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316B1 -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316B1
KR101752316B1 KR1020160108826A KR20160108826A KR101752316B1 KR 101752316 B1 KR101752316 B1 KR 101752316B1 KR 1020160108826 A KR1020160108826 A KR 1020160108826A KR 20160108826 A KR20160108826 A KR 20160108826A KR 101752316 B1 KR101752316 B1 KR 101752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upply
display module
support head
supply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곤
김태진
김주형
조인군
Original Assignee
(주)소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닉스 filed Critical (주)소닉스
Priority to KR102016010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9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signal generators, power supplies or circuit analysers
    • G01R31/2841Signal gener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프레임에 안착된 디스플레이모듈의 신호공급부에 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제공된 검사신호를 공급하는 신호공급유닛; 상기 신호공급유닛이 지지 결합되는 지지헤드; 상기 지지헤드를 제1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기; 상기 안내기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헤드를 상기 신호공급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지지헤드를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신호공급부의 수직 위치에서 상기 신호공급부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면에 신호공급유닛이 결합된 지지헤드가 경사면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구동유닛에 결합되고, 구동유닛의 전진구동 및 후퇴구동에 의해 지지헤드가 안내프레임의 안내홈을 따라 지그프레임 방향으로 전진, 수직 접촉, 수직 이격 및 후퇴를 수행함에 따라, 구동유닛의 전진 및 후퇴 구동만으로도 디스플레이모듈의 검사신호 공급이 가능하여, 구동요소의 수를 줄임으로써,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그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고, 지지헤드가 검사신호를 디스플레이모듈에 공급할 때에만 인출됨에 따라, 검사 이전 및 검사 이후의 디스플레이모듈과의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아, 디스플레이모듈의 공급 및 퇴출이 용이하고, 점등검사가 수행되는 동일한 영역에서의 외관검사가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모듈의 검사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DEVICE OF PROVIDING SIGNAL FOR DISPLAY MODUL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액정소자를 통한 색상, 패턴 출력으로 문자 및 이미지 형태의 시각화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복수의 액정소자가 배열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경우, 종래에는 평판형으로 제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자인이 제한적이었고, 시청위치에 따라 왜곡이 발생할 수 있었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OLED, 백라이팅 기술 등의 발전으로 곡면형 디스플레이패널이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모듈은 제조공정에서 색도, 색 얼룩, 콘트라스트 등의 동작상태를 검사하는 점등검사를 거치게 된다.
최근, 디스플레이모듈의 발달로 인해, 종래의 작업자의 육안으로 수행되던 점등검사에도 정밀한 검사가 요구되어졌고, 생산속도 또한 증가하여 효율적인 검사를 수행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졌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9090호(출원일 : 2014.06.26., 공개일 : 2015.12.15.,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는 패널거치부(지그프레임)에 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호공급위치에 복수개의 신호 배선이 형성된 FPCB를 위치시키고, 레버의 가압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호공급위치와 FPCB의 신호배선을 가압 고정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점등검사를 수행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점등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FPCB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촉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장치가 지그프레임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서 수직 승강하여 FPCB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시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영역 상에서 고정장치와의 간섭 발생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공급과 퇴출 및 거치된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전체 외관검사 수행이 불가능하며, 고정장치의 가압에 의해 FPCB가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여 검사신호를 제공받음에 따라, FPCB디스플레이 패널의 신호공급부의 형상이 평평하지 않은 소켓형태로 마련되어 있을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에 신호 공급이 어려우며, FPCB가 소켓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하더라도, 고정장치만으로는 검사가 완료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FPCB를 분리시킬 수 없어, 디스플레이 패널과 FPCB를 분리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구동수단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그프레임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모듈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신호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접촉하여 검사신호를 공급하거나, 검사가 완료된 이후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이격되어 검사신호 공급을 중단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구동수단의 구성이 최소화된 디스플레이모듈 신호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그프레임에 