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301B1 -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 Google Patents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301B1
KR101760301B1 KR1020170027754A KR20170027754A KR101760301B1 KR 101760301 B1 KR101760301 B1 KR 101760301B1 KR 1020170027754 A KR1020170027754 A KR 1020170027754A KR 20170027754 A KR20170027754 A KR 20170027754A KR 101760301 B1 KR101760301 B1 KR 101760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lock
block
bottom plate
side plate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황희
성상경
이재영
오리온
박성기
Original Assignee
(주)콘텍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콘텍이엔지 filed Critical (주)콘텍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02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은, 지반의 상면에 배치되고 빗물을 지반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침투홀부가 중앙부에 형성된 바닥판 블록, 상기 바닥판 블록의 상측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빗물을 외부로부터 받아들이기 위한 우수홀부가 형성된 상판 블록, 상기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하부가 인터록킹 방식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판 블록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상부에 안착 지지되는 제1 측판 블록, 및 상기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하부가 인터록킹 방식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판 블록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상부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연결된 제2 측판 블록을 포함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측판 블록은 상기 바닥판 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빗물을 전후방향으로 저류시키는 제1 저류홀부가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측판 블록은 상기 바닥판 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빗물을 좌우방향으로 저류시키는 제2 저류홀부가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ASSEMBLY TYPE PAVEMENT BLOCK FOR RAINWATE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불투수 포장면에 적용하여 빗물의 침투 및 저류가 가능할 수 있고, 소형화로 인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인터록킹(interlocking) 방식으로 조립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서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 포장면의 증가로 인해서 도심지 내의 홍수 발생, 지하수 유입의 부족으로 인한 하천 및 지하수의 수질 악화, 및 열섬 현상 등과 같은 도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1960년대 초반부터 도시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불투수 포장면이 증가하였고, 그로 인해서 물 환경이나 기후변화 등의 도시 환경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도시 환경의 문제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시 개발 이전에는 우천시 빗물이 땅 속으로 스며들었지만, 도시 개발로 인해서 땅 속으로 스며들던 빗물이 일시에 지표면과 배수시설을 통해 하천으로 유입되고 있어 집중 호우시 하천변이나 저지대 침수피해가 상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인구의 고밀도화로 인하여 물 수요, 오수 배출량, 및 오염물질 배출 부하량이 증가하고 불투수 포장면의 증가로 인하여 지하수 유입이 부족해지고 있으므로, 하천 및 지하수의 수질이 악화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여 열섬 현상과 같은 도시 기후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전술한 도시 환경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의 빗물 관리 방식(BMP: Best Management Practice)은 가능한 빨리 유출수를 발생원에서 배제시켜 집중식 BMP 처리장치로 이동시키는 방식이 오랫동안 채택되어 사용되었지만, BMP 시설 노후화에 따른 유지 보수의 경제적인 부담이 크게 가중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집중식 빗물 관리 시스템은 홍수를 유발시키는 이벤트성 단일강우를 대상으로 첨두 유량의 배제 또는 저감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에는 기존의 빗물 관리 방식 대신에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방식이 주목 받고 있다.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방식은 유출수 발생원 지역에서 침투, 저류, 여과, 증발 등과 같은 소규모 분산식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개발 이전의 물순환 체계를 회복 및 유지시키는 방식이다. 즉, 분산식 빗물 관리 시스템은 연간 발생되는 총강우량을 대상으로 유출 총량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기존의 분산식 빗물 저류 시설은,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로 인해서 보도 구역이나 측구 구역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주차장이나 광장 등과 같은 넓은 불투수면적에 적용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빗물의 침투 능력이 작아 폭우시 침수 피해의 우려가 있었다.
