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862B1 -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862B1
KR100458862B1 KR10-2002-0042402A KR20020042402A KR100458862B1 KR 100458862 B1 KR100458862 B1 KR 100458862B1 KR 20020042402 A KR20020042402 A KR 20020042402A KR 100458862 B1 KR100458862 B1 KR 100458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iver
module
vehicle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8728A (ko
Inventor
오병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2-004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862B1/ko
Publication of KR20040008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43Signal treatments, identification of variables or parameters, parameter estimation or state estimation
    • B60W2050/0044In digital systems
    • B60W2050/0045In digital systems using databus protoc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된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파악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실수나 미확인 행동을 사전에 방지하고, 운전자의 차량 이탈시에 차량 상태의 최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 조치할 수 있도록 한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은 헤드램프를 제어하는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Headlamp Control Module)과, 미등을 제어하는 미등 콘트롤 모듈(Taillamp Control Module)과, 각각의 도어를 제어하는 도어 콘트롤 모듈(Door Control Module)과, 상기 도어 콘트롤 모듈을 제어하는 도어 모듈(Door Module)과, 상기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 및 미등 콘트롤 모듈을 제어하는 ETACS(Electronics Timing and Alarm control System)와, 주차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파킹 자동점검 모듈(Parking Auto Check Module)이 구비된다.

Description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Parking Auto Check System}
본 발명은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Parking Auto Check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된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을 마치고 주차시킨 후 차량에서 벗어날 때, 차량 상태를 나타내 주는 각종 정보를 차량 내부의 클러스터(Cluster)에 표시되는 내용이나 경고음 등을 통해 인지한다. 또한, 차량 밖에서의 차량 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는 차량의 각 부분, 예를 들면 헤드램프, 미등, 윈도우 등을 운전자가 직접 살펴봐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주차할 때 운전자의 미확인으로 인한 도난사고에 의해 여러가지 차량 손실이 발생하는 한편, 미등이나 헤드램프를 끄지 않고 차량에서 이탈하여 배터리 방전에 의한 피해를 겪는 일이 발생한다.
물론, 최근의 고급 대형차에는 램프 오토컷과 같은 보완 설계나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으나, 이는 어느 한 부분만 고려된 설계로 운전자가 차량 전체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여전히 많은 시간과 주의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실수나 미확인 행동을 사전에 방지하고, 차량 이탈시에 차량 상태의 최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 조치할 수 있도록 한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외부의 한 부분에서 차량 정보의 파악 및 제어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다시 차량에 탑승해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은 차량의 헤드램프를 제어하고, 헤드램프의 상태정보를 LIN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좌측 및 우측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과; 차량의 미등을 제어하고, 미등의 상태정보를 LIN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좌측 및 우측 미등 콘트롤 모듈과;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와 뒷쪽 좌측 및 우측 도어를 제어하고, 상기 도어들의 상태정보를 LIN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다 수의 도어 콘트롤 모듈과; 상기 도어 콘트롤 모듈들로부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와 뒷쪽 좌측 및 우측 도어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도어들의 상태정보를 CAN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과; 상기 좌측 및 우측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과 좌측 및 우측 미등 콘트롤 모듈로부터 헤드램프 및 미등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로부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와 뒷쪽 좌측 및 우측 도어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헤드램프, 미등 및 각 도어들을 제어하고, 입력된 헤드램프, 미등, 각 도어들의 상태정보를 CAN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ETACS와; 상기 ETACS와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로부터 차량 주차에 의한 저전류 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헤드램프, 미등 및 각 도어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고, 일정시간 입력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파킹 자동점검 모듈; 및 상기 파킹 자동점검 모듈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일정시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의 도어 콘트롤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1의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의 통신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능별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우측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 15 : 좌측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
20 : 우측 미등 콘트롤 모듈 25 : 좌측 미등 콘트롤 모듈
30 : 운전석 도어 콘트롤 모듈 35 : 뒷쪽 좌측 도어 콘트롤 모듈
40 : 조수석 도어 콘트롤 모듈 45 : 뒷쪽 우측 도어 콘트롤 모듈
50 : ETACS 60 : 운전석 도어 모듈
70 : 조수석 도어 모듈 80 : 파킹 자동점검 모듈
100 : 디스플레이 패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 콘트롤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의 통신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있어서, 헤드램프를 제어하는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Headlamp Control Module)(10)(15)과, 미등을 제어하는 미등 콘트롤 모듈(Taillamp Control Module)(20)(25)과, 각각의 도어를 제어하는 도어 콘트롤 모듈(Door Control Module)(30)(35)(40)(45)과, 상기 각 도어 콘트롤 모듈(30)(35)(40)(45)을 제어하는 도어 모듈(Door Module)(60)(70)과, ETACS(Electronics Timing and Alarm control System)(50)와, 주차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파킹 자동점검 모듈(Parking Auto Check Module)(80)로 구성된다.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을 마치고 주차를 하는 경우에 차량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모듈들은 몇 개의 모듈을 제외하고 차량 키(Key)가 키홀더를 이탈하고 소정 시간 이후부터 슬립모드로 들어간다. 즉, 키를 뺀 상태는 운전자가 운전할 의도가 없다고 판단하여 모든 모듈들은 저전류 모드로 들어간다.
