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126B1 -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 Google Patents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126B1
KR101760126B1 KR1020150155730A KR20150155730A KR101760126B1 KR 101760126 B1 KR101760126 B1 KR 101760126B1 KR 1020150155730 A KR1020150155730 A KR 1020150155730A KR 20150155730 A KR20150155730 A KR 20150155730A KR 101760126 B1 KR101760126 B1 KR 101760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late
eject
cover
movabl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348A (ko
Inventor
김용현
박주열
Original Assignee
동남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남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남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1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84Manipulating or transferring devices for evacuating cast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젝트플레이트의 후면판에는 이젝트핀을 노출시키기 위한 핀노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핀노출공에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서, 핀노출공의 개방시에는 이젝트핀이 핀노출공을 통해 이젝트플레이트의 전면판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허용하고, 핀노출공의 폐쇄시에는 이젝트핀이 전면판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가동금형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에는 커버를 노출시키는 노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결합플레이트가 가동금형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마모되거나 파손된 이젝트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Die-casting die including eject plate having changed structure}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비티에서 성형된 금속제품을 가동금형으로부터 밀어내기 위해 마련된 이젝트핀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에 관한 것이다.
금속제품의 대량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다이캐스팅 금형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다이캐스팅 금형(9)은, 다이캐스팅 성형기(미도시)에 고정되는 고정금형(1)과, 앞면(2a)이 고정금형(1)과 마주하는 가동금형(2)과, 가동금형(2)의 뒤쪽에 배치되는 결합플레이트(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동금형(2)과 결합플레이트(3) 사이에는, 후술하는 이젝트플레이트(5)의 왕복이동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그 가동금형(2)과 결합플레이트(3) 사이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4)가 배치된다. 가동금형(2)은, 결합플레이트(3)와 스페이서(4)를 관통하여 가동금형(2)의 암나사공(29)에 체결되는 볼트(39)들에 의해, 결합플레이트(3)에 고정되어 있다. 이처럼 가동금형(2)과 결합된 결합플레이트(3)는, 가동금형(2)이 고정금형(1)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다이캐스팅 성형기에 설치된다. 결합플레이트(3)의 이동시에 가동금형(2)은, 그 결합플레이트(3)와 함께, 고정금형(1)에 대해 밀착 및 이격되는 방향(A)으로 이동된다. 고정금형(1)과 가동금형(2)이 밀착(형합)되면, 그 금형들(1,2) 사이에, 금속제품이 성형되는 공간인 캐비티(C)가 형성된다.
가동금형(2)과 결합플레이트(3) 사이에는 이젝트플레이트(5)가 배치되어 있다. 이젝트플레이트(5)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미도시)의 로드(R)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작동시에 상기 로드(R)와 함께 상기 가동금형(2)의 이동 방향(A)을 따라, 가동금형(2)에 대해 전진 및 후퇴 이동할 수 있다. 이젝트플레이트(5)에는 이젝트핀(6)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젝트핀(6)의 타단부는 가동금형(2)에, 그 이젝트핀(6)의 길이방향(가동금형(2)의 왕복이동 방향(A))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기 이젝트플레이트(5)와 이젝트핀(6)은, 상기 캐비티(C) 내에서 성형된 금속제품을 밀어내기 위한 이젝팅 유닛을 이룬다.
한편, 이젝트플레이트(5)는, 이젝트핀(6)의 일단부를 끼워서 수용하는 전면판(51)과, 전면판(51)의 배면(결합플레이트(3)측을 향하는 면)에 밀착됨으로써 이젝트핀(6)이 전면판(51)으로부터 결합플레이트(3)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후면판(5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판(52)은, 그 후면판(52)을 관통하여 전면판(51)의 암나사공(519)에 체결되는 복수의 나사(59)에 의해, 전면판(51)에 고정되어 있다.
