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241A -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241A
KR20160051241A KR1020140150846A KR20140150846A KR20160051241A KR 20160051241 A KR20160051241 A KR 20160051241A KR 1020140150846 A KR1020140150846 A KR 1020140150846A KR 20140150846 A KR20140150846 A KR 20140150846A KR 20160051241 A KR20160051241 A KR 20160051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window
control unit
sta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4015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1241A/ko
Publication of KR20160051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9Attention level, e.g. attentive to driving, reading or sl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윈도우, 그리고 도어 스위치와 이그니션 스위치 등과 같은 조작장치군과 차량의 속도를 판별하는 차속 센서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조작장치군과 차속 센서의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상태 제어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타이머와,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변화가 없으면 상기 윈도우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 그리고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와 연결되고, 경고알람을 발신하는 단말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 수면 중인 운전자가 질식으로 사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로 인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PREVENTIVE SYSTEM OF SLEEPING I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차량 내에서 수면 시, 일정 시간 경과 후, 차량 윈도우를 개방하고, 기설정된 연락처에 경고알람을 발신하여 운전자의 질식으로 인한 사망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세계에는 세단형, 해치백형, 쿠페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차량이 존재하고 있으며, 통상 세단형태의 차량은 4개의 탑승자용 도어를 가지고 해치백형은 4개의 탑승자용과 1개의 리어도어가 포함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리고 쿠페형은 2개의 탑승자용 도어와 1개의 리어도어가 포함되어 있는데, 전술한 각 형태의 차량들의 탑승자용 도어는 유리로 이루어진 윈도우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윈도우는 수동 혹은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자동차 기술이 발전하면서 도어의 윈도우는 일명 '파워 윈도우'라 일컬어지는 자동식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파워윈도우는 모터의 힘에 의하여 윈도우를 개폐시킬 수 있고, 파워윈도우는 통상 도어의 팔걸이 부분에 윈도우 개폐스위치를 구비하며 탑승자는 그 개폐스위치를 조작함으로서 윈도우를 개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윈도우가 모두 닫혀있는 경우에, 장거리의 운행으로 오는 피곤함으로 주, 정차 중 잠을 자거나, 주차 시, 어린아이와 같은 활동능력이 없는 사람을 두고 내리는 경우가 있다.
이때, 운전자가 의식적으로 창문을 열어 놓지 않으면, 차량 내에서 수면 중이거나 활동능력이 없는 사람은, 특히 차량 실내의 온도가 급상승되는 혹서기에 밀폐된 차량 내에서 산소부족으로 질식사 하게 되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수면 중이거나 활동능력이 없는 사람에 경우, 차량 도어 또는 윈도우를 개폐하기 어렵고, 주변인에게 위험성을 알리기 힘든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하기의 선행문헌은 운전자가 차량 내에서 수면 시, 알람기능이 구비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깨울 수 있는 자동차용 알람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1005호(2000.02.23.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정 시간 경과 후, 차량 윈도우 개방하고 경고알람을 발신하여, 차량 내에서 수면 중인 운전자가 질식으로 사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제어방법은
운전자의 차량 탑승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차량상태 제어부가 도어 스위치와 이그니션 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 후, 차속 센서가 차량의 속도를 판별하는 제 2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과정에서, 차량이 주, 정차 시, 도어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판별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에서, 상기 도어 스위치가 오프 시,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가 윈도우의 개폐 상태를 판별하는 제 4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4 과정에서, 상기 윈도우가 차폐된 상태 시, 타이머가 작동되는 제 5 과정과, 상기 제 5 과정에서, 설정된 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별하는 제 6 과정, 그리고 상기 제 6 과정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 시, 모터 구동부가 작동되는 제 7 과정과, 상기 제 6 과정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 시, 단말기에 설정된 연락처에 경고알람을 발신하는 제 8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8 과정은, 상기 단말기에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로부터 발신된 신호가 수신되는 제 8-1 과정과, 알람발신 어플리케이션이 작동되는 제 8-2 과정,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연락처에 경고알람이 발신되는 제 8-3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은
윈도우, 그리고 도어 스위치와 이그니션 스위치 등과 같은 조작장치군과 차량의 속도를 판별하는 차속 센서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조작장치군과 차속 센서의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상태 제어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타이머와,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변화가 없으면 상기 윈도우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 그리고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와 연결되고, 경고알람을 발신하는 단말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무선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기설정된 연락처에 경고알람을 발신하는 알람발신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은
차량 내에서 수면 중인 운전자가 질식으로 사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로 인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차량상태 정보가 무선으로 단말기에 전송됨으로써, 정보전달의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제어방법에서 운전자 탑승여부 판단과정을 구체화한 플로우 차트.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제어방법의 플로우 차트.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제어방법에서 단말기의 경고알람발신과정을 구체화한 플로우 차트.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과 단말기의 연결을 도시화한 플로우 차트.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 은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제어방법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로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차량 탑승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차량상태 제어부(100)가 도어 스위치(510)와 이그니션 스위치(520)의 상태를 확인한다.(S100)
즉, 운전자가 차량 도어를 개방하여 탑승 후(S110), 이그니션 스위치(520)를 작동시킴으로써(S120), 차량의 시동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되며, 차량의 시동여부를 판별한 후,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시동 상태이면, 차속 센서(600)가 차량의 속도를 판별한다.(S200)
이때 차량이 주, 정차하게 되면 차량상태 제어부(100)가 도어 스위치(510)의 작동 상태를 판별하는데(S300), 이는 운전자가 차량을 정지시킨 후 차량 외부로 이동했는지를 판별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도어 스위치(510)가 오프 상태이면, 차량상태 제어부(100)가 차량 윈도우(400)가 차폐됐는지를 판별한다.(S400)
여기서, 상기 도어 스위치(510)가 오프 상태라 함은, 차량 도어가 닫혀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윈도우(400)가 차폐된 상태 시, 타이머(200)가 작동되고(S500),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됐는지를 판별하게 되며(S600),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상태이면, 차속 센서(600)가 차량의 속도를 판별하는 과정(S200)으로 회귀된다.