이때, 차량의 각 부분의 모듈들은 차량의 상태정보를 저전류 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차량내 통신망 즉,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및 CAN(Controlled Area Network)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에 송신하고 저전류 모드로 들어간다.
상기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10)(15)은 차량 전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헤드램프를 제어하고, 헤드램프의 온/오프(On/Off) 상태정보를 LIN 통신을 통해 후술되는 ETACS(50)에 출력한다.
상기 미등 콘트롤 모듈(20)(25)은 차량 후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미등을 제어하고, 미등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상기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10)(15)과 마찬가지로 LIN 통신을 통해 ETACS(50)에 출력한다.
상기 도어 콘트롤 모듈에는 차량의 각각의 도어, 즉 운전석 도어, 조수석 도어, 뒷쪽 좌측 도어, 뒷쪽 우측 도어의 록/언록(Lock/Unlock), 개폐(Open/Close), 도어 윈도우 개폐(Window Open/Close) 등의 상태정보를 LIN 통신을 통해 후술되는 도어 모듈(Door Module)(60)(70)에 출력하는 운전석 도어 콘트롤 모듈(30)과, 조수석 도어 콘트롤 모듈(40)과, 뒷쪽 좌측 도어 콘트롤 모듈(35)과, 뒷쪽 우측 도어 콘트롤 모듈(45)이 구비된다.
상기 운전석 도어 콘트롤 모듈(30)과 뒷쪽 좌측 도어 콘트롤 모듈(35)은 해당 도어의 상태정보를 LIN 통신을 통해 후술되는 운전석 도어 모듈(Driver Door Module; DDM)(60)에 출력하고, 상기 조수석 도어 콘트롤 모듈(40)과 뒷쪽 우측 도어 콘트롤 모듈(45)은 해당 도어의 상태정보를 LIN 통신을 통해 후술되는 조수석 도어 모듈(Assistant Door Module; ADM)(7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도어 콘트롤 모듈(30)(35)(40)(4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록/언록(Lock/Unlock) 상태데이타를 제어하는 도어 록/언록 콘트롤 모듈(91)과, 도어의 개폐(Open/Close) 상태데이터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 콘트롤모듈(92)과, 도어 윈도우(Window) 개폐 상태데이터를 제어하는 도어 윈도우 개폐 콘트롤 모듈(93)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 모듈은 앞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운전석 도어 및 뒷쪽 좌측 도어 콘트롤 모듈(30)(35)을 제어하는 운전석 도어 모듈(DDM)(60)과, 조수석 도어 및 뒷쪽 우측 도어 콘트롤 모듈(40)(45)을 제어하는 조수석 도어 모듈(ADM)(70)로 구분된다.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60)(70)은 각각의 도어 콘트롤 모듈(30)(35)(40)(45)로부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와 뒷쪽 좌측 및 우측 도어의 록/언록 등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도어들의 상태정보를 CAN 통신에 의해 후술되는 ETACS(50) 및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60)(70)은 후술되는 ETACS(50) 및 파킹 자동점검 모듈(80)로부터 CAN 통신을 통해 입력되는 각 도어의 제어신호를 LIN 통신으로 연결된 도어의 각 콘트롤 모듈(30)(35)(40)(45)에 송신함으로써 각 도어의 액튜에이터(Actuator)가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60)(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킹 자동점검 모듈(80)과 CAN 통신으로 연결되고, 각 도어의 콘트롤 모듈(30)(35)(40)(45)과는 LIN 통신으로 연결됨으로 이들 사이에서 상태정보를 요청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CAN/LIN 통신망의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ETACS(50)는 자동차의 각종 경고기능, 타이머(Timer) 기능, 도난방지 기능, 헤드램프 및 미등과 같은 악세사리(Accessory) 자동화 기능 등을 하나의 모듈(Module)에 내장하여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로 집중 제어해 주는 장치로서, 운전자에게 안락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전자제어장치이다.
