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488B1 -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488B1
KR101761488B1 KR1020150174321A KR20150174321A KR101761488B1 KR 101761488 B1 KR101761488 B1 KR 101761488B1 KR 1020150174321 A KR1020150174321 A KR 1020150174321A KR 20150174321 A KR20150174321 A KR 20150174321A KR 101761488 B1 KR101761488 B1 KR 10176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valve block
cylinder
cas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943A (ko
Inventor
김원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7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488B1/ko
Priority to CN201611120380.8A priority patent/CN106884977B/zh
Publication of KR2017006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0Hydraulic or pneumatic motors or related fluid 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15Transmission control for optimising fuel consump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18Transmission control for optimising exhaust e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4Venting trapped air from hydraul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06Layout of electro-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 F16H2061/0209Layout of electro-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with independent solenoid valves modulating the pressure individually for each clutch or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16H2061/0255Solenoid valve using PWM or duty-cycle control
    • F16H2061/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압실린더와 연결된 밸브블록(20)의 실린더 별로 변속기케이스(10)에 형성된 케이스배출홀(15)과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개별 배출유로(23;23a,23b)를 가진다. 따라서 배출 공기의 역류에 의한 공압실린더의 오작동이 방지되고, 배출 공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부품들이 사용되지 않게 되어 밸브블록(20)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크기와 중량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Exhaust device of actuator for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압을 이용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자동화 수동변속기에서 액추에이터 작동시 발생하는 배기를 밸브블록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 수동변속기(AMT;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는 기어와 변속 조작기구 및 클러치 시스템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수동변속기와 동일하나 그 조작이 전동 모터 또는 유압 및 공압 실린더 등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변속기이다.
도 1에 대형 상용 차량용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기케이스(1) 일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화살표 A 방향이 엔진이 연결되는 부분이고, 화살표 B 방향이 기어들이 내장되는 부분이다. 변속기케이스(1)의 일측면에는 액추에이터 마운팅부(2)가 형성되며, 액추에이터 마운팅부(2)에는 변속 조작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공압실린더(3)와 변속기 제어유니트(TCU)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공압실린더(3)를 작동시키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한 밸브블록(4)이 설치된다. 또한 액추에이터 마운팅부(2)를 덮는 액추에이터 케이스(5;반투명 상태로 도시)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압을 밸브블록(4)을 통해 공압실린더(3)에 전달하고, 공압실린더(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밸브블록(4)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5a)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은 공압실린더(3)와 밸브블록(4)이 설치된 액추에이터 케이스(5)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즉, 공압실린더(3)와 밸브블록(4)의 설치 상태 저면 사시도이다.
공압실린더(3)는 셀렉트 작동을 위한 셀렉트실린더(3a)와 쉬프트 작동을 위한 쉬프트실린더(3b)가 구비된다.
공압실린더(3)로부터 배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밸브블록(4)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적용되어 있다.
밸브블록(4)의 바닥면(도 2에서 상부로 노출된 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된 한 쌍의 솔레노이드밸브(4a)들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모이는 대략 직사각형의 배출공간(4b)들이 형성된다. 각각의 배출공간(4b)의 중앙에는 솔레노이드밸브(4a)들이 삽입된 실린더에 연통된 배출공(도번 없음)들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간(4b)들은 밸브블록(4)의 바닥면으로부터 밸브블록(4)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간(4b)이 형성된 밸브블록(4)의 바닥면에는 밸브플레이트(4c)가 장착되어 각각의 배출공간(4b)을 밀폐한다. 밸브플레이트(4c)에는 각각의 배출공간(4b)과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그 배출공들을 차단하는 체크밸브(4d)들이 설치된다. 