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301B1 -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301B1
KR102594301B1 KR1020220014339A KR20220014339A KR102594301B1 KR 102594301 B1 KR102594301 B1 KR 102594301B1 KR 1020220014339 A KR1020220014339 A KR 1020220014339A KR 20220014339 A KR20220014339 A KR 20220014339A KR 102594301 B1 KR102594301 B1 KR 102594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ankment
gravure plate
vertical
axial directio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465A (ko
Inventor
신이치 코카와
히로유키 히라노
요시히로 카나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12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8Curved printing formes or printing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2Conveying or guiding webs through presse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0Forme cylinders
    • B41F13/11Gravure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8Impression cylinders
    • B41F13/187Impression cylinders for rotograv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9/00Rotary intaglio printing pr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Rotary Press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오목부 내의 페이스트 양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그라비어판을 제공한다.
페이스트(12)를 유지하는 오목부(13)가 외주면에 마련된 그라비어판(2)으로서, 오목부(13)의 내부에, 둘레방향에 대하여 축방향(Y)의 한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1 세로제방(15a)과, 제1 세로제방의 단부에 접속되고 다른 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2 세로제방(15b)이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제1 세로제방과 제2 세로제방의 접속부(151)가 축방향(Y)의 한쪽과 다른 쪽으로 교대로 볼록한 세로제방(15)과, 접속부(151)의, 축방향(Y)으로 볼록한 쪽으로부터 축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로제방(16)과, 가로제방의 선단에 마련되고 선단 측의 윤곽이, 그라비어판(2)의 외주면을 따른 절단면에서 곡선 형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 형성된 물결 형상인 전사 보조부(30)를 가지는 제방 구조(20)를 포함하며, 상기 제방 구조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제방 구조와 제2 제방 구조 사이는 서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셀로 분할되어 있다.

Description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GRAVURE PLATE, GRAVURE PRINTING PR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TYPE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 등의 적층형 전자부품을 제조하는 경우, 예를 들면 내부전극이 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세라믹 그린시트 등의 피전사(被轉寫) 시트에 전사하는 그라비어 인쇄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라비어 인쇄를 실시하는 그라비어 인쇄기는 전사 패턴 형상의 오목부가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그라비어판과, 그라비어판과의 사이에 피전사 시트를 협지(挾持)하여 피전사 시트를 그라비어판 측으로 가압하는 압동(壓胴)을 포함한다.
그라비어판이 회전하면, 하방에서 페이스트 공급부로부터 페이스트가 공급된 오목부는 서서히 상승하여, 피전사 시트가 협지된 위치에서 오목부 내의 페이스트는 피전사 시트에 전사된다.
전사 시, 오목부의 내부는 회전방향, 즉 전사방향의 선두 측 쪽이 후방 측보다 수평위치가 높은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오목부 내에 유지된 페이스트는 전사방향 뒷쪽으로 치우쳐 간다. 이 상태에서 페이스트가 피전사 시트에 전사되면, 전사방향의 선두 측 페이스트의 전사량이 후방 측보다 적어져, 전사된 페이스트에 긁힘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종래 오목부의 내부에 피전사 시트의 전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제방과, 전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제방을 마련하여 오목부 내를 복수개의 셀로 구획함으로써 페이스트의 후방으로의 치우침을 방지하는 기술이 존재한다. 또한, 가로제방이 각각 피전사 시트에 대한 페이스트의 전사 시작점이 되어, 전사된 페이스트에서의 긁힘의 발생이 저감된다.
그러나 오목부 내를 서로 독립된 복수개의 셀로 완전히 구획해 버리면, 오목부 내의 페이스트 양이 불균일한 경우, 전사된 페이스트의 두께가 불균일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종래, 가로제방에 극간을 마련하여 전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셀들을 일부 연통시키는 기술이 존재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320316호
본 발명은 가로제방에 극간을 마련하여 전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셀들을 일부 연통시키는 구조에서, 오목부 내의 페이스트 양의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원통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피전사 시트에 전사하는 페이스트를 유지하는 오목부가 외주면에 마련된 그라비어판으로서,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상기 그라비어판의 둘레방향에 대하여 축방향의 한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1 세로제방과, 상기 제1 세로제방의 단부(端部)에 접속되고 상기 둘레방향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다른 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2 세로제방이 상기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세로제방과 상기 제2 세로제방의 접속부가, 상기 축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으로 교대로 볼록한 세로제방과, 상기 접속부의, 상기 축방향으로 볼록한 쪽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로제방과, 상기 가로제방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선단 측의 윤곽이, 상기 그라비어판의 외주면을 따른 절단면에서 곡선 형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 