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192B1 -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192B1
KR101759192B1 KR1020160006242A KR20160006242A KR101759192B1 KR 101759192 B1 KR101759192 B1 KR 101759192B1 KR 1020160006242 A KR1020160006242 A KR 1020160006242A KR 20160006242 A KR20160006242 A KR 20160006242A KR 101759192 B1 KR101759192 B1 KR 101759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ensor
vehicle
sens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연
소현명
강영훈
라재수
공정길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using electromagneticwaves, e.g. infrar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05F15/7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using light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는, 차량에 배치되어 창문 상의 대상물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센서; 창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창문의 개방 영역을 축소하고, 상기 창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창문을 개방 영역을 확장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의 상기 창의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스위치; 상기 창문 상에서의 상기 창의 위치를 감지하는 창 위치 감지 센서; 상기 스위치로 센싱되는 이동 명령, 상기 적외선과 상기 레인 센서의 센싱 정보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ACTIVE VEHICLE WINDOW SAFETY DEVICE}
본 발명은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 및 외부적 요인에 따른 윈도우 능동적 제어에 관한 발명이다.
차량은 승객이 출입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도어가 마련되고, 해당 도어를 비롯하여 차량의 다양한 영역에 창문이 배치된다.
창문의 개폐를 통해 차량 내부와 외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차량에 설치된 차량 윈도우의 구동은 승객의 기계식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차량 윈도우를 제어하였다. 따라서 공기 순환의 필요 여부나 우천 시 차량 사용자가 윈도우의 제어를 통해 창문의 개폐함으로써, 차량 운전 시 시야 이동에 따라 운전에 방해가 되고, 외부 환경 변화에 즉각적인 반응을 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보호자의 주의가 필요한 유아 등이 차량에 탑승 시, 유아의 윈도우 제어의 미숙에 따른 위험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아의 탑승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하므로 주의가 분산되고, 윈도우 스위치 잠금 장치를 통해 윈도우 제어를 통제해야만 했다.
최근 원터치로 윈도우의 개폐가 가능한 시스템이 개발되면서, 창문에 신체의 일부가 끼인 상태로 윈도우의 개폐가 이루어질 때 창문 끼임 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국 특허 출원 번호: 10-2008-0121557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빗물 감지에 따라 창문의 개방 영역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창의 이동 시 개방된 창문 사이로 물건이나 신체 일부가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창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좌석에 배치된 승객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창의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 변화에 반응하여 창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는, 차량에 배치되어 창문 상의 대상물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센서; 창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창문의 개방 영역을 축소하고, 상기 창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창문을 개방 영역을 확장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의 상기 창의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스위치; 상기 창문 상에서의 상기 창의 위치를 감지하는 창 위치 감지 센서; 상기 스위치로 센싱되는 이동 명령, 상기 적외선과 상기 레인 센서의 센싱 정보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인센서에 의해 빗물을 감지하면,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창문이 기준위치로부터 벗어난 경우,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창이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창을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창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중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상기 대상물이 센싱되면, 상기 창이 제2 방향으로 이동 또는 상기 창의 이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상기 기준 위치를 저장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 위치를 참조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상기 기준 위치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는 차량의 좌석에 배치되어 좌석에 위치한 승객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창문의 개방 영역의 확장을 위한 창의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무게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승객의 무게와 기 저장된 상기 승객의 초기 무게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기 설정 범위의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창이 이동하지 않도록 또는 상기 창문의 개방 영역이 확장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루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GPS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창의 이동을 위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GPS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창문이 기 설정된 개방 영역을 초과하여 개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창문이 기 설정된 개방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창을 이동시키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는 상기 차량의 전방의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차량의 전방의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창의 이동을 위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는 상기 차량의 전방의 조도을 센싱하는 전방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창문이 기 설정된 개방 영역을 초과하여 개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창문이 기 설정된 개방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창을 이동시키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구동 방법은 센서부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창 위치 감지 센서가 창문 틀 상에서의 창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창이 