안착된 디스플레이모듈의 신호공급부에 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제공된 검사신호를 공급하는 신호공급유닛; 상기 신호공급유닛이 지지 결합되는 지지헤드; 상기 지지헤드를 제1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기; 상기 안내기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헤드를 상기 신호공급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지지헤드를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신호공급부의 수직 위치에서 상기 신호공급부로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지지헤드가 상기 제2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강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헤드는 상기 안내프레임과 상기 안내기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신호공급부의 수직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헤드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신호공급부의 수직위치에서 상기 지지헤드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기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헤드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수직 하강되면서 상기 지지헤드에 결합된 신호공급유닛이 상기 신호공급부에 수직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헤드는 상기 안내프레임과 상기 안내기를 제2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지지헤드가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기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헤드가 상기 제3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수직 상승되면서 상기 지지헤드에 결합된 신호공급유닛이 상기 신호공급부로부터 수직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그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신호공급부 안착면에 위치하여 상기 신호공급부의 후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면에 신호공급유닛이 결합된 지지헤드가 경사면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구동유닛에 결합되고, 구동유닛의 전진구동 및 후퇴구동에 의해 지지헤드가 안내프레임의 안내홈을 따라 지그프레임 방향으로 전진, 수직 접촉, 수직 이격 및 후퇴를 수행함에 따라, 구동유닛의 전진 및 후퇴 구동만으로도 디스플레이모듈의 검사신호 공급이 가능하여, 구동요소의 수를 줄임으로써,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그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
둘째, 지지헤드가 검사신호를 디스플레이모듈에 공급할 때에만 인출됨에 따라, 검사 이전 및 검사 이후의 디스플레이모듈과의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아, 디스플레이모듈의 공급 및 퇴출이 용이하고, 점등검사가 수행되는 동일한 영역에서의 외관검사가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모듈의 검사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지지헤드가 구동유닛에 의해 인입 인출되면서도, 신호공급부의 상부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접촉함에 따라, 검사신호 공급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면접촉식의 핀타입 뿐만 아니라, 수직 삽입 접촉식의 소켓타입의 신호공급부에도 검사신호를 공급할 수 있어,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모듈에 대한 범용적인 점등검사가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전진구동에 따른 지지헤드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후퇴구동에 따른 지지헤드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안내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100)는 신호공급유닛(110), 지지헤드(120), 가이드레일(130), 구동유닛(140) 및 안내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100)는 디스플레이모듈(M)이 안착되는 지그프레임(160)의 일측부 상방에 배치되는 별도의 장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그프레임(160)에 결합된 단일 장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그프레임(160)과 별도로 지그프레임(160)의 일측부 상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100)에 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언급되는 디스플레이모듈(M)은 디스플레이장치에 내장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른 영상을 출력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액정셀, 백라이트가 결합된 LCD 타입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타입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모듈(M)은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보드에 연결되어 출력될 영상에 따른 패턴신호 및 구동신호를 인가받는 소켓 타입 또는 핀 타입 형태의 신호공급부(C)가 포함되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커넥터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소켓 타입의 신호공급부(C)를 가지는 디스플레이모듈(M)에 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신호공급유닛(110)은 신호발생장치(200)로부터 검사신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모듈(M)의 신호공급부(C)에 접촉하여, 신호발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검사신호를 디스플레이모듈(M)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신호공급유닛(110)은 디스플레이모듈(M)의 신호공급부(C)의 형상과 대응되는 커넥터를 가지며, 커넥터가 신호공급부(C)에 삽입될 경우, 디스플레이모듈(M)이 신호발생장치(200)로부터 제공된 검사신호를 통해 영상을 출력시킬 수 있다.
지지헤드(120)는 하면방향으로 신호공급유닛(110)이 지지 결합되고, 신호공급유닛(110)이 결합되는 하면과 예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으며. 결합헤드(122) 및 가이드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헤드(122)는 하면 방향으로 신호공급유닛(110)이 결합되고, 하면과 예각을 이루며 후술할 안내기(130)이 결합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재(124)는 결합헤드의 양측에 결합되며, 후술할 안내프레임(150)에 형성된 안내홈(152)의 직경과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안내홈(152)에 삽입될 수 있다.
