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729B1 - 방수 처리가 된 nfc 패키지, 이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수 처리가 된 nfc 패키지, 이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729B1
KR101758729B1 KR1020160158010A KR20160158010A KR101758729B1 KR 101758729 B1 KR101758729 B1 KR 101758729B1 KR 1020160158010 A KR1020160158010 A KR 1020160158010A KR 20160158010 A KR20160158010 A KR 20160158010A KR 101758729 B1 KR101758729 B1 KR 101758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fc
user terminal
film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석
천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팀즈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팀즈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팀즈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6015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729B1/ko
Priority to CN201710085679.2A priority patent/CN10810879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H04B5/0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의류 라벨 등 의류에 부착하더라도,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 시 NFC 패키지가 설치된 부분에 접촉시에도 착용감이 감소하지 않고, 방수성 및 방습성이 보장됨에 따라서 지속적인 세탁이 이루어지는 의류 부자재에 적용 가능한 NFC 패키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NFC 패키지는, 연성을 갖는 NFC 필름; NFC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양면에 구비되는 방수 및 방습성을 갖고 박막 형태를 갖는 연성의 방수 필름; 및 NFC 필름과 방수 필름 사이에 박막 형태로 도포되는 연성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 처리가 된 NFC 패키지, 이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A waterproofing NFC package, clothes-subsidiary materials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방수 처리가 된 NFC 패키지, 이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성을 갖는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의류 부자재에 설치하여 의류에 고정할 수 있으며 세탁이나 건조한 후에도 사용이 가능한 방수처리가 된 NFC 패키지 및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이용한 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근거리에서 비접촉 방식으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이 제안되어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들이 다각도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의류에 적용한 종래의 기술로는 의류 라벨 부재에 RFID 인레이를 전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하여 부착함으로써 의류에 RFID가 적용되는 구조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61740호에 의한 "의류용 RFID태그"에 개시되어 있는데, 위 기술은 의류용 RFID 태그의 전면에 IC 칩, 안테나가 구비된 RFID 인레이, RFID 인레이의 전면에 접착되어 RFID를 커버하는 의류 라벨 부재 및 RFID와 인레이 사이의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접착제가 포함됨으로써 RFID 태그가 부착된 상태에서 세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도 RFID 태그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 의류용 RFID 태그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하드한 구조의 RFID를 의류에 단순 부착하고 있어 실질적인 방수 효과가 미비하고, 사용자들이 해당 RFID가 부착된 의류를 착용 시 RFID에 의하여 착용감이 감소하여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며, 단순 정보의 제공만이 가능한 점에서 착용감 감소 대비 활용성이 매우 제한되어 실질적인 상용화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NFC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읽기와 쓰기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연성과 방수 및 방수성이 함께 완벽히 보장되는 소재를 이용하여 NFC 패키지를 형성함으로써 세탁 및 습기에 노출이 쉬운 의류에도 착용감이 보장되면서 작용 가능하도록 하는 NFC 패키지, 이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는, 연성을 갖는 NFC 필름; NFC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양면에 구비되는 방수 및 방습성을 갖고 박막 형태를 갖는 연성의 방수 필름; 및NFC 필름과 방수 필름 사이에 박막 형태로 도포되는 연성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단추 제조 방법은 내부 캐비티를 갖고, 상면이 개방된 안착 홈에 하부 플라스틱을 적층하는 단계; 하부 플라스틱 상부에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적층한 뒤, NFC 패키지 상부에 상부 플라스틱을 적층하여 제1 바디를 제조하는 단계; 제1 바디를 가공하여 하부 플라스틱, NFC 패키지 및 상부 플라스틱이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2 