기준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상기 창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창이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을 이동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구동 방법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창문 틀에 배치된 적외선 센서로부터 적외선 센싱을 요청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적외선 센싱에 따라 대상물이 센싱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단하거나 상기 창문의 개방 영역이 증가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구동방법의 상기 센서부는 레인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인센서는 빗물을 감지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구동 방법의 상기 센서부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창의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어부가 센서부로부터 빗물 또는 창문의 창의 이동 명령에 대한 센싱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창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창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창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로 적외선 센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적외선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센서부는 상기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센서, 창 위치 감지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인센서로부터 빗물이 감지되고,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창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창이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창이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을 이동시키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창문의 개방 영역이 축소되는 중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대상물이 센싱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단하거나 상기 창문의 개방 영역이 증가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구동 방법의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좌석에 배치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 및 상기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창의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무게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구동 방법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창의 이동을 위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구동 방법의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GPS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창이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창이 상기 기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을 이동시키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구동 방법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의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차량의 전방의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창의 이동을 위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의 구동 방법의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전방의 조도을 센싱하는 전방 조도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창이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창이 상기 기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을 이동시키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정장치는, 빗물 감지에 따라 차량의 창문의 개방 영역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운행 중 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른 차량의 창문 개폐와 개방 영역의 증감 상태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개방된 창문을 통해 물건이나 사람의 신체 일부가 차량 내부와 차량 외부에 걸쳐 위치하는 경우, 이를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창의 이동을 변경함으로써, 창문의 개방 영역 축소에 따른 물건의 파손이나 신체 일부에 피해를 주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객이 차량에 탑승한 것으로 인지하면, 차량 운행 중 해당 승객의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창문 개방으로 승객의 차량 밖으로의 이탈이나 몸의 일부가 위험 수준으로 차량 외부로 노출되어 위험한 상황에 처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 변화에 반응하여 창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창문의 개방 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차량 운행의 편의와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창문의 개략도로써, 창문 틀과 창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창문의 개략도로써, 창문 틀과 창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는 제어부(101), 저장부(103), 적외선 센서(110), 레인센서(130; rain sensor), 모터(150), 스위치(170), 창 위치 감지센서(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는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내연 기관의 힘으로 바퀴를 굴려 사람이나 짐을 실어 옮길 수 있도록 한, 땅 위를 다니는 교통수단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일 예로 승용차, 버스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자동차의 의미뿐만 아니라, 철 길 위를 다니는 기차와 같은 교통 수단이나, 물길을 다니는 배, 땅과 접촉하지 않은 채로 이동 가능한 항공기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이동 수단이다.
상기 차량의 창문 틀(210)에서의 언급되는 창문(200)은 기계적 조작에 따라 이동 가능한 유리 등의 투명한 재질로 차량 내부에서 차량 외부가 시인될 수 있는 창(230)과 창문 틀(210)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 창(2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창문 틀(210)에 둘러싼 공간을 통해 차량 내부와 외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창문(200)은 일 예로 차량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창문(200)의 개수는 차량의 크기와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선 루프(sun roof)와 같은 형태로 차량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은 창(230)이 창문 틀(210) 내에서 이동하면서 창문(200)이 개폐될 때, 개폐를 방해할 정도의 크기와 무게를 가진 물질이 될 수 있고, 일 예로 물체나 사람의 신체 일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창은 윈도우(window)이다.
