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681B1 -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681B1
KR101760681B1 KR1020170015345A KR20170015345A KR101760681B1 KR 101760681 B1 KR101760681 B1 KR 101760681B1 KR 1020170015345 A KR1020170015345 A KR 1020170015345A KR 20170015345 A KR20170015345 A KR 20170015345A KR 101760681 B1 KR101760681 B1 KR 101760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time
position inform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
Original Assignee
허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 filed Critical 허정
Priority to KR102017001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에 설치된 버스용 단말기 및 버스 회사 관리서버를 이용한 버스 고장시의 배차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용 단말기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버스의 시동 꺼짐이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버스의 운전자로부터 고장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버스의 고장을 인식하는 단계(a); 상기 버스의 고장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버스용 단말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버스의 제1 위치 정보, 고장 인식 신호, 상기 버스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배차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b); 상기 버스 회사 관리서버는 상기 버스가 소속된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제1 버스 리스트,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제2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제2 버스 리스트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서 위치하며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 방향으로 운행하고 있는 제3 버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c); 상기 배차 관리서버는 상기 추출된 버스 리스트들 중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이동할 버스를 선택하는 단계(d); 및
상기 배차 관리서버는 상기 선택된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는 운행 지시 정보를 상기 선택된 버스가 소속된 버스 회사의 서버, 상기 선택된 버스에 설치된 버스용 단말기 및 상기 선택된 버스의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e);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d)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인접한 휴게소 또는 졸음 쉼터의 제2 위치 정보를 더 추출하고, 상기 제1 버스 리스트 및 상기 제2 버스 리스트 중 상기 제2 위치 정보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적은 제1 버스를 추출하는 단계(d1);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적은 제2 버스를 추출하는 단계(d2);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상기 버스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버스들 중 상기 목적지와 동일한 목적지 또는 상기 목적지를 경유하는 제3 버스를 추출하는 단계(d3); 상기 제1 버스가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1 소요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2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도착하는데 소용되는 제2 소요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1 버스가 상기 제2 위치 정보에서 상기 버스의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제3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버스의 승객들이 제1 위치정보에서 상기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1 총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d4); 상기 제3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도착하여 상기 버스의 승객을 태운 후 상기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2 총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d5); 상기 제1 총 소요시간이 상기 제2 총 소요시간보다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소요되는 경우, 상기 제3 버스를 선택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소요되는 경우 상기 제1 버스 및 상기 제2 버스를 선택하는 단계(d6)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운행 지시 정보는 상기 제3 버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3 버스를 상기 제1 위치 정보에서 상기 버스의 승객을 태운 후 상기 목적지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제1 버스 및 상기 제2 버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버스를 상기 제2 위치 정보로 운행하여 상기 버스의 승객을 태운 후 상기 목적지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며, 상기 제2 버스를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행 중 버스가 고장 나는 경우, 고장난 버스의 위치로 빨리 도착할 수 있는 버스를 새롭게 배차함으로써 고장난 버스 승객들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버스 배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METHOD OF BUS ASSIGNMENT IN DIAGNOSING TROUBLE OF B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를 주행하는 버스가 고장이 난 경우, 고장난 버스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할 새로운 버스를 배차하는 배차하는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정한 운행간격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지정된 노선을 따라 운행되는 일반 버스, 좌석 버스, 마을 버스등과 달리 관광 버스, 통근 버스, 전세 버스 등은 기본적으로 예약업무를 승객들로부터 접수하여 보유하고 있는 버스들을 각 예약 업무에 배정하여 운행된다.
따라서, 일반 버스가 운행 중 고장 시에는 일정한 운행간격을 가지고 동일 노선을 따라 운행하는 다른 버스가 올 때까지 버스에서 대기하다가, 다른 버스가 도착하면 다른 버스로 갈아타면 되어다.