바디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2 바디를 틀에서 분리한 뒤 가공하여 단추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스냅 단추 제조 방법은, 준비된 스틱의 상부면에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적층하는 단계; NFC 패키지의 상부면에 플라스틱을 적층하는 단계; 플라스틱의 상부면에 스냅 패스너 닙을 적층하는 단계; 스냅 패스너 닙의 상부면에 밀봉층을 도포하여 스냅 바디를 제조하는 단계; 및 스냅 바디를 가공하여 스틱, NFC 패티지, 상기 플라스틱, 스냅 패스너 닙 및 밀봉층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스냅 버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스냅 단추 제조 방법은, 사출 성형된 외부 바디를 준비하는 단계; 외부 바디의 하부면을 프린팅 처리하는 단계; 프린팅 처리된 외부 바디의 하부면에 밀봉층을 도포하는 단계; 외부 바디의 상부면에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적층하는 단계; NFC 패키지의 상부면에 플라스틱을 적층하는 단계; 플라스틱의 상부면에 스냅 패스너 닙을 적층하여 스냅 바디를 제조하는 단계; 및 스냅 바디를 가공하여 프린팅 처리된 외부 바디, 밀봉층, NFC 패키지, 플라스틱 및 스냅 패스너 닙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스냅 버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와펜 제조 방법은, 준비된 제1 패브릭의 상부면에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적층하는 단계; NFC 패키지의 상부면에, NFC 패키지와의 접촉면에 핫멜트가 도포된 제2 패브릭을 적층하여 와펜 바디를 제조하는 단계; 및 와펜 바디를 가공하여 제1 패브릭, NFC 패키지, 제2 패브릭 및 핫멜트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와펜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패키지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 및 유저 단말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는, 연성을 갖는 NFC 필름; NFC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양면에 구비되는 방수 및 방습성을 갖고 박막 형태를 갖는 연성의 방수 필름; 및 NFC 필름과 방수 필름 사이에 박막형태로 도포되는 연성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여 의류 부자재에 설치되어 있고, 유저 단말은,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개인 식별 정보와 관련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 및 유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하여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저장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로드하고, 로드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출력 정보를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출력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성의 NFC 필름을 연성을 갖는 박막의 방수 소재로 완벽하게 감싸는 방식으로 NFC 패키지를 제조하기 때문에, 의류 라벨 등 의류에 부착하더라도,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 시 NFC 패키지가 설치된 부분에 접촉시에도 착용감이 감소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을 방수 필름과 접착 부재로 앙면을 완벽히 감싸서 보호함에 따라서, 방수성 및 방습성이 보장됨에 따라서 지속적인 세탁이 이루어지는 의류 부자재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NFC 필름의 산화와 부식을 방지하며 수분의 침투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노출에 따른 NFC 필름의 인식 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NFC 패키지 자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의류에 착용감 감소 없이 데이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NFC 패키지가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 연동된 시스템에 의하여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의 위치 파악 및 분실 및 도난 의류의 소유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의 입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6은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의류 부자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가 의류 부자재에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 단말의 구성을 구체화한 구성도이다.
도 13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유저의 개인 식별 정보 및 보호자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예시 화면.
도 14은 유저가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선택 가능한 입력을 도시한 예시 화면.
도 15은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의 위치 추적을 도시한 예시 화면.
도 16는 분실 및 도난된 의류의 소유자 확인을 나타낸 예시 화면.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의 단면 구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의 입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는 연성을 갖는 NFC 필름(30), NFC 필름(30)의 상부면과 하부면 양면에 구비되는 방수 및 방습성을 갖고 박막 형태를 갖는 연성의 방수 필름(10) 및 NFC 필름(30)과 방수 필름(10) 사이에 박막 형태로 도포되는 연성의 접착 부재(20)를 포함한다.
