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800B1 - 인쇄판,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판,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800B1
KR101757800B1 KR1020150166914A KR20150166914A KR101757800B1 KR 101757800 B1 KR101757800 B1 KR 101757800B1 KR 1020150166914 A KR1020150166914 A KR 1020150166914A KR 20150166914 A KR20150166914 A KR 20150166914A KR 101757800 B1 KR101757800 B1 KR 101757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bank
pattern
plate
print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260A (ko
Inventor
요시히로 카나야마
히데오 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08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8Curved printing formes or printing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8Impression cylinders
    • B41F13/187Impression cylinders for rotograv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과제)
요판 인쇄에 의해 인쇄 페이스트를 피인쇄물에 전사시킬 때에, 인쇄판과 피인쇄물 사이에 발생하는 인쇄 페이스트의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도형 패턴의 형상 정밀도나 평활성, 두께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요판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판(10)의 인쇄 패턴(11)을 인쇄 방향(X)으로 연결하여 연장 설치되고, 또한 직교 방향(Y)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칸막이 제방(12)과,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 제방(12)의 사이에 형성된 인쇄 페이스트(도전성 페이스트)(P)가 유지되는 홈 형상의 셀부(15)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칸막이 제방(12)은 인쇄 방향(X)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쇄 방향 제방(13)을, 인쇄 방향(X)에 이웃하는 인쇄 방향 제방(13)에 설치된 연결 제방(14)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형성한다.

Description

인쇄판,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PRINTING PLATE, LAMINAT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PRODUCING METHOD, AND PRINTER}
본 발명은 요판 인쇄용의 인쇄판, 그 인쇄판을 이용하여 세라믹 그린시트 또는 캐리어 필름 상에 인쇄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내부 전극 형성용의 도형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조되는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대표적인 것 중 하나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라믹 소자(41) 중에 복수의 내부 전극(42a, 42b)이 세라믹층(43)을 통해서 적층되고, 또한 세라믹층(43)을 통해서 서로 대향하는 내부 전극(42a, 42b)이 교대로 세라믹 소자(41)의 역측의 끝면(44a, 44b)으로 인출되어서 그 끝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45a, 45b)에 접속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통상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표면에 내부 전극 패턴을 형성한 세라믹 그린시트를 적층함과 아울러, 그 상하 양면측에 내부 전극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세라믹 그린시트를 적층하고 압착함으로써 얻어지는 적층체를 소성한 후, 소성 후의 적층체(세라믹 소자)의 양단면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베이킹해서 한 쌍의 외부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그리고, 내부 전극 패턴 등의 인쇄를 행하는 방법으로서는 생산성 향상 등의 관점으로부터, 그라비어 인쇄법이 널리 사용되게 되어 있다.
이 그라비어 인쇄법은,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라믹 그린시트(피인쇄물)(1)를 그라비어 롤(151)과 백 롤(154) 사이를 통과시켜, 그라비어 롤(151)의 표면의 인쇄 패턴에 유지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세라믹 그린시트(1)의 표면에 전사함으로써, 세라믹 그린시트(1) 상에 내부 전극 패턴(도형 패턴)(2)의 인쇄를 행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그라비어 인쇄법에 있어서는 원통 형상의 그라비어 롤(151)의 외주면에 인쇄해야 할 내부 전극 패턴(2)에 대응하는 형상의 인쇄 패턴이 형성된 인쇄판이 사용되고 있고, 인쇄 패턴은 소정량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제방으로 구분된 복수의 셀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 인쇄판 중 하나인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인쇄판(110)의 인쇄 패턴(111)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칸막이 제방(112)과, 인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이웃하는 칸막이 제방(112) 사이에 형성된 홈 형상의 셀부(1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성 페이스트를 전사시킬 때에, 인쇄판(110)과 세라믹 그린시트(1)가 떨어질 때에 발생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칸막이 제방(112)을 따라서 발생시키면서 인쇄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6-11091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칸막이 제방(112)은 굴곡부(112a)를 갖고 있고, 이 굴곡부(112a)에 있어서의 도전성 페이스트의 전사나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 등의 거동이 도전성 페이스트의 성상(예를 들면, 점도) 등에 의해 변동하고, 그라비어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도형 패턴(내부 전극 패턴)(2)의 형상 정밀도의 저하나 요철, 두께의 불균일 등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인쇄 페이스트를 인쇄함으로써 형성되는 도형 패턴의 형상 정밀도나 평활성, 두께의 균일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인쇄판, 그것을 사용한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인쇄판은 인쇄 페이스트를 소정의 도형 패턴이 되도록 피인쇄물 상에 인쇄하기 위한 요판 인쇄용의 인쇄판으로서,
