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686B1 -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686B1
KR101749686B1 KR1020170014773A KR20170014773A KR101749686B1 KR 101749686 B1 KR101749686 B1 KR 101749686B1 KR 1020170014773 A KR1020170014773 A KR 1020170014773A KR 20170014773 A KR20170014773 A KR 20170014773A KR 101749686 B1 KR101749686 B1 KR 101749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upper plate
coating
support
slip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근
Original Assignee
한라케미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케미칼(주) filed Critical 한라케미칼(주)
Priority to KR102017001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686B1/ko
Priority to JP2017243896A priority patent/JP6328840B1/ja
Priority to CN201711392249.1A priority patent/CN108221531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미끄럼방지용 바닥재의 손실이 최소화되고 균일한 도막 두께가 형성됨에 따라 미끄럼방지층의 내마모성, 미끄럼저항성, 접착성 및 시공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차량 통행 내지 보행자의 보행을 위해 가설되는 지지구조물의 상측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를 덮어 임시 노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판부와 상기 지지구조물 사이를 지지하는 보강부; 상기 상판부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설되어 내부에 도포공간이 형성되는 도막가이드부; 상기 도포공간에 아크릴계 수지 또는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도포되어 형성된 미끄럼방지층; 및 상기 도막가이드부의 내부에 상기 도포공간이 복수로 구획되도록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분할 충진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도막가이드부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연장된 복수개의 격벽부재가 상호 교차 배치되어 구비된 결합지지부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deck plate having non-slip layer}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럼방지용 바닥재의 손실이 최소화되고 균일한 도막 두께가 형성됨에 따라 미끄럼방지층의 내마모성, 미끄럼저항성, 접착성 및 시공편의성이 개선된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지하 공사로 인해 도로 밑을 굴착하거나 가설교량을 설치하는 경우 노면을 복개하여 차량 통행 내지 보행자의 보행을 위해 지지구조물을 가설한 상태로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측에 설치되는 가설재로 사용된다.
여기서, 종래의 복공판은 철재로 형성됨에 따라 상부 표면의 미끄럼저항 성능이 미흡하며, 특히 철재 표면에 기름 등 이물질이나 우천시 상부 표면과 차량바퀴 사이의 수막현상에 의한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미끄럼에 의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복공판의 상부 표면에는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를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종래에는 미끄럼방지 시공을 위해 종래의 복공판 상부 표면에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를 도포하기 전, 종래의 복공판 표면 가장자리에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킹테이프를 부착하였다. 또한, 철재용 하도를 도포하고 미끄럼방지용 바닥재 도료를 레이커, 헤라 등을 사용하여 종래의 복공판 상부 표면에 도포한 후, 롤러브러쉬를 이용하여 표면거칠기를 형성한 후 상기 마스킹테이프를 제거하여 미끄럼방지 바닥재를 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 도료는 도료작업 도중 상기 마스킹테이프와 상기 복공판 표면 가장자리 사이로 많이 흘러내리게 됨에 따라 로스(loss)율이 높아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 도료의 소모가 과다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스킹테이프, 롤러브러쉬의 소모 및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 도료의 손실 등으로 건설폐기물이 발생하며 시공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 있었다. 더욱이, 마스킹테이프의 제거 및 복공판 끝단 도료부착 제거작업 등의 공정이 발생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복공판은 하중 내지 외부 환경 등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하거나 상하방향으로 이웃하여 복수개로 적층하는 경우, 복공판의 하중에 의해 그의 상면에 도포된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 코팅층이 복공판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탈락되거나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복공판은 불량률이 증가하고 불필요한 보수작업 및 유지비용이 발생하여 경제성 및 생산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복공판은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약 1~8시간 경과된 후 적층이 가능하므로 넓은 야적장이 구비되지 않은 제조시설에서는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을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339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용 바닥재의 손실이 최소화되고 균일한 도막 두께가 형성됨에 따라 미끄럼방지층의 내마모성, 미끄럼저항성, 접착성 및 시공편의성이 개선된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통행 내지 보행자의 보행을 위해 가설되는 지지구조물의 상측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를 덮어 임시 노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판부와 상기 지지구조물 사이를 지지하는 보강부; 상기 상판부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설되어 내부에 도포공간이 형성되는 도막가이드부; 상기 도포공간에 아크릴계 수지 또는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도포되어 형성된 미끄럼방지층; 및 상기 도막가이드부의 내부에 상기 도포공간이 복수로 구획되도록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분할 충진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도막가이드부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연장된 복수개의 격벽부재가 상호 교차 배치되어 구비된 결합지지부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구조물의 단부에 걸림 구속되며 상기 상판부가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에 정렬 및 안착되도록 하측으로 돌설된 정렬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막가이드부에는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보호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정렬안착부가 안착되는 폭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는 메틸메타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와, 석영, 실리콘디옥사이드, 탄화규소, 경옥, 글라스비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비되는 골재 및 반응첨가제를 포함하며, 3~5mm 두께로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작업자가 상기 도막가이드부 및 결합지지부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요철형성층을 형성하면 미끄럼방지층이 균일한 도막 