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153B1 - 특이사포닌 및 비타민 c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인삼 가공방법 및 이를 통해 가공된 인삼 - Google Patents

특이사포닌 및 비타민 c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인삼 가공방법 및 이를 통해 가공된 인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153B1
KR101759153B1 KR1020160147282A KR20160147282A KR101759153B1 KR 101759153 B1 KR101759153 B1 KR 101759153B1 KR 1020160147282 A KR1020160147282 A KR 1020160147282A KR 20160147282 A KR20160147282 A KR 20160147282A KR 101759153 B1 KR101759153 B1 KR 10175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acid
hours
processed
room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환
허율
조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진
Priority to KR102016014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153B1/ko
Priority to CN201711001811.3A priority patent/CN10805704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 인삼을 상온에서 산(acid) 용액에 1차 침지하는 단계; 상기 산 용액에 1차 침치된 인삼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한 인삼을 1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g3, Rg2, Rh1 및 비타민 C 또는 각종 유기산을 함유하는 인삼 가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특이사포닌 및 비타민 C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인삼 가공방법 및 이를 통해 가공된 인삼{The ginseng processing method of increasing the content of specific ginsenosides and ascorbic acid, and ginseng processe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특이사포닌 및 비타민 C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인삼 가공방법 및 이를 통해 가공된 인삼에 관한 것이다.
인삼(人蔘, Panax ginseng C. A. Meyer)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높이는 60㎝에 달하고, 뿌리와 줄기는 짧으며 곧거나 비스듬히 서고, 밑에서 도라지 같은 뿌리가 발달한다. 인삼산지로서 적합한 자연 조건을 갖추고 재배 및 가공법의 기술을 개발, 계승하여온 우리나라가 인삼의 주 산국이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준다. 약리작용은 대뇌피질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합성촉진, 항상성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생김새는 가늘고 긴 원주형이나 방추형으로 2~5개의 곁뿌리가 나 있고 바깥 면은 엷은 황갈색이며 세로주름과 가는 뿌리 자국이 있다. 근두부에는 줄기의 잔기가 붙어 있던 노두가 있다.
사포닌은 배당체(glycoside)라 부르는 화합물의 일종으로 인삼을 포함하여 도라지, 더덕, 오가피 등 주로 식물자원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식물들은 예로부터 약리효능을 목적으로 민간요법 등에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특정식물이 갖고 있는 고유 사포닌의 약리효능을 다양한 실험을 통해서 점차 검증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인삼이 가진 고유 사포닌을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 부르는데 40종이 넘는 다양한 종류가 지금까지 보고되어 왔으며, 이들 진세노사이드는 각각이 서로 다른 약리효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hibata, J Korean Med Sci 2001; 16(Suppl): S28 등). 특히 이들 중 몇몇 진세노사이드(Rg1+Rg1(+Rg3))는 인(홍)삼을 원료로 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품질평가물질에 중요한 역할(지표물질 및 기능물질)을 하고 있다.(식약처, 건강기능식품공전)
인삼 사포닌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반사포닌은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Rg1, Re 등으로 이 성분들은 특이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3, Rh1, Rg2 등에 비해 약리효능이 미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진세노사이드 Rg3는 항암, 항당뇨, 혈액순환(성기능 포함) 및 혈압개선 등 다양한 방면에 걸쳐 매우 뛰어난 약리효능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Rg3는 Rb1, Rb2, Rc, Rd 등과 같은 일반사포닌으로부터 구조전환이 가능하여 흑삼제조법에 의한 반복적 열처리 같은 전통적 농업 제조법 외에도 고온고압 열처리, 효소 및 발효, 산 가수분해(acid hydrolysis) 등의 물리화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되어 오고 있다.
흑삼은 홍삼의 제조방법인 '증숙과 건조'를 9번 반복(9증9폭)하여 갈변화(당-아미노산에 의한 갈변화 반응-maillard reaction) 등을 거쳐 흑색으로 변화된 홍삼의 한 종류인데, 제조과정 중 고온과정이 반복되면서 천연사포닌 성분이 인삼 중 함유된 유기산과 열 등에 의해 반응하여 Rg3, Rg2 및 Rh1과 같은 특이 사포닌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반복된 증숙-건조로 인한 제조 공정상 어려움과 장시간에 거친 열처리로 인해 발생하는 유해성 문제(발암물질인 벤조피렌 검출 논란)가 있다.
진세노사이드 Rg3, Rg2, Rh1 성분들은 일반 수삼이나 백삼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다만 홍삼과 같은 가공 원형삼 중에 극미량(Rg3 기준 0.03% 정도)만이 포함되어 있어 효과적인 약리효능을 기대하기 힘들다.
Rg3, Rg2 및 Rh1과 같은 특이사포닌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사포닌 성분을 산(acid)이나 효소(enzyme)를 이용해 구조 전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인삼 고유형태를 훼손시키지 않고 생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기술적으로 제약이 많았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은 유해물질 논란과 제조상의 어려움, 원형삼의 모양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전체 인삼시장의 32%(수삼제외)를 차지하는 가공 원형삼 시장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가 불가능하다.
