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502B1 - 레버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502B1
KR101748502B1 KR1020150182881A KR20150182881A KR101748502B1 KR 101748502 B1 KR101748502 B1 KR 101748502B1 KR 1020150182881 A KR1020150182881 A KR 1020150182881A KR 20150182881 A KR20150182881 A KR 20150182881A KR 101748502 B1 KR101748502 B1 KR 101748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ver
arm
main body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680A (ko
Inventor
시게토 가타오카
히데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Abstract

레버의 회동을 규제하는 기능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한다.
제1 하우징(10)에는, 초기 위치와 감합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레버(30)가 지지되고, 레버(30)의 본체부(31)에는, 제1 하우징(10)에 걸림으로써, 초기 위치의 레버(30)를 감합 위치측[감합 방향(B)]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유지 아암(35)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 아암(35)에는 규제 돌기(38)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1)에는, 유지 아암(35)이 제1 하우징(10)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본체부(31)가 감합 방향(B)으로 변위하였을 때에, 규제 돌기(38)를 걸리게 함으로써, 유지 아암(35)이, 제1 하우징(10)으로부터 해리되는 유지 해제 방향(A)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39)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레버식 커넥터{LEVER-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제1 하우징에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감합하기 전에는, 레버에 형성한 임시걸림용 탄성편이, 제1 하우징에 형성한 임시걸림 상태 유지부에 걸림으로써, 레버를 임시걸림 상태로 유지하여, 레버가 감합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감합을 개시하면, 제2 하우징의 임시걸림 해제부가 임시걸림용 탄성편을 탄성 변형시킨다. 이에 의해, 레버는, 임시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감합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43669호 공보
레버의 본체부와 임시걸림용 탄성편 사이에는, 임시걸림용 탄성편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다. 그 때문에, 레버가 임시걸림 상태에서 본체부에 대하여 무리하게 감합 방향의 회동력이 부여되면, 본체부가 임시걸림용 탄성편에 접근하게 된다. 이때, 임시걸림용 탄성편이 임시걸림 상태 유지부에 대하여 강하게 압박되기 때문에, 임시걸림용 탄성편이, 임시걸림 상태 유지부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임시걸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변위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임시걸림용 탄성편과 임시걸림 상태 유지부의 걸림이 해제되기 때문에, 레버가 감합 방향으로 회동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레버의 회동을 규제하는 기능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지지된 본체부를 가지며, 초기 위치와 감합 위치 사이에서의 회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레버와,
상기 본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초기 위치의 상기 레버를 감합 위치측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유지 아암과,
상기 제1 하우징과 감합 가능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감합을 개시함에 따라, 상기 유지 아암을,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해리되는 유지 해제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해제부와,
상기 유지 아암에 형성된 규제 돌기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지 아암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가 감합 방향으로 변위하였을 때에, 상기 규제 돌기를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유지 아암이 상기 유지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유지 아암이 제1 하우징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본체부가 감합 방향으로 변위되면, 규제 돌기가 스토퍼에 걸린다. 이에 의해, 유지 아암은, 유지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되어, 제1 하우징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레버가 감합 위치까지 회동할 우려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레버의 회동을 규제하는 기능의 신뢰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실시예 1의 레버식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1 하우징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체부가 유지 아암에 대하여 감합 방향으로 상대 변위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레버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체부가 유지 아암에 대하여 감합 방향으로 상대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레버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을 Y-Y선으로 절단하여, 저면측을 하향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를 Z-Z선으로 절단하여, 저면측을 하향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레버식 커넥터는, 상기 규제 돌기와 상기 스토퍼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레버의 회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기 규제 돌기와 상기 스토퍼를 걸림 상태로 유도하는 유도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규제 돌기와 스토퍼의 걸림 동작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을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레버식 커넥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과, 양 하우징(10, 20)을 감합하기 위한 레버(3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0)은, 내부에 복수의 단자 수용실(12)이 형성된 단자 수용부(11)와, 단자 수용부(11)를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는 각통형의 통형 감합부(13)를 일체로 형성한 형태이다. 단자 수용부(11)와 통형 감합부(13)는 그 후단부에서 연속하고 있으며, 단자 수용부(11)의 외주와 통형 감합부(13)의 내주 사이의 각통형의 공간은, 제2 하우징(20)의 후드부(21)를 진입시키기 위한 감합 공간(14)으로 되어 있다.
