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569B1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569B1
KR101362569B1 KR1020120037905A KR20120037905A KR101362569B1 KR 101362569 B1 KR101362569 B1 KR 101362569B1 KR 1020120037905 A KR1020120037905 A KR 1020120037905A KR 20120037905 A KR20120037905 A KR 20120037905A KR 101362569 B1 KR101362569 B1 KR 10136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conductor
balanced conductor
balanc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207A (ko
Inventor
시로 스나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7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평형 도체의 불완전 삽입을 확실히 판단할 수 있고, 불완전 삽입 위치에서의 커넥터에 대한 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수용부를 개방하여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로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가동인 가동 부재 (40) 와,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의 삽입을 허용하고,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도달하지 못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50) 를 갖고, 규제 부재는, 그 규제 부재 자체가 전체적으로, 가동 부재의 열림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규제 부재는,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부 피압부 (53A) 와, 피압부에서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어 그 규제 부재가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도중 위치에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는 평형 도체와 맞닿는 맞닿음부 (52B) 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플랫 케이블 등의 평형 도체를 전기 커넥터에 삽입하여 그 커넥터에 접속시킬 때, 그 평형 도체가 소정의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지 않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그것을 확인할 수 없이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오인하여 그 평형 도체를 단자에 접속시키고자 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평형 도체를 개구에서 수용하는 하우징의 양방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평형 도체의 선단에 의해 눌리고 핀 둘레로 회전하는 검지편을 형성하고 있다. 그 검지편은, 평형 도체에 의해 눌리기 전에는, 일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로 진입되어 있고, 타단측이 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면, 상기 검지편은 그 일단측이 평형 도체의 선단 그리고 측가장자리에서 압압되어 핀 둘레로 회전하여 그 일단측 그리고 타단측도 상기 관통공으로 들어가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해서, 평형 도체의 탈락을 방지하는 리테이너가 하우징의 외측면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1 에 있어서는,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검지편의 회전량이 불충분해져, 그 검지편의 일단측이 평형 도체의 선단과 맞닿아 기울어져 있기는 하지만 그 검지편의 일단측도 타단측도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일단측이 평형 도체의 선단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로 리테이너를 장착하고자 해도, 그 리테이너는 검지편의 돌출되어 있는 타단측이 장애가 되어 장착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없어, 평형 도체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는 것을 알고, 조작자는 재차 평형 도체의 삽입을 시도하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13416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평형 도체를 하우징의 개구로 삽입할 때, 검지편은 이 평형 도체의 선단에 의해 눌려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평형 도체가 삽입 과정에서 검지편에 맞닿았을 때에 그 검지편으로부터 반력을 받게 되어, 조작자는 이 반력을 느끼고, 평형 도체가 정규의 삽입 위치까지 도달했다, 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어, 이것이 불완전 삽입의 원인으로도 된다.
나아가서는, 상기 검지편을 누르는 평형 도체는, 매우 얇기 때문에 강성이 낮아, 검지편으로부터의 반력이나 삽입시의 취급에 의해 휘기 쉽다. 이 평형 도체가 휘어지면, 검지편을 충분히 누를 수 없거나, 또는, 검지편으로부터 벗어나 검지편을 누르지 않고 삽입이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경우, 검지편은, 그 일단이 하우징의 개구로, 그리고 타단이 하우징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채가 되어, 외관으로부터는 리테이너를 장착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된다. 한편, 평형 도체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리테이너를 강하게 밀어 누르면, 검지편이 부드러운 평형 도체를 변형시키면서 회전하여, 리테이너를 장착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 에서는, 검지편은 불안정한 위치에 있어, 평형 도체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는 것의 판단이나 방지가 확실하게 실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평형 도체를 거의 저항없이, 즉 반력을 받지 않고, 정규 위치까지 삽입할 수 있고, 불완전 삽입 위치인 것을 확실히 판단할 수 있으며, 불완전 삽입 위치에서의 커넥터에 대한 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판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에서 배열 유지되어 있고 하우징의 수용부로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여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를 향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로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가동인 가동 부재와, 그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로의 삽입을 허용함과 함께, 그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도달하지 못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고 있다.