방수 필름(10)은 NFC 필름(3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감싸서 보호함에 따라서 내부 NFC 필름(30)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NFC 필름(30)의 산화와 부식을 방지하며 수분의 침투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환경에서의 자외선 직접 노출에 따른 NFC 필름(30)의 인식불량 문제 또한 해결할 수 있어 NFC 패키지 자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외부의 진동 및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며 방수 기능이 포함되도록 형성한 NFC 패키지를 의류부자재에 설치함에 따라서 세탁기, 건조기 및 장마철에 비를 맞더라도 고장이나 파손의 우려가 없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기술, 즉 근거리 통신 기술 중의 하나로서, 13.56 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로 주목 받고 있으며, 최근 발매되는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타블렛 PC는 대부분 NFC 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NFC 태그에 단말을 비접촉식으로 가까이 접근 시키기만 하면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가 단말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단말의 뒷면에는 NFC 태그를 식별할 수 있는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서 외부 단말을 NFC 태그에 가져다 대기만 하면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없이도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가 단말에 출력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비컨(beacon), 지그비(ziegbee), 적외선(infrared), UWB(Ultra Wid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및 루비(Rube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 장치는, 데이터를 읽고 쓰기가 가능한 NFC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이외의 근거리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연성을 갖는 NFC 필름(30)은 적어도 Al, Cu 및 Ag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여 박막 형태로 사용하고, 방수 필름(10)은 적어도 PET 및 PI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의 흡수가 가능하며 우수한 방수성 및 방습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20)는 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내수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적어도 아크릴계, 에폭시계, 아라미드계, 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E.V.A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P.V.C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NFC 필름(30)의 두께가 140~200 140~200μm이며 방수 필름(10)의 두께가 20~60μm이고, 접착 부재(20)의 두께가 40~60μm로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의 총 두께는 260~440μm를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NFC 패키지가 의류 라벨에 부착 또는 밀봉 되었을 경우, 종래의 의류 라벨의 두께가 500μm일 때, 바람직하게는 NFC 패키지가 의류 라벨이 부착 또는 밀봉되었을 경우의 두께가 60%이하의 두께로서 약 300μm일 때가 실험 상 착용감의 감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최적의 두께이다. 즉, 본 발명은 NFC 패키지를 의류 라벨에 부착 또는 밀봉의 형태로 설치한 이후에도 종래의 의류 라벨과 비교하여 두께, 착용감 및 효과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 은 방수 처리 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의류 부자재인 단추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인 단추 제조방법은, 틀에 압력을 가하여 안착 홈을 생성하는 S10단계가 수행되고, 안착 홈은 내부 캐비티를 갖고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여기에 하부 플라스틱을 적층하는 S11단계가 수행된다.
플라스틱은 예를 들어, 가열 및 가압에 의해서 성형이 가능한 재료로 바람직하게는 내열플라스틱일 수 있다.
S11단계의 수행 후, 하부 플라스틱 상부에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적층하고 NFC 패키지 상부에 상부 플라스틱을 적층하여 제1바디를 제조하는 S12단계를 수행한다.
S12단계의 수행 후, 제1 바디를 가공하여 하부 플라스틱, NFC 패키지 및 상부 플라스틱이 서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제2 바디를 제조하는 S13단계를 수행한다.
S13 단계는 예를 들어, 제1 바디에 가열 및 가압 처리를 하여 플라스틱이 용융되면서 하부 플라스틱, NFC 패키지 및 상부 플라스틱이 서로 결합되게 한 후, 이를 냉각하여 경화시키는 공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있는 프로세스라면 상술한 공정에 제한됨 없이 다양한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S13단계의 수행 후, 제2 바디를 틀에서 분리 한 뒤 가공하여 단추를 제작하는 S14단계를 수행한다.
도 4는 방수 처리 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의류 부자재인 스냅 버튼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스냅 버튼은 볼록형과 오목형으로 구성되는 잠금장치로, 의류의 트인 부분에 각각 나누어 달아 의류를 여밀 때 볼록형과 오목형을 맞대고 눌러 맞물리게 하는 버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인 스냅 버튼 제조 방법은, 준비된 스틱의 상부면에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적층하는 S20단계를 수행하고, NFC 패키지의 상부면에 플라스틱을 적층하는 S21단계를 수행한다.
S21단계의 수행 후, 플라스틱의 상부면에 스냅 패스너 닙을 적층하는 S22단계가 수행된다. 한편 스냅 패스너 닙은 볼록형과 오목형의 잠금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스냅 버튼의 구성 요소 중 볼록형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S22단계의 수행 후, 스냅 패스너 닙의 상부면에 밀봉층을 도포하여 스냅 바디를 제조하는 S23단계가 수행된다. 밀봉층은 예를 들어 내후성, 내부식성을 갖는 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바람직하게는 에폭시일 수 있으며, NFC 패키지를 밀폐되도록 덮어 보호하므로 충격에 의하여 NFC 패키지가 작동 불능이 되는 경우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한 방수 및 방습성을 갖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S23단계의 수행 후, 스냅 바디를 가공하여 스틱, NFC 패키지, 플라스틱, 스냅 패스너 닙 및 밀봉층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스냅 버튼을 제조하는 S24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S24 단계는 예를 들어, 스냅 바디에 가열 및 가압 처리를 하여 플라스틱 또는 밀봉층이 용융되면서 스틱, NFC 패키지, 플라스틱, 스냅 패스너 닙 및 밀봉층이 결합되게 한 후, 이를 냉각하여 경화시키는 공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있는 프로세스라면 상술한 공정에 제한됨 없이 다양한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방수 처리 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의류 부자재인 스냅 버튼의 또 다른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인 스냅 버튼의 또 다른 제조 방법은, 사출 성형된 외부 바디를 준비하는 S30단계를 수행한다. 사출 성형은 플라스틱을 성형하는 기술의 일종으로, 일정한 순환 과정으로 자동적 또는 반자동적으로 능률 좋게 성형품을 생성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가열하면 유동하고 냉각하면 고체화하는 성질을 가진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가열 용융하고 노즐을 통하여 차가운 금형내에 사출하여 성형품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S30단계 수행 후, 외부 바디의 하부면을 프린팅 처리하는 S31단계가 수행되며, 프린팅 처리된 외부 바디의 하부면에 밀봉층을 도포하는 S32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S32단계의 수행 후, 외부 바디의 상부면에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적층하는 S33단계가 수행되고, NFC 패키지의 상부면에 플라스틱을 적층하는 단계인 S34가 수행될 수 있다.