판재의 표면에 인쇄해야 할 도형 패턴에 대응하는 인쇄 패턴이 복수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표면을 따르는 소정의 방향이 상기 피인쇄물로의 인쇄 방향과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인쇄 패턴은 상기 인쇄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쇄 방향 제방 및,
상기 인쇄 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인쇄 방향 제방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 제방을 갖는 하나의 칸막이 제방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칸막이 제방의 양측에 상기 인쇄 페이스트가 유지되는 홈 형상의 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인쇄판은 인쇄 페이스트를 소정의 도형 패턴이 되도록 피인쇄물 상에 인쇄하기 위한 요판 인쇄용의 인쇄판으로서,
판재의 표면에 인쇄해야 할 도형 패턴에 대응하는 인쇄 패턴이 복수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표면을 따르는 소정의 방향이 상기 피인쇄물로의 인쇄 방향과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인쇄 패턴은 상기 인쇄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쇄 방향 제방 및,
상기 인쇄 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인쇄 방향 제방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 제방을 갖는 칸막이 제방을 상기 인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상기 칸막이 제방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인쇄 페이스트가 유지되는 홈 형상의 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인쇄판에 있어서는 복수의 상기 인쇄 방향 제방이 상기 인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칸막이 제방에 의해 발생하는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발생시킬 수 있어, 도형 패턴의 평활성이나 두께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인쇄 패턴의, 상기 인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복수의 단부 돌출 제방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단부 돌출 제방을 인쇄 방향을 따라서 연결 제방과 같은 위치에 설치하거나,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인쇄 방향 제방 중 인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부와 마주보는 것에 대향시키도록 설치함으로써, 인쇄 방향을 따라서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단부의 셀폭의 변화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셀폭이 다른 개소에서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계속적으로 발생시켜서 안정된 전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인쇄판에 있어서는 상기 판재가 원통 형상의 그라비어 롤이며, 상기 판재의 표면이 상기 그라비어 롤의 외주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쇄판을 그라비어 인쇄판으로서 구성함으로써, 도형 패턴의 형상 정밀도나 평활성, 두께의 균일성 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피인쇄물로의 인쇄를 고속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판은 평판 형상의 판재에 상기 인쇄 패턴이 형성된 평판의 인쇄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쇄판을 평판의 인쇄판으로서 구성했을 경우에도 도형 패턴의 형상 정밀도나 평활성, 두께의 균일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판은 인쇄판으로부터 중간 전사체를 통해서 피인쇄물 상에 인쇄 페이스트를 인쇄하는 오프셋용의 인쇄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쇄판을 오프셋에 사용했을 경우에도 도형 패턴의 형상 정밀도나 평활성, 두께의 균일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셀부의 상기 인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인 셀폭이 상기 인쇄 방향을 따라서 주기적으로 달라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셀부로부터 칸막이 제방으로의 인쇄 페이스트의 공급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칸막이 제방에 있어서의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확실하게 발생시켜서 도형 패턴의 평활성이나 두께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인쇄 방향 제방은 그 주요부가 상기 인쇄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의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하여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인쇄 방향 제방을 따라서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어, 도형 패턴의 평활성이나 두께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연결 제방은 평면적으로 보아서 그 중심선과, 인접하는 상기 인쇄 방향 제방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중 열각이 90°를 초과하고 180°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완만하게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도형 패턴의 평활성이나 두께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인쇄 방향 제방의 일부에, 상기 인쇄 방향 제방에 의해 칸막이된 상기 셀부끼리를 연통시키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인쇄 방향 제방의 가장자리부와 인쇄 페이스트의 접촉 영역이 늘어나, 인쇄 방향 제방 상에 공급되는 인쇄 페이스트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확실하게 발생시켜서 도형 패턴의 평활성이나 두께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인쇄 방향 제방 및 상기 연결 제방 중 적어도 한쪽은 그 높이가 상기 그라비어 롤의 외주면의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높이가 낮게 된 인쇄 방향 제방 또는 연결 제방 상에 공급된 인쇄 페이스트가 피인쇄물에 압박되게 되어 인쇄 페이스트의 전사량을 늘릴 수 있다. 