 갖는 작동편이 작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지게 구성된다.
이러한 작업발판은 작동편을 상부로 이동시켜 걸림편의 하부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비계에 얹혀지도록 올려놓고, 작동편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비계에 작업발판이 설치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발판을 비계에서 분리 해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4명 이상의 작업자가 한 조를 이루어 작동편이 상부로 이동하도록 고정편을 잡고 있는상태에서 작업발판을 동시에 들어 올려야만 가능함에 따라 분리작업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고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원인이 있었다.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실용신안 432768(2006.11.30)호의 작업발판용 고정구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고정구는 작동판에 형성된 유동장공이 고정편에 구비된 두개의 핀을 따라 이동되어지는 과정에서 유동장공에 걸림턱이 돌설되게 형성되어 작동편이 최대 개방상태와 최소 개방상태의 중간 상태가 유지되어지도록 하였으나, 고정편에서 작동편이 노출된 상태로 있음에 따라 작업발판을 보관, 운반, 설치 및 해체하는 과정에서 고정편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고정편이 변형되거나 파손됨으로써,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450222(2010.9.7)호의 다른 작업발판용 고정구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고정구는 홀딩고정편의 개방구 상부에 홀딩홈을 형성하고, 작동홀딩편의 상부에 수직부와 수평부를 갖는 회동손잡이를 형성하여 홀딩홈에 회동손잡이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 역시 작동홀딩편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편 또는 작동홀딩편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작업발판의 미관이 조잡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최소한의 작업자 1인에 의하여 작업발판이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되어질 수 있게 작업성을 향상시켜 공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시공비를 낮추면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작업발판의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언록킹래치로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막아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고, 아울러 언록킹래치가 고정구몸체 또는 걸이편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발판의 미관을 돋보일 수 있도록 하여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발판의 외측 모서리에 결합된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A)에 있어서, 상기 걸이고정구(A)는 래치걸림홀(110)이 형성된 고정구몸체(10)의 일측에 외측 하부로 만곡지게 걸이편(120)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걸이편(120)과 대응되는 고정구몸체(10)의 타측 상,하단에 외측으로 상,하부결합편(131)(13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몸체(10)의 외측과 상,하부결합편(131)(131') 사이에 찬넬형결합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래치걸림홀(110)에 언록킹래치(140)의 단부가 노출되게 슬라이드 인입되어 언록킹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구몸체(10)의 걸이편(120) 하부가 비계에 얹혀짐과 동시에 비계의 표면 일부가 상기 노출된 언록킹래치(140)의 단부를 가압시켜 래치걸림홀(110)에 언록킹된 언록킹래치(140)가 슬라이드 인출되어 록킹되어지며, 상기 언록킹래치(140)는 경사부(141a)의 하부로 만곡부(141b)가 형성된 래치헤드(14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래치헤드(14)의 타측 단부에 상,하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상,하부 걸림편(142)(14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래치걸림홀(110)은 고정구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 상부를 향하여 높아지는 경사를 갖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래치걸림홀(110)의 입구측 상,하부에 상,하부 걸림턱(111) (1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부 걸림턱(111)의 내부로 경사지게 연장된 상부연장부(112)에 멈춤턱(113)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멈춤턱(113)에 스프링 상부 안내부(114)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 걸림턱(111')의 내부로 연장된 하부연장부(113')에 경사턱(115)이 연결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경사턱(115)에 스프링 하부 안내부(114')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프링 상,하부 안내부(114)(114')에 삽입된 스프링(116)을 가압하는 스프링마개(117)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래치헤드(141)의 상,하부 걸림편(142)(142')에 제1스프링 고정돌부(142")가 형성되어 스프링(116)의 일측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프링 