두께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상기 도막가이드부에 의해 상판부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되어 손실이 최소화되고 도포작업에 사용되는 마스킹테이프 등의 사용이 감소되어 시공비용 및 시공시간이 절감되므로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도막가이드부의 내부에 형성된 도포공간은 상기 결합지지부에 의해 분할 구획됨에 따라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부착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부착강도가 향상되므로 상기 미끄럼방지층의 탈락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미끄럼방지층은 상기 도막가이드부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연장된 상기 결합지지부에 의해 상면에 가해지는 하중이 지지됨에 따라 상기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을 상하방향으로 이웃하여 적층하거나 상면에 전체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손상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넷째, 복공판이 상하방향으로 이웃하여 적층되는 경우, 하측에 배치된 복공판의 보호부 상측에는 그의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복공판의 정렬안착부가 안착되어 가압되므로 미끄럼방지층의 탈락 내지 크랙의 발생이 방지되어 제품의 불량률 발생을 최소화하고 미끄럼방지층이 경화되기 전에도 적층이 가능하므로 넓은 야적장이 구비되지 않은 제조시설에서도 제작이 가능하다.
다섯째,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는 상기 도막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상판부 외측으로 흘러내림이 방지됨에 따라 다양한 문양판을 이용하여 미끄럼방지층 표면을 가압하여 다양한 문양의 미끄럼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심미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에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도포된 상태에서 요철형성용 롤러가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100)은 상판부(10), 보강부(20), 도막가이드부(40) 그리고 미끄럼방지층(M)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100)은 지하 공사로 인해 도로 밑을 굴착하거나 가설교량이 설치되는 경우 노면을 복개하여 차량 통행 내지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한 임시 노면이 형성되도록 가설되는 지지구조물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구조물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H 빔 또는 I빔 등의 철제빔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개의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100)은 각 철제빔의 사이에 상면이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연결 및 배열되도록 설치되며, 설치된 복수개의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100)의 상측으로 차량 통행 내지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100)에는 미끄럼방지층(M)이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부(10)는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상판부(10)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평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조물 사이 공간을 덮기 위해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판부(10)의 양단부는 이웃하는 상기 각 지지구조물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10)는 복개구간, 임시교량의 상판, 교량 보수구간 등에 활용되어 상측으로 통행하는 차량들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강철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상판부(10)는 합금 또는 다른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제조단가, 내구성, 내식성 및 피로강도 등이 고려된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판부(10)의 각 모서리부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100)의 운반 또는 설치시 크레인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1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는 상기 상판부(10)의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설되되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상판부(10)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미끄럼방지층(M)의 형성시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미끄럼방지층(M)과 상기 상판부(10)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부착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부(10)의 하부에는 상측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보강부(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20)는 측판부(11), 지지부재(21) 및 리브부재(2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측판부(11)는 일단이 상기 상판부(10)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상판부(10)가 상기 지지구조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도록 타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측판부(11)는 상기 상판부(10)의 양단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상판부(10)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판부(11)는 상기 상판부(10)의 양단부가 하측으로 밴딩되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상판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판부(10) 내지 상기 측판부(11)에 대한 절단 및 용접 과정 없이 생산 가능하므로 가공 공수가 최소화되어 제품의 제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부(10) 및 상기 측판부(11)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최소한의 두께로 구비되므로 소재비가 절감되어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측판부(11)는 상기 상판부(10)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측판부(11)는 상기 상판부(10)에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측판부(11)는 보강강도가 개선되도록 상기 상판부(10)의 두께와 상이한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부(11)는 타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하판부(11a)가 구비되며, 상기 하판부(11a)는 상기 측판부(11)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판부(11a)는 상기 상판부(10)와 실질적으로 상호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상호 대향 배치된다 함은 상기 상판부(10)와 상기 하판부(11a)가 평행하게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판부(11a)는 상기 측판부(11)의 타단이 내측을 향해 밴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하판부(11a)와 상기 측판부(11a)가 분리되어 구비되되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판부(10)는 상기 하판부(11a)가 상기 지지구조물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측판부(11)에 의해 상기 지지구조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므로 