그 결과, 전사의 누락 등의 인쇄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인쇄판을 이용하여 세라믹 그린시트 또는 캐리어 필름 상에 인쇄 페이스트로서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내부 전극 형성용의 도형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인쇄판(요판 인쇄용의 인쇄판)에 있어서는 인쇄 패턴이 인쇄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쇄 방향 제방과, 인쇄 방향과 이웃하는 인쇄 방향 제방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 제방과, 인쇄 방향 제방과 연결 제방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칸막이 제방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칸막이 제방의 양측에 인쇄 페이스트가 유지되는 홈 형상의 셀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인쇄판을 피인쇄물로부터 판 분리시킬 때에 칸막이 제방과 피인쇄물 사이에 형성되는 인쇄 페이스트의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칸막이 제방을 따르게 하면서 계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도형 패턴의 형상 정밀도나 평활성, 두께의 균일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쇄 패턴을 하나의 칸막이 제방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형상 정밀도나 평활성, 두께의 균일성 등이 뛰어난, 소형의 도형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인쇄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인쇄판(요판 인쇄용의 인쇄판)에 있어서는 인쇄 패턴이 인쇄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쇄 방향 제방과, 인쇄 방향에 이웃하는 인쇄 방향 제방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 제방과, 인쇄 방향 제방과 연결 제방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칸막이 제방을 인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 제방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쇄 페이스트가 유지되는 홈 형상의 셀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인쇄판을 피인쇄물로부터 판 분리시킬 때에 칸막이 제방과 피인쇄물 사이에 형성되는 인쇄 페이스트의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칸막이 제방을 따르게 하면서 계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도형 패턴의 형상 정밀도나 평활성, 두께의 균일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칸막이 제방이 인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으므로, 직교하는 방향과 이웃하는 칸막이 제방이나 그 근방에서 발생하는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이 서로 맞닿아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인쇄판을 이용하여 세라믹 그린시트 또는 캐리어 필름 상에 인쇄 페이스트로서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내부 전극 형성용의 도형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두께가 균일하고 형상 정밀도가 높은 내부 전극을 구비한, 신뢰성이 높은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 페이스트를 인쇄함으로써 형상 정밀도가 뛰어나고 두께가 균일한 도형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인쇄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a)는 개략 정면도, (b)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인쇄 장치에 사용되는 그라비어 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인쇄판의 인쇄 패턴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인쇄 패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인쇄판의 인쇄 패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인쇄판의 인쇄 패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인쇄판의 인쇄 패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인쇄판의 인쇄 패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인쇄판의 인쇄 패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인쇄판의 인쇄 패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인쇄판의 인쇄 패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인쇄판의 인쇄 패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A-A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인쇄판의 인쇄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인쇄판의 인쇄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인쇄판의 인쇄 패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그라비어 인쇄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종래의 인쇄판의 인쇄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부분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요판 인쇄용의 인쇄판으로서 그라비어 롤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실시형태(실시형태 1)에 의한 인쇄판을 사용한 인쇄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인쇄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그라비어 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 1에 의한 인쇄 장치(50)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세라믹 그린시트(1)에 내부 전극 패턴 형성용의 도전성 페이스트(인쇄 페이스트)(P)를 인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인쇄 장치이다.
이 인쇄 장치(5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에 복수의 인쇄 패턴(11)을 구비한 그라비어 롤(51)과, 도전성 페이스트(P)를 수용하는 페이스트조(52)와, 그라비어 롤(51)에 부착된 잉여의 도전성 페이스트(P)를 긁어내는 긁어내기 수단(블레이드)(53)과, 백 롤(압동)(54)과, 세라믹 그린시트(피인쇄물)(1)를 반송하는 반송 롤 등의 반송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백 롤(54)로 세라믹 그린시트(1)를 그라비어 롤(51)에 압박해서 도전성 페이스트(P)를 세라믹 그린시트(1)에 전사하는 부분이, 본 발명의 인쇄 장치(50)에 있어서의 전사부(56)가 된다.
