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170B1 - 갱폼 인양 장치 - Google Patents

갱폼 인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170B1
KR100788170B1 KR1020070068887A KR20070068887A KR100788170B1 KR 100788170 B1 KR100788170 B1 KR 100788170B1 KR 1020070068887 A KR1020070068887 A KR 1020070068887A KR 20070068887 A KR20070068887 A KR 20070068887A KR 100788170 B1 KR100788170 B1 KR 100788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
jaw
rod
cylin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명
위성례
Original Assignee
이규명
오시환
위성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명, 오시환, 위성례 filed Critical 이규명
Priority to KR1020070068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3Arrangements for stabilising the forms or for moving the forms from one place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측으로는 후크를 구성한 고정대와, 상기 유압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는 작업 로드로 이루어져 갱폼을 인양하는 갱폼 인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측에 실린더로드를 구성한 본체로 이루어져 작업 로드 상에 설치되되, 양측으로 제1, 2실린더홈을 형성하고 전면으로는 제1, 2고정파이프를 형성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 내부에 구성되어 실린더로드의 하측에 결합되되, 양측으로는 제1하우징홈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제1받침턱을 형성한 상부 조 하우징과, 상기 유압실린더 내부 하측에 구성되어 본체에 결합되되, 양측으로는 제2하우징홈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제2받침턱을 형성한 하부 조 하우징과, 상기 상, 하부 조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어 작업 로드 상에 설치되되, 내부에 로드홈을 형성하고, 둘레에는 관통된 끼임돌기홈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며, 양측으로는 결합파이프가 결합되는 파이프홈을 형성한 헤드와 상기 헤드의 끼임돌기홈에 끼워지는 끼임돌기를 하측에 구성하고, 내주면에는 톱니형나사를 구성한 조로 이루어진 조 클램프와, 상기 상, 하부 조 하우징의 제1, 2받침턱에 구성되어 조 클램프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에 구성된 제1, 2고정파이프에 걸리는 고리와 상기 고리에 일체로 연결되며 조 클램프에 삽입된 결합파이프에 안착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을 연결하는 손잡이로 구성된 'ㄷ'형상의 이동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갱폼 인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갱폼 인양 장치는 크레인의 사용 없이 갱폼을 상측으로 인양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상, 하부 조 하우징 헤드 상에서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조로 구성된 조 클램프에 의해 갱폼 인양시 작업 로드의 휘어짐 또는 이물질 등에 따른 외부적 요건에 상관없이 유압실린더가 하부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안에서 작업 로드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로드의 중심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로드의 결합을 손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 클램프를 강제 이동시킬 수 있는 결합파이프를 양측에 구성함으로써 최초 바닥에 설치된 작업 로드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부 끝단으로 고무부싱을 구성함으로써 작업 로드의 결합시 작업 로드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실린더의 본체 상부 후면과 하부 전면으로 작업 로드에 맞닿는 제1, 2베어링롤러를 구성함으로써, 유압실린더와 작업 로드 간에 마찰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갱폼 인양에 따른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갱폼, 인양, 실린더, 조, 작업 로드, 롤러

Description

갱폼 인양 장치{Apparatus for pulling Gang form's}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설치하는 갱폼을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인양할 수 있는 갱폼 인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죠 클램프에 의해 갱폼 인양시 작업 로드의 휘어짐 또는 이물질 등에 따른 외부적 요건에 상관없이 유압실린더가 하부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안에서 작업 로드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로드의 중심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 로드의 결합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조 클램프를 강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결합파이프를 양측에 구성함으로써 최초 바닥에 설치된 작업 로드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갱폼 인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은 갱폼과 같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되어 지는데, 상기 거푸집은 그 크기와 무게에 따라 건물의 외벽 전체를 덮을 수 없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하나의 층마다 설치하여 외벽을 시공한 후, 상기 거푸집을 인양시켜 그 윗 층의 외벽을 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거푸집의 인양방법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건설현장에서 크레인이 사용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크레인 사용에 따른 분쟁이 일어날 소지가 다분하였을 뿐만 아니라, 크레인 사용에 따른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인양할 수 있는 거푸집 인상 