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109B1 - 스노우 휠 - Google Patents

스노우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109B1
KR101753109B1 KR1020160048026A KR20160048026A KR101753109B1 KR 101753109 B1 KR101753109 B1 KR 101753109B1 KR 1020160048026 A KR1020160048026 A KR 1020160048026A KR 20160048026 A KR20160048026 A KR 20160048026A KR 101753109 B1 KR101753109 B1 KR 101753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pike
snow
fasten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련
Original Assignee
박진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련 filed Critical 박진련
Priority to KR1020160048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61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60C27/029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cting on the sidewall of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38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tensioning means
    • B60C27/0253Centrifugal forces for tensioning while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61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60C27/0269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cting on the wheel, e.g. on the rim or wheel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바퀴의 외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나사 연결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 바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스노우 휠에 있어서, 차량 바퀴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원반형의 휠부, 휠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편향되게 형성된 복수의 스파이크 삽입부,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스파이크 삽입부에 착탈되고, 일부가 노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스파이크, 스파이크 삽입부 일측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함몰되어, 스파이크가 유동하며 유입된 눈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눈배출홈 및 휠부를 관통 지지하여 차량 바퀴에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차량의 제동 시 스파이크가 노면과 마찰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스노우 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노우 휠 {SNOW WHEEL}
본 발명은 빙판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스노우 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바퀴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쉽게 장착이 가능한 스노우 휠에 관한 것이다.
눈이 오게 되면 도로에 빙판이 형성되어 자동차 사고가 급증하게 된다. 따라서 눈길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미끄럼 방지 장치는 스노우 체인이다. 하지만, 스노우 체인은 차량 바퀴에 감거나 푸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 특히 차량을 전진 또는 후진하며 바퀴를 회전시켜야 스노우 체인을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석을 왔다갔다하는 수고스러움이 있다. 또한, 소음이 심하고 승차감이 좋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 게다가, 노면에 지속적으로 마찰이 되므로 주행 중에 체인이 끊어질 수 있어 눈길을 벗어나면 풀어줘야 하는 단점이 있다.
스노우 체인은 현재 금속 체인을 대신하여 우레탄, 직물 등의 다양한 소재로 개발되어 소음 및 진동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체인의 특성상 타이어에 감고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은 여전히 존재한다.
스노우 휠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2003-0075470 (발명의 명칭 :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와 같은 발명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 발명은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요소가 많아 제작이 어렵고 가격이 비싸다. 또한 전기적인 결합장치가 추가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장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차량 바퀴의 외측면에서 장착되므로 바퀴를 굴리지 않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스파이크가 전진과 후진 양방향으로 각각 편향되어 설치되므로 전진 후진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감 있는 주행을 할 수 있으며, 스파이크의 탄성에 의해 차량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스파이크가 탈부착 가능하여 손상된 스파이크는 선택적으로 보수가 가능한 스노우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바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 바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스노우 휠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바퀴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원반형의 휠부; 상기 휠부의 일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편향되게 형성된 복수의 스파이크 삽입부;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파이크 삽입부에 착탈되고, 일부가 노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스파이크; 상기 스파이크 삽입부 일측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스파이크가 유동하며 유입된 눈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눈배출홈; 및 상기 휠부를 관통 지지하여 상기 차량 바퀴에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제동 시 상기 스파이크가 노면과 마찰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스노우 휠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휠부의 상기 스파이크 삽입부가 형성된 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스파이크를 연결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눈배출홈 쪽으로 접히도록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수동레버; 상기 휠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동레버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장홀; 및 상기 장홀의 양측 끝단에 상기 수동레버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 실린더 및 솔레노이드 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전력, 유압, 공압 중 어느 하나의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휠부 2개가 결합되어 이중으로 형성되되, 상기 각 휠부의 스파이크 삽입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파이크가 전후진 양방향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는, 단면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스파이크가 노면과 접촉 시 굽어짐에 대한 저항력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삽입부는, 상기 