그리고, 세라믹 그린시트(1)를 그라비어 롤(51)과 백 롤(54) 사이를 통과시켜, 그라비어 롤(51)의 표면의 인쇄 패턴(11)에 유지된 도전성 페이스트(P)를 세라믹 그린시트(1)의 표면에 전사함으로써, 세라믹 그린시트(1) 상에 내부 전극 패턴(도형 패턴)(2)을 인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라비어 롤(51)로의 도전성 페이스트(P)의 공급은 상술한 바와 같은 페이스트조(52)에 저장된 도전성 페이스트(P)로의 그라비어 롤(51)의 침지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상기 페이스트조(52) 및 그라비어 롤(51)을 침지시키는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본 발명의 인쇄 장치(50)에 있어서의 페이스트 공급 수단(57)을 구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내부 전극 패턴(2)이 인쇄된 세라믹 그린시트(1)를 적층·압착하고, 소성 및 외부 전극의 형성을 행함으로써 적층 세라믹 콘덴서가 제조된다. 또한, 캐리어 필름 상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인쇄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세라믹 그린시트에 전사하여 내부 전극 패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판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판(10)은 원통 형상의 그라비어 롤(51)을 판재로 하고, 이 그라비어 롤(51)의 외주면에 인쇄해야 할 내부 전극 패턴(2)에 대응하는 복수의 인쇄 패턴(11)을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인쇄판(10)은 그라비어 롤(51)의 외주의 표면을 따른 방향(둘레 방향)이 내부 전극 패턴(2)의 인쇄 방향과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쇄 패턴(11)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라믹 그린시트(1)의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인 인쇄 방향(X)으로 연결되어 연장 설치되고 또한 직교 방향(Y)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직사각형 펄스파 형상의 복수의 칸막이 제방(12)과, 인쇄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직교 방향)(Y)에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 제방(12) 사이에 형성되는 홈 형상의 셀부(15)와, 인쇄 패턴(11)의 직교 방향(Y)의 양단에 형성된 복수의 단부 돌출 제방(1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칸막이 제방(12)과 단부 돌출 제방(16) 사이에도 홈 형상의 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 제방(12)은 인쇄 방향(X)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쇄 방향 제방(13)과, 인쇄 방향(X)에 이웃하는 인쇄 방향 제방(13)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 제방(14)을 구비하고 있다.
즉, 칸막이 제방(12)은 인쇄 방향(X)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중심선이 인쇄 방향(X)에 평행한 복수의 인쇄 방향 제방(13) 중, 인쇄 방향(X)에 서로 이웃하는 인쇄 방향 제방[13(13a, 13b)]을, 중심선이 직교 방향(Y)에 평행한 연결 제방(14)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쇄 방향 제방(13)은 그 주요부가 인쇄 방향(X)에 평행한 직선 형상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제방(12)에는 인쇄 방향 제방(13)을 기단으로 해서 직교 방향(Y)으로 돌출되는 분기 형상의 제방이나, 연결 제방(14)을 기단으로 해서 인쇄 방향(X)으로 돌출되는 분기 형상의 제방이 도전성 페이스트(P)의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셀부(15)는 인쇄 방향 제방(13)과 연결 제방(14)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구획 셀(15a, 15b, 15c)이 인쇄 방향(X)으로 연결됨으로써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셀부(15)의 폭[직교 방향(Y)의 치수인 셀폭]은 인쇄 방향 제방(13)과 연결 제방(14)의 배열 주기에 대응하도록, 인쇄 방향(X)을 따라서 주기적으로 달라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셀부(15)에 의해 유지되는 도전성 페이스트(P)의 양이 인쇄 방향(X)과 달라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50), 도전성 페이스트(P) 및 인쇄판(10)의 각각의 설정값, 인쇄 조건 등은 이하와 같다.
그라비어 롤 지름: 30㎜∼300㎜
인쇄 속도: 5m/min∼150m/min
인쇄 패턴의 치수: 인쇄 방향 0.5㎜ 이상, 직교 방향 0.05㎜ 이상
인쇄 방향 제방의 폭(직교 방향의 치수): 1㎛∼25㎛
연결 제방의 폭(인쇄 방향의 치수): 1㎛∼25㎛
칸막이 제방의 직교 방향의 최접근 간격(G): 5㎛
칸막이 제방의 높이: 그라비어 롤의 외주면과 같음
셀부의 깊이: 1㎛∼100㎛
이어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인쇄판(10)을 사용해서 도전성 페이스트(P)를 전사할 때의 도전성 페이스트(P)의 상태, 특히 인쇄판(10)을 세라믹 그린시트(피인쇄물)(1)로부터 판 분리시킬 때에 발생하는 도전성 페이스트(P)의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의 인쇄판(10)을 사용해서 도전성 페이스트(P)를 전사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도전성 페이스트(P)의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은, 주로 도 4의 파선(L)으로 나타내는 궤적으로 칸막이 제방(12)을 따라서 인쇄 방향(X)의 전방측(화살표 X의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발생한다. 그 결과,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의 흐트러짐이 발생하기 어려워 안정된 전사가 행해진다.
또한, 홈 형상의 셀부(15)의 셀폭이 인쇄 방향(X)을 따라서 주기적으로 달라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셀폭이 다른 개소에 있어서 그때마다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이 계속적으로 안정되게 발생하여 안정된 전사가 행해진다.