한국을 제외하면 원형삼의 성분을 그대로 유지한 채 특정 진세노사이드의 성분을 전환시키고자한 기술은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비타민과 인삼분말을 개별적으로 단순 혼합한 제품이 주로 개발되었으며 원형삼으로는 단순 건조삼 및 건조삼 분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의 관련 기술개발 역시 문제점을 갖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흑삼: 홍삼의 제조공법과 동일하게 증숙해서 말리는 공정(9증9폭)을 통해 Rg3 등 특이 사포닌의 함량을 높인 흑변화된 흑삼을 생산할 수 있다. 이는 원형삼의 모양은 유지할 수 있으나 제조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무엇보다 유해물질(벤조피렌) 검출로 인한 안전성 문제가 있다.
고온고압삼: Rg3 등 특이사포닌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 고온/고압에서 장시간 처리한 제품으로 원형삼 제품은 제조되지 않고 있다.
발효삼: 특이사포닌의 생성을 위해 원료삼을 미생물로 발효시키는 것으로 미생물 발효를 위한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되며 발효 후 원료삼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신규태극삼(기존 비티진 등록특허 10-1336646-0000): 비타민 등 유기산을 건조삼에 주입해 뿌리삼을 제조하는 공정이나 인삼을 유기산 수용액에 침지한 상태에서 고온으로 장시간 삶는(고온열처리하는) 공정으로 사포닌 등 유효성분이 침지액으로 유실될 우려가 있으며 제품의 표면이 검게 변하는 등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본 발명을 통해 원료삼의 안정적인 공급과 현재 개발 중인 기술의 문제점 개선 그리고 약리효능을 검증하여 상업성과 약리효능이 뛰어난 인삼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635025호 (2010.09.07) 2. 한국등록특허 제10-0805852호 (2007.05.18.)
1. Shibata S. Chemistry and Cancer Preventing Activities of Ginseng Saponins and Some Related Triterpenoid Compounds. J Korean Med Sci. 2001 Dec; 16(Suppl): S28-S3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약리효능이 뛰어난 특이사포닌(Rg3, Rh1, Rg2 등)과 비타민 C를 다량 함유하는 원형삼(뿌리삼)을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원료 인삼의 안정적인 공급과 약리효능 검증을 통해 상업성과 약리효능이 뛰어난 가공 인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원료 인삼(건삼)을 상온에서 산(acid) 용액에 1차 침지하는 단계; 상기 1차 침치된 인삼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한 인삼을 1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1차 건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1차 건조된 인삼을 상기 산(acid) 용액에 2차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산 용액에 2차 침지된 인삼을 2차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삼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1차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침지하는 단계는 비타민 C(Ascorb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젖산(Lactic acid), 옥살산(Oxalic acid), 말산(malic acid), 및 초산(Acetic acid)으로 구성되는 유기산(organic acid)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을 포함하는 혼합 수용액에 침지하는 단계인 인삼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공방법에 따라 가공되어, 성분 전환된 진세노사이드 Rg3, Rg2 및 Rh1를 포함하는 가공인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성분 전환된 진세노사이드 Rg3, Rg2 및 Rh1의 함량 및 유기산의 함량이 증가된 가공인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공방법에 따라 가공된 인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목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TNF-α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산소 H2O2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항산화 효능과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 라디칼(radical) 소거 활성의 항산화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방법에 따라 가공된 인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목적, 항고혈압 목적, 혈당 감소 목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 가공방법에 의해 가공된 인삼은 특이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3, Rg2, Rh1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Rb1, Rb2, Rc, Rd, Re, Rg1과 같은 일반(천연)사포닌을 함유하는 일반 인삼에 비해 항암, 항고혈압작용, 상한화작용, 기억력감퇴개선, 항알러지 효과 등의 약리활성이 우수한 인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료 인삼(건삼)을 산 용액에 침지시킨 후 가온 및 온풍 건조의 간단한 방법만으로 생산할 수 있어 생산비용이 크지 않고, 건삼을 원료로 사용하므로 원료의 장기보관이 용이하며, 고온의 반복된 열처리 과정이 없어 유해물질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약리효능이 높은 특이사포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공정에 따라서는 제조 시 투입된 비타민 C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높은 약리활성이 기대되며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경제성이 우수하다. 특히, 본 발명으로 생산된 원료는 항고혈압 및 혈관이완작용 등 혈관건강과 항당뇨(혈당감소)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원료 인삼(건삼)에 비타민 C 등 과 같은 유기산을 침지형식으로 주입한 후 별도의 열처리과정을 통해 특이사포닌의 생성을 증가시킨 인삼으로써 진세노사이드 Rg3, Rg2, Rh1 등 특이사포닌함량과 또는 비타민 C함량을 증가시키고 항고혈압과 혈당강하효과 등 다양한 기능효과를 갖는 기능성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인삼의 eNOS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인삼의 AKT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가공인삼의 활성산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인삼의 혈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인삼의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인삼의 혈당 감소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인삼 가공방법>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삼 가공방법은 원료 인삼의 모양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특이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3, Rg2, Rh1와 경우에 따라서는 비타민 C(Ascorbic acid) 함량을 극대화시키는 가공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방법에 의해 가공되는 인삼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뛰어난 품질(모양, 잔류농약, 사포닌 함량 등)의 원료 인삼을 사용하고, 공정 중 열처리로 인한 비타민 C의 분해를 최소화하여 비타민 C의 함량을 증대시켜야하며, 객관화된 약리효능 검증 또한 뒷받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삼 가공방법은 유효사포닌의 함량이 저조하게 생성하는 기존의 "세척-건조-고온침지-건조" 가공방법과는 달리, "세척-건조-저온침지-열처리-건조"의 새로운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삼 가공방법은 수삼을 건조하여 원료인삼(건삼)을 준비하는 단계(S0), 원료 인삼을 상온에서 산(acid) 용액에 1차 침지하는 단계(S1), 상기 1차 침치된 인삼을 열처리하는 단계(S2), 상기 열처리한 인삼을 1차 건조하는 단계(S3)를 포함하여, 원료 인삼에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등의 일반사포닌을 진세노사이드 Rg3, Rg2, Rh1 등의 특이사포닌으로 성분(구조)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건조된 인삼을 산(acid) 용액에 2차 침지하는 단계(S4) 및 상기 산 용액에 2차 침지된 인삼을 2차 건조하는 단계(S5)를 더 포함하여 열처리 단계(S2)에서 분해되는 비타민 C의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인삼은 건삼, 반건삼, 수삼, 백삼 등 가공되지 않은 인삼 및 태극삼, 홍삼 등 1차 가공된 인삼 등을 모두 포함하고, 그 형태는 분말이나 농축액의 형태가 아닌 원형삼, 뿌리삼, 뿌리삼 절편 형태의 인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산삼, 장뇌삼, 재배삼 등 다양한 재배환경에서 재배된 인삼을 사용할 수 있다.