주차장이나 광장과 같이 불투수 면적이 넓은 지역은 물순환 체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만 아니라 물고임 현상도 심각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포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투수성 블록이나 배수성 포장은 재료 자체의 공극을 높여 빗물의 침투 능력을 향상시키는 구조이므로, 차량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잦은 파손으로 인해서 유지관리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량 하중을 직접 지지할 수 있는 구조적 강도 및 내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서 주차장이나 광장 등과 같은 넓은 면적에 적용이 가능하고, 빗물의 침투 및 저류가 동시에 이루어져 물순환 체계의 복원 및 폭우시 홍수예방 효과가 있는 포장 블록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1542568호(발명의 명칭: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침투 시설, 등록일: 2015.07.31)에는, 시공이 편리하고 노면 하중에 따른 부등침하를 예방하며 강우의 침투와 저류를 활용한 자연적 물순환을 구축하기 위한 투수성 저류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2749호(발명의 명칭: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공개일: 2016.04.20)에는, 보도 및 광장 등을 포장함에 있어서 물순환 기능 및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빗물의 침투 및 저류에 의한 소규모 분산식 시스템을 구현하여 물순환 체계의 회복 및 홍수예방을 실현할 수 있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차장, 보도, 광장, 및 공원 등과 같이 불투수면적이 넓은 지역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블록의 소형화 및 현장 조립 방식을 통하여 별도의 대형 설치 장비가 없어도 현장에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록킹 방식으로 조립하여 블록들 간의 일체화로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반의 상면에 배치되고 빗물을 지반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침투홀부가 중앙부에 형성된 바닥판 블록, 상기 바닥판 블록의 상측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빗물을 외부로부터 받아들이기 위한 우수홀부가 형성된 상판 블록, 상기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하부가 인터록킹 방식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판 블록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상부에 안착 지지되는 제1 측판 블록, 및 상기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하부가 인터록킹 방식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판 블록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상부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연결된 제2 측판 블록을 포함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측판 블록은 상기 바닥판 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빗물을 전후방향으로 저류시키는 제1 저류홀부가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측판 블록은 상기 바닥판 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빗물을 좌우방향으로 저류시키는 제2 저류홀부가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판 블록, 상판 블록, 제1 측판 블록, 및 제2 측판 블록을 인터록킹 방식으로 조립하므로, 블록들 간의 구조적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블록들의 크기를 소형화시켜 대형 설치 장비의 도움 없이도 인력만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침투홀부, 우수홀부, 제1 저류홀부, 및 제2 저류홀부를 구비하므로, 빗물을 효과적으로 침투시키거나 저류시킬 수 있어 물순환 체계의 회복 및 홍수 예방을 실현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측판 블록의 하부는, 상기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와의 연결시 상기 바닥판 블록의 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전방 바닥판 블록의 후방부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판 블록의 후방부와의 연결시 상기 바닥판 블록의 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후방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판 블록의 하부에는 제1 측판 하부 돌기가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와 상기 전방 바닥판 블록의 후방부 또는 상기 바닥판 블록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1 측판 하부 돌기가 삽입되는 홀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바닥판 홈부가 서로 대응되게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바닥판 홈부는 상기 제1 측판 하부 돌기와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기 제1 측판 하부 돌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판 블록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 및 하측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측판 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와 상기 전방 바닥판 블록의 후방부 또는 상기 바닥판 블록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는, 상기 제1 측판 블록과의 연결시 상기 제1 저류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측판 홈부의 하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판 블록의 상부는, 상기 상판 블록의 전방부와 함께 상기 상판 블록의 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전방 상판 블록의 후방부도 동시에 안착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 블록의 후방부와 함께 상기 상판 블록의 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후방 상판 블록의 전방부가 동시에 안착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측판 블록의 하부는, 상기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와의 연결시 상기 바닥판 블록의 좌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좌측 바닥판 블록의 우측부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판 블록의 우측부와의 연결시 상기 바닥판 블록의 우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우측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판 블록의 하부에는 제2 측판 하부 돌기가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와 상기 좌측 바닥판 블록의 우측부 또는 상기 바닥판 블록의 우측부와 상기 우측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에는, 상기 제2 측판 하부 돌기가 삽입되는 홀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바닥판 홈부가 서로 대응되게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바닥판 홈부는 상기 제2 측판 하부 돌기와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기 제2 측판 하부 돌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판 블록의 하부에는 좌우 방향 및 하측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측판 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와 상기 좌측 바닥판 블록의 우측부 또는 상기 바닥판 블록의 우측부와 상기 우측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는, 상기 제2 측판 블록과의 연결시 상기 제2 저류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측판 홈부의 하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판 블록의 상부는, 상기 상판 블록의 좌측부와의 연결시 상기 상판 블록의 좌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좌측 상판 블록의 우측부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판 블록의 우측부와의 연결시 상기 상판 블록의 우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우측 상판 블록의 좌측부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판 블록의 좌측부와 상기 좌측 상판 블록의 우측부 또는 상기 상판 블록의 우측부와 상기 우측 상판 블록의 좌측부에는, 상기 제2 측판 블록의 