이러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규제 부재는, 그규제 부재 자체가 전체적으로 회전, 병진 (竝進) 그리고 양자의 조합 중 어느 것에 의해, 가동 부재의 열림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규제 부재는,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부와, 그 피압부에서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어 그 규제 부재가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도중 위치에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는 평형 도체와 맞닿는 맞닿음부를 갖고, 그 맞닿음부에서의 이 맞닿음에 의해 상기 도중 위치에서 멈추는 상기 규제 부재의 피압부를 압압하고 있는 가동 부재에 대하여 그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를 향한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수용부에 대한 평형 도체의 삽입 전, 즉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동 부재뿐만 아니라 규제 부재도 평형 도체의 삽입 경로에 존재하고 있지 않아 그 평형 도체의 삽입을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삽입된 후에, 가동 부재가 조작되어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이동한다. 가동 부재는, 제 1 위치에 있는 규제 부재의 피압부에 대하여, 여기에 대응하는 부위로 피압부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규제 부재는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그 때, 그 규제 부재의 맞닿음부는 평형 도체와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다음으로, 평형 도체의 삽입이 정규 위치까지 도달되어 있지 않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조작자가 그 인식이 없이 가동 부재를 조작하여 닫힘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고자 하면, 그 가동 부재가 규제 부재의 피압부를 눌러 그 규제 부재를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려 하지만, 그 가동 부재의 맞닿음부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는 평형 도체에 맞닿아 규제 부재는 도중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그 결과, 이 규제 부재의 피압부를 누르고 있는 가동 부재도, 그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조작자는, 이 가동 부재의 위치를 육안으로 보고, 또한, 가동 부재의 반력을 느껴 평형 도체가 불완전 삽입 위치인 것을 인식하고, 재차 평형 도체의 삽입을 시도하게 된다. 가동 부재는, 평형 도체보다 훨씬 높은 강성의 규제 부재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종래 평형 도체의 규제를 받았던 경우와 비교하여, 규제가 확실히 안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축부와, 그 축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그 축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날개부를 갖고, 축부가 둘레 방향에서의 단상 (段狀) 부를 갖고 있어 그 단상부가 회전 중의 가동 부재에 압압되는 피압부를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가 불완전 삽입 위치의 평형 도체의 면과 대면하는 그 날개부의 면으로 맞닿음부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규제 부재에서는,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가 축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축선에서부터 맞닿음부까지의 거리가 축선에서부터 피압부까지의 거리보다 길어 그 비가 커지기 때문에, 평형 도체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맞닿음부가 평형 도체에 맞닿아 반력을 받고 있는 규제 부재에 대하여, 가동 부재가 그 규제 부재의 피압부로 누르고 이것을 또한 상기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가동 부재는 상기 맞닿음부에서 평형 도체로부터 받은 반력의 상기 거리의 비의 배수 분의 압압력을 피압부에 가해야한다. 바꾸어 말하면, 가동 부재는, 상기 맞닿음부에서 평형 도체로부터 받는 반력의 상기 비의 배수 분의 힘을 상기 피압부로부터 받고 있는 것이 된다. 이렇게 해서, 가동 부재는, 확실히 닫힘 위치를 향한 그 이상의 회전은 규제된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가동 부재의 회전 축선과 규제 부재의 축선이 직교하는 관계가 되어, 서로의 부재의 이동 방향이 변환되기 때문에, 하우징 내의 구조의 설계에 자유도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평형 도체에 대하여 그 평형 도체의 폭방향에서 측방에 위치하고 있고, 그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회전판부와, 그 축선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회전판부의 일방의 면에서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돌부 (突部) 를 갖고 있고, 그 제 1 돌부가 회전 중인 가동 부재에 압압되는 피압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제 1 돌부와는 둘레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 또한 축선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회전판부의 타방의 면에서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돌부를 갖고 있고 그 제 2 돌부가 맞닿음부를 형성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도, 축선에서부터 피압부까지의 거리와 축선에서부터 맞닿음부까지의 거리를, 제 1 돌부와 제 2 돌부의 돌출량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앞서 나온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평형 도체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를 향한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평형 도체에 대하여 그 평형 도체의 폭방향에서 측방에 위치하고, 가동 부재에 의해 피압부에서 압압되어 상기 폭방향으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평형 도체의 걸림 오목부로 진입하는 직동 부재 (直動部材) 로서 형성되어, 평형 도체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규제 부재의 제 2 위치측 부분에 형성된 맞닿음부가 평형 도체의 걸림 오목부 이외의 측가장자리에 맞닿아 도중 위치에서 멈추고, 제 1 위치측 부분이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를 향한 이동에 의해, 상기 규제 부재는 제 1 위치측 부분에 형성된 피압부에서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어 평형 도체의 폭방향으로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 (직동) 한다.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규제 부재는 그 제 2 위치측부에 형성된 맞닿음부가 평형 도체의 걸림 오목부로 진입하여, 제 1 위치측부가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그러나, 평형 도체의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평형 도체의 걸림 오목부가 규제 부재의 상기 맞닿음부보다 삽입 방향 앞쪽 위치에 있게 되어, 맞닿음부는 평형 도체의 걸림 오목부보다 전방의 측가장자리에 맞닿게 되어, 규제 부재는 제 2 위치에 도달하지 않고 도중 위치에서 멈춘다. 