또한, 직교 방향(Y)에 이웃하는 칸막이 제방(12)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직교하는 방향에 이웃하는 칸막이 제방(12)에 의해 발생하는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이 서로 맞닿아서 간섭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안정된 전사가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피인쇄물(1)에 형성되는 도형 패턴(2)의 형상 정밀도나 평활성, 두께의 균일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실시형태 1에 의한 인쇄판(10)에서는 연결 제방(14)이 직교 방향(Y)과 평행하게 설치된 칸막이 제방(12)을 구비한 인쇄 패턴(11)을 나타냈지만, 도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칸막이 제방(12)을 구비하는 인쇄 패턴(11)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도 3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인쇄 패턴(11)에 있어서는 평면적으로 보았을 경우에, 연결 제방(14)이 연장되는 방향의 중심선과, 인쇄 방향 제방(13)이 연장되는 방향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중 열각(θ)이 90°를 초과하고 180° 미만[도 5에서는 열각(θ)=135°]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제방(14)은 인쇄 방향(X)에 서로 이웃하는 한쪽의 인쇄 방향 제방(13a)의 전방측의 단부와, 다른쪽의 인쇄 방향 제방(13b)의 후방측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인쇄 패턴(11)에서는 인쇄 방향(X)에 서로 이웃하는 한쪽의 인쇄 방향 제방(13a)의 전방측의 단부와, 다른쪽의 인쇄 방향 제방(13b)의 후방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제방(14)이 매끄럽게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연결 제방(14)에 있어서도 연결 제방(14)이 연장되는 방향의 중심선의 접선과, 인쇄 방향 제방(13)이 연장되는 방향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중 열각이 90°를 초과하고 180°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연결 제방(14) 상에 있어서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완만하게 진행시켜서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계속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나타낸 형태에 비해서 인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이웃하는 칸막이 제방(12)의, 서로 최접근하는 거리(최접근 간격)(G)가 커져서 이웃하는 칸막이 제방(12)에 의해 발생하는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이 서로 맞닿아서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방향 제방(13)의 일부에 노치를 형성한 인쇄 패턴(11)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인쇄 패턴(11)에 있어서는 인쇄 방향 제방(13)이 연장되는 방향의 중앙에, 인쇄 방향 제방(13)에 의해 칸막이된 셀부(15)끼리를 연통시키는 노치(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인쇄 패턴(11)에 있어서는 각 인쇄 방향 제방(13)의 후방측에, 셀부(15)끼리를 연통시키는 노치(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인쇄 패턴(11)에 있어서는 각 인쇄 방향 제방(13)의 전방측에, 셀부(15)끼리를 연통시키는 노치(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했을 경우, 인쇄 방향 제방(13)의 가장자리부와 도전성 페이스트(P)의 접촉 영역이 늘어나기 때문에, 인쇄 방향 제방(13) 상에 공급되는 도전성 페이스트(P)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 제방(14)의 일부에 노치를 형성한 인쇄 패턴(11)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0,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칸막이 제방(12)의 일부를 낮게 한 인쇄 패턴(11)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인쇄 패턴(11)은 인쇄 방향 제방(13)의 높이가 그라비어 롤(51)의 외주면의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인쇄 패턴(11)은 연결 제방(14)의 높이가 그라비어 롤(51)의 외주면의 높이보다 0.5㎛ 이상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쇄 방향 제방(13) 또는 연결 제방(14)의 전부 또는 일부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으로 했을 경우, 높이가 낮게 된 인쇄 방향 제방(13) 또는 연결 제방(14) 상에 공급된 도전성 페이스트(P)가 피인쇄물(1)에 압박되게 되어 도전성 페이스트(P)의 전사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도 12(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칸막이 제방(12)의 사이에 형성된 홈 형상의 셀부(15)의 각각에, 인쇄 방향(X)을 따라서 깊이가 얕은 영역(25c)과 깊은 영역(25a, 25b)을 교대로 배치한 인쇄 패턴(11)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으로 했을 경우, 깊이가 깊은 영역(25a, 25b)을 칸막이하도록 위치하는 깊이가 얕은 영역(25c)이 둑과 같이 기능하여 도전성 페이스트(P)의 셀부(15) 내에 있어서의 과잉한 유동이 억제되어, 인쇄 방향(X)에 있어서의 전사량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인쇄판을 사용함으로써 세라믹 그린시트 또는 캐리어 필름 상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두께나 형상에 대한 정밀도가 높은 도형 패턴(내부 전극 형성용의 도전성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고품질이며 신뢰성이 높은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인쇄 방향 제방과 연결 제방을 갖는 칸막이 제방을 인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한 구조를 갖는 인쇄판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실시형태 2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칸막이 제방(12)을 구비하고, 이 하나의 칸막이 제방(12)의 양측에 홈 형상의 셀부(15)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인쇄판(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3은 이 실시형태 2의 인쇄판(10)을 구성하는 하나의 인쇄 패턴(11)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 2의 인쇄판(10)을 구성하는 인쇄 패턴(11)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방향(X)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쇄 방향 제방(13)과, 인쇄 방향(X)에 이웃하는 인쇄 방향 제방(13)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직교 방향(Y)에 평행한 연결 제방(14)을 갖는 하나의 칸막이 제방(1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칸막이 제방(12)의 양측에는 인쇄 페이스트가 유지되는 2개의 홈 형상의 셀부(15)가 칸막이 제방(12)을 통해서 서로 이웃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 2의 인쇄판(10)을 구성하는 인쇄 패턴(11)은 직교 방향(Y)에 있어서의 양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단부 돌출 제방(16)을 구비하고 있다.