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 인상 장치는 "등록실용신안 20-0241872"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이하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거푸집 인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의 거푸집 인상 장치(110)는 유압을 이용하는 것으로, 유압잭 본체(101)와, 상기 유압잭 본체(101)의 상하부 작업 로드(102) 상에 각각 설치되며, 내주면에 톱니형 나사가 형성된 죠 클램프(104, 104')와, 상기 유압잭 본체(101)의 축 중심에 삽입,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죠 클램프(104, 104')의 톱니형 나사에 맞물림 결합되는 톱니형 나사가 형성된 작업 로드(102)와, 상기 죠 클램프(104, 104')를 지지하는 스프링(105, 105')을 갖는 상,하부 죠 하우징(103, 10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거푸집 인상 장치(110)를 이용하면, 죠 클램프(104, 104')의 톱니형 나사와 작업 로드(102)의 톱니형 나사 간의 상호 맞물림 결합과정에서 죠 클램프(104, 104')의 톱니형 나사 혹은 작업 로드(102)의 톱니형 나사에 끼인 콘크리트 이물질이 제거되게 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클램핑력의 약 화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 하부 죠 하우징(103, 103') 및 유압잭 본체(101)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미끄러지는 사태의 발생 없이 거푸집(106)을 용이하게 인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거푸집 인상 장치는 작업 로드를 톱니형 나사로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이 과도하게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죠 클램프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로드의 휘어짐 또는 이물질 등 외부적 요건의 의해 작업 로드를 꽉 물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거푸집 인상시 유압잭 본체가 하부로 미끄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죠 클램프를 지지하는 상, 하부 죠 하우징이 작업 로드의 상, 하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로드와 작업 로드를 결합할 시 작업 로드의 중심을 잡을만한 수단이 없었으며, 이에 따라 작업 로드의 결합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죠 클램프의 구성상 하측으로 이동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로드를 먼저 결합한 후에는 거푸집 인상 장치를 설치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최초 바닥에 설치된 작업 로드에 바로 설치를 할 수 없어 실제 사용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갱폼 인양 장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측으로는 후크를 구성한 고정대와, 상기 유압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는 작업 로드로 이루어져 갱폼을 인양하는 갱폼 인양 장치에 있어서, 상측에 실린더로드를 구성한 본체로 이루어져 작업 로드 상에 설치되되, 양측으로 제1, 2실린더홈을 형성하고 전면으로는 제1, 2고정파이프를 형성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 내부에 구성되어 실린더로드의 하측에 결합되되, 양측으로는 제1하우징홈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제1받침턱을 형성한 상부 조 하우징과, 상기 유압실린더 내부 하측에 구성되어 본체에 결합되되, 양측으로는 제2하우징홈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제2받침턱을 형성한 하부 조 하우징과, 상기 상, 하부 조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어 작업 로드 상에 설치되되, 내부에 로드홈을 형성하고, 둘레에는 관통된 끼임돌기홈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며, 양측으로는 결합파이프가 결합되는 파이프홈을 형성한 헤드와 상기 헤드의 끼임돌기홈에 끼워지는 끼임돌기를 하측에 구성하고, 내주면에는 톱니형나사를 구성한 조로 이루어진 조 클램프와, 상기 상, 하부 조 하우징의 제1, 2받침턱에 구성되어 조 클램프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에 구성된 제1, 2고정파이프에 걸리는 고리와 상기 고리에 일체로 연결되며 조 클램프에 삽입된 결합파이프에 안착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을 연결하는 손잡이로 구성된 'ㄷ'형상의 이동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갱폼 인양 장치는 크레인의 사용 없이 갱폼을 상측으로 인양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상, 하부 조 하우징 헤드 상에서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조 로 구성된 조 클램프에 의해 갱폼 인양시 작업 로드의 휘어짐 또는 이물질 등에 따른 외부적 요건에 상관없이 유압실린더가 하부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 안에서 작업 로드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로드의 중심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로드의 결합을 손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 클램프를 강제 이동시킬 수 있는 결합파이프를 양측에 구성함으로써 최초 바닥에 설치된 작업 로드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부 끝단으로 고무부싱을 구성함으로써 작업 로드의 결합시 작업 로드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실린더의 본체 상부 후면과 하부 전면으로 작업 로드에 맞닿는 제1, 2베어링롤러를 구성함으로써, 유압실린더와 작업 로드 간에 마찰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갱폼 인양에 따른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갱폼 인양 장치(10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1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대(2)의 후크(1)를 갱폼(G)과 연결한 후, 유압실린더(10)를 작동시켜 갱폼(G)을 상측으로 인양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10)와, 상부 조 하우징(20)과, 하부 조 하우징(30)과, 조 클램프(40)와, 탄성부재(50)로 구성된다.