각 이젝트핀(6)의 일단부에는, 그 이젝트핀(6)이 끼워지는 전면판(51)의 삽입공(511)의 내경보다 큰 외경의 스토퍼부(61)가 형성되어 있어서, 스토퍼부(61)에 의해, 이젝트핀(6)이 전면판(51)으로부터 고정금형(1)측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캐스팅 금형(9)을 이용하여 금속제품을 성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금형(1)과 결합플레이트(3)를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다이캐스팅 성형기에 설치하고, 다이캐스팅 성형기에 마련된 램 등의 구동원(미도시)을 이용하여, 결합플레이트(3)를 고정금형(1)측으로 접근시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금형(2)을 고정금형(1)에 밀착시킨다. 그 후, 밀착된 고정금형(1)과 가동금형(2)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C) 내로 용탕(용융 금속)을 주입하면, 캐비티(C)에 주입되어 충전된 용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굳어지면서 캐비티(C)에 대응되는 형상의 금속제품(도 2 참조)이 된다. 그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금형(2)을 고정금형(1)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상기 금속제품(M)은, 가동금형(2)에 부착되어 그 가동금형(2)과 함께 고정금형(1)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이젝트플레이트(5)를,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진(가동금형(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젝트핀(6)이, 이젝트플레이트(5)와 함께 전진하면서, 상기 가동금형(2)에 부착되어 있는 금속제품(M)을 밀어내어 분리시키게 된다. 금속제품(M)이 분리된 후, 이젝트플레이트(5)를 가동금형(2)에 대해 후퇴시켜서 이젝트핀(6)을 가동금형(2) 내로 몰입시켜 두고, 다시 가동금형(2)을 고정금형(1)에 밀착시켜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금속제품 성형과정을 되풀이한다.
한편, 가동금형(2)에 대한 이젝트핀(6)의 전진 및 후진시에 이젝트핀(6)이 가동금형(2)에 대한 슬라이딩을 반복함으로써, 이젝트핀(6)이 마모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이젝트핀(6)이 가동금형(2)으로부터 금속제품(M)을 밀어낼 때, 그 금속제품(M)에 의해 이젝트핀(6)에 반력이 가해지고 그로 인하여 이젝트핀(6)이 파손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그러므로, 다이캐스팅 금형의 사용 중에, 이젝트핀(6)들 중 마모량이 크거나 파손된 이젝트핀(6)은 이젝트플레이트(5)로부터 분리하고 새것으로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이젝트핀(6)을 교체하기 위해 이젝트플레이트(5)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나사(59)들을 풀어서 후면판(52)을 전면판(51)으로부터 분리한 후, 교체하고자 하는 이젝트핀(6)을 전면판(51)으로부터 빼내야 한다. 교체하고자 하는 이젝트핀(6)을 빼낸 후에는, 상기 과정과는 반대로, 새로운 이젝트핀을 전면판(51)의 삽입공(511)에 삽입하고, 후면판(52)을 전면판(51)에 밀착시켜 둔 후 나사(59)들을 암나사공(519)에 체결하여 후면판(52)을 전면판(51)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다시 볼트(39)들을 이용하여 가동금형(2)과 결합플레이트(3)를 결합시켜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다이캐스팅 금형(9)의 경우, 결합플레이트(3)가 가동금형(2)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그 결합플레이트(3)로 인하여 상기 나사들(59)을 풀거나 체결하는 작업, 이젝트핀(6)을 전면판(51)으로부터 빼내거나 전면판(51)에 삽입하는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먼저 볼트(39)들을 풀어서 결합플레이트(3)와 가동금형(2)을 분리시키고 또한, 나사(59)들을 풀어서 후면판(52)을 전면판(51)으로부터 분리시켜 두고 나서, 마모되거나 파손된 이젝트핀(6)의 교체작업을 행하여야만 하였다.