상기 적외선 센서(110)는 차량에 배치되어 창문(200) 상의 대상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센서(110)는 창문 틀(210)에 배치되어 대상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110)는 창(230)이 창문 틀(210) 내에서 이동하면서 창문(200)이 개폐될 때, 창문(200)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 차량의 영역에 위치하고, 창문(200)의 개폐를 방해할 정도의 크기와 무게를 가진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차량의 위치라면 차량의 어떤 영역이든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적외선 센서(110)는 차량의 창문 틀(210) 상에 배치되어 대상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레인센서(130)는 빗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레인센서(130)는 강우량을 감지할 수 있고, 우천 시 빗물과 접촉될 수 있는 특정 영역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차량의 전면 유리의 상단 내면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레인센서(130)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와이퍼 자동 제어를 위하여 차량에 설치된 레인센서가 될 수고 있다. 그리고 후술할 제어부(101)는 상기 레인센서(130)로부터 센싱되는 강우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모터(150)는 상기 창(230)을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창(230)을 여러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창(230)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창문(200)을 닫을 수 있고, 상기 창(230)을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창문(200)을 개방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230)의 이동 정도에 따라서 상기 창문(200)이 개방되는 영역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모터(150)는 상기 창문(200)이 배치된 차량의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창(23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위치라면 어디든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터(150)는 차량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차량을 분해하지 않는 이상 시인할 수 없는 차량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150)를 이용하여 창(23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창(230)의 이동 중에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딜레이회로와 상기 딜레이회로의 출력에 의해 작동되어 전원을 상기 모터(150)로 스위칭하는 릴레이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모터(150)를 이용한 창(230)의 이동을 위한 기계적인 메커니즘은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위치(17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창(230)의 이동을 조작 가능한 스위치이다. 상기 스위치(170)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차량에서 요구되는 움직임을 벗어난 정도의 움직임 없이도 상기 스위치(170)를 조작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차량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1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101)로 수신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70)는 특정 영역 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고, 다양한 방향 각각에 대해 미리 명령을 매칭하여,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70)를 다양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조작하면, 해당 방향에 매칭된 명령을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01)는 해당 명령을 해석하여 모터(150)를 제어하여 창(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170)는 사용자가 쉽게 조작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형태나 버튼 방식,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는 상기 창(23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창(230)의 위치에 따라서 창문(200)의 개방된 영역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가 감지한 창(230)의 위치를 통해서 창문(200)의 개방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1)는 센서들인 상기 적외선 센서(110)에 의한 센싱정보, 레인센서(130)로부터의 센싱정보 그리고 창 위치 감지센서(190)로부터의 센싱 정보와 스위치(170)로 수신되는 창(230)의 이동 명령에 대한 센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150)를 제어하여 상기 창(2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스위치(230)로 센싱되는 창(230)의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의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창(23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터(1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즉 두 가지 방향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방향의 3가지 이상의 방향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은 창문(200)의 개방 영역을 축소 또는 창문(200)을 닫기 위하여 창(230)을 이동시키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창문(200)의 개방 영역을 확장 또는 창문(200)의 완전 개방을 위하여 창(230)을 이동시키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레인센서(130)에 의해 빗물이 감지되면,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부터 센싱된 창(230)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창문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고, 창문이 개방된 경우, 상기 창(230)이 기준위치에 위치하도록 모터(150)를 제어하여 상기 창(230)을 기준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레인센서(130)에 의해 빗물이 감지된 것을 전제로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가 창(230)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레인센서(130)에 의해 빗물이 감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 창(230)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부터 창(23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레인센서(130)에 의해 빗물이 감지된 이후에 수신된 창(230)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창문의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준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창(230)의 위치로써, 일 예로, 사용자가 우천시 창문의 완전 폐쇄를 원하는 경우 상기 기준위치는 창문이 완전히 닫혀 있을 때의 창(230)의 위치가 될 수 있고, 사용자가 우천시 내부 김 서림 방지를 위하여 창문의 일정 영역이 개방되길 원하는 경우, 상기 창문이 일정 영역 개방되어 있을 때의 창(230)의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창문이 복수개인 경우, 각 창문의 창 각각의 기준위치는 동일할 수 있고, 각기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창(230)에 대한 기준위치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103)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01)가 모터(150)를 제어할 때 상기 저장부(103)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위치에 대한 정보는 도시되지 않은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가 구비할 수 있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기준위치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103)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강수량에 따라서 창(230)의 이동 정도를 달리 설정하고 이를 저장부(103)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레인센서(130)로부터 