마개(117)에 제2스프링 고정돌부(117-1)가 형성되어 스프링(116)의 타측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마개(117)는 외주연부에 숫나사(117-2)가 형성되어지며, 외측 가운데 렌치홈(117-3)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프링 상,하부 안내부(114) (114')의 끝에 암나사(114")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래치헤드(141)의 상부 걸림편(142)은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걸림편(142')은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몸체(10)의 걸이편(120)은 찬넬형결합부(130)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걸이편(120)의 전면이 고정구몸체(10)의 전면과 동일면에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은 작업발판의 외측 모서리에 각각 결합된 걸이고정구의 걸이편 하부가 비계에 얹혀짐과 동시에 래치걸림홀에서 인출되어지는 언록킹래치에 의하여 록킹됨으로써, 작업발판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작업에 필요한 인원수를 최소한으로 줄임과 동시에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전체적으로 시공기간과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언록킹래치의 래치헤드가 고정구몸체의 내부로 형성된 래치걸림홀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외부와의 인위적인 접촉 및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래치헤드가 파손되는 것을 막아 수명을 연장시킨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고정구몸체의 래치걸림홀의 내측으로 인입된 언록킹래치가 스프링마개에 의하여 지지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도록 함으로써, 언록킹래치가 인입 또는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언록킹래치가 래치걸림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망실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발판만 들어올릴 경우 작업발판이 들어올려지는 힘에 의하여 언록킹래치가 래치걸림홀의 내부로 인입되어지도록 하여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고정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고정구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고정구가 작업발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고정구가 결합된 작업발판이 비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a 내지 도6d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고정구를 갖는 작업발판이 비계에 결합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A)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태를 갖는 작업발판(30)의 외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결합되어진 부분의 하측이 비계(40)에 얹혀짐과 동시에 록킹되어지거나, 비계(40)에 작업발판(30)이 설치되어진 상태에서 작업을 마친 후 작업발판(30)을 들어올림과 동시에 압력에 의하여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고정구(A)는 강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고정구몸체(10)의 일측에 하부로 개방되어짐과 동시에 비계(40)의 상부에 맞대어지면서 걸리는 만곡진 형태를 갖는 걸이편(120)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걸이편(120)과 대응되는 고정구몸체(10)의 타측 상,하부에 각각 상,하부 결합편(131)(131')이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로 상기 상,하부 결합편(131)(131')에 소정 공간이 제공되어지는 찬넬형 결합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몸체(10)는 걸이편(120)의 내측 하부로 위치된 부분에 래치걸림홀(110)이 관통되어지게 형성되어 언록킹래치(140)가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인입되어진 상태에서 걸려 언록킹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거나, 외측으로 인출되어진 상태에서 걸려 록킹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몸체(10)에 형성된 걸이편(120)은 찬넬형결합부(130)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걸이편(120)의 전면이 고정구몸체(10)의 전면과 동일면에 형성되어짐으로써,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발판(30)의 일측 모서리와 타측 모서리에 결합되어 비계(40)에 얹혀지는 과정에서 상호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호간섭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작업발판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래치걸림홀(110)은 고정구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 상부를 향하여 높아지는 경사를 갖게 형성되어 언록킹래치(140)가 래치걸림홀(110)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되어지는 가운데 언록킹래치(1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래치걸림홀(110)은 입구측 상,하부에 상,하부 걸림턱(111) (11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언록킹래치(140)에 형성된 