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497B1 -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497B1
KR102338497B1 KR1020200066142A KR20200066142A KR102338497B1 KR 102338497 B1 KR102338497 B1 KR 102338497B1 KR 1020200066142 A KR1020200066142 A KR 1020200066142A KR 20200066142 A KR20200066142 A KR 20200066142A KR 102338497 B1 KR102338497 B1 KR 102338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horizontal
frame
work
alignmen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9914A (ko
Inventor
조범상
홍현수
박상현
박덕현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Priority to KR102020006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497B1/ko
Publication of KR2021014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테이블이 틸팅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자들에 전기적 신호를 인하여 화소의 불량유무를 검사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는 나란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가로방향 테두리와 한 쌍의 세로방향 테두리를 가진 작업틀(110)과 상기 작업틀의 테두리들의 하부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베이스(120)를 구비한 작업테이블(100)과,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업틀의 상부로 이송되는 디스플레이 패널(P)을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승강핀(200)과, 상기 작업틀에 설치되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강핀이 지지하고 있던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밀어서 1차 정렬시키는 제1얼라인부(300)와, 상기 작업테이블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는 틸팅구동부(400)와, 틸팅된 작업테이블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방이송유닛(500)와, 전방으로 이동된 작업테이블의 작업틀만 이동시켜 1차 정렬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2차 정렬시키는 제2얼라인부(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Probe inspection apparatus for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작업테이블이 틸팅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자들에 전기적 신호를 인하여 화소의 불량유무를 검사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가장자리부에 영상신호, 동기신호, 색상신호와 같은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들이 협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조를 마친 후에 프로브 유닛을 이용하여 단자들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화소의 불량유무를 검사하게 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패널의 프로브 검사장치는 검사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패 널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프로브 유닛과, 상기 프로브 유닛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틸팅시켜 반입시키는 반입유닛과, 상기 프로브 유닛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을 반출시키기 위한 반출유닛과, 상기 프로브 유닛과 반출유닛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브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틸팅된 상태로 흡착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후방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 블럭과, 상기 이동 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자들과 접촉하는 프로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패널의 프로브 검사장치는 고정부재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틸팅된 상태로 올려지면 이동블럭이 고정부재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자와 프로브들을 접촉시킴으로써 검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패널의 프로브 검사장치는 반입유닛과 반출유닛들 모두가 틸팅구동부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크게 상승하게 되고 작업공간도 크게 점유하게 된다.
또한, 반입유닛 및 반출유닛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틸팅된 상태에서 고정부재로 이송되므로 이송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의 흡착면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서 정전기가 발생하면서 프로브 검사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21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손상 및 작업장의 공간점유를 최소화하며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전기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는 나란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가로방향 테두리와 한 쌍의 세로방향 테두리를 가진 작업틀과 상기 작업틀의 테두리들의 하부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베이스를 구비한 작업테이블과,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업틀의 상부로 이송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승강핀과, 상기 작업틀에 설치되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강핀이 지지하고 있던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밀어서 1차 정렬시키는 제1얼라인부와, 상기 작업테이블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는 틸팅구동부와, 틸팅된 작업테이블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방이송유닛와, 전방으로 이동된 작업테이블의 작업틀만 이동시켜 1차 정렬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2차 정렬시키는 제2얼라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얼라인부는 상기 작업틀을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한 쌍의 나란한 가로정렬바와, 상기 가로정렬바의 하부에서 상기 작업틀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한 쌍의 나란한 지지부와 상기 가로정렬바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정렬부를 구비한 세로정렬바와, 상기 작업틀의 세로방향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정렬바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와, 상기 작업틀의 가로방향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세로정렬바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업틀의 하단에는 가로방향 테두리와 세로방향 테두리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격자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격자프레임에는 상기 가로정렬바와 세로정렬바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제1얼라인 구동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정렬바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처짐방지부재는 작업틀의 중앙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가로정렬바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3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로정렬바와 세로정렬바의 교차부위에는 상기 가로정렬바와 세로정렬바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가로정렬바의 