S34단계의 수행 후, 플라스틱의 상부면에 스냅 패스너 닙을 적층하여 스냅 바디를 제조하는 S35단계가 수행되며, S35단계 이후, 스냅 바디를 가공하여 프린팅 처리된 외부 바디, 밀봉층, NFC패키지, 플라스틱 및 스냅 패스너 닙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스냅 버튼을 제조하는 S36단계가 수행된다.
S36 단계는 예를 들어, 스냅 바디에 가열 및 가압 처리를 하여 플라스틱 또는 밀봉층이 용융되면서 프린팅 처리된 외부 바디, 밀봉층, NFC패키지, 플라스틱 및 스냅 패스너 닙이 결합되게 한 후, 이를 냉각하여 경화시키는 공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있는 프로세스라면 상술한 공정에 제한됨 없이 다양한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5의 실시예에 의한 방법(공정)으로 제조되는스냅 버튼은 스냅 단추에 있어서 소켓을 제외한 스냅 단추의 부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6은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의류 부자재인 와펜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와펜은 의류에 부착하는 장식용 휘장 및 문장으로 심벌 마크를 자수로 만든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인 와펜 제조 방법은, 준비된 제1 패브릭의 상부면에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적층하는 S40단계를 수행한 뒤, NFC 패키지의 상부면에, NFC 패키지와의 접촉면에 핫멜트가 도포된 제2 패브릭을 적층하여 와펜 바디를 제조하는 S41 단계가 수행 될 수 있다.
한편, 핫멜트는 가열에 의하여 용융한 후 냉각시켜 접착성을 갖게 한 접착 부재로 이해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핫멜트로는, 예를 들어, E.V.A, Rubber, Polyamide 및 Polyurethane 등이 있으며 용융한 후 냉각시켜 접착된 이후에 습기와 반응하여 완전히 굳어지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접착 부재로 목재, 신발, 의류 및 자동차 부품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습기 경화형 핫멜트인 Polyurethane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S41단계 수행 후, 와펜 바디를 가공하여 제1 패브릭, NFC 패키지, 제2 패브릭 및 핫멜트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와펜을 제조하는 S42단계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S42 단계는 상기 핫멜트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핫멜트의 접착 공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40)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 단말(50), 보호자 단말(60) 및 NFC 패키지(40)는 무선 네트워크(7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NFC 패키지(40)는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NFC 패키지 또는 의류 부자재에 설치되는 NFC 패키지를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선 네트워크(70)는 유저 단말(50)과 보호자 단말(60)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미도시)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로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 PWN(Public Wireless Network) 및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유저 단말(50)과 NFC 패키지(40)는 NFC 통신 방식을 통하여 후술한 기능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가 의류 부자재에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내용들 중 불필요하게 중복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의류 부자재에 설치된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는 의류 내에서 박음질 및 밀봉과 같은 기타 방법에 의하여 의류에 고정될 수 있고 세탁한 이후에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기존 의류의 디자인을 해하지 않고도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가 설치된 의류 부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40)가 의류 라벨(41)에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의류 라벨(41)에 설치된 NFC 패키지(40)는 유저 단말과 상술한 바와 같이 NFC 방식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40)가 단추(42)에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단추(42)에 설치된 NFC 패키지(40)는 유저 단말과 상술한 바와 같이 NFC 방식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40)가 스냅 버튼(43)에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냅 버튼(43)에 설치된 NFC 패키지(40)는 유저 단말과 상술한 바와 같이 NFC 방식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40)는 도 10에서는 스냅 버튼(44)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스냅 단추를 구성하는 스냅 버튼(44) 이외에 소켓(식별번호 없음)에도 설치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40)가 와펜(43)에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와펜(43)에 설치된 NFC 패키지(40)는 유저 단말과 상술한 바와 같이 NFC 방식을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도 8 내지 11의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가 설치된 의류부자재는 도면에 한정적으로 표현되었으나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의류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및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유저 단말에 의하여 NFC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할 정도로 접근 가능한 위치라면 어디든 설치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있어서 유저 단말의 구성을 구체화한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1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내용들 중 불필요하게 중복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4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서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40)가 의류 부자재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유저 단말은 정보 입력부(110) 및 출력 정보 제공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입력부(110)는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식별 정보와 