이후에, 전술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 정차 상태(S200), 그리고 도어 스위치(510)의 작동 상태(S300)와 윈도우(400)의 개폐 상태(S400)를 판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상태이면 타이머(200)의 카운트 값을 초기화 한 후,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S510)
만약 상기 타이머(210)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될 시, 모터 구동부(300)가 작동되어 윈도우(400)가 일정량 개방되고(S700), 단말기(700)에 설정된 연락처에 경고알람을 발신하게 된다.(S800)
여기서, 상기 윈도우(400)의 개방되는 범위는 우천 시 또는 외부로부터 발생된 불특정 외력에 대한 피해에 대비하기 위하여, 5Cm 내외가 바람직하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700)에 설정된 연락처에 경고알람을 발신하는 과정은, 단말기(700)에 차량상태 제어부(100)로부터 발신된 신호가 수신되고, 알람발신 어플리케이션(710)이 작동되는 과정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알람발신 어플리케이션(710)이 작동된 후, 어플리케이션(710)에 기설정된 연락처에 경고알람이 발신되거나, 단말기(700) 자체에 경고알람이 울리게 된다.
따라서 신속하게 주변 지인에게 운전자의 질식위험을 알릴 수 있거나, 수면 중인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부여함으로써, 차량 내에서 수면 중인 운전자가 질식으로 사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로 인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윈도우(400), 그리고 도어 스위치(510)와 이그니션 스위치(520) 등과 같은 조작장치군(500)과 차량의 속도를 판별하는 차속 센서(600)가 구비된 차량에서, 상기 윈도우(400), 조작장치군(500)과 차속 센서(600)의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상태 제어부(100)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장치군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량의 기어, 브레이크, 공조장치 스위치 등과 같이 차량의 상태와 관련된 여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타이머(200)와,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변화가 없으면 상기 윈도우(400)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300), 그리고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100)와 연결되고, 경고알람을 발신하는 단말기(700)가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타이머(200)는 차량상태 제어부(100)에 전달되는 차속 센서(600), 도어 스위치(510), 윈도우(400) 개폐 상태 정보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지연시킨다.
그 후, 인가되는 신호의 변화가 없으면 차량상태 제어부(100)에서, 윈도우(400)가 일정량만큼 개방되도록 모터구동부(300)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동안 차량상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차속센서(600), 도어 스위치(510), 윈도우(400) 개폐 상태 정보의 변화가 있으면, 카운트가 초기화된다.