(1) 원료 인삼을 준비하는 단계(S0)
세척된 인삼을 건조기에 넣고 50 내지 65℃에서 2일 내지 5일간 건조시켜 수분함량이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인 원료 인삼(건삼)을 준비한다.
(2) 1차 침지 단계(S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차 침지 단계(S1)는 준비된 원료 인삼을 상온에서 침지 용액에 침지시키는 단계이다. 침지 용액 내의 산(acid) 성분이 원료 인삼에 흡수되게 함으로써 후술할 열처리 단계를 통해 Rb1, Rb2, Rc, Rd, Rg1, Re 같은 일반사포닌 성분이 산 가수분해(acid hydrolysis)할 수 있도록 촉진시킨다.
기존의 고온에서 침지시키는 방법의 경우 침지된 인삼이 고온에 노출되는 시간(6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Rg3의 전환율이 낮다(비교예 1). 또한 인삼을 고온에서 침지하면 표피가 손상되고 내부의 성분이 외부로 유출되어 침지 용액이 혼탁해져 최종 제품으로 개발 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특이사포닌으로의 성분전환을 위한 고온 처리가 반드시 필요한데, 고온 침지 시 일반사포닌 성분, 산 성분 등의 유효 성분이 침지액으로 유실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저온에서 침지 후 별도 열처리 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제공한다.
상기 원료 인삼이 침지되는 침지용액은 0.5 내지 5%인 산(acid) 용액을 포함하며, 상기 산(acid) 용액은 비타민 C(Ascorbic acid) 수용액, 구연산(Citric acid) 수용액 또는 비타민 C와 구연산 혼합 수용액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C(Ascorbic acid) 수용액 또는 구연산(Citric acid)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인 비타민 C(Ascorbic acid) 수용액 또는 1%인 구연산(Citric acid)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그 외 사용가능한 산(acid) 종류로는 젖산(lactic acid), 옥살산(oxalic aicd), 말산(malic acid), 초산(acetic acid) 및 주석산(tartaric aicd) 등 물에 녹을 수 있는 산(water soluble acid)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1차 침지는 상온(15 내지 25℃)에서, 70 내지 80시간 동안 이루어지며 건삼이 침지용액에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온(18~22℃)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온(20℃)에서 7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1차 침지된 인삼의 수분함량은 70% 이상이다.
(3) 열처리 단계(S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처리 단계(S2)는 상기 1차 침치된 인삼을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열처리는 1차 침지된 인삼에 흡수된 비타민 용액의 산(acid) 성분이 Rb1, Rb2, Rc, Rd 및 Rg1, Re 같은 일반사포닌 성분을 쉽게 산가수분해(acid hydrolysis)할 수 있도록 촉진시키는 단계이다. 이 때 Rb1, Rb2, Rc, Rd과 같은 protopanaxadiol 성분은 Rg3로, Re와 Rg1 같은 protopanaxatrol 성분은 각각 Rg2, Rh1으로 전환된다.
열처리는 침지가 끝난 인삼을 Stainless steel chamber나 유리챔버(glass chamber) 등과 같은 밀폐 용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밀폐시킨 상태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고 특이사포닌의 생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열처리는 70 내지 100℃에서 40 내지 80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1차 침지 단계에서 비타민 C 수용액을 사용하여 침지한 경우 70 내지 100℃에서 40 내지 55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구연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침지한 경우 70 내지 100℃에서 65 내지 80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차 침지 단계에서 비타민 C 수용액(1%)을 사용하여 침지한 경우 85℃에서 48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1차 침지 단계에서 구연산 수용액(1%)을 사용하여 침지한 경우 85℃에서 7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기타 유기산들도 이와 유사하다.
(4) 1차 건조 단계(S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차 건조 단계(S3)는 상기 열처리된 인삼을 1차 건조하는 단계이다.