관련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유저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 개인 식별정보를 입력 받아 NFC 필름의 정보 저장 공간에 수신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식별 정보와 관련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란,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식별 정보 그 자체 또는 용량에 따라서 별도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식별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개인 식별 정보로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서 적어도 NFC 패키지(40)가 설치된 의류를 착용한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의 식별 정보,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의 보호자의 식별 정보 및 의류 소유자의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상술한 개인의 이름 정보 이외에, 연락처 정보, 주소 정보 등 개인을 식별하거나 개인에게 연락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은 적어도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스타일러스 펜 중 하나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입력 수단이라면 어떤 것이든 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출력 정보 제공부(120)는 정보 입력부(110) 및 유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하여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저장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로드하고, 로드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출력 정보를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유저 단말에 설치된 GPS 모듈로부터 수신한 유저 단말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 뒤,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 및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의 개인 신원 확인 및 신원 확인된 개인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저 단말은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 및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입력부(110)는 유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NFC 패키지(40)가 설치된 의류의 소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부터 소유자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상기 소유자 정보와 관련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소유자 정보는 상술한 개인 식별 정보와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출력 정보 제공부(120)는 NFC 필름과 유저 단말의 NFC 통신 방식을 통하여 유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시,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으로부터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로드하고, 로드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유자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 정보로서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유저의 개인 식별 정보 및 보호자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예시 화면(200)이다. 개인 식별 정보는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인 식별 정보를 외부 관리서버에 링크시키거나, 저용량의 경우 상술한 개인 식별 정보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NFC 칩에 직접 해당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유저 단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외부 관리 서버의 링크에 연결 시키거나 NFC 칩으로부터 해당 정보를 로드하여 유저 단말에 출력하는 기능이 수행 될 수 있다.
외부 관리 서버는 예를 들어, 유저 단말로부터 생성된 개인 식별정보에 링크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이 수행 될 수 있으며, 유저 단말 및 보호자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될 수 있다.
한편 링크된 정보는 웹 페이지로 자동 연결하기 위한 주소정보(Uniform Resource Location; URL)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링크된 웹 페이지는 링크 정보가 등록된 개인 식별 정보와 관련된 세부 정보가 포함 될 수 있다.
즉,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가 설치된 의류부자재를 소지하고 있는 미아 혹은 의사결정무능력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NFC 통신 방식이 지원되는 단말을 NFC 패키지에 가까이 접근시키게 되면 외부 관리 서버에서 운영하는 웹 페이지의 URL 주소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NFC 패키지와 통신하는 경우 단말이 외부 관리 서버의 상술한 URL 주소정보에 대응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상술한 개인 식별 정보 등을 유저의 단말에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되는 정보가 적을 경우, NFC 칩으로부터 직접 해당 정보가 로드되어 유저의 단말에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을 활용하면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 유저 단말에 설치된 GPS 모듈로부터 수신한 유저 단말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되는 개인 식별 정보로서, 의류 착용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또는 보호자의 이름, 연락처 또는 주소 정보 등을 단말의 소유자가 확인할 수 있어 적절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유저가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선택 가능한 입력을 도시한 예시 화면(300)을 참조하면, 유저가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를 발견할 경우,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가 착용한 의류에 단말을 접근하고, 이를 통해 로드한 정보와, 내 위치 정보를 전송하거나 주변의 보호소 검색 및 보호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또는 직접 주변의 보호소 검색 및 보호소와 연결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5은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의 위치 추적을 도시한 예시 화면(400)이다.