상기 ETACS(5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10)(15)과 좌측 및 우측 미등 콘트롤 모듈(20)(25)로부터 헤드램프 및 미등의 상태정보를 LIN 통신에 의해 입력받는 한편,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LIN 통신에 의해 상기 좌측 및 우측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10)(15)과 좌측 및 우측 미등 콘트롤 모듈(20)(25)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ETACS(50)는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60)(70)로부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와 뒷쪽 좌측 및 우측 도어의 상태정보를 CAN 통신에 의해 입력받는 한편,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CAN 통신에 의해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60)(70)에 출력한다.
상기 ETACS(50)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10)(15)과, 좌측 및 우측 미등 콘트롤 모듈(20)(25)과,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60)(70)로부터 입력된 각 부분의 상태정보를 통해 이들의 상태를 파악하여 제어하는 한편, 입력된 상태정보를 CAN 통신을 통해 후술되는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에 출력한다.
상기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은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을 마치고 주차를 하는 경우에 차량 각 부분의 모듈들이 저전류 모드로 들어가기 직전에 출력한 차량의 상태정보를 CAN 통신을 통해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은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10)(15) 및 미등 콘트롤 모듈(20)(25)로부터 헤드램프 및 미등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입력받은 ETACS(50)가 출력하는 헤드램프 및 미등의 상태정보를 CAN 통신을 통해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각 도어 콘트롤 모듈(30)(35)(40)(45)로부터 도어의 록/언록, 개폐, 도어 윈도우 개폐 등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은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60)(70)이 출력하는 각 도어의 상태정보를 CAN 통신을 통해 입력받는다.
상기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은 입력받은 헤드램프, 미등 및 각 도어 등의 상태정보를 일정시간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100)을 이용해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차량 외부에서 운전자가 차량상태를 점검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Display) 및 스위치(Switch)로 사용 가능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사용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한 것은 터치 스크린이 비교적 스위치의 디자인이 쉽고 스크린 크기 내에서 다양한 그래픽 스위치나 문자표시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운전자가 운전을 마친 후 차량을 주차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키를 키홀더로부터 이탈시킨 후 차량 도어를 닫으면,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은 차량의 현 상태를 검지하고 차량 외부로 운전자가 나갔는지 체크한다.
운전자가 도어 키(Door Key)나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로 차량도어를 록(Lock)시키면, 상기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은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60)(70) 및 ETACS(50)에 각 도어나 램프의 상태를 보고하도록 CAN 통신을 통해 요구한다.
상기 파킹 자동점검 모듈(80)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수신한 ETACS(50)는 좌측 및 우측 헤드램프를 제어하는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10)(15)과 좌측 및 우측 미등을 제어하는 미등 콘트롤 모듈(20)(25)에 이들의 온/오프 상태정보를 LIN 통신을 통해 요구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10)(15)과 좌측 및 우측 미등 콘트롤 모듈(20)(25)은 헤드램프와 미등의 상태정보를 LIN 통신으로 ETACS(50)에 출력하고, 상기 ETACS(50)는 입력된 헤드램프와 미등의 상태정보를 상기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에 CAN 통신으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파킹 자동점검 모듈(80)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수신한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모듈(60)(70)은 운전석 도어 및 뒷쪽 좌측 도어 콘트롤 모듈(30)(35)과 조수석 도어 및 뒷쪽 우측 도어 콘트롤 모듈(40)(45)에 각 도어의 록/언록, 개폐, 윈도우 개폐 등의 상태정보를 LIN 통신을 통해 요구한다.