이처럼, 종래의 다이캐스팅 금형(9)에 있어서는 반드시 결합플레이트(3)와 가동금형(2)을 분리시켜야만 이젝트핀(6)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이젝트핀(6) 교체를 위하여 결합플레이트(3)와 가동금형(2) 간의 상호 분리 및 결합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따라서, 이젝트핀(6)의 교체 작업이 전체적으로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체하고자 하는 이젝트핀(6)을 이젝트플레이트(5)의 전면판(51)으로부터 빼내기 위하여 반드시, 나사(59)들을 모두 풀어서 후면판(52)을 전면판(51)으로부터 분리해 두어야 하고 이젝트핀의 교체가 완료된 후에 다시 후면판(52)을 전면판(51)에 결합시켜야만 하므로, 이로 인해서도 이젝트핀(6) 교체 작업의 번거로움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5820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젝트핀의 교체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다이캐스팅 금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은, 고정금형; 앞면이 상기 고정금형과 마주하며, 그 고정금형과 함께, 금속제품 성형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동금형; 상기 가동금형의 뒤쪽에 그 가동금형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결합플레이트; 상기 가동금형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금형의 반대쪽에서 상기 가동금형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이젝트플레이트; 상기 이젝트플레이트가 상기 가동금형에 대해 전진 이동할 때, 상기 캐비티에서 성형된 금속제품을 밀어서 가동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가동금형에 삽입되며 일단부가 상기 이젝트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이젝트핀;을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플레이트는: 상기 이젝트핀의 일단부가 끼워져 수용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과 결합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판에 고정되며, 상기 이젝트핀과 마주하는 위치에 그 이젝트핀을 노출시키기 위한 핀노출공이 형성된 후면판; 및 상기 핀노출공의 개폐를 위해 마련되며, 상기 핀노출공의 개방시에는 상기 이젝트핀이 상기 핀노출공을 통해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핀노출공의 폐쇄시에는 상기 이젝트핀의 일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이젝트핀이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상기 가동금형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커버를 조작하여 상기 핀노출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를 노출시키는 노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판에는, 상기 전면판과 접촉하는 면에 대해 패여 있으며 상기 이젝트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인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노출공은, 상기 전면판에 접촉하는 면의 반대쪽면부터 상기 가이드홈부의 바닥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상기 가이드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핀노출공을 폐쇄하는 위치와 상기 핀노출공을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전면판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홈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를, 상기 핀노출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가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젝트플레이트의 후면판에 이젝트핀을 노출시키는 핀노출공이 형성되고, 그 핀노출공을 개폐하는 커버가 마련되어, 핀노출공의 개방시에는 이젝트핀이 핀노출공을 통해 전면판으로부터 빠질 수 있으며, 핀노출공의 폐쇄시에는 커버가 이젝트핀의 일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이젝트핀이 전면판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다이캐스팅 성형 작업시에는 커버에 의해 핀노출공을 폐쇄하여 이젝트플레이트에 대한 이젝트핀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젝트핀의 교체시에는 커버를 열어서 핀노출공을 개방함으로써, 그 핀노출공을 통해 이젝트핀을 이젝트플레이트로부터 빼내거나 이젝트플레이트에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플레이트를 가동금형으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또한, 이젝트플레이트의 전면판과 후면판을 상호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이젝트핀을 이젝트플레이트의 전면판으로부터 빼낼 수 있으므로, 마모되거나 파손된 이젝트핀을 교체하고자 할 때, 그 교체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효과 및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다이캐스팅 금형의 일례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에 의해 성형된 금속제품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에 의해 성형된 금속제품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에서 