상부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기 위한 상판 단차부가 서로 대응되게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측판 블록의 양측부에는 제1 측판 측부 돌기가 수평하게 각각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제2 측판 블록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1 측판 측부 돌기의 상측에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제2 측판 측부 돌기가 수평하게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판 측부 돌기는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다른 제1 측판 측부 돌기와 함께 상기 제2 측판 측부 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판 측부 돌기는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다른 제2 측판 측부 돌기와 함께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은, 바닥판 블록에 형성된 침투홀부, 상판 블록에 형성된 우수홀부, 제1 측판 블록과 바닥판 블록에 의해 형성된 제1 저류홀부, 및 제2 측판 블록과 바닥판 블록에 의해 형성된 제2 저류홀부를 구비하므로, 빗물의 배수와 침투 및 저류를 매우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빗물의 침투 및 저류에 의한 소규모 분산식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물순환 체계의 회복 및 홍수 예방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은, 바닥판 블록, 상판 블록, 제1 측판 블록, 및 제2 측판 블록을 인터록킹 방식으로 조립한 구조이므로, 각 블록들 간의 일체화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하중을 지지 가능한 구조적 강도 및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주차장, 보도, 광장, 공원 등과 같이 불투수면적이 넓은 지역에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은, 바닥판 블록, 상판 블록, 제1 측판 블록, 및 제2 측판 블록 중 어느 하나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 가능한 구조이므로, 각 블록들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그 파손된 블록의 분리, 수리, 교체 등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은, 바닥판 블록, 상판 블록, 제1 측판 블록, 및 제2 측판 블록을 육면체 형상으로 조립한 구조이므로, 조립식 포장블록의 제조, 이송, 운반, 보관, 조립 등이 각 블록별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로 인해서, 조립식 포장블록의 취급 단위가 작아져서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고, 소형화로 인해서 대형 설치 장비의 도움 없이도 인력만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은, 바닥판 블록, 상판 블록, 제1 측판 블록, 및 제2 측판 블록을 육면체 형상으로 조립하면서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간편하게 확장 가능한 구조이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을 갖는 장소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추후에 설치 위치와 설치 넓이 및 설치 형상이 변경되더라도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포장블록의 일부분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포장블록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포장블록의 단위 포장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단위 포장블록의 정면, 측면, 평면, 및 저면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을 각각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100)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일부분을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포장블록(100)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단위 포장블록(101)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단위 포장블록(101)의 정면, 측면, 평면, 및 저면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블록(100)은 분산식 소규모 빗물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포장 블록으로서, 빗물의 침투 및 저류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물순환 체계의 회복 및 홍수 예방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분산식 소규모 빗물 관리 시스템의 상세 설명이나 또는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구조물 등의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블록(100)은 소형으로 형성된 여러 종류의 블록들을 인터록킹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게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소형의 블록들에 대한 운반과 취급 등이 용이하여 조립식 포장블록(100)을 현장에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설치 장소의 면적과 형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설치 면적 및 블록들의 사용 개수를 적절하게 제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빗물 관리 시스템의 설계 조건 및 시공 상황에 따라 설치 면적과 블록들의 사용 개수 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100)은 바닥판 블록(110), 상판 블록(120), 제1 측판 블록(130), 및 제2 측판 블록(14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바닥판 블록(110), 상판 블록(120), 제1 측판 블록(130), 및 제2 측판 블록(140)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설계 조건 및 설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블록(100)은, 단수개의 바닥판 블록(110), 단수개의 상판 블록(120), 2개의 제1 측판 블록(130), 및 2개의 제2 측판 블록(140)을 육면체 형상으로 조립하여 하나의 단위 포장블록(1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위 포장블록(101)을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설치 장소의 넓이 또는 형상에 대응하여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넓이와 형상 등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위 포장블록(101)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3개가 서로 이웃하게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 포장블록(101)의 제1 측판 블록(130)과 제2 측판 블록(140)이 이웃하는 다른 단위 포장블록(102~105)과 공유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위 포장블록(101~109)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단위 포장블록(101~109)들이 제1 측판 블록(130)과 제2 측판 블록(140)을 서로 공유하는 구조로 형성되면, 제1 측판 블록(130)과 제2 측판 블록(140)의 사용 개수가 감소되어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시공 공정수 및 시공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측판 블록(130)과 제2 측판 블록(140)이 바닥판 블록(110)과 상판 블록(120)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게 연결되어 단위 포장블록(101~109)들 간의 연결 강도 및 구조적 안정성도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단위 포장블록(101)에 작용되는 하중이 주변의 다른 단위 포장블록(102~109)들에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하중의 분산 효과로 인하여 조립식 포장블록(100)에 의해 지지 가능한 하중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차량 하중의 지지도 가능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바닥판 블록(110)은 지반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바닥판 블록(110)은 육면체 형상의 단위 포장블록(101)의 하면을 형성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닥판 블록(110)은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기초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바닥판 블록(110)의 중앙부에는 빗물을 지반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침투홀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포장블록(101)의 내부에 빗물이 수용되면, 빗물은 침투홀부(112)를 통하여 지반에 자연적으로 침투될 수 있다.