저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4슬라이더와 상기 세로정렬바의 측면에 세로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5슬라이더와 상기 제4슬라이더와 제5슬라이더를 연결하는 결속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정렬바와 세로정렬바의 상단에는 디스플레이패널의 가장자리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에는 디스플레이패널의 가장자리 측단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얼라인부에는 틸팅시 디스플레이 패널이 작업테이블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세로정렬바의 측부에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어 1차 정렬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단 상부를 지지하는 이탈방지블럭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얼라인부는 상기 작업테이블의 전방에 구비된 얼라인 카메라와, 작업테이블의 베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얼라인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작업틀을 전후좌우 이동 및 수평회전시키는 제2얼라인 구동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핀은 작업틀의 상부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송될 때 작업틀의 상부로 돌출되게 상승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한 이후에는 작업틀의 상부까지 1차 하강하며, 상기 작업테이블이 2차 정렬된 이후에는 2차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업테이블이 틸팅구동부를 통해 자체적으로 틸팅되므로 종래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틸팅시켜 주는 반입유닛과 반출유닛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장의 공간점유를 최소화하고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틸팅된 상태로 이송됨으로써 발생되는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승강핀들과 가로정렬바 및 세로정렬바에 의해 최소한의 접촉만을 통해 작업테이블에 지지되므로 종래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과 작업테이블의 흡착면 사이에서 발생되던 정전기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작업틀과 제1얼라인부와 제2얼라인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요부 단면도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승강핀의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작업테이블이 틸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작업틀과 제1얼라인부와 제2얼라인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요부 단면도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승강핀의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작업테이블이 틸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테이블(100)과, 승강핀(200)과, 제1얼라인부(300)와, 틸팅구동부(400)와, 전방이송유닛(500)과, 제2얼라인부(6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에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프로브 유닛(도시안됨)이 설치된다.
상기 작업테이블(100)은 나란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가로방향 테두리와 한 쌍의 세로방향 테두리를 가진 사각형태의 작업틀(110)과, 상기 작업틀(110)의 테두리들의 하부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베이스(12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2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측에는 틸팅축(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핀(200)은 베이스(120)의 내부에 수직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핀(200)은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어 작업틀(110)의 상부로 이송되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하부를 수평상태로 지지한다.
상기 제1얼라인부(300)는 상기 작업틀(110)에 설치되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강핀(200)이 지지하고 있던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장자리를 밀어서 1차 정렬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얼라인부(300)는 상기 작업틀(110)을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한 쌍의 나란한 가로정렬바(310)와, 상기 작업틀(110)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한 쌍의 나란한 세로정렬바(3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정렬바(320)는 가로정렬바(310)의 하부에서 상기 작업틀(110)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나란한 지지부(321)와, 상기 가로정렬바(31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32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정렬부(322)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제1얼라인부(300)는 작업틀(110)의 세로방향 테두리에 설치된 제1슬라이더(330)와, 상기 작업틀(110)의 가로방향 테두리에 설치된 제2슬라이더(3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슬라이더(330)는 가로정렬바(3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로정렬바(310)를 작업틀(1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슬라이더(340)는 세로정렬바(3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세로정렬바(320)를 작업틀(11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작업틀(110)의 하단에는 가로방향 테두리와 세로방향 테두리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격자프레임(11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격자프레임(111)에는 상기 가로정렬바(310)와 세로정렬바(320)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제1얼라인 구동유닛(350)이 설치된다. 상기 제1얼라인 구동유닛(350)은 직선운동기구로서 엘엠가이드나 볼스크류 또는 유압 및 공압실린더 등이 다양하게 채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작업틀(110)에는 가로정렬바(310)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재(36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처1짐방지부재(360)는 작업틀(110)의 중앙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강프레임(361)과, 상기 가로정렬바(3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프레임(361)을 따라 이동하는 제3슬라이더(362)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가로정렬바(310)는 보강프레임(361)에 의해 중앙이 지지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P) 및 가로정렬바(310) 자체의 무게로 인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3슬라이더(362)를 통해 보강프레임(361)을 따라 유동됨 없이 안정된 자세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가로정렬바(310)와 세로정렬바(320)의 교차부위에는 상기 가로정렬바(310)와 세로정렬바(320)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37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결속부재(370)는 상기 가로정렬바(310)의 저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4슬라이더(371)와, 상기 세로정렬바(320)의 측면에 세로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5슬라이더(372)와, 상기 제4슬라이더(371)와 제5슬라이더(372)를 연결하는 결속브라켓(37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로정렬바(310)와 세로정렬바(320)는 상호간의 들뜸이나 간섭 없는 원활한 이동이 보장된다.