즉, 유저는 미아 및 의사결정무능력자의 의류 부자재에 설치된 NFC 패키지와 NFC 통신 가능한 단말을 이용하여 주소 정보를 출력하고, 단말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현위치를 조회하여 해당 주소 정보를 보호자의 단말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의 출력 정보 제공부로부터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유저 단말에 설치된 GPS 모듈로부터 수신한 유저 단말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 뒤,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 및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개인 신원 확인 및 신원 확인된 개인의 위치 정보를 유저 단말로 출력하는 기능이 수행되어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도 16은 분실 및 도난된 의류의 소유자 확인을 나타낸 예시 화면(500)이다. 유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NFC 패키지가 설치된 의류의 소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부터 소유자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의류 부자재에 설치된 NFC 패키지와 NFC 통신 가능한 단말을 이용하여 유저의 단말에는 적어도 의류의 소유자 이름, 주소, 전화번호 및 비상 연락망에 관한 정보가 출력 정보 제공부에 의하여 출력될 수 있으며, 로드된 기 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소유자 정보와 기설정된 용량의 데이터를 로드한 유저 단말의 소유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의류의 분실 및 도난 여부를 나타내는 시각적 효과, 청각적 효과 및 진동 이벤트를 포함하는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유저 단말의 출력 제공부를 통하여 다양한 실시예로 출력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분실 및 도난 의류와 소유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하여 유저 단말에 ““소유자 정보 일치!””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분실 및 도난 의류와 소유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하여 ““소유자 정보 불일치!””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안내 메시지에 대한 실시예 이외에, 유저 단말에 시각적 효과로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출력 형태라면 어느 것이나 포함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분실 및 도난 의류와 소유자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른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하여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실 및 도난 의류와 소유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써 유저 단말의 기 설정된 벨소리로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청각적 효과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3 실시예)
분실 및 도난 의류와 소유자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른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하여 진동 이벤트가 출력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실 및 도난 의류와 소유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써 유저 단말에 기 설정된 세기의 1회 진동 이벤트를 출력하여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이벤트의 횟수와 진동 이벤트의 세기는 정해질 수도 있으나 달라질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서로 순차적 또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는
    연성을 갖는 140~150μm의 NFC 필름;
    상기 NFC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양면에 구비되는 방수 및 방습성을 갖고 20~30μm 의 박막 형태를 갖는 연성의 방수 필름; 및
    상기 NFC 필름과 상기 방수 필름 사이에 박막 형태로 40~45μm 도포되는 연성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되 방수 처리된 NFC패키지의 총 두께가 260~300μm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로서,
    상기 NFC 필름은 적어도 Al, Cu 및 Ag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필름은 적어도 PET 및 PI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부재는 적어도 아크릴계, 에폭시계, 아라미드계, 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E.V.A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P.V.C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단추 제조 방법은
    내부 캐비티를 갖고, 상면이 개방된 안착 홈에 하부 플라스틱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하부 플라스틱 상부에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적층한 뒤, 상기 NFC 패키지 상부에 상부 플라스틱을 적층하여 제1 바디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바디를 가공하여 상기 하부 플라스틱, 상기 NFC 패키지 및 상기 상부 플라스틱이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2 바디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바디를 틀에서 분리한 뒤 가공하여 단추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단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단추에 설치된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개인 식별 정보와 관련된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하여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저장된 상기 개인 식별 정보를 로드하고, 로드한 상기 개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출력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출력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GPS 모듈로부터 수신한 유저 단말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 뒤,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 및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개인 신원 확인 및 확인된 개인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 및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입력부는,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상기 NFC 패키지가 설치된 의류의 소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부터 소유자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상기 소유자 정보와 관련된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출력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C 필름과 상기 유저 단말의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시,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으로부터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로드하고, 로드한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유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 정보로서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로드된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소유자 정보와,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를 로드한 유저 단말의 소유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의류의 분실 및 도난 여부를 나타내는 시각, 청각 및 촉각적 효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5.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는
    연성을 갖는 140~150μm의 NFC 필름;
    상기 NFC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양면에 구비되는 방수 및 방습성을 갖고 20~30μm 의 박막 형태를 갖는 연성의 방수 필름; 및