형성된 물결 형상인 전사 보조부를 가지는 제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방 구조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제방 구조와 제2 제방 구조 사이는 서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셀로 분할된 그라비어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원통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피전사 시트에 전사하는 페이스트를 유지하는 오목부가 외주면에 마련된 그라비어판으로서,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상기 그라비어판의 둘레방향에 대하여 축방향의 한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1 세로제방과, 상기 제1 세로제방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둘레방향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다른 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2 세로제방이 상기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세로제방과 상기 제2 세로제방의 접속부가, 상기 축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으로 교대로 볼록한 세로제방과, 상기 접속부의, 상기 축방향으로 볼록한 쪽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로제방과, 상기 가로제방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선단 측의 윤곽이, 상기 그라비어판의 외주면을 따른 절단면에서 곡선 형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 형성된 물결 형상인 전사 보조부를 가지는 제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방 구조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제방 구조와 제2 제방 구조 사이는 서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셀로 분할된 그라비어판, 상기 페이스트가 저류된 페이스트 공급부, 및 상기 그라비어판과의 사이에 상기 피전사 시트를 협지하는 압동을 구비하는 그라비어 인쇄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원통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피전사 시트에 전사하는 페이스트를 유지하는 오목부가 외주면에 마련된 그라비어판으로서,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상기 그라비어판의 둘레방향에 대하여 축방향의 한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1 세로제방과, 상기 제1 세로제방의 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둘레방향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다른 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2 세로제방이 상기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세로제방과 상기 제2 세로제방의 접속부가 상기 축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으로 교대로 볼록한 세로제방과, 상기 접속부의, 상기 축방향으로 볼록한 쪽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로제방과, 상기 가로제방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선단 측의 윤곽이, 상기 그라비어판의 외주면을 따른 절단면에서 곡선 형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 형성된 물결 형상인 전사 보조부를 가지는 제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방 구조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제방 구조와 제2 제방 구조 사이는 서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셀로 분할된 그라비어판, 상기 페이스트가 저류된 페이스트 공급부, 및 상기 그라비어판과의 사이에 상기 피전사 시트를 협지하는 압동을 구비하는 그라비어 인쇄기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상기 그라비어판과 상기 압동 사이에 상기 피전사 시트를 삽입하고, 상기 압동에 의해 상기 피전사 시트를 상기 그라비어판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오목부에 유지된 상기 페이스트를 상기 피전사 시트에 전사하고, 상기 페이스트가 전사된 상기 피전사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적층체를 제조하며, 상기 적층체의 외면(外面)에 외부전극을 형성하는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가로제방에 극간을 마련하여 전사방향으로 인접하는 셀들을 일부 연통시키는 구조에서, 오목부 내의 페이스트 양의 균일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그라비어 인쇄기(1)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그라비어 인쇄기(1)를 이용하여 도전성 페이스트(12)가 전사된 세라믹 그린시트(3)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그라비어판(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오목부(13)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의 인쇄 긁힘의 발생 상태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오목부(13)의 변형예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그라비어 인쇄기(1), 그 그라비어 인쇄기(1)가 포함하는 그라비어판(2), 및 그라비어 인쇄기(1)를 이용한, 적층형 전자부품의 일례로서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그라비어 인쇄기(1)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그라비어 인쇄기(1)를 이용하여 도전성 페이스트(12)가 전사된 세라믹 그린시트(3)의 단면도이다.
그라비어 인쇄기(1)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내부전극이 되는 도전성 페이스트(12)를 피전사 시트인 세라믹 그린시트(3) 상에 전사하는 장치이다.
그라비어 인쇄기(1)는 도전성 페이스트(12)의 전사 패턴 형상의 오목부(13)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그라비어판(2)과, 도전성 페이스트(12)가 저류된 페이스트 공급부(11)와, 그라비어판(2) 사이에 세라믹 그린시트(3)를 협지하는 압동(4)과, 그라비어판(2)의 측부에 배치된 닥터 블레이드(14)를 포함한다. 이하, 그라비어판(2)에 대하여 페이스트 공급부(11)가 배치되어 있는 측을 아래로 한다. 압동(4)은 그라비어판(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라비어판(2) 및 압동(4)은 각각 화살표(5) 및 화살표(6)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로써, 세라믹 그린시트(3)는 화살표(7) 방향으로 반송된다.
(세라믹 그린시트(3))
도 2에 나타내는 세라믹 그린시트(3)는 세라믹스 분말, 바인더 및 용제를 포함하는 세라믹 슬러리(8)가 캐리어 필름(10) 상에서 다이 코터, 그라비어 코터, 마이크로그라비어 코터 등을 이용하여 시트 형상으로 성형된 띠 형상의 피전사 시트이다.
