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678B1 - 정보 기기 - Google Patents

정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678B1
KR101755678B1 KR1020100112098A KR20100112098A KR101755678B1 KR 101755678 B1 KR101755678 B1 KR 101755678B1 KR 1020100112098 A KR1020100112098 A KR 1020100112098A KR 20100112098 A KR20100112098 A KR 20100112098A KR 101755678 B1 KR101755678 B1 KR 101755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latch
switch
powe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194A (ko
Inventor
신이치 요시에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02J9/007Detection of the absence of a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CPU를 포함하는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어 있을 때에, 래치 회로의 래치 해제에 의해서, 직류 전력의 내부 회로로의 공급이 재개되는 정보 기기에 있어서, 정보 기기의 소형화와, 래치 해제 시간의 단축을 양립한다.
프린터는, CPU(17)와, 택트 스위치(12)와, 평활 콘덴서(13)와, 스위치 회로(14)와, 래치 회로(15a)를 갖는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와, 전위차 검출 회로(16)를 구비한다. 래치 회로(15a) 및 전위차 검출 회로(16)는, 전압 Vin2에 의해서 동작한다. CPU(17)는 동작 모드가 전력 공급 모드로부터 전력 차단 모드로 이행할 때에, 래치 개시 신호(VLT)를 출력한다. 전위차 검출 회로(16)는,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가 되었을 때에, 래치 해제 신호(VRST)를 출력한다. 래치 회로(15a)는 래치 해제 신호(VRST)가 입력되었을 때에, 래치 해제한다.

Description

정보 기기{INFORMATION DEVICE}
본 발명은 정보 기기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등의 이른바 소형 정보 기기로는, 외부에 접속된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에 의해서 동작하는 타입의 것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서, 정보 기기에 대하여, 전원 스위치가 온 상태이더라도, 정보 기기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고, 주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CPU를 포함하는 내부 회로, 즉 전력의 소비량이 비교적 많은 부위에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사용 제품에 대해서 친환경 설계를 의무화하는 ErP 지령(Directive on Eco-Design of Energy Related Products)에서는, 오프 모드, 즉 기기가 상업용 전원에 연결되어 있지만, 어떠한 기능도 제공하지 않고 있는 동작 상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0.5(W)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오프 모드를 구비한 정보 기기에서는,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전력 공급 차단 회로로서,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나, 이 스위치 회로를 열림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래치 회로가 구비된다. 또한, 이 정보 기기에는, 전원 전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평활 콘덴서나, 이 평활 콘덴서의 잔류 전하를 필요에 따라 방전시키기 위한, 방전 저항을 포함한 방전 회로도 구비된다. 한편, 평활 콘덴서로서는, 비교적 대용량의 콘덴서가 이용된다.
이러한 정보 기기에서는,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때에, 예컨대 CPU로부터 래치 회로로 래치 개시 신호가 입력되고, 래치 회로는 래치 개시 신호를 래치한다. 그리고, 래치 회로는, 래치 개시 신호를 래치하고 있는 기간에, 스위치 회로를 열림 상태로 유지할 스위치 제어 신호를 스위치 회로로 출력한다. 스위치 회로는, 이 스위치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기간에, 즉 래치 회로가 래치 개시 신호를 래치하고 있는 기간에, 열림 상태를 유지하여,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한다. 한편, 이 상태로부터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재개시키기 위해서는, 일단, 정보 기기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전환한 후에, 온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이하와 같다.
즉, 스위치 회로가 열림 상태이고,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고 있을 때에, 정보 기기의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방전 회로가 동작함으로써, 평활 콘덴서의 잔류 전하가 방전된다. 그 후, 이 잔류 전하의 방전에 의해서, 평활 콘덴서의 양 단자 사이의 전압이 래치 회로의 동작 전압 미만으로 저하되면, 래치 회로에서의 래치 개시 신호의 래치가 해제된다(래치 해제). 이 래치 해제에 의해서, 스위치 회로가 닫힘 상태로 되고, 다시 전원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CPU를 포함한 내부 회로에 직류 전력이 공급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6-16656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5-312162호 공보
그런데, 정보 기기의 유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재개시키기 위해서, 전원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전환된 직후에 온 상태로 되돌리는 조작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평활 콘덴서의 잔류 전하가 충분히 방전되지 않아서, 래치 회로의 래치 해제가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전원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어도, 스위치 회로는 열림 상태 그대로 있기 때문에, 내부 회로에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없어서, 내부 회로는 동작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방전 회로에 구비되는 방전 저항으로서, 저항값이 가능한 한 작고 허용 손실이 가능한 한 큰 저항기를 이용함으로써, 래치 해제에 요하는 시간(래치 해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성을 갖는 저항기는, 일반적으로 외형 치수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이러한 저항기를 방전 저항으로서 이용하는 것은 정보 기기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상술한 특성을 갖는 저항기는 정보 기기에의 탑재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CPU를 포함하는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고 있을 때, 래치 회로의 래치 해제에 의해서, 직류 전력의 내부 회로로의 공급이 재개되는 정보 기기에 있어서, 정보 기기의 소형화와, 래치 해제 시간의 단축을 양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외부에 접속된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에 의해서 동작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동작 모드로서, 상기 제어부에 상기 직류 전력이 공급되는 제 1 동작 모드와, 상기 제어부로의 상기 직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는 제 2 동작 모드를 갖는 정보 기기로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와 조작부를 가진 전원 스위치로서, 상기 입력 단자가 상기 전원 장치에 접속되어서, 상기 조작부의 자세를,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의 접속 상태가 온(on) 상태로 되는 제 1 자세와, 상기 접속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되는 제 2 자세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접속 상태가 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전환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한, 상기 조작부의 자세 및 상기 접속 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전원 스위치와,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단자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단자가 접지된 평활 콘덴서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로의 상기 직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래치 개시 신호를 래치하는 래치 회로를 갖고, 적어도 상기 래치 회로에서의 상기 래치 개시 신호의 래치 상태에 기초해서, 상기 제어부로의 상기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 회로로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와,
상기 전원 스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접속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 상기 래치 회로에서의 상기 래치 개시 신호의 래치를 해제할 래치 해제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로 출력하는 래치 해제 신호 생성부
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 회로 및 상기 래치 해제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기 출력 단자, 또는 상기 평활 콘덴서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직류 전력에 의해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 1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동작 모드로 이행할 때에, 상기 래치 개시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로 출력하며,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래치 회로에 상기 래치 해제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래치 개시 신호의 래치를 해제하고,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있을 때에, 열림 상태(open)로 되고,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있지 않을 때에, 닫힘 상태(close)로 되는
정보 기기.
