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142B1 -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142B1
KR101753142B1 KR1020160176457A KR20160176457A KR101753142B1 KR 101753142 B1 KR101753142 B1 KR 101753142B1 KR 1020160176457 A KR1020160176457 A KR 1020160176457A KR 20160176457 A KR20160176457 A KR 20160176457A KR 101753142 B1 KR101753142 B1 KR 10175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communication module
layer
flexibl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석
천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팀즈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팀즈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팀즈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60176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142B1/ko
Priority to CN201710085679.2A priority patent/CN10810879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2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상세하게는 패브릭에 부착되는 전사물에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전사 인쇄하여, 패브릭에 미적 개성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세탁 및 건조한 후에도 사용이 가능한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준비된 패브릭의 일면에 접착 부재가 도포되어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 형성 단계; 접착층에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적층하는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 적층 단계;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의 상부면에 접착 부재를 도포하여 피인쇄층을 형성하는 피인쇄층 형성 단계; 피인쇄층의 상부면과 접촉면에 도안이 인쇄된 전사지를 적층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층 형성 단계; 인쇄층 및 상기 피인쇄층을 가열프레스 처리하여 상기 피인쇄층에 도안을 전사하는 전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Transfer printing method including flexibl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with waterproof.}
본 발명은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브릭에 부착되는 전사물에 방수 처리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설치하여, 패브릭에 미적 개성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세탁 및 건조한 후에도 사용이 가능한 방수 처리가 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의류와 신발 갑피에는 미적 개성을 표현하거나 또는 브랜드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와 색상을 가지는 그림 및 문자가 의류에 전사되어 표현되었다. 이에 따라 의류나 신발 갑피 등에 그림이나 문자를 표현하는 방식이 제안되어왔으며, 한국등록특허 제0321941호에서는 업계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전사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방식은 이형지 상면에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인쇄층과 인쇄층 상면에 접착제층이 구비되는 전사지를 준비하고, 원단의 일면에 전사지의 접착제층을 안치시킨 다음, 그 상태에서 전사지를 일정 시간 가압 및 가열하여 형성한 인쇄층을 원단과 결합하는 것으로써, 다양한 무늬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가압 및 가열로 인쇄층을 원단에 용이하게 전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의류에 부착하여 방수 기능을 갖도록 한 종래의 기술로는 의류 라벨 부재에 RFID 인레이를 전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하여 부착함으로써 의류에 RFID가 적용되는 구조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61740호에 의한 "의류용 RFID태그"에 개시되어 있는데, 위 기술은 의류용 RFID 태그의 전면에 IC 칩, 안테나가 구비된 RFID 인레이, RFID 인레이의 전면에 접착되어 RFID를 커버하는 의류 라벨 부재 및 RFID와 인레이 사이의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접착제가 포함됨으로써 RFID 태그가 부착된 상태에서 세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도 RFID 태그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 의류용 RFID 태그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 발명1은 원단에 부착되어 장식미를 표출하는 정도의 단순한 기능을 가지는 것에 불과하며, 선행 발명2는 근거리무선통신방식이 의류에 사용되긴 하나, 하드한 구조의 RFID를 의류 라벨에 단순 부착하고 있어 실질적인 방수 효과가 미비하고, 사용자들이 해당 RFID가 부착된 의류를 착용 시 RFID에 의하여 착용감이 감소하여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며, 단순 정보의 제공만이 가능한 점에서 착용감 감소 대비 활용성이 매우 제한되어 실질적인 상용화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연성과 방수 및 방습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패브릭에 전사함으로써 세탁 및 습기에 노출이 쉬운 의류에 적용하여도 착용감 및 미적 개성이 보장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사 인쇄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에 있어서, 준비된 패브릭의 일면에 접착 부재가 도포되어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 형성 단계; 접착층에 방수 처리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적층하는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 적층 단계;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의 상부면에 접착 부재를 도포하여 피인쇄층을 형성하는 피인쇄층 형성 단계; 피인쇄층의 상부면과 접촉면에 도안이 인쇄된 전사지를 적층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층 형성 단계; 인쇄층 및 상기 피인쇄층을 가열프레스 처리하여 상기 피인쇄층에 도안을 전사하는 전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막의 플렉서블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박막의 방수 소재로 완벽하게 감싸는 방식의 전사 방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이 전사된 의류를 착용시 착용감이 감소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플레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박막의 방수 소재로 완벽히 감싸서 보호함에 따라서, 방수성 및 방습성이 보장됨에 따라서 지속적인 세탁이 이루어지는 의류 부자재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플렉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의 산화와 부식을 방지하며 수분의 침투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노출에 따른 플렉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의 인식 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근거리 통신 모듈 자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의류와 같은 패브릭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모듈이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 연동된 시스템에 의하여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의 위치 파악 및 분실 및 도난 의류의 소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의 입체구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을 그림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이 전사 인쇄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의 입체구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의 입체구조(100)에는 패브릭(110),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 방수 처리가 된 근거리 통신 모듈(130)의 상부면과 하부면 양면에 도포되는 연성의 접착 부재(120) 및 도안이 인쇄된 전사지(140)을 포함한다.