특히, 세로정렬바(320)의 경우에는 상기 결속부재(370)를 통해 가로정렬바(310)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P) 및 세로정렬바(320) 자체의 무게로 인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가로정렬바(310)와 세로정렬바(320)의 상단에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장자리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면(311,3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면(311,323)에는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장자리 측단을 지지하는 스토퍼(312,324)가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312,324)는 일정거리를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틸팅구동부(400)는 작업테이블(100)의 틸팅축(121)에 결합되어 작업테이블(100)이 전방을 향하도록 일정각도로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틸팅구동부(4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P)이 작업테이블(100)에 놓여져 있지 않은 대기상태에서 작업테이블(100)의 수평상태를 안정적인 유지할 수 있도록 작업테이블(100)의 틸팅을 제한하는 브레이크 유닛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대기상태에서 작업테이블(100)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가해져 작업테이블(100)이 급작스럽게 틸팅됨으로써 인근을 지나는 작업자나 주변 장비들이 손상되는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작업테이블(100)이 일정각도로 틸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틸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작업테이블(100)의 틸팅을 제한한다.
한편, 상기 제1얼라인부(300)에는 틸팅시 원심력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P)이 작업테이블(100)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탈방지부재(3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재(380)는 세로정렬바(320)의 측부에 설치된 실린더(381)와, 상기 실린더(381)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어 1차 정렬된 디스플레이 패널(P)의 양측단 상부를 지지하는 이탈방지블럭(38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탈방지부재(380)는 가로정렬바(310)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전방이송유닛(500)은 작업테이블(100) 및 틸팅구동부(400)의 하부에 위치되어 틸팅된 작업테이블(1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전방이송부재(500)는 바닥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이송레일(510)과, 상기 이송레일(510)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베이스(520)와, 상기 이동베이스(5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틸팅구동부(400)를 지지하는 지지단(5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얼라인부(600)는 전방이송부재(500)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된 작업테이블(100)의 작업틀(110)만 이동시켜 1차 정렬된 디스플레이 패널(P)을 2차 정렬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2얼라인부(60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에 구비된 얼라인 카메라(610)와, 작업테이블(100)의 베이스(1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얼라인 카메라(6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작업틀(110)을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시키는 제2얼라인 구동유닛(6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카메라(610)는 작업틀(110)에 표시된 얼라인 마크를 인식하고 그 얼라인 위치신호를 제2얼라인 구동유닛(620)으로 출력한다.
상기 얼라인 카메라(610)는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에 설치된 프로브 유닛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얼라인 카메라(61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비와 설치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작업장의 공간점유를 최소화하고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얼라인 구동부재(620)는 작업틀(110)의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이 경우, 상기 얼라인 구동부재(620)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x축 방향 엘엠가이드와 y축 방향 엘엠가이드가 적층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수평상태의 작업테이블(100) 상부로 디스플레이 패널(P)이 수평상태로 이송되면, 승강핀(200)이 작업틀(110)의 상부로 돌출되게 상승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P)이 승강핀(200)의 상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승강핀(200)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패널(P)의 안착이 완료되면 승강핀(200)이 작업틀(110)의 상부까지 1차 하강한다.