1차 건조는 건조단계(S03)에 사용된 건조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처리된 인삼을 건조기에 넣고 45 내지 65℃에서 90 내지 100시간 건조시킨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에서 95 내지 100시간 건조시키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에서 96시간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1차 건조된 인삼의 수분함량은 20% 이하이다.
(5) 2차 침지 단계(S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침지 단계(S4)는 상기 1차 건조된 인삼을 침지 용액에 2차 침지하는 단계이다. 기존 공정의 경우(비교예 1), 고온 침지 후 또는 열처리 후에 비타민 C 성분이 분해되기 때문에 가공된 인삼에 비타민 C 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데, 본원발명의 2차 침지 후 저온에서의 2차 건조하면 비타민 C의 함량이 매우 높아 분말, 팽화인삼, 동결건조삼 등과 같이 가열 없이 직접 섭취할 수 있는 인삼제품의 비타민 C 성분 유지에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상기 1차 건조된 인삼이 침지되는 침지용액은 0.5 내지 5%인 산(acid) 용액을 포함하며, 상기 산(acid) 용액은 비타민 C(Ascorbic acid) 수용액, 구연산(Citric acid) 수용액, 주석산(tartaric acid), 또는 비타민 C와 구연산 혼합 수용액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C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인 비타민 C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2차 침지는 상온(15 내지 25℃)에서, 70 내지 80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온(18 내지 22℃)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온(20℃)에서 7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2차 침지단계(S4)는 침지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Water bath형 침지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Water bath형 침지기는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하여 단순 침지 이외에도 침지 중 열처리도 병행할 수 있으며, SUS(stainless steel) 재질을 사용하여 산(acid) 용액에도 부식되지 않게 하고, 침지기 내부에 Rack이 설치되고 소형구멍이 뚫려 있고, 선반이 삽입되어 있는 침지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원료 인삼(건삼)을 선반 위에서 침지시킴으로써 침지 중, 침지 후 인삼을 꺼내는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인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2차 침지된 인삼의 수분함량은 60% 이상이다.
(6) 2차 건조 단계(S5)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건조 단계(S5)는 상기 2차 침지된 인삼을 2차 건조하는 단계이다.
2차 건조는 건조단계(S03)에 사용된 건조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처리된 인삼을 건조기에 넣고 상온(15~25℃)에서 90 내지 100시간 건조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온(22~25℃)에서 95 내지 100시간 건조시키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온(25℃)에서 96시간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2차 건조된 인삼의 수분함량은 15%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 인삼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삼 가공방법에 의해 가공된 인삼으로서, 특이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3, Rg2, Rh1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인삼을 제공한다. 또한 특이사포닌을 고함량으로 포함할 뿐만 아니라 비타민 C(Ascorbic acid) 등의 유기산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인삼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 - 원료 인삼의 준비(S1)>
(1) 선별된 인삼의 세척
원통형 실린더(Ø590mm×870mm)의 중앙에 수도관이 설치되고, 실린더에 100mm 간격으로 Ø10mm의 소형 구멍이 뚫려있으며, 실린더에 동력을 구비하여 회전할 수 있는 세척기 내부로 상기 선별된 인삼을 투입한 후 수도관을 통해 물을 20L/min의 속도로 공급하면서 실린더를 회전시켜 인삼을 세척하였다.
(2) 세척된 인삼의 건조
내부에 선반(Shelves: 1270×750mm, 총 6개)을 구비한 SUS(stainless steel) 재질의 선반형 건조기(In size 1300×800×1200mm)에 상기 세척된 인삼을 넣고 60℃에서 3.5일간 건조시키고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20% 이하인 건삼을 원료 인삼으로 준비하였다.
<실시예 1 - 1차 침지(S1), 열처리(S2), 1차 건조(S3)>
SUS(stainless steel) 재질의 Water bath형 침지기(In size 800×800×800mm, Out size 1000×1000×1000mm)에 500L의 수돗물과 4kg의 식품첨가용 비타민 C 분말(99.5%, 정우통상)을 넣고 용해시켜 1% 비타민 C 수용액(침지용액)을 제조하였다.
건삼(원료 인삼) 20kg을 침지용액에 완전히 잠기게 한 후 상온(15~25℃)에서 3일(72시간)간 침지시켜 수분함량 70%의 인삼을 얻었다.
상기 1차 침지된 인삼을 상기 건조기에 넣고 85℃에서 48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가 끝난 후에는 55℃에서 96시간 동안 건조하여 가공된 인삼을 얻었다.
<실시예 2 ~ 실시예 22 비타민C 및 구연산을 이용한 제조>
(1) 실시예 2 ~ 실시예 22
모든 실험법은 실시예 1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표 1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1차 침지용액의 종류(비타민C, 구연산 및 비타민C와 구연산의 혼합액)와 침지용액의 농도 그리고 열처리 온도를 변형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삼을 가공하였다.
<실시예 23 ~ 실시예 27 기타 유기산을 이용한 제조>
(1) 실시예 23 ~ 실시예 27
모든 실험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단, 표 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1차 침지용액의 종류(주석산, 젖산, 옥살산, 말산, 초산)를 변형하여 인삼을 가공하였다.