여기서, 전원 스위치의 입력 단자와 전원 장치, 전원 스위치의 출력 단자와 평활 콘덴서의 제 1 단자, 전원 스위치의 출력 단자와 스위치 회로는, 반드시 직접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각각의 사이에, 저항기 등, 다른 회로 소자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적용예 1의 정보 기기에 있어서는, 동작 모드가 제 2 동작 모드이고, 스위치 회로가 열림 상태인 경우에는, 이하 같은 거동으로 된다.
1) 전원 스위치의 조작부의 자세가 제 1 자세로부터 제 2 자세로 전환되고,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접속 상태가 오프 상태로 된다
2) 래치 해제 신호 생성부가,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을 검출하여, 래치 해제 신호를, 래치 회로를 갖는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로 출력한다.
3) 래치 회로는 래치 해제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래치 해제를 행한다.
이 때문에, 래치 회로는 평활 콘덴서의 잔류 전하가 충분히 방전되지 않고, 평활 콘덴서의 양 단자 사이의 전압이 래치 회로의 동작 전압 미만으로 저하되어 있지 않아도, 래치 해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적용예의 정보 기기에서는, 래치 해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앞에 설명한, 저항값이 작고, 허용 손실이 큰 저항기를 방전 저항으로서 이용할 필요가 없다. 즉, 본 적용예에 의해서, 정보 기기의 소형화와, 래치 해제 시간의 단축을 양립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접속 상태가 온 상태이다」(간단히, 「전원 스위치가 온 상태이다」라고도 한다)라는 것은, 적어도, 전원 스위치의 조작부의 자세가 제 1 자세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전원 스위치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접속 상태가 오프 상태이다」(간단히,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다」라는 것은 적어도, 전원 스위치의 조작부의 자세가 제 2 자세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적용예 2]
적용예 1에 기재된 정보 기기로서,
상기 래치 해제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의 전위차를 검출하여, 상기 전위차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접속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하고, 상기 래치 해제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로 출력하는 전위차 검출 회로를 구비하는
정보 기기.
적용예 2의 정보 기기에서는, 이하와 같은 거동이 된다.
1) 동작 모드가 제 2 동작 모드이고, 스위치 회로가 열림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전원 스위치의 조작부의 자세가 제 1 자세로부터 제 2 자세로 전환되고,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접속 상태가 오프 상태로 된다.
2) 평활 콘덴서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접속된 회로 소자의 소비 전류에 의해서, 평활 콘덴서의 잔류 전하가 방전된다.
3) 상기 평활 콘덴서의 양 단자 사이의 전압이 저하되어, 전원 스위치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전위차가 생긴다.
4) 전위차 검출 회로가, 전원 스위치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사이의 전위차를 검출한다.
5) 이 전위차가 소정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하여, 래치 해제 신호를, 래치 회로를 가진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로 출력한다.
[적용예 3]
적용예 2에 기재된 정보 기기로서,
상기 평활 콘덴서의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래치 회로의 전원 단자 사이는 저항기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저항기의 저항값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접속 상태가 오프 상태로 되었을 때, 평활 콘덴서의 잔류 전하가 소정 시간 내에 방전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 기기.
상기 저항기의 저항값을 높은 값으로 한 경우에는, 상기 저항기에 의한 소비 전류가 작아진다. 이 때문에,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평활 콘덴서의 양 단자 사이의 전압의 저하가 늦어진다(평활 콘덴서의 잔류 전하의 방전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전위차 검출 회로가 전원 스위치의 입력 단자와 평활 콘덴서가 접속된 출력 단자 사이에 상기 소정값 이상의 전위차가 생긴 것을 검출하여, 래치 해제 신호를 출력하기까지 긴 시간이 걸린다.
한편, 상기 저항기의 저항값을 낮은 값으로 한 경우에는, 제 2 동작 모드일 때에만 상기 저항기에 전류를 흘리도록 한다. 이로써, 제 1 동작 모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의 평활 콘덴서의 잔류 전하의 방전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적용예 3의 정보 기기에서는, 평활 콘덴서의 방전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저항기의 저항값을 설정한다. 이로써,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전위차 검출 시간, 즉 전원 스위치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상기 소정값 이상의 전위차가 생기기까지의 시간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저항기의 저항값이, 제 2 동작 모드에서 허용되는 전류값의 상한값이 되도록 설정되면,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전원 스위치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의 전위차가 소정값 이상이 되기까지의 시간이 가장 단축된다. 한편, 제 2 동작 모드에 있어서 허용되는 전류값은, 저소비 전력의 관점에서는 낮을수록 바람직하지만, 제품 기능의 관점에서는, 전위차 검출 시간을 짧게 하기 위해서 크게 하고 싶은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한값은 다양한 종류의 법령이나 규제, 제품 사양에 의해서 규정되는 경우도 있다.
[적용예 4]
적용예 2 또는 3에 기재된 정보 기기로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 1 동작 모드인 기간,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에 래치 해제 금지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 1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동작 모드로 이행할 때에, 상기 래치 해제 금지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는, 또한
상기 래치 해제 금지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기간, 상기 래치 회로로의 상기 래치 해제 신호의 입력을 금지하는 래치 해제 금지 회로를 구비한
정보 기기.