승강핀(200)의 1차 하강이 완료되면, 작업틀(110) 가장자리에 대기하고 있던 가로정렬바(310)와 세로정렬바(320)가 디스플레이 패널(P)의 규격에 따른 특정위치를 향해 중앙으로 모이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밀면서 1차 정렬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은 가로정렬바(310)와 세로정렬바(320)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면(311,323)에 가장자리 하단이 지지되며 가로정렬바(310)와 세로정렬바(320)의 상단에 구비된 스토퍼(312,324)에 의해 가장자리 측단이 지지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P)은 승강핀(200)들과 가로정렬바(310) 및 세로정렬바(320)에 의해 최소한의 접촉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전기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P)의 1차 정렬이 완료되면, 틸팅구동부(400)가 상기 작업테이블(100)을 전방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틸팅구동부(400)가 동작되기 전에 이탈방지부재(380)의 실린더(381)가 동작하면서 이탈방지블럭(382)이 디스플레이 패널(P)의 가장자리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P)은 상기 이탈방지부재(380)에 의하여 전방으로의 이동이 불가한 상태가 되므로 작업테이블(100)이 틸팅될 때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하여 작업테이블(100)로부터 탈락되는 사고가 방지된다.
작업테이블(100)의 틸팅이 완료되면 전방이송유닛(500)이 작동하면서 작업테이블(1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작업테이블(100)은 전방에 위치한 프로브유닛에 근접할 때까지 이동하게 되며, 작업테이블(100)의 전방이동이 완료되면, 제2얼라인부(600)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P)의 2차정렬이 진행된다.
상기 2차정렬은 작업테이블(100)이 틸팅되고 전방이동되는 과정에서 변화되는 1차 정렬된 디스플레이 패널(P)의 위치를 재정렬시킨다.
이때, 제2얼라인부(600)의 제2얼라인 구동유닛(620)들이 카메라(6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독립적으로 구동되면서 작업틀(110)을 전후좌우 및 회전이동 이동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P)의 2차정렬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후좌우로만 이동이 가능한 1차 정렬에 비하여 더욱 정밀하게 위치가 정렬된다.
디스플레이 패널(P)의 2차 정렬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패널(P)의 단자들과 프로브 유닛(P)의 프로브들이 접촉되면서 기판검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승강핀(200)은 작업테이블(100)이 2차 정렬된 이후에 2차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P)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켜 기판검사시의 정전기 발생을 최소화하고 기판 점등시 승강핀(200)의 그림자 발생으로 인한 검사오류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검사가 완료되면, 전방이송유닛(500)이 원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틸팅구동부(400)가 작업테이블(100)을 수평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며, 이탈방지부재(380) 및 가로정렬바(310)와 세로정렬바(32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하강했던 승강핀(200)이 상승하면서 검사가 완료된 디스플레이 패널(P)을 작업틀(110)의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이송유닛(도시안됨)이 디스플레이 패널(P)을 픽업하여 후속공정으로 운반하면 프로브 검사 과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작업테이블 110...작업틀
111...격자프레임 120...베이스
200...승강핀 300...제1얼라인부
310...가로정렬바 311,323...지지면
312,324...스토퍼 320...세로정렬바
321...지지부 322...정렬부
330...제1슬라이더 340...제2슬라이더
350...제1얼라인 구동유닛 360...처짐방지부재
361...보강프레임 362...제3슬라이더
370...결속부재 371...제4슬라이더
372...제5슬라이더 373...결속브라켓
380...이탈방지부재 381...실린더
382...이탈방지블럭 400...틸팅구동부
500...전방이송유닛 600...제2얼라인부
610...얼라인 카메라 620...제2얼라인 구동유닛
P...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10)

  1. 나란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가로방향 테두리와 한 쌍의 세로방향 테두리를 가진 작업틀과, 상기 작업틀의 테두리들의 하부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베이스를 구비한 작업테이블;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업틀의 상부로 이송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승강핀;
    상기 작업틀에 설치되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강핀이 지지하고 있던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밀어서 1차 정렬시키는 제1얼라인부;
    상기 작업테이블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는 틸팅구동부;
    틸팅된 작업테이블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방이송유닛; 및
    전방으로 이동된 작업테이블의 작업틀만 이동시켜 1차 정렬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2차 정렬시키는 제2얼라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핀은 작업틀의 상부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송될 때 작업틀의 상부로 돌출되게 상승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한 이후에는 작업틀의 상부까지 1차 하강하며, 상기 작업테이블이 2차 정렬된 이후에는 2차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얼라인부는
    상기 작업틀을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한 쌍의 나란한 가로정렬바;
    상기 가로정렬바의 하부에서 상기 작업틀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한 쌍의 나란한 지지부와, 상기 가로정렬바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정렬부를 구비한 세로정렬바;
    상기 작업틀의 세로방향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정렬바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 및