따라서, 그 규제 부재의 제 1 위치측 부분이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게 되어, 가동 부재를 규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평형 도체의 측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결상 또는 창 (窓) 상의 걸림 오목부에 대하여, 그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규제 부재가 제 2 위치까지 이동하여, 그 걸림 오목부로 진입하는 걸림부를 갖고 있고, 그 걸림부가 평형 도체의 발출 (拔出) 방향에서 상기 걸림 오목부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규제 부재는 평형 도체의 불완전 삽입 위치를 확실히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것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에 삽입된 경우에, 평형 도체의 의도치 않은 발출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에서 배열 유지되어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여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를 향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로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가동인 가동 부재와, 그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로의 삽입을 허용함과 함께, 그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도달하지 못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고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하우징과는 별도 부재로서,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에 의해 그 규제 부재 전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규제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부와, 상기 수용부에 출몰 가능한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가동 부재의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의 가동에 수반하여, 그 가동 부재에 의해 피압부가 압압되어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수용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에서 배열 유지되어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여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를 향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로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가동인 가동 부재와, 그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로의 삽입을 허용함과 함께, 그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도달하지 못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고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하우징과는 별도 부재로서,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에 의해 그 규제 부재 전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규제 부재는,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가동 부재에 눌려지는 복귀용 피압부를 갖고, 그 복귀용 피압부에서 눌려짐으로써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필요시에 평형 도체가 발출될 때,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를 향해 조작되면, 그 가동 부재가 규제 부재의 복귀용 피압부를 압압하여 그 규제 부재를 확실히 제 1 위치로 되돌리고, 다음에 실시되는 평형 도체의 삽입에 대비하게 된다.
본 발명은, 평형 도체의 불완전 삽입의 확실한 발견 그리고 방지를 위해, 가동 부재와 평형 도체 사이에 규제 부재를 개재시켜서, 그 규제 부재가 닫힘 위치를 향한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고, 그 규제 부재 자체가 전체적으로 이동하여, 불완전 삽입 위치의 평형 도체와 맞닿아 도중 위치에서 멈춰, 이 규제 부재가 가동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평형 도체나 다른 탄성을 갖는 부재에 비하여 강성이 높은 규제 부재에 의해 가동 부재가 확실히 규제되게 되어, 평형 도체의 불완전 삽입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발견 그리고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의 외관을 평형 도체의 미삽입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로, 가동 부재가, (A) 에서는 열림 위치, (B) 에서는 닫힘 위치로 되어있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에 사용되는 규제 부재를 나타내고, (A) 는 도 1 의 (A) 의 해당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B) 는 규제 부재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가동 부재와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규제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A) 는 사시도, (B) 는 부분 파단 정면도, (C) 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도 4 는 닫힘 위치를 향하여 이동을 개시한 가동 부재와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을 개시한 규제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A) 는 사시도, (B) 는 부분 파단 정면도이다.
도 5 는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평형 도체와 제 2 위치에서의 규제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A) 는 사시도, (B) 는 부분 파단 정면도, (C) 는 가동 부재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있어서의 규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A) 는 규제 부재만을 나타내고, (B) 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규제 부재와 정규 위치의 평형 도체를 나타내고, (C) 는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규제 부재와 정규 위치의 평형 도체를 나타내고, (D) 는 불완전 삽입 위치의 평형 도체와 도중 위치의 규제 부재를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규제 부재와 평형 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A) 는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 (B) 는 닫힘 위치에 있을 때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서, 커넥터 (1) 는,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진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단자 (20) 및 고정 금구 (30) 와,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지고 하우징 (10) 에 대하여 가동인 가동 부재 (40) 와,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지고 하우징 (10) 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규제 부재 (50) 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규제 부재 (50) 자체 그리고 그것에 관계하는 가동 부재 (40) 에 특징이 있다.