스파이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그 끝단이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휠부는, 상기 차량 바퀴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사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 연결부에 체결되는 제1 체결나사; 및 상기 체결홀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휠부를 고정시키는 나사머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부는, 상기 차량 바퀴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사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 및 상기 휠부의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된 중앙통공;을 포함하고, 결합부는, 상기 나사 연결부에 체결되는 제2 체결나사; 상기 제2 체결나사의 외주면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된 체결나사 홈; 상기 중앙통공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나사 홈에 결합되어 상기 휠부를 고정하는 고정홀더; 및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제2 체결나사와 결합되는 제1 체결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더는, 원기둥 형상의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의 일측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체결나사 홈에 걸리도록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 및 상기 홀더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 및 돌기부 사이에 상기 휠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휠은 차량 바퀴의 외측면에서 장착되므로 바퀴를 굴리지 않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다수의 스파이크가 전진과 후진 양방향으로 각각 편향되어 설치되므로 양방향으로 미끄러짐 없이 안정감 있는 주행을 할 수 있으며, 스파이크의 탄성에 의해 차량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고, 스파이크가 착탈 가능하여 손상된 스파이크는 선택적으로 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휠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휠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홀더의 결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휠의 제1 휠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휠에 수동 구동부를 적용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휠에 자동 구동부를 적용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노우휠에 장착되는 스파이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휠은 휠부(20), 스파이크 삽입부(21), 눈배출홈(22), 결합부(40) 및 스파이크(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휠부(20)는 차량 바퀴(10)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휠부(20)는 차량 바퀴(1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차량 바퀴(10)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차량 바퀴(10)의 타이어는 자동차의 무게에 의해 하부가 눌릴 수 있다. 따라서, 휠부(20)는 지면과 닿지 않도록 차량 바퀴(10)보다 작은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파이크 삽입부(21)는 휠부(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스파이크(60)가 장착 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크 삽입부(21)는 일방향으로 편향되게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파이크 삽입부(21)의 끝단은 일측으로 절곡되어 스파이크(6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눈배출홈(22)은 스파이크 삽입부(21) 일측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이크(60)가 노면과 닿았을 때 눈배출홈(22)에서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스파이크(60)가 절단되거나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눈배출홈(22)에 눈이 축적되었을 때, 스파이크(60)가 노면에 밀려 눈배출홈(22) 쪽으로 휘어지면 축적된 눈이 스파이크(60)로 인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다.
스파이크(60)는 휠부(20)의 가장자리에서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이크(60)가 노면과 마찰되어 차량 바퀴(1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파이크(60)는 완만한 곡선형인 낫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이크(60)는 차량 바퀴(10)가 전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내측으로 접히고, 차량 바퀴(10)의 제동 시에 스파이크(60)가 노면과 마찰되어 제동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후진방향으로 편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파이크(60)는 금속으로 형성되되 탄성 및 연성이 큰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파이크(60)는 스프링강, 텅스텐, 듀랄루민 등의 금속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40)는 차량 바퀴(10)에 구비된 나사 연결부(11)에 결합되어 휠부(20)를 차량 바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참고로, 나사 연결부(11)는 휠디스크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휠너트 또는 휠볼트가 체결되어 차량 바퀴(10)를 휠디스크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나사 연결부(11)는 차종에 따라 수나사 또는 암나사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결합부(40)의 형태는 이에 대응되어 너트 또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결합부(40)의 구성 및 결합관계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휠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휠은 휠부(20), 스파이크 삽입부(21), 눈배출홈(22), 스파이크(60), 체결홀(23), 중앙통공(24) 및 제1 체결나사(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과 대비하여, 휠부(20), 스파이크 삽입부(21), 눈배출홈(22), 스파이크(60)의 구성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체결홀(23)은 휠부(2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차량 바퀴(10)에 구비된 나사 연결부(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중앙통공(24)은 휠부(20)의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중앙통공(24)의 형상 및 결합관계는 도 3에서 고정홀더(5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체결나사(41)는 차량 바퀴(10)의 나사 연결부(11)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나사(41)는 휠부(20)의 체결홀(23)이 차량 바퀴(10)의 나사 연결부(11)와 일치되도록 배치된 후 체결홀(23)을 관통하여 나사 연결부(11)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자동차 모델에 따라 나사 연결부(11)의 구성이 다를 수 있음은 도 1에서 설명하였다. 따라서, 이에 체결되는 제1 체결나사(41)의 구성도 수나사 또는 암나사가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1 체결나사(41)는 끝단에 나사머리(4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머리(42)는 체결홀(23)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나사(41)가 체결홀(23)을 관통하여 나사 연결부(11)와 결합되고, 나사머리(42)가 휠부(20)를 차량 바퀴(10)방향으로 압박하여 단단하게 체결될 수 있다.