패브릭(110)은 통상적으로 직물로 분류되는 모든 소재를 포함하며, 신발의 갑피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샌드위치 메쉬(sandwich mesh)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접착 부재(120)는, 후술할 방수 처리가 된 근거리 통신 모듈(130)이 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내수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적어도 아크릴계, 에폭시계, 아라미드계, 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E.V.A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P.V.C계 중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120)는 패브릭(110)과 방수 처리가 된 근거리 통신 모듈(130)의 결합 및 방수 처리가 된 근거리 통신 모듈(130)과 전사된 도안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 접착 부재(120)로 핫멜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핫멜트는 가열에 의하여 용융한 후 냉각시켜 접착성을 갖게 한 접착 부재(120)로 이해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핫멜트로는, 예를 들어, E.V.A, Rubber, Polyamide 및 Polyurethane 등이 있으며 용융한 후 냉각시켜 접착된 이후에 습기와 반응하여 완전히 굳어지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접착 부재(120)로 목재, 신발, 의류 및 자동차 부품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습기 경화형 핫멜트인 Polyurethane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수 기능이 구비되는 접착 부재(120)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전파를 정보의 전송 매체로 이용하여 가까운 거리에 있는 각종 정보 처리 기기들간에 정보를 교환하게 하는 통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은 무전력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비컨(beacon), 지그비(ziegbee), 적외선(infrared), UWB(UltraWideBand), 블루투스(Bluetooth) 및 루비(Rube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의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 내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정보 저장 공간에 상술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의 정보 저장공간에 저장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로드하고, 로드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출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 모듈의 한 실시예로써, NFC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NFC는 13.56 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로,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최근 발매되는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타블렛 PC는 대부분 NFC 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NFC 태그에 단말을 비접촉식으로 가까이 접근 시키기만 하면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가 단말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NFC 태그를 식별할 수 있는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는 단말을 사용하여 단말을 NFC 태그에 가져다 대기만 하면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없이도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가 단말에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 방식은 NFC로 제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사지(140)는 손이나 기계장치로 문양을 그려 넣은 도안이 종이나 비닐에 인쇄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도안이 그려져 있는 접촉면에 이형지가 구비되어, 종이나 비닐에 그려진 도안을 먼지와 같은 외부 이물질로부터 도안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형지는 사용시에 쉽게 박리할 수 있게 한 종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인쇄물 형성단계의 수행 전에 전사지(140)로부터 제거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입체 구조(100)는, 패브릭(110)의 두께가 300um 내지 7000um,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의 두께가 140um 내지 200um, 접착 부재(120)의 두께가 40um 내지 60um, 전사지로부터 형성된 도안의 두께가 10um 내지 50um로,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으로 형성된 패브릭(110)은 530um 내지 7370u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전사 인쇄 방법이 사용된 패브릭(110)의 평균 두께가 5000um라고 가정하였을 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의 두께는 평균 두께의 약 90%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여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이 포함된 전사 인쇄 방법을 패브릭(110)에 적용하더라도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의 두께가 박막 수준으로 얇은 특성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을 포함하는 도안이 전사된 의류를 착용하더라도 착용감이 저하되지 않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패브릭을 준비하는 패브릭 준비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패브릭은 통상적으로 직물로 분류되는 