이젝트핀을 교체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부위에 해당하는 부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버 부위의 Ⅶ-Ⅶ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커버 부위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의 이젝트핀을 교체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에 대응하는 부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커버 부위의 XI-XI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 금형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에 의해 성형된 금속제품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에서의 이젝트핀을 교체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 등을 위해, 척도나 치수 등이 적절히 과장 또는 축소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도 3 내지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이캐스팅 금형에 있어서, 도 1 및 2에 예시된 다이캐스팅 금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부재들에 대하여는, 불필요한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고 본원발명의 본질이 흐려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도 1 및 2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함과 아울러 그 각 부재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주로 주요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다이캐스팅 금형(9)과 마찬가지로, 다이캐스팅 성형기(미도시)에 고정되는 고정금형(1)과, 앞면(2a)이 고정금형(1)과 마주하며 고정금형(1)과 함께, 용탕 주입용 캐비티(C)를 형성하는 가동금형(2)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금형(2)의 뒤쪽에 스페이서(4)를 개재시켜서 그 가동금형(2)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된 결합플레이트(30)가, 그 결합플레이트(30)와 스페이서(4)를 관통하여 가동금형(2)의 암나사공(29)에 체결되는 볼트(39)들에 의해, 가동금형(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다이캐스팅 금형(100)은, 가동금형(2)과 결합플레이트(30) 사이에서(즉, 가동금형(2)을 사이에 두고 고정금형(1)의 반대쪽에서) 가동금형(2)에 대해 전진 및 후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젝트플레이트(500)와, 이젝트플레이트(500)의 가동금형(2)측으로의 전진 이동시에, 캐비티(C) 내에서 성형된 금속제품을 가동금형(2)으로부터 밀어낼 수 있도록, 가동금형(2)에 삽입되며 일단부가 이젝트플레이트(500)에 고정되는 복수의 이젝트핀(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젝트플레이트(500)와 이젝트핀(6)은, 캐비티(C) 내에서 성형된 금속제품을 밀어내기 위한 이젝팅 유닛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이젝트플레이트(5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다이캐스팅 금형(9)에서의 이젝트플레이트(5)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젝트플레이트(500)는, 가동금형(2)과 결합플레이트(30) 사이에 배치된 전면판(51)과, 그 전면판(51)과 결합플레이트(30) 사이에(즉, 전면판(51)을 사이에 두고 가동금형(2)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전면판(51)에 나사(59)들에 의해 고정되는 후면판(520)과, 복수의 커버(550)를 구비하고 있다.
전면판(51)에 이젝트핀(6)의 일단부를 끼워 수용하기 위한 삽입공(511)이 형성되어 있는 점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다이캐스팅 금형(9)에서의 전면판(51)과 다를 바 없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의 후면판(520)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다이캐스팅 금형(9)에서의 후면판(52)과는 달리, 각 이젝트핀(6)과 마주하는 위치마다(구체적으로는, 각 이젝트핀(6)의 일단부에 마련된 스토퍼부(61)와 마주하는 위치마다), 그 이젝트핀(6)을 노출시키기 위해 후면판(520)의 앞면부터 뒷면까지 관통하는 핀노출공(52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핀노출공(525)이 이젝트핀(6)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마련되어 있으며, 각 핀노출공(525)은 내벽에 암나사부(525a)가 형성된 암나사공으로 되어 있다.
상기 커버(550)는 상기 핀노출공(525)과 동일한 개수(이젝트핀(6)과 동일한 개수)만큼 마련되어 있다. 각 커버(550)는, 후면판(520)의 핀노출공(525)의 개폐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외주면에는 핀노출공(525)의 암나사부(525a)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550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핀노출공(525)에 대한 커버(550)의 회전방향에 따라 핀노출공(525)이 폐쇄되거나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커버(5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커버(550)가 핀노출공(525)에 나사체결됨으로써 핀노출공(525)이 폐쇄되고, 커버(55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버(550)가 핀노출공(525)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핀노출공(525)이 개방되게 된다. 