통형 감합부(13)를 구성하는 4개의 벽부 중, 단자 수용부(11)의 상면과 대향하는 벽부 내에는, 레버(3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5)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15)은, 제1 하우징(10)의 후단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수용 공간(15) 내에는, 수용 공간(15)과 감합 공간(14)을 구획하는 격벽부(16)로부터 상방[양 하우징(10, 20)의 감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형태의 지지축(17)(도 1을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부(16)에는, 수용 공간(15)과 감합 공간(14)을 연통시키는 연통구(18)가 형성되고, 연통구(18)의 내면의 일부는, 후술하는 유지 아암(35)을 걸리게 하기 위한 유지용 걸림면(19)으로 되어 있다.
레버(30)는, 합성 수지제이며, 전체로서 한 장의 판형을 이루는 단일 부품이다. 레버(30)는, 하면에 캠홈(32)이 형성된 본체부(31)와, 유지 아암(35)을 갖는다. 본체부(31)의 하면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는 베어링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30)는, 베어링 오목부(33)를 지지축(17)에 감합시킴으로써, 지지축(17)을 중심으로 하여 초기 위치(도 1을 참조)와, 도 1에 있어서 초기 위치보다 시계 방향으로 변위한 감합 위치(도시 생략)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축(17)은 수용 공간(15)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31) 중 캠홈(32)을 포함하는 영역과 유지 아암(35)의 전체가, 수용 공간(15) 내에 수용된다. 본체부(31)의 외주에 형성한 조작부(41)는, 수용 공간(15)으로부터 돌출하여 제1 하우징(10)의 후단면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본체부(31)의 판 두께 치수(상하 치수)는, 수용 공간(15)의 높이 치수(상하 치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30)의 상하 양면이 수용 공간(15)의 상하 양면에 접촉함으로써, 레버(30)는, 상하 방향[양 하우징(10, 20)의 감합 방향 및 레버(30)의 회동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31)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한 형태로서, 꺾인 경로를 따라서 절결된 슬릿형의 절결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결부(34)로 둘러싸인 영역이, 유지 아암(35)으로 되어 있다. 유지 아암(35)은, 레버(30)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방으로 외팔보형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유지 아암(35)의 연장 단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하는 유지용 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용 돌기(36)가 유지용 걸림면(19)에 접촉하는 방향은, 레버(30)가 감합 방향(B)(초기 위치로부터 감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회동을 개시할 때에 유지 아암(35)이 변위하는 방향과, 대략 같은 방향이다.
따라서, 레버(30)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유지용 돌기(36)가, 제1 하우징(10)의 유지용 걸림면(19)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레버(30)가 감합 방향(B)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또한, 유지 아암(35)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해제 방향(A)(상방)으로 탄성 변형되면, 유지용 돌기(36)가 유지용 걸림면(19)으로부터 해리되어, 유지 아암(35)에 의한 유지 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양 하우징(10, 20)을 감합할 때에는, 우선, 유지 아암(35)과 유지용 걸림면(19)의 걸림에 의해 레버(30)를 초기 위치에 유지해 둔다. 다음에, 제2 하우징(20)의 후드부(21)를 감합 공간(14)에 얕게 진입시켜, 후드부(21)의 상면의 캠 팔로어(도시 생략)를 캠홈(32)의 입구에 진입시킨다. 그렇게 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드부(2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형의 해제부(22)가, 유지용 돌기(36)에 접촉하여 유지 아암(35)을 유지 해제 방향(A)으로 탄성 변형시키기 때문에, 레버(30)는 감합 방향(B)으로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는, 레버(30)를 감합 방향(B)으로 회동시키면, 캠홈(32)과 캠 팔로어의 맞물림에 의한 캠 작용에 의해, 양 하우징(10, 20)의 감합이 진행된다. 그리고, 레버(30)가 감합 위치에 도달하면, 양 하우징(10, 20)이 감합 완료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아암(35)은, 절결부(34)로 둘러싸인 형태로 되어 있고, 이 절결부(34)에 의해 유지 해제 방향(A)(상하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 동작이 허용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절결부(34)는, 본체부(31)와 유지 아암(35)이, 레버(30)의 회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대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 때문에, 레버(30)를 초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유지 아암(35)이 유지용 걸림면(19)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본체부(31)에 대하여 무리하게 감합 방향(B)의 회동력이 부여되면, 도 4,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31)는, 절결부(34)를 구성하는 슬릿(37)을 좁히면서 유지 아암(3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근하게 된다.