상,하부걸림편(142)(142')이 걸려 일정한도 이상으로 더 인출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분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걸림턱(111)의 내부에는 상부 걸림턱(111)의 내측보다 넓은 형태를 갖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상부연장부(112)에 멈춤턱(113)이 형성되어 언록킹래치(140)가 래치걸림홀(110)에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상부걸림편(142)이 걸려질 수 있도록 하여 래치걸림홀(110)의 내부에서 걸려진 상태 즉, 언록킹된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멈춤턱(113)에는 스프링 상부 안내부(114)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 걸림턱(111')의 내부로 내측보다 더 넓은 형태를 갖도록 연장된 하부연장부(113')에 경사턱(115)이 연결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언록킹래치(140)에 형성된 하부걸림편(142')이 상호간섭 없이 상기 멈춤턱(113)에 걸려지거나, 상기 멈춤턱(113)에 걸려진 상태에서 멈춤턱(11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짐으로써, 언록킹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언록킹래치(140)가 비계(40)의 표면에 맞대어져 눌려지는 순간 언록킹이 해제되면서 록킹되어지는 상태 즉, 래치걸림홀(110)의 내부로 삽입된 언록킹래치(140)가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하여 래치걸림홀(110)의 외부로 인출되어 비계(40)가 록킹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턱(115)에 스프링 하부 안내부(114')가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스프링 상,하부 안내부(114)(114')에 의하여 제공되어지는 공간에 스프링(116)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스프링마개(117)에 의하여 가압되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 상,하부 안내부(114) (114')의 끝에는 암나사(114")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스프링마개(117)에 형성된 숫나사(117-2)가 용이하게 나사결합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래치(140)는 비계(40)가 걸이편(120)의 내측 하부로 삽입되어지는 과정에서 비계(40)가 용이하게 삽입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비계(40)의 상부에 고정구몸체(10)에 형성된 걸이편(120)의 하부가 맞대어지게 걸쳐짐과 동시에 비계(40)의 하부 일측이 가압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비계(40)와 걸이편(1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언록킹래치(140)는 평평한 형태를 갖는 경사부(141a)의 하부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만곡부(141b)를 갖도록 래치헤드(141)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래치헤드(14)의 타측 단부에 상,하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상,하부 걸림편(142)(14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래치걸림홀(110)의 내부로 인입되어진 상태에서는 상부걸림편(142)이 멈춤턱(113)에 걸려져 언록킹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고, 래치걸림홀(110)의 외부로 인출되어진 상태에서는 상,하부걸림편(142)(142')이 각각 래치걸림홀(110)의 입구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하부 걸림턱(111)(111')에 의하여 걸려진 상태(록킹)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래치헤드(141)의 상부 걸림편(142)은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되어 상기 래치걸림홀(110)의 멈춤턱(113)에 용이하게 걸려질 수 있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걸림편(142')은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래치걸림홀(110)에 형성된 경사턱(115)과 상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헤드(141)의 상,하부 걸림편(142)(142')에는 원기둥형태를 갖는 제1스프링 고정돌부(142")가 형성되어 스프링(116)의 일측이 결합되어지고, 스프링(116)의 타측이 지지되어지도록 하는 후술하는 상기 스프링 마개(117)에 제2스프링 고정돌부(117-1)가 형성되어 스프링(116)의 타측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마개(117)는 스프링 상부 안내부(114) 및 스프링 하부 안내부(114') 사이로 제공되어지는 공간에 언록킹래치(140)의 배면 또는 타측이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는 기능을 갖는 스프링(116)이 안정되게 지지되어짐과 동시에 스프링(116)이 외부로 빠져나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마개(117)는 외주연부에 숫나사(117-2)가 형성되어지며, 외측 가운데 렌치홈(117-3)이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구몸체(10)의 래치걸림홀(110)에 형성된 암나사(114")에 용이하게 나사결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걸림홀(110)에 언록킹래치(140)의 단부가 노출되게 슬라이드 인입되어 언록킹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구몸체(10)의 걸이편(120) 하부가 비계에 얹혀짐과 동시에 비계의 표면 일부가 상기 노출된 언록킹래치(140)의 단부를 가압시켜 래치걸림홀(110)에 언록킹된 