<비교예 1 기존 제조방법>
(1) 비교예 1
원료 인삼 5뿌리(30~40g/뿌리)를 비타민 C 용액이 가득찬 2L 유리비커에 완전히 잠기게 한 후 비타민 C 수용액 및 원료 인삼이 들어있는 용액을 알루미늄 호일로 밀봉하여 수분이 유실되지 않게 한 후 95℃에서 6시간 고온 침지하였다. 고온침지 후 65℃, 72시간 건조하여 가공된 인삼을 얻었다.
1차 침지 1차 침지용액 열처리 조건 1차 건조
실시예 1 상온, 72hrs Ascorbic acid(1%) 85℃, 48hrs 55℃, 96hrs
실시예 2 상온, 72hrs Ascorbic acid(1%) 85℃, 24hrs 55℃, 96hrs
실시예 3 상온, 72hrs Ascorbic acid(1%) 85℃, 72hrs 55℃, 96hrs
실시예 4 상온, 72hrs Citric acid(1%) 85℃, 24hrs 55℃, 96hrs
실시예 5 상온, 72hrs Citric acid(1%) 85℃, 48hrs 55℃, 96hrs
실시예 6 상온, 72hrs Citric acid(1%) 85℃, 72hrs 55℃, 96hrs
실시예 7 상온, 72hrs Ascorbic acid(1%) 75℃, 48hrs 55℃, 96hrs
실시예 8 상온, 72hrs Ascorbic acid(1%) 80℃, 48hrs 55℃, 96hrs
실시예 9 상온, 72hrs Ascorbic acid(1%) 85℃, 48hrs 55℃, 96hrs
실시예 10 상온, 72hrs Ascorbic acid(1%) 90℃, 48hrs 55℃, 96hrs
실시예 11 상온, 72hrs Citric acid(1%) 75℃, 72hrs 55℃, 96hrs
실시예 12 상온, 72hrs Citric acid(1%) 80℃, 72hrs 55℃, 96hrs
실시예 13 상온, 72hrs Citric acid(1%) 85℃, 72hrs 55℃, 96hrs
실시예 14 상온, 72hrs Citric acid(1%) 90℃, 72hrs 55℃, 96hrs
실시예 15 상온, 72hrs Ascorbic acid(0.25%) 85℃, 48hrs 55℃, 96hrs
실시예 16 상온, 72hrs Ascorbic acid(0.5%) 85℃, 48hrs 55℃, 96hrs
실시예 17 상온, 72hrs Ascorbic acid(1%) 85℃, 48hrs 55℃, 96hrs
실시예 18 상온, 72hrs Citric acid(0.25%) 85℃, 48hrs 55℃, 96hrs
실시예 19 상온, 72hrs Citric acid(0.5%) 85℃, 48hrs 55℃, 96hrs
실시예 20 상온, 72hrs Citric acid(1%) 85℃, 48hrs 55℃, 96hrs
실시예 21 상온, 72hrs Ascorbic acid+Citric acid(0.5%) 85℃, 48hrs 55℃, 96hrs
실시예 22 상온, 72hrs Ascorbic acid+Citric acid(1%) 85℃, 48hrs 55℃, 96hrs
비교예 1 95℃, 6hrs Ascorbic acid(1%) - 65℃, 72hrs
1차 침지 1차 침지용액 열처리 조건 1차 건조
실시예 23 상온, 72hrs Tartaric acid(1%) 85℃, 48hrs 55℃, 96hrs
실시예 24 상온, 72hrs Lactic acid(1%) 85℃, 48hrs 55℃, 96hrs
실시예 25 상온, 72hrs Oxalic acid(1%) 85℃, 48hrs 55℃, 96hrs
실시예 26 상온, 72hrs Malic acid(1%) 85℃, 48hrs 55℃, 96hrs
실시예 27 상온, 72hrs Acetic acid(1%) 85℃, 48hrs 55℃, 96hrs
<실시예 28 ~ 실시예 33 - 2차 침지(S4), 2차 건조(S5)>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열처리된 인삼을 50℃에서 3일(72시간) 동안 온풍 건조(1차 건조, 수분함량 20% 이하)한 후 이를 각각 0.5%, 1%, 2.5%, 5% 농도의 비타민 C 수용액에 2차 침지하였다. 비타민은 빛에 분해될 수 있어 침지용기를 알루미늄 호일로 덮어주었으며 상온(20℃에서) 72시간 침지시켜 건삼이 비타민 C 수용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하였다. 침지 후에는 건조기(25℃, 풍건)에서 96시간 건조(2차 건조, 수분함량 15% 이하)시켰다. 비타민C 이외에도 구연산, 주석산을 동일한 방법으로 2.5% 수용액에서 각각 2차 침지 및 2차 건조하였다.