안내기(130)는 일면이 결합헤드(122)에 결합되어 결합헤드(122)를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안내기(130)의 구성을 가이드레일(130)에 한하여 설명하고,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의 기재를 결합헤드(122) 경사면의 경사 방향의 기재로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유닛(140)은 가이드레일(130)에 결합되어, 결합헤드(122)를 제2 방향 및 제2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결합블럭(142) 및 공압실린더(14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유닛(140)의 구성을 설명하기 앞서 구동유닛(140)의 구동방향인 제2 방향 및 제2 방향과 반대 방향의 기재를 결합헤드(122)의 경사면과 수직되는 방향의 기재로 변경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블럭(142)은 결합헤드(122)의 경사면에 결합된 가이드레일(130)에 결합될 수 있다.
공압실린더(144)는 결합블럭(142)에 결합되어, 결합헤드(122)를 결합헤드(122)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안내프레임(150)은 결합헤드(122)를 결합헤드(122)의 경사면과 수직방향 및 지그프레임(160)에 안착된 디스플레이모듈(M)의 신호공급부(C)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3 방향 및 제3 방향과 반대방향의 기재를 결합헤드(122)의 하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기재로 변경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안내프레임(150)의 안내홈(152)은 결합헤드(122)의 경사면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헤드(122)가 결합헤드(122)의 경사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구간(152a)과 둔각을 이루고 결합헤드(122)의 하면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헤드(122)가 승강되는 승강구간(152c), 및 슬라이딩구간(152a)과 승강구간(152c)을 잇는 전환구간(15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내홈(152)의 슬라이딩구간(152a)은 공압실린더(144)에 의해 결합헤드(122)가 제2 방향 또는 제2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구간과 대응되는 구간이고, 전환구간(152b) 및 승강구간(152c)은 결합헤드(122)가 공압실린더(144)의 전/후진 구동에 따른 제2 방향 또는 제2 방향과 반대방향 이동과 가이드레일(130)을 통한 결합헤드(122)의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반대방향 이동이 동시에 일어나는 구간이다.
그리고, 안내홈(152)은 공압실린더(144)의 전진구동(인출)에 의해, 결합헤드(122)가 전진될 때, 가이드부재(124)가 통과하는 순서대로 슬라이딩구간(152a), 전환구간(152b), 승강구간(152c)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1을 참조하면, 공압실린더(144)는 후술할 안내프레임(150)의 안내홈(152)을 따라 이동방향이 안내되는 결합헤드(122)의 최대이동반경과 대응되는 인입거리(d)만큼 결합블럭(142)에 결합된 결합헤드(122)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동유닛(140)으로 공압에 의해 결합헤드(122)를 전진 또는 후퇴 시키는 공압실린더(144)에 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압실린더(144)는 인입거리(d)와 대응되는 구동반경을 가지며 결합헤드(122)의 전진 또는 후퇴가 가능한 액츄에이터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 신호공급 장치(100)의 구동유닛(140)의 전진구동에 따른 지지헤드(120)의 이동 및 신호공급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2의 (a)는, 최초 검사하고자하는 디스플레이모듈(M)이 지그프레임(160)의 안착홈(162)에 안착될 때, 공압실린더(144)의 후퇴에 의해 결합헤드(122)가 후퇴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결합헤드(122)는 가이드부재(124)에 의해 슬라이딩구간(152a)의 끝 지점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만큼 후퇴하여, 검사를 대기하게 된다.