언록킹래치(140)가 슬라이드 인출되어 록킹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걸이고정구를 갖는 작업발판의 설치는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비계(40)에 얹혀지기 전까지는 언록킹래치(140)의 래치헤드(141)에 형성된 상부걸림편(142)이 래치걸림홀(110)에 형성된 멈춤턱(113)에 걸려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이때, 래치걸림홀(110)의 입구측으로는 언록킹래치(140)의 시작부분이 소정 길이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즉, 작업발판(30)을 현장에서 해체한 후 바닥으로 떨어뜨리는 과정에서 먼저 걸이편(120)에 충격이 가해진 후 걸이편(120)에 의하여 충격이 언록킹래치(140)의 래치헤드(141)로 가해지지 않음으로써, 래치헤드(141)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발판(30)의 양끝을 비계(40)에 맞추어 내려 놓는 과정에서 래치걸림홀(110)의 외부로 노출된 래치헤드(141)의 만곡부(141b)가 비계(40)에 맞대어지게 된다. 이때, 작업발판(30)의 무게에 의하여 눌려지는 힘으로 멈춤턱(113)에 걸려진 언록킹래치(140)의 상부걸림편(142)이 멈춤턱(113)으로부터 이격되어지게 됨과 동시에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하여 래치헤드(141)의 경사부(141a)가 비계(40)의 표면에 맞대어진 상태로 래치걸림홀(110)의 외부로 인출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언록킹래치(140)에 형성된 하부걸림편(142')이 라운드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져 있음으로써, 경사턱(115)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인출되어지게 된다.
다음, 래치헤드(141)가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하여 래치걸림홀(110)의 외부로 인출되어지는 과정에서 래치헤드(141)의 경사부(141a)와 만곡부(141b)가 만나는 부분이 비계(40)의 표면에 항상 맞대어진 상태로 있고, 작업발판(30)을 완전히 내려 놓음과 동시에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편(120)의 내측면이 비계(40)의 표면에 걸져지게 된다. 즉, 코일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하여 항상 언록킹래치(140)가 비계(40)의 표면에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래치헤드(141)의 단부가 비계(40)의 하부 내측에 맞대어진 상태 즉, 비계(40)가 걸이편(120)에 얹혀져 하부로 이동못하는 록킹된 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발판(30)을 비계(4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작업발판(30)을 들어 올림과 동시에 래치걸림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진 상태로 있던 언록킹래치(140)가 작업발판(30)을 올리기 위해 가압되어지는 힘에 의하여 래치걸림홀(1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부걸림편(142)이 멈춤턱(113)에 걸려지게 됨에 따라 언록킹된 상태가 유지되어 작업발판(30)을 비계(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해체할 수 있게 된다.
A:걸이고정구 10:고정구몸체
110:래치걸림홀 120:걸이편
130:찬넬형결합부 131,131':상,하부결합편
140:언록킹래치

Claims (6)

  1. 작업발판의 외측 모서리에 결합된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A)에 있어서,
    상기 걸이고정구(A)는 래치걸림홀(110)이 형성된 고정구몸체(10)의 일측에 외측 하부로 만곡지게 걸이편(120)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걸이편(120)과 대응되는 고정구몸체(10)의 타측 상,하단에 외측으로 상,하부결합편(131)(13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몸체(10)의 외측과 상,하부결합편(131)(131') 사이에 찬넬형결합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래치걸림홀(110)에 언록킹래치(140)의 단부가 노출되게 슬라이드 인입되어 언록킹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구몸체(10)의 걸이편(120) 하부가 비계에 얹혀짐과 동시에 비계의 표면 일부가 상기 노출된 언록킹래치(140)의 단부를 가압시켜 래치걸림홀(110)에 언록킹된 언록킹래치(140)가 슬라이드 인출되어 록킹되어지며,
    상기 언록킹래치(140)는 경사부(141a)의 하부로 만곡부(141b)가 형성된 래치헤드(14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래치헤드(141)의 타측 단부에 상,하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상,하부 걸림편(142)(14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래치걸림홀(110)은 고정구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 상부를 향하여 높아지는 경사를 갖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래치걸림홀(110)의 입구측 상,하부에 상,하부 걸림턱(111) (1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부 걸림턱(111)의 내부로 경사지게 연장된 상부연장부(112)에 멈춤턱(113)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멈춤턱(113)에 스프링 상부 안내부(114)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 걸림턱(111')의 내부로 연장된 하부연장부(113')에 경사턱(115)이 연결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경사턱(115)에 스프링 하부 안내부(114')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프링 상,하부 안내부(114)(114')에 삽입된 