휠부(20)는 제1 체결나사(41)에 의해 차량 바퀴(10)에 결합될 때, 휠부(20) 두 개가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겹쳐진 두 개의 휠부(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향된 스파이크 삽입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휠부(20) 중 하나는 정방향으로 체결하고, 다른 하나는 반대방향으로 뒤집어 체결하면 각 스파이크 삽입부(2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려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스파이크 삽입부(21)에 체결된 스파이크(6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향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 시 양방향으로 스파이크(60)가 노면과 마찰되어 차량 바퀴(1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휠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휠은 휠부(20), 스파이크 삽입부(21), 눈배출홈(22), 스파이크(60), 체결홀(23), 중앙통공(24), 제1 체결나사(41), 제2 체결나사(43), 고정홀더(50) 및 스토퍼(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와 대비하여, 중앙통공(24), 제2 체결나사(43), 고정홀더(50)의 구성에 대한 차이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체결나사(43)는 차량 바퀴(10)의 나사 연결부(11)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나사(43)는 중심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길이방향의 홀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나사(43)의 홀에 제1 체결나사(41)가 결합되어 휠부(20)를 장착할 수 있다.
자동차 모델에 따라 나사 연결부(11)의 구성이 다를 수 있음은 도 1에서 설명하였다. 따라서, 이에 체결되는 제2 체결나사(43)의 구성도 수나사 또는 암나사가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2 체결나사(43)는 외주면 일측이 함몰된 체결나사 홈(44)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더(50)는 일부가 휠부(20)의 중앙통공(24)을 관통하여 체결나사 홈(44)과 결합될 수 있다. 고정홀더(50)는 홀더 몸체(51), 걸림부(52), 돌기부(53), 손잡이(54)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몸체(5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통공(24)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52)는 홀더 몸체(51)의 일측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52)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체결나사 홈(44)에 걸리도록, 일측이 함몰된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53)는 홀더 몸체(51)의 타측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54)는 홀더 몸체(51)의 단면에 형성되어 손으로 잡아 돌릴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통공(24)은 휠부(20)의 중앙에 형성되며, 홀더 몸체(51) 및 걸림부(52)의 형상과 대응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홀더(50)는 중앙통공(24)을 관통하여 삽입되되, 홀더 몸체(51)의 일부와 걸림부(52)가 삽입되고 돌기부(53)는 휠부(20)에 막혀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휠의 장착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복수의 나사 연결부(11)에 제2 체결나사(43)를 결합한다. 다음, 두 개의 휠부(20)를 겹쳐지도록 구비한 후, 휠부(20)의 체결홀(23)을 관통하여 제2 체결나사(43)에 제1 체결나사(41)가 결합된다. 다음으로, 고정홀더(50)를 중앙통공(24)에 맞게 삽입한 후 걸림부(52)가 체결나사 홈(44)에 걸리도록 회전시켜 장착을 완료할 수 있다. 체결나사 홈(44)에 걸린 걸림부(52)는 반대쪽으로 회전하면 빠지게 되므로 반대쪽으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70)의 구성은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 휠은 겨울철이 시작되면 제2 체결나사(43)를 결합해 놓은 상태에서 상시 주행을 하다가, 눈이 내리면 휠부(20)와 고정홀더(50), 제1 체결나사(41)를 결합하여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스노우 휠을 해제한 후에는 제2 체결나사(43)에 체결되는 캡을 구비하여 돌출된 제2 체결나사(43)를 덮어줄 수 있으며 외관상 미려하게 디자인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홀더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휠은 체결홀(23), 중앙통공(24), 제2 체결나사(43), 고정홀더(50) 및 스토퍼(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과 대비하여, 스토퍼(70)의 구성에 대한 설명과 고정홀더(50)의 결합관계를 제외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토퍼(70)는 휠부(20)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고정홀더(50)가 중앙통공(24)에 삽입될 때, 돌기부(53)에 의해 눌러질 수 있다. 