    상기 NFC 필름과 상기 방수 필름 사이에 박막 형태로 40~45μm 도포되는 연성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되 방수 처리된 NFC패키지의 총 두께가 260~300μm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로서,
    상기 NFC 필름은 적어도 Al, Cu 및 Ag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필름은 적어도 PET 및 PI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부재는 적어도 아크릴계, 에폭시계, 아라미드계, 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E.V.A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P.V.C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스냅 버튼 제조 방법은
    준비된 스틱의 상부면에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NFC 패키지의 상부면에 플라스틱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플라스틱의 상부면에 스냅 패스너 닙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스냅 패스너 닙의 상부면에 밀봉층을 도포하여 스냅 바디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스냅 바디를 가공하여 상기 스틱, NFC 패키지, 상기 플라스틱, 상기 스냅 패스너 닙 및 상기 밀봉층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스냅 버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스냅 버튼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스냅 버튼에 설치된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개인 식별 정보와 관련된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하여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저장된 상기 개인 식별 정보를 로드하고, 로드한 상기 개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출력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출력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GPS 모듈로부터 수신한 유저 단말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 뒤,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 및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개인 신원 확인 및 확인된 개인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 및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입력부는,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상기 NFC 패키지가 설치된 의류의 소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부터 소유자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상기 소유자 정보와 관련된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출력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C 필름과 상기 유저 단말의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시,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으로부터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로드하고, 로드한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유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 정보로서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로드된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소유자 정보와,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를 로드한 유저 단말의 소유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의류의 분실 및 도난 여부를 나타내는 시각, 청각 및 촉각적 효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6.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는
    연성을 갖는 140~150μm의 NFC 필름;
    상기 NFC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양면에 구비되는 방수 및 방습성을 갖고 20~30μm 의 박막 형태를 갖는 연성의 방수 필름; 및
    상기 NFC 필름과 상기 방수 필름 사이에 박막 형태로 40~45μm 도포되는 연성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되 방수 처리된 NFC패키지의 총 두께가 260~300μm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로서,
    상기 NFC 필름은 적어도 Al, Cu 및 Ag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필름은 적어도 PET 및 PI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부재는 적어도 아크릴계, 에폭시계, 아라미드계, 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E.V.A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P.V.C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스냅 버튼 제조 방법은
    사출 성형된 외부 바디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외부 바디의 하부면을 프린팅 처리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 처리된 상기 외부 바디의 하부면에 밀봉층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외부 바디의 상부면에 방수 처리된 상기 NFC 패키지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NFC 패키지의 상부면에 플라스틱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플라스틱의 상부면에 스냅 패스너 닙을 적층하여 스냅 바디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스냅 바디를 가공하여 상기 프린팅 처리된 외부 바디, 상기 밀봉층, 상기 NFC 패키지, 상기 플라스틱 및 상기 스냅 패스너 닙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스냅 버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스냅 버튼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스냅 버튼에 설치된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개인 식별 정보와 관련된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하여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저장된 상기 개인 식별 정보를 로드하고, 로드한 상기 개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출력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출력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GPS 모듈로부터 수신한 유저 단말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 뒤,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 및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개인 신원 확인 및 확인된 개인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 및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입력부는,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상기 NFC 패키지가 설치된 의류의 소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부터 소유자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상기 소유자 정보와 관련된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출력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C 필름과 상기 유저 단말의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시,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으로부터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로드하고, 로드한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유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 정보로서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로드된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소유자 정보와,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를 로드한 유저 단말의 소유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의류의 분실 및 도난 여부를 나타내는 시각, 청각 및 촉각적 효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7.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는