그러나, 관광 버스, 통근 버스, 전세 버스 등의 경우 운행 중 고장이 나는 경우에는 고장 수리가 완료되거나, 버스가 소속된 회사에서 새롭게 보낸 버스가 도착할 때까지 도로상의 버스에서 승객들이 오랜 시간을 대기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운행 중 버스가 고장 나는 경우, 고장난 버스 승객들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버스 배차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에 설치된 버스용 단말기 및 버스 회사 관리서버를 이용한 버스 고장시의 배차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용 단말기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버스의 시동 꺼짐이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버스의 운전자로부터 고장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버스의 고장을 인식하는 단계(a); 상기 버스의 고장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버스용 단말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버스의 제1 위치 정보, 고장 인식 신호, 상기 버스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배차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b); 상기 버스 회사 관리서버는 상기 버스가 소속된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제1 버스 리스트,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제2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제2 버스 리스트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서 위치하며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 방향으로 운행하고 있는 제3 버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c); 상기 배차 관리서버는 상기 추출된 버스 리스트들 중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이동할 버스를 선택하는 단계(d); 및 상기 배차 관리서버는 상기 선택된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는 운행 지시 정보를 상기 선택된 버스가 소속된 버스 회사의 서버, 상기 선택된 버스에 설치된 버스용 단말기 및 상기 선택된 버스의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e);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d)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인접한 휴게소 또는 졸음 쉼터의 제2 위치 정보를 더 추출하고, 상기 제1 버스 리스트 및 상기 제2 버스 리스트 중 상기 제2 위치 정보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적은 제1 버스를 추출하는 단계(d1);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적은 제2 버스를 추출하는 단계(d2);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상기 버스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버스들 중 상기 목적지와 동일한 목적지 또는 상기 목적지를 경유하는 제3 버스를 추출하는 단계(d3); 상기 제1 버스가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1 소요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2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도착하는데 소용되는 제2 소요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1 버스가 상기 제2 위치 정보에서 상기 버스의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제3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버스의 승객들이 제1 위치정보에서 상기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1 총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d4); 상기 제3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도착하여 상기 버스의 승객을 태운 후 상기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2 총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d5); 상기 제1 총 소요시간이 상기 제2 총 소요시간보다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소요되는 경우, 상기 제3 버스를 선택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소요되는 경우 상기 제1 버스 및 상기 제2 버스를 선택하는 단계(d6)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운행 지시 정보는 상기 제3 버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3 버스를 상기 제1 위치 정보에서 상기 버스의 승객을 태운 후 상기 목적지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제1 버스 및 상기 제2 버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버스를 상기 제2 위치 정보로 운행하여 상기 버스의 승객을 태운 후 상기 목적지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며, 상기 제2 버스를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는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d4)는, 상기 제1 소요시간 및 상기 제2 소요시간 중 큰 값을 갖는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버스가 상기 제2 위치 정보에서 출발 가능 한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2 위치 정보와 상기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제3 총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단계(d4)는, 상기 제1 소요시간이 상기 제2 소요시간 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버스에서 상기 승객이 상기 제2 위치 정보의 휴게소 또는 졸음쉼터에 하차 후 소모하는 시간, 상기 제1 버스에 재 승차 하는 시간을 더 고려하여 상기 제1 총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단계(d1)는, 상기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가 상기 위치 정보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제2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가 상기 위치 정보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기 설정된 시간 이하로 더 소요되는 경우 상기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d1) 또는 상기 단계(d2)는,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상기 위치 정보까지 이동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이면서, 잔여좌석의 수가 상기 승객 수보다 큰 버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잔여좌석의 수가 상기 승객 수보다 큰 버스가 없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인 버스를 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행 중 버스가 고장 나는 경우, 고장난 버스의 위치로 빨리 도착할 수 있는 버스를 새롭게 배차함으로써 고장난 버스 승객들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버스 배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배차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단말기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차 관리서버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배차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계(4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선택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배차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버스 배차 시스템은 각 버스에 설치되는 버스 단말기(100) 및 버스 배차 관리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는 운행 스케줄에 따라 운행 중인 버스(10A), 운행 중인 버스 중 고장 버스가 소속된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10B), 고장난 버스의 위치에서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제2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10C)들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버스는 일정한 운행간격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지정된 노선을 따라 운행되는 버스가 아닌, 예약에 따라 운행되는 관광버스, 전세버스 및 통근 버스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버스용 단말기(100)는 버스들에 각각 설치되며, 운행 중인 버스들에 장착된 버스용 단말기(100)는 GPS 위성(1)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배차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버스용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버스의 시동 꺼짐을 인식하거나, 버스의 운전자로부터 고장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버스의 고장을 인식할 수 있으며, 고장 인식 신호를 배차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배차 관리서버(200)는 고장난 버스가 소속된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 리스트, 상기 고장난 버스의 위치 정보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제2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제2 버스 리스트, 상기 고장난 버스의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며 상기 고장난 버스의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 방향으로 운행하고 있는 제3 버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버스 리스트 중 상기 고장난 버스의 제1 위치 정보까지 이동할 버스를 선택한다.