체크밸브(4d)들은 밸브플레이트(4c)의 하면에 설치되어 배출공간(4b)으로부터 배출공을 통해 공기가 배출될 때 배출 공기에 의해 밀리면서 배출공을 개방하고 공기가 배출되지 않을 때는 원상태로 복귀되어 배출공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체크밸브(4d)들은 임의의 한 실린더(양측에 솔레노이드밸브가 삽입 설치된 실린더)로부터 배출된 공압이 다른 실린더로 역류하여 그 실린더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공압실린더(3)로 공급됨으로써 공압실린더(3)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상기 밸브플레이트(4c)의 하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블록커버(4e)가 장착된다. 밸브블록커버(4e)는 밸브플레이트(4c)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밸브플레이트(4c)와의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측부에 배출공(4ea)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밸브블록(4)의 실린더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그 실린더와 연결된 배출공간(4b)으로 1차 배출되고, 각 배출공간(4b)의 배출공(밸브플레이트(4c)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체크밸브(4d)를 개방하면서 밸브플레이트(4c)와 밸브블록커버(4e) 사이의 공간으로 2차 배출되며, 마지막으로 밸브블록커버(4e)의 배출공(4ea)을 통해 액추에이터 케이스(5)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공압실린더(3) 오작동 방지를 위해서 밸브블록(4)에 체크밸브(4d) 및 체크밸브(4d) 설치를 위한 밸브플레이트(4c)를 설치해야만 했으므로 밸브블록(4)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크기와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밸브블록(4)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개방성이 좋지 않은 액추에이터 케이스(5)의 내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공압실린더(3)의 배기 성능이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밸브블록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크기(두께)와 중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공압실린더의 배기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압실린더와 연결되고 액추에이터 케이스에 형성된 복수의 유로와, 상기 유로와 연결된 복수의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가 삽입 설치되는 실린더가 복수개 형성되고 하면에 각 실린더에 연결된 복수의 배출공간이 형성된 밸브블록과, 상기 밸브블록의 하면에 장착되어 배출공간을 밀폐하는 밸브블록커버와, 상기 밸브블록이 설치된 액추에이터 케이스의 내측 공간을 액추에이터 케이스의 외측 공간과 연통시키도록 변속기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케이스배출홀과, 상기 밸브블록커버의 하면에 형성되어 각 배출공간과 상기 배출홀 중 하나를 일대일로 연결하는 복수의 배출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유로는 배출공간과 연통된 연통홀과, 연통홀을 상기 배출홀과 연결하는 유로홈을 포함한다.
상기 유로홈은 밸브블록커버의 하면에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직선 형상의 홈이다.
상기 복수의 배출유로를 이루는 상기 유로홈들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변속기케이스에는 상기 유로홈의 하부에 밀착되어 유로홈의 하부를 밀폐하는 유로밀착부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유로홈의 둘레에 실링홈이 형성되고, 그 실링홈에 실링이 삽입 설치되며, 그 실링은 상기 유로밀착부에 밀착된다.
상기 케이스배출홀은 클러치하우징의 내측 공간으로 연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블록의 각 실린더 마다 독립된 개별 배출유로가 마련됨으로써 체크밸브와 밸브플레이트가 설치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밸브블록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크기와 중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중량 감소에 따른 연비 향상의 효과도 있다.
또한 밸브블록에서 배기되는 공기가 액추에이터 케이스 내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외부로의 개방도가 더 높은 크랭크케이스 쪽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공기 배출 성능이 향상되어 공압실린더의 배기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가 적용된 자동화 수동변속기 변속기케이스의 부분 사시도로서 액추에이터 케이스측 부분을 반투명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액추에이터 케이스(공압실린더와 밸브블록 설치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밸브블록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가 적용된 자동화 수동변속기로서 밸브블록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밸브블록과 공압실린더가 설치된 부분의 저면도이고, 밸브블록의 하면과 접촉하는 변속기케이스 유로밀착부의 절단면 형상이 도시됨.
도 6은 도 5에서 밸브블록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밸브블록 저면도.
도 7은 상기 밸브블록커버의 저면도.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로서 제1실린더의 배기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5의 C-C선 단면도로서 제2실린더의 배기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D-D선 단면도로서 제3실린더의 배기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5의 F-F선 단면도로서 제4실린더의 배기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가 적용된 자동화 수동변속기로서 밸브블록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밸브블록과 공압실린더 설치부의 저면도이고, 밸브블록의 하면과 접촉하는 변속기케이스 유로밀착부의 절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변속기케이스(10)의 일측에는 엔진에 연결되고 클러치가 설치되는 클러치하우징(11)이 형성되고, 변속기케이스(10)의 내부에는 입력축(12)과 기어(13)들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상태에서 변속기케이스(10)의 상부에는 밸브블록(20)과, 공압실린더(30)가 설치되고, 이들을 덮는 액추에이터 케이스(40)에는 밸브블록(20)과 공압실린더(30)를 연결하는 유로(미도시)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공압이 밸브블록(20)과 유로를 거쳐 공압실린더(30)를 작동시키고, 공압실린더(30)에서 배기되는 공기는 유로와 밸브블록(20)을 거쳐 배출된다.