동작 모드가 제 1 동작 모드인 경우, 전원 스위치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의 전위차는, 전원 스위치가 온 상태이더라도, 예컨대 전원 스위치에 있어서의 접점 부재의 황화(硫化)나 실록산 부착 등의 접점의 열화에 의해, 접점 저항이 증대되는 것에 기인하여, 소정값 이상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도, 전위차 검출 회로는,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와 같이, 래치 해제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문에,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에, 소망하지 않는 래치 해제 신호가 입력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적용예 4의 정보 기기에서는,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가 래치 해제 금지 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소망하지 않은 래치 해제 신호가 입력된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적용예 5]
적용예 4에 기재된 정보 기기로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는 OR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OR 회로에는, 적어도, 상기 래치 회로로부터 상기 래치 개시 신호를 래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 및 상기 래치 해제 금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래치 해제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OR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로서 출력하는
정보 기기.
앞에 설명한 적용예 4의 정보 기기에서는, 동작 모드가 제 2 동작 모드인 경우에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래치 해제 신호에 의해서 래치 회로가 래치 해제되기 때문에, 스위치 회로는 닫힘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더라도, 평활 콘덴서로부터 제어부로 전류가 흘러서, 제어부가 오동작할 염려가 있다. 이에 비해서, 적용예 5의 정보 기기에서는,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가 상기 OR 회로를 구비하기 때문에, 동작 모드가 제 2 동작 모드인 경우에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어도, 상기 래치 해제 금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래치 해제 신호에 의해서,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에서, 제어부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스위치 제어 신호가 계속 생성되기 때문에, 스위치 회로를 열림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어부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적용예 6]
적용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기기로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정보 기기에 있어서의 소정의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에러 검출부는, 상기 에러를 검출했을 때에, 상기 래치 개시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로 출력하는
정보 기기.
적용예 6의 정보 기기에서는, 에러 검출부에 의해서 소정의 에러가 검출되었을 때에,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는, 래치 회로가 래치 개시 신호를 래치함으로써, 제어부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에러 검출부에 의해서 소정의 에러가 검출되었을 때에, 스위치 회로를 열림 상태로 하여, 제어부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에서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 이 고장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에러 검출부가 검출하는 소정의 에러로서는, 예컨대, 과전압 에러나, 저전압 에러나, 단락 에러 등, 전원재 투입에 의해서 복귀될 가능성이 있는 에러를 들 수 있다.
[적용예 7]
적용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기기로서,
상기 정보 기기는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기.
프린터는, 비교적 소형인 정보 기기이기 때문에, 본 적용예가 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정보 기기로서의 구성 이외에, 정보 기기의 제어 방법의 발명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로서의 정보 기기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실시예 1의 프린터(10)가 구비하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의 프린터(10)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4는 종래의 프린터가 구비하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종래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6은 실시예 2의 프린터가 구비하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실시예 2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8은 실시예 3의 프린터가 구비하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실시예 3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0은 변형예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실시예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A. 실시예 1:
A1.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로서의 정보 기기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컴퓨터 시스템(100)은 퍼스널 컴퓨터(PC)와, 본 발명의 정보 기기로서의 프린터(10)를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10)에는, 전원 케이블(22)을 통해서 AC 어뎁터(20)가 접속되어 있다. AC 어뎁터(20)는, 전원 케이블(24)을 통해서 상업용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AC 어뎁터(20)는 상업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로 변환하고, 이 직류 전력을 프린터(10)에 공급한다. AC 어뎁터(20)는 전원 장치에 상당한다.
프린터(10)에는, 또한 프린터 케이블(30)을 통해서, 퍼스널 컴퓨터(PC)가 접속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PC)에는, 키보드(KB)나, 마우스(MS)나, 디스플레이(DP)가 접속되어 있다. 프린터(10)는 퍼스널 컴퓨터(PC)로부터 인쇄 잡(job)이 투입되었을 때에 인쇄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10)는,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서, 동작 모드로서, CPU를 포함하는 내부 회로에 AC 어뎁터(20)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통상의 동작 모드인 전력 공급 모드와,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는 전력 차단 모드(오프 모드)를 갖고 있다. 그리고, 장시간, 퍼스널 컴퓨터(PC)로부터 프린터(10)로 인쇄 잡이 투입되지 않은 경우에, 동작 모드가 전력 공급 모드로부터 전력 차단 모드로 전환된다. 동작 모드가 전력 공급 모드로부터 전력 차단 모드로 전환되기까지의 시간은 프린터(10)의 유저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동작 모드가 전력 공급 모드로부터 전력 차단 모드로 전환될 때의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의 차단은 전력 공급 차단 회로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 전력 공급 차단 회로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술한다. 한편, 전력 공급 모드로는, 인쇄 실행시의 비교적 소비 전력이 높은 동작 모드인 보통 모드와, 인쇄 실행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인쇄 잡의 투입을 대기하고 있을 때의 비교적 소비 전력이 낮은 동작 모드인 전력 절약 모드가 포함된다.
A2.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구성:
도 2는, 실시예 1의 프린터(10)가 구비하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 공급 차단 회로는, 택트 스위치(12)와, 평활 콘덴서(13)와, 저항기(13R)와, 스위치 회로(14)와,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와, 전위차 검출 회로(16)를 구비한다.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는 래치 회로(15a)를 구비하고 있다. 래치 회로(15a)는 접지되어 있다.
택트 스위치(12)는, 입력 단자(12a)와, 출력 단자(12b)와, 조작부(12c)를 구비하고 있다. 택트 스위치(12)는, 조작부(12c)의 자세를, 입력 단자(12a)와 출력 단자(12b)의 접속 상태(이하, 간단히 접속 상태라고도 한다)가 온 상태로 되는 제 1 자세와, 접속 상태가 오프 상태로 되는 제 2 자세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조작에 의해서,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이다. 택트 스위치(12)는, 전환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한, 조작부(12c)의 자세 및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입력 단자(12a)는 AC 어뎁터(20)에 접속되어 있다.
평활 콘덴서(13)는 제 1 단자(13a)와, 제 2 단자(13b)를 갖고 있다. 제 1 단자(13a)는, 택트 스위치(12)의 출력 단자(12b)에 접속되어 있고, 제 2 단자(13b)는 접지되어 있다. 평활 콘덴서(13)는 전압 Vin2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콘덴서이다. 이 평활 콘덴서(13)로서는, 비교적 대용량의 콘덴서가 이용된다.