고정홀더(50)가 회전하여 체결나사 홈(44)에 걸리면 스토퍼(70)는 돌기부(53)에서 빠져나와 돌기부(53) 측면에서 후퇴하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고정홀더(50)가 중앙통공(24)에 삽입되고 회전하여 체결나사 홈(44)에 걸렸을 때, 스토퍼(70)는 고정홀더(50)의 회전 반대방향에서 스프링에 의해 돌출되어 고정홀더(50)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고정홀더(50)를 빼내기 위해서는 스토퍼(70)를 손으로 눌러 삽입시킨 후 고정홀더(50)를 돌려 고정홀더(50)와 휠부(20)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휠의 휠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휠의 휠부는 스파이크 삽입부(21), 눈배출홈(22), 스파이크(60), 체결홀(23), 중앙통공(24), 회전부(80), 와이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은 도 1 내지 3과 대비하여, 휠부(20), 스파이크 삽입부(21), 눈배출홈(22), 스파이크(60), 체결홀(23) 및 중앙통공(24)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부(80)는 휠부(20)의 스파이크 삽입부(21)가 형성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8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80)는 도 6 및 7의 구동부(100)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와이어부(90)는 휠부(20)에 장착된 스파이크(60)와 회전부(80)의 외주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부(90)는 각 스파이크(60)의 끝단에서 1/3 지점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회전부(8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부(90)가 회전부(80)의 회전에 의해 감기게 되어, 와이어부(90)에 연결된 각 스파이크(60)를 눈배출홈(22) 쪽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즉, 회전부(8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휠부(2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던 각 스파이크(60)가 눈배출홈(22) 쪽으로 접혀 노면과 스파이크(60)의 마찰이 사라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회전부(80)를 회전시키는 힘을 제거하면 스파이크(60)의 탄성에 의해 스스로 복귀하여 휠부(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스노우 휠을 장착하거나 해제하는 번거로움 없이 도 6 및 7의 구동부(100)의 간단한 동작을 통해 스파이크(60)가 접히도록 조작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휠에 수동 구동부를 적용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수동 구동부를 구비한 스노우 휠은 휠부(20), 스파이크 삽입부(21), 눈배출홈(22), 스파이크(60), 체결홀(23), 중앙통공(24), 회전부(80), 연결기어(84), 와이어부(90) 및 구동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1 내지 3과 대비하여, 휠부(20), 스파이크 삽입부(21), 눈배출홈(22), 스파이크(60), 체결홀(23), 중앙통공(24) 및 와이어부(90)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부(80)는 휠부(20)의 스파이크 삽입부(21)가 형성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8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수동레버(101)는 회전부(80)를 사용자가 직접 돌릴 수 있도록 회전부(80)의 후면에서 휠부(2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동레버(101)는 회전부(80)의 후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3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홀(102)은 수동레버(101)의 이동반경을 가이드하도록 휠부(20)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장홀(102)은 수동레버(101)의 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딩부(103)는 장홀(102)의 양측 끝단에서 수동레버(101)가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홀(102)의 양측 끝단 상부에 요홈을 구비하고, 수동레버(101)에 돌기를 구비하여 요홈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돌기는 수동레버(101)의 외측에 노출된 스위치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스위치를 누르면 돌기가 요홈에서 이탈되어 수동레버(101)가 회전 가능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로 돌출된 수동레버(101)를 돌리면, 회전부(80)가 회전하여 와이어부(90)에 연결된 스파이크를 당기게 되고, 휠부(20)의 스파이크(60)는 눈배출홈(22) 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빙판길을 벗어났을 때, 스노우 휠을 분리하지 않아도 스파이크(60)를 내부로 잡아당겨 삽입되므로, 스노우 휠을 분리한 것과 동일하게 스파이크(60)의 마찰 없이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반대로 수동레버(101)를 돌리면, 스파이크(60)가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운전자는 빙판길에 다시 접어들면, 수동레버(101)의 동작만으로 스파이크(60)가 노출되도록 하여 바퀴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노우 휠을 장착하거나 해제하는 번거로움 없이 수동레버(101)를 돌리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도로 상태에 대응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휠에 자동 구동부를 적용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노우 휠은 휠부(20), 스파이크 삽입부(21), 눈배출홈(22), 스파이크(60), 체결홀(23), 중앙통공(24), 회전부(80), 구동부(100), 와이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1 내지 3 및 5와 대비하여, 휠부(20), 스파이크 삽입부(21), 눈배출홈(22), 스파이크(60), 체결홀(23), 중앙통공(24), 회전부(80) 및 와이어부(90)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100)는 회전부(80)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부(80)가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00)는 회전부(80)를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떤 형태든 가능하다. 