각 측판부(11) 사이로 상기 상판부(10)의 지지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구성부품이 삽입되는 보강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부(10)가 상기 지지구조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된 상태에서도 상기 측판부(11)에 의해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으므로 가설상태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판부(11a)의 하부에는 강성보강판(23)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강성보강판(23)은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각 측판부(11) 사이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성보강판(23)은 각 하판부(11a)에 양단부가 각각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각 측판부(11)는 상기 상판부(10)의 상측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호 간격이 벌어지는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20)의 비틀림 강성이 향상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공간에는 복수개의 상기 지지부재(21)가 구비된다. 상세히, 지지부재(21)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판부(10)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상판부(1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된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상판부(10)의 폭 또는 길이에 대응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1)의 일단부가 상기 상판부(10)의 하면에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21)는 상기 상판부(10)의 상측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상기 상판부(10)의 변위량이 발생 시 복원될 수 있는 복원력을 상기 상판부(1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판부(10)가 차량 등의 통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변위량이 발생되면 상기 지지부재(21)가 상기 상판부(10)의 하측을 전체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상판부(1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부(10)는 상기 지지부재(21)에 의해 하중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복수개의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100)의 상부가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교체 또는 보수에 따른 작업량이 감소되어 유지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공간에는 복수개의 상기 리브부재(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부재(2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부재(22)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재(21)와 교차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부재(21)가 상기 상판부(10)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경우, 상기 리브부재(22)는 상기 지지부재(21)와 교차되도록 상기 상판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브부재(22)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부재(21)가 삽입되는 삽입가이드홈(2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가이드홈(22a)은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21)가 상호 이격된 간격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브부재(22)가 상기 삽입가이드홈(22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브부재(22)는 상기 상판부(10) 및 상기 하판부(11a)의 대향면 사이 간격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대향면에 양단부가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리브부재(22)는 상기 상판부(10)의 상측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여 지지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가이드홈(22a)에 상기 지지부재(21)가 삽입된 상태로 이격 배치되므로 상기 지지부재(21)의 변형 및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부(10)는 상기 리브부재(22) 및 상기 지지부재(21)에 의해 하면이 전체적으로 지지되어 변위량 발생에 의한 휨변형이 최소화되므로 내구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제품이 경량화되고 조립 공정이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부(10) 및 상기 하판부(11a) 사이에는 복수개의 수직보강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직보강부재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판부(10) 및 상기 하판부(11a)의 대향면 사이 간격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보강부재는 상기 상판부(10) 및 상기 하판부(11a) 사이에 양단부가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보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21) 또는 상기 리브부재(22)와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상판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리브부재(22)가 상기 상판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경우, 상기 수직보강부재는 상기 리브부재(22)와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실질적으로 이웃하는 각 리브부재(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판부(11) 및 상기 하판부(11a)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수직보강부재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어 과도한 하중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수직보강부재는 중공형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직보강부재가 중공형 사각파이프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상판부(10)는 하면과 접촉되는 상기 수직보강부재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는 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가 더욱 보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1) 및 상기 리브부재(22)는 상기 상판부(10)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위량이 복원되도록 강성을 갖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상판부(10)는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가 보강됨에 따라 변형 또는 파손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부(20)의 하부에는 정렬안착부(3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정렬안착부(30)는 접합부(32) 및 안착연장부(3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접합부(32)는 소정의 두께를 갖되 상기 상판부(10)의 폭에 대응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하판부(11a)의 하면에 양단부가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부(32)의 일단에는 하측으로 절곡 연장된 상기 안착연장부(31)가 구비된다. 