(그라비어판(2))
도 3은 그라비어판(2)의 사시도이다. 그라비어판(2)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축(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며, 원통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 부재를 가진다. 그라비어판(2)은 외주면에 세라믹 그린시트(3)에 전사되는 전사 패턴 형상에 대응한 복수개의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2개의 오목부(13)만 나타내지만, 오목부(13)는 그라비어판(2)의 외주면에서의 축방향(Y)과 전사방향(둘레방향)(X)으로 각각 대략 등간격으로 정렬 배치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 오목부(13)는 오목부(13)의 긴 쪽 방향이 그라비어판(2)의 전사방향(둘레방향)(X)을 향하고, 오목부(13)의 짧은 쪽 방향이 그라비어판(2)의 축(2A)과 평행한 축방향(Y)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13))
도 4는 하나의 오목부(13)의 확대도이다. 오목부(13)는 포토마스크 원판을 이용한 에칭이나 조각 등에 의해 형성되고, 복수개의 오목부(13)는 서로 동일한 형태이며, 그라비어판(2)의 축방향(Y)과 전사방향(둘레방향)(X)으로 일정 간격으로 정렬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오목부(13) 안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개의 제방 구조(20)가 마련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의 제방 구조(20)는 복수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이어도 된다. 제방 구조(2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페이스트 공급부(11))
도 1로 되돌아가, 페이스트 공급부(11)는 그라비어판(2)의 하방에 배치된, 도전성 페이스트(12)의 저류조이다. 도전성 페이스트(12)는 예를 들면, 도체 재료로서 0.03∼1㎛의 입자경을 가지는 Ni 분말을 포함한다. 또한, 바인더로서 수지가 사용된다. 추가로, 소결 시의 수축을 제어하기 위한 세라믹 재료, 분산제 등이 첨가되어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12)는 페이스트 공급부(11)에 저류되고, 그라비어판(2)의 하방 부분이 도전성 페이스트(12)에 침지되어 있다. 그로써, 그라비어판(2) 외주면의 오목부(13)에 도전성 페이스트(12)가 유지된다.
(닥터 블레이드(14))
그라비어판(2)의 측부에는 닥터 블레이드(14)가 배치되어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12)는 페이스트 공급부(11)에서 그라비어판(2)의 오목부(13)로 파고 들어가고, 그라비어판(2)의 회전에 의해 세라믹 그린시트(3)와의 접촉 부분까지 옮겨진다. 그 도중에 닥터 블레이드(14)가 그라비어판(2)의 표면에 프레싱되고, 닥터 블레이드(14)에 의해 그라비어판(2) 표면의 오목부(13) 이외의 부분에 부착된 도전성 페이스트(12)가 긁혀 떨어진다.
(압동(4))
압동(4)은 그라비어판(2) 상에 배치되고, 축(2A)과 대략 평행한 압동축(4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원통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 부재이다. 압동(4)의 외주면은 탄성 부재로 덮여 있다. 탄성 부재는 실리콘 고무나 우레탄 고무 등의 고무 부재 또는 수지재로 제조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탄성 재료로 제조되어도 된다.
압동(4)은 그라비어판(2)과의 사이에 세라믹 그린시트(3)를 협지하고, 세라믹 그린시트(3)를 그라비어판(2) 측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압동(4)은 탄성체이기 때문에 탄성 변형되고, 그라비어판(2)과 압동(4)의 접촉부는 소정의 닙폭(nip width)(N)을 가진다. 그라비어판(2)의 오목부(13)에 유지되어 있는 도전성 페이스트(12)는 이 닙폭(N)의 범위에서 세라믹 그린시트(3)에 전사된다. 실시형태에서는 그라비어판(2)의 오목부(13)의, 전사방향(둘레방향)(X)인 긴 쪽 방향의 치수(L)는 닙폭(N)보다 작다.
(제방 구조(20))
다음으로, 오목부(13) 내에 복수개 마련된 제방 구조(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하나의 오목부(13)의 확대도이다. 한편, 도 4에서 나타내는 전사방향(둘레방향)(X)은 도 1에 나타낸 화살표(5)로 나타낸 회전방향과 역방향이 된다. 오목부(13)의 도 4에서의 오른쪽 끝 쪽이 전사 시단(始端)이고 왼쪽 끝 쪽이 전사 종단(終端)이며, 전사 공정에서 오목부(13)의 세라믹 그린시트(3)와의 접촉 위치는 도 4의 오른쪽 끝 쪽에서 왼쪽 끝 쪽으로 이동한다.
각각의 제방 구조(20)는 전사방향(둘레방향)(X)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장되는 1개의 세로제방(15)과, 세로제방(15)으로부터 축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로제방(16(16a, 16b))을 포함한다.
이하, 적절히, 서로 이웃하는 제방 구조(20) 중 한쪽을 제1 제방 구조(20A), 다른 쪽을 제2 제방 구조(20B)로 하여 설명한다.
(세로제방(15))
세로제방(15)은 외주면의 전사방향(둘레방향)(X)의 한쪽인 시단 측에서 다른 쪽인 종단 측을 향해, 전사방향(둘레방향)(X)에 대하여 축방향(Y)의 한쪽으로 소정 각도(θ)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1 세로제방(15a)과, 제1 세로제방(15a)과의 제1 접속부(151A)로부터 전사방향(둘레방향)(X)에 대하여 축방향(Y)의 다른 쪽으로 소정 각도(-θ)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2 세로제방(15b)이 교대로 배치되고, 제1 세로제방(15a)과 제2 세로제방(15b)의 접속부(151(151A, 151B))가 축방향(Y)의 한쪽과 다른 쪽으로 교대로 볼록한 지그재그 형상이다. θ는 45도 이상 75도 미만이 바람직하고, 60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각도는 ±1도 정도의 오차를 포함한다.