먼저, 유압실린더(10)는 작업 로드(3)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측에 실린더로드(11)를 구성한 본체(12)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2)의 양측으로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 다란 제1실린더홈(13)과 상기 제1실린더홈(13)의 하측 동일선상으로 제2실린더홈(14)을 형성하고 있고, 전면 상, 하측으로는 제 1, 2고정파이프(15, 16)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실린더로드(11)를 이동시키는 유압호스(미도시)가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10) 본체(12)의 상부 전면에는 갱폼(G)을 인양할 수 있도록 후크(1)가 구성된 고정대(2)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2)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10) 본체(12)의 후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갱폼(G)의 인양을 완료한 후, 와이어(미도시)를 걸어 갱폼(G)을 바닥으로 용이하게 내릴 수 있도록 제1, 2롤러(4, 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갱폼(G)에는 도 2 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과의 분리를 위한 분리실린더(S)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갱폼(G)을 외벽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분리실린더(S)는 갱폼(G)에 일체로 부착되도록 하고, 전후로 작동되는 피스톤(P)에는 쿠션(C)을 장착하여 시공이 완료된 외벽에 파손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실린더로드(11)의 상부 끝단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부싱(11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로드(3)의 결합시 상기 작업 로드(3)에 묻어 있는 콘크리트와 같은 이물질 등이 제거되면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유압실린더(10) 본체(12)의 상부 후면과 하부 전면으로는 도 2 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로드(3)에 맞닿는 제1, 2베어링롤러(17, 1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유압실린더(10)와 작업 로드(3) 간의 마찰을 줄일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 갱폼(G)의 인양에 따른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조 하우징(20)은 도 4 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10) 내부에 구성되어 실린더로드(11)의 하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양측으로는 상기 유압실린더(10)의 제1실린더홈(13)에 대응하는 제1하우징홈(21)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측으로는 제1받침턱(2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조 하우징(20)이 실린더로드(11)에 결합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나사결합 또는 볼트결합 및 용접 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조 하우징(30)은 도 4 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10) 내부에 하측에 본체(12)에 결합되는 것으로, 양측으로는 상기 유압실린더(10)의 제2실린더홈(14)에 대응하는 제2하우징홈(31)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측으로는 제2받침턱(3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조 하우징(30)이 본체(12)에 결합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나사결합 또는 볼트결합 및 용접 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 클램프(40)는 도 4 또는 도 7,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 조 하우징(20, 30) 내부에 각각 구성되어 작업 로드(3)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로드홈(41)을 형성하고 있고, 둘레에는 관통된 끼임돌기홈(42)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양측으로는 결합파이프(43)가 결합되는 파이프홈(44)을 형성한 헤드(45)와, 상기 헤드(45)의 끼임돌기홈(42)에 끼워지는 끼임돌기(46)를 하측에 구성하고, 내주면에는 톱니형나사(47)를 구성한 조(4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여기서 상기 헤드(45)의 파이프홈(44)에 결합되는 결합파이프(43)는 결합의 용이성을 위하여 나사결합되는 바람직하고, 상기 헤드(45)의 끼임돌기홈(42)은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8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48)는 8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끼임돌기홈(42)에 삽입됨으로써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작동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부 조하우징(20, 30)의 제1, 2받침턱(22, 32)에 구성되어 조 클램프(40)를 지지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강탄성체인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이동 파이프(60)는 도 2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 클램프(40)의 헤드(45)에 결합된 결합파이프(43)를 눌러 조 클램프(40)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각의 조(48)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10) 본체(12)에 구성된 제1, 2고정파이프(15, 16)에 걸리는 고리(61)와 상기 고리(61)에 일체로 연결되고 조 클램프(40)에 삽입된 결합파이프(43)에 안착되는 수직봉(62)과 상기 수직봉(62)을 연결하는 손잡이(6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파이프(60)는 유압실린더(10)의 본체(12)에 고정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갱폼(G) 인양 시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유압실린더(10)의 본체(12)와 탈부착 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 콘크리트 공사를 하여 형성된 작업 로드(3)에 본 발명의 갱폼 인양 장치(100)를 위치시킨다.