즉, 상기 안착연장부(31)는 상기 접합부(32)가 상기 각 하판부(11a)의 하면에 결합된 상태로 실질적으로 하측으로 돌설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판부(10)의 길이는 상기 상판부(10)의 양단부가 이웃하는 지지구조물의 상면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중첩될 수 있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렬안착부(30)는 상기 하판부(11a)의 하부에 한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상판부(10)의 길이방향 양단부 측에 대응되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안착연장부(31)는 이웃하는 지지구조물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호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100)은 상기 안착연장부(31)가 상기 지지구조물의 단부에 걸림 구속됨에 따라 상기 상판부(10)의 전측 또는 후측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100)은 상기 정렬안착부(30)가 상기 지지구조물의 각 단부에 걸림 구속되도록 안착되기만 하면 별도의 정렬수단 없이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렬 배치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렬안착부(30)에는 완충패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완충패드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정렬안착부(30)가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접합부(32)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부(10)를 탄발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접합부(32)의 하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한 접착 또는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접합부(32)와 상기 하판부(11a)에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패드에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돌설되어 상기 체결홀에 삽입 체결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100)은 상기 완충패드가 구비됨에 따라 상측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충격이 완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100)은 상기 완충패드의 마찰력에 의해 위치 이탈이 최소화되어 가설상태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100)의 설치 작업시 낙하 등에 의한 충격이 완화되도록 완충력을 보강하므로 주변 구조물의 충격 내지 진동에 의한 파손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막가이드부(40)는 상기 상판부(1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설되며, 상기 상판부(10)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막가이드부(40)의 하단부는 상기 상판부(1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막가이드부(40)의 내부에는 도포공간이 형성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도막가이드부(40)는 상기 상판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상판부(10)와 상기 도막가이드부(4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용접 등의 제조 과정이 단축되어 제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막가이드부(40)는 상기 상판부(10)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막가이드부(40)는 상기 상판부(10)의 재질에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도막가이드부(40)는 상기 상판부(10)의 상측이 실질적으로 박스형으로 구획함에 따라 내부에 상기 도포공간이 형성되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상기 도포공간에 도포되어 상기 미끄럼방지층(M)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는 상기 도막가이드부(40)에 의해 상기 상판부(10) 외측으로 흘러내림이 미연에 방지되어 손실이 최소화됨에 따라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의 소모가 현저히 감소되어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상기 상판부(10) 외측으로 흘러내림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상기 상판부(10) 표면 가장자리에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하는 마스킹테이프의 소모가 감소되어 시공 비용이 더욱 절감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는 상기 도막가이드부(40)에 의해 상기 상판부(10) 외측으로 흘러내림이 방지된 상태로 경화됨에 따라 다양한 문양판을 이용한 상기 미끄럼방지층(M)의 표면 가압이 가능하여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심미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에폭시계 수지, 골재 및 반응첨가제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일반적인 도로 포장공사, 변색방지를 위한 상도코팅제, 몰타르화한 콘크리트보수 등 건축과 토목용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로서 저온속성 경화성과 접착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메타아크릴 수지(methyl methacrylate, MMA), 폴리메틸메타아크릴 수지(poly methyl methacrylate resin, PMM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폴리메틸메타아크릴 수지(poly methyl methacrylate resin, PMMA)는 빛, 열, 방사선, 과산화물 등에 의해 상온에서도 쉽게 중합 반응이 일어나며, 촉매반응에 경화되면서 양생(중합)되므로 별도의 경화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양생(중합) 과정 중 긴 탄소분자(-C-C-) 고리가 형성됨에 따라 미끄럼저항성, 내구성, 내마모성, 유연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 수지는 석재, 금속, 시멘트, 목재 등의 표면 접착제로서 사용되며, 접착성, 내부식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낮은 경화성 수축, 온도 저항성 및 화학적 저항성을 가지며 다양한 배지의 침투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폭시계 수지는 비스페놀-A 에폭시 수지(bisphenol A type epoxy resin), 비스페놀-F 에폭시 수지(bisphenol F type epoxy res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골재는 석영, 실리콘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탄화규소, 경옥, 글라스비드(glass bead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비되며,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의 부착강도 및 미끄럼저항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는 또한 필요에 따라, 착색제, 점도조절제, 왁스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등을 포함하는 상기 반응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에는 상기 착색제로서 산화철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산화철은 시인성이 우수하면서도 무독성 및 무오염의 무기 안료로서 친환경적이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에는 침강방지제로서 상기 점도조절제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점도조절제는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도포된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실리카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OCI사의 K-200 퓸드 실리카(fumed silica)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에는 표면오염 방지제로서 상기 왁스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왁스는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대기중의 산소를 차단하고 경화 및 건조된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 표면의 끈적임을 방지하여 표면 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에는 반응속도 조절제로서 상기 벤조일 퍼옥사이드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벤조일 퍼옥사이드는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의 경화속도가 조절되어 도포작업성이 개선되도록 반응속도 조절제로서 구비된다. 