모든 소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패브릭이 준비된 후, 준비된 패브릭의 일면에 접착 부재가 도포되어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 형성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적어도 아크릴계, 에폭시계, 아라미드계, 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티렌계, E.V.A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P.V.C 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핫멜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 부재가 도포되는 영역은 전사 가능한 패브릭의 위치라면 그 위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핫멜트는 가열에 의하여 용융한 후 냉각시켜 접착성을 갖게 한 접착 부재로 이해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핫멜트로, 예를 들어, E.V.A, Rubber, Polyamide 및 Polyurethane 등이 있으며 용융한 후 냉각시켜 접착된 이후에 습기와 반응하여 완전히 굳어지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접착 부재로 목재, 신발, 의류 및 자동차 부품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습기 경화형 핫멜트인 Polyurethane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수 기능이 구비되는 접착 부재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S10단계 이후, 접착층에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적층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적층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은, 적어도 Al, Cu 및 Ag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을 박막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연성을 부가하고,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 흡수가 가능하며 우수한 방수성 및 방습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해 설치되는 통신수단으로써,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비컨(beacon), 지그비(ziegbee), 적외선(infrared), UWB(UltraWideBand), 블루투스(Bluetooth) 및 루비(Rubee)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은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식별 정보와 관련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근거리 통신 모듈을 식별할 수 있는 리더가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개인 식별 정보를 입력 받아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의 정보 저장 공간에 수신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식별 정보와 관련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란,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식별 정보 그 자체 또는 용량에 따라서 별도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식별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개인 식별 정보로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서 적어도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이 본 발명의 전사 인쇄 방법에 따라 설치된 의류를 착용한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의 식별정보,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의 보호자의 식별 정보 및 의류 소유자의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식별정보는 상술한 개인의 이름 정보 이외에, 연락처 정보, 주소 정보 등 개인을 식별하거나 개인에게 연락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S20단계 이후,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의 상부면에 접착 부재를 도포하여 피인쇄층을 형성하는 피인쇄층 형성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S30단계에서 사용되는 접착 부재는 S10단계에서 사용된 접착 부재와 동일한 접착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는 다른 접착 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S30단계의 수행 후, 피인쇄층의 상부면과 접촉면에 도안이 인쇄된 전사지를 적층하여 인쇄물을 형성하는 인쇄층 형성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S40단계의 전사지는 손이나 기계장치로 문양을 그려 넣은 도안이 종이나 비닐에 인쇄되어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사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사지는 이형지와, 이형지 일면에 구비되는 도안이 그려져 있는 인쇄면과 및 인쇄면 상면에 구비되는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형지는 도안이 그려져 있는 인쇄면의 이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면이 코팅 처리될 수 있으며, 이형지와 인쇄면 사이에는 먼지와 같은 외부 이물질로부터 도안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형지는 본 발명에서 후술할 인쇄층 형성 단계의 수행 전에 제거 될 수 있다.
전사지가 구비되면 전사지의 접착제층을 패브릭의 피인쇄층과 대향한 상태로 안치시킨다. 전사지와 패브릭은 접착 부재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일시적 결합상태를 이루며, 이 상태에서 전사지 및 패브릭을 동시에 상술한 시간 및 온도 조건으로 가열프레스 처리한다.
프레스된 상태에서 열이 전달되면 건조된 상태로 패브릭의 피인쇄층을 구성하고 있는 접착 부재와 인쇄층의 접착 부재는 용융되면서 일체화되고, 인쇄층을 이루고 있는 전사지의 인쇄된 도안은 패브릭의 피인쇄층과 일체를 이루며 패브릭에 결합된다.
