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119A -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119A
KR20180126119A KR1020170060508A KR20170060508A KR20180126119A KR 20180126119 A KR20180126119 A KR 20180126119A KR 1020170060508 A KR1020170060508 A KR 1020170060508A KR 20170060508 A KR20170060508 A KR 20170060508A KR 20180126119 A KR20180126119 A KR 20180126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warning
open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근
신규진
Original Assignee
(주)광진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윈텍 filed Critical (주)광진윈텍
Priority to KR1020170060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6119A/ko
Publication of KR2018012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60W2550/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제어부에서 도어의 개방을 위해 도어 인사이드핸들을 터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조작확인단계; 상기 조작확인단계에서 상기 인사이드핸들을 터치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가 언록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언록확인단계; 및 상기 언록확인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언록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가 경고수단을 제어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OR OPEN WARN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탑승 후 하차하기 위하여 차량의 정차 또는 주차 후 도어의 개방 시 미처 인지하지 못한 차량 주변의 물체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서 필요에 따라 탑승자가 일시적으로 또는 완전히 하차를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때, 탑승자나 운전자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다른 차량이나 오토바이 또는 사람 등의 다른 물체가 있는지를 확인하며 하차를 시도해야 한다. 그러나 사이드미러를 확인하더라도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바, 완벽하게 주변을 확인하지 못하고 하차하는 경우가 발생되거나, 급한 마음에 차량 주변을 확인하지 않고 하차하여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러한 상황은 탑승자나 운전자가 미처 확인하지 못한 물체가 접근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차량의 외부에서는 도어가 열린다는 것을 미리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야간일 때 더 두드러지게 되며, 더 큰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나 운전자에게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가 없어 안전한 상태에서 하차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차량의 주변에 있는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는 차량의 도어가 곧 개방되니 주의하라는 것을 미리 알려주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5-0018418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탑승자의 하차 시 탑승자는 안전하게 하차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차량의 주변에 있는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는 차량의 도어가 곧 개방되니 주의하라는 것을 미리 알려주어 도어의 개방으로 인한 타 물체와의 충돌에 따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어부에서 도어의 개방을 위해 도어 인사이드핸들을 터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조작확인단계; 상기 조작확인단계에서 상기 인사이드핸들을 터치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가 언록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언록확인단계; 및 상기 언록확인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언록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가 경고수단을 제어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확인단계의 수행 전에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이 감지되었으면 시스템을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가 차량 각부의 검출수단들로부터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수집단계에서는 시트의 착좌센서를 통해 탑승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보수집단계에서는 변속단감지센서, 차속센서 및 브레이크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정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의 개방 가능성을 판단하는 가능성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능성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확인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언록확인단계 이후에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접근감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근감지단계에서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가 감지되면, 탑승자에게 경고하는 알림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알림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인사이드핸들에 진동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접근감지단계에서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경고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고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이 점등되도록 하여 차량의 외부에 상기 도어가 개방될 것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단계의 수행 후 탑승자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시스템을 슬립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은 청구항 1항의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에 있어서, 인사이드핸들에 터치를 감지하는 검출수단이 구비된 차량의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도어의 개방과 차량에 근접하는 물체의 유무를 경고하는 경고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탑승자의 하차를 위한 도어의 개방 시 탑승자는 안전하게 하차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차량의 주변에 있는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는 차량의 도어가 곧 개방되니 주의하라는 것을 미리 알려주어 도어의 개방으로 인한 타 물체와의 충돌에 따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어부(100)에서 도어(200)의 개방을 위해 도어 인사이드핸들(210)을 터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조작확인단계(S500); 상기 조작확인단계(S500)에서 상기 인사이드핸들(210)을 터치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200)가 언록(Un-Lock)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언록확인단계(S600); 및 상기 언록확인단계(S600)에서 상기 도어(200)가 언록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00)가 경고수단(900)을 제어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단계(S900);를 포함한다.