여기서, 반응속도라 함은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경화되는 양생(중합)속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지지부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200)은 결합지지부(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지지부(50)는 도막가이드부(40)의 내부에 형성된 도포공간의 바닥부가 복수의 높낮이를 갖는 단차형 표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상기 도막가이드부(4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지지부(50)는 상판부(10)의 상면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합지지부(50)는 복수개의 돌기로 구비되어 상기 상판부(10)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지지부(50)는 상기 도포공간의 바닥부에 요홈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철부로 구비되어 상기 상판부(10)의 상면에 요철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지지부(50)는 상기 상판부(10)의 상면이 계단 형상으로 단차지도록 단부가 돌출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포공간이 복수 구획되도록 격벽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는 상기 상판부(10)의 상면뿐만 아니라 돌출된 단부의 측면에도 접촉됨에 따라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부착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지지부(50)는 상기 도막가이드부(40)와 별도로 구비되어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지지부(50)는 상기 도막가이드부(40)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지지부(50)는 하부가 상기 상판부(10)의 상면에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지지부(50)는 상기 도막가이드부(40) 및 상기 상판부(10)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지지부(50)는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돌기, 요철, 계단, 격벽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도포공간의 바닥부가 복수의 높낮이를 갖는 단차형 표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지지부(50)가 복수개의 격벽부재로 구비되는 형상으로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복수개의 격벽부재는 제1격벽부재(50a)와 제2격벽부재(50b)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격벽부재(50b)는 상기 상판부(10)의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 중 어느 하나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도막가이드부(40)에 양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격벽부재(50a)는 이웃하는 제2격벽부재(50b)의 대향면 사이와, 상기 도막가이드부(40) 및 상기 제2격벽부재(50b)의 대향면 사이에 상기 제2격벽부재(50b)와 상호 교차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격벽부재(50a)는 양단이 상기 이웃하는 제2격벽부재(50b)의 대향면과, 상기 도막가이드부(40) 및 상기 제2격벽부재(50b)의 대향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격벽부재(50b)가 상기 상판부(10)의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면 상기 제1격벽부재(50a)는 상기 상판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되,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이웃하는 상기 제2격벽부재(50b)의 대향면 또는 상기 도막가이드부(40) 및 상기 제2격벽부재(50b)의 대향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막가이드부(40), 상기 제1격벽부재(50a) 및 상기 제2격벽부재(50b)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에워싸는 부분에는 상기 도포공간이 복수 구획되도록 공간부(s)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포공간이 복수 구획됨에 따라 상기 공간부(s)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분할 충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공간부(s)에 상기 미끄럼방지층(M)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상기 상판부(10)의 상면과 더불어 상기 제1격벽부재(50a)와 상기 제2격벽부재(50b)의 측면에도 접촉되므로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는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부착강도가 더욱 향상됨에 따라 상기 미끄럼방지층(M)의 탈락이 최소화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격벽부재(50a) 및 상기 제2격벽부재(50b)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격벽부재(50a)의 높이가 상기 제2격벽부재(50b)보다 더 낮은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격벽부재(50a) 및 상기 제2격벽부재(50b) 중 어느 하나에는 이웃하는 공간부(s)와 연통되도록 연통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도포되면 이웃하는 공간부(s)와 연통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공간부(s)에 충진될 수 있으므로 시공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격벽부재(50a)는 상기 도막가이드부(40)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제1격벽부재(50a)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격벽부재(50b)가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격벽부재(50a)는 이웃하는 제2격벽부재(50b) 사이와, 상기 도막가이드부(40) 및 상기 제2격벽부재(50b) 사이에 교번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벽돌이 적층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격벽부재(50a) 및 제2격벽부재(50b)는 상기 공간부(s)가 기설정된 패턴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격벽부재(50a)와 상기 제2격벽부재(50b)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공간부(s)가 기설정된 패턴으로 형성되어 제품의 심미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지지부(50)가 실질적으로 벽돌이 적층된 형상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지지부(50)는 공간부(s)가 원형 내지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갖도록 격벽부재가 돌설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공간부(s)가 육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격벽부재가 벌집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복수개의 격벽부재는 상기 공간부(s)가 다양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에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도포된 상태에서 요철형성용 