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054B1 -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 Google Patents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054B1
KR101850054B1 KR1020160176287A KR20160176287A KR101850054B1 KR 101850054 B1 KR101850054 B1 KR 101850054B1 KR 1020160176287 A KR1020160176287 A KR 1020160176287A KR 20160176287 A KR20160176287 A KR 20160176287A KR 101850054 B1 KR101850054 B1 KR 101850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re
dust cap
mol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현
Original Assignee
고려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6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29C45/1744Mould support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더스트 캡에 형성된 걸림턱의 치수산포를 최소화여 균일한 품질의 더스트 캡을 성형함과 동시에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은 더스트 캡 성형용 금형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하우징의 내부로 먼지 및 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랙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더스트 캡을 사출성형하는 것으로서,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코어가 구비된 상원판과, 이동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코어와 형합되어 그 내부에 더스트 캡을 성형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하코어가 구비된 하원판과, 이동플레이트와 하원판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하원판의 타측에 하코어와 일부분이 연통되게 형성된 작동홈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공간에서 성형되는 더스트 캡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저부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작동중판과, 이동플레이트와 작동중판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동플레이트와 작동중판 사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페이서 블럭과, 공간부에 상코어와 하코어의 형개시 작동중판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코어에 있는 더스트 캡을 밀어서 더스트 캡이 하코어로부터 취출되게 하는 밀핀이 구비된 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Mold for injection molding of dust cap}
본 개시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하우징에 결합되는 더스트 캡을 성형하기 위한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더스트 캡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하우징의 내부로 먼지 및 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랙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다.
도 1은 종래의 더스트 캡을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사출금형은 고정판(12)과, 고정판(12)에 결합되고 상부코어(14)가 구비된 상원판(10)으로 구성된 고정측과, 가동판(22)과, 가동판(22)에 결합되고 상부코어(14)와 대응되는 하부코어(24)가 구비된 하원판(20)으로 구성된 가동측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동판(22)과 하원판(20) 사이에는 스페이서블록(30)이 설치되고, 스페이서블록(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밀판(40)이 설치된다. 도면부호 50은 받침판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밀판(40)에는 밀핀(42)이 구비되는데, 밀핀(42)은 밀판(40)을 따라 고정판(1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코어(14)와 하부코어(24)에 의해 형성된 성형공간에서 성형된 더스트 캡을 취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더스트 캡의 일측 내주면에는 더스트 캡을 랙하우징의 상부에 걸림결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된다. 걸림턱은 고정판(12)과 가동판(22)의 상대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므로 별도의 경사코어(60)에 의해 성형된다.
경사코어(60)는 더스캡의 일측 내주면에 걸림턱을 성형하고, 상원판(10)으로부터 하원판(20)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고정판(12)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고정판(12)과 가동판(22)의 상대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하면서 걸림턱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동시에 경사코어(60)는 밀핀(42)과 함께 더스트 캡을 밀어낸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사출금형은 더스트 캡의 형상, 사출금형의 구조 등으로 인해 경사코어의 이동거리, 공간이 제약되는 경우 더스트 캡이 성형된 후 사출금형이 형개되어도 여전히 더스트 캡이 경사코어에 물려 있어 취출되기 어렵다.
또한, 경사코어가 고정판 방향으로 밀핀과 함께 이동가능하게 길게 형성됨과 동시에 일측 단부가 밀판에 힌지결합 또는 밀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기 때문에 경사코어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의 치수산포가 크게 발생되어 품질이 균일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7103호(2000.09.25)
본 개시는 더스트 캡에 형성된 걸림턱의 치수산포를 최소화여 균일한 품질의 더스트 캡을 성형함과 동시에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의한 더스트 캡 성형용 금형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하우징의 내부로 먼지 및 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랙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더스트 캡을 사출성형하는 것으로서,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코어가 구비된 상원판과, 이동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코어와 형합되어 그 내부에 더스트 캡을 성형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하코어가 구비된 하원판과, 이동플레이트와 하원판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하원판의 타측에 하코어와 일부분이 연통되게 형성된 작동홈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성형공간에서 성형되는 더스트 캡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저부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작동중판과, 이동플레이트와 작동중판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이동플레이트와 작동중판 사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페이서 블럭과, 공간부에 상코어와 하코어의 형개시 작동중판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코어에 있는 더스트 캡을 밀어서 더스트 캡이 하코어로부터 취출되게 하는 밀핀이 구비된 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르면, 더스트 캡에 형성된 걸림턱의 치수산포를 최소화여 균일한 품질의 더스트 캡을 성형함과 동시에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더스트 캡을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
도 4은 도 2에 도시된 II-II'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하원판과 작동중판의 분해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100)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하우징의 내부로 먼지 및 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랙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더스트 캡을 사출 성형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사출 성형용 금형(100)은 상원판(110), 하원판(120), 작동중판(130), 스페이서 블록(140), 밀판(150)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 도 4은 도 2에 도시된 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원판(110)은 고정플레이트(112)와, 고정플레이트(112)에 일측에 설치된 상코어(114)로 구성된다.