도 4와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 블록(110)의 외각부에는 제1 측판 블록(130) 및 제2 측판 블록(140)을 인터록킹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바닥판 홈부(114)와 제2 바닥판 홈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닥판 홈부(114)는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와 후방부(110b)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1 측판 블록(130)의 제1 측판 하부 돌기(132)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닥판 홈부(116)는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와 우측부(110d)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 측판 블록(140)의 제2 측판 하부 돌기(142)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바닥판 홈부(114)는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와 후방부(110b)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2 바닥판 홈부(116)는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와 우측부(110d)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바닥판 홈부(114)가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와 후방부(110b)에 2개씩 형성됨과 아울러 제2 바닥판 홈부(116)가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와 우측부(110d)에 2개씩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판 블록(120)은 바닥판 블록(110)의 상측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판 블록(120)은 육면체 형상의 단위 포장블록(101)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판 블록(120)은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상판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주차장과 광장 또는 도로 등과 같은 장소에서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포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판 블록(120)의 중앙부에는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포장면 상의 빗물을 단위 포장블록(101)의 내부로 받아들이기 위한 우수홀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천시 조립식 포장블록(100)이 설치된 장소의 포장면에 빗물이 고이게 되면, 빗물은 우수홀부(122)를 통하여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내부로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우수홀부(122)는 보행자의 보행이나 차량의 운행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상판 블록(120)에 작은 크기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홀부(122)는 이물질에 의한 막힘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판 블록(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블록(120)의 좌측부(120c)와 우측부(120d)에는 제2 측판 블록(140)을 인터록킹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상판 단차부(12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판 단차부(124)는 상판 블록(120)의 좌측부(110c)와 우측부(110d)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 측판 블록(14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측판 블록(130)은 단위 포장블록(101)의 전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단위 포장블록(101)의 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전방 단위 포장블록(102)의 후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측판 블록(130)은 단위 포장블록(101)의 후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단위 포장블록(101)의 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후방 단위 포장블록(104)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판 블록(130)의 하부는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와 후방부(110b)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판 블록(130)의 상부는 상판 블록(120)의 전방부(120a)와 후방부(120b)를 지지하도록 상판 블록(120)의 전방부(120a) 또는 후방부(120b)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측판 블록(130)은 육면체 형상의 단위 포장블록(101)의 4개 측면 중에서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도록 수직하게 배치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측판 블록(130)은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상판과 기초를 연결하고 지지하는 측벽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제1 측판 블록(130)의 하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 측판 블록(130)의 하부는,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와의 연결시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전방 단위 포장블록(102)의 전방 바닥판 블록(110)의 후방부(110b)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후방부(110b)와의 연결시 바닥판 블록(110)의 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후방 단위 포장블록(103)의 후방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측판 블록(130)의 하부는, 전방 단위 포장블록(102)의 전방 바닥판 블록(110)의 후방부(110b) 및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에 동시에 연결되거나, 또는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후방부(110b) 및 후방 단위 포장블록(103)의 후방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판 블록(130)의 하부에는 제1 측판 하부 돌기(132)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측판 하부 돌기(132)는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와 후방부(110b)에 형성된 2개의 제1 바닥판 홈부(114)에 대응하도록 제1 측판 블록(130)의 하부에 2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판 하부 돌기(132)는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에 형성된 제1 바닥판 홈부(114) 및 전방 단위 포장블록(102)의 전방 바닥판 블록(110)의 후방부(110b)에 형성된 제1 바닥판 홈부(114)에 의해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판 하부 돌기(132)는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후방부(110b)에 형성된 제1 바닥판 홈부(114) 및 후방 단위 포장블록(103)의 후방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에 형성된 제1 바닥판 홈부(114)에 의해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바닥판 홈부(114)는 제1 측판 하부 돌기(132)와의 사이에 간극(G)이 존재하도록 제1 측판 하부 돌기(13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조립식 포장블록(100) 내의 빗물은 바닥판 블록(110)의 침투홀부(112) 뿐만 아니라 간극(G)을 통해서도 지반으로 침투될 수 있으며,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시공시 지반의 비평탄화로 인하여 바닥판 블록(110)이 기울어지더라도 제1 측판 블록(130)이 제1 바닥판 홈부(114)에 원활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 측판 블록(130)의 상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 측판 블록(130)의 상부는, 단위 포장블록(101)의 상판 블록(120)의 전방부(120a)와 함께 상판 블록(120)의 