핀노출공(525)의 개방시에는 이젝트핀(6)이 핀노출공(525)을 통해 전면판(51)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허용되고, 커버(550)로 핀노출공(525)을 폐쇄하였을 때(커버(550)를 핀노출공(525)에 완전히 체결하였을 때)에는, 커버(550)가 그에 대응하는 이젝트핀(6)에 접촉함으로써, 그 이젝트핀(6)이 결합플레이트(30)측으로 이동(즉, 전면판(5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550)에는, 그 커버(550)의 회전 조작을 위한 공구(드라이버, 렌치 등)가 삽입되도록, 일자형 또는 십자형 또는 육각형 등의 공구 삽입홈(55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결합플레이트(30)가 가동금형(2)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커버(550)를 조작하여 핀노출공(525)을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플레이트(30)에는 모든 커버(550)들을 노출시키는 노출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다이캐스팅 금형(100)을 이용한 금속제품 성형 과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의 다이캐스팅 금형(9)의 금속제품 성형 과정과 마찬가지이다. 즉, 고정금형(1)과 결합플레이트(30)를 각각 다이캐스팅 성형기에 설치하고, 다이캐스팅 성형기에 마련된 구동원(미도시)을 이용하여, 결합플레이트(30)를 고정금형(1)측으로 접근시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금형(2)을 고정금형(1)에 밀착시킨 후, 캐비티(C) 내로 용탕(용융 금속)을 주입하여 그 캐비티(C) 내에 충전한다. 캐비티(C)에 충전된 용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굳어지면서 그 캐비티(C)에 대응되는 형상의 금속제품(도 4 참조)이 된다. 그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금형(2)을 고정금형(1)으로부터 이격시키면, 상기 금속제품(M)은, 가동금형(2)에 부착되어 그 가동금형(2)과 함께 고정금형(1)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이젝트플레이트(500)를,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진(가동금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젝트핀(6)이 이젝트플레이트(500)와 함께 전진하면서, 상기 가동금형(2)에 부착되어 있는 금속제품(M)을 밀어내어 분리시키게 된다. 금속제품(M)이 분리된 후, 이젝트플레이트(500)를 가동금형(2)에 대해 후퇴시켜서 이젝트핀(6)을 가동금형(2) 내로 몰입시켜 둔 후, 다시 가동금형(2)을 고정금형(1)에 밀착시켜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금속제품 성형과정을 되풀이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다이캐스팅 금형(100)의 경우는, 상기와 같이 이젝트플레이트(500)의 후면판(520)에 각각의 이젝트핀(6)을 노출시킬 수 있는 핀노출공(525)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각 핀노출공(525)은 대응하는 커버(5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므로, 결합플레이트(30)를 가동금형(2)으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또한, 이젝트플레이트(500)의 전면판(51)과 후면판(520)을 상호 분리하지 않더라도, 마모되거나 파손된 이젝트핀(6)을 교체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는데, 그 이젝트핀 교체작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수의 커버(550) 중, 마모되거나 파손되어서 교체하고자 하는 이젝트핀(6)에 대응하는 커버(550)를 회전 조작하여 그 커버(550)와 핀노출공(525)간의 나사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50)를 핀노출공(525)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러한 작업은, 결합플레이트(30)에 형성된 노출구멍(31)을 통해 행해질 수 있으므로, 결합플레이트(30)를 가동금형(2)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더라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처럼, 커버(550)에 공구 삽입홈(551)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공구 삽입홈(551)에 삽입되는 공구를 이용하여 커버(550)의 회전 조작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커버(550)에 육각형의 공구 삽입홈이 형성된 경우에는 그 공구 삽입홈에 끼워지는 육각 렌치를 이용하여 커버(550)를 용이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커버(550)를 핀노출공(525)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그 핀노출공(525)이 개방되고, 그 핀노출공(525)을 통해서, 교체하려는 이젝트핀(6)이 노출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개방된 핀노출공(525)을 통해, 노출된 이젝트핀(6)을,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판(51)으로부터 결합플레이트(30)측으로 빼낸 후, 새로운 이젝트핀을 상기 개방된 핀노출공(525)을 통해 전면판(51)에 삽입하여 수용시켜 둔다. 그 후, 커버(550)를 핀노출공(525)에 끝까지(상기 전면판(51)에 새로 수용된 이젝트핀(6)에 접촉할 때까지) 나사체결함으로써 핀노출공(525)을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하여 두게 되면, 이젝트핀(6)의 교체작업이 완료된다.