그 후, 유압실린더(10)의 본체(12) 외부로 돌출형성된 결합파이프(43)를 이동파이프(60)를 이용하여 하측으로 내림으로써 조 클램프(40)의 조(48)의 이동을 자유롭게 한 후, 작업 로드(3)에 유압실린더(10)를 끼움으로써 갱폼 인양 장치(100)의 설치를 손쉽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갱폼 인양 장치(100)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는, 별도의 작업 로드(3)를 유압실린더(10)의 실린더로드(11)에 삽입하여 작업 로드(3)와 작업 로드(3)를 결합시킨다.
이때에는, 상기 실린더로드(11)의 상측으로 고무부싱(11a)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로드(3)가 삽입되어 질 시, 작업 로드(3)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삽입되게 되며, 이에 따라 추후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 효 과가 있다.
작업 로드(3)의 결합을 완료한 후에는, 작업 로드(3)의 상부에 와이어(미도시)가 결합된 클램프(6)를 채운 후, 와이어를 바닥면에 고정하여 작업 로드(3)를 지지하게 한다.
그 후, 갱폼 인양 장치(100)를 이동파이프(60)를 이용하여 바닥면까지 하강시킨 후, 고정대(2)에 형성된 후크(1)에 갱폼(G)을 연결하여 갱폼(G)의 인양 준비를 완료한다.
이처럼, 갱폼(G) 인양 준비가 완료되면, 유압호스를 통해 유압실린더(10)에 유압을 가하여 본체(12)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갱폼(G)이 인양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실린더로드(11)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서 실린더로드(11)에 결합된 상부 조 하우징(20)은 고정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게 되며, 상기 상부 조 하우징(20)의 내부에 구성된 조 클램프(40)가 작업 로드(3)를 꽉 물고 있기 때문에 본체(12)가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현상 발생 없이 이동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2)의 상, 하부에 구성된 제1, 2베어링롤러(17, 18)에 의해 유압실린더(10)와 작업 로드(3)간의 마찰이 줄어들기 때문에 과부하 발생 없이 용이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후에는, 유압호스를 통해 다른 방향으로 유압을 가함으로써 본체(12)에 구성된 실린더로드(11)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로드(11)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되면, 본체(12)를 이동시킬 수 있는 초기 상태로 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본체(12)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서 본체(12)에 결합된 하부 조 하우징(30)이 고정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게 되며, 상기 하부 조 하우징(30) 내부에 구성된 조 클램프(40)가 작업 로드(3)를 꽉 물고 있기 때문에 실린더로드(11)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유압실린더(10)의 상측으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상, 하부 조 하우징(20, 30) 내부에 구성된 조 클램프(40)가 헤드(25)와 상기 헤드(25)의 끼임돌기홈(42)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8개의 조(48)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작업 로드(3)를 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로드(3)의 휨이나 이물질 등에 의한 외부적 요건에 상관없이 유압실린더(10)의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갱폼(G)의 인양은 상기 유압실린더(10)의 본체(12)와 실린더로드(11)를 반복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갱폼(G) 인양을 완료한 후에는, 볼트를 이용하여 갱폼(G)을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물의 외벽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그 후에는, 외벽에 고정된 볼트를 해체한 후, 갱폼(G)에 구성된 분리실린더(S)를 작동시킴으로써 외벽과 갱폼(G)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갱폼(G)과 외벽의 분리가 끝난 후에는, 작업 로드(3)의 상부에 결합된 클램프(6)를 해체한 후,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함으로써 건물의 외벽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덧붙여, 건물의 외벽 시공이 완료되고 시공완료된 외벽에서 갱폼(G)을 분리 한 후에는, 고정대(2)에 구성된 제1, 2롤러(4, 5)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갱폼(G)을 고정하고, 바닥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제3롤러(7)와 윈치(8)를 구성하여 갱폼(G)을 안전하게 내리도록 함으로써 근로자의 인명피해 및 시설물이 파괴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갱폼 인양 장치(100)를 이용하게 되면, 크레인의 사용 없이도 건물의 외벽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거푸집 인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갱폼 인양 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갱폼 인양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실린더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 하 조 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 클램프를 도시한 결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 클램프를 도시한 분리상태도.