도 1을 통해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전원(배터리, 미도시)와 상시 연결되어 감시하는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시동여부와는 관계없이 차량의 도어(200)의 개방 여부를 상시 감시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시스템을 초기화한다.
상기 제어부(100)에서는 상기 제어부(100)에 기입력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시스템을 슬립(Sleep)상태로 전환하고 도어(200)가 개방되었는지를 소정의 시간 단위로 감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에 기입력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상기 차량의 도어(200)가 개방되었는지를 확인(S100)한다. 이때, 차량에 도어(200)가 개방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어부(100)에 기입력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다시 확인하고, 슬립(Sleep)상태로 전환되어 전원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소정의 시간 단위 마다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시하는 것이다.
차량의 주행을 위하여는 운전자가 혼자 탑승하거나 운전자 이외에 또 다른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나 탑승자(이하 탑승자로 통일)는 반드시 1회 이상 도어(200)를 개방하고 시트(300)에 착좌하게 된다. 이때, 착좌센서(310) 또는 SBR모듈(Seat Belt Reminder Module, 320)은 탑승자의 존재여부를 감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에서는 상기 조작확인단계(S500)의 수행 전에 상기 도어(200)가 개방되었는지를 확인(S100)하고, 상기 도어(200)가 개방된 것이 감지되었으면 시스템을 웨이크업(Wake Up)하는 웨이크업단계(S200);를 수행한다.
상기 웨이크업단계(S200)에서는 상기 제어부(100)에 이전 주행에 의한 데이터가 남아있을 수도 있으므로, 그런 잔여 데이터에 의해 시스템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리셋(Reset)하는 리셋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웨이크업단계(S200)의 수행 후에는 상기 제어부(100)가 차량 각부의 검출수단들로부터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단계(S300)를 수행한다. 상기 정보수집단계(S300)에서는 시트(300)의 착좌센서(310) 또는 SBR(320) 등의 검출수단을 통해 탑승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웨이크업단계(S200)에서 상기 도어(200)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시스템은 계속 슬립상태에서 상기 도어(200)가 개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00)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정보수집단계(S300)에서는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되, 차량에서 탑승자가 하차를 하기 위하여는 차량이 정차 또는 주차된 상태이어야 하므로, 차량이 현재 주차 또는 정차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한다. 따라서, 차량의 변속기(600)의 변속단이 N단 또는 P단인지를 변속단감지센서(610)를 통해 확인한다. 물론, N단에서는 차량의 도어(200)가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P단일 때에만 도어(200)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휠(700)에 설치된 차속센서(710)를 통해 차속을 검출하여 차량이 정지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차량의 브레이크페달(800)에 설치된 브레이크센서(810)를 통해 탑승자가 상기 브레이크페달(800)을 조작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변속단감지센서(610), 차속센서(710) 및 브레이크센서(810) 중 하나 이상의 검출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정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이 정차 또는 주차 중인 것이 확인되면, 상기 도어(200)의 개방 가능성을 판단하는 가능성판단단계(S400)를 수행한다.
상기 가능성판단단계(S400)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차량이 완전히 정차 또는 주차 중이라고 확인되면, 상기 도어(200)가 개방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조작확인단계(S500)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가능성판단단계(S400)에서 상기 제어부(100)가 차량이 완전히 정차 또는 주차 중이 아니라고 확인되면, 상기 도어(200)가 개방 가능하지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정보수집단계(S300)를 반복해서 수행한다.