감지되는 강우량에 따라서 창문(200)의 개방 영역의 축소 또는 확장 정도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창(230)이 이동하여 창문(200)의 개방 영역이 축소되는 중에 적외선 센서(110)로부터 대상물이 센싱되면 모터(150)의 구동이 중지되도록 상기 모터(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창(230)이 제1 방향으로 이동 중 상기 적외선 센서(110)로부터 대상물이 센싱되면, 상기 창(230)의 이동이 중단되도록 상기 모터(15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창(230)이 이동하여 창문(200)의 개방 영역이 축소되는 중에 적외선 센서(110)로부터 대상물이 센싱되면, 상기 창문(200)의 개방 영역이 확장되도록 모터(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창(230)이 제1 방향으로 이동 중 상기 적외선 센서(110)로부터 대상물이 센싱되면, 제어부(1010)는 상기 창(230)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모터(1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는 빗물 감지에 따라 차량의 창문(200)의 개방 영역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운행 중 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른 차량의 창문(200) 개폐와 개방 영역의 증감 상태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70)의 조작에 기인한 사용자의 명령이나, 레인센서(130)로부터 감지되는 강우량에 따른 창(230)의 자동 제어 시, 개방된 창문(200)을 통해 물건이나 사람의 신체 일부가 차량 내부와 차량 외부에 걸쳐 위치하는 경우, 이를 적외선 센서(110)에 의해 감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창(230)의 이동을 변경함으로써, 창문(200)의 개방 영역 축소에 따른 물건의 파손이나 신체 일부에 피해를 주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성도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에서 무게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기능과 그에 따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해당 구성에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는 무게감지센서(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센서(120)는 차량의 좌석에 배치되어 좌석에 위치한 대상물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감지센서(120)는 차량의 좌석 시트 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좌석에 위치한 승객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차량 내의 어떤 영역이든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승객은 사람이나 동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저장부(103)는 초기 무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초기 무게 정보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초기 무게 설정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3)는 무게감지센서(120)로 무게감지를 요청하고, 상기 무게감지센서(12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좌석의 무게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저장부(103)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석에 승객이 위치한 상태에서 입력부를 통해 초기 무게 설정을 입력하면, 상기 무게감지센서(120)로부터 센싱된 현재 좌석에 위치한 승객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무게는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1)는 스위치(1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창문(200)의 개방 영역을 확장하는 명령, 즉 창(230)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 명령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게감지센서(120)로부터 감지되는 좌석에 위치한 승객의 무게 정보와 상기 저장부(103)에 저장된 초기 무게 정보와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무게가 동일하거나 기 설정 범위 내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창(230)이 이동하지 않도록 또는 창문(200)의 개방 영역이 축소되도록 창(230)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모터(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는 좌석에 위치한 승객이 유아나 동물인 경우, 해당 승객의 무게를 초기 무게로 설정하여 저장부(103)에 저장하고, 해당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무게감지센서(120)로부터 감지되는 승객의 무게와 저장부(103)에 저장된 초기 무게의 비교를 통해 해당 승객이 차량에 탑승한 것으로 인지하면, 차량 운행 중 해당 승객의 스위치(170)의 조작에 따른 창문(200) 개방으로 승객의 차량 밖으로의 이탈이나 몸의 일부가 위험 수준으로 차량 외부로 노출되어 위험한 상황에 처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성도이다.
제3 및 제4 실시예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에서 보조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기능과 그에 따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해당 구성에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는 보조 센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센서(14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GPS 센서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센서(140)는 GPS 센서가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차량 내의 GPS 센서 기능을 하는 구성과 통신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가 될 수도 있다.
제어부(101)는 GPS 센서인 보조 센서(140)로부터 센싱된 차량의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제어부(101)는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 창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는 해당 요청에 대응하여 창문(200) 상의 창(23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1)는 수신된 창(23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창(230)의 개방 또는 기 설정된 개방 영역 이상으로 개방된 것으로 감지한 경우, 모터(150)를 제어하여 창(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1)는 기 설정된 개방 영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저장부(103)에 미리 저장된 기 설정된 개방 영역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나 차량 제조자가 입력부를 통해 저장부(103)에 저장한 기 설정된 개방 영역이 일 예로 K(K는 0 이상 그리고 100미만의 수)% 개방인 경우, 제어부(101)는 GPS 센서인 보조 센서(140)로부터 센싱된 차량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 일 예로 터널 등과 같이 조도가 낮아 질 수 있는 공간의 진입구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매칭되는 경우, 제어부(101)는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 창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는 해당 요청에 대응하여 창문(200) 상의 창(23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0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는 수신된 창(23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창(230)이 K%를 초과하여 개방된 경우, 상기 창(230)을 K%로 개방되도록 모터(150)를 제어하여 창(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K가 0인 경우, 개방 영역이 0%이므로 창문(200)이 완전히 닫힌 것이고, K가 100인 경우, 개방 영역이 100%이므로 창문(200)이 완전히 개방된 것이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센서(140)는 조도 센서가 될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는 차량의 전방의 조도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센서(140)는 조도 센서가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차량 내의 조도 센서 기능을 하는 구성과 통신하여 차량의 전방의 조도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가 될 수도 있다.