하우징 (10) 과 가동 부재 (40) 는, 그 가동 부재 (40) 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도 1 의 (B)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의 폭방향인 횡방향 (이하, 「폭방향」 또는 「횡방향」이라고 한다) 으로 가늘고 긴 대략 직육면체 외형을 나타내고 있고, 가동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1 의 (A) 와 같이, 그 가동 부재 (40) 가 하우징 (10) 에 대하여 수직으로 선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하우징 (10) 은, 정면측 (전방) 에서부터 화살표 A 방향으로 삽입되는 평형 도체 (F) 를 수용하도록 수용부 (11A) 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이 대략 L 자상을 이루도록, 전방을 향한 수평부 (11) 와, 그 수평부 (11) 의 리어부 (後部) 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후벽부 (12) 를 갖고 있다. 수평부 (11) 보다 상방에서 후벽부 (12) 의 높이 위치까지의 공간이, 도 1 의 (B) 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앞서 서술한 닫힘 위치의 가동 부재 (40) 를 넣는 데에 제공되고 있다. 상기 수용부 (11A) 는, 상기 수평부 (11) 의 상면으로부터 하우징 (10) 의 내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0) 은, 그 폭방향 양단역을 제외한 범위에, 상기 수평부 (11) 의 상면에 개구되는 슬릿상의 복수의 단자 유지홈 (13) 이 상기 폭방향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고, 그 단자 유지홈 (13) 에서 단자 (20) 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 (10) 은, 그 양단부에 금구 유지홈 (14) 이 형성되어 있어, 여기서 고정 금구 (30) 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10) 은, 그 폭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의 외측에서 상기 금구 유지홈 (14) 과의 사이 부분에, 평형 도체 (F) 의 삽입 방향인 화살표 A 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선으로 한 원통상 내면의 부분을 갖는 규제 부재 지지면 (1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규제 부재 지지면 (15) 은, 폭방향의 양 위치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규제 부재 (50) 를 상기 축선 둘레로 자유롭게 왕복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하우징 (10) 의 단자 유지홈 (13) 에서 유지되는 단자 (20) 는,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펀칭 등으로 형상이 만들어져 있고, 이 단자 (20) 의 판두께에 상당하는 홈폭의 상기 단자 유지홈 (13) 에, 그 단자 (20) 의 일부가 압입됨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그 단자 (20) 는, 휨 탄성을 갖는 탄성 아암부 (도시 생략) 에 돌상 (突狀) 의 접촉부 (21)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접촉부 (21) 가 상기 하우징 (10) 의 수평부 (11) 의 상면에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다. 또한, 그 단자 (20) 는, 하우징 (10) 의 후방에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접속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가 배치되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단자 (20) 의 배열 범위의 양 외측에 형성된 금구 유지홈 (14) 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고정 금구 (30) 도 단자 (20) 와 마찬가지로,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그대로 유지하고 펀칭 등으로 형상이 만들어져 있으며, 이 고정 금구 (30) 는 상기 금구 유지홈 (14) 에 압입되어 있다. 그 고정 금구 (30) 는, 하우징 (10) 의 수평부 (11) 의 절결 측면부에 면하도록 하여 고정부 (31) 가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고, 그 고정부 (31) 가 회로 기판의 대응부와 땜납 고정된다. 그 고정 금구 (30) 는, 상기 고정부 (31) 의 후방에 하우징 (10) 의 수평부 (11)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부 (32) 를 갖고 있고, 그 지지부 (32) 에서 가동 부재 (40) 를 그 가동 부재 (40) 의 측단벽부 (41) 를 자유롭게 왕복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가동 부재 (40)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 (20) 에 의해서도 자유롭게 왕복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고정 금구 (30) 의 지지부 (32)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가동 부재 (40) 는, 도 1 의 (A) 에서 보이는 수직으로 선 종자세의 열림 위치와, 도 1 의 (B) 에서 보이는 수평부 (11) 를 따른 횡자세의 닫힘 위치 사이를 왕복하도록 회전 조작된다. 그 가동 부재 (40) 는, 도 1 의 (A)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폭방향에서 단자 (20) 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단자 (20) 의 지지 아암부 (도시 생략) 의 진입을 허용하는 홈부 (42) 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 (42) 의 대향 내면끼리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섬상의 축부 (도시 생략) 가, 상기 단자 (20) 의 지지 아암부에 형성된 오목부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홈부 (42) 는, 도 1 의 (A) 에서는 가동 부재 (40) 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가동 부재 (40) 의 수직으로 선 상부는 회전을 위한 조작부 (43) 로서 제공된다. 그 가동 부재 (40) 는 조작부 (43) 와는 반대측이 되는 하부에, 닫힘 위치에서 평형 도체 (F) 를 상방에서부터 누르는 가압부 (40A) 를 갖고 있다.