이처럼, 마모되거나 파손된 이젝트핀(6)의 교체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 결합플레이트(30)와 가동금형(2)을 상호 분리 및 결합하는 과정이나, 전면판(51)과 후면판(520)을 상호 분리 및 결합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교체하고자 하는 이젝트핀(6)에 대응하는 커버(550)를 조작하여 핀노출공(525)을 개폐시키기만 하면 이젝트핀(6)을 전면판(51)으로부터 빼내어 교체하는 작업이 가능하므로, 이젝트핀(6)의 교체 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이젝트핀 교체작업은, 가동금형(2)과 결합되어 있는 결합플레이트(30)가 다이캐스팅 성형기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행할 수도 있으나, 만일 결합플레이트(30)의 노출구멍(31)이 다이캐스팅 성형기에 의해 가려져서 커버(550)에의 접근이 곤란한 경우에는, 가동금형(2)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플레이트(30)를 다이캐스팅 성형기로부터 분리해 둔 상태에서 상기 이젝트핀 교체작업을 행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다이캐스팅 금형의 주요 부위(이젝트플레이트 부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이젝트플레이트(50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100)에서 이젝트플레이트(500)와 일대일로 대체하여 적용 가능하다. 이 예의 이젝트플레이트(50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이젝트플레이트(500)와 비교할 때, 후면판(530)과 커버(560)의 결합 구조만 다르고 다른 부분들은 모두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젝트플레이트(501)의 후면판(530)과 커버(560)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부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예에서의 이젝트플레이트(501)의 후면판(530)에는, 전면판(51)과 접촉하는 면(앞면)에 대해 패인 가이드홈부(5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부(530a)는 이젝트핀(6)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인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후면판(530)에는 또한, 전면판(51)과 접촉하는 면의 반대쪽면(결합플레이트(30)의 노출구멍(31)으로 노출된 면; 뒷면)부터 가이드홈부(530a)의 바닥면까지 관통하는 핀노출공(535)들이 형성되어 있다. 각 핀노출공(535)은, 대응하는 이젝트핀(6)을 노출시키기 위해, 그 이젝트핀(6)의 일단부와 마주하는 위치마다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560)는 몸체부(561)와 조작부(562)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560)의 몸체부(561)는 후면판(530)의 가이드홈부(530a)의 길이방향(이젝트핀(6)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인 일방향)을 따라, 핀노출공(535)을 폐쇄하는 위치(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와 핀노출공(535)을 개방(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하는 위치 사이에서 전면판(51)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홈부(530a)에 수용된다. 커버(560)의 조작부(562)는, 몸체부(561)로부터 연장되어 후면판(530)의 핀노출공(535)을 통해 돌출되어 있다. 커버(560)들은 모두 결합플레이트(30)의 노출구멍(31)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한편, 각 커버(560)를, 핀노출공(535)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가압수단으로서, 각 가이드홈부(530a)마다 삽입되는 압축코일스프링(570)이 구비되어 있다. 각 압축코일스프링(570)은, 미리 압축되어 복원력을 지니는 상태로 가이드홈부(530a)에 끼워져서, 일단이 후면판(530)의 가이드홈부(530a)의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이 커버(560)에 지지됨으로써, 커버(560)에 핀노출공(535)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코일스프링(570)에 의해, 사용중에 커버(560)가 원치 않게 핀노출공(535)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이젝트플레이트(501)가 적용된 다이캐스팅 금형에 있어서, 이젝트핀(6)들 중 마모되거나 파손된 이젝트핀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교체하고자 하는 이젝트핀(6)에 대응하는 커버(560)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노출공(535)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핀노출공(535)을 통해 돌출된 조작부(562)가 커버(560)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그 조작부(562)를 잡고 커버(560)를 손쉽게 조작(개폐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560)가 핀노출공(535)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핀노출공(535)이 개방되고 압축코일스프링(570)은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지니게 된다.