제어부(101)는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차량의 전방의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에 대응하는 경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부터 감지되는 창(230)의 위치를 감지하고, 창(230)의 개방 또는 기 설정된 개방 영역 이상으로 개방된 것으로 감지한 경우, 모터(150)를 제어하여 창(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1)는 기 설정된 개방 영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저장부(103)에 미리 저장된 기 설정된 개방 영역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나 차량 제조자가 입력부를 통해 저장부(103)에 저장한 기 설정된 개방 영역이 일 예로 K(K는 0 이상 그리고 100미만의 수)% 개방인 경우, 제어부(101)는 조도 센서인 보조 센서(140)로부터 센싱된 차량의 전방의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 일 예로 터널 등과 같이 조도가 낮아 질 수 있는 공간의 진입구 근방에 차량이 위치한 경우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조도에 대응하는 경우, 제어부(101)는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 창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는 해당 요청에 대응하여 창문(200) 상의 창(23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0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는 수신된 창(23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창(230)이 K%를 초과하여 개방된 경우, 상기 창(230)을 K%로 개방되도록 모터(150)를 제어하여 창(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센서(140)는 시간 정보를 센싱할 수 있고, 해당 시간 정보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시간을 표시하는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를 수신하거나, 시간 측정을 위하여 보조 센서(140)에 내장된 타이머를 통해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정보는 시, 분, 초와 같은 시간 개념뿐만 아니라 계절을 구분하기 위한 월, 일을 포함하는 시간 개념이다.
이와 달리 제어부(101)가 차량 내에 설치되어 시간을 표시하는 장치로부터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전술한 타이머가 상기 제어부(101)에 내장될 수도 있다.
낮과 밤 시간에 터널 안과 터널 밖의 조도의 상대적인 차이가 상이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101)는 보조 센서(140)로부터 센싱된 조도와 시간 정보를 동시에 활용하여, 저장부(103)에 저장된 해당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조도와 보조 센서(140)로부터 수신된 조도를 서로 비교하여 센싱된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에 매칭되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3 및 제4 실시예는 터널 내부와 같이 공기 순환이 상대적으로 원활하지 못한 환경에서 차량의 창문(200)의 개방 정도를 자동으로 달리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창문(200)의 개방 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차량 운행의 편의와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보조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위치 정보나 차량 전방의 조도 정보가 기 설정된 위치나 조도 정보에 대응하는 것을 감지한 것을 전제로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가 창(230)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보조센서(140)의 센싱과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 창(230)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요청하여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부터 창(23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조센서(140)에 기 설정 사항이 센싱된 이후에 수신된 창(230)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창문(200)의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하여 제2 내지 제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생략하였으나, 제2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일 예와 같은 상황에서 창문(200)의 개방 영역이 축소될 때 개방된 창문(200)을 통해 물건이나 사람의 신체 일부가 차량 내부와 차량 외부에 걸쳐 위치하는 경우, 이를 적외선 센서(110)에 의해 감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창(230)의 이동을 변경함으로써, 창문(200)의 개방 영역 축소에 따른 물건의 파손이나 신체 일부에 피해를 주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의 제어부(101)는 센싱부들의 센싱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들은 전술한 적외선 센서(110), 레인 센서(130), 스위치(170), 창 위치 감지센서(190), 무게감지센서(120), 보조 센서(140)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센싱정보는 적외선 센서(110)에 의한 대상물 감지 정보, 레인 센서(130)에 의한 강우량 감지 정보, 스위치(170)의 창 이동 명령 센싱 정보, 창 위치 감지센서(190)에 의한 창 위치 감지 정보, 무게감지센서(120)에 의한 무게 감지 정보, 보조 센서(140)에 의한 차량 위치나 차량 전방의 조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센싱정보가 복수의 서로 다른 성격의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센싱부들을 구성하는 센서들의 센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부(101)로 센싱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는 창 위치 감지 요청 신호를 창 위치 감지센서(190)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는 이에 대응하여 창(230)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1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싱정보에 적외선 센서(110)에 의한 대상물 감지 정보, 레인 센서(130)에 의한 강우량 감지 정보, 스위치(170)에 의한 창 이동 명령 센싱 정보, 무게감지센서(120)에 의한 무게 감지 정보, 보조 센서(140)에 의한 차량 위치나 차량 전방의 조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창 위치 감지센서(190)에 의한 창 위치 감지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110)에 의한 대상물 감지 정보, 레인 센서(130)에 의한 강우량 감지 정보, 무게감지센서(120)에 의한 무게 감지 정보, 보조 센서(140)에 의한 차량 위치나 차량 전방의 조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101)가 수신한 이후 창 위치 감지센서(190)에 의한 창 위치 감지 정보를 상기 제어부(101)가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1)가 별도의 창 위치 감지 요청 신호를 창 위치 감지센서(190)로 전송할 필요 없이, 상기 센싱정보에 포함된 창 위치 센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모터(150)의 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인 센서(130)에 의해 빗물이 감지되고, 창 위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창(230)이 기준 위치(여기서의 기준 위치는 입력부를 통해 설정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창의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모터(150)에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모터(150)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창(230)이 