상기 가동 부재 (40) 에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규제 부재 (50) 와 협동하는 압압부 (44)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압압부 (44) 는, 도 2 의 (A)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열림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의 측단벽부 (41) 의 내측 하부에, 일부가 그 측단벽부 (41) 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압압부 (44) 를 내측에서 본 도 3 의 (C), 나아가서는 약간 내측에서 정면 (앞면) 을 본 도 3 의 (A)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압압부 (44) 는, 가동 부재 (40) 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4 반원호상의 외형을 갖고 프론트부 (前部) 측에 형성된 프론트부 압압부 (45) 와 리어부측에 형성된 리어부 압압부 (46) 를 갖고 있다. 상기 압압부 (44) 는, 전후로 연장되는 축체상을 이루는 후술하는 규제 부재 (50) 에 대하여 폭방향에서 측방에 위치하고 서로 협동하도록 되어 있다. 프론트부 압압부 (45) 는, 상기 압압부 (44) 의 내측면에서의 프론트부 상방 가장자리부를 부분적으로 잘라 냄으로써, 하면과 단상의 상면을 형성하고 있다. 프론트부 압압부 (45) 의 하면은, 도 3 의 (B), (C)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열림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의 하단면에서 평탄면을 이루고, 규제 부재 (50) 의 대응 피압부를 압압하는 프론트부 압압면 (45A) 을 형성하고 있다. 가동 부재 (40) 의 회전 중심은, 전후 방향에서 상기 압압부 (44) 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부 압압부 (45) 의 상면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그 프론트부 압압부 (45) 의 프론트부 상방 가장자리부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형성된, 전단측 수평면 (45B-1) 과 거기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원호상면 (45B-2) 에 의해, 그들의 상방에 원호상의 수용 공간 (45B) 을 형성하고 있다. 이 프론트부 압압부 (45) 의 후방에는, 가동 부재 (40) 의 회전 중심보다 후방이 되는 위치에, 리어부 압압부 (46)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리어부 압압부 (46) 는 가동 부재 (40) 의 후단측을 하방으로 연장시켜 형성되어 있고, 하단면이 상기 프론트부 압압면 (45A) 과 동일한 레벨의 면으로서 리어부 압압면 (46A) 을 갖고 있다. 그 리어부 압압면 (46A) 은, 프론트부 압압면 (45A) 보다 단자 배열측에 있고, 규제 부재 (50) 의 회전축보다 내측에까지 이르러 있다.
규제 부재 (50) 는, 도 2 의 (A)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가지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 (10) 의 규제 부재 지지면 (15) 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그 규제 부재 (50) 자체를 하우징으로부터 꺼내어 나타내는 도 2 의 (B)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축부 (51) 와 그 축부 (51) 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부 (52) 를 갖고 있다. 그 규제 부재 (50) 는, 전후에서 대칭으로 만들어져 있고, 축부 (51) 의 전후단에서 원주 외면을 이루는 피지지부 (51A) 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의 피지지부 (51A) 사이에는, 둘레 방향의 일 부분에서 잘라내어져 있다. 이 잘라냄 의해, 그 규제 부재 (50) 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둘레 방향의 일부의 범위에 걸쳐 있는 잘라낸 공간을 이루는 축방향 오목부 (53) 와, 그 축방향 오목부 (53) 로부터, 축선 방향에서의 중간부 범위에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잘라낸 공간을 형성하는 접선 방향 오목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접선 방향 오목부 (54) 를 형성하는 면으로부터는, 상기 날개부 (52) 의 일면이 대략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축방향 오목부 (53) 가 날개부 (52) 로부터 먼 측에 형성하고 있는 반경 방향면 중, 특히 그 프론트부가 피압부 (53A) 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접선 방향 오목부 (54) 가 형성하는 면 중, 특히 그 리어부가 복귀용 피압부 (54A) 를 형성하고 있다. 그 접선 방향 오목부 (54) 의 면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면이 둘레 방향에서의 일단면을 이루는 날개부 (52) 는, 둘레 방향에서 약 90°를 이루는 범위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채상 돌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 날개부 (52) 의 상기 접선 방향 오목부 (54) 의 면에 이어지는 면은 반경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단상을 이루는 2 개의 면을 가져, 접선 방향 오목부 (54) 와 동일한 레벨의 면 (52A) 이 형성되어 있고, 반경 방향 외측의 면이 그 면 (52A) 보다 한 단 낮게, 수평부 (11) 와 동일 레벨면에 평형 도체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부 (52B) 를 이루고 있다. 상기 맞닿음부 (52B) 의 면은, 도 3 의 (B) 에서도 보이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의 삽입시의 가이드로서 기능하고, 상기 면 (52A) 과의 사이의 단부는, 하우징의 수용부의 폭방향 내벽과 동일 위치에 있고, 평형 도체의 측가장자리에 대하여 폭방향의 위치 규제로서 기능한다. 또한, 날개부 (52) 의 후단면은 평형 도체의 걸림 오목부와 걸리는 걸림부 (52C) 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규제 부재 (50) 는, 그 축선 방향 전후 단면에, 2 개의 대략 반원상 돌부 사이에 피회전용 홈부 (55)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규제 부재 (50) 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그리고 가동 부재 (40) 와의 위치 관계를 갖고 지지되며 협동한다.
규제 부재 (50) 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그 전후단의 피지지부 (51A) 의 외주면에서, 하우징 (10) 의 규제 부재 지지면 (15) 에 의해, 그 규제 부재 (50) 의 축선 둘레로 자유롭게 왕복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 (10) 에서 지지된 규제 부재 (50) 는, 도 2 의 (A), 도 3 의 (A) ∼ (C)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열림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의 프론트부 압압부 (45) 의 하단면을 이루는 프론트부 압압면 (45A) 에 대해, 그 규제 부재 (50) 의 피압부 (53A) 의 면이 접면 또는 근접 대면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한, 규제 부재 (50) 의 복귀용 피압부 (54A) 의 면은, 열림 위치의 가동 부재 (40) 의 리어부 압압면 (46A) 에 대하여 접면 또는 근접 대면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규제 부재 (50) 의 날개부 (52) 는, 전후 방향에서는, 정규 위치에까지 삽입되었을 때의 평형 도체 (F) 의 절결상 걸림 오목부 (F1)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그 걸림 오목부 (F1) 의 측방 위치에 있고, 상하 방향에서는 그 날개부 (52) 의 맞닿음부 (52B) 가 이 평형 도체 (F) 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다음 요령으로 사용된다.