상코어(114)는 상원판(110)의 일측 중심부에 결합되어 성형하고자 하는 더스트 캡(1)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코어(114a)와, 상부코어(114a)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성형하고자 하는 더스트 캡(1)의 중심부에 중공부(2)를 형성하는 상속코어(114b)로 구성된다.
또한, 상원판(110)의 일측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는 중심부에 앵귤러 핀(116a)이 구비된 앵귤러 캠(116)이 설치되고, 앵귤러 핀(116a)은 상원판(110)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하원판(120)은 이동플레이트(122)와, 이동플레이트(122)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하원판(120)이 상원판(110)을 향해 이동될 때 상코어(114)와 합형되어 그 내부에 성형공간(S)을 형성하는 하코어(124)로 구성된다.
이동플레이트(122)에는 이동플레이트(122)가 고정플레이트(112)를 향해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엑츄에이터(미도시)가 이동플레이트(122)로부터 이격되어 별도로 마련되고, 엑츄에이터(미도시)의 단부는 이동플레이트(122)에 결합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코어(124)는 하우징(126), 슬라이드 코어(127), 저부코어(128), 하속코어(129)로 구성된다.
하우징(126)은 하원판(120)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26a)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26)의 저면에는 저부코어(128)가 결합되는 저부홀(126b)이 공간부(126a)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슬라이드 코어(127)의 일측이 삽입되는 측면홀(126c)이 공간부(126a)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드 코어(127)는 성형하고자 하는 더스트 캡(1)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하원판(120)의 길이방향 양측 상부면에 하부면이 하원판(120)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고, 일측이 하우징(126)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형성된 측면홀(126c)에 삽입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코어(127)의 상부 외측면에는 상원판(110)에 설치된 앵귤러 캠(116)의 내측면에 형성된 캠 경사면(116b)과 접촉되는 경사면(127a)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 소정 위치에는 앵귤러 캠(116)에 구비된 앵귤러 핀(116a)이 삽입되는 앵귤러 핀 삽입홀(127b)이 형성된다.
즉, 슬라이드 코어(127)는 하원판(120)이 상원판(110)과 형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경사면(127a)이 상원판(110)에 설치된 앵귤러 캠(116)의 내측면에 형성된 캠 경사면(116b)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에 앵귤러 핀 삽입홀(127b)에 삽입되는 앵귤러 핀(116a)에 의해 전진 이동되고, 하원판(120)이 상원판(110)으로부터 형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앵귤러 핀(116a)에 의해 후퇴 이동된다.
저부코어(128)는 성형하고자 하는 더스트 캡(1)의 저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26)의 저면에 형성된 저부홀(126b)에 상측이 관통 삽입되도록 하우징(126)의 저면에 결합된다.
하속코어(129)는 슬라이드 코어(127)에 의해 형성되는 더스트 캡(1)의 외주면과 상속코어(114b)에 의해 더스트 캡(1)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부(2)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부(4)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저부코어(128)의 상면에 결합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하원판과 작동중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작동중판(130)은 하원판(120)과 형합 또는 형개 가능하게 이동플레이트(122)와 하원판(120) 사이에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작동중판(130)의 일측에는 저부 슬라이드 코어(132)가 구비되고, 저부 슬라이드 코어(132)는 하원판(120)의 타측에 하코어(124)와 일부분이 연통되게 형성된 작동홈(120a)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성형공간(S)에서 성형되는 더스트 캡(1)의 저부 내측면에 걸림턱(6)을 형성한다.
저부 슬라이드 코어(132)는 하원판(120)의 타측에 형성된 작동홈(120a)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몸체부(134)와, 몸체부(134)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측 단부가 저부코어(128)와 하속코어(129)의 결합부 상에 형성된 절개부(I.P)에 삽입되는 삽입부(136)로 구성된다.
이때, 몸체부(134)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작동홈(120a)의 내측면에 일단부가 지지되는 탄성스프링(134a)이 설치되고, 몸체부(134)의 하부 내측면에는 하부 경사면(134b)이 형성된다.
몸체부(134)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하부 경사면(134b)은 작동중판(130)에 구비된 작동블럭(138)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상부 경사면(138a)에 접촉, 가압된다.
또한, 몸체부(134)의 하부 상측면에는 삽입홈(134c)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홈(134c)에는 작동블럭(138)의 중심부에 설치된 경사핀(138b)이 삽입되는 삽입홈(134c)이 형성된다.