이후, 도2의 (b)와 같이 공압실린더(144)의 전진구동에 의해 경사블럭(142)과 결합헤드(122)를 밀어내면, 결합헤드(122)에 결합된 가이드부재(124)가 안내프레임(150)의 슬라이딩구간(152a)을 이동하면서 결합헤드(122)가 공압실린더(144)의 전진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지그프레임(16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공압실린더(144)의 전진구동에 의해 가이드부재(124)가 전환구간(152b)에 도달하게 되면, 가이드부재(124)가 전환구간(152b) 상부 굴곡면을 따라 하강되면서 전진하여, 결합블럭(142)과 가이드레일(130)을 통해 연결된 결합헤드(122)는 가이드부재(124)와 함께 가이드레일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때, 공압실린더(144)의 전진구동에 의해 가이드부재(124)가 안내홈(152)의 전환구간(152b)을 통과하고 승강구간(152c)에 도달하게 되면, 결합헤드(122)는 가이드부재(124)의 하강과 함께, 승간구간(152c)에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하면에 신호공급유닛(110)이 결합되고, 하면과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가지는 결합헤드(122)가 경사면의 경사방향을 따라 결합된 가이드레일(130)을 통해 경사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결합블럭(142)과 결합되면서, 안내홈(152)의 승강구간(152c)이 결합헤드(122)의 하면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딩구간(152a)과는 둔각을 이룸에 따라, 공압실린더(144)의 전진구동만으로도 결합헤드(122)가 디스플레이모듈(M)의 신호공급부(C)에 접근하고, 하부에 결합된 신호공급유닛(110)을 신호공급부(C)의 수직방향으로 하강시켜, 신호공급유닛(110)이 소켓형태의 신호공급부(C)에 수직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결합헤드(122)의 하면에 결합되는 신호공급유닛(110)은 결합헤드(122)의 수직 하강에 의해, 지그프레임(160)의 안착홈(162)에 안착된 디스플레이모듈(M)의 신호공급부(C)의 위치와 연결되어지고, 신호공급부(C)에 검사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디스플레이모듈(M)의 구동검사가 가능해진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후퇴구동에 따른 지지헤드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모듈(M)의 구동검사가 완료된 이후에, 공압실린더(144)가 후퇴구동하여 경사블럭(142)을 공압실린더(144)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도4의 (a)에서와 같이, 결합헤드(122)의 하면과는 수직하게 형성되나, 공압실린더(144)의 후퇴구동 및 슬라이딩구간(152a)과는 둔각을 이루는 승강구간(152c)의 하부면을 따라 가이드부재(124)가 전환구간(152b)으로 이동되어지며, 결합헤드(122)는 가이드레일(130)을 통해 수직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지그프레임(160)은, 신호공급부(C)에 수직 결합된 신호공급유닛(110)이 결합헤드(122)의 상승에 의해 신호공급부(C)로부터 이격될 때, 신호공급부(C)를 하부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64)는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신호공급부(C)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신호공급부(C)의 재질에 따라 흡압식 또는 자석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공급부(C)가 고정부재(164)에 의해 고정됨으로 인해 결합헤드(122)의 상승에 의해 신호공급유닛(110)이 상부방향으로 이격될 때, 소켓형태의 신호공급부(C)에 삽입된 신호공급유닛(110)이 신호공급부(C)로부터 탈락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4의(b)에서와 같이, 공압실린더(144)의 후퇴구동에 의해 가이드부재(124)가 슬라이딩구간(152a)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면서, 결합헤드(122)가 지그프레임(160)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도2의 (a)와 같이 검사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안내프레임(150)은 도5에서와 같이 가이드홈(152)의 승강구간(152a)과 인접한 상면 및 전면 일부 영역(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이 삭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모듈(M)의 검사가 수행되지 않을 때, 신호공급부(C)를 포함한 디스플레모듈(M)의 일부 영역이 안내프레임(15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부에 디스플레이모듈(M)의 외관검사를 수행하는 비전검사장치가 추가 배치될 경우에도 비전검사장치의 시야를 가리지 않고, 지그프레임(160)으로부터 디스플레이모듈(M)을 퇴출시킬 때에도, 디스플레이모듈(M)의 일부 영역 또는 신호공급부(C)가 안내프레임에 충돌하여 발생할 수 있는 손상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하면에 신호공급유닛이 결합된 지지헤드가 경사면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구동유닛에 결합되고, 구동유닛의 전진구동 및 후퇴구동에 의해 지지헤드가 안내프레임의 안내홈을 따라 지그프레임 방향으로 전진, 수직 접촉, 수직 이격 및 후퇴를 수행함에 따라, 구동유닛의 전진 및 후퇴 구동만으로도 디스플레이모듈의 검사신호 공급이 가능하여, 구동요소의 수를 줄임으로써,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그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고, 지지헤드가 검사신호를 디스플레이모듈에 공급할 때에만 인출됨에 따라, 검사 이전 및 검사 이후의 디스플레이모듈과의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아, 디스플레이모듈의 공급 및 퇴출이 용이하고, 점등검사가 수행되는 동일한 영역에서의 외관검사가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모듈의 검사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지지헤드가 구동유닛에 의해 인입 인출되면서도, 신호공급부의 상부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접촉함에 따라, 검사신호 공급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면접촉식의 핀타입 뿐만 아니라, 수직 삽입 접촉식의 소켓타입의 신호공급부에도 검사신호를 공급할 수 있어,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모듈에 대한 범용적인 점등검사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