또한, 배차 관리서버(200)는 선택된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운행 할 것을 지시하는 운행 지시 정보를 상기 선택된 버스가 소속된 회사의 서버, 상기 선택된 버스에 설치된 버스용 단말기 및 상기 선택된 버스의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차 관리서버(200)는 운행 중인 버스가 고장나는 경우, 고장 인식 신호를 수신하여 배차 관리서버(200)에서 관리하는 버스들의 리스트 중 고장난 버스가 위치한 곳으로 가장 빨리 도착할 수 있는 버스들을 선택하여 배차함으로써, 고장난 버스의 승객들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단말기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버스용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위치 정보 수신부(120), 고장 인식부(130), 알람부(140), 입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배차 관리서버(200)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구성으로서, 무선 방식을 통해서 배차 관리서버(200)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120)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 하여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고장 인식부(130)는 차량의 고장을 인식한다. 일례로 고장 인식부(130)는 엔진 동작 신호를 수신하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버스의 시동 꺼짐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버스가 고장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장 인식부(130)는 운행하는 버스의 정차가 예정된 위치(휴게소, 관광지 주차장 등)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버스의 시동 꺼짐이 인식되거나, 상기 버스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버스가 고장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알람부(140)는 고장 인식부(130)에서 버스의 고장이 인식되는 경우, 버스의 운전자에게 고장 입력 신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한다.
입력부(150)는 버스의 운전자로부터 고장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구성으로서, 버스의 운전자는 버스의 고장이 확실한 경우 입력부(150)를 통해 고장 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고장 인식부(130)가 버스가 고장난 것으로 인식하거나 상기 버스의 운전자로부터 고장 입력 신호를 입력 받는 경우 버스가 고장난 것으로 인식하고, 고장난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 고장 인식 신호, 고장난 버스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고장난 버스에 승차한 승객 수 중 적어도 하나를 배차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고장 인식부(130)에서 버스의 고장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알림부(140)를 통해 상기 버스의 운전사에게 고장 입력 신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버스 운전자로부터 고장 입력 신호가 입력되거나,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상기 버스 운전자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버스가 고장난 것으로 인식하여, 고장 인식 신호를 배차 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운전사로부터 고장 입력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갑작스런 교통사고, 운전자의 건강 이상 등으로 인해 버스의 운전자가 응답을 못하는 상황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차 관리서버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배차 관리서버(200)는 통신부(210), 버스 리스트 관리부(220), 버스 리스트 추출부(230), 소요 시간 산출부(240), 버스 선택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버스들에 설치된 버스용 단말기(100)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구성으로서,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버스용 단말기(100)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버스 리스트 관리부(220)는 운행중인 버스들의 실시간 위치 정보, 운행중인 버스들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운행중인 버스에 설치된 버스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관리하며, 국내 전 지역에 위치한 관광, 전세 또는 통근 버스들을 보유하고 있는 버스 회사들의 미 배차된 버스 리스트 및 버스 회사의 위치 정보를 버스 회사의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버스 리스트 추출부(230)는 고장난 버스가 소속된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 리스트, 상기 고장난 버스의 위치 정보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제2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제2 버스 리스트, 상기 고장난 버스의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며 상기 고장난 버스의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 방향으로 운행하고 있는 제3 버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들을 추출한다.