(내부공간(S1))
또한, 제1 제방 구조(20A)와 제2 제방 구조(20B) 사이, 즉 제1 제방 구조(20A)의 세로제방(15A)과 제2 제방 구조(20B)의 세로제방(15B) 사이에는 전사방향(둘레방향)(X)으로 지그재그로 연장되는 내부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가로제방(16))
가로제방(16)은 축방향(Y)의 한쪽 측으로 볼록한 제1 접속부(151A)의 볼록부로부터 축방향(Y)의 그 한쪽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가로제방(16a)과, 축방향(Y)의 다른 쪽 측으로 볼록한 제2 접속부(151B)의 볼록부로부터 축방향(Y)의 그 다른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 가로제방(16b)을 포함한다.
(셀(17))
제1 제방 구조(20A)의 제2 제방 구조(20B)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가로제방(16a)과, 제2 제방 구조(20B)의 제1 제방 구조(20A)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 가로제방(16b)에 의해, 내부공간(S1)은 복수개의 셀(17)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방 구조(20A)의 제1 가로제방(16a)과 제2 제방 구조(20B)의 제2 가로제방(16b)은 도 4에 나타내는 축방향(Y)의 소정 길이의 범위(Y1)에서 겹쳐 있다.
(전사 보조부(30))
제1 가로제방(16a) 및 제2 가로제방(16b)의 선단에 각각 제방 형상의 전사 보조부(30)가 마련되어 있다.
전사 보조부(30)는 전사의 시작점을 보다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부분이며, 적어도 둘레방향(전사방향(X))의 폭이 가로제방(16)보다도 넓다. 실시형태에서 전사 보조부(30)의 그라비어판(2)의 외주면을 따른 절단면은 전사방향(X)이 긴 쪽 방향이 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단, 선단 측의 윤곽은 외주면을 따른 절단면에서 매끄러운 곡선 형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 형성된 물결 형상이다.
또한, 전사 보조부(30)의 물결 형상은 전사방향(X)의 도 4 중 우측인 시단 측의 커브가, 전사방향(X)의 도 4 중 좌측인 종단 측의 커브보다도 완만하다. 즉 전사 보조부(30)의 물결 형상은 전사방향(X)의 후단 측으로 볼록부가 치우친 형상이다. 한편, 오목부, 볼록부의 곡률은 동일해도 된다.
(극간(18))
제1 제방 구조(20A)의 전사 보조부(30)와 제2 제방 구조(20B)의 세로제방(15) 사이에는 극간(18)이 마련되어 있다.
(측면(131))
오목부(13)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전사방향(둘레방향)(X)으로 연장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131)을 포함한다. 제방 구조(20)와 측면(131) 사이에는 전사방향(둘레방향)(X)으로 연통되는 측부 공간(S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131)으로부터 제방 구조(20)의 세로제방(15)에서의, 그 측면(131) 측에 오목한 접속부(151)를 향해 측부 공간(S2) 내를 연장하는 측면 측 가로제방(21)이 마련되어 있다. 측면 측 가로제방(21)과 측부 공간(S2) 내를 연장하는 가로제방(16)에 의해, 측부 공간(S2)은 복수개의 셀(171)로 구획되어 있다.
(전사 보조부(30))
측면 측 가로제방(21)의 선단에도 전사 보조부(3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전사 보조부(30)와, 제방 구조(20)의 세로제방(15)의 접속부(151) 사이에는 극간(2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방 구조(20)로부터 측면(131)으로 연장되는 가로제방(16)의 선단에 마련된 전사 보조부(30)와 측면(131) 사이에는 극간(29)이 마련되어 있다.
즉, 제방 구조(20)와 측면(131)은 극간(28) 및 극간(29)에 의해 비접속으로 되어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12)의 전사 공정)
다음으로, 그라비어 인쇄기(1)를 이용한 세라믹 그린시트(3)에 대한 도전성 페이스트(12)의 전사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그라비어판(2)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된다. 그러면, 그라비어판(2)의 하부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스트 공급부(11) 내에 수용된 도전성 페이스트(12) 내에 침지되고, 그라비어판(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오목부(13)에 도전성 페이스트(12)가 유지된다.
그라비어판(2)의 외주면 상의 여분의 도전성 페이스트(12)는 그라비어판(2)이 회전하여 닥터 블레이드(14)를 통과할 때에 긁혀 떼어진다.
오목부(13) 내의 도전성 페이스트(12)는 그라비어판(2)이 회전에 의해 세라믹 그린시트(3)와의 접촉 위치까지 더 옮겨진다.
접촉 위치에서, 세라믹 그린시트(3)는 압동(4)에 의해 그라비어판(2)의 외주면으로 프레싱된다. 이 때, 그라비어판(2)의 오목부(13)에 충전되어 있는 도전성 페이스트(12)는 세라믹 그린시트(3)에 전사되어, 세라믹 그린시트(3)에 패턴 형상의 도전성 페이스트(12)가 인쇄된다.
여기서, 도 4에서는 화살표에 의해 도전성 페이스트(12)의 흐름 중 일부만 나타내지만, 오목부(13)의 전사 시단부가 접촉 위치로 이동했을 때, 오목부(13)의 내부는 전사방향(둘레방향)(X)의 선두 측 쪽이 후방 측보다 수평 위치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오목부(13) 내에 유지된 도전성 페이스트(12)는 전사방향(둘레방향)(X) 뒷쪽으로 유동되려고 한다.