(1) 먼저, 커넥터를 회로 기판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그 커넥터의 단자 (20) 를 그 접속부에서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시키고, 고정 금구 (30) 를 그 고정부 (31) 에서 대응 고정부에 땜납 고정시킨다.
(2) 이 커넥터에 대한 평형 도체 (F) 의 접속에 있어서는, 가동 부재 (40) 를 도 1 의 (A), 도 2 의 (A), 도 3 의 (A), (C) 에서 보이는 열림 위치로 가져와, 수직으로 선 상태로 한다. 가동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규제 부재 (50) 는, 그 복귀용 피압부 (54A) 의 면이 상기 가동 부재 (40) 의 리어부 압압부 (46) 의 리어부 압압면 (46A) 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 있으며, 도 2 의 (B) 에 나타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제 1 위치에 있고, 규제 부재 (50) 의 날개부 (52) 에 형성된 맞닿음부 (52B) 가 평형 도체 (F) 의 삽입 위치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규제 부재 (50) 에 대하여, 도 3 의 (C)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가동 부재 (40) 의 프론트부 압압부 (45) 는 그 프론트부 압압면 (45A) 이 그규제 부재 (50) 의 피압부 (53A) 의 면에 접면 또는 근접하여 대면하고 있다.
(3) 가동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그리고 규제 부재 (50) 가 제 1 위치에 와 있으면, 평형 도체 (F) 를 하우징 (10) 의 수용부에 삽입함에 있어서, 이 삽입에 대해 아무런 장애가 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어려움 없이 상기 수용부로의 평형 도체 (F) 의 삽입이 가능해진다. 이 평형 도체 (F) 가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었다고 생각될 때에, 가동 부재 (40) 는 닫힘 위치를 향하여 회전 조작된다. 상기 정규 위치에서는, 상기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1) 는, 전후 방향에서 규제 부재 (50) 의 날개부 (52) 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가동 부재 (40) 가 닫힘 위치를 향하여 회전되면, 그 가동 부재 (40) 의 프론트부 압압부 (45) 가 규제 부재 (50) 의 피압부 (53A) 를 하방으로 누른다. 그 피압부 (53A) 는, 규제 부재 (50) 의 축선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피압부 (53A) 에서 하방으로 눌린 규제 부재 (50) 는 상기 축선 둘레로 반시계 방향으로, 도 4 의 (A), (B) 의 상태를 거쳐 도 5 의 (A), (B), (C) (단, 도 5 의 (C) 에서는 가동 부재 (40) 를 생략한 도면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의 상태가 될 때까지 회전한다. 또, 도 4 의 (B) 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규제 부재 (50) 의 날개부 (52) 앞쪽의 피압부 (53A) 에서의 위치, 도 5 의 (B) 는 날개부 (52) 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회전은, 상기 프론트부 압압부 (45) 가 충분히 하방으로 이동하여 피압부 (53A) 로부터 벗어날 때까지 계속되고, 벗어남으로써 정지한다. 이 정지 위치에 대응한 규제 부재 (50) 의 위치가 그 규제 부재 (50) 의 제 2 위치이다. 상기 규제 부재 (50) 가 회전하여 제 2 위치에 오면, 평형 도체 (F) 가 조작자의 인식대로 실제로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규제 부재 (50) 의 날개부 (52) 는 정규 위치의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1) 로 하방에서부터 진입한다. 이 제 2 위치에서의 규제 부재 (50) 의 날개부 (52) 는, 전후 방향에서 정규 위치의 상기 평형 도체 (F) 와, 그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1) 의 가장자리부에서 간섭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따라서, 평형 도체 (F) 는, 발출하려고 해도 상기 날개부 (52) 의 후단면인 걸림부 (52C) 에 걸려 발출이 저지된다. 또한, 평형 도체 (F) 는, 단자 (20) 의 배열 범위에서, 닫힘 위치의 가동 부재 (40) 의 가압부 (40A) 에서 하방을 향해 눌러져 있기 때문에, 발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평형 도체 (F) 는, 2 개의 규제 부재 (50) 의 날개부 (52) 끼리 사이의 범위에서 휠 수도 없고, 걸림 오목부 (F1) 와 날개부 (52) 의 걸림부와의 걸림이 그대로 유지되는 평형 도체 (F) 는 단자 (20) 와의 소정의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4) 다음으로, 평형 도체 (F) 가 조작자의 인식과는 상이하여 실제로는 정규 위치에까지 도달하지 않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즉,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1) 가 규제 부재 (50) 의 날개부 (52) 보다 앞쪽 위치까지밖에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평형 도체 (F) 의 삽입 방향에서, 상기 걸림 오목부 (F1) 보다 전방의 선단부 (F2) 가 상기 날개부 (52) 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평형 도체 (F) 가 정규 위치에 있다고 조작자가 착각하여 가동 부재 (40) 를 닫힘 위치로 회동하면, 날개부 (52) 에 형성된 맞닿음부 (52B) 가, 평형 도체 (F) 의 상기 걸림 오목부 (F1) 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그 평형 도체 (F) 의 상기 선단부 (F2) 의 하면에 맞닿아, 가압부 (40A) 하부와의 사이에서 평형 도체 (F) 가 전단 (剪斷) 상태가 되어, 맞닿음부 (52B) 가 그 이상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고, 규제 부재 (50) 는 도중 위치에서 멈추어, 제 2 위치에 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규제 부재 (50) 의 피압부 (53A) 를 하방으로 압압하고 있는 가동 부재 (40) 의 프론트부 압압부 (45) 는 그 이상 강하할 수 없어, 가동 부재 (40) 는 닫힘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다. 