기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보조 센서(140)에 의해 센싱 정보와, 창 위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창(230)이 기준 위치(여기서의 기준 위치는 입력부를 통해 설정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창의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모터(150)에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모터(150)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창(230)이 기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위치(147)에 의해 창 이동 명령 센싱 정보와, 창 위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창(230)이 기준 위치(여기서의 기준 위치는 창문이 완전히 닫힌 경우 또는 창문이 완전히 개방된 경우)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제어부(101)는 모터(150)에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모터(150)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창(230)이 기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는 적외선 센서(110)로 적외선 센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110)는 적외선 센싱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대상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110)가 창(230)의 이동 중에 대상물을 감지하면, 대상물 감지 정보를 제어부(101)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101)는 모터(150)에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모터(150)는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창(230)의 이동을 중지 시키거나, 창문(200)의 개방 영역이 확장되도록 상기 창(23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스위치(170)에 의하여 창문 개방 명령이 센싱된 경우, 해당 센싱 정보는 제어부(101)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101)는 무게감지센서(120)로 무게 감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무게감지센서(120)는 상기 무게 감지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좌석 상의 대상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감지된 무게 정보를 상기 제어부(10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는 무게감지센서(120)에 센싱된 좌석 상의 대상물의 무게가 초기 무게 설정치(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치)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위치(170)를 통해 수신된 창문 개방 명령에 대응하여 제1 제어 신호를 모터(15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모터(150)가 창(230)을 이동시켜 창문(200)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는 적외선 센서(110)로 적외선 센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110)는 적외선 센싱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대상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110)가 창(230)의 이동 중에 대상물을 감지하면, 대상물 감지 정보를 제어부(101)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101)는 모터(150)에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모터(150)는 상기 제2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창(230)의 이동을 중지 시키거나, 창문(200)의 개방 영역이 확장되도록 상기 창(2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01)는 무게감지센서(120)에 센싱된 좌석 상의 대상물의 무게가 초기 무게 설정치(입력부를 통해 입력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치)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170)를 통해 수신된 창문 개방 명령을 무시하여 제어부(101)는 모터(150)를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의 구동방법은 레인센서(130)에 의해 빗물을 감지하는 제1 단계, 창 위치 감지 센서(190)가 창문 틀(210) 상에서의 창(2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단계 및 제어부(101)가 상기 창(230)이 기준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상기 창(23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50)를 제어하여 상기 창(230)이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을 이동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의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101)가, 차량에 배치된, 구체적으로 상기 창문 틀(210)에 배치된 적외선 센서(110)로부터 적외선 센싱을 요청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적외선 센싱에 따라 대상물이 센싱되면 상기 모터(150)의 구동을 중단하거나 상기 창문(200)의 개방 영역이 증가하도록 상기 모터(150)를 제어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의 구동방법은 스위치(170)가 상기 창문(200)의 개방 영역의 축소를 위한 창의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제1 단계, 창 위치 감지 센서(190)가 창문 틀(210) 상에서의 창(2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단계 및 제어부(101)가 상기 창(230)이 기준 위치(창문(200)이 완전히 닫혀 있을 때의 창의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상기 창문(200)이 완전히 닫혀있지 않은 경우), 상기 창(23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50)를 제어하여 상기 창(230)이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을 이동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의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101)가, 차량에 배치된, 구체적으로 상기 창문 틀(210)에 배치된 적외선 센서(110)로부터 적외선 센싱을 요청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적외선 센싱에 따라 대상물이 센싱되면 상기 모터(150)의 구동을 중단하거나 상기 창문(200)의 개방 영역이 증가하도록 상기 모터(150)를 제어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의 구동방법은 제어부(101)가 센서부로부터 빗물, 창문의 창의 이동 명령에 대한 센싱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창(23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창(23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창(23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50)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센서부로 적외선 센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101)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적외선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적외선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150)를 제어하는 단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의 