    연성을 갖는 140~150μm의 NFC 필름;
    상기 NFC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양면에 구비되는 방수 및 방습성을 갖고 20~30μm 의 박막 형태를 갖는 연성의 방수 필름; 및
    상기 NFC 필름과 상기 방수 필름 사이에 박막 형태로 40~45μm 도포되는 연성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되 방수 처리된 NFC패키지의 총 두께가 260~300μm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로서,
    상기 NFC 필름은 적어도 Al, Cu 및 Ag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필름은 적어도 PET 및 PI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부재는 적어도 아크릴계, 에폭시계, 아라미드계, 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E.V.A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P.V.C계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와펜 제조 방법은
    준비된 제1 패브릭의 상부면에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NFC 패키지의 상부면에, 상기 NFC 패키지와의 접촉면에 핫멜트가 도포된 제2 패브릭을 적층하여 와펜 바디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와펜 바디를 가공하여 상기 제1 패브릭, 상기 NFC 패키지, 상기 제2 패브릭 및 상기 핫멜트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와펜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포함하는 와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와펜에 설치된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을 포함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저 단말은,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적어도 개인 식별 정보와 관련된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하여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저장된 상기 개인 식별 정보를 로드하고, 로드한 상기 개인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출력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출력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GPS 모듈로부터 수신한 유저 단말의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 뒤,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 및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개인 신원 확인 및 확인된 개인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 및 상기 유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 정보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입력부는,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상기 NFC 패키지가 설치된 의류의 소유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부터 소유자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에 상기 소유자 정보와 관련된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출력 정보 제공부는,
    상기 NFC 필름과 상기 유저 단말의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시, 상기 NFC 필름에 포함된 정보 저장 공간으로부터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로드하고, 로드한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유자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 정보로서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고,
    로드된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로서, 적어도 이름, 나이, 성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및 하나 이상의 보호자 연락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소유자 정보와, 상기 NFC 칩에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의 데이터를 로드한 유저 단말의 소유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의류의 분실 및 도난 여부를 나타내는 시각, 청각 및 촉각적 효과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처리된 NFC 패키지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158010A 2016-11-25 2016-11-25 방수 처리가 된 nfc 패키지, 이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58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010A KR101758729B1 (ko) 2016-11-25 2016-11-25 방수 처리가 된 nfc 패키지, 이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CN201710085679.2A CN108108799A (zh) 2016-11-25 2017-02-17 近场通信包、服装辅料、转印印刷方法及信息提供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010A KR101758729B1 (ko) 2016-11-25 2016-11-25 방수 처리가 된 nfc 패키지, 이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729B1 true KR101758729B1 (ko) 2017-07-31

Family

ID=5941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010A KR101758729B1 (ko) 2016-11-25 2016-11-25 방수 처리가 된 nfc 패키지, 이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7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100A (ja) * 2000-05-17 2002-02-08 Jmi:Kk 縫止脚付衣服用ボタン
JP2015129989A (ja) * 2014-01-06 2015-07-16 日本ダム株式会社 Rfidラベルとそ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100A (ja) * 2000-05-17 2002-02-08 Jmi:Kk 縫止脚付衣服用ボタン
JP2015129989A (ja) * 2014-01-06 2015-07-16 日本ダム株式会社 Rfidラベルとその製造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4701B2 (ja) エレクトロニクス用の熱成形プラスチックカバーおよび関連した製法
EP3485428B1 (en) Multilay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and fixing of the device
US11410007B2 (en) Durable RFID printed fabric labels
US11165141B2 (en) Antenna assemblies for watch bands
US8181881B2 (en) Stretchable wristband with RFID chip
CN105008949A (zh) 与服装整合的保形电子装置
JP2018523286A (ja) 埋込みエレクトロニクスを有するマルチ材料構造体
TWI737899B (zh) 用於電子設備的無縫間隔織物
US11564422B2 (en) Apparel with wireless-powered sensors
US20100060459A1 (en) Rfid tag
US20200218370A1 (en) Wireless charging mouse pad and manufacture process thereof
JP2006298144A (ja) パネルおよびパネルの製造方法
US20190009500A1 (en) Laminar composite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JP2006172190A (ja) Rfidタグ
JP2005056362A (ja) Icタグ
KR102307396B1 (ko) 보호 커버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758729B1 (ko) 방수 처리가 된 nfc 패키지, 이를 이용한 의류 부자재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CN101663750A (zh) 电子装置、安装有电子装置的电子设备、安装有电子装置的物品、电子装置的制造方法
US20120067963A1 (en) Apparatus and Process Includ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s
KR101753142B1 (ko) 방수 처리가 된 플렉서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사 인쇄 방법
EP2401820A2 (en) Wireless branding
US20200115828A1 (en) Fabric with Conductive Core
US20160277872A1 (en) Downsized near field communication ring device
JP3245323U (ja) 刺繍ワッペン
JP2019212493A (ja) 電子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