조작자는, 이 가동 부재 (40) 의 위치를 육안으로 파악하여, 평형 도체 (F) 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는 것을 알아, 평형 도체 (F) 의 삽입을 다시 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 부재 (50) 는, 그 축선으로부터 피압부 (53A) 까지의 거리 (L1) 보다 맞닿음부 (52B) 까지의 거리 (L2) 쪽이 크기 때문에 (도 3 의 (B) 참조), 맞닿음부 (52B) 가 평형 도체 (F) 에서 받는 힘에 저항하여 가동 부재 (40) 가 피압부 (53A) 를 하방으로 압압하고 그 규제 부재 (50) 를 회전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5) 다음으로, 일단 삽입된 평형 도체 (F) 를 의도하여 발출할 때에는, 가동 부재 (40) 를 열림 위치로 되돌린다. 도 5 의 (C) 와 같이, 평형 도체 (F) 가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고 규제 부재 (50) 의 날개부 (52) 가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1)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가동 부재 (40) 는 닫힘 위치에 있고, 규제 부재 (50) 의 피압부 (53A) 를 하방으로 누르고 있는 가동 부재 (40) 의 프론트부 압압부 (45) 는, 피압부 (53A) 로부터 벗어나 도 5 의 (B) 에 보이는 최하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가동 부재 (40) 를 열림 위치를 향하여 회동시키면, 도 5 의 (B) 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 (40) 의 프론트부 압압부 (45) 는 상승하여 그 상면 가장자리부에서, 규제 부재 (50) 의 축방향 오목부 (53) 의 상내면을 들어 올림으로써, 도 5 의 (B) 의 규제 부재 (50) 는 제 1 위치를 향하여 되돌아가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프론트부 압압부 (45) 가 상승하여 상기 축방향 오목부 (53) 로부터 벗어나면, 그 프론트부 압압부 (45) 는, 더이상 규제 부재 (50) 를 회전시킬 수 없지만, 가동 부재 (40) 의 열림 위치로의 회전에 의해, 도 3 의 (C) 에 보이는 리어부 압압부 (46) 가 규제 부재 (50) 의 복귀용 피압부 (54A) 를 하방으로 누르기 때문에, 규제 부재 (50) 는 그 축선 둘레로 다시 회전하여 완전히 도 3 의 (C) 의 제 1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에는, 가동 부재 (40) 도 열림 위치로 되돌아가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 에 있어서의 전 실시형태에서의 규제 부재 (50) 는,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었지만,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형 도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X (도 7 참조)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 부재 (60) 는, 도 7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평형 도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X 를 중심선으로 하는 원판상의 회전판부 (61) 와, 그회전판부 (61) 의 양측면에서의 외주부의 둘레 방향이 상이한 위치에서 축선 X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돌부 (62) 와 제 2 돌부 (63) 를 갖고 있다. 도 7 의 (A) 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돌부 (62) 와 제 2 돌부 (63) 는, 상기 축선 X 보다 하방의 부분에서, 그 축선 X 에 대하여 반경 방향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고, 둘레 방향에서 각각 소정각의 범위를 갖는 원통벽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모두 둘레 방향의 양단에서 평탄면을 갖고 있다. 이 규제 부재 (60) 는, 도 7 의 (B) 및 도 7 의 (C)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정규 위치에까지 삽입된 평형 도체 (F) 의 측방의 위치에서 회전판부 (61) 가 그 외주면에서, 도 6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어, 축선 X 둘레로 회전했을 때에 제 2 돌부 (63) 가 상기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1) 로 진입 가능한 위치 관계에 있다. 제 1 돌부 (62) 는, 그 제 1 돌부 (62) 의 상측의 측단면에서, 앞서 나온 가동 부재 (40') 의 프론트부 압압면 (45'A) 에 압압되는 피압부 (62A) 를 형성하고, 제 2 돌부 (63) 는, 그 제 2 돌부 (63) 의 상측의 측단면에서, 평형 도체 (F) 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부 (63A) 를 형성한다.