상기 가능성판단단계(S400)에서 상기 도어(200)가 개방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에서는 탑승자가 상기 도어(200)의 개방을 위해 도어 인사이드핸들(210)을 터치하였는지를 터치센서(230)를 통해 확인하는 조작확인단계(S500)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인사이드핸들(210)이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탑승자가 상기 도어(200)의 개방을 시도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정보수집단계(S300)를 반복해서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조작확인단계(S500)에서 상기 인사이드핸들(210)을 터치한 것이 감지되면, 록/언록센서(250)를 통하여 상기 도어(200)가 언록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언록확인단계(S600)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언록확인단계(S600)에서 상기 도어(200)가 록(Lock)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정보수집단계(S300)를 반복해서 수행한다. 반대로, 상기 언록확인단계(S600)에서 상기 도어(200)가 언록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접근감지단계(S700)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접근감지단계(S700)에서 카메라(400)나 근접센서(500), 레이다센서(미도시), 초음파센서(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에서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내부에 있는 탑승자에게 경고수단(900)을 통해 차량의 내부에 경고하는 알림단계(S800)를 수행한다. 상기 알림단계(S800)에서는 상기 제어부(100)가 액추에이터(910)를 제어하여 상기 인사이드핸들(210)에 진동을 부여하거나, 소리나 빛 또는 인스트루먼트패널(980)이나 AVN시스템(970)을 이용하여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가 있어 위험하니 상기 도어(200)를 개방하지 않도록 하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림을 하는데도 탑승자가 강제로 상기 도어(200)를 개방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도어(200)의 힌지(990)나 고스트 도어 시스템(Ghost Door System) 등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200)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강제로 록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이미 상기 도어(200)가 어느 정도 개방된 상황이라면 더 이상 개방되지 못하도록 상기 도어(2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언록확인단계(S600)에서 상기 도어(200)가 언록상태인 것으로 확인되거나 또는 상기 접근감지단계(S700)에서 차량의 외부에서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00)가 경고수단(900)을 제어하여 차량의 내외부에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단계(S900)를 수행한다. 상기 경고단계(S900)에서는 상기한 접근감지단계(S700)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200)가 개방될 것이라는 것을 차량의 외부에 알린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도어(200)의 아웃사이드핸들(930)이 점등되도록 할 수도 있고, 브레이크등(950)에 특정한 표시를 점등할 수도 있으며, 소리나 별도의 빛을 통해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에게도 다른 탑승자가 상기 도어(200)를 개방한다는 사실을 인스트루먼트패널(980)이나 AVN시스템(970)을 이용하여 경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고단계(S900)의 수행 후에는 상기 제어부(100)는 탑승자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어부(100)에 기입력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시스템을 슬립상태로 전화시키거나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에는 탑승자의 하차 후 재탑승이 확인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써, 상기 도어(200)의 개방여부 또는 상기 시트(300)의 착좌센서(310) 또는 SBR(320) 등의 검출수단 등을 통해 탑승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탑승자가 없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은 청구항 1항의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에 있어서, 인사이드핸들(210)에 터치를 감지하는 검출수단이 구비된 차량의 도어(200); 상기 도어(200)의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910); 상기 도어(200)의 개방 시 상기 도어(200)의 개방과 차량에 근접하는 물체의 유무를 경고하는 경고수단(900); 및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액추에이터(910)를 제어하며, 상기 경고수단(900)을 작동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각 센서들과 CAN 통신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변수 및 레지스터를 설정, 통신을 설정하며(보 레이트; baud rate 등) 메시지 버퍼 및 통신 데이터 분류 체계 구조 선언하고, 타이머 / 인터럽스 서비스 루틴 선언하여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탑승자의 하차를 위한 도어의 개방 시 탑승자는 안전하게 하차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차량의 주변에 있는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는 차량의 도어가 곧 개방되니 주의하라는 것을 미리 알려주어 도어의 개방으로 인한 타 물체와의 충돌에 따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제어부 200 : 도어
210 : 인사이드핸들 230 : 터치센서
250 : 록/언록센서 300 : 시트
310 : 착좌센서 320 : SBR
400 : 카메라 500 : 근접센서
600 : 변속기 610 : 변속단감지센서
00 : 휠 710 : 차속센서
800 : 브레이크페달 810 : 브레이크센서
900 : 경고수단 910 : 액추에이터
930 : 아웃사이드핸들 950 : 브레이크등
970 : AVN시스템 980 : 인스트루먼트패널
990 : 힌지
S100 : 도어개방감지단계
S200 : 웨이크업단계
S300 : 정보수집단계
S400 : 가능성판단단계
S500 : 조작확인단계
S600 : 언록확인단계
S700 : 접근감지단계
S800 : 알림단계
S900 : 경고단계

Claims (13)

  1. 제어부에서 도어의 개방을 위해 도어 인사이드핸들을 터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조작확인단계;
    상기 조작확인단계에서 상기 인사이드핸들을 터치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가 언록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언록확인단계; 및