단부 돌출 제방(16)은 인쇄 방향(X)을 따라서 연결 제방(14)과 같은 위치에 설치되거나,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인쇄 방향 제방(13) 중 인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부와 마주보는 것에 대향시키도록 설치함으로써, 인쇄 방향을 따라서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단부의 셀폭의 변화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셀폭이 다른 개소에 있어서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계속적으로 발생시켜서 안정된 전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구성된 실시형태 2의 인쇄판(10)을 사용했을 경우에도 상술의 실시형태 1의 인쇄판(10)을 사용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쇄 공정에서 인쇄판(10)을 피인쇄물로부터 판 분리시킬 때에 칸막이 제방(12)과 피인쇄물 사이에 형성되는 인쇄 페이스트의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칸막이 제방(12)을 따르게 하면서 계속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인쇄 페이스트를 인쇄함으로써 형성되는 내부 전극 패턴 등의 도형 패턴의 형상 정밀도나 평활성, 두께의 균일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부 돌출 제방(16)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인쇄 패턴(11)의 양단 단부에 있어서도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계속적으로 안정되게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도형 패턴의 단부의 직선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쇄 패턴(11)이 하나의 칸막이 제방(12)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형상 정밀도나 평활성, 두께의 균일성 등이 뛰어난, 소형의 도형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인쇄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4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인쇄판의 변형예에 의한 인쇄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인쇄판(10)을 구성하는 하나의 인쇄 패턴(11)을 나타내고 있다.
이 인쇄판(10)에 있어서는 평면적으로 보았을 경우에, 인쇄 방향(X)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쇄 방향 제방(13)을 매끄럽게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제방(14)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칸막이 제방(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제방(12)을 구성하는 연결 제방(14)이 그 연신 방향의 중심선과, 인쇄 방향 제방(13)이 연장되는 방향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중 열각(θ)이 90°를 초과하고 180° 미만[도 14의 구성의 경우에는 열각(θ)=135°]이 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의 실시형태 2의 인쇄판(10)과 마찬가지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구성을 구비한 인쇄판(10)에 있어서도 상술의 실시형태 2의 인쇄판(10)(도 13)과 마찬가지로, 인쇄 공정에서 인쇄판(10)을 피인쇄물로부터 판 분리시킬 때에 칸막이 제방(12)과 피인쇄물 사이에 형성되는 인쇄 페이스트의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칸막이 제방(12)을 따르게 하면서 계속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도형 패턴의 형상 정밀도나 평활성, 두께의 균일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열각(θ)이 90°를 초과하고 180° 미만[도 14의 구성의 경우에는 열각(θ)=135°]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연결 제방(14) 상에 있어서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완만하게 진행시켜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을 계속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5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인쇄판(도 13)의 다른 변형예에 의한 인쇄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5는 인쇄판(10)을 구성하는 하나의 인쇄 패턴(11)을 나타내고 있다.