밸브블록(2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다수의 실린더가 관통 형성된다. 그 각 실린더의 양측 개구에 각 1개씩의 솔레노이드밸브(21)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밸브블록(20)에는 5개의 실린더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그 각 실린더 양측에 1개씩의 솔레노이드밸브(21)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압실린더(30)는 셀렉트실린더(31) 1개와 쉬프트실린더(32) 1개로 이루어지는데, 도시된 실시예의 밸브블록(20)은 4개의 솔레노이드밸브(21)쌍 즉 8개의 솔레노이드밸브(21)를 공압실린더(30)의 작동 제어에 사용한다. 나머지 2개는 변속기 액추에이터 공압 시스템의 마스터 밸브 및 변속기 브레이크 밸브로 사용되는 것으로, 밸브블록(20)에는 총 10개의 솔레노이드밸브(21)가 구비된다.(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배기장치는 마스터 밸브 및 브레이크 밸브용으로 사용되는 솔레노이드밸브들을 제외하고 상기 공압실린더(30) 작동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솔레노이드밸브(8개)를 통한 배기를 위해 적용되는 것이다.)
도 5에서 밸브블록(20)의 면적 범위 내에 단면으로 표시된 부분은 밸브블록(20)의 하면, 정확히는 밸브블록(20)의 하면에 장착되는 밸브블록커버(22)의 배출유로(23) 형성 부분과 밀착되는 유로밀착부(14)로서 도 4의 A-A선에 의한 변속기케이스(10) 절단면이다. 즉 상기 유로밀착부(14)는 밸브블록(20)이 장착되는 변속기케이스(10)면에 돌출 형성되어 밸브블록커버(22)의 하면에 형성된 배출유로(23)와 밀착되는 것으로 유로밀착부(14)에 의해 상기 배출유로(23)가 입구와 출구를 제외하고 밀폐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유로밀착부(14)의 일측에는 클러치하우징(11)의 내측 공간(클러치가 설치되는 공간)과 연통되는 복수의 케이스배출홀(15)들이 관통 형성된다.
도 6(밸브블록커버(22)가 제거된 상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블록(20)의 하면에는 상기 실린더(한 쌍의 솔레노이드밸브(21)가 양측에 삽입되는 실린더)들에 대응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배출공간(20a)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들과 각각 대응되는 배출공간(20a)의 사이에는 실린더와 대응 배출공간(20a)을 연통시키는 실린더배출홀(20b)이 연통 형성된다. 즉, 솔레노이드밸브(21)들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실린더와 실린더배출홀(20b)을 통해 배출공간(20a)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밸브블록커버(22)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면의 뒷면은 평면으로서 밸브블록(20)의 하면에 밀착 상태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공간(20a)들은 서로에 대해 밀폐된다.
밸브블록커버(22)에는 밸브블록(20)의 각 배출공간(20a)과 상기 변속기케이스(10)의 유로밀착부(14)에 형성된 케이스배출홀(15)을 일대일로 연결하는 복수의 배출유로(23)가 형성된다.
배출공간(20a)과 배출유로(23) 및 케이스배출홀(15)의 개수는 동일하다.
배출유로(23)는 밸브블록커버(22)를 관통하여 각 배출공간(20a)을 해당 배출유로(23)와 연통시키는 연통홀(23a)과, 각 연통홀(23a)을 유로밀착부(14)의 대응하는 케이스배출홀(15)과 연결하는 유로홈(23b)으로 이루어진다.
유로홈(23b)은 도 8 내지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블록커버(22)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직선형 홈이다.
유로홈(23b)은 1개의 연통홀(23a)과 1개의 케이스배출홀(15)을 일대일로 연결하되, 가장 단순한 형상으로 양측 홀을 최단거리로 연결하기 위하여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4개의 배출공간(20a)에 형성된 연통홀(23a)들은 각각 대응되는 케이스배출홀(15)에 직선 형상의 유로홈(23b)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밸브블록커버(22)에 형성된 유로홈(23b) 즉, 배출유로(23)들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가장 단순하고 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배출유로 레이아웃이 구성된다.
상기 변속기케이스(10)의 유로밀착부(14)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배출유로(23)들이 모두 밀착될 수 있으면서 그 단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도 5와 같은 단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유로홈(23b)의 주변 둘레에는 유로홈(23b)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실링홈이 형성되고, 그 실링홈에 동일한 링 형상의 실링(24)이 삽입 설치된다. 실링(24)은 변속기 조립 상태에서 상기 유로밀착부(14)의 상면에 밀착되어 각 배출유로(23)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의해 밸브블록(20)의 각 실린더(공압실린더 작동용 실린더)는 각각 독립된 에어 배출 경로를 구비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공압실린더(30)의 작동에 관련된 실린더(밸브블록(20)에 형성된 실린더)들의 배기 구조를 설명한다.