1차 침지 1차 침지용액 열처리 조건 1차 건조 2차 침지 2차 침지 용액 2차 건조
실시예 28 20℃, 72hrs Ascorbic acid(1%) 85℃, 48hrs 55℃, 96hrs 20℃, 72hrs Ascorbic acid(0.5%) 30℃, 120hrs
실시예 29 20℃, 72hrs Ascorbic acid(1%) 85℃, 48hrs 55℃, 96hrs 20℃, 72hrs Ascorbic acid(1%) 30℃, 96hrs
실시예 30 20℃, 72hrs Ascorbic acid(1%) 85℃, 48hrs 55℃, 96hrs 20℃, 72hrs Ascorbic acid(2.5%) 25℃, 96hrs
실시예 31 20℃, 72hrs Ascorbic acid(1%) 85℃, 48hrs 55℃, 96hrs 20℃, 72hrs Ascorbic acid(5%) 25℃, 96hrs
실시예 32 20℃, 72hrs citric acid acid(1%) 85℃, 48hrs 55℃, 96hrs 20℃, 72hrs Ascorbic acid(2.5%) 25℃, 96hrs
실시예 33 20℃, 72hrs Tartaric acid(1%) 85℃, 48hrs 55℃, 96hrs 20℃, 72hrs Ascorbic acid(2.5%) 25℃, 96hrs
<실험예 1 - 성분분석(특이사포닌함량 및 Rg3 전환율 분석)>
(1) 시료의 전처리
가공된 인삼을 분쇄기로 충분히 분쇄(100mesh 이상)하여 성분 분석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진세노사이드 성분 분석을 위해서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법은 식약처(KFDA) 공시법을 사용하였다.
(2) 분석결과
  Rb1
(mg/g)
Rg2+Rh1
(mg/g)
Rg3
(mg/g)
Rg3 전환율
(%)
실시예 1 4.0 3.8 10.2 72
실시예 2 5.1 2.1 5.7 53
실시예 3 3.6 2.7 10.7 75
실시예 4 5.0 1.6 6.3 56
실시예 5 4.0 1.9 6.8 63
실시예 6 3.2 3.2 9.5 75
실시예 7 10.9 1 6.7 38
실시예 8 7.5 2.5 6.9 48
실시예 9 3.6 2.7 9.3 72
실시예 10 5.2 3.1 8.2 61
실시예 11 5.6 2.1 6.1 52
실시예 12 4.7 1.9 5.5 54
실시예 13 2.7 2.5 8.1 75
실시예 14 2.9 3.1 8.8 75
실시예 15 3.5 3.5 7.4 68
실시예 16 3.7 2.8 6.8 65
실시예 17 3.5 2.6 9.1 72
실시예 18 4.7 1.6 3.1 40
실시예 19 3.5 2.2 5 59
실시예 20 4.2 3 7.1 63
실시예 21 5.8 1.1 2.5 30
실시예 22 2.7 2.4 5.4 67
실시예 23 3.5 2.6 6.5 65
실시예 24 4.4 1.9 6.1 58
실시예 25 4.1 1.8 3.9 49
실시예 26 5.6 2.2 4.8 46
실시예 27 3.5 3 7.1 67
비교예 1 2.7 0.7 1.3 32.5
※ Rg3 전환율 = [Rg3/(Rb1+Rg3)*100, %]
<실험예 2- 성분분석(비타민 C 등 유기산함량 분석)>
비타민 C 등 유기산의 분석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량실험법 등 KFDA방법을 인용하였으며 성분 분석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항목 함량(mg/g) 유기산
실시예 28 2.2 비타민C
실시예 29 3.2 비타민C
실시예 30 11 비타민C
실시예 31 19.9 비타민C
실시예 32 18.6 구연산
실시예 33 17.4 주석산
비교예 1 0.1 이하 비타민C
실시예 28 내지 31의 인삼 가공 방법의 2차 침지농도에 따른 비타민 C 의 손실은 거의 없었던 반면 비교예 1의 인삼 가공 방법에서는 비타민 C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는데, 이는 열처리 공정 동안 대부분의 비타민 C 성분이 분해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험예 3- 약리효능 평가(생리 활성)>
(1) 유효성분의 추출
실시예 1 및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된 인삼 100g을 50% 주정 500ml에 넣고 교반하면서 55℃에서 24시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여과지(Whatman NO.2)로 거른 후 침지액은 별도 보관하고 남은 시료에 50% 주정 500ml를 다시 넣어 1차 추출과 동일조건에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추출액을 진공농축기(Eyela 2L)에서 농축하고 분말화하여 약리효능평가(실험예3~5)를 위한 시료를 제작하였다. 비교군으로 사용된 원료(홍삼추출분말)는 시판중인 홍삼을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2)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평가
시료전처리 : 상기 추출물 분말 5g을 가지고 각각 클로로포름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24시간 상온에서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홍삼농축액 분말의 경우 클로로포름 추출물 120 mg을 얻고, 증류수 추출물은 4.9 g 얻었으며, 가공인삼 농축액 분말의 경우 클로로포름 추출물 85 mg을 얻고, 증류수 추출물은 4.9 g 얻었다. 즉, 대부분의 농축액 분말은 수용성 성질을 가지기에 증류수 추출물이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클로로포름과 증류수 분획에 대하여서는 다음과 같이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 radical 소거 활성을 검색하는 Blois 방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DPPH 2mg에 15 mL의 에탄올을 가하여 녹인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원액을 1200 μL 취하고 DMSO 500 μL와 에탄올 3000 μL를 혼합하여 최종으로 초기 흡광도(B)를 측정하기 위한 DPPH 용액을 제조하였다. 준비된 DPPH 용액 450 μL를 석영 cuvette안에 넣고 518 nm에서 초기 흡광도(B)를 측정하였으며, 초기 흡광도가 0.97 초과인 경우 에탄올을 더 넣어 희석하여 측정하고, 0.94 미만인 경우 DPPH 원액을 더 넣어 초기 흡광도가 0.94에서 0.97 사이의 값을 갖도록 조절하였다. 메탄올에 녹인 시료 50μL를 흡광도 값이 맞춰진 DPPH 용액이 들어있는 cuvette에 넣고 518 nm에서 10초 간격으로 10분 동안 흡광도(C)를 측정하였다. 이때의 항산화 활성은 reduction %로 표기하며 하기 식 1을 통해 산출하였다.