이때, 유지 아암(35)의 유지용 돌기(36)가 유지용 걸림면(19)에 대하여 강하게 압박되기 때문에, 유지 아암(35)이, 그 유지용 돌기(36)를 유지용 걸림면(19) 상에서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유지 해제 방향(A)으로 변위할 우려가 있다. 만약, 유지 아암(35)이 유지 해제 방향(A)으로 탄성 변형되면, 유지용 돌기(36)와 유지용 걸림면(19)의 걸림이 해제되기 때문에, 레버(30)가 감합 방향(B)으로 회동되어 버린다. 이 대책으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아암(35)에는 규제 돌기(38)가 형성되고, 본체부(31)에는 스토퍼(39)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 돌기(38)는, 유지 아암(35)의 연장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유지 아암(35)은, 본체부(31)가 유지 아암(35)에 대하여 접근하면서 감합 방향(B)으로 상대 변위할 때에 좁아져 가는 슬릿(37)에 면하는 측부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이 측부 가장자리는, 유지 아암(3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 돌기(38)는, 유지 아암(35)의 연장 방향 선단부에서,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1)가 유지 아암(35)에 대하여 회동 위치측으로 상대 변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아암(35)은, 규제 돌기(38)를 본체부(31)와 간섭시키는 일없이, 유지 해제 방향(A)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39)는, 절결부(34)의 내면부 중 슬릿(37)을 사이에 두고 규제 돌기(38)와 대향하는 영역을 만입되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39)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유지 해제 방향(A)과는 반대 방향에 면하고 있다. 그리고, 스토퍼(39)는, 상하 방향[유지 해제 방향(A)와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유지 아암(35)이 탄성 변형되지 않을 때의 규제 돌기(38)보다 상방[즉, 유지 해제 방향(A)과는 반대의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체부(31)가 유지 아암(35)에 대하여 감합 방향(B)으로 상대 변위하면, 규제 돌기(38)가 스토퍼(39)에 대하여 밑으로부터 접촉 또는 접근하여 대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유지 아암(35)이 유지 해제 방향(A)(상방)으로 탄성 변형될 수 없다. 그리고, 본체부(31)가 유지 아암(35)에 대하여 감합 방향(B)으로 상대 변위하는 방향과, 유지 아암(35)의 유지용 돌기(36)가 유지용 걸림면(19)에 접촉하는 방향은, 서로 거의 직각인 방향이다. 따라서, 본체부(31)가 유지 아암(35)에 대하여 감합 방향(B)으로 상대 변위하여도, 유지용 돌기(36)가 유지용 걸림면(19)에 접촉하는 상태가 유지되며, 레버(30)는 초기 위치에 유지되어 감합 방향(B)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또한, 규제 돌기(38)의 상면에는, 레버(30)의 회동 방향[즉, 유지 아암(35)에 대하여 본체부(31)가 감합 방향(B)으로 상대 변위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유도면(40)이 형성되어 있다(도 5, 도 6 참조). 이 유도면(40)은, 스토퍼(39)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부(31)가 감합 방향(B)으로 상대 변위할 때에, 규제 돌기(38)와 스토퍼(39)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에 오차가 있어도, 본체부(31)가 규제 돌기(38)의 돌출단에 맞닿을 우려는 없다.
본 실시예의 레버식 커넥터는, 레버(30)에 의해 감합되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20)을 가지며, 레버(30)는, 그 본체부(31)를 제1 하우징(10)에 지지함으로써, 초기 위치와 감합 위치 사이에서의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체부(31)에는 유지 아암(35)이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지 아암(35)은, 제1 하우징(10)의 유지용 걸림면(19)에 걸림으로써, 초기 위치의 레버(30)를 감합 방향(B)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또한, 제2 하우징(20)에는, 양 하우징(10, 20)의 감합을 개시함에 따라, 유지 아암(35)을, 제1 하우징(10)[유지용 걸림면(19)]으로부터 해리되는 유지 해제 방향(A)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해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 아암(35)에는 규제 돌기(38)가 형성되고, 본체부(31)에는 스토퍼(39)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아암(35)이 제1 하우징(10)[유지용 걸림면(19)]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본체부(31)가 감합 방향(B)으로 변위하였을 때에는, 스토퍼(39)가, 규제 돌기(38)를 걸리게 함으로써, 유지 아암(35)이 유지 해제 방향(A)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유지 해제 방향(A)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 유지 아암(35)은, 제1 하우징(10)[유지용 걸림면(19)]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레버(30)가 감합 위치까지 회동할 우려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레버식 커넥터는, 레버(30)의 회동을 규제하는 기능의 신뢰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레버식 커넥터에서는, 규제 돌기(38)에, 레버(30)의 회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규제 돌기(38)와 스토퍼(39)를 걸림 상태로 유도하는 유도면(40)을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규제 돌기(38)와 스토퍼(39)의 걸림 동작을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도면을 규제 돌기에만 형성하였지만, 유도면은, 규제 돌기와 스토퍼의 양방에 형성하여도 좋고, 스토퍼에만 형성하여도 좋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규제 돌기와 스토퍼를 걸림 상태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면을 형성하였지만, 이와 같이 유도면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로 하여도 좋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버가 대략 한 장의 판형을 이루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레버는, 한 쌍의 본체부를 조작부로 연결한 형태여도 좋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지 아암이 본체부로부터 외팔보형으로 연장된 형태이지만, 유지 아암은, 본체부에 양팔보형으로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10…제1 하우징 20…제2 하우징