상기 각각의 도어 콘트롤 모듈(30)(35)(40)(45)은 각 도어의 상태정보를 LIN 통신으로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60)(70)에 출력하고,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60)(70)은 입력된 각 도어의 상태정보를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에 CAN 통신으로 출력한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 ETACS(50)와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60)(70)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한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차량의 각 부분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터치 스크린으로 운전자가 운전석 도어를 닫은 후 차량의 각 부분의 상태를 점검 및 제어하기 용이하도록 차량의 운전석 도어 상부에 부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의 AUTO 스위치(110)가 온인 경우,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은 운전자가 차량에서 나간 것이 체크될 때 차량의 각 도어는 록(Lock)시키고 윈도우는 클로우즈(Close)시키며, 설정된 시간이 지난 이후에 헤드램프 및 미등을 오프(Off)시킨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의 AUTO 스위치(110)가 오프인 경우,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은 차량 외부에서 운전자가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차량의 각 부분을 점검한 후 록, 클로우즈, 오프되지 않은 부분의 패널을 터치(Touch)하면, 록, 클로우즈, 오프 등의 제어신호를 ETACS(50)와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60)(70)에 CAN 통신을 통해 송신한다. 상기 ETACS(50)와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60)(70)은 파킹 자동점검 모듈(80)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해당 부분의 콘트롤 모듈에 LIN 통신을 통해 개별적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기능은 각 모듈 중에 순간적인 통신 이상으로 도어키나 리모트콘트롤러의 록 신호를 수신하지 못해 언록 상태로 있거나, 운전자의 실수로 윈도우 오픈이나 램프가 켜져 있는 경우에 차량의 해당 부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의 PARK 스위치(120)는 상기 AUTO 스위치(110)가 오프인 경우에 각 부분의 스위치를 개별 제어하지 않고 한번에 모두 클로우즈, 록, 오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의 화면창(130 내지 170)은 차량의 각 부분 즉, 도어(Door), 도어 윈도우(Door Window), 램프(Lamp) 등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OK'가 표시되면 해당 도어, 윈도우 및 램프가 록, 클로우즈, 오프된 상태임을 나타내고, 'NO'가 표시되면 해당 도어, 윈도우 및 램프가 언록, 오픈, 온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운전자가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상태에서 클로우즈, 록, 오프 기능만 구현이 가능한데, 이는 타인의 침입 및 도난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기능별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a는 상기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초기상태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이고, 도 5b는 운전자가 하차를 완료한 상태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이다. 또한, 도 5c는 차량의 각 부분에 이상이 발견된 경우 차량의 해당 부분의 상태를 표시한 디스플레이 화면이고, 도 5d는 운전자가 도 5c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고 언록 된 운전석 도어 스위치를 터치한 경우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이다. 또한, 도 5e는 운전자에 의해 차량의 각 부분에 대한 조작이 완료된 후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은 CAN 통신이나 LIN 통신으로 파킹 자동점검 모듈(80)에 연결된 다른 모듈의 상태정보도 간단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디자인 수정과 소프트웨어(Software) 변경 등으로 차량의 여러가지 상태를 차량 외부에서 점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은 운전자의 실수나 미확인 행동을 사전에 방지하고, 운전자의 차량 이탈시 차량 상태의 최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서 조치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운전자의 차량 이탈시 차량 상태의 최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서 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실수나 미확인 행동으로 인한 외부인 침입, 도난 사고, 배터리 방전 등과 같은 여러가지 차량 손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차량 외부의 한 부분에서 전체적인 차량 정보의 파악 및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운전자가 다시 차량에 탑승해 각 부분을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차량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차량의 헤드램프를 제어하고, 헤드램프의 상태정보를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좌측 및 우측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Headlamp Control Module);
    차량의 미등을 제어하고, 미등의 상태정보를 LIN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좌측 및 우측 미등 콘트롤 모듈(Taillamp Control Module);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와 뒷쪽 좌측 및 우측 도어를 제어하고, 상기 도어들의 상태정보를 LIN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다 수의 도어 콘트롤 모듈(Door Control Module);
    상기 도어 콘트롤 모듈들로부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와 뒷쪽 좌측 및 우측 도어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도어들의 상태정보를 CAN(Controlled Area Network)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Driver/Assistant Door Module);