롤러가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미끄럼방지층(M)은 미끄럼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되도록 상기 도막가이드부(40)의 내부에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도포된 상태로 요철형성용 롤러(1)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요철형성층(z)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요철형성용 롤러(1)는 회전식 몸체부(1a)의 외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기둥형상의 가압돌기(1b)가 반경방향으로 복수개로 돌설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몸체부(1a)의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되, 소정의 두께를 갖는 수직 또는 수평의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막가이드부(40)의 내부에 도포된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경화되기 전 상기 요철형성용 롤러(1)가 상기 상판부(10)의 상면을 따라 회전 이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미끄럼방지층(M)의 상면부에는 상기 가압돌기(1b)의 단부면 형상에 대응하는 요홈(x) 및 철부(y)를 포함하는 상기 요철형성층(z)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는 상기 요철형성용 롤러(1)의 회전력 및 하중에 의해 상기 가압돌기(1b)의 단부면에 가압되면서 상기 상판부(10)의 상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미끄럼방지층(M)의 부착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는 상기 상판부(10)의 상면에 도포되되, 상기 미끄럼방지층(M)은 3~5mm 두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는 상기 도막가이드부(40)의 내부에 도포되되, 상기 요철형성용 롤러(1)에 의해 3~5mm 두께의 상기 미끄럼방지층(M)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판부(10)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차량은 상기 미끄럼방지층(M)과 타이어와의 마찰력에 의해 미끄럼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온도에 따라 상기 미끄럼방지층(M)의 표면장력이 변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수막현상이 최소화되므로 우천시에도 도로의 미끄럼 방지 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막가이드부(40)는 상기 도포된 미끄럼방지용 바닥재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막가이드부(40)의 높이(h)는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도포되어 형성된 상기 미끄럼방지층(M)의 두께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지지부(50)의 격벽부재는 상기 도막가이드부(40)의 높이(h)에 대응되는 높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격벽부재(50a) 및 상기 제2격벽부재(50b)의 높이가 상기 도막가이드부(40)의 높이(h)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격벽부재(50a) 및 상기 제2격벽부재(50b)에 의해 상기 미끄럼방지층(M)의 도포 높이가 가이드될 수 있으며, 상기 미끄럼방지층(M)의 상면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도막가이드부(40), 상기 제1격벽부재(50a) 및 상기 제2격벽부재(50b)는 상기 미끄럼방지층(M)의 상면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3~5mm의 두께로 도포된다면 상기 도막가이드부(40)는 3~5mm의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격벽부재(50a) 및 상기 제2격벽부재(50b)는 상기 도막가이드부(40)의 높이에 대응되어 3~5mm의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상기 도막가이드부(40)의 높이(h) 및 상기 결합지지부(5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를 도포하여 상기 요철형성층(z)을 형성하기만 해도 상기 미끄럼방지층(M)의 기설정된 두께가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요철형성용 롤러(1)를 이용하여 상기 도막가이드부(40) 및 상기 결합지지부(5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요철형성층(z)을 형성하기만 해도 균일한 도막 두께로 상기 미끄럼방지층(M)이 형성되므로 시공편의성 및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미끄럼방지층(M)은 상기 도막가이드부(4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연장된 상기 결합지지부(50)에 의해 상면에 가해지는 하중이 지지됨에 따라 상기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200)이 상하방향으로 이웃하여 적층되거나 상면에 전체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손상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판부(10)에 상기 도막가이드부(40)와 상기 결합지지부(50)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요철형성층(z)이 형성되는 형상을 예로써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상판부(10)에 상기 도막가이드부(4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요철형성층(z)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부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의 도막가이드부(140)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보호부(14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부(141)는 상기 도막가이드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막가이드부(140)는 상기 보호부(141)의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밴딩되어 형성되되 밴딩된 도막가이드부의 단부가 인접한 도막가이드부의 단부와 용접됨에 따라 상기 도막가이드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도막가이드부(140) 및 상기 보호부(141)는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균일한 두께를 가지면서도 최소한의 두께로 구비되므로 소재비가 절감되어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도막가이드부(140) 및 상기 보호부(141)는 프레스 가공 등의 가공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호부(141)는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지지부(50)와 상기 도막가이드부(140)가 결합된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지지부(50)는 상기 보호부(141)의 하측을 지지하여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막가이드부(140)는 지지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보호부(141)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호부(141)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판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막가이드부(140) 및 상기 보호부(141)는 분리되어 구비되되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막가이드부(140) 및 상기 보호부(141)는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도막가이드부(140) 및 상기 보호부(141)는 제조단가, 내구성, 내식성 및 피로강도 등을 고려하여 합금 또는 다른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조립이 완성된 복수개의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A,300B)은 공간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상하로 이웃하여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A)에 상측으로 적층되는 타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B)의 하중이 가해진다.