이때, 작동블럭(138)의 중심부에 설치된 경사핀(138b)은 작동중판(130)의 외측에서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이는 몸체부(134)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하부 경사면(134b)이 작동블럭(138)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상부 경사면(138a)과 항상 일정하게 접촉, 가압되게 한다.
즉, 작동중판(130)이 하원판(120)으로부터 형개될 때 저부 슬라이드 코어(132)는 몸체부(134)의 외측면에 소정 위치에 작동홈(120a)의 내측면에 일단부가 지지되게 설치된 탄성스프링(134a)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홈(120a)을 따라 전진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작동중판(130)이 하원판(120)과 형합될 때 저부 슬라이드 코어(132)는 몸체부(134)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하부 경사면(134b)이 작동중판(130)에 구비된 작동블럭(138)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상부 경사면(138a)에 가압되어 작동홈(120a)을 따라 후퇴하게 된다.
스페이서 블럭(140)은 이동플레이트(122)과 작동중판(130) 사이에 공간부(142)가 형성되도록 이동플레이트(122)와 작동중판(130) 사이에 이격되게 설치된다.
밀판(150)은 상코어(114)로부터 하코어(124)가 형개될 때 작동중판(130)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스페이서 블럭(1400)에 의해 이동플레이트(122)와 작동중판(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42)에 설치되어 상코어(114)로부터 하코어(124)가 형개될 때 하코어(124)에 있는 더스트 캡(1)이 하코어(124)로부터 취출되게 한다.
이러한, 밀판(150)은 작동중판(130)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부면에 밀핀(152a)이 설치된 상밀판(152)과, 상밀판(152)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면이 이동플레이트(122)에 설치된 실린더(미도시)의 단부에 결합되는 하밀판(154)으로 구성된다.
이때, 밀핀(152a)은 일측 단부가 작동중판(130)과 하원판(120)을 관통하여 상코어(114)에 구비된 상속코어(114b)의 일측 단부와 결합된다.
또한, 상밀판(152)의 상부면에는 일단이 밀핀(152a)으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타단이 작동중판(130)과 하원판(120)을 관통하여 위치되는 가이드봉(156)이 설치되고, 가이드봉(156)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상밀판(152)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작동중판(130)의 하부면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158)이 마련된다.
코일스프링(158)은 상밀판(152)과 하밀판(154)이 이동플레이트(122)에 설치된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작동중판(130)을 향해 이동하였다가 상밀판(152)과 하밀판(154)이 원활하게 원위치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상밀판(152)에 인가 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의 작동을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상코어(114)와 하코어(124)가 형합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112)에 구비된 주입구(112a)를 통해 상코어(114)와 하코어(124)가 형합되어 그 내부에 형성된 성형공간(S)에 수지를 주입하면 성형하고자 하는 더스트 캡(1)이 성형된다.
더스트 캡(1)의 성형이 완료된 후 하코어(124)가 상코어(114)로부터 형개되면 더스트 캡(1)의 상부면과 중심부에 중공부(2)를 형성하는 상속코어(114b)가 하코어(124)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더스트 캡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127)가 상원판(110)에 설치된 앵귤러 캠(116)에 구비된 앵귤러 핀(116a)에 의해 후퇴 즉, 하원판(12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후, 도 6의 (b)를 참조하면, 하원판(120)으로부터 작동중판(130)을 형개시키면 하원판(120)에 형성된 작동홈(120a)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저부 슬라이드 코어(132)의 몸체부(134)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하부 경사면(134b)을 접촉, 가압하고 있는 상부 경사면(138a)이 상부 외측에 형성된 작동블럭(138)이 작동중판(130)과 함께 하원판(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계속해서, 작동블럭(138)이 작동중판(130)과 함께 하원판(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저부 슬라이드 코어(132)는 몸체부(134)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일단부가 작동홈(120a)의 내측면에 지지된 탄성스프링(134a)의 탄성력에 의해 하코어(124)의 중심을 향해 이동되어 더스트 캡(1)에 형성된 걸림턱(6)으로터 단부가 이탈된다.