이 인쇄판(10)에 있어서, 인쇄판(10)을 구성하는 인쇄 패턴(11)은 단부 돌출 제방(16)(도 13 참조)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 있어서, 도 13에 나타낸 상술의 실시형태 2의 인쇄판(10)과는 구성을 달리하고 있지만, 그 밖의 점에 있어서는 상술의 실시형태 2의 인쇄판(10)(도 13 참조)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부 돌출 제방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인쇄 패턴(11)이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단일의 칸막이 제방을 구비하고, 그 양측에 홈 형상의 셀부를 구비해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형상 정밀도나 평활성, 두께의 균일성 등이 뛰어난 소형의 도형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인쇄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의 내부 전극 패턴 형성용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할 때에 사용되는 인쇄판을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 이외의 여러 가지 전자 부품을 제조할 경우에 있어서 그 전극 패턴을 인쇄할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판은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할 경우에 한하지 않고, 세라믹 페이스트, 유전체 페이스트, 저항 페이스트 등 여러 가지 인쇄 페이스트를 인쇄할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세라믹 페이스트를 인쇄해서 세라믹 그린시트를 형성하는 경우나, 유전체 페이스트를 인쇄해서 유전체층을 형성할 경우 등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 제방으로서 한쪽 및 다른쪽의 인쇄 방향 제방이 인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설치된 직사각형 펄스파 형상의 제방을 일례로서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칸막이 제방은 인쇄 방향을 따라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제방이라도 좋다. 또한, 2단 이상의 계단 형상의 제방이 인쇄 방향을 따라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인쇄판으로서 그라비어 롤을 사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인쇄판의 형상에 제약은 없고, 평판 형상의 판재에 인쇄 패턴이 형성된 평판의 인쇄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요판 인쇄용의 인쇄판을 사용한 다이렉트 그라비어 인쇄법의 일례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인쇄판은 오프셋법 등을 포함하는 요판 인쇄 전반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오프셋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인쇄판과 피인쇄물의 양쪽에 접촉하도록 중간 전사체(예를 들면, 블랭킷 롤)를 설치하고, 인쇄판의 인쇄 패턴 내에 충전된 인쇄 페이스트를 중간 전사체를 통해서 피인쇄물에 전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밖의 점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인쇄 패턴이나 도형 패턴, 인쇄 패턴을 구성하는 칸막이 제방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설치수, 본 발명의 인쇄판을 이용하여 세라믹 그린시트 또는 캐리어 필름 상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내부 전극 형성용의 도형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조되는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종류 등에 관한 것으로서,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응용,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세라믹 그린시트(피인쇄물) 2 : 내부 전극 패턴(도형 패턴)
10 : 인쇄판(요판 인쇄용의 인쇄판) 11 : 인쇄 패턴
12 : 칸막이 제방 13 : 인쇄 방향 제방
13a : 한쪽의 인쇄 방향 제방 13b : 다른쪽의 인쇄 방향 제방
14 : 연결 제방 15 : 셀부
15a, 15b, 15c : 구획 셀 16 : 단부 돌출 제방
17 : 인쇄 방향 제방의 노치 50 : 인쇄 장치
51 : 그라비어 롤 52 : 페이스트조
53 : 긁어내기 수단 54 : 백 롤
56 : 전사부 57 : 페이스트 공급 수단
L : 도전성 페이스트의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의 궤적
P : 도전성 페이스트(인쇄 페이스트)
T : 도전성 페이스트의 실처럼 늘어나는 형상
X : 인쇄 방향 Y : 인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θ : 연결 제방이 연장되는 방향의 중심선과 인쇄 방향 제방이 연장되는 방향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중 열각

Claims (14)

  1. 인쇄 페이스트를 소정의 도형 패턴이 되도록 피인쇄물 상에 인쇄하기 위한 요판 인쇄용의 인쇄판으로서,
    판재의 표면에 인쇄해야 할 도형 패턴에 대응하는 인쇄 패턴이 복수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표면을 따르는 소정의 방향이 상기 피인쇄물로의 인쇄 방향과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인쇄 패턴은 상기 인쇄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쇄 방향 제방 및, 상기 인쇄 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인쇄 방향 제방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 제방을 갖는 하나의 칸막이 제방을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칸막이 제방의 양측에 상기 인쇄 페이스트가 유지되는 홈 형상의 셀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 방향 제방은 그 주요부가 상기 인쇄 방향에 평행한 직선 형상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2. 인쇄 페이스트를 소정의 도형 패턴이 되도록 피인쇄물 상에 인쇄하기 위한 요판 인쇄용의 인쇄판으로서,
    판재의 표면에 인쇄해야 할 도형 패턴에 대응하는 인쇄 패턴이 복수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표면을 따르는 소정의 방향이 상기 피인쇄물로의 인쇄 방향과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인쇄 패턴은 상기 인쇄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인쇄 방향 제방 및, 상기 인쇄 방향에 이웃하는 상기 인쇄 방향 제방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연결 제방을 갖는 칸막이 제방을 상기 인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서로 이웃하는 상기 칸막이 제방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인쇄 페이스트가 유지되는 홈 형상의 셀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 방향 제방은 그 주요부가 상기 인쇄 방향에 평행한 직선 형상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인쇄 방향 제방은 상기 인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패턴의, 상기 인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복수의 단부 돌출 제방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가 원통 형상의 그라비어 롤이며, 상기 판재의 표면이 상기 그라비어 롤의 외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판재에 상기 인쇄 패턴이 형성된 평판의 인쇄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쇄판으로부터 중간 전사체를 통해서 피인쇄물 상에 인쇄 페이스트를 인쇄하는 오프셋 인쇄용의 인쇄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부의 상기 인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인 셀폭은 상기 인쇄 방향을 따라서 주기적으로 달라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9. 