저항기(13R)는 평활 콘덴서(13)의 제 1 단자(13a)와, 래치 회로(15a)의 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저항기(13R)는,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평활 콘덴서(13)의 잔류 전하를, 래치 회로(15a)를 통해서 방전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리고, 이 저항기(13R)의 저항값은 평활 콘덴서(13)의 잔류 전하의 방전시의 소비 전력 및 방전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항기(13R)의 저항값은 상기 방전시의 소비 전력이 0.5(W) 이하(ErP 지령의 상한값)로 되는 범위 내에서, 방전 시간이 최단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스위치 회로(14)는, 택트 스위치(12)의 출력 단자(12b)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회로(14)는,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로부터 입력된 스위치 제어 신호(VSC)에 기초해서, CPU(17) 및 에러 검출 회로(18)를 포함하는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한다. 스위치 회로(14)는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스위치 제어 신호(VSC)가 입력되고 있을 때, 열림 상태가 된다. 또한, 스위치 회로(14)는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스위치 제어 신호(VSC)가 입력되고 있지 않을 때, 닫힘 상태가 된다. 스위치 회로(14)를 통과한 직류 전력은 도시하지 않은 DC/DC 컨버터에 의해서 전압 변환되어(전압 Vcc), CPU(17)나, 에러 검출 회로(18)에 공급된다. 스위치 회로(14)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등을 포함하고 있다.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는, CPU(17) 또는 에러 검출 회로(18)로부터 입력된 래치 개시 신호(VLT)와, 전위차 검출 회로(16)로부터 입력된 래치 해제 신호(VRST)에 기초해서, 스위치 제어 신호(VSC)를 생성하고, 이 스위치 제어 신호(VSC)를 스위치 회로(14)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는, 래치 회로(15a)에 래치 개시 신호(VLT)가 입력되고, 래치 회로(15a)에 래치 개시 신호(VLT)가 래치되고 있는 기간에,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스위치 제어 신호(VSC)를 생성한다. 래치 회로(15a)는, 래치 해제 신호(VRST)가 입력되었을 때, 래치 해제한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는, 래치 회로(15a)에 래치 개시 신호(VLT)가 래치되고 있지 않은 기간은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스위치 제어 신호(VSC)를 생성하지 않는다. 한편, 래치 회로(15a)는, 저항기(13R)를 통해서, AC 어뎁터(20)로부터 입력된, 택트 스위치(12)의 후단의 전압 Vin2에 의해서 동작한다.
전위차 검출 회로(16)는 택트 스위치(12)의 입력 단자(12a)와 출력 단자(12b) 사이의 전위차 ΔV(Vin1-Vin2)를 검출하여, 양 단자 사이의 전위차가 소정값 이상(예컨대, 1(V) 이상)인 경우에, 래치 해제 신호(VRST)를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에 출력한다. 즉, 전위차 검출 회로(16)는,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로 되고, 택트 스위치(12)의 입력 단자(12a)와 출력 단자(12b) 사이의 전위차 ΔV가 소정값 이상이 된 경우에, 래치 해제 신호(VRST)를 출력한다.
CPU(17)은 동작 모드가 전력 공급 모드로부터 전력 차단 모드로 이행할 때, 래치 개시 신호(VLT)를 전위차 검출 회로(16)로 출력한다. 에러 검출 회로(18)는, 프린터(10)의 동작 모드가 전력 공급 모드인 경우에, 프린터(10)의 내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에러를 검출하고, 이 에러를 검출했을 때에,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에 래치 개시 신호(VLT)를 출력한다. 에러 검출 회로(18)가 검출하는 에러로서는, 예컨대, 과전압 에러나, 저전압 에러나, 단락 에러 등을 들 수 있다. CPU(17) 및 에러 검출 회로(18)는 [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의 제어부에 상당한다.
A3.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
도 3은 실시예 1의 프린터(10)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인 시각 t0에 있어서, 택트 스위치(12)의 조작부(12c)의 자세가 제 2 자세로부터 제 1 자세로 전환되고, 택트 스위치(12)가 온 상태가 되면, 전압 Vin2이 상승하고, 프린터(10)의 동작 모드는 전력 공급 모드가 된다.
그 후, CPU(17)는, 타이머를 참조하여, 퍼스널 컴퓨터(PC)로부터 인쇄 잡이 투입되지 않는 채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시각 t1에 있어서, 프린터(10)의 동작 모드를 전력 공급 모드로부터 전력 차단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서, 래치 개시 신호(VLT)를 출력한다. 이 래치 개시 신호(VLT)를 래치 회로(15a)가 래치하면(래치 상태:래치 유효),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는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스위치 제어 신호(VSC)를 스위치 회로(14)에 출력한다. 이 스위치 제어 신호(VSC)가 스위치 회로(14)에 입력되면, 스위치 회로(14)는, 열림 상태가 된다. 스위치 회로(14)가 열림 상태가 되어,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 후에는,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온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 프린터(10)의 동작 모드는 전력 차단 모드 그대로이다.
프린터(10)의 동작 모드를 전력 차단 모드로부터 전력 공급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시각 t3에 있어서, 택트 스위치(12)의 조작부(12c)의 자세가 제 1 자세로부터 제 2 자세로 전환되고,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로 되면, 평활 콘덴서(13)의 잔류 전하가, 저항기(13R)나 래치 회로(15a) 등을 통해서 방전되기 때문에, 평활 콘덴서(13)의 양 단자 사이의 전압(전압 Vin2)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택트 스위치(12)의 입력 단자(12a)와 출력 단자(12b) 사이에는 전위차가 생긴다. 전위차 검출 회로(16)는, 택트 스위치(12)의 입력 단자(12a)와 출력 단자(12b) 사이의 전위차가 소정값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하여, 래치 해제 신호(VRST)를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에 출력한다. 이 래치 해제 신호(VRST)가 래치 회로(15a)에 입력되어, 래치 해제되면(래치 상태:무효),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는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스위치 제어 신호(VSC)의 출력을 정지한다. 스위치 회로(14)는,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스위치 제어 신호(VSC)의 입력이 정지되면, 닫힘 상태로 된다.