즉, 전사지의 인쇄된 도안은 패브릭의 피인쇄층과 탄탄한 결합관계를 이루게 되어 방수 및 방습성을 갖는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 포함하는 전사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S40단계 후, 인쇄물 및 피인쇄물 가열프레스 처리하여 피인쇄물에 도안을 전사하는 전사단계 (S50)가 수행된다.
S50단계의 수행을 위하여, 적어도 발포전사를 포함하는 전사방식 중 하나를 이용하여 피인쇄층에 도안을 전사할 수 있으며, 가열프레스기를 이용하여 150℃ 내지 220℃의 온도로 적어도 1회 가열프레스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가열프레스기는, 대상물에 압력과 열을 가하는 장치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열 및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프레스기라면 어느 것이든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인쇄층에 도안을 전사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사방식에는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사 방식으로써,
도안의 전체 또는 특정 부분을 부풀어오르게 하여 입체감을 갖게 하는 발포전사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발포전사는 내구성 및 해상도가 우수하며, 강한 수축 및 탄성으로 도안이 균열되거나 탈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본 발명의 전사지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발포전사지를 사용하는 경우, 프레스 조건은 적어도 2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150℃ 내지 170℃에서 1초 내지 5초 가열프레스 처리한 후, 패브릭을 뒤집어 150℃ 내지 170℃에서 5초 내지 10초 가열프레스 처리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사 방식으로써,
우레탄 소재의 잉크를 사용하여 전사지를 생산하여 전사하는 우레탄 전사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전사는, 각각의 컬러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프레스 조건은 150℃ 내지 160℃에서 10초 내지 15초 가열프레스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사방식으로써,
실리콘 소재의 잉크를 사용하여 전사지를 생산하는 실리콘 전사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 전사는, 환경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내열도 및 신축성이 뛰어나며, 50회 이상 세탁해도 견뢰도를 보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실리콘 전사의 프레스 조건은 적어도 2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150℃ 내지 170℃에서 1초 내지 5초 가열프레스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실시예)
옵셋(offset)인쇄를 통하여 인쇄된 사진이나 그림을 다시 전사지로 가공하여 생산하는 옵셋 전사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옵셋전사는, 천연색 컬러를 가진 도안, 복잡한 컬러를 가진 도안 및 캐릭터 도안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프레스 조건은 150℃ 내지 170℃에서 5초 내지 10초 가열프레스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실시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사방식으로써,
우레탄이나 실리콘 소재의 잉크를 사용하여 야간에 빛을 받을 때 도안이 반짝이는 반사효과를 가지는 반사전사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전사 방식의 프레스 조건은 140℃ 내지 160℃에서 5초 내지 10초 가열프레스 처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실시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사방식으로써,
승화잉크를 사용하여 전사지 위에 도안을 출력하여 전사하는 승화 전사가 사용될 수 있다.
승화전사는 단체복 도안, 유니폼을 위한 도안 및 디자인 된 도안을 의류에 적용하는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프레스 조건은 200℃내지 210℃에서 20초 내지 30초 가열프레스 처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실시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사방식으로써,
졸(sol)잉크를 사용하여 전사지를 생산하여 전사하는 졸전사가 사용될 수 있다. 졸 전사는 1도의 컬러를 가지는 라벨을 대량으로 생산하는데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프레스 조건은 170℃ 내지 220℃에서 5초 내지 20초 가열프레스 처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수행으로, 인쇄층에 형성된 도안을 피인쇄층에 전사할 수 있으며, 가열프레스 처리함으로써 전사된 도안의 품질을 높이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을 그림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예를 들어, 의류에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인쇄 방법을 그림으로 설명하면, 먼저 티셔츠 일면에 접착 부재, 예를 들어 핫멜트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S10)가 수행된다.
핫멜트가 도포되는 영역은 패브릭의 전사 가능한 모든 영역에 도포될 수 있으며, 도포되는 모양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술한 핫멜트는 가열 용융되어 도포되며, 이를 냉각시켜 경화하면 접착성을 갖게 되는 것으로, 접착성을 지닌 핫멜트의 상부에 상술한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적층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적층 단계(S20)가 수행되는 것이다.