(공간(S1, S2) 형상의 효과)
이 때, 내부공간(S1)에서 도전성 페이스트(12)는 지그재그 형상의 내부공간(S1)을 따라 전사방향(둘레방향)(X)의 시단 측에서 후단 측을 향해 구불구불하게 흐른다.
또한, 측부 공간(S2)에서 도전성 페이스트(12)는 제방 구조(20) 측의 측면이 지그재그 형상인 측부 공간(S2)을 따라, 전사방향(둘레방향)(X)의 시단 측에서 후단 측을 향해 구불구불하게 흐른다.
이와 같이 구불구불하게 감으로써, 도전성 페이스트(12)의 흐름 속도가 느려지고, 세라믹 그린시트(3)에 대한 전사 시에서의, 전사 시단 측에서의 도전성 페이스트(12)의 긁힘이 발생하기 어렵다.
(가로제방(16)의 효과)
또한, 내부공간(S1)은 가로제방(16)에 의해 복수개의 셀(17)로 구획되고, 측부 공간(S2)은 가로제방(16) 및 측면 측 가로제방(21)에 의해 복수개의 셀(171)로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도전성 페이스트(12)가 후방으로 유동되는 것이 더 방해된다. 또한, 가로제방(16) 및 측면 측 가로제방(21)이 각각 도전성 페이스트(12)의 세라믹 그린시트(3)에 대한 전사의 시작점이 되어, 전사된 도전성 페이스트(12)의 긁힘이 더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그라비어판(2)이 세라믹 그린시트(3)로부터 회전하면서 멀어질 때, 도전성 페이스트(12)의 코브웨빙(cobwebbing) 현상이 발생한다.
발생된 실은 전사방향(회전방향)(X)으로 이동하면서, 소정 각도(θ)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세로제방(15)의 측면 및 가로제방(16)의 측면을 따라 축방향(Y)으로도 구불구불하게 간다. 따라서, 실이 축방향(Y)에서의 일정 위치에서 계속 발생하는 경우에 비해, 도전성 페이스트(12)가 균일하게 도포된다.
(셀(17)들 및 셀(171)들이 연통되어 있는 효과)
예를 들면, 실시형태와 달리, 제1 제방 구조(20A)와 제2 제방 구조(20B)를 접속시키고, 제방 구조(20)와 측면(131)을 접속시켰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오목부(13)는 복수개의 셀(17) 및 셀(171)로 완전히 구획된다. 이 경우, 전사 시에, 서로 이웃하는 셀(17) 및 셀(171) 사이에서의 도전성 페이스트(12) 혹은 실의 유동이 생기지 않아, 셀(17) 및 셀(171) 내의 도전성 페이스트(12)의 양이 불균일한 경우, 전사된 도전성 페이스트(12)의 두께가 불균일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방 구조(20A)와 제2 제방 구조(20B)는 비접속이다.
즉, 제1 제방 구조(20A)의 전사 보조부(30)는 제2 제방 구조(20B)의 세로제방(15B)에 비접속이다.
그리고 전사 보조부(30)와 세로제방(15B) 사이에 극간(18)이 마련되어 전사방향(둘레방향)(X)으로 인접하는 셀(17)들은 일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제방 구조(20)와 측면(131)은 비접속이다.
즉, 제방 구조(20)로부터 연장되는 가로제방(16)과 측면(131) 사이에는 극간(29)이 마련되고, 측면(131)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면 측 가로제방(21)과, 제방 구조(20)의 가로제방(16) 및 전사 보조부(30) 사이에는 극간(28)이 마련되어 전사방향(둘레방향)(X)으로 인접하는 셀(171)들은 일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전사방향(둘레방향)(X)으로 서로 이웃하는 셀(17) 사이, 및 셀(171) 사이에서 도전성 페이스트(12)가 유동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도전성 페이스트(12)는 구획된 각 셀(17) 및 각 셀(171)을 충전하면서 유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사된 도전성 페이스트(12)의 두께 균일성이 향상된다.
(물결 형상의 효과)
또한, 그라비어판(2)이 회전에 의해 세라믹 그린시트(3)로부터 멀어질 때, 도전성 페이스트(12)는 세라믹 그린시트(3)와 그라비어판(2) 사이를 연결하도록 코브웨빙을 형성시킨다. 이 도전성 페이스트(12)의 실은 인쇄 시에 전사방향(인쇄방향)(X)으로 나아간다. 실시형태에서, 전사 보조부(30)의 선단 측의 윤곽은 외주면을 따른 절단면에서, 매끄러운 곡선 형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 형성된 물결 형상이다. 따라서, 실은 전사방향(인쇄방향)(X)으로 나아갈 때에 축방향(Y)으로 흔들리면서 인쇄된다. 이로써, 인쇄된 도전성 페이스트(12)의 균일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전사 보조부(30)의 물결 형상은 전사방향(X)의 시단 측의 커브가 전사방향(X)의 종단 측의 커브보다도 완만하다. 따라서, 도전성 페이스트(12)가 극간(18), 극간(28), 및 극간(29) 내를 전사방향(X)으로 유동할 때의 흐름이 매끄러워져, 흐름의 흐트러짐이 발생하기 어렵다.