그리고, 시각 t4에 있어서, 택트 스위치(12)의 조작부(12c)의 자세가 제 2 자세로부터 제 1 자세로 전환되고, 택트 스위치(12)가 온 상태로 되면, 프린터(10)의 동작 모드는, 전력 공급 모드로 복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시각 t3으로부터 시각 t4까지의 시간 간격은 예컨대, 0.5초 정도로, 택트 스위치(12)에 있어서의 조작부(12c)의 전환 시간으로서는 비교적 짧은 시간이다. 따라서, 시각 t3으로부터 시각 t4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평활 콘덴서(13)의 잔류 전하는 저항기(13R)나 래치 회로(15a) 등을 통해서 방전되지만, 시각 t4에 있어서, 전압 Vin2은 래치 회로(15a)의 동작 전압 미만으로는 저하되지 않는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린터(10)의 동작 모드가 전력 공급 모드인 경우, 에러 검출 회로(18)는 프린터(10)의 내부에서의 소정의 에러를 검출하고, 이 에러를 검출했을 때에,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에 래치 개시 신호(VLT)를 출력한다. 이 경우에는,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전력 공급 차단 회로는 시각 t1에 있어서, CPU(17)로부터 래치 개시 신호(VLT)가 출력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동작하여, 프린터(10)의 동작 모드가 전력 공급 모드로부터 전력 차단 모드로 전환된다.
A4. 효과:
여기서, 실시예 1의 프린터(10)가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를 구비하는 것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동작 모드로서, 전력 공급 모드와, 전력 차단 모드를 갖는 종래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프린터가 구비하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와 도 2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전력 공급 차단 회로는 방전 저항(R)과 스위치 회로(SW)를 가진 방전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 전위차 검출 회로(16)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점 및 에러 검출 회로(18)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 실시예 1의 프린터(10)가 구비하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와 다르다. 한편, 방전 회로는 택트 스위치(12)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동작하여, 평활 콘덴서(13)의 잔류 전하를 방전하기 위한 회로이다.
도 5는 종래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시각 t0으로부터 시각 t3까지의 동작은 실시예 1의 프린터(10)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과 같다(도 3 참조).
종래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에서는, 시각 t3에 있어서,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로 되면, 방전 회로가 동작하여, 평활 콘덴서(13)의 잔류 전하가 방전된다. 그 후, 시각 t5에 있어서, 평활 콘덴서(13)의 양 단자 사이의 전압(전압 Vin2)이 래치 회로(15Ra)의 동작 전압 미만으로 저하되면, 래치 회로(15Ra)의 래치 해제가 이루어진다(래치 상태:무효). 이 래치 해제에 의해서, 스위치 회로(14)가 닫힘 상태로 된다. 그리고, 시각 t6에 있어서, 다시 택트 스위치(12)가 온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내부 회로에 직류 전력이 공급된다.
즉, 종래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에서는, 평활 콘덴서(13)의 양 단자 사이의 전압이 래치 회로(15Ra)의 동작 전압 미만으로 될 때까지, 래치 회로(15Ra)가 래치 해제되지 않고, 스위치 회로(14)는 열림 상태 그대로이다. 따라서, 평활 콘덴서(13)의 양 단자 사이의 전압이 래치 회로(15Ra)의 동작 전압 미만으로 저하되기 전의 시각 t4에 있어서, 택트 스위치(12)가 온 상태로 전환되어도, 스위치 회로(14)는 열림 상태 그대로이어서, 내부 회로에 직류 전력의 공급을 행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방전 회로가 구비하는 방전 저항(R)로서, 저항값이 가능한 한 작고, 허용 손실이 가능한 한 큰 저항기를 이용함으로써, 래치 회로(15Ra)의 래치 해제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을 갖는 저항기는, 일반적으로 외형 치수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이러한 저항기를 방전 저항(R)로서 이용하는 것은 프린터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상술한 특성을 갖는 저항기는 프린터에의 탑재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비해서, 실시예 1의 프린터(10)에서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가, 전위차 검출 회로(1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전위차 검출 회로(16)로부터 출력된 래치 해제 신호(VRST)에 의해서, 래치 회로(15a)의 래치 해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프린터(10)에서는, 래치 해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앞에서 설명한, 저항값이 작고, 허용 손실이 큰 저항기를 방전 저항(R)로서 이용할 필요가 없다. 즉, 실시예 1의 프린터(10)에 의해서, 프린터(10)의 소형화와, 래치 해제 시간의 단축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프린터(10)에서는, 에러 검출 회로(18)가, 소정의 에러를 검출했을 때에, 래치 개시 신호(VLT)를 출력하여,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회로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이 고장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프린터(10)에서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에서의 저항기(13R)의 저항값이, 평활 콘덴서(13)의 잔류 전하의 방전시에서의 소비 전력 및 방전 시간을 고려해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모드가 전력 차단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의 래치 회로(15a)의 동작 전류, 즉 저항기(13R)를 흐르는 전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택트 스위치(12)의 입력 단자(12a)와 출력 단자(12b) 사이에 상기 소정값 이상의 전위차가 생기기까지의 시간(전위차를 검출하기까지의 시간)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B. 실시예 2:
실시예 2의 프린터는 실시예 1의 프린터(10)와 같이, 동작 모드로서, 전력 공급 모드와, 전력 차단 모드를 갖고 있다. 단, 실시예 2의 프린터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구성이 실시예 1의 프린터(10)와 다르다. 이하, 실시예 2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B1.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구성:
도 6은 실시예 2의 프린터가 구비하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과 도 2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프린터에서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 대신,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A)는 래치 회로(15a)에 더해서, 래치 해제 금지 회로(15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CPU(17)는 프린터(10)의 동작 모드가 전력 공급 모드인 기간에, 래치 해제 금지 신호(VPR)를 래치 해제 금지 회로(15b)에 출력하여, 동작 모드가 전력 공급 모드로부터 전력 차단 모드로 이행할 때에, 래치 해제 금지 신호(VPR)의 출력을 정지한다(도 7 참조). 래치 해제 금지 회로(15b)는 래치 해제 금지 신호(VPR)가 입력되고 있는 기간, 전위차 검출 회로(16)로부터 출력된 래치 해제 신호(VRST)의 래치 회로(15a)로의 출력을 금지한다. 한편, 상술한 구성 외에는 실시예 1과 같다.