소요 시간 산출부(240)는 추출된 버스 리스트에 포함된 버스들이 상기 고장난 버스의 위치 정보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소요 시간을 산출한다. 소요 시간의 산출은 버스 리스트에 포함된 버스의 위치 및 고장난 버스의 위치 간의 운행 거리, 운행 경로상의 교통 정보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버스 선택부(250)는 버스 리스트 추출부(230)에서 추출된 버스 리스트들 중 고장난 버스의 위치 정보까지 이동할 버스를 선택한다. 버스 선택부(250)에서 버스를 선택하는 방법은 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260)는 선택된 버스가 상기 고장난 버스의 위치 정보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는 운행 지시 정보를 상기 선택된 버스가 소속된 버스 회사, 상기 선택된 버스에 설치된 버스용 단말기 및 상기 선택된 버스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버스 배차 관리 시스템에서 버스를 배차 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배차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운행중인 버스에 설치된 버스용 단말기(100)를 통해 버스의 고장을 인식한다(S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용 단말기(100)는 상기 버스의 정차가 예정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버스의 시동 꺼짐이 인식되거나, 상기 버스가 이동 하지 않는 경우 상기 버스가 고장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용 단말기(100)는 고장 인식부(130)에서 버스가 고장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 상기 버스의 운전자에게 고장 입력 신호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버스 운전자로부터 고장 입력 신호가 입력되거나,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상기 버스 운전자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버스가 고장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버스가 고장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버스용 단말기(100)는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고장난 버스의 제1 위치 정보, 고장 인식 신호, 고장난 버스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배차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200)
이어서, 배차 관리서버(200)는 상기 고장난 버스가 소속된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제1 버스 리스트, 상기 위치 정보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제2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제2 버스 리스트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서 위치하며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 방향으로 운행하고 있는 제3 버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추출한다(S300).
이어서, 배차 관리서버(300)는 상기 추출된 버스 리스트들 중 고장난 버스의 위치 정보까지 이동할 버스를 선택한다(S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차 관리서버(200)의 버스 선택부(250)는 추출된 버스 리트들 중 상기 고장난 버스의 제1 위치 정보까지 이동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적은 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버스 리스트 및 제2 버스 리스트에 포함된 미 배차된 버스들이 상기 고장난 버스의 제1 위치 정보까지 이동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제3 버스 리스트에 포함된 버스들이 상기 고장난 버스의 제1 위치 정보까지 이동하는데 소용되는 시간보다 많이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상기 고장난 버스의 제1 위치 정보까지 이동 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인 버스들이 둘 이상인 경우, 버스 선택부(250)는 복수의 버스들 중 잔여좌석의 수가 상기 승객 수보다 큰 버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버스 선택부(250)는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잔여좌석의 수가 상기 승객 수보다 큰 버스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이동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인 버스를 둘 이상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버스 리스트 및 제2 버스 리스트에 포함된 미 배차된 버스들이 상기 고장난 버스의 제1 위치 정보까지 이동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제3 버스 리스트에 포함된 버스들이 상기 고장난 버스의 제1 위치 정보까지 이동하는데 소용되는 시간보다 많이 걸리는 경우, 버스 선택부(250)는 상기 고장난 버스의 제1 위치 정보에 인접한 휴게소 또는 졸음 쉼터의 제2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버스 리스트 및 상기 제2 버스 리스트 중 상기 제2 위치 정보까지 이동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적은 제1 버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상기 버스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제2 버스를 선택할 수 도 있다.
제3 버스 리스트에 선택된 버스들은 각자의 목적지가 정해져 있는 버스들이므로, 상기 선택된 제2 버스를 버스의 고장난 제1 위치 정보로 보내어, 고장난 버스의 승객들을 운행 경로상의 휴게소 또는 졸음 쉼터로 우선 안전하게 수송하고, 상기 선택된 제1 버스를 상기 휴게소 또는 졸음 쉼터로 보내어 승객들을 태움으로써 승객들이 버스 고장으로 대기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선택부(250)는 고장난 버스가 소속된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제2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가 상기 제2 위치 정보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기 설정된 시간 이하로 더 소요되는 경우 상기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버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예로,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가 상기 고장난 버스의 제1 위치 정보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제2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5분정도 더 걸리는 경우, 고장난 버스가 소속된 회사의 버스를 배차하는 것이 관광 버스의 관광을 마치는데 있어서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배차 관리서버(300)는 상기 선택된 버스가 고장난 버스의 제1 위치 정보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는 운행 지시 정보를 상기 선택된 버스가 소속된 버스 회사, 상기 선택된 버스에 설치된 버스용 단말기 및 상기 선택된 버스의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S500).