삭제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제방은 평면적으로 보아서 그 중심선과, 인접하는 상기 인쇄 방향 제방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 중 열각이 90°를 초과하고 180° 미만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방향 제방의 일부에, 상기 인쇄 방향 제방에 의해 칸막이된 상기 셀부끼리를 연통시키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방향 제방 및 상기 연결 제방 중 적어도 한쪽은 그 높이가 상기 그라비어 롤의 외주면의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쇄판을 이용하여 세라믹 그린시트 또는 캐리어 필름 상에 인쇄 페이스트로서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내부 전극 형성용의 도형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KR1020150166914A 2015-01-09 2015-11-27 인쇄판,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 KR101757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03062 2015-01-09
JP2015003062 2015-01-09
JP2015172028A JP6390558B2 (ja) 2015-01-09 2015-09-01 印刷版、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JP-P-2015-172028 2015-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260A KR20160086260A (ko) 2016-07-19
KR101757800B1 true KR101757800B1 (ko) 2017-07-14

Family

ID=5641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914A KR101757800B1 (ko) 2015-01-09 2015-11-27 인쇄판,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90558B2 (ko)
KR (1) KR1017578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5265B2 (ja) * 2004-10-18 2009-02-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229043B2 (ja) * 2004-10-15 2009-02-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印刷用版、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グラビア印刷装置
JP2012142451A (ja) * 2010-12-29 2012-07-26 Murata Mfg Co Ltd グラビア印刷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5454440B2 (ja) * 2010-09-29 2014-03-26 Tdk株式会社 印刷用凹版及び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2652A (en) * 1995-06-07 1997-04-22 Img Group Limited Electrically-conductive liquid for directly printing an electrical circuit component onto a substrate, and a method for making such a liquid
JP2014128924A (ja) * 2012-12-28 2014-07-10 Dic Corp グラビアオフセット印刷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9043B2 (ja) * 2004-10-15 2009-02-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印刷用版、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グラビア印刷装置
JP4225265B2 (ja) * 2004-10-18 2009-02-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5454440B2 (ja) * 2010-09-29 2014-03-26 Tdk株式会社 印刷用凹版及び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12142451A (ja) * 2010-12-29 2012-07-26 Murata Mfg Co Ltd グラビア印刷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260A (ko) 2016-07-19
JP2016130004A (ja) 2016-07-21
JP6390558B2 (ja)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8332B2 (ja) グラビアロールおよびグラビア印刷機
KR100537091B1 (ko)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JP2012142451A (ja) グラビア印刷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20120070227A (ko) 적층형 전자부품 제조를 위한 그라비아 인쇄장치 및 그라비아 인쇄장치를 사용한 적층형 전자부품
US10449795B2 (en) Printing plate, laminat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producing method, and printer
KR101757800B1 (ko) 인쇄판,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인쇄 장치
JP5454440B2 (ja) 印刷用凹版及び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229043B2 (ja) グラビア印刷用版、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グラビア印刷装置
JP4229044B2 (ja) グラビア印刷用版、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グラビア印刷装置
KR102278864B1 (ko) 인쇄판, 그 인쇄판을 구비한 인쇄장치,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CN217197339U (zh) 凹版及凹版印刷机
JP4012990B2 (ja)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217455296U (zh) 凹版及凹版印刷机
KR20190110408A (ko) 그라비아 롤러
JP6683232B2 (ja) 印刷版、該印刷版を備えた印刷装置、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2594301B1 (ko)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CN217455294U (zh) 凹版及凹版印刷机
KR102668051B1 (ko)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JP5628567B2 (ja) 積層型電子部品用の未焼成導体層印刷シートの作成方法及び作成装置
US20230051478A1 (en) Gravure printing plate
JP2017159478A (ja) 配線パターンの形成方法、電子デバイスの生産方法、印刷配線、電子デバイス及びグラビア版
JP2022128289A (ja) グラビア版、グラビア印刷機及び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19006126A5 (ko)
JPH09141829A (ja) 電子部品の製造装置
JP2004058314A (ja) スクリーン印刷版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