핀노출공(535)이 개방되면, 이젝트핀(6)이 그 핀노출공(535) 및 노출구멍(31)을 통해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그 이젝트핀(6)을, 도 9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핀노출공(535) 및 노출구멍(31)을 통해 나오도록 이젝트플레이트(501)의 전면판(51)으로부터 빼낸다. 그리고, 새로운 이젝트핀(6)을 상기 노출구멍(31) 및 핀노출공(535)을 통해서 전면판(51)에 삽입하여 수용시킨 후, 작업자는 커버(560)에 가해지고 있던 외력(커버를 상기 핀노출공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던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상기 압축되어 있던 압축코일스프링(570)의 복원력에 의해 커버(560)가 상기 핀노출공(535) 개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노출공(535)을 다시 폐쇄하게 된다. 이처럼, 핀노출공(535)이 폐쇄되면 이젝트핀(6)의 일단부의 끝면(스토퍼부(61)의 끝면)은 커버(560)에 접촉하게 되며 그에 따라, 커버(560)가 전면판(5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처럼,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이젝트플레이트(501)이 적용된 경우에도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이젝트플레이트(500)가 적용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결합플레이트(30)를 가동금형(2)으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또한, 전면판(51)과 후면판(530)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마모되거나 파손된 이젝트핀(6)의 교체 작업이 가능하므로 이젝트핀(6)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의 이젝트플레이트(501)는, 핀노출공(535)을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 커버(560)가 원치않게 그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코일스프링(570)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예컨대, 본 실시예처럼 커버(560)가 상방향으로 이동될 때 핀노출공(535)이 개방되고 커버(560)가 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핀노출공(535)이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압축코일스프링(570)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커버(560)의 자중으로 인하여, 핀노출공(535)을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 커버(560)가 핀노출공(535)을 개방하는 방향(즉,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이젝트플레이트(501)는, 각 이젝트핀(6)마다 핀노출공(535)이 하나씩 마련되고, 각 핀노출공(535)마다 커버(560)가 하나씩 설치된 구성(즉, 이젝트핀(6)과, 핀노출공(535)과, 커버(560)가 각각 서로 동일한 개수만큼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예컨대 여러개의 이젝트핀(6)이 가까운 간격으로 인접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인접되어 있는 각각의 이젝트핀(6)마다 핀노출공을 따로따로 마련하지 않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핀노출공(535)이 여러개(도 10 및 도 11에서는 2개)의 이젝트핀(6)에 대응하도록(즉, 상기 여러개의 이젝트핀(6)이 하나의 핀노출공(535)을 통해 동시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여러개의 이젝트핀(6)을 노출시키는 하나의 핀노출공(535)을 하나의 커버(56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핀노출공(535)들 중에는 여러개의 이젝트핀(6)을 동시에 노출시킬 수 있는 핀노출공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이젝트플레이트(502)도,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이젝트플레이트(501)와 마찬가지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금형에서의 이젝트플레이트(500)와 일대일로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6 내지 도 9에 기재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행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서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각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이젝트플레이트(502)의 경우에 있어서의 이젝트핀(6) 교체 방법은, 마모되거나 파손된 이젝트핀의 교체를 위해 그 마모되거나 파손된 이젝트핀에 대응하는 커버를 개방하였을 때, 그 마모되거나 파손된 이제트핀뿐만 아니라 그에 인접한 다른 이젝트핀도 핀노출공(535)을 통해 노출된다는 점만 제외하고,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이젝트플레이트(501)에서의 이젝트핀 교체 방법과 마찬가지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이젝트플레이트(502)가 적용된 경우에도, 결합플레이트(30)를 가동금형(2)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전면판(51)과 후면판(530)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마모되거나 파손된 이젝트핀(6)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점은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이젝트플레이트(500)나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이젝트플레이트(501)가 적용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암나사공 형태의 핀노출공(525)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이젝트핀(6)마다 하나씩 마련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암나사공 형태의 핀노출공(525)들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핀노출공(525)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핀노출공과 마찬가지로, 여러개의 이젝트핀을 동시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이젝트핀과 핀노출공과 커버가 각각 복수개씩 마련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이젝트핀과 핀노출공과 커버가 각각 하나씩만 마련된 구성이 얻어질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몇가지 변형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100...다이캐스팅 금형
1...고정금형 2...가동금형
3...결합플레이트 32...노출구멍
500, 501, 502...이젝트플레이트 51...전면판
520, 530...후면판 525, 535...핀노출공
550, 560...커버 6...이젝트핀

Claims (3)