110 : 신호공급유닛
120 : 지지헤드
122 : 결합헤드
124 : 가이드부재
130 : 안내기, 가이드레일
140 : 구동유닛
142 : 결합블럭
144 : 공압실린더
150 : 안내프레임
152 : 안내홈
152a : 슬라이딩구간
152b : 전환구간
152c : 승강구간
160 : 지그프레임
162 : 안착홈
164 : 고정부재
200 : 신호 발생장치

Claims (6)

  1. 디스플레이 모듈 신호 공급장치로서,
    지그프레임에 안착된 디스플레이모듈의 신호공급부에 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제공된 검사신호를 공급하는 신호공급유닛;
    상기 신호공급유닛이 하면에 지지 결합되고, 상기 신호공급유닛과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가지는 지지헤드;
    상기 지지헤드를 상기 경사면의 경사 방향으로서, 상기 지지헤드의 하면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기;
    상기 안내기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헤드를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신호공급부를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지지헤드를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신호공급부의 수직 위치에서 상기 지지헤드의 하면에 수직으로 상기 지지헤드의 하면을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헤드는 상기 안내프레임과 상기 안내기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신호공급부의 수직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헤드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신호공급부의 수직위치에서 상기 지지헤드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기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헤드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수직 하강되면서 상기 지지헤드에 결합된 신호공급유닛이 상기 신호공급부에 수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헤드는 상기 안내프레임과 상기 안내기를 제2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지지헤드가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기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헤드가 상기 제3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수직 상승되면서 상기 지지헤드에 결합된 신호공급유닛이 상기 신호공급부로부터 수직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신호공급부 안착면에 위치하여 상기 신호공급부의 후면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결합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
KR1020160108826A 2016-08-26 2016-08-26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 KR101752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826A KR101752316B1 (ko) 2016-08-26 2016-08-26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826A KR101752316B1 (ko) 2016-08-26 2016-08-26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316B1 true KR101752316B1 (ko) 2017-06-29

Family

ID=5928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826A KR101752316B1 (ko) 2016-08-26 2016-08-26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575B1 (ko) 2019-12-09 2020-07-20 김안순 Led 디스플레이모듈 제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646B1 (ko) * 2012-03-27 2013-10-23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646B1 (ko) * 2012-03-27 2013-10-23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575B1 (ko) 2019-12-09 2020-07-20 김안순 Led 디스플레이모듈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204B1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비 및 방법
KR101115874B1 (ko) 어레이 테스트 장치
KR101732629B1 (ko) 멀티 프로브 검사기용 정렬장치
KR20150066018A (ko) Amoled 패널 검사를 위한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035570B1 (ko) Lcd 검사 장비용 자동 프로브 유니트 교체장치
KR101032089B1 (ko) 기판검사장치
KR101752316B1 (ko) 디스플레이모듈 신호 공급장치
KR100733276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장비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 검사 방법
KR20110022202A (ko) 멀티 프로브 유니트
KR20070117188A (ko)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방법
CN211086851U (zh) 一种液晶屏幕自动对位压接点灯装置
CN206619581U (zh) 半导体组件测试装置
CN111595249A (zh) 一种基于aoi作业的平板显示屏检测装置
CN216745926U (zh) 一种汽车电子连接件检测工装
CN215813193U (zh) 用于pcb板的测试装置
KR101708488B1 (ko) 오토 프로브 검사 장치
KR101765463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유닛 클램핑 장치
KR10233849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KR20220133503A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JP2001201528A (ja) 配線基板等の導通試験装置
KR102570532B1 (ko)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
KR20040082352A (ko) 엘시디 검사라인용 검사로봇
CN114578215B (zh) 一种便于fpc板取出的fpc测试设备
CN218034931U (zh) 一种基于pc控制的视觉检测设备
KR20090006688A (ko) 프로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