여기서, 상기 일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A)이라 함은 상하로 이웃하여 적층되는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중 실질적으로 하측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호부(141)는 상기 정렬안착부(30)가 안착되는 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일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A)의 상기 보호부(141) 상면에는 상기 타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B)의 안착연장부(31) 하단부 양단이 각각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A)의 보호부(141)는 상기 도막가이드부(140)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연장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상기 미끄럼방지층(M) 상부테두리를 커버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부(141)의 연장폭은 상기 도막가이드부(140) 높이(h)의 160~200%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막가이드부(140)가 5mm의 높이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보호부(141)의 연장폭은 8~10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부(141)의 연장폭이 상기 도막가이드부(140) 높이(h)의 160%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복수개의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A,300B)의 적층상태에 따라 상기 보호부(141)의 상측에 상기 안착연장부(31) 하단부 양단이 안착되지 않고 상기 미끄럼방지층(M)에 접촉되어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141)의 연장폭이 상기 도막가이드부(140) 높이의 160~200% 범위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타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B)의 안착연장부(31) 하단부가 상기 일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A)의 상기 보호부(141) 상면에 안착되면서도 상기 미끄럼방지층(M)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일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A)의 상기 미끄럼방지층(M)은 상기 타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B)의 상기 안착연장부(31) 하단부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A)의 상기 미끄럼방지층(M)은 상기 일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A)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보호부(141)에 의해 지지되므로 탈락 내지 크랙 발생으로 인한 불량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은 상기 미끄럼방지층(M)이 형성되더라도, 즉 제품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웃하여 적층하는 경우 제품의 불량률 발생이 최소화되므로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상기 미끄럼방지층(M)을 보호하기 위한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일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A)의 상기 보호부(141) 상측에 상기 타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B)의 상기 안착연장부(31)를 안착하기만 하면 안정적으로 적층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은 적층 보관이 용이하므로 보관공간의 효율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 제품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이므로 별도의 작업 없이도 설치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은 제조 과정에서 상기 미끄럼방지층(M)이 경화되기 전에 상하방향으로 이웃하여 적층하여도 상기 보호부(141)에 의해 상기 미끄럼방지층(M)이 보호되므로 넓은 야적장이 구비되지 않은 제조시설에서도 제작이 가능하여 생산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보호부(141)의 연장폭은 상기 상판부(10)의 일단부와 상기 정렬안착부(30)의 대향내면 사이 간격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안착부(30)의 대향내면이라 함은 상기 하판부(11a)의 하부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정렬안착부(30)가 상호 마주보는 내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호부(141)의 연장폭은 상기 상판부(10)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상기 상판부(1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정렬안착부(30)의 대향내면 사이 간격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이 간격이라 함은 상기 상판부(10)의 길이방향 일단부로부터 상기 상기 정렬안착부(30)의 대향내면까지 이격된 거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일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A)의 상기 보호부(141) 상면에는 상기 타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B)의 상기 안착연장부(31)의 하단부 전체가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타측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300B)이 안착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적층되므로 안정성 및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부(141)와 상기 상판부(10) 사이에는 보조보강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보조보강부재는 상기 보호부(141)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보강부재는 상기 도막가이드부(140)로부터 상기 보호부(141)의 연장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보강부재는 상기 보호부(141) 및 상기 상판부(10)의 상호 대향면 사이 간격에 대응되어 연장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조보강부재는 상기 보호부(141)의 하부 및 상기 상판부(10)의 상부 사이에 상기 제1격벽부재(50a) 및 상기 제2격벽부재(50b)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보강부재의 양단부가 상기 보호부(141)의 하부 및 상기 상판부(10)의 상부에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보강부재는 상기 상판부(10)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부(141)는 상기 보조보강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변형이 최소화되고 지지강도가 더욱 보강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상판부 20 : 보강부