상술한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은 적층 및 이하의 가열프레스 처리를 통하여 의류에 부착되며, 방수 처리가 되어 지속적인 세탁 및 건조 등의 환경에서도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의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하며, 기존 의류의 디자인을 해하지 않고도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의류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가치가 뛰어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능의 활용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은, 의류에 전사를 통하여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소유한 휴대 단말과 연동되어 미아 및 의사결정 무능력자를 발견 시 위치 파악, 분실 및 도난 의류의 소유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 실시예로써,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인쇄 방법으로 형성된 의류를 착용하고 있는 미아 혹은 의사결정 무능력자가 존재할 때, 상술한 근거리 통신 방식, 예를 들어 NFC 통신 방식이 지원되는 단말을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물에 가까이 접근시키게 되면 외부 관리 서버에서 운영하는 웹페이지의 URL 주소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근거리 통신 모듈과 통신하는 경우, 단말이 외부 관리 서버의 URL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개인 식별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을 활용하면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 유저 단말에 설치된 GPS 모듈로부터 수신한 유저 단말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로드되는 개인 식별정보로서, 의류 착용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또는 보호자의 이름, 연락처 또는 주소 정보 등을 단말의 소유자가 확인하거나 보호자의 연락처로 연결할 수 있어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가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가 착용한 의류에 단말을 접근하고, 이를 통해 로드한 정보와, 내 위치 정보를 전송하거나 주변의 보호소 검색 및 보호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또는 직접 주변의 보호소 검색 및 보호소와 연결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S20단계의 수행 후,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의 상부면에 접착 부재를 도포하여 피인쇄층을 형성하는 S30단계가 수행된다.
S30의 접착 부재는 S10단계의 접착 부재와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다.
S30단계 후, 피인쇄층의 상부면과 접촉면에 도안이 인쇄된 전사지를 적층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S40단계의 전사지는 손이나 기계장치로 문양을 그려 넣은 도안이 종이나 비닐에 인쇄되어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사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S40단게에서 전사지가 구비되면 전사지의 접착제층을 패브릭의 피인쇄층과 대향한 상태로 안치시킨다. 전사지와 패브릭은 접착 부재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일시적 결합상태를 이루며, 이 상태에서 인쇄층 및 피인쇄층을 가열프레스 처리하여 피인쇄층에 도안을 전사하는 전사단계(S50)이 수행된다.
전사 조건은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가 실시 될 수도 있으나, 가열프레스를 이용하는 다른 전사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S10 내지 S50단계의 수행을 통하여,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인쇄층의 전사지에 인쇄된 도안이 의류에 전사되어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 전사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이 전사 인쇄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수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이 의류(110)의 몸통부에 전사 인쇄(100)되어 부착되어 있는 실시예(200)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은 의류(110)에 전사 인쇄되어도, 그 두께가 140um 내지 200um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5000um의 97%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박막 수준으로 얇기 때문에 사용자가 방수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이 전사 인쇄된 의류(110)를 착용시 착용감이 저하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은 언급한 바와 같이 의류(110)에 전사를 통하여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소유한 휴대 단말과 연동되어 미아 및 의사결정 무능력자를 발견 시 위치 파악, 분실 및 도난 의류(110)의 소유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방수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이 의류(110)의 소매부에 전사 인쇄(100)되어 부착되어 있는 실시예(3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의류(110)에 전사를 통하여 부착됨으로써, 전사물에 포함된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130)이 사용자가 소유한 휴대 단말과 연동되어 미아 및 의사결정 무능력자를 발견 시 위치 파악, 분실 및 도난 의류(110)의 소유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5의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이 포함된 전사 인쇄가 실시된 패브릭의 실시예가 도면에 한정적으로 표현되었으나, 전사 인쇄가 가능한 패브릭이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및 설치 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패브릭에 있어서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이 전사 인쇄되는 위치는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할 정도로 접근 가능한 위치라면 어디든 설치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NFC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에 있어서,