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전방 단위 포장블록(102)의 전방 상판 블록(120)의 후방부(120b)도 동시에 안착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위 포장블록(101)의 상판 블록(120)의 후방부(120b)와 함께 상판 블록(120)의 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후방 단위 포장블록(103)의 후방 상판 블록(120)의 전방부(110a)가 동시에 안착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측판 블록(130)의 상부에는, 전방 상판 블록(120)의 후방부(120b)와 상판 블록(120)의 전방부(120a)가 동시에 안착 지지되거나, 또는 상판 블록(120)의 후방부(120b)와 후방 상판 블록(120)의 전방부(120a)가 동시에 안착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측판 블록(130)은 바닥판 블록(110)과의 사이에 빗물을 전후방향으로 저류시키는 제1 저류홀부(134)가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제1 측판 블록(130)의 중앙부에 제1 저류홀부(134)를 관통홀 형상으로 직접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측판 블록(130)과 바닥판 블록(110)의 조립 과정에서 제1 저류홀부(134)를 형성하는 구조로 설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측판 블록(130)의 중앙부에 제1 저류홀부(134)의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천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제1 저류홀부(134)의 생성으로 인한 제1 측판 블록(13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판 블록(130)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 및 하측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측판 홈부(136)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측판 홈부(136)가 2개의 제1 측판 하부 돌기(132)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측판 블록(130)의 하부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 및 전방 단위 포장블록(102)의 전방 바닥판 블록(110)의 후방부(110b)는, 제1 측판 블록(130)과 연결되는 과정에서 제1 저류홀부(134)를 형성하도록 제1 측판 홈부(136)의 개구된 하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후방부(110b) 및 후방 단위 포장블록(103)의 후방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도, 제1 측판 블록(130)과 연결되는 과정에서 제1 저류홀부(134)를 형성하도록 제1 측판 홈부(136)의 개구된 하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저류홀부(134)의 상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은 제1 측판 블록(1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저류홀부(134)의 하면은 바닥판 블록(110)과 전방 바닥판 블록(110) 또는 후방 바닥판 블록(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측판 블록(130)의 양측부에는 제1 측판 측부 돌기(138)가 수평하게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제1 측판 측부 돌기(138)는 후술하는 제2 측판 블록(140)의 제2 측판 측부 돌기(148)와 인터록킹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위 포장블록(101)의 제1 측판 측부 돌기(138)는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좌측 단위 포장블록(104) 의 제1 측판 측부 돌기(138) 또는 우측 단위 포장블록(105)의 제1 측판 측부 돌기(138)와 밀착되어 제2 측판 측부 돌기(148)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측판 블록(140)은 단위 포장블록(101)의 좌측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단위 포장블록(101)의 좌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좌측 단위 포장블록(104)의 우측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측판 블록(140)은 단위 포장블록(101)의 우측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단위 포장블록(101)의 우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우측 단위 포장블록(105)의 좌측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판 블록(140)의 하부는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와 우측부(110d)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측판 블록(140)의 상부는 상판 블록(120)의 좌측부(120c)와 우측부(120d)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측판 블록(140)은 육면체 형상의 단위 포장블록(101)의 4개 측면 중에서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도록 수직하게 배치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측판 블록(140)은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상판과 기초를 연결하고 지지하는 측벽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도 2 내지 도 5, 또는 도 7을 참조하여 제2 측판 블록(140)의 하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2 측판 블록(140)의 하부는,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와의 연결시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좌측 단위 포장블록(104)의 좌측 바닥판 블록(110)의 우측부(110d)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우측부(110d)와의 연결시 바닥판 블록(110)의 우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우측 단위 포장블록(105)의 우측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측판 블록(140)의 하부는, 좌측 단위 포장블록(104)의 좌측 바닥판 블록(110)의 우측부(110d) 및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에 동시에 연결되거나, 또는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우측부(110d) 및 우측 단위 포장블록(105)의 우측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측판 블록(140)의 하부에는 제2 측판 하부 돌기(142)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측판 하부 돌기(142)는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와 우측부(110d)에 형성된 2개의 제2 바닥판 홈부(116)에 대응하도록 제2 측판 블록(140)의 하부에 2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판 하부 돌기(142)는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에 형성된 제2 바닥판 홈부(116) 및 좌측 단위 포장블록(104)의 좌측 바닥판 블록(110)의 우측부(110d)에 형성된 제2 바닥판 홈부(116)에 의해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판 하부 돌기(142)는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우측부(110d)에 형성된 제2 바닥판 홈부(116) 및 우측 단위 포장블록(105)의 우측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에 형성된 제2 바닥판 홈부(116)에 의해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바닥판 홈부(116)는 제2 측판 하부 돌기(142)와의 사이에 간극(G)이 존재하도록 제2 측판 하부 돌기(14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닥판 홈부(116)와 제2 측판 하부 돌기(142)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G)는, 전술한 제1 바닥판 홈부(114)와 제1 측판 하부 돌기(132)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G)과 비교하여 구조와 작용 효과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2 측판 블록(140)의 상부가 연결되는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2 측판 블록(140)의 상부는, 단위 포장블록(101)의 상판 블록(120)의 좌측부(120c)와의 연결시 상판 블록(120)의 좌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좌측 단위 