도 5는 도 4의 단계(4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선택 방법의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선택 방법은 우선, 버스 선택부(250)는 상기 고장난 버스의 제1 위치 정보에 인접한 휴게소 또는 졸음 쉼터의 제2 위치 정보를 더 추출(S401)하고, 상기 제1 버스 리스트 및 상기 제2 버스 리스트 중 상기 제2 위치 정보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적은 제1 버스를 추출한다(S402).
이어서, 버스 선택부(250)는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적은 제2 버스를 추출하고(S403), 제3 버스 리스트 중 상기 고장난 버스와 일정 거리내에 위치하는 버스들 중 상기 목적지와 동일한 목적지 또는 상기 목적지를 경유하는 제3 버스를 추출한다(S404).
이어서, 버스 선택부(250)는 상기 제1 버스가 제2 위치 정보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1 소요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2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2 소요시간, 상기 제1 버스가 제2 위치 정보에서 상기 버스의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제3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고장난 버스의 승객들이 제1 위치 정보에서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1 총 소요시간을 산출한다(S405).
여기서, 제1 소요시간 및 제2 소요시간 중 큰 값을 갖는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제1 버스가 제2 위치 정보에서 출발 가능한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2 위치 정보와 상기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제3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버스가 제2 위치 정보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1 소요시간이 40분, 상기 제2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2 소요시간이 30분, 제1 버스가 제2 위치 정보에서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3 소요시간이 40분인 경우, 제1 총 소요시간은 (제1 소요시간 or 제2 소요시간 중 큰 값을 가지는 소요시간) + 제3 소요시간 = (40분 +40분) = 80분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소요시간이 상기 제2 소요시간 보다 큰 경우, 즉 제2 버스가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상기 제1 버스보다 먼저 도착하는 경우, 상기 제2 버스에서 상기 승객이 상기 제2 위치 정보의 휴게소 또는 졸음쉼터에 하차 후 소모하는 시간, 상기 제1 버스에 재 승차 하는 시간을 더 고려하여 제1 총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버스가 제1 버스보다 일찍 도착한 경우, 제2 버스에서 내린 승객들은 제1 버스가 도착하기 전에 휴게소 이용, 화장실 이용 등으로 시간을 소모할 수 있으며, 제1 버스가 도착한 후 승객들이 다시 모여 탑승하는데도 일정 시간이 소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간이 15분 정도 소요된다고 가정하는 경우, 제1 총 소요시간은 15분이 더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일례에서 15분을 추가하면 제1 총 소요시간은 95분이 될 수 있다.
이어서, 버스 선택부(250)는 제3 버스가 제1 위치 정보에 도착하여 상기 버스의 승객을 태운 후 상기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2 총 소요시간을 산출한다(S406).
제3 버스는 상기 고장난 버스의 목적지와 동일한 목적지 또는 상기 목적지를 경유하는 버스임으로, 고장난 버스의 제1 위치 정보에 도착하여 승객을 태운 후, 버스의 목적지에 승객들을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3 버스가 제1 위치 정보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제3 버스 리스트 중 제1 위치 정보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적은 제2 버스의 소요시간보다 오래 걸릴 수 있다.
일례로, 제3 버스의 제1 위치 정보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20분, 제2 버스의 제1 위치정보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10분, 제3 버스가 제1 위치 정보에서 상기 버스의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40분인 경우 제2 총 소요시간은 60분일 수 있다.