    준비된 300um 내지 7000um의 패브릭 일면에 접착 부재가 40um 내지 60um로 도포되어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층 형성 단계;
    상기 접착층에 방수 처리가 된 140um 내지 200um의 플렉서블 NFC 모듈을 적층하는 플렉서블 NFC 모듈 적층 단계;
    상기 플렉서블 NFC 모듈의 상부면에 상기 접착 부재를 40um 내지 60um로 도포하여 피인쇄층을 형성하는 피인쇄층 형성 단계;
    상기 피인쇄층의 상부면과 접촉면에 두께가 10um 내지 50um의 도안이 인쇄된 전사지를 적층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인쇄층 형성 단계;
    상기 인쇄층 및 상기 피인쇄층을 가열프레스 처리하여 상기 피인쇄층에 도안을 전사하는 전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NFC 모듈을 포함하는 패브릭의 총두께가 530um 내지 7370u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NFC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NFC 모듈은 적어도 Al, Cu 및 Ag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적어도 아크릴계, 에폭시계, 아라미드계, 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E.V.A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P.V.C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NFC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단계는,
    적어도 발포 전사를 포함하는 전사방식 중 하나를 이용하여 피인쇄층에 도안을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NFC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단계는,
    가열프레스기를 이용하여 150℃ 내지 220℃의 온도로 적어도 1회 가열프레스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NFC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
KR1020160176457A 2016-11-25 2016-12-22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 KR10175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57A KR101753142B1 (ko) 2016-12-22 2016-12-22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
CN201710085679.2A CN108108799A (zh) 2016-11-25 2017-02-17 近场通信包、服装辅料、转印印刷方法及信息提供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57A KR101753142B1 (ko) 2016-12-22 2016-12-22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142B1 true KR101753142B1 (ko) 2017-07-03

Family

ID=5935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457A KR101753142B1 (ko) 2016-11-25 2016-12-22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0730B1 (en) * 2021-03-12 2024-01-23 Smart Technology Device Integration, LLC Radio-frequency communication-enabled fabric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40Y1 (ko) * 2010-06-25 2012-08-02 이덕재 의류용 rfid 태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40Y1 (ko) * 2010-06-25 2012-08-02 이덕재 의류용 rfid 태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0730B1 (en) * 2021-03-12 2024-01-23 Smart Technology Device Integration, LLC Radio-frequency communication-enabled fabrics and relate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5428B1 (en) Multilay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and fixing of the device
JP5265569B2 (ja) 転写方式で基板表面にマーキングを圧着させる方法
EP3669346B1 (en) Durable rfid printed fabric labels
CN107432094A (zh) 具有嵌入式电子器件的多材料结构
CN102667824A (zh) 用于消费品的整体跟踪标签
EP2533175A1 (en) A data carrier having a contact plate with printing thereon
JP2022514293A (ja) Rfid統合型織ラベル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KR101753142B1 (ko)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
US201001021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abling a Contactless Transaction Device
JP2002366915A (ja) 意匠性の高いrfidタ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56362A (ja) Icタグ
US8851385B2 (en) Card lamination
US20200202192A1 (en) Attached-type smart label
US20120067963A1 (en) Apparatus and Process Includ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s
CN108108799A (zh) 近场通信包、服装辅料、转印印刷方法及信息提供系统
CN104091196B (zh) 一种耐水洗、耐高温的rfid标签及其复合成型工艺
CN203630805U (zh) 射频识别标签
JP2016201015A (ja) 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KR101758729B1 (ko) 방수 처리가 된 nfc 패키지, 이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JP3906331B2 (ja) 手荷物用rf−idタ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8240069U (zh) 带有芯片保护衬层的rfid标签
KR102347858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실리콘 적층 전사라벨 제조방법
JP2003288570A (ja) 非接触型icメディ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20604039U (zh) 一种半导体标签与带有半导体标签的产品、水洗标及服饰
JP3245323U (ja) 刺繍ワッペ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