구동방법의 상기 센서부는 상기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센서(130), 창 위치 감지 센서(190) 및 적외선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레인센서(130)로부터 빗물이 감지되고,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부터 상기 창(23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창(230)이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상기 모터(150)를 제어하여 상기 창(230)이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의 구동방법의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창문(200)의 개방 영역이 축소되는 중 상기 적외선 센서(110)로부터 대상물이 센싱되면, 상기 모터(150)의 구동을 중단하거나 상기 창문(200)의 개방 영역이 증가하도록 상기 모터(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의 구동방법의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좌석에 배치되어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120) 및 상기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스위치(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스위치(170)가 창(230)의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무게감지센서(120)로부터 감지되는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150)의 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의 구동방법의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보조 센서(140)인 GPS 센서 및 적외선 센서(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GPS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23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창(230)이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상기 모터(150)를 제어하여 상기 창(230)이 상기 기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의 구동방법의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전방의 조도을 센싱하는 보조 센서(140)인 전방 조도 센서 및 적외선 센서(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전방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190)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23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창(230)이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상기 모터(150)를 제어하여 상기 창(230)이 상기 기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는 빗물 감지에 따라 차량의 창문(200)의 개방 영역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운행 중 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른 차량의 창문(200) 개폐와 개방 영역의 증감 상태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70)의 조작에 기인한 사용자의 명령이나, 레인센서(130)로부터 감지되는 강우량에 따른 창(230)의 자동 제어 시, 개방된 창문(200)을 통해 물건이나 사람의 신체 일부가 차량 내부와 차량 외부에 걸쳐 위치하는 경우, 이를 적외선 센서(110)에 의해 감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창(230)의 이동을 변경함으로써, 창문(200)의 개방 영역 축소에 따른 물건의 파손이나 신체 일부에 피해를 주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100)는 좌석에 위치한 승객이 유아나 동물인 경우, 해당 승객의 무게를 초기 무게로 설정하여 저장부(103)에 저장하고, 해당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무게감지센서(120)로부터 감지되는 승객의 무게와 저장부(103)에 저장된 초기 무게의 비교를 통해 해당 승객이 차량에 탑승한 것으로 인지하면, 차량 운행 중 해당 승객의 스위치(170)의 조작에 따른 창문(200) 개방으로 승객의 차량 밖으로의 이탈이나 몸의 일부가 위험 수준으로 차량 외부로 노출되어 위험한 상황에 처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널 내부와 같이 공기 순환이 상대적으로 원활하지 못한 환경에서 차량의 창문(200)의 개방 정도를 자동으로 달리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창문(200)의 개방 정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차량 운행의 편의와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101 제어부
103 저장부
110 적외선 센서
120 무게감지센서
130 레인센서
140 보조센서
170 스위치
190 창 위치 감지 센서
200 창문
210 창문 틀
230 창, 윈도우

Claims (18)

  1. 차량에 배치되어 창문 상의 대상물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센서;
    창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창문의 개방 영역을 축소하고, 상기 창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창문을 개방 영역을 확장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의 상기 창의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스위치;
    상기 창문 상에서의 상기 창의 위치를 감지하는 창 위치 감지 센서;
    상기 스위치로 센싱되는 이동 명령, 상기 적외선과 상기 레인 센서의 센싱 정보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인센서를 통해 빗물을 감지하면,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창이 기준위치로부터 벗어난 경우,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창이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창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창문의 개방 영역이 축소되는 중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상기 대상물이 센싱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단하거나 상기 창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창문의 개방영역이 증가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창을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위치를 저장한 저장부 및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 위치를 참조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차량의 좌석에 배치되어 좌석에 위치한 승객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상기 창문의 개방 영역의 확장을 위한 창의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무게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창의 이동을 위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의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차량의 전방의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창의 이동을 위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어부가 센서부로부터 빗물 또는 창문의 창의 이동 명령에 대한 센싱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창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창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창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로 적외선 