이후, 도 7의 (c)와 (d)를 참조하면, 밀판(150)을 작동중판(130)을 향해 이동시키면 성형이 완료되어 하코어(124)의 내부에 있는 더스트 캡(1)이 밀판(150)에 구비된 밀핀(152a)에 의해 하코어(124)로부터 취출된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상원판
112; 고정플레이트
114; 상코어
120; 하원판
122; 이동플레이트
124; 하코어
130; 작동중판
132; 저부 슬라이드 코어
140; 스페이서 블럭
150; 밀판
152; 밀핀

Claims (7)

  1.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하우징의 내부로 먼지 및 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랙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더스트 캡을 사출성형하는 금형에 있어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코어가 구비된 상원판;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상코어와 형합되어 그 내부에 상기 더스트 캡을 성형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하코어가 구비된 하원판;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하원판의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하원판의 타측에 상기 하코어와 일부분이 연통되게 형성된 작동홈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성형공간에서 성형되는 더스트 캡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저부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작동중판;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작동중판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작동중판 사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페이서 블럭; 및,
    상기 공간부에 상기 상코어와 하코어의 형개시 상기 작동중판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코어에 있는 더스트 캡을 밀어서 상기 더스트 캡이 상기 하코어로부터 취출되게 하는 밀핀이 구비된 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코어는,
    상기 상원판의 일측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더스트 캡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코어와, 상기 상부코어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더스트 캡의 중심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상속코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코어는,
    상기 하원판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원판의 길이방향 양측 상부면에 하부면이 상기 하원판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더스트 캡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더스트 캡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부코어; 및,
    상기 저부코어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코어에 의해 형성된 상기 더스트 캡의 외주면과 상기 상속코어에 의해 상기 더스트 캡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부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속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상원판의 일측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앵귤러 핀이 구비된 앵귤러 캠에 의해 상기 상원판과 상기 하원판이 형합될 때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부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하원판의 타측에 형성된 작동홈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측 단부가 상기 저부코어와 상기 하속코어의 결합부 상에 형성된 절개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작동홈의 내측면에 일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작동홈을 따라 전진되게 하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 내측면에는 상기 작동중판에 구비된 작동블럭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상부 경사면과 접촉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작동홈을 따라 후퇴되게 하는 하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럭의 중심부에는 경사핀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 상측면에는 상기 경사핀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판은,
    상기 작동중판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밀핀이 설치된 상밀판과, 상기 상밀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면이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설치된 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는 하밀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밀판의 상부면에는 일단이 상기 밀핀으로 이격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작동중판과 상기 하원판을 관통하여 위치되는 가이드봉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상기 상밀판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작동중판의 하부면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7. 삭제
KR1020160176287A 2016-12-22 2016-12-22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KR10185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287A KR101850054B1 (ko) 2016-12-22 2016-12-22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287A KR101850054B1 (ko) 2016-12-22 2016-12-22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054B1 true KR101850054B1 (ko) 2018-04-19

Family

ID=6208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287A KR101850054B1 (ko) 2016-12-22 2016-12-22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769A (ko) * 2019-06-17 2020-12-28 고려기술주식회사 더스트캡용 성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9616A (ja) * 2002-06-10 2004-01-15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射出成形金型
JP2010000602A (ja) * 2008-06-18 2010-01-07 Mikasa Sangyo Kk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キャップ製造用成形型
KR20140048531A (ko) * 2012-10-16 2014-04-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동력조향장치용 더스트 캡 어셈블리
KR20150111622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9616A (ja) * 2002-06-10 2004-01-15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射出成形金型
JP2010000602A (ja) * 2008-06-18 2010-01-07 Mikasa Sangyo Kk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キャップ製造用成形型
KR20140048531A (ko) * 2012-10-16 2014-04-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동력조향장치용 더스트 캡 어셈블리
KR20150111622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769A (ko) * 2019-06-17 2020-12-28 고려기술주식회사 더스트캡용 성형장치
KR102277297B1 (ko) * 2019-06-17 2021-07-14 고려기술 주식회사 더스트캡용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7505B1 (en) Side-action mechanism and injection mold using the same
JP6892090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JP7461061B2 (ja) ゲート切断機構及び成形用金型
KR101850054B1 (ko) 더스트 캡 사출성형용 금형
EP3326780B1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and molding die
JP7007690B2 (ja) スライド機構、可動型及び成形用金型
US9028244B1 (en) Lifter for an injection molding tool
JP6823248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JP6999959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KR100988790B1 (ko) 슬라이드코어 어셈블리
KR101760125B1 (ko) 이젝트핀의 노출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다이캐스팅 금형
JP2000043105A (ja) 射出成形装置
JP4005195B2 (ja) 射出成形金型におけるスライド機構
CN107336410B (zh) 注塑模具
KR20170053322A (ko) 이젝트핀과 이젝트플레이트를 구비한 다이캐스팅 금형용 이젝팅 유닛
KR101760129B1 (ko) 다이캐스팅 금형용 이젝팅 유닛
KR100864251B1 (ko) 금형조립체
JP2016203461A (ja) 射出成形金型
KR101604265B1 (ko) 이중사출 금형용 슬라이드 어셈블리
US20160271849A1 (en) A mould
JP7097101B2 (ja) ゲート切断装置及び成形用金型
CN108724631B (zh) 一种带多种脱模机构的注塑模具
JP2003080570A (ja) 射出成形用金型
CN211566765U (zh) 一种用于成型耳机下盖的模具
JP2017177447A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及び成形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