[식 1]
항산화 활성(ΔA) = B(초기 흡광도) ― C(시료를 넣은 용액의 흡광도)
여기서 B는 초기 흡광도인 0.94~0.97 이며, C는 10분 동안 측정한 가장 낮은 흡광도를 의미한다. 산출된 항산화 활성 ΔA는 하기 식 2를 통해 reduction(%)로 변환하였다. 측정된 reduction(%) 값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단위 : %, 농도 : 0.1mg/ml)
[식 2]
Reduction (%) = (ΔA ÷ B) × 100
DPPH
소거 활성
홍삼추출물 실시예 1 실시예 28 Vitamin C(standard)
클로로포름 추출물 18.14 25.8 52 100
증류수 추출물 33.4 38.3 57.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인삼 추출물의 경우 홍삼 추출물과 비교하여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증류수 추출물 및 2차 침지된 경우에 더욱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약리효능 평가(항 염증 및 항 고혈압 효능)>
(1) 실험동물의 준비
수컷 SHR, WKY (9주, 250~280g)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으며, Samtako Bio Korea에서 구입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의 관리는 충남대학교 동물실험 윤리규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12시간 주기의 낮과 밤을 맞춰 온도 20~25℃와 습도 40~60%로 유지시켰다.
(2) 혈관내피세포에서 eNOS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에 따른 가공인삼 추출물이 혈관내피세포에서 eNOS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혈관내피세포 (HUVECs)에 각각 0-300 μg/ml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투여한 후 eNOS와 AKT의 인산화를 측정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가공인삼 추출물(B)은 eNOS와 AKT의 인산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시켰으나 홍삼추출물(A)은 eNOS와 AKT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경향은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인삼의 eNOS 활성화에 대한 효과는 AKT 활성화를 통해서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3) 활성산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에 따른 가공인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혈관내피세포에 TNF-α (15 ng/ml)를 8시간 처리하여 염증 반응을 유발 시킨 후 H2O2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도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홍삼추출물(A)는 TNF-α에 의한 H2O2 생성을 30% 억제 시킨 반면 실시예 1에 따른 가공인삼 추출물(B)은 H2O2 생성을 50% 이상 억제 시켰다.
(4) 혈압변화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에 따른 가공인삼 추출물이 혈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HR에 생리식염수(Saline), 홍삼추출물(A), 실시예 1에 따른 가공인삼 추출물(B)을 6주간 10 mg/kg 씩 구강투여 매주 혈압을 측정하였다. 도 4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SHR에서 실시예 1에 따른 가공인삼 추출물(B) 투여군은 투여 후 2주부터 투여전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하게 혈압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6주까지 혈압강하 효과를 유지하였으며 6주에는 약 10 mmHg의 혈압 강하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saline과 홍삼추출물(A) 투여군에서는 혈압 강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5) 혈관내피세포의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에 따른 가공인삼 추출물이 혈관내피세포의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HR 혈관을 이용하여 bioavailable NO, 혈중 NO, eNOS 인산화를 측정하였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가공인삼 추출물(B)은 혈관 bioavailable NO(도 5)와 혈중 NO(도 6)를 증가 시켰으며 eNOS 인산화 역시 실시예 1에 따른 가공인삼 추출물(B)에 의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도 7).
본 발명에 따른 가공인삼은 홍삼추출물에 비해 AKT/eNOS 활성화가 더 뛰어났으며, 염증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생성을 더 크게 억제 시켰다. 즉, 항염증 및 항 고혈압 효과를 가짐으로써 심혈관계 기능을 향상시키고 정상혈압을 유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5- 약리효능 평가(혈당 감소 효능)>
(1)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은 C57/Bl6 마우스 (8 weeks) 를 이용하였고, 밀망이 설치된 rat cage에 각각 넣고 23±3℃의 온도와 50ㅁ5%의 습도에서 12 시간 간격으로 light-dark cycle을 주면서 사육하였다. 기본적인 실험 식이는 American Institute Nutrition(1970)에서 권장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조하고 사용하였다. Saline 투여군,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공인삼 30 mg/kg 투여군 및 100 mg/kg 투여군으로 나누어 4주간 경구로 투여하였다.