상기 운전자의 단말기(700)와 차량상태 제어부(100)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에 의하여, 양방향 연동되도록 무선 연결되는 V2N(Vehicle-to-Nomadic devices) 방식이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방식을 통하여 차량상태 제어부(100)에서 조작장치군(500)과 윈도우(400), 차속 센서(6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판별하여, 알람발신 기능이 프로그래밍된 어플리케이션(710)이 설치된 단말기(700)에 알람발신 명령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신속하게 주변 지인에게 운전자의 질식위험을 알릴 수 있거나, 수면 중인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부여함으로써, 차량 내에서 수면 중인 운전자가 질식으로 사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로 인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70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패드 등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무선통신장치가 이에 해당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과 단말기의 연결을 도시화한 플로우 차트로서,
우선, 운전자의 단말기(700)에 알람발신 어플리케이션(710)을 설치하고(S10), 차량상태 제어부(100)로부터 알람발신 명령신호가 전송될 시, 경고 알람이 수신될 연락처를 저장한다.(S20)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710)은 차량상태 제어부(100)로부터 알람발신 명령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운전자 단말기(700) 자체에 경고 알람이 발생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710)에 경고알람이 수신될 연락처를 저장한 후, 단말기(700)와 차량상태 제어부(100)와 양방향 연동될 수 있도록, 무선연결을 해준다.(S30)
이때, 연락처 저장과, 단말기(700)와 차량간 무선연결은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어부 200 : 타이머
300 : 모터 구동부 400 : 윈도우
500 : 조작장치군 510 : 도어 스위치
520 : 이그니션 스위치 600 : 차속 센서
700 : 단말기 710 : 어플리케이션

Claims (5)

  1. 윈도우(400), 도어 스위치(510)와 이그니션 스위치(520), 차속 센서(600), 타이머(200), 차량상태 제어부(100), 모터 구동부(300)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운전자의 차량 탑승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100)가 상기 도어 스위치(510)와 이그니션 스위치(520)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 1 과정(S100);
    상기 제 1 과정(S100) 후, 상기 차속 센서(600)가 차량의 속도를 판별하는 제 2 과정(S200);
    상기 제 2 과정(S200)에서, 차량이 주, 정차 시, 상기 도어 스위치(510)의 작동 상태를 판별하는 제 3 과정(S300);
    상기 제 3 과정(S300)에서, 상기 도어 스위치(510)가 오프 시,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100)가 상기 윈도우(400)의 개폐 상태를 판별하는 제 4 과정(S400);
    상기 제 4 과정(S400)에서, 상기 윈도우(400)가 차폐된 상태 시, 상기 타이머(200)가 작동되는 제 5 과정(S500);
    상기 제 5 과정(S500)에서, 설정된 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별하는 제 6 과정(S600);
    상기 제 6 과정(S600)에서, 설정된 시간 경과 시, 상기 모터 구동부(300)가 작동되어 상기 윈도우가 일정량 개방되는 제 7 과정(S700); 및
    상기 제 6 과정(S600)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 시, 운전자의 단말기(700)에 설정된 연락처에 경고알람을 발신하는 제 8 과정(S800);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과정(S800)은
    상기 단말기(700)에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100)로부터 발신된 신호가 수신되는 제 8-1 과정(S810);
    상기 단말기(700)에 설치된 알람발신 어플리케이션(710)이 작동되는 제 8-2 과정(S820);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710)에 설정된 연락처에 경고알람이 발신되는 제 8-3 과정(S830);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제어방법.
  3. 윈도우(400), 그리고 도어 스위치(510)와 이그니션 스위치(520)가 포함된 조작장치군(500)과 차량의 속도를 판별하는 차속 센서(600)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400), 조작장치군(500)과 차속 센서(600)의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상태 제어부(100);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일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타이머(200);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변화가 없으면, 상기 윈도우(400)를 일정량 개방시키는 모터구동부(300); 및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100)와 연결되고, 경고알람을 발신하는 단말기(700);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700)는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100)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무선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700)에는
    상기 차량상태 제어부(100)의 신호에 의하여, 기설정된 연락처에 경고알람을 발신하는 알람발신 어플리케이션(71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KR1020140150846A 2014-11-03 2014-11-03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1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846A KR20160051241A (ko) 2014-11-03 2014-11-03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846A KR20160051241A (ko) 2014-11-03 2014-11-03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241A true KR20160051241A (ko) 2016-05-11

Family

ID=5602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846A KR20160051241A (ko) 2014-11-03 2014-11-03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12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7414A (zh) * 2017-11-08 2019-05-1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及其控制方法
US11230165B2 (en) 2018-12-10 2022-01-2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y adjusting indoor temperature of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7414A (zh) * 2017-11-08 2019-05-1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及其控制方法
CN109747414B (zh) * 2017-11-08 2023-01-0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及其控制方法
US11230165B2 (en) 2018-12-10 2022-01-2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y adjusting indoor temperature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02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US10217344B2 (en) Noxious gas alert and remediation system
US9469176B2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an unattended occupant in a vehicle and take safety countermeasures
US97978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passive driver impairment detection system in a vehicle
KR20060103222A (ko)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CN104859651A (zh) 一种提高停车开门安全性的危险探测与预防方法
US108157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US20140107870A1 (en) In-vehicle device
US20200247214A1 (en) Vehicle ventilation control system
CN106218571A (zh) 一种防车内窒息装置
CN103587466A (zh) 一种汽车停驶自检装置
CN109281556B (zh) 用于检测封闭件的未闭锁状况的系统及方法
US10961768B2 (en) Power door closing algorithm
KR20160051241A (ko)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2264717U (zh) 智能汽车防中暑监测系统
CN111630490A (zh) 车辆模式和乘客界面
KR20150022030A (ko) 홀 센서를 이용한 파워 트렁크 또는 파워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06934B1 (ko) 승객 하차 보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CN106004441A (zh) 一种在车辆起动时对乘客进行安全保护的方法
CN103514881A (zh) 用于车辆语音通话的方法、控制器、控制系统以及车辆
KR20180126119A (ko)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6938600U (zh) 车辆驾驶时的停车安全装置
KR20110119253A (ko) 차량 내 수면사고 방지시스템
KR20200045592A (ko) 차량 내부 탑승자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CN220465429U (zh) 车内儿童滞留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