  1. 고정금형; 앞면이 상기 고정금형과 마주하며, 그 고정금형과 함께, 금속제품 성형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는 가동금형; 상기 가동금형의 뒤쪽에 그 가동금형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결합플레이트; 상기 가동금형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금형의 반대쪽에서 상기 가동금형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이젝트플레이트; 상기 이젝트플레이트가 상기 가동금형에 대해 전진 이동할 때, 상기 캐비티에서 성형된 금속제품을 밀어서 가동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가동금형에 삽입되며 일단부가 상기 이젝트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이젝트핀;을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플레이트는:
    상기 이젝트핀의 일단부가 끼워져 수용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과 결합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판에 고정되며, 상기 이젝트핀과 마주하는 위치에 그 이젝트핀을 노출시키기 위한 핀노출공이 형성된 후면판; 및
    상기 핀노출공의 개폐를 위해 마련되며, 상기 핀노출공의 개방시에는 상기 이젝트핀이 상기 핀노출공을 통해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핀노출공의 폐쇄시에는 상기 이젝트핀의 일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이젝트핀이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상기 가동금형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커버를 조작하여 상기 핀노출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를 노출시키는 노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판에는, 상기 전면판과 접촉하는 면에 대해 패여 있으며 상기 이젝트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인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노출공은, 상기 전면판에 접촉하는 면의 반대쪽면부터 상기 가이드홈부의 바닥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상기 가이드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핀노출공을 폐쇄하는 위치와 상기 핀노출공을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전면판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홈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를, 상기 핀노출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가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미리 압축되어 복원력을 지니는 상태로 상기 가이드홈부에 끼워져서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부의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에 지지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핀과 상기 핀노출공과 상기 커버는 각각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각 커버는, 상기 각 가이드홈부에 수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핀노출공을 통해 돌출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KR1020150155730A 2015-11-06 2015-11-06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KR101760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730A KR101760126B1 (ko) 2015-11-06 2015-11-06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730A KR101760126B1 (ko) 2015-11-06 2015-11-06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348A KR20170053348A (ko) 2017-05-16
KR101760126B1 true KR101760126B1 (ko) 2017-07-20

Family

ID=5903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730A KR101760126B1 (ko) 2015-11-06 2015-11-06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1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0855A (ja) 2007-08-23 2009-03-12 Toshiba Corp 鋳造装置および鋳造方法
JP2011062746A (ja) 2009-09-21 2011-03-31 Asahi:Kk 成形金型及びクリーニングピ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0855A (ja) 2007-08-23 2009-03-12 Toshiba Corp 鋳造装置および鋳造方法
JP2011062746A (ja) 2009-09-21 2011-03-31 Asahi:Kk 成形金型及びクリーニングピ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348A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5421B2 (en) Slide core unit
KR101760125B1 (ko) 이젝트핀의 노출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금형
KR101760127B1 (ko) 이젝트핀과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용 이젝팅 유닛
KR101760129B1 (ko) 다이캐스팅 금형용 이젝팅 유닛
EP3978218A1 (en) Slide mechanism, fixing mold, movable mold, and molding mold
WO2020136695A1 (ja) スライド機構、可動型及び成形用金型
KR101760126B1 (ko)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JP5722958B2 (ja) 離型装置
JP2017030331A (ja) スライドコア装置
KR101760124B1 (ko) 이젝트핀과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
KR101760128B1 (ko) 이젝트핀의 노출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금형용 이젝팅 유닛
CN112536992A (zh) 底切处理机构、成型用模具及成型品
JP6451189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101542009B1 (ko) 간접 압출 프레스의 작동방법 및 간접압출 프레스
JPWO2018180824A1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成形用金型及び成形品
KR100733698B1 (ko) 분리 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형체기구의 성형품 분리장치
KR101850054B1 (ko)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KR200489207Y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성형용 슬라이드
JP5883050B2 (ja) ダイカスト用金型及びダイカスト法
KR200384159Y1 (ko) 사출물의 취출불량 방지기능이 구비된 금형장치
JP6699138B2 (ja) 樹脂成形金型
JP4925127B2 (ja) 加圧成形手段を備えた射出金型
KR20090014660A (ko) 금형조립체
US3519262A (en) Holding fixtures for type blanks
JP2006095922A (ja) 合成樹脂射出成形用割型式金型のエジェクタピ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