포장블록(104)의 좌측 상판 블록(120)의 우측부(120d)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단위 포장블록(101)의 상판 블록(120)의 우측부(120d)와의 연결시 상판 블록(120)의 우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우측 단위 포장블록(105)의 우측 상판 블록(120)의 좌측부(120c)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판 블록(140)의 상부는 좌측 단위 포장블록(104)의 좌측 상판 블록(120)의 우측부(110d)에 형성된 상판 단차부(124) 및 단위 포장블록(101)의 상판 블록(120)의 좌측부(110c)에 형성된 상판 단차부(124)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판 블록(140)의 상부는 단위 포장블록(101)의 상판 블록(120)의 우측부(110d)에 형성된 상판 단차부(124) 및 우측 단위 포장블록(105)의 우측 상판 블록(120)의 좌측부(110c)에 형성된 상판 단차부(124)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측판 블록(140)은 바닥판 블록(110)과의 사이에 빗물을 좌우방향으로 저류시키는 제2 저류홀부(144)가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제2 측판 블록(140)의 중앙부에 제2 저류홀부(144)를 관통홀 형상으로 직접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측판 블록(140)과 바닥판 블록(110)의 조립 과정에서 제2 저류홀부(144)를 형성하는 구조로 설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측판 블록(140)의 중앙부에 제2 저류홀부(144)의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천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제2 저류홀부(144)의 생성으로 인한 제2 측판 블록(14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측판 블록(140)의 하부에는 좌우 방향 및 하측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측판 홈부(146)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측판 홈부(146)가 2개의 제2 측판 하부 돌기(142)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측판 블록(140)의 하부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 및 좌측 단위 포장블록(104)의 좌측 바닥판 블록(110)의 우측부(110d)는, 제2 측판 블록(140)과 연결되는 과정에서 제2 저류홀부(144)를 형성하도록 제2 측판 홈부(146)의 개구된 하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포장블록(101)의 바닥판 블록(110)의 우측부(110d) 및 우측 단위 포장블록(105)의 우측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도 제2 측판 블록(140)과 연결되는 과정에서 제2 저류홀부(144)를 형성하도록 제2 측판 홈부(146)의 개구된 하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저류홀부(144)의 상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은 제2 측판 블록(1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저류홀부(144)의 하면은 바닥판 블록(110)과 전방 바닥판 블록(110) 또는 후방 바닥판 블록(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측판 블록(140)의 양측부에는 제2 측판 측부 돌기(148)가 수평하게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제2 측판 측부 돌기(148)는 제1 측판 블록(130)의 제1 측판 측부 돌기(138)와 인터록킹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측판 측부 돌기(148)는 제1 측판 측부 돌기(138)와 직교 방향으로 엇갈리게 연결됨과 아울러 제1 측판 측부 돌기(138)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위 포장블록(101)의 제2 측판 측부 돌기(148)는, 단위 포장블록(101)과 좌측 단위 포장블록(104)의 제1 측판 측부 돌기(138)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거나, 단위 포장블록(101)과 우측 단위 포장블록(105)의 제1 측판 측부 돌기(138)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측판 측부 돌기(148)는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전방 단위 포장블록(102) 또는 후방 단위 포장블록(104)의 제2 측판 측부 돌기(148)와 함께 수용홈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단위 포장블록(101~109)들 중에서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최외각에 배치된 단위 포장블록(102~109)은, 다른 단위 포장블록들과 연결되지 않는 부위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최외각에 배치된 단위 포장블록(102~109)의 제1 측판 블록(130) 및 제2 측판 블록(140)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단위 포장블록들과 공유되지 않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다른 단위 포장블록들과 공유되지 않는 제1 측판 블록(130)과 제2 측판 블록(140)은, 다른 단위 포장블록들과 공유되는 제1 측판 블록(130)과 제2 측판 블록(140)과 비교하여 다른 단위 포장블록들과 공유되지 않는 부분만큼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도 최외각의 제1 측판 블록(130) 또는 제2 측판 블록(140)이 다른 제1 측판 블록(130) 또는 제2 측판 블록(140)보다 절반의 두께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로 인해서, 제1 측판 블록(130)과 제2 측판 블록(140)의 불필요한 소재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외각 부위에 대한 마감 공사 및 주변물과의 배치를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시공 방법 및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 및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을 각각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조립식 포장블록(100)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의 지반(E)을 평탄하게 만든다. 조립식 포장블록(100)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로는 주차장, 광장, 보도, 차도 등이 있다.
지반(E)이 평탄하게 완성되면, 그 지반(E)의 상면에 바닥판 블록(110)을 배치한다. 상기와 같은 바닥판 블록(110)은 조립식 포장블록(100)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서 설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적절하게 선정한다.
이때, 바닥판 블록(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침투홀부(112)에는 지반(E)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바닥판 블록(110)이 지반(E)의 위에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면, 제1 측판 블록(130)을 수직하게 세운 상태에서 바닥판 블록(110)의 전방부(110a)와 후방부(110b)에 각각 조립한다.
구체적으로, 제1 측판 블록(130)의 제1 측판 하부 돌기(132)를 서로 이웃하는 바닥판 블록(110)들의 제1 바닥판 홈부(114)에 의해 형성된 홀에 삽입한다. 그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측판 블록(130)들을 바닥판 블록(110)들의 전방부(110a)와 후방부(110b)에 연결한다.
이때, 제1 측판 블록(130)들의 하부에 형성된 제1 측판 홈부(136)는 바닥판 블록(110)들과의 사이에 제1 저류홀부(134)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측판 블록(130)들이 바닥판 블록(110)들의 전방부(110a)와 후방부(110b)에 조립되면, 제2 측판 블록(140)을 수직하게 세운 상태에서 바닥판 블록(110)의 좌측부(110c)와 우측부(110d)에 각각 조립한다. 이때, 제2 측판 블록(140)의 양측부는 제1 측판 블록(130)의 양측부의 상측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측판 블록(140)의 제2 측판 하부 돌기(142)를 서로 이웃하는 바닥판 블록(110)들의 제2 바닥판 홈부(116)에 의해 형성된 홀에 삽입한다. 그와 같은 방식으로, 제2 측판 블록(140)들을 바닥판 블록(110)들의 좌측부(110c)와 우측부(110d)에 연결한다.
또한, 제2 측판 블록(140)의 제2 측판 측부 돌기(148)를 서로 이웃하는 제1 측판 블록(130)들의 제1 측판 측부 돌기(138)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홈에 삽입시켜 제2 측판 블록(140)들의 양측부와 제1 측판 블록(130)들의 양측부를 서로 엇갈리게 맞물리는 구조로 배치시킨다.