도 9은 본 발명의 이동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본체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린더로드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갱폼을 낙하시키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쿠션 G : 갱폼
P : 피스톤 S : 분리실린더
1 : 후크 2 : 고정대
3 : 작업 로드 4 : 제1롤러
5 : 제2롤러 6 : 클램프
7 : 제3롤러 8 : 윈치
10 : 유압실린더 11 : 실린더로드
11a : 고무부싱 12 : 본체
13 : 제1실린더홈 14 : 제2실린더홈
15 : 제1고정파이프 16 : 제2고정파이프
17 : 제1베어링롤러 18 : 제2베어링롤러
20 : 상부 조 하우징 21 : 제1하우징홈
22 : 제1받침턱 30 : 하부 조 하우징
31 : 제2하우징홈 32 : 제2받침턱
40 : 조 클램프 41 : 로드홈
42 : 끼임돌기홈 43 : 결합파이프
44 : 파이프홈 45 : 레드
46 : 끼임돌기 47 : 톱니형나사
48 : 조 50 : 탄성부재
60 : 이동파이프 61 : 고리
62 : 수직봉 63 : 손잡이
100 : 갱폼 인양 장치

Claims (8)

  1. 유압실린더(10)와, 상기 유압실린더(10)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측으로는 후크(1)를 구성한 고정대(2)와, 상기 유압실린더(10) 내부에 삽입되는 작업 로드(3)로 이루어져 갱폼(G)을 인양하는 갱폼 인양 장치에 있어서,
    상측에 실린더로드(11)를 구성한 본체(12)로 이루어져 작업 로드(3) 상에 설치되되, 양측으로 제1, 2실린더홈(13, 14)을 형성하고 전면으로는 제1, 2고정파이프(15, 16)를 형성한 유압실린더(10);
    상기 유압실린더(10) 내부에 구성되어 실린더로드(11)의 하측에 결합되되, 양측으로는 제1하우징홈(21)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제1받침턱(22)을 형성한 상부 조 하우징(20);
    상기 유압실린더(10) 내부 하측에 구성되어 본체(12)에 결합되되, 양측으로는 제2하우징홈(31)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제2받침턱(32)을 형성한 하부 조 하우징(30);
    상기 상, 하부 조 하우징(20, 30) 내부에 구성되어 작업 로드(3) 상에 설치되되, 내부에 로드홈(41)을 형성하고, 둘레에는 관통된 끼임돌기홈(42)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며, 양측으로는 결합파이프(43)가 결합되는 파이프홈(44)을 형성한 헤드(45)와 상기 헤드(45)의 끼임돌기홈(42)에 끼워지는 끼임돌기(46)를 하측에 구성하고, 내주면에는 톱니형나사(47)를 구성한 조(48)로 이루어진 조 클램프(40);
    상기 상, 하부 조 하우징(20, 30)의 제1, 2받침턱(22, 32)에 구성되어 조 클 램프(4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50);
    상기 유압실린더(10) 본체(12)에 구성된 제1, 2고정파이프(15, 16)에 걸리는 고리(61)와 상기 고리(61)에 일체로 연결되며 조 클램프(40)에 삽입된 결합파이프(43)에 안착되는 수직봉(62)과 상기 수직봉(62)을 연결하는 손잡이(63)로 구성된 'ㄷ'형상의 이동파이프(6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갱폼 인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는 유압실린더(10) 본체(12)의 상부 전, 후면에 형성되며, 제1, 2롤러(4, 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갱폼 인양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갱폼(G)에는 외벽과의 분리를 위한 분리실린더(S)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갱폼 인양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실린더(S)는 갱폼(G)에 일체로 부착되어 지며, 전후로 작동되는 피스톤(P)에는 쿠션(C)이 장착된 것에 특징이 있는 갱폼 인양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로드(11)의 상부 끝단에는 고무부싱(11a)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갱폼 인양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0)의 본체(12) 상부 후면과 하부 전면으로는 작업 로드(3)에 맞닿는 제1, 2베어링롤러(17, 18)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갱폼 인양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45)의 끼임돌기홈(42)은 8개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갱폼 인양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파이프(60)는 유압실린더(10)의 본체(12)와 탈부착 되도록 결합된 것에 특징이 있는 갱폼 인양 장치.