B2.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
도 7은 실시예 2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은 실시예 1과 거의 같다. 단,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에서는, 래치 해제 금지 회로(15b)를 구비하기 때문에, 동작 모드가 전력 공급 모드인 기간, 전위차 검출 회로(16)로부터 출력된 래치 해제 신호(VRST)가 래치 회로(15a)에 입력되는 일은 없다.
동작 모드가 전력 공급 모드인 경우, 택트 스위치(12)가 온 상태이더라도, 택트 스위치(12)의 입력 단자(12a)와 출력 단자(12b) 사이의 전위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택트 스위치(12)에 있어서의 접점 부재의 황화나 실록산 부착 등의 접점의 열화에 의해, 접점 저항이 증대하는 것에 기인하여, 도 7 중에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부분과 같이, 그 전위차가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도, 전위차 검출 회로(16)는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의 경우와 같이, 래치 해제 신호(VRST)를 출력한다(도 7의 래치 해제 신호(VRST) 참조). 이 때문에,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와 같이, 래치 해제 금지 회로(15b)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A)에, 소망하지 않은 래치 해제 신호(VRST)가 입력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비해서, 실시예 2의 프린터에서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에서의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A)가 래치 해제 금지 회로(15b)를 구비함으로써, 소망하지 않은 래치 해제 신호가 입력된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2의 프린터에 의해서도, 실시예 1의 프린터(10)와 같이, 방전 저항(R)를 이용하지 않고, 전위차 검출 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래치 해제 신호(VRST)에 의해서, 래치 회로(15a)의 래치 해제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터의 소형화와, 래치 해제 시간의 단축을 양립할 수 있다.
C. 실시예 3:
실시예 3의 프린터는, 실시예 2의 프린터와 같이, 동작 모드로서, 전력 공급 모드와, 전력 차단 모드를 갖고 있다. 단, 실시예 3의 프린터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구성이, 실시예 2의 프린터와 다르다. 이하, 실시예 3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C1.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구성:
도 8은 실시예 3의 프린터가 구비하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과 도 6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프린터에서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A) 대신,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B)는, 래치 회로(15a) 및 래치 해제 금지 회로(15b)에 더해서, OR 회로(15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OR 회로(15c)에는, 래치 회로(15a)로부터 출력된 래치 회로(15a)의 래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VST)와, 래치 해제 금지 회로(15b)를 통과한 래치 해제 신호(VRST)가 입력된다. 한편, 상태 신호(VST)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스위치 제어 신호(VSC)와 같은 신호이다.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B)는, OR 회로(15c)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스위치 제어 신호(VSC)로서, 스위치 회로(14)에 출력한다.
즉,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B)는, OR 회로(15c)에, 래치 회로(15a)로부터 래치 개시 신호(VLT)를 래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VST)가 입력되고 있는 기간, 또는 래치 해제 금지 회로(15b)로부터 래치 해제 신호(VRST)가 입력되고 있는 기간에,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스위치 제어 신호(VSC)를 생성한다. 또한,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B)는, OR 회로(15c)에, 래치 개시 신호(VLT)를 래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VST) 및 래치 해제 신호(VRST) 양쪽이 입력되고 있지 않은 기간에는 내부 회로로의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스위치 제어 신호(VSC)를 생성하지 않는다.
C2.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
도 9는, 실시예 3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시각 t0으로부터 시각 t3까지의 동작은 실시예 2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동작과 같다(도 7 참조).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 2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에서는, 동작 모드가 전력 차단 모드인 시각 t3에 있어서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로 되면, 래치 해제 신호(VRST)에 의해서 래치 회로(15a)가 래치 해제되기 때문에, 스위치 회로(14)는 닫힘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이더라도, 평활 콘덴서(13)로부터 CPU(17)를 포함하는 내부 회로로 전류가 흘러서, 내부 회로가 오동작할 염려가 있다.
이에 비해서, 실시예 3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에서는, OR 회로(15c)에 래치 해제 신호(VRST)가 입력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오동작은 생기지 않는다. 즉, 시각 t3에 있어서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로 되어, 전위차 검출 회로(16)가 택트 스위치(12)의 입력 단자(12a)와 출력 단자(12b) 사이의 전위차를 검출하여 래치 해제 신호(VRST)를 출력하면, 이 래치 해제 신호(VRST)가 래치 해제 금지 회로(15b)를 통과하여 OR 회로(15c)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래치 해제 신호(VRST)가, 스위치 회로(14)를 열림 상태로 할 스위치 제어 신호(VSC)로서,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B)로부터 스위치 회로(14)로 출력되기 때문에, 스위치 회로(14)를 열림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내부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3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에서, 래치 해제 금지 회로(15b)를 생략한 경우에는, 도 9 중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택트 스위치(12)의 입력 단자(12a)와 출력 단자(12b) 사이에 생기는 전위차가 소정값 이상이 된 경우에, 전위차 검출 회로(16)로부터 래치 해제 신호(VRST)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 래치 해제 신호(VRST)가 스위치 제어 신호(VSC)로서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B)(OR 회로(15c))로부터 출력된다. 이 때문에, 동작 모드가 전력 공급 모드인 기간에, 스위치 회로(14)가 열림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 해제 금지 회로(15b)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 3의 프린터에 의해서도, 실시예 1의 프린터(10)나, 실시예 2의 프린터와 같이, 방전 저항(R)을 이용하지 않고, 전위차 검출 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래치 해제 신호(VRST)에 의해서, 래치 회로(15a)의 래치 해제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터의 소형화와 래치 해제 시간의 단축을 양립할 수 있다.
D.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의 형태로 하등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양태에서의 실시가 가능하다. 예컨대, 이하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D1. 변형예 1:
상기 실시예 1의 프린터(10)에서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는 전위차 검출 회로(16)를 구비하고, 이 전위차 검출 회로(16)가 래치 해제 신호(VRST)를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로 출력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택트 스위치(12)의 입력 단자(12a)와 출력 단자(12b)와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여, 이 접속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 래치 해제 신호(VRST)를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로 출력하는 래치 해제 신호 생성부를, 전력 공급 차단 회로가 구비해도 된다.