이때, 제2 측판 블록(140)들의 하부에 형성된 제2 측판 홈부(146)는 바닥판 블록(110)들과의 사이에 제2 저류홀부(144)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2 측판 블록(140)들이 바닥판 블록(110)들의 좌측부(110c)와 우측부(110d)에 조립되면, 상판 블록(120)을 바닥판 블록(110)과 대향되게 배치시킨 상태로 제1 측판 블록(130)들과 제2 측판 블록(140)들의 상부에 조립한다. 따라서, 바닥판 블록(110), 한 쌍의 제1 측판 블록(130), 한 쌍의 제2 측판 블록(140), 및 상판 블록(120)에 의해서 육면체 형상의 단위 포장블록(101~109)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 블록(120)의 전방부(120a)와 후방부(120b)가 제1 측판 블록(130)들의 상부에 안착 지지되도록 배치하고, 그와 동시에 상판 블록(120)의 좌측부(120c)와 우측부(120d)에 형성된 상판 단차부(124)에 제2 측판 블록(140)들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배치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판 블록(120)들을 제1 측판 블록(130)들과 제2 측판 블록(140)들의 상부에 조립한다.
이때, 상판 블록(120)들은 조립식 포장블록(100)을 설치하는 장소의 포장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그러한 상판 블록(120)의 중앙부에는 빗물(W)을 받아 들이기 위한 우수홀부(122)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블록(100)은 바닥판 블록(110), 제1 측판 블록(130), 제2 측판 블록(140), 및 상판 블록(120)을 서로 엇갈리게 삽입시켜 맞물리는 인터록킹 방식으로 조립한 구조이므로, 체결 부재나 접착제의 사용이 불필요하고, 소형의 블록(110, 120, 130, 140)들을 사용하여 조립 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블록(110, 120, 130, 140)들에 대한 취급, 운반, 보관, 조립 작업 등이 원활하게 실시되므로, 대형의 설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인력 만으로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시공이 가능하다.
전술한 방식으로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시공이 완료되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천 또는 폭우 등으로 인해서 빗물(W)이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포장면에 고이는 빗물(W)은 우수홀부(122)를 통해서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내부로 원활하게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우수홀부(122)로 배수된 빗물(W)은,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침투홀부(112)를 통해 지반(E)으로 침투 및 흡수되거나, 지반(E)으로 침투되지 못한 빗물(W)은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제1 저류홀부(134)와 제2 저류홀부(144)를 통해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단위 포장블록(101)들 전체로 저류 및 저장된다.
참고로,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일측을 외부의 배수관로와 연결시켜 조립식 포장블록(100)에 저장된 빗물(W)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일 경우 빗물(W)을 배수관로를 통해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블록(100)은, 빗물(W)의 침투 및 저류가 가능하여 물순환 체계의 회복 및 홍수 예방을 실현할 수 있고, 하천이나 지하수 등의 물부족 현상 및 수질 악화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블록(100)은, 단위 포장블록(101)의 상판 블록(120)에 작용되는 하중이 제2 측판 블록(140)과 제1 측판 블록(130)으로 전달된 후 바닥판 블록(110)에 전달되고, 바닥판 블록(110)을 통해서 지반으로 전달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단위 포장블록(101)의 상판 블록(120)은 단위 포장블록(101)의 주변을 둘러싸는 다른 단위 포장블록(101)의 제1 측판 블록(130) 및 제2 측판 블록(140)으로도 하중을 전달하는 구조이므로, 특정 단위 포장블록(101)의 상판 블록(120)에 하중이 작용되더라도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단위 포장블록(101) 전체로 분산되어 조립식 포장블록(10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블록(100)은 높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차량 하중의 지지가 가능하여 주차장, 광장, 차도 등에도 안전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조립식 포장블록
101~109: 단위 포장블록
110: 바닥판 블록
112: 침투홀부
120: 상판 블록
122: 우수홀부
130: 제1 측판 블록
134: 제1 저류홀부
140: 제2 측판 블록
144: 제2 저류홀부

Claims (14)

  1. 지반의 상면에 배치되고, 빗물을 지반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침투홀부가 중앙부에 형성된 바닥판 블록;
    상기 바닥판 블록의 상측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빗물을 외부로부터 받아들이기 위한 우수홀부가 형성된 상판 블록;
    상기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하부가 인터록킹 방식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판 블록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상부에 안착 지지되는 제1 측판 블록; 및
    상기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하부가 인터록킹 방식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판 블록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상부에 인터록킹 방식으로 연결된 제2 측판 블록;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판 블록은 상기 바닥판 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빗물을 전후방향으로 저류시키는 제1 저류홀부가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측판 블록은 상기 바닥판 블록과의 사이에 상기 빗물을 좌우방향으로 저류시키는 제2 저류홀부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측판 블록의 하부는, 상기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와의 연결시 상기 바닥판 블록의 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전방 바닥판 블록의 후방부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 블록의 후방부와의 연결시 상기 바닥판 블록의 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후방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 블록의 하부에는 제1 측판 하부 돌기가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와 상기 전방 바닥판 블록의 후방부 또는 상기 바닥판 블록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1 측판 하부 돌기가 삽입되는 홀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바닥판 홈부가 서로 대응되게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판 홈부는 상기 제1 측판 하부 돌기와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기 제1 측판 하부 돌기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 블록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 및 하측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측판 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와 상기 전방 바닥판 블록의 후방부 또는 상기 바닥판 블록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 바닥판 블록의 전방부는, 상기 제1 측판 블록과의 연결시 상기 제1 저류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측판 홈부의 하측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 블록의 상부는, 상기 상판 블록의 전방부와 함께 상기 상판 블록의 