22…해제부 30…레버
31…본체부 35…유지 아암
38…규제 돌기 39…스토퍼
40…유도면 A…유지 해제 방향
B…감합 방향

Claims (2)

  1.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지지된 본체부를 가지며, 초기 위치와 감합 위치 사이에서의 회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레버와,
    상기 본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초기 위치의 상기 레버를 감합 위치측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유지 아암과,
    상기 제1 하우징과 감합 가능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감합을 개시함에 따라, 상기 유지 아암을,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해리되는 유지 해제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해제부와,
    상기 유지 아암에 형성된 규제 돌기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지 아암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가 감합 방향으로 변위하였을 때에, 상기 규제 돌기를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유지 아암이 상기 유지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돌기와 상기 스토퍼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레버의 회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기 규제 돌기와 상기 스토퍼를 걸림 상태로 유도하는 유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KR1020150182881A 2014-12-26 2015-12-21 레버식 커넥터 KR101748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64511A JP2016126841A (ja) 2014-12-26 2014-12-26 レバー式コネクタ
JPJP-P-2014-264511 2014-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680A KR20160079680A (ko) 2016-07-06
KR101748502B1 true KR101748502B1 (ko) 2017-06-16

Family

ID=5616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881A KR101748502B1 (ko) 2014-12-26 2015-12-21 레버식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61395B2 (ko)
JP (1) JP2016126841A (ko)
KR (1) KR101748502B1 (ko)
CN (1) CN1057428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4981B2 (ja) * 2015-05-11 2018-09-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574799B2 (ja) * 2017-02-28 2019-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18223024A2 (en) 2017-06-01 2018-12-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alibration-free measurement with electrochemical biosensors
JP6852606B2 (ja) * 2017-07-18 2021-03-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9091609A (ja) * 2017-11-14 2019-06-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51664B2 (ja) * 2018-01-25 2021-10-2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7139981B2 (ja) * 2019-02-01 2022-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7065057B2 (ja) * 2019-07-12 2022-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7174007B2 (ja) * 2020-04-24 2022-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2082B2 (en) 2001-05-24 2003-08-0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46466A1 (en) * 2007-03-15 2008-10-30 J S T Mfg Co Ltd Electric connector
JP4988430B2 (ja) * 2007-05-18 2012-08-01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867875B2 (ja) * 2007-09-18 2012-02-01 日立電線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788711B2 (ja) 2011-05-23 2015-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4165027A (ja) * 2013-02-26 2014-09-08 Sumitomo Wiring Syst Ltd 倍力機構付き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2082B2 (en) 2001-05-24 2003-08-0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42895A (zh) 2016-07-06
US20160190727A1 (en) 2016-06-30
KR20160079680A (ko) 2016-07-06
US9461395B2 (en) 2016-10-04
CN105742895B (zh) 2018-03-20
JP2016126841A (ja)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502B1 (ko) 레버식 커넥터
JP6667965B2 (ja) コネクタ
JP502987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407959B2 (ja) コネクタ
KR20150140353A (ko) 커넥터
CN110829117B (zh) 连接器
JP2015118830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645359B2 (ja) コネクタ
JP6673017B2 (ja) コネクタ
KR20180110136A (ko) 레버식 커넥터
JP6598023B2 (ja) コネクタ
US11322888B2 (en) Lever-type connector
JP2018181625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668950B2 (ja) コネクタ
JP6645360B2 (ja) コネクタ
WO2021145171A1 (ja) コネクタ
JP6281543B2 (ja) コネクタ
EP3734770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sition holder
JP2012146520A (ja) レバー付きコネクタ
JP7081475B2 (ja) コネクタ
JP573721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21145173A1 (ja) コネクタ
JP6881026B2 (ja) コネクタ
WO2021145172A1 (ja) コネクタ
KR101362569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