    상기 언록확인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언록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가 경고수단을 제어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단계;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확인단계의 수행 전에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이 감지되었으면 시스템을 웨이크업하는 웨이크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가 차량 각부의 검출수단들로부터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단계에서는 시트의 착좌센서를 통해 탑승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단계에서는 변속단감지센서, 차속센서 및 브레이크센서 중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정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도어의 개방 가능성을 판단하는 가능성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능성판단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조작확인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언록확인단계 이후에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접근감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근감지단계에서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가 감지되면, 탑승자에게 경고하는 알림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알림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인사이드핸들에 진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근감지단계에서는 차량으로 접근하는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경고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고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이 점등되도록 하여 차량의 외부에 상기 도어가 개방될 것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단계의 수행 후 탑승자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시스템을 슬립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1항의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에 있어서,
    인사이드핸들에 터치를 감지하는 검출수단이 구비된 차량의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도어의 개방과 차량에 근접하는 물체의 유무를 경고하는 경고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경고수단을 작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KR1020170060508A 2017-05-16 2017-05-16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26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508A KR20180126119A (ko) 2017-05-16 2017-05-16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508A KR20180126119A (ko) 2017-05-16 2017-05-16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119A true KR20180126119A (ko) 2018-11-27

Family

ID=6460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508A KR20180126119A (ko) 2017-05-16 2017-05-16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61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997B1 (ko) * 2019-01-24 2019-06-11 황주원 침입감지 장치
CN110145198A (zh) * 2019-04-22 2019-08-20 浙江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适用于机动车辆的安全开门系统及其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997B1 (ko) * 2019-01-24 2019-06-11 황주원 침입감지 장치
CN110145198A (zh) * 2019-04-22 2019-08-20 浙江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适用于机动车辆的安全开门系统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69377B (zh) 下车辅助装置
EP2439715B1 (en) Method of monitoring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KR100766188B1 (ko)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CN108116366B (zh) 用于提供至少一个车门的无需用手操作的系统和方法
CN103707833B (zh) 车辆周界探测系统
KR100849692B1 (ko) 원격조작제어장치 및 원격조작제어방법
US20190211587A1 (en)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door from opening into traffic
US8237544B2 (en) Automatic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439632B2 (en) Vehicle door control system
JP5482700B2 (ja) 車両用ドア開閉制御装置
JP2005062911A (ja) 車両制御装置
JP2010064510A (ja) 車両用ランプ装置
KR20180126119A (ko)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GB2512313A (en) A system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 vehicle by speech
KR20200053851A (ko) 통학차량의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
KR20180136170A (ko) 자동차 상태를 전달하는 시트
KR20150022030A (ko) 홀 센서를 이용한 파워 트렁크 또는 파워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CN206785164U (zh) 一种防碰撞车门延时开启系统及配备其的汽车
JP6451390B2 (ja) 動き検出システム
KR100458862B1 (ko)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JP6676084B2 (ja) 車両の乗員監視装置
KR20160051241A (ko) 차량 내 수면으로 인한 운전자 사망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345007B1 (ja) 制御装置
KR20230131336A (ko) 자율 주행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9218165A1 (zh) 软板电容感应式的汽车开门前警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