즉, 제3 버스리스트 중 제1 위치 정보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적은 제2 버스의 목적지가 고장난 버스의 목적지 전인 경우, 제2 버스는 승객을 태운 후 제2 위치 정보까지 이동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제1 버스가 제2 위치 정보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제2 버스가 제2 위치 정보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오래 걸리고, 제2 버스에서 승객이 내린 후, 다시 모여서 늦게 도착한 제1 버스에 탑상하는데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3 버스 리스트 중 고장난 버스의 목적지와 동일하거나, 목적지를 경유하는 버스가 제1 위치 정보에 도착하는 시간이 제3 버스 리스트의 다른 버스들에 오래 걸린다 하더라도, 제3 버스가 제1 위치 정보에 도착하여, 승객을 목적지까지 안내하는데 소요되는 제2 총소요시간이 제2 위치 정보에서 승객들이 환승하는 시간을 고려한 제1 총 소요시간보다 적게 소요되는 경우, 버스 선택부는 제3 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버스 선택부(250)는 상기 제1 총 소요시간과 상기 제2 총 소요시간을 비교(S407)하여, 제1 총 소요시간이 제2 총 소요시간보다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소요되는 경우 상기 제1 버스 및 상기 제2 버스를 선택(S408)하며,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소요되는 경우 제3 버스를 선택(S409)한다.
이 경우 도 4의 단계(S500)에서의 운행 지시 정보는 상기 제3 버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3 버스를 상기 제1 위치 정보에서 상기 고장난 버스의 승객을 태운 후 상기 목적지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제1 버스 및 상기 제2 버스라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버스를 상기 제2 위치 정보로 운행하여 고장난 버스의 승객을 태운 후 상기 목적지 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며, 상기 제2 버스를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행 지시 정보를 전송받은 버스는 고장난 버스 위치 정보로 이동하여, 고장난 버스의 승객들 태움으로써, 승객들이 버스 고장으로 인해 도로에서 오랜 시간 동안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버스용 단말기 110: 통신부
120: 위치 정보 수신부 130: 고장 인식부
140: 알람부 150: 입력부
200: 배차 관리서버 210: 통신부
220: 버스 리스트 관리부 230: 버스 리스트 추출부
240: 소요 시간 산출부 250: 버스 선택부

Claims (5)

  1. 버스에 설치된 버스용 단말기 및 배차 관리서버를 이용한 버스 고장시의 배차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용 단말기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버스의 시동 꺼짐이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버스의 운전자로부터 고장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버스의 고장을 인식하는 단계(a);
    상기 버스의 고장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버스용 단말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버스의 제1 위치 정보, 고장 인식 신호, 상기 버스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배차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b);
    상기 배차 관리서버는 상기 버스가 소속된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제1 버스 리스트,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제2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제2 버스 리스트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서 위치하며 상기 출발지에서 상기 목적지 방향으로 운행하고 있는 제3 버스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c);
    상기 배차 관리서버는 상기 추출된 버스 리스트들 중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이동할 버스를 선택하는 단계(d); 및
    상기 배차 관리서버는 상기 선택된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는 운행 지시 정보를 상기 선택된 버스가 소속된 버스 회사의 서버, 상기 선택된 버스에 설치된 버스용 단말기 및 상기 선택된 버스의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e);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d)는,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인접한 휴게소 또는 졸음 쉼터의 제2 위치 정보를 더 추출하고, 상기 제1 버스 리스트 및 상기 제2 버스 리스트 중 상기 제2 위치 정보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적은 제1 버스를 추출하는 단계(d1);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상기 목적지 방향으로 운행하되, 상기 목적지까지 운행하지 않는 버스 중,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장 적은 제2 버스를 추출하는 단계(d2);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상기 버스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버스들 중 상기 목적지와 동일한 목적지 또는 상기 목적지를 경유하는 제3 버스를 추출하는 단계(d3);
    상기 제1 버스가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1 소요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2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도착하는데 소용되는 제2 소요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1 버스가 상기 제2 위치 정보에서 상기 버스의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제3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버스의 승객들이 제1 위치정보에서 상기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1 총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d4);
    상기 제3 버스가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도착하여 상기 버스의 승객을 태운 후 상기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제2 총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d5);
    상기 제1 총 소요시간이 상기 제2 총 소요시간보다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소요되는 경우, 상기 제3 버스를 선택하며,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미만으로 소요되는 경우 상기 제1 버스 및 상기 제2 버스를 선택하는 단계(d6)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e)에서 상기 운행 지시 정보는 상기 제3 버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3 버스를 상기 제1 위치 정보에서 상기 버스의 승객을 태운 후 상기 목적지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제1 버스 및 상기 제2 버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버스를 상기 제2 위치 정보로 운행하여 상기 버스의 승객을 태운 후 상기 목적지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며, 상기 제2 버스를 상기 제1 위치 정보까지 운행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하고,