특히, 구동부(100)는 모터(미도시), 실린더(미도시)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104) 등으로 구성되어 회전부(8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104)는 전자 코일에 전기가 통하면 플랜지를 잡아당기고, 전자 코일에 전기가 끊기면 플랜지가 스프링 등의 작용에 의해 복귀할 수 있다. 회전부(80)의 일측이 플랜지와 연결되고, 솔레노이드 밸브(104)의 플랜지가 전자 코일에 의해 당겨지면, 그 이동하는 거리만큼 회전부(8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전자 코일에 전기가 차단되면 스파이크(60)의 탄성에 의해 다시 복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00)는 신호 수신부 및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휠부(20)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스노우 휠이 회전할 때 무게가 편중되지 않도록 휠부(20)에 2개 이상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스파이크(60)를 자동으로 접히거나 돌출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눈길을 벗어나거나 또는 눈길 진입 시에 운전석에서 버튼 조작만으로 노면 상태에 대응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노우휠에 장착되는 스파이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스파이크(60)는 스파이크 삽입홈(21)에 장착되어 노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노면과 접촉되는 스파이크(60)는 다양한 저항력을 받게 되어 파손되거나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이크(60)는 단면을 굴곡지게 형성하여 노면과의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파이크(60)의 단면은 물결형, 예각으로 이루어진 지그재그형, 직각으로 이루어진 지그재그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면이 굴곡진 형태의 스파이크(60)는 평면으로 형성된 스파이크(60)에 비하여 쉽게 굽어지지 않고, 파손에 강한 효과가 있다. 단, 스파이크(60)는 스파이크 삽입홈(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스파이크 삽입홈과의 결합부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차량 바퀴
11 : 나사 연결부
20 : 휠부
21 : 스파이크 삽입부
22 : 눈배출홈
23 : 체결홀
24 : 중앙통공
40 : 결합부
41 : 제1 체결나사
42 : 나사머리
43 : 제2 체결나사
44 : 체결나사 홈
50 : 고정홀더
51 : 홀더 몸체
52 : 걸림부
53 : 돌기부
54 : 손잡이
60 : 스파이크
70 : 스토퍼
80 : 회전부
90 : 와이어부
100 : 구동부
101 : 수동레버
102 : 장홀
103 : 홀딩부
104 : 솔레노이드 밸브

Claims (10)

  1. 차량 바퀴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 바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스노우 휠에 있어서,
    상기 차량 바퀴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원반형의 휠부;
    상기 휠부의 일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편향되게 형성된 복수의 스파이크 삽입부;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파이크 삽입부에 착탈되고, 일부가 노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스파이크;
    상기 스파이크 삽입부 일측에서 부채꼴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스파이크가 유동하며 유입된 눈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눈배출홈; 및
    상기 휠부를 관통 지지하여 상기 차량 바퀴에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제동 시 상기 스파이크가 노면과 마찰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스노우 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의 상기 스파이크 삽입부가 형성된 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스파이크를 연결하는 와이어부; 및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눈배출홈 쪽으로 접히도록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스노우 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수동레버;
    상기 휠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동레버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장홀; 및