30 : 정렬안착부 31 : 안착연장부
40,140 : 도막가이드부 50 : 결합지지부
141 : 보호부 M : 미끄럼방지층
100,200,300 :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Claims (5)

  1. 차량 통행 내지 보행자의 보행을 위해 가설되는 지지구조물의 상측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를 덮어 임시 노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가 보강되도록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판부와 상기 지지구조물 사이를 지지하는 보강부;
    상기 상판부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설되어 내부에 도포공간이 형성되는 도막가이드부;
    상기 도포공간에 아크릴계 수지 또는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도포되어 형성된 미끄럼방지층; 및
    상기 도막가이드부의 내부에 상기 도포공간이 복수로 구획되도록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분할 충진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도막가이드부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연장된 복수개의 격벽부재가 상호 교차 배치되어 구비된 결합지지부를 포함하는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구조물의 단부에 걸림 구속되며 상기 상판부가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에 정렬 및 안착되도록 하측으로 돌설된 정렬안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막가이드부에는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보호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정렬안착부가 안착되는 폭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는 메틸메타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와, 석영, 실리콘디옥사이드, 탄화규소, 경옥, 글라스비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구비되는 골재 및 반응첨가제를 포함하며, 3~5mm 두께로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KR1020170014773A 2016-12-22 2017-02-02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KR10174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773A KR101749686B1 (ko) 2017-02-02 2017-02-02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JP2017243896A JP6328840B1 (ja) 2016-12-22 2017-12-20 滑り止め層を備えた覆工板
CN201711392249.1A CN108221531B (zh) 2016-12-22 2017-12-21 具有防滑层的空心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773A KR101749686B1 (ko) 2017-02-02 2017-02-02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686B1 true KR101749686B1 (ko) 2017-06-21

Family

ID=5928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773A KR101749686B1 (ko) 2016-12-22 2017-02-02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6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323A (ko)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에스윈 복공판용 마감코팅층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복공판, 복공판 제작 방법 및 복공판 시공 방법
KR20220001081A (ko) 2020-06-29 2022-01-05 강화구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한 복공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323A (ko)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에스윈 복공판용 마감코팅층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복공판, 복공판 제작 방법 및 복공판 시공 방법
KR20220001081A (ko) 2020-06-29 2022-01-05 강화구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한 복공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3600C (en) Multi-purpose panels with a modular edge
KR101749686B1 (ko) 미끄럼방지층이 구비된 복공판
JP6328840B1 (ja) 滑り止め層を備えた覆工板
JP2010095849A (ja) 鋼床版の補強方法
TWI518230B (zh) 襯板
CN104018644A (zh) 一种能移动、能回收轻质地面
KR102097567B1 (ko) 소음 및 미끄럼 방지용 신축이음장치
JP2018145741A (ja) 移動式落下物防護構造
CN105863188A (zh) 一种与护栏一体化的预制楼梯、预制空调板及其施工方法
JP5291328B2 (ja) 伸縮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3253289A (en) Bridge floor and wear plate therefor
KR200385503Y1 (ko) 복공판
JP7236751B2 (ja) 仮設通路に使用する、滑り止め層を備えた床板及び滑り止め層の施工工法
JPH08120604A (ja) 舗装体
KR102096837B1 (ko) 내부식성 미끄럼방지용 바닥재가 도포된 그레이팅 데크의 제조장치
KR101044859B1 (ko) 자전거 도로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JP4927681B2 (ja) 舗装構造
KR100726452B1 (ko) 육교 및 교량 탄성바닥재 포설방법
KR100499731B1 (ko) 주차장 바닥 시공방법
KR101529280B1 (ko) 금속타일의 시공방법
JP3949445B2 (ja) スリップ防止措置を施した鉄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08773B1 (ko) 시트파일을 이용한 가교 상판 및 그것의 시공방법
KR101759095B1 (ko) 노면 미끄럼방지층 크랙 방지와 수명연장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082386B2 (ja) コンクリート版用目地構造
KR102205490B1 (ko) 보도교 바닥판 어셈블리, 보도교 및 보도교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