도 10은, 변형예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와 도 2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변형예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회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전위차 검출 회로(16) 대신, 센서(16s)를 구비한다. 이 센서(16s)는,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로 세트되어 있는지, 온 상태로 세트되어 있는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센서(16s)는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로 세트되어 있을 때에, 래치 해제 신호(VRST)를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로 출력한다. 또한, 센서(16s)는 택트 스위치(12)가 온 상태로 세트되어 있을 때에, 래치 해제 신호(VRST)를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15)로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센서(16s)는 택트 스위치(12)가 오프 상태로 세트되어 있는지, 온 상태로 세트되어 있는지를 검출 가능한 센서면 되며, 예컨대 광학 센서나, 초음파 센서 등, 여러 가지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차단 회로를 상술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따라서도, 실시예 1의 프린터(10)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D2. 변형예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가 구비하는 래치 회로(15a)에는, 에러 검출 회로(18)로부터 출력된 래치 개시 신호(VLT)가 입력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생략해도 된다.
D3. 변형예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력 공급 차단 회로가 구비하는 전원 스위치로서, 택트 스위치(12)를 이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전원 스위치는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와 조작부를 갖는 전원 스위치로서, 조작부의 자세를,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접속 상태가 온 상태로 되는 제 1 자세와, 접속 상태가 오프 상태로 되는 제 2 자세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조작에 의해서, 접속 상태가 전환됨과 아울러, 전환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한, 조작부의 자세 및 접속 상태가 유지되는 타입의 스위치면 된다. 이러한 스위치로서는, 예컨대 토글 스위치나, 슬라이드 스위치나, 로커 스위치 등을 들 수 있다.
D4. 변형예 4: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프린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프린터 이외의 다른 정보 기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1)

  1. 외부에 접속된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에 의해서 동작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동작 모드로서, 상기 제어부에 상기 직류 전력이 공급되는 제 1 동작 모드와, 상기 제어부로의 상기 직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는 제 2 동작 모드를 갖는 정보 기기로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와 조작부를 가진 전원 스위치로서, 상기 입력 단자가 상기 전원 장치에 접속되어서, 상기 조작부의 자세를,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의 접속 상태가 온(on) 상태로 되는 제 1 자세와, 상기 접속 상태가 오프(off) 상태로 되는 제 2 자세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접속 상태가 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전환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한, 상기 조작부의 자세 및 상기 접속 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전원 스위치와,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단자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단자가 접지된 평활 콘덴서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로의 상기 직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래치 개시 신호를 래치하는 래치 회로를 갖고, 적어도 상기 래치 회로에서의 상기 래치 개시 신호의 래치 상태에 기초해서, 상기 제어부로의 상기 직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할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 회로로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와,
    상기 전원 스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접속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 상기 래치 회로에서의 상기 래치 개시 신호의 래치를 해제할 래치 해제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로 출력하는 래치 해제 신호 생성부
    를 구비하고,
    상기 래치 회로 및 상기 래치 해제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기 출력 단자, 또는 상기 평활 콘덴서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직류 전력에 의해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 1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동작 모드로 이행될 때, 상기 래치 개시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로 출력하며,
    상기 래치 회로는, 상기 래치 회로에 상기 래치 해제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래치 개시 신호의 래치를 해제하고,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있을 때에, 열림 상태(open)로 되고,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가 입력되고 있지 않을 때에, 닫힘 상태(close)로 되는
    정보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해제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 사이의 전위차를 검출하여, 상기 전위차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접속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하고, 상기 래치 해제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로 출력하는 전위차 검출 회로를 구비하는
    정보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 콘덴서의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래치 회로의 전원 단자 사이는 저항기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저항기의 저항값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 접속 상태가 오프 상태로 되었을 때, 평활 콘덴서의 잔류 전하가 소정 시간 내에 방전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정보 기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 1 동작 모드인 기간,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에 래치 해제 금지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동작 모드가 상기 제 1 동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동작 모드로 이행할 때에, 상기 래치 해제 금지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는, 또한
    상기 래치 해제 금지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기간, 상기 래치 회로로의 상기 래치 해제 신호의 입력을 금지하는 래치 해제 금지 회로를 구비한
    정보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는 OR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OR 회로에는, 적어도, 상기 래치 회로로부터 상기 래치 개시 신호를 래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 및 상기 래치 해제 금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래치 해제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OR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로서 출력하는
    정보 기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정보 기기에 있어서의 소정의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에러 검출부는, 상기 에러를 검출했을 때에, 상기 래치 개시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로 출력하는
    정보 기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기는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기.
  8. 외부에 접속된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 스위치를 거쳐서 공급된 전력에 의해 내부 회로가 동작하는 정보 기기로서,
    상기 내부 회로에 상기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 공급 모드로부터, 상기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는 전력 차단 모드로 이행할 때에, 래치 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 래치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전위차 검출 회로와,
    상기 전원 스위치에 접속되고, 상기 내부 회로로의 상기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하는 스위치 회로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래치 개시 신호를 래치하는 래치 회로를 갖고, 상기 래치 개시 신호에 의해 상기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 회로에 출력하고, 상기 래치 해제 신호에 의해 상기 래치 회로의 상기 래치를 해제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
    를 구비하는 정보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차 검출 회로는,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한 전력 공급의 차단의 유무를 검출하고, 전력 공급의 차단인 상기 오프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래치 해제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 생성 회로에 출력하는 정보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차 검출 회로는, 상기 전원 스위치에 있어서의 두 점 사이의 전위차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한 전력 공급의 유무를 검출하는 정보 기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와 접속하는 단자와 접지된 단자를 갖는 평활 콘덴서를 구비하는 정보 기기.