    상기 좌측 및 우측 헤드램프 콘트롤 모듈과 좌측 및 우측 미등 콘트롤 모듈로부터 헤드램프 및 미등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로부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와 뒷쪽 좌측 및 우측 도어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헤드램프, 미등 및 각 도어들을 제어하고, 입력된 헤드램프, 미등, 각 도어들의 상태정보를 CAN 통신에 의해 출력하는 ETACS(Electronics Timing and Alarm control System);
    상기 ETACS와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로부터 차량 주차에 의한 저전류 모드로 들어가기 전에 헤드램프, 미등 및 각 도어의 상태정보를 입력받고, 일정시간 입력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파킹 자동점검 모듈(Parking Auto Check Module); 및
    상기 파킹 자동점검 모듈로부터 입력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일정시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 수의 도어 콘트롤 모듈은,
    도어의 록/언록(Lock/Unlock) 상태데이타를 제어하는 도어 록/언록 콘트롤 모듈과, 도어의 개폐(Open/Close) 상태데이터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 콘트롤 모듈과, 도어 윈도우(window) 개폐 상태데이터를 제어하는 도어 윈도우 개폐 콘트롤 모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모듈은,
    CAN/LIN 통신망의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차량 외부에서 디스플레이(Display) 및 스위치(Switch)로 사용 가능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 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KR10-2002-0042402A 2002-07-19 2002-07-19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KR100458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402A KR100458862B1 (ko) 2002-07-19 2002-07-19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402A KR100458862B1 (ko) 2002-07-19 2002-07-19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728A KR20040008728A (ko) 2004-01-31
KR100458862B1 true KR100458862B1 (ko) 2004-12-03

Family

ID=3731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402A KR100458862B1 (ko) 2002-07-19 2002-07-19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1462A (zh) * 2019-08-21 2019-11-22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主动安全系统及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9918B2 (ja) * 2012-09-28 2016-02-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通信装置
CN106218504A (zh) * 2016-08-29 2016-12-14 芜湖安瑞光电有限公司 车辆行车辅助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585489A (zh) * 2016-12-12 2017-04-26 观致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安全开门的控制系统、方法及车辆
CN110281844B (zh) * 2019-06-29 2021-05-07 深圳市华思特科技有限公司 一种校车安全控制系统及安全校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012A (ko) * 1995-12-08 1997-07-24 전성원 도어상태를 경고하는 점화 키 센싱 스위치를 이용한 라이트 모니터 보완회로
KR980001356A (ko) * 1996-06-28 1998-03-30 양재신 자동차 도난 방지용 경보장치
KR19980046029A (ko) * 1996-12-11 1998-09-15 김영석 차량의 원격 도난경보장치
KR20020050001A (ko) * 2000-12-20 2002-06-26 이계안 램프류 페일검출 및 자동 보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012A (ko) * 1995-12-08 1997-07-24 전성원 도어상태를 경고하는 점화 키 센싱 스위치를 이용한 라이트 모니터 보완회로
KR980001356A (ko) * 1996-06-28 1998-03-30 양재신 자동차 도난 방지용 경보장치
KR19980046029A (ko) * 1996-12-11 1998-09-15 김영석 차량의 원격 도난경보장치
KR20020050001A (ko) * 2000-12-20 2002-06-26 이계안 램프류 페일검출 및 자동 보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1462A (zh) * 2019-08-21 2019-11-22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主动安全系统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728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72907A1 (en) Swipe and tap verification for entry system
CN103587466B (zh) 一种汽车停驶自检装置
US20150353033A1 (en) Hybrid entry system
JPH05106376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CN103158643B (zh) 车身控制器总成装置
JP2005239135A (ja) パワードアを備えた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102090061B1 (ko) Can과 통합된 bcm을 테스트하는 장치
JP2004102939A (ja) 駐車状態監視装置及び駐車状態監視システム
KR100878908B1 (ko)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
CN201736930U (zh) 一种独立车门控制器和车门控制系统
KR100458862B1 (ko) 파킹 자동점검 시스템
JP2002004674A (ja) 車両用ドアラッチ操作制御装置
CN203713756U (zh) 一种锁车安全检测装置
CN211364410U (zh) 一种汽车车灯的控制装置
CN202608696U (zh) 车身控制器总成装置
KR20180126119A (ko)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A2894297A1 (en) Swipe and tap verification for entry system
CN202863326U (zh) 汽车的车窗控制装置以及包括其的车身控制系统
JPH0744211A (ja) 車両用消費電力制御装置
JPH0444772Y2 (ko)
CN204279305U (zh) 一种汽车车身组件控制系统
CN212295993U (zh) 一种汽车安全锁自动控制器
CN220076310U (zh) 汽车车身控制模块及具有其的车辆
JP2002004676A (ja) 車両用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H1049202A (ja) 相互通信型アクチュエ−タ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