5개의 실린더중 가장 오른쪽의 실린더(마스터 밸브 및 브레이크 밸브용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된 실린더)를 제외하고,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각 실린더의 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 실린더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배출유로(23)에도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도 7참조)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로서 (1)번 실린더의 배기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밸브블록(20)의 각 실린더 하부에는 실린더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간(20a)이 형성(절단 위치상 실린더배출홀(20b)은 도시되지 않음)되고, 밸브블록(20)의 하면에 밸브블록커버(22)가 장착되어 배출공간(20a)이 밀폐된다. 단 제1 실린더의 배출공간(20a)에는 제1 배출유로(23)가 연결된다. 제 1 배출유로(23)의 연통홀(23a)이 제1 배출공간(20a)에 연통되고, 유로홈(23b)이 연통홀(23a)과 변속기케이스(10)의 유로밀착부(14)에 형성된 케이스배출홀(15)을 연결한다. 따라서 제1 실린더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배출공간(20a)과 제1 배출유로(23)의 연통홀(23a), 유로홈(23b), 제1 배출유로(23)에 연결되는 케이스배출홀(15)을 통해 클러치하우징(11)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 부분의 유로밀착부(14)는 제1 배출유로(23)의 실링(24)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조금 더 큰 면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최소한의 면적으로 형성되면서 실링(24)의 접촉면을 제공하여 제1 배출유로(23)의 밀폐성을 확보한다.
도 9는 도 5의 C-C선 단면도로서 (2)번 실린더의 배기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 실린더의 경우에는 제2 배출유로가 제2 실린더의 배출공간과 제2 배출유로에 대응되는 유로밀착부의 케이스배출홀(15)을 연결한다. 따라서 제2 실린더의 배출 공기는 제2 배출유로를 통해 클러치하우징(11)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된다. 그 외 상세 구성은 제1 실린더의 배출 구조와 동일하다.
도 10은 도 5의 D-D선 단면도로서 제3실린더의 배기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 실린더의 경우에는 제3 배출유로가 제3 실린더의 배출공간과 제3 배출유로에 대응되는 유로밀착부의 케이스배출홀(15)을 연결한다. 따라서 제3 실린더의 배출 공기는 제3 배출유로를 통해 클러치하우징(11)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된다. 그 외 상세 구성은 제1 실린더의 배출 구조와 동일하다.
도 11은 도 5의 F-F선 단면도로서 제4실린더의 배기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4 실린더의 경우에는 제4 배출유로가 제4 실린더의 배출공간과 제4 배출유로에 대응되는 유로밀착부의 케이스배출홀(15)을 연결한다. 따라서 제4 실린더의 배출 공기는 제4 배출유로를 통해 클러치하우징(11)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된다. 그 외 상세 구성은 제1 실린더의 배출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공압실린더(30)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액추에이터 케이스(40)의 유로를 통해 밸브블록(20)의 해당 솔레노이드밸브(21)로 유입되고, 그 솔레노이드밸브(21)가 삽입 설치된 실린더의 실린더배출홀(20b)를 통해 그에 연결된 배출공간(20a)으로 배출되며, 이어 각 배출공간(20a)마다 개별적으로 연결된 배출유로(23)를 지나 변속기케이스(10)의 유로밀착부(14)에 형성된 각각의 케이스배출홀(15)을 통해 클러치하우징(11)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밸브블록(20)의 각 실린더들은 독립된 전용의 배출유로(23)를 가지므로 배출 공기가 다른 실린더로 역류하여 공압실린더(30)로 공급됨으로써 공압실린더(30)가 의도치 않게 작동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 공기의 역류 공급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장치에 설치되던 체크밸브와 밸브플레이트가 설치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밸브블록(20)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크기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중량도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간이 종래의 액추에이터 케이스 내측 공간에서 클러치하우징의 내측 공간으로 변경되었다. 클러치하우징의 내측 공간은 액추에이터 케이스의 내측 공간에 비해 공간 체적이 매우 크고, 외부에 대한 개방성이 크기 때문에 공기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공압실린더(30)의 배기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변속기케이스 11 : 클러치하우징
12 : 입력축 13 : 기어
14 : 유로밀착부 15 : 케이스배출홀
20 : 밸브블록 20a : 배출공간
20b : 실린더배출홀 21 : 솔레노이드밸브
22 : 밸브블록커버 23 : 배출유로
23a : 연통홀 23b : 유로홈
24 : 실링 30 : 공압실린더
31 : 셀렉트실린더 32 : 쉬프트실린더
40 : 액추에이터 케이스

Claims (7)

  1. 공압실린더와 연결되고 액추에이터 케이스에 형성된 복수의 유로와,
    상기 유로와 연결된 복수의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가 삽입 설치되는 실린더가 복수개 형성된 밸브블록과,
    상기 밸브블록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와 실린더배출홀로 연결된 복수의 배출공간과,
    상기 밸브블록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공간들을 밀폐하는 밸브블록커버와,
    상기 밸브블록커버의 하면에 형성되고 각 배출공간과 일대일로 연결된 복수의 배출유로와,