    상기 장홀의 양측 끝단에 상기 수동레버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스노우 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 실린더 및 솔레노이드 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전력, 유압, 공압 중 어느 하나의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을 하는 스노우 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 2개가 결합되어 이중으로 형성되되, 각 휠부의 스파이크 삽입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파이크가 전후진 양방향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스노우 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는,
    단면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스파이크가 노면과 접촉 시 굽어짐에 대한 저항력이 강화된 스노우 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삽입부는,
    상기 스파이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그 끝단이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 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는,
    상기 차량 바퀴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사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 연결부에 체결되는 제1 체결나사; 및
    상기 체결홀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휠부를 고정시키는 나사머리;를 포함하는 스노우 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부는,
    상기 차량 바퀴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사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 및
    상기 휠부의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된 중앙통공;을 포함하고,
    결합부는,
    상기 나사 연결부에 체결되는 제2 체결나사;
    상기 제2 체결나사의 외주면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된 체결나사 홈;
    상기 중앙통공에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체결나사 홈에 결합되어 상기 휠부를 고정하는 고정홀더; 및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제2 체결나사와 결합되는 제1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스노우 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는,
    원기둥 형상의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의 일측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체결나사 홈에 걸리도록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 및
    상기 홀더 몸체의 타측 외주면에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 및 돌기부 사이에 상기 휠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스노우 휠.
KR1020160048026A 2016-04-20 2016-04-20 스노우 휠 KR101753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26A KR101753109B1 (ko) 2016-04-20 2016-04-20 스노우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26A KR101753109B1 (ko) 2016-04-20 2016-04-20 스노우 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109B1 true KR101753109B1 (ko) 2017-07-19

Family

ID=5942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026A KR101753109B1 (ko) 2016-04-20 2016-04-20 스노우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10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9049A (en) Traction devices
WO2005044592A2 (en) Automatic safety tire device
US9981511B2 (en) Tire traction devices
US20220410643A1 (en) Anti-skid device
JP6698250B2 (ja) タイヤのグリップを高める装置
JPH0270512A (ja) 自動車車輪用滑り止め装置
KR101753109B1 (ko) 스노우 휠
JPH0557121B2 (ko)
US7624778B2 (en) Traction device for dual wheels
US3112138A (en) Anti-skid attachment for a vehicle wheel
US2953182A (en) Skid chain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s
US4234028A (en) Traction assembly for vehicle wheels
US1764785A (en) Tire chain
SE468204B (sv) Isbroddsanordning vid fordonshjul
KR19990045978A (ko) 미끄럼방지부재가내장된차량용휠
KR100648250B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US1273887A (en) Cushion-tire.
KR200323909Y1 (ko) 타이어 체인
KR20032357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200474032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200278767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JPS63101105A (ja) タイヤ滑り止め装置
JP4897320B2 (ja) 自動車用タイヤの滑止め装置
JP4121436B2 (ja) タイヤ滑止め装置用の引締め具
KR100562864B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