KR1020070068887A 2007-07-09 2007-07-09 갱폼 인양 장치 KR100788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87A KR100788170B1 (ko) 2007-07-09 2007-07-09 갱폼 인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87A KR100788170B1 (ko) 2007-07-09 2007-07-09 갱폼 인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170B1 true KR100788170B1 (ko) 2007-12-24

Family

ID=3914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887A KR100788170B1 (ko) 2007-07-09 2007-07-09 갱폼 인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1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6239A (zh) * 2017-12-14 2018-03-16 北京城建六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爬升式脚手架防坠装置
CN112096045A (zh) * 2020-08-04 2020-12-18 深圳丰发一诺科技有限公司 一种防超载的吊篮
CN116902881A (zh) * 2023-09-12 2023-10-20 山西重科物流仓储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双柱式堆垛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8045U (ko) 1980-10-14 1982-04-23
JPS60226966A (ja) 1984-04-24 1985-11-12 清水建設株式会社 センタ−・ホ−ル型ジヤツキのチヤツク機構
JPS62211461A (ja) 1986-03-12 1987-09-17 三井建設株式会社 ダム用型枠装置
KR200249967Y1 (ko) 2001-07-21 2001-11-17 건 업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용 거푸집 인양기
JP2004060432A (ja) 2002-06-04 2004-02-26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Pc鋼材の定着くさ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8045U (ko) 1980-10-14 1982-04-23
JPS60226966A (ja) 1984-04-24 1985-11-12 清水建設株式会社 センタ−・ホ−ル型ジヤツキのチヤツク機構
JPS62211461A (ja) 1986-03-12 1987-09-17 三井建設株式会社 ダム用型枠装置
KR200249967Y1 (ko) 2001-07-21 2001-11-17 건 업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용 거푸집 인양기
JP2004060432A (ja) 2002-06-04 2004-02-26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Pc鋼材の定着くさび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6239A (zh) * 2017-12-14 2018-03-16 北京城建六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爬升式脚手架防坠装置
CN112096045A (zh) * 2020-08-04 2020-12-18 深圳丰发一诺科技有限公司 一种防超载的吊篮
CN116902881A (zh) * 2023-09-12 2023-10-20 山西重科物流仓储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双柱式堆垛机
CN116902881B (zh) * 2023-09-12 2023-11-21 山西重科物流仓储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双柱式堆垛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170B1 (ko) 갱폼 인양 장치
CN203438167U (zh) 移动式水泥浆杯拆卸器
KR20130068880A (ko) 건축용 비계 작업발판
KR100788169B1 (ko) 갱폼 인양 장치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CN216265696U (zh) 一种基于锚固螺栓的安装辅助装置
CN204983593U (zh) 一种组合式电梯井施工操作平台
KR101211038B1 (ko)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KR101438191B1 (ko) 자동 상승장치
CN109290485B (zh) 一种建筑用钢筋压直设备
CN203031545U (zh) 新型水泥浆杯拆卸器
KR101646157B1 (ko) 안전장치가 추가된 슬립 폼 유압 잭 장치
KR101211037B1 (ko) 작업발판용 걸이고정구
KR101587908B1 (ko) 인양 고리 장치
CN214658688U (zh) 一种可变截面爬模施工用高效爬模设备
CN205348817U (zh) 一种安全带挂件
CN205224565U (zh) 一种便于拆装的钢结构厂房用桁架
CN102284144B (zh) 绳式快速逃生装置
KR20090012535U (ko) 호스 조임 장치
KR20080109113A (ko) 시트파일 인발장치
CN218912185U (zh) 一种脚手架
CN217201761U (zh) 塔吊附墙架
CN220666991U (zh) 一种高效退锚装置
CN203143999U (zh) 一种固定在淤泥里的千斤顶
CN209957217U (zh) 一种工业工程中管板材多用起吊用具
CN114000697B (zh) 一种悬挑式电动吊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