    상기 밸브블록이 설치된 액추에이터 케이스의 내측 공간과 클러치하우징의 내측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변속기케이스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각 배출유로와 일대일로 연결된 복수의 케이스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로는 밸브블록의 배출공간과 연통된 연통홀과, 상기 밸브블록커버의 하면에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연통홀을 상기 케이스배출홀과 연결하는 유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유로를 이루는 상기 유로홈들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케이스에는 상기 유로홈의 하부에 밀착되어 유로홈의 하부를 밀폐하는 유로밀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로밀착부의 일측에 상기 케이스배출홀들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로홈의 둘레에 실링홈이 형성되고, 그 실링홈에 실링이 삽입 설치되며, 그 실링은 상기 유로밀착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
  7. 삭제
KR1020150174321A 2015-12-08 2015-12-08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 KR101761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321A KR101761488B1 (ko) 2015-12-08 2015-12-08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
CN201611120380.8A CN106884977B (zh) 2015-12-08 2016-12-08 自动化手动变速器用促动器的排气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321A KR101761488B1 (ko) 2015-12-08 2015-12-08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943A KR20170067943A (ko) 2017-06-19
KR101761488B1 true KR101761488B1 (ko) 2017-07-26

Family

ID=5917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321A KR101761488B1 (ko) 2015-12-08 2015-12-08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1488B1 (ko)
CN (1) CN1068849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043A (ko) 2021-11-29 2023-06-0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4542A (ja) * 1999-03-19 2000-10-03 Ckd Corp 電磁弁マニホールド及び結合ブロッ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488B1 (ko) * 2004-07-05 200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블로바이가스의 블로아웃 저감구조
KR100897105B1 (ko) * 2007-11-07 2009-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실린더헤드 구조
CN101435503B (zh) * 2008-12-19 2013-02-27 长沙航空工业中南传动机械厂 电磁阀控制气动换档自动变速器
CN202251918U (zh) * 2010-12-10 2012-05-30 贵州红林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客车的2档气动自动换挡执行器
CN202176707U (zh) * 2011-08-15 2012-03-28 瑞立集团瑞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气动选位换挡执行机构、车辆变速装置及车辆
KR101407148B1 (ko) * 2012-11-28 2014-06-13 현대다이모스(주)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클러치 하우징 구조
KR101592689B1 (ko) * 2014-05-08 2016-02-11 현대다이모스(주)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변속 액추에이터의 배기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4542A (ja) * 1999-03-19 2000-10-03 Ckd Corp 電磁弁マニホールド及び結合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84977A (zh) 2017-06-23
CN106884977B (zh) 2018-11-30
KR20170067943A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912B1 (ko) 파일럿식 3포트 전환밸브
JP4919002B2 (ja) マニホールド形電磁弁集合体
KR100216971B1 (ko) 변환밸브에 있어서 관연결수단의 부착기구
KR19980063803A (ko) 파일럿식 변환밸브
US5860445A (en) Transfer valve manifold
KR100244538B1 (ko) 역류방지수단이 부착된 전환밸브
KR100286706B1 (ko) 전환밸브 연결체_
KR100283240B1 (ko) 5포트 전자밸브 몸체를 이용한 3포트 전자밸브
KR101761488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의 배기 장치
CN102278457B (zh) 车辆变速器
JPH04248078A (ja) 多機能マルチポート滑り弁
CN206958214U (zh) 变速器、离合器接合活塞和离合器
KR100302412B1 (ko) 파일럿식절환밸브
EP1130273B1 (en) Multiway valve with a removable exhaust wall
JP6009249B2 (ja) 切換弁、切換弁ユニット及び着脱部材
US20210324961A1 (en) Spool valve
CN216112313U (zh) 差压导阀组件
KR101746478B1 (ko) Awd 시스템의 유압 액추에이터
KR200368688Y1 (ko) 선박엔진용 스타팅 에어밸브의 제어밸브
JP2018025228A (ja) コントロールバルブユニット
KR102572239B1 (ko) 차량 내연기관의 벤틸레이션 구조
JP4195838B2 (ja) パイロット形電磁弁
KR20090047192A (ko) 엔진의 실린더헤드 구조
JP6454247B2 (ja) ベーンポンプ
JP2023122325A (ja) 電磁弁マニホー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