    상기 단계(d1)는,
    상기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가 상기 제2 위치 정보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제2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가 상기 제2 위치 정보까지 운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기 설정된 시간 이하로 더 소요되는 경우 상기 제1 버스 회사의 미 배차된 버스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버스를 선택하는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4)는,
    상기 제1 소요시간 및 상기 제2 소요시간 중 큰 값을 갖는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버스가 상기 제2 위치 정보에서 출발 가능 한 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제2 위치 정보와 상기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제3 총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4)는,
    상기 제1 소요시간이 상기 제2 소요시간 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버스에서 상기 승객이 상기 제2 위치 정보의 휴게소 또는 졸음쉼터에 하차 후 소모하는 시간, 상기 제1 버스에 재 승차 하는 시간을 더 고려하여 상기 제1 총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1) 또는 상기 단계(d2)는,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상기 위치 정보까지 이동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이면서, 잔여좌석의 수가 상기 승객 수보다 큰 버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3 버스 리스트 중 잔여좌석의 수가 상기 승객 수보다 큰 버스가 없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인 버스를 둘 이상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KR1020170015345A 2017-02-03 2017-02-03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KR101760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45A KR101760681B1 (ko) 2017-02-03 2017-02-03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45A KR101760681B1 (ko) 2017-02-03 2017-02-03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681B1 true KR101760681B1 (ko) 2017-07-24

Family

ID=5942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345A KR101760681B1 (ko) 2017-02-03 2017-02-03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6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017B1 (ko) * 2018-07-05 2019-01-28 강창호 배차관리 및 사고관리 일원화 차량관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4081A (ja) 2004-07-09 2006-01-26 Nec Fielding Ltd バス代替相乗りタクシー予約受付システム
JP2015092320A (ja) 2013-09-30 2015-05-14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自動運転交通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体、移動体の連携配車装置、及びその配車方法
KR101551274B1 (ko) * 2015-02-17 2015-09-09 김선순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4081A (ja) 2004-07-09 2006-01-26 Nec Fielding Ltd バス代替相乗りタクシー予約受付システム
JP2015092320A (ja) 2013-09-30 2015-05-14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自動運転交通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体、移動体の連携配車装置、及びその配車方法
KR101551274B1 (ko) * 2015-02-17 2015-09-09 김선순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017B1 (ko) * 2018-07-05 2019-01-28 강창호 배차관리 및 사고관리 일원화 차량관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2577B2 (ja) 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管理装置
CN110062872B (zh) 路径搜索系统、路径搜索装置、路径搜索方法和计算机程序
JP7456414B2 (ja) 車両制御装置の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及び車両運行システム
US11625049B2 (en) Plurality of vehicles performing platoon travelling and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00034930A1 (fr) Appareil de guidage de vehicule embarque, systeme de serveur de communication et systeme de guidage de vehicule de remplacement
JP2010204708A (ja) 配車管理装置、配車システム、配車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372870B (zh) 通用列控车载主机
JP2018190317A (ja) 統合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
KR20190084002A (ko) 통신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US20190258270A1 (en) Traveling control system for autonomous traveling vehicles, server apparatus, and autonomous traveling vehicle
KR20200112630A (ko) 자율주행 차량을 이용한 운송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035901A1 (en) Demand-based control schemes for autonomous vehicle system
JP2010003170A (ja) パークアンドライドシステム、当該システムを構成する自動車、および当該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551274B1 (ko)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KR101760681B1 (ko) 버스 고장시의 버스 배차 방법
JP2020135314A (ja) 配車装置および配車方法
WO2020116572A1 (ja) 電動車両の運行管理システム
CN112598923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机场出租车乘客智能联调系统
JPH10170288A (ja) 乗車情報提供システム
WO2020022221A1 (ja) 車両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両制御装置
CN111539679A (zh) 信息处理装置和移动对象
KR101630713B1 (ko) 소형궤도차량의 운행 제어 시스템
KR101943017B1 (ko) 배차관리 및 사고관리 일원화 차량관제 시스템
JP2002279579A (ja) 車両走行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7468443B2 (ja) 車両運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