KR1020100112098A 2009-11-13 2010-11-11 정보 기기 KR101755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59647A JP5633139B2 (ja) 2009-11-13 2009-11-13 情報機器
JPJP-P-2009-259647 2009-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194A KR20110053194A (ko) 2011-05-19
KR101755678B1 true KR101755678B1 (ko) 2017-07-07

Family

ID=4360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098A KR101755678B1 (ko) 2009-11-13 2010-11-11 정보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736116B2 (ko)
EP (1) EP2336843B1 (ko)
JP (1) JP5633139B2 (ko)
KR (1) KR101755678B1 (ko)
CN (2) CN1020646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1209B2 (ja) * 2010-08-27 2014-02-19 株式会社沖データ 電源制御回路、及び電源制御回路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TWI590038B (zh) * 2011-04-25 2017-07-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源控制裝置及電子裝置
JP6041522B2 (ja) * 2012-04-18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4902533B (zh) 2015-04-30 2016-12-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方法及移动通信终端
JP6634904B2 (ja) * 2016-03-16 2020-01-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及び電子デバイスの制御方法
US9984011B2 (en) 2016-06-06 2018-05-29 Qualcomm Incorporated Termination schemes for multi-rank memory bus architectures
KR102577409B1 (ko) * 2016-08-22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리셋회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767889B1 (en) * 2017-02-15 2017-09-19 Qualcomm Incorporated Programmable pad capacitance for supporting bidirectional signaling from unterminated endpoints
EP3572889B1 (en) * 2017-02-17 2021-07-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ntrol circuit and circuit control method
KR102298069B1 (ko) 2017-03-10 2021-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배터리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6473980B2 (ja) * 2017-06-13 2019-02-2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ユニット
JP2019034430A (ja) * 2017-08-10 2019-03-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
GB2584650A (en) * 2019-06-06 2020-12-16 Things On Edge Ltd Electronic devices
CN110544934A (zh) * 2019-09-05 2019-12-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提高响应速度的变流器控制方法、装置及变流器设备
US11597486B1 (en) * 2019-12-18 2023-03-07 Brunswick Corporation Tiller for outboard motor
CN111580428B (zh) * 2020-04-29 2022-07-29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指令发送电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0858A (ja) * 2002-06-28 2004-02-05 Ricoh Co Ltd 保護回路とdc/dcコンバータおよびタイマーラッチ回路
JP2004180433A (ja) * 2002-11-27 2004-06-24 Sharp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6166580A (ja) 2004-12-07 2006-06-22 Canon Inc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2546A (en) * 1988-02-12 1993-01-2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which can discriminate between different power sources which it uses
WO1996036099A2 (en) * 1995-05-11 1996-11-14 Ericsson Inc. Power control circuit for a battery operated device
US5936317A (en) * 1996-04-09 1999-08-10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US5854551A (en) * 1997-02-26 1998-12-29 Ericsson Inc. Battery charger with low standby current
JP3901782B2 (ja) * 1997-02-26 2007-04-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ーク電流防止のための電源装置、及び電子機器
JP3233075B2 (ja) * 1997-08-06 2001-11-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1016863A (ja) * 1999-06-25 2001-0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源装置
JP2001037078A (ja) * 1999-07-16 2001-02-09 Alps Electric Co Ltd 低消費電力型車載制御機器
DE10001394A1 (de) * 2000-01-14 2001-07-26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sanordnung zum Anlegen einer Versorgungsspannung an eine Last
JP2001309655A (ja) 2000-04-19 2001-11-02 Sanken Electric Co Ltd 過負荷時保護機能付き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EP1160964A3 (en) * 2000-06-01 2004-05-06 Sony Corporation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s
US6754092B2 (en) * 2002-06-27 2004-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power supplied by a voltage adapter
JP2005312162A (ja) 2004-04-20 2005-11-04 Fujitsu Ltd 電子機器における省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省電力型電子機器
JP2006166561A (ja) 2004-12-06 2006-06-22 Canon Inc 電源装置
JP2006073023A (ja) * 2005-09-15 2006-03-1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省電力制御装置
CN101398674B (zh) * 2007-09-28 2011-04-27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电源电路及其控制方法
US7852645B2 (en) * 2007-12-12 2010-12-14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Circuit and associate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power transformer
JP2009165288A (ja) * 2008-01-08 2009-07-23 Sanken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0858A (ja) * 2002-06-28 2004-02-05 Ricoh Co Ltd 保護回路とdc/dcコンバータおよびタイマーラッチ回路
JP2004180433A (ja) * 2002-11-27 2004-06-24 Sharp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6166580A (ja) 2004-12-07 2006-06-22 Canon Inc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6843A3 (en) 2017-08-02
CN102064698A (zh) 2011-05-18
JP5633139B2 (ja) 2014-12-03
CN103701317A (zh) 2014-04-02
US9208981B2 (en) 2015-12-08
US8736116B2 (en) 2014-05-27
US20110115307A1 (en) 2011-05-19
EP2336843B1 (en) 2018-10-31
KR20110053194A (ko) 2011-05-19
US20140217834A1 (en) 2014-08-07
EP2336843A2 (en) 2011-06-22
CN102064698B (zh) 2013-12-11
CN103701317B (zh) 2017-05-24
JP2011109746A (ja)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678B1 (ko) 정보 기기
US7966501B2 (en) Multi-function peripheral,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US7523335B2 (en) Job processing apparatus with power sequence responsive to detecting external job data signal
JP2010279188A (ja) 過電流保護回路
US20080231651A1 (en) Ink level detecting apparatus of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60209793A1 (en) Unit checking devic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028812A (ja) 電源装置
JP2008134765A (ja) 情報処理装置
JP2018078680A (ja) 電源装置及び電源制御装置
KR101324192B1 (ko) 프린팅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50110787A1 (en) Display apparatus with power saving capability
KR20110018991A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
JP2004120971A (ja) 電源装置
JP2008290658A (ja) 車両制御装置
JP2007006663A (ja) 電源保護回路
JP2010239786A (ja) 通信装置
JP2009130824A (ja) 印字装置
US20220371342A1 (en) Processing apparatus
JP4750653B2 (ja) 電源電圧制御回路
JP2009060690A (ja) 電源制御装置
JPH1121240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055912A (ja) ディスク装置
JP5105415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源システムならびに半導体装置の起動制御方法
JP2019103367A (ja)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9990017145A (ko) 전원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