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전방 상판 블록의 후방부도 동시에 안착 지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판 블록의 후방부와 함께 상기 상판 블록의 후방에 이웃하게 배치된 후방 상판 블록의 전방부가 동시에 안착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판 블록의 하부는, 상기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와의 연결시 상기 바닥판 블록의 좌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좌측 바닥판 블록의 우측부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 블록의 우측부와의 연결시 상기 바닥판 블록의 우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우측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판 블록의 하부에는 제2 측판 하부 돌기가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와 상기 좌측 바닥판 블록의 우측부 또는 상기 바닥판 블록의 우측부와 상기 우측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에는, 상기 제2 측판 하부 돌기가 삽입되는 홀을 형성하기 위한 제2 바닥판 홈부가 서로 대응되게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닥판 홈부는 상기 제2 측판 하부 돌기와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기 제2 측판 하부 돌기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판 블록의 하부에는 좌우 방향 및 하측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측판 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와 상기 좌측 바닥판 블록의 우측부 또는 상기 바닥판 블록의 우측부와 상기 우측 바닥판 블록의 좌측부는, 상기 제2 측판 블록과의 연결시 상기 제2 저류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측판 홈부의 하측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판 블록의 상부는, 상기 상판 블록의 좌측부와의 연결시 상기 상판 블록의 좌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좌측 상판 블록의 우측부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판 블록의 우측부와의 연결시 상기 상판 블록의 우측에 이웃하게 배치된 우측 상판 블록의 좌측부에도 인터록킹 방식으로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블록의 좌측부와 상기 좌측 상판 블록의 우측부 또는 상기 상판 블록의 우측부와 상기 우측 상판 블록의 좌측부에는, 상기 제2 측판 블록의 상부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기 위한 상판 단차부가 서로 대응되게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13. 제1항,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 블록의 양측부에는 제1 측판 측부 돌기가 수평하게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2 측판 블록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1 측판 측부 돌기의 상측에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제2 측판 측부 돌기가 수평하게 각각 돌출된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 측부 돌기는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다른 제1 측판 측부 돌기와 함께 상기 제2 측판 측부 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측판 측부 돌기는 전후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다른 제2 측판 측부 돌기와 함께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KR1020170027754A 2017-03-03 2017-03-03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KR101760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754A KR101760301B1 (ko) 2017-03-03 2017-03-03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754A KR101760301B1 (ko) 2017-03-03 2017-03-03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301B1 true KR101760301B1 (ko) 2017-07-21

Family

ID=5946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754A KR101760301B1 (ko) 2017-03-03 2017-03-03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3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1355A (zh) * 2018-08-03 2018-12-0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结合海绵城市理念的有轨电车车辆基地抗内涝构造及方法
KR102417958B1 (ko) 2021-10-28 2022-07-07 (주)대하산업 저류블록이 구비된 플랜터
KR20230051926A (ko) * 2021-10-12 2023-04-19 황현식 도로 포장용 조립식 모듈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 포장용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900B1 (ko) * 2013-04-30 2014-08-29 이상우 빗물 저류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900B1 (ko) * 2013-04-30 2014-08-29 이상우 빗물 저류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1355A (zh) * 2018-08-03 2018-12-0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结合海绵城市理念的有轨电车车辆基地抗内涝构造及方法
KR20230051926A (ko) * 2021-10-12 2023-04-19 황현식 도로 포장용 조립식 모듈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 포장용 구조체
KR102552591B1 (ko) * 2021-10-12 2023-07-05 황현식 도로 포장용 조립식 모듈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 포장용 구조체
KR102417958B1 (ko) 2021-10-28 2022-07-07 (주)대하산업 저류블록이 구비된 플랜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301B1 (ko) 빗물 관리 시스템을 위한 조립식 포장블록
KR101977695B1 (ko) 침투측구구조
KR101172668B1 (ko) 우수 저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54667B1 (ko) 투수성 도로 포장체에서 저수저감 공간을 형성하는 환경친화적 다공 패널
KR101190418B1 (ko) 빗물활용이 가능한 보도블럭 조립체
KR101019562B1 (ko) 보도블록 및 보차도 경계석을 포함하는 도로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JPH0786247B2 (ja) 複合機能型側溝
KR20070038377A (ko) 투수용 배수블럭
KR102051860B1 (ko) 보도용 배수 트렌치
KR101950585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구비한 조립식 도로용 지주물
KR102154399B1 (ko) 배수시스템
KR200333879Y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JP4504220B2 (ja) 排水路
JP5252652B2 (ja) 道路における雨水利用型道路構造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100598771B1 (ko) 도로 보도블럭 침하방지 구조
KR20160080135A (ko) 다기능 보도블럭 하부구조체 및 그를 사용한 시공방법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KR100556645B1 (ko) 빗물 저수장치
KR102587762B1 (ko) 배수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753884B2 (ja) ハニカム形状板による地中の貯溜・浸透工法
KR101274370B1 (ko) 저수, 저류 및 융설을 위한 도로 포장장치와 그 시공방법
CN214783039U (zh) 一种具有排水及截污功能的路缘石
KR102362469B1 (ko)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03990U (ko) 배수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