(전사 보조부(30)의 효과)
한편, 극간(18), 극간(28), 및 극간(29)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만큼 도전성 페이스트(12)의 전사 시작점이 되는 가로제방(16) 및 측면 측 가로제방(21)이 짧아진다.
그러나 실시형태에서는 가로제방(16) 및 측면 측 가로제방(21)의 선단에 전사 보조부(30)가 마련되어 있다. 전사 보조부(30)는 가로제방(16)보다도 전사방향(X)의 폭이 넓다. 따라서, 전사 보조부(30)에 의해 전사의 시작점이 보충되므로, 전사의 시작점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긁힘의 발생이 저감된다.
(오목부 폭의 효과)
실시형태에서는 그라비어판(2)의 오목부(13)의 전사방향(둘레방향)(X)의 치수(L)는 닙폭(N)보다 작다.
따라서, 전사 시에 오목부(13) 전체가 세라믹 그린시트(3)에 접촉한 후에 세라믹 그린시트(3)가 그라비어판(2)으로부터 멀어진다. 이 때문에, 세라믹 그린시트(3)에 대한 도전성 페이스트(12)의 전사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라비어 인쇄기(1)를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도전성 페이스트(12)가 형성된 세라믹 그린시트(3)가 얻어진 후, 복수개의 세라믹 그린시트(3)가 적층되면서 압착되고, 필요에 따라 커팅되며 이어서 소성됨으로써 적층체가 제조된다. 그리고 적층체에 외부전극이 형성됨으로써 적층 세라믹 콘덴서가 제조된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전성 페이스트(12)는 전체에 걸쳐 긁힘 등이 없이 평활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착 공정에서 국부적으로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그 때문에 내부전극이 세라믹층을 통해 접촉하는 것과 같은 쇼트 불량을 일으키거나, 국부적으로 세라믹층의 두께가 얇아져서 절연 저항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험예)
다음으로, 오목부(13)의 내부 영역의 제방 형상이 다른 그라비어판(2)을 복수개 준비하고, 각각의 그라비어판(2)을 이용하여 그라비어 인쇄에 의해 내부전극을 100개 인쇄하고, 인쇄의 긁힘이 없는지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도면 중, 인쇄 긁힘이 100개 중 35개 이상 발생한 경우를 ×로 판정하고, 10개 이상 35개 미만을 △로 판정하며, 1개 이상 10개 미만을 ○로 판정하고, 0개를 ◎로 판정했다.
(비교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는 전사 보조부(3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다.
비교예 1은 전사방향(둘레방향)(X)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방뿐인 경우이다.
비교예 2는 지그재그 형상의 경사(θ)가 60도인 세로제방(15)만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비교예 3은 지그재그 형상의 경사(θ)가 60도인 세로제방(15)과, 가로제방(16)을 포함하고, 가로제방(16)은 세로제방(15)까지 연장되어서 셀(17)들이 연통되지 않은 경우이다.
비교예 4는 지그재그 형상의 경사(θ)가 60도인 세로제방(15)과, 가로제방(16)을 포함하고, 셀(17)들이 연통되어 있는 경우이다.
비교예 5부터 비교예 12는 지그재그 형상의 세로제방(15)과 가로제방(16)과 전사 보조부(30)를 포함하는데, 전사 보조부(30)는 물결 형상을 가지지 않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그리고 비교예 5부터 비교예 12는 세로제방(15)의 경사(θ)가 각각 다르다.
비교예 5는 θ가 45도, 비교예 6은 θ가 50도, 비교예 7은 θ가 55도, 비교예 8은 θ가 60도, 비교예 9는 θ가 65도, 비교예 10은 θ가 70도, 비교예 11은 θ가 75도인 경우, 비교예 12는 θ가 80도인 경우이다.
(실시예)
실시예 1부터 실시예 8은 지그재그 형상의 세로제방(15)과 가로제방(16)과 전사 보조부(30)를 포함하고, 전사 보조부(30)는 물결 형상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그리고 실시예 1부터 실시예 8은 세로제방(15)의 경사(θ)가 다르다.
실시예 1은 θ가 45도, 실시예 2는 θ가 50도, 실시예 3은 θ가 55도, 실시예 4는 θ가 60도, 실시예 5는 θ가 65도, 실시예 6은 θ가 70도, 실시예 7은 θ가 75도인 경우, 실시예 8은 θ가 80도인 경우이다.
(실험 결과)
비교예 1의 경우, 인쇄 긁힘은 100개 중 35개로 ×,
비교예 2의 경우, 인쇄 긁힘은 100개 중 25개로 △,
비교예 3의 경우, 인쇄 긁힘은 100개 중 18개로 △,
비교예 4의 경우, 인쇄 긁힘은 100개 중 21개로 △이었다.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비교로부터, 전사방향(둘레방향)(X)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방뿐인 경우보다도, 세로제방(15)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함으로써 인쇄 긁힘이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와 비교예 3과 비교예 4의 비교로부터, 가로제방(16)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인쇄 긁힘이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θ가 45도인 경우: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이 아닌 비교예 5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6개로 ○,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인 실시예 1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2개로 ○이었다.
θ가 50도인 경우: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이 아닌 비교예 6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4개로 ○,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인 실시예 2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1개로 ○이었다.