    상기 작업틀의 가로방향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세로정렬바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틀의 하단에는 가로방향 테두리와 세로방향 테두리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격자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격자프레임에는 상기 가로정렬바와 세로정렬바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제1얼라인 구동유닛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정렬바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처짐방지부재는 작업틀의 중앙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가로정렬바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3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정렬바와 세로정렬바의 교차부위에는 상기 가로정렬바와 세로정렬바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가로정렬바의 저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4슬라이더와, 상기 세로정렬바의 측면에 세로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5슬라이더와, 상기 제4슬라이더와 제5슬라이더를 연결하는 결속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정렬바와 세로정렬바의 상단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측단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얼라인부에는 틸팅시 디스플레이 패널이 작업테이블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막아주는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세로정렬바의 측부에 설치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어 1차 정렬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단 상부를 지지하는 이탈방지블럭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얼라인부는
    상기 작업테이블의 전방에 구비된 얼라인 카메라; 및
    작업테이블의 베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얼라인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작업틀을 전후좌우 이동 및 수평회전시키는 제2얼라인 구동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10. 삭제
KR1020200066142A 2020-06-02 2020-06-02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KR102338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142A KR102338497B1 (ko) 2020-06-02 2020-06-02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142A KR102338497B1 (ko) 2020-06-02 2020-06-02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914A KR20210149914A (ko) 2021-12-10
KR102338497B1 true KR102338497B1 (ko) 2021-12-14

Family

ID=7886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142A KR102338497B1 (ko) 2020-06-02 2020-06-02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649B1 (ko) * 2023-02-01 2023-10-11 에프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검사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427B1 (ko) * 2006-08-07 2007-07-30 (주)오엘케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매크로 검사장치
KR101708488B1 (ko) * 2015-10-29 2017-03-08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오토 프로브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126A (ko) 2011-08-25 2013-03-06 솔브레인이엔지 주식회사 프로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427B1 (ko) * 2006-08-07 2007-07-30 (주)오엘케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매크로 검사장치
KR101708488B1 (ko) * 2015-10-29 2017-03-08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오토 프로브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914A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3408B2 (ja) プローブカード交換装置
CN1790031A (zh) 用于平板显示面板检测器的工作台
KR101286250B1 (ko) 다수의 헤드 유니트를 갖는 어레이 테스트 장치
KR102007718B1 (ko) 턴오버 방식의 디스플레이 셀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3849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프로브 검사장치
CN102862818A (zh) 玻璃面板输送装置
CN1790033A (zh) 平面显示板检测器
CN2608460Y (zh) 液晶基板的运输承载装置
JP3897469B2 (ja) 平板状被検査体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0607151B1 (ko) 피검사기판의 검사장치
KR20120060348A (ko) 기판 수리 장치
KR100813291B1 (ko) 기판의 검사 및 수리 장치
KR100646161B1 (ko) 기판 얼라인 장치
KR100568113B1 (ko) 평판 표시패널용 위치정렬장치
KR20020029853A (ko) 인쇄회로기판 검사장치
KR20070039667A (ko) 표시패널의 검사장치 및 이의 검사방법
KR101979075B1 (ko) 클린룸용 스택커
KR102178615B1 (ko) 센터링 장치
KR102635915B1 (ko) 광학 검사기용 패널 리프팅 장치
KR102635102B1 (ko) 패널 표면 검사장치용 패널 리프팅 장치
KR102154760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를 위한 프로브 블록 조립체,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CN219608747U (zh) 一种承载装置和检测设备
US9494639B2 (en) Inspection apparatus
JP2006066747A (ja) 基板の位置決め装置及び位置決め方法
KR100492658B1 (ko) 점등검사를 위한 액정패널 장전장치의 워크테이블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