스프링(116)을 가압하는 스프링마개(117)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헤드(141)의 상,하부 걸림편(142)(142')에 제1스프링 고정돌부(142")가 형성되어 스프링(116)의 일측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프링 마개(117)에 제2스프링 고정돌부(117-1)가 형성되어 스프링(116)의 타측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마개(117)는 외주연부에 숫나사(117-2)가 형성되어지며, 외측 가운데 렌치홈(117-3)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프링 상,하부 안내부(114) (114')의 끝에 암나사(114")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헤드(141)의 상부 걸림편(142)은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걸림편(142')은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몸체(10)의 걸이편(120)은 찬넬형결합부(130)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걸이편(120)의 전면이 고정구몸체(10)의 전면과 동일면에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KR1020110109835A 2011-10-26 2011-10-26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KR101211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835A KR101211037B1 (ko) 2011-10-26 2011-10-26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835A KR101211037B1 (ko) 2011-10-26 2011-10-26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037B1 true KR101211037B1 (ko) 2012-12-11

Family

ID=4790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835A KR101211037B1 (ko) 2011-10-26 2011-10-26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0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730B1 (ko) * 2016-09-29 2017-08-04 주식회사 신영스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CN113356574A (zh) * 2021-06-16 2021-09-07 重庆渝能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建筑梁支撑结构及施工方法
CN114508224A (zh) * 2022-02-10 2022-05-17 江苏省金陵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组合式脚手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015Y1 (ko) * 2005-01-11 2005-03-24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JP2006241852A (ja) * 2005-03-03 2006-09-14 Pica Corp フ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015Y1 (ko) * 2005-01-11 2005-03-24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JP2006241852A (ja) * 2005-03-03 2006-09-14 Pica Corp フック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730B1 (ko) * 2016-09-29 2017-08-04 주식회사 신영스틸 건축 공사용 비계발판
CN113356574A (zh) * 2021-06-16 2021-09-07 重庆渝能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建筑梁支撑结构及施工方法
CN114508224A (zh) * 2022-02-10 2022-05-17 江苏省金陵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组合式脚手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037B1 (ko)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KR101608472B1 (ko)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
KR101656247B1 (ko) 요철 슬라이드 단열재 고정 유지구
KR102051669B1 (ko) 자동 풀림 샤클
KR101211038B1 (ko)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JP5654710B1 (ja) 親綱支柱
KR101289563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비계용 안전발판
CN203641669U (zh) 卡扣离墙管卡
KR100511462B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연결장치
KR20190002905U (ko) 건물 난간용 로프 설치 장치
KR101342322B1 (ko) 갱폼 인양용 반자동 샤클
CN203428792U (zh) 一种伸缩式高层吊装机
KR101587908B1 (ko) 인양 고리 장치
CN115504364A (zh) 一种幕墙单元吊装的分体式工装
KR100788170B1 (ko) 갱폼 인양 장치
KR20150107537A (ko) 비계시스템용 보조파이프
KR101211034B1 (ko)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CN205241040U (zh) 一种新型单元板块专用吊夹装置
KR100949759B1 (ko) 다용도 거치구
CN218076043U (zh) 一种装饰装修阶段砌体安全绳系挂装置
CN216781520U (zh) 一种简易梁下安全带悬挂夹具
KR20140000270U (ko) 핸드레일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사다리
KR102322705B1 (ko) 갱폼 안전 인양장치
CN216664910U (zh) 一种便于组装的高强度连接板
CN217379410U (zh) 弧形幕墙的金属墙板轻质化造型设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