θ가 55도인 경우: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이 아닌 비교예 7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5개로 ○,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인 실시예 3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2개로 ○이었다.
θ가 60도인 경우: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이 아닌 비교예 8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0개로 ◎,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인 실시예 4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0개로 ◎이었다.
θ가 65도인 경우: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이 아닌 비교예 9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5개로 ○,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인 실시예 5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3개로 ○이었다.
θ가 70도인 경우: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이 아닌 비교예 10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7개로 ○,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인 실시예 6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1개로 ○이었다.
θ가 75도인 경우: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이 아닌 비교예 11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12개로 △,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인 실시예 7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12개로 △이었다.
θ가 80도인 경우: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이 아닌 비교예 12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31개로 △,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인 실시예 8의 인쇄 긁힘은 100개 중 31개로 △이었다.
비교예 8 및 실시예 4는 비교예 4에 대하여 전사 보조부(30)를 가지고 있는 점 이외에는 공통된 구조이다. 비교예 8에서는 인쇄 긁힘이 100개 중 0개로 ◎, 실시예 4에서는 인쇄 긁힘이 100개 중 0개로 ◎, 비교예 4는 인쇄 긁힘이 100개 중 21개로 △인 점으로부터, 전사 보조부(30)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인쇄 긁힘이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부터 실시예 8의 비교에 의해, 세로제방(15)의 경사(θ)는 45도 이상 75도 미만이 바람직하고, 60도 정도가 더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로제방(15)의 경사(θ)가 75도 이상인 경우는 전사방향(둘레방향)(X)과 수직인 가로제방(16)뿐인 경우와 다름 없어지고, 인쇄 긁힘 발생의 저감 효과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θ가 동일한 각도에서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비교에서,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인 실시예가, 전사 보조부(30)가 물결 형상이 아닌 비교예와 인쇄 긁힘의 개수가 적거나, 또는 동일했다. 이상으로부터, 전사 보조부(30)를 물결 형상으로 하는 것이 인쇄 긁힘 발생의 저감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변형예)
도 6은 변형예의 전사 보조부(13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가로제방(16a)과 제2 가로제방(16b)은 도 4에 나타내는 축방향(Y)의 소정 길이의 범위(Y1)에서 겹쳐 있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로제방(16a)과 제2 가로제방(16b)을 겹치지 않고, 제1 제방 구조(20A)의 전사 보조부(30)와 제2 제방 구조(20B)의 전사 보조부(30) 사이에 축방향(Y)의 소정 길이(Y2)의 간격을 마련해도 된다.
이 변형예의 구성이어도, 도전성 페이스트(12)가 교반되고, 도전성 페이스트(12)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1: 내부공간 S2: 측부 공간
1: 그라비어 인쇄기 2: 그라비어판
2A: 축 3: 세라믹 그린시트
4: 압동 11: 페이스트 공급부
12: 도전성 페이스트 13: 오목부
14: 닥터 블레이드 15: 세로제방
16: 가로제방 17, 171: 셀
18, 28, 29: 극간 20: 제방 구조
21: 측면 측 가로제방 30, 130: 전사 보조부
131: 측면 151: 접속부

Claims (6)

  1. 원통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피전사(被轉寫) 시트에 전사하는 페이스트를 유지하는 오목부가 외주면(外周面)에 마련된 그라비어판으로서,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상기 그라비어판의 둘레방향에 대하여 축방향의 한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1 세로제방과, 상기 제1 세로제방의 단부(端部)에 접속되고 상기 둘레방향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다른 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2 세로제방이 상기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세로제방과 상기 제2 세로제방의 접속부가 상기 축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으로 교대로 볼록한 세로제방과,
    상기 접속부의, 상기 축방향으로 볼록한 쪽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로제방과,
    상기 가로제방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선단 측의 윤곽이, 상기 그라비어판의 외주면을 따른 절단면에서 곡선 형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 형성된 물결 형상인 전사 보조부를 가지는 제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방 구조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제방 구조와 제2 제방 구조 사이는 서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셀로 분할되는, 그라비어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로제방 및 상기 제2 세로제방의, 상기 둘레방향에 대한 경사(θ)가 45도 이상 75도 미만인, 그라비어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제방은
    상기 축방향의 한쪽으로 볼록한 제1 접속부로부터 상기 한쪽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가로제방과,
    상기 축방향의 다른 쪽으로 볼록한 제2 접속부로부터 상기 다른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 가로제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방 구조의 상기 제1 가로제방과 상기 제2 제방 구조의 상기 제2 가로제방은 상기 그라비어판의 축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범위에서 겹치는, 그라비어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제방은
    상기 축방향의 한쪽으로 볼록한 제1 접속부로부터 상기 한쪽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가로제방과,
    상기 축방향의 다른 쪽으로 볼록한 제2 접속부로부터 상기 다른 쪽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 가로제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방 구조의 상기 제1 가로제방과 상기 제2 제방 구조의 상기 제2 가로제방은 상기 그라비어판의 축방향으로 소정 폭의 간격이 마련되는, 그라비어판.