센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적외선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센서, 창 위치 감지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인센서로부터 빗물이 감지되고,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창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창이 기준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창이 상기 기준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창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창문의 개방 영역이 축소되는 중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대상물이 센싱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단하거나 상기 창문의 개방 영역이 증가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차량의 좌석에 배치되어 좌석에 위치한 승객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가 상기 창문의 개방 영역의 확장을 위한 창의 이동 명령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무게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창의 이동을 위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의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차량의 전방의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창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창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창의 이동을 위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60006242A 2016-01-19 2016-01-19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KR101759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242A KR101759192B1 (ko) 2016-01-19 2016-01-19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242A KR101759192B1 (ko) 2016-01-19 2016-01-19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192B1 true KR101759192B1 (ko) 2017-07-18

Family

ID=5943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242A KR101759192B1 (ko) 2016-01-19 2016-01-19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1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719A (ko) 2017-10-24 2019-05-0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윈도우 이단 스위치 모듈
CN111894385A (zh) * 2020-07-01 2020-11-06 广州橙行智动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智能通风方法、装置及车辆
CN112706717A (zh) * 2021-01-05 2021-04-27 南昌航空大学 一体化车窗安全系统
CN115059372A (zh) * 2022-07-29 2022-09-1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车窗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5306253A (zh) * 2022-07-22 2022-11-08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车门开启避让方法、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3408B2 (ja) 1998-04-03 2005-08-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装置
JP2007186915A (ja) 2006-01-13 2007-07-26 Tokai Rika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KR101501953B1 (ko) * 2013-10-21 2015-03-12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차량 윈도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3408B2 (ja) 1998-04-03 2005-08-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パワーウィンドウ制御装置
JP2007186915A (ja) 2006-01-13 2007-07-26 Tokai Rika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KR101501953B1 (ko) * 2013-10-21 2015-03-12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차량 윈도우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719A (ko) 2017-10-24 2019-05-0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윈도우 이단 스위치 모듈
CN111894385A (zh) * 2020-07-01 2020-11-06 广州橙行智动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智能通风方法、装置及车辆
CN112706717A (zh) * 2021-01-05 2021-04-27 南昌航空大学 一体化车窗安全系统
CN115306253A (zh) * 2022-07-22 2022-11-08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车门开启避让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5059372A (zh) * 2022-07-29 2022-09-1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车窗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192B1 (ko) 능동형 차량 윈도우 안전장치
KR101453250B1 (ko) 자동 조종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
CN104827989B (zh) 离开后的车辆关闭
US8903567B2 (en) Vehicle remote operating system and in-vehicle device
ES2633843T3 (es) Procedimiento de control para un elevalunas eléctrico
JP5408344B2 (ja) 駐車支援装置
KR101601302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언폴딩 제어 장치 및 방법
US8326498B2 (en) Vehicle anti-pinch control having variable threshold and method
US202002415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unwanted dismissal of autonomous vehicle
KR101836805B1 (ko) 차량용 오토 테일 게이트 장치
CN109131320A (zh) 机动车的基于轨迹的引导
KR20220113957A (ko) 무승객 및 무운전자 차량 동작 모드들
CN207260835U (zh) 一种车窗升降控制系统
US11021904B2 (en) Vehicle door window position control system
CN106515619A (zh) 一键式车辆安全系统
US1138563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afety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safety system
US11007853B2 (en) Vehicle window opacity
JP6464390B2 (ja) 自動車
JP2006219008A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装置
KR10243017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160059805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Enclosing An Open Vehicle
JP2005226323A (ja) 無線タグによる車庫扉の開閉装置
KR20160051241A (ko)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290115A (ja) 車両用ドアガラス制御装置
EP3887255A1 (en) Method for automated handling a passenger boarding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