(2) 혈당 측정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가공인삼 추출물의 혈당 감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준비된 마우스에 시료를 투여하고, 4주차에서 혈당을 측정하였다. 혈당을 측정할 때에는 16시간 금식시킨 후 glucometer (Bayer breeze)를 사용하여 혈당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8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가공인삼 추출물 30mg/kg 투여군에서는 혈당의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가공인삼 추출물 100 mg/kg 투여군에서 혈당 감소 효과가 생리식염수 투여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인삼의 추출물이 혈당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수분함량 30% 이하의 건삼을 상온에서 70 내지 80시간 동안 비타민 C(Ascorbic acid) 수용액 또는 구연산(Citr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젖산(Lactic acid), 옥살산(Oxalic acid), 말산(malic acid), 및 초산(Acetic acid)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1차 침지하는 단계;
    상기 1차 침지된 인삼을 70 내지 100℃에서 40 내지 80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열처리한 인삼을 45 내지 65℃에서 90 내지 100시간 동안 1차 건조하는 단계;
    상기 1차 건조된 인삼을 상온에서 70 내지 80시간 동안 비타민 C(Ascorbic acid) 수용액 또는 구연산(Citr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젖산(Lactic acid), 옥살산(Oxalic acid), 말산(malic acid), 및 초산(Acetic acid)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2차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산 용액에 2차 침지된 인삼을 상온에서 90 내지 100시간 동안 2차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침지하는 단계에서 비타민 C 수용액에 침지시킨 경우 70 내지 100℃에서 40 내지 55 시간 동안 열처리하고, 구연산(Citr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젖산(Lactic acid), 옥살산(Oxalic acid), 말산(malic acid), 및 초산(Acetic acid)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침지시킨 경우 70 내지 100℃에서 65 내지 80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인 인삼 가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가공방법에 따라 가공되어,
    성분 전환된 진세노사이드 Rg3, Rg2 및 Rh1를 포함하는 가공인삼.
  5. 제1항의 가공방법에 따라 가공되어,
    성분 전환된 진세노사이드 Rg3, Rg2 및 Rh1의 함량 및 유기산의 함량이 증가된 가공인삼.
  6. 제1항의 가공방법에 따라 가공된 인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식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되는 항산화 목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TNF-α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산소 H2O2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항산화 효능과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 라디칼(radical) 소거 활성의 항산화 효능을 갖는 항산화 목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제1항의 가공방법에 따라 가공된 인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식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되는 항염증 목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제1항의 가공방법에 따라 가공된 인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식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되는 항고혈압 목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제1항의 가공방법에 따라 가공된 인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식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되는 혈당 감소 목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60147282A 2016-11-07 2016-11-07 특이사포닌 및 비타민 c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인삼 가공방법 및 이를 통해 가공된 인삼 KR101759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282A KR101759153B1 (ko) 2016-11-07 2016-11-07 특이사포닌 및 비타민 c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인삼 가공방법 및 이를 통해 가공된 인삼
CN201711001811.3A CN108057048B (zh) 2016-11-07 2017-10-24 人参加工方法以及利用上述方法加工的人参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282A KR101759153B1 (ko) 2016-11-07 2016-11-07 특이사포닌 및 비타민 c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인삼 가공방법 및 이를 통해 가공된 인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153B1 true KR101759153B1 (ko) 2017-07-20

Family

ID=5944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282A KR101759153B1 (ko) 2016-11-07 2016-11-07 특이사포닌 및 비타민 c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인삼 가공방법 및 이를 통해 가공된 인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9153B1 (ko)
CN (1) CN1080570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3967B (zh) * 2019-06-13 2022-05-10 康美(北京)药物研究院有限公司 一种增加人参皂苷Rg3、Rh2含量的人参加工方法及得到的加工人参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46B1 (ko) * 2011-08-05 2013-12-11 주식회사 비티진 진세노사이드 Rg2, Rg3 및 Rh1의 함량이 증가된 신규 태극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57048B (zh) 2022-03-08
CN108057048A (zh) 201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n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diabetic effects of a polysaccharide from corn silk in high-fat diet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KR101438750B1 (ko) 팜 재거리 농축액을 이용한 홍삼 절편, 정과 및 그 제조방법
CN105707202A (zh) 一种天然植物提取物鱼干保鲜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441040A (zh) 一种肉苁蓉苯乙醇总苷的制备方法
KR101277760B1 (ko) 식품소재용 발효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용도
KR101769184B1 (ko)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JP5044166B2 (ja) エゾウコギの茎及び/又は枝の抽出物の製造方法
KR101759153B1 (ko) 특이사포닌 및 비타민 c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인삼 가공방법 및 이를 통해 가공된 인삼
KR20130032625A (ko) 발효차 혼합 조성물
KR100793822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캔디의 제조방법
KR100647346B1 (ko) 약리활성이 증진된 경옥고 및 그의 제조방법
Ying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bioactive compounds extracted from Ampelopsis grossedentata leaves by optimize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P2187769B1 (en) Foodstuff of tablets or capsules
CN106234475A (zh) 一种临床微生物检验用中药消毒剂
CN103520303B (zh) 一种川乌炮制方法
Thinkratok et al. Inhibitory potential of the rambutan rind extract and tannin against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activities in vitro
KR20130032624A (ko) 녹차 혼합 조성물
CN106420483A (zh) 一种净透黑头溶出液
KR101097664B1 (ko) 삼의 흑삼화 제조방법
JP6020155B2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CN102919432A (zh) 一种保健茶叶及其制备方法
KR101605376B1 (ko) 진세노사이드 Rg3 및 Rh2 함량이 증진된 흑홍삼의 제조방법
KR101921507B1 (ko) 인삼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KR20130103039A (ko) 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약리조성물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