  5. 원통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피전사(被轉寫) 시트에 전사하는 페이스트를 유지하는 오목부가 외주면(外周面)에 마련된 그라비어판으로서,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상기 그라비어판의 둘레방향에 대하여 축방향의 한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1 세로제방과, 상기 제1 세로제방의 단부(端部)에 접속되고 상기 둘레방향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다른 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2 세로제방이 상기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세로제방과 상기 제2 세로제방의 접속부가 상기 축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으로 교대로 볼록한 세로제방과,
    상기 접속부의, 상기 축방향으로 볼록한 쪽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로제방과,
    상기 가로제방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선단 측의 윤곽이, 상기 그라비어판의 외주면을 따른 절단면에서 곡선 형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 형성된 물결 형상인 전사 보조부를 가지는 제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방 구조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제방 구조와 제2 제방 구조 사이는 서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셀로 분할된 그라비어판,
    상기 페이스트가 저류된 페이스트 공급부, 및
    상기 그라비어판과의 사이에 상기 피전사 시트를 협지(挾持)하는 압동(壓胴)을 구비하는, 그라비어 인쇄기.
  6. 원통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피전사(被轉寫) 시트에 전사하는 페이스트를 유지하는 오목부가 외주면(外周面)에 마련된 그라비어판으로서,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
    상기 그라비어판의 둘레방향에 대하여 축방향의 한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1 세로제방과, 상기 제1 세로제방의 단부(端部)에 접속되고 상기 둘레방향에 대하여 상기 축방향의 다른 쪽으로 기울어서 연장되는 제2 세로제방이 상기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세로제방과 상기 제2 세로제방의 접속부가 상기 축방향의 한쪽과 다른 쪽으로 교대로 볼록한 세로제방과,
    상기 접속부의, 상기 축방향으로 볼록한 쪽으로부터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가로제방과,
    상기 가로제방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선단 측의 윤곽이, 상기 그라비어판의 외주면을 따른 절단면에서 곡선 형상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반복 형성된 물결 형상인 전사 보조부를 가지는 제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방 구조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제방 구조와 제2 제방 구조 사이는 서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셀로 분할된 그라비어판,
    상기 페이스트가 저류된 페이스트 공급부, 및
    상기 그라비어판과의 사이에 상기 피전사 시트를 협지(挾持)하는 압동(壓胴)을 구비하는 그라비어 인쇄기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상기 그라비어판과 상기 압동 사이에 상기 피전사 시트를 삽입하고,
    상기 압동에 의해 상기 피전사 시트를 상기 그라비어판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오목부에 유지된 상기 페이스트를 상기 피전사 시트에 전사하며,
    상기 페이스트가 전사된 상기 피전사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적층체를 제조하고,
    상기 적층체의 외면(外面)에 외부전극을 형성하는,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220014339A 2021-02-22 2022-02-03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KR102594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26744A JP2022128292A (ja) 2021-02-22 2021-02-22 グラビア版、グラビア印刷機及び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JP-P-2021-026744 2021-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465A KR20220120465A (ko) 2022-08-30
KR102594301B1 true KR102594301B1 (ko) 2023-10-26

Family

ID=83061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339A KR102594301B1 (ko) 2021-02-22 2022-02-03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128292A (ko)
KR (1) KR102594301B1 (ko)
CN (1) CN217455295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2991B2 (ja) 2004-09-29 2007-11-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123301B2 (ja) 2003-04-17 2008-07-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3301B2 (ja) 2003-04-17 2008-07-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012991B2 (ja) 2004-09-29 2007-11-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455295U (zh) 2022-09-20
JP2022128292A (ja) 2022-09-01
KR20220120465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8332B2 (ja) グラビアロールおよびグラビア印刷機
US7063014B2 (en) Photogravure pr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ceramic electronic component
KR101328319B1 (ko) 적층형 전자부품 제조를 위한 그라비아 인쇄장치 및 그라비아 인쇄장치를 사용한 적층형 전자부품
KR102594301B1 (ko)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JP5454440B2 (ja) 印刷用凹版及び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114255994A (zh) 层叠陶瓷电容器
JP2009172949A (ja) グラビア印刷版および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2668051B1 (ko)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CN217197336U (zh) 凹版及凹版印刷机
KR20220120476A (ko)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기 및 적층형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CN217455296U (zh) 凹版及凹版印刷机
CN217197339U (zh) 凹版及凹版印刷机
CN217197338U (zh) 凹版及凹版印刷机
CN217455294U (zh) 凹版及凹版印刷机
JP2022128286A (ja) グラビア版、グラビア印刷機及び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229044B2 (ja) グラビア印刷用版、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グラビア印刷装置
JP4162034B2 (ja)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3252763B2 (ja) 電子部品の製造装置
KR20190110408A (ko) 그라비아 롤러
JP2022128284A (ja) グラビア版、グラビア印刷機及び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112918077B (zh) 凹版印刷版和使用该凹版印刷版的凹版印刷装置
JP2022128285A (ja) グラビア版、グラビア印刷機及び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048888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グラビア印刷版
KR20240048486A (ko) 그라비어판, 그라비어 인쇄 장치 및 그라비어 인쇄 방법
JP2007296861A (ja) グラビアロール、グラビア印刷機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