이러한 규제 부재 (60) 를 갖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부 (61) 의 외주면에서, 축선 X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 (10') 의 규제 부재 지지면 (15')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규제 부재 (60) 는,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를 향하는 앞서 나온 가동 부재 (40') 의 프론트부 압압부 (45') 에 의해 상기 제 1 돌부 (62) 의 피압부 (62A) 가 하방으로 눌림으로써, 축선 X 둘레로 회전하고, 상기 제 2 돌부 (63) 의 맞닿음부 (63A) 의 위치가 상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형 도체 (F) 가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돌부 (62) 의 피압부 (62A) 가 가동 부재 (40') 의 프론트부 압압부 (45') 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된 결과로서 상기 제 2 돌부 (63) 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도 7 의 (B) 에서 도 7 의 (C) 의 상태가 되어, 상기 제 2 돌부 (63) 가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1) 내로 진입한다. 따라서, 정규 위치에 있는 평형 도체 (F) 는 의도치 않은 발출이 저지된다. 이렇게 해서, 제 2 돌부 (63) 의 외주면 (63B) 이 평형 도체 (F) 의 발출을 저지하는 걸림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평형 도체 (F) 가 정규 위치에 없고,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승하는 제 2 돌부 (63) 의 상측단면인 맞닿음부 (63A) 가, 도 7 의 (D) 와 같이 평형 도체 (F) 의 하면에 맞닿고, 이것에 의해, 규제 부재 (60) 의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되고, 가동 부재 (40') 도 닫힘 위치로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선 X 에서 제 1 돌부 (62) 까지의 거리보다 제 2 돌부 (63) 까지의 거리를 크게 설정함으로써, 전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 저지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정규 위치의 평형 도체 (F) 에 대하여 닫힘 위치까지, 또는 불완전 삽입 위치의 평형 도체 (F) 에 대하여 닫힘 위치를 향한 도중 위치까지 회동시킨 가동 부재 (40') 를 열림 위치로 되돌리면, 닫힘 위치에서 회동 중심보다 후방에서 수평으로 위치하는 그 가동 부재 (40') 의 평탄한 리어부 압압부 (46') 가 열림 위치를 향하여 상기 회동 중심 둘레로 회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도 6 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에 오는 결과, 규제 부재 (60) 의 제 1 돌부 (62) 에 형성되고 피압부 (62A) 에 대하여 둘레 방향에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피압부 (62B) (도 7 의 (B), (C) 참조) 가 상기 리어부 압압부 (46') 에 의해 눌려, 상기 규제 부재 (60) 는 상기 피압부 (62A) 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 회전에 의해, 제 2 돌부 (63) 의 맞닿음면 (63A) 은 강하한다. 이렇게 해서, 규제 부재 (60) 는 당초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평형 도체 (F) 는 용이하게 발출할 수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 부재 (70) 는 그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가 아니라, 직동하는 직동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8 의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 (70) 는, 전체적으로 L 자상 부재를 이루고 있고 평형 도체 (F) 의 측방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규제 부재 (70) 는, 평형 도체 (F) 의 삽입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부 (71) 와 이것에 대하여 직각인, 평형 도체 (F) 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부 (72) 를 갖고 있고, 그 폭방향으로 직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횡부 (72) 는, 그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폭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도 8 에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정규 위치에까지 삽입되어 있는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1) 로 진입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규제 부재 (70) 는, 도 8 에서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걸림 오목부 (F1) 로 잔압하기 전의 제 1 위치와,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걸림 오목부 (F1) 로 진입한 제 2 위치 사이를 직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평형 도체 (F) 의 측가장자리를 향하는 횡부 (72) 의 선단면이 규제 부재 (70) 의 맞닿음부 (72A) 를 형성한다.
규제 부재 (70) 는, 종부 (71) 의 양측 상면과 종부 (71) 로부터 횡부 (72) 로의 이행 모서리부의 외측 상면에 각각 사면을 갖고 있다. 종부 (71) 에 형성되고 평형 도체 (F) 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사면 (71A) 과, 상기 이행 모서리부에서의 사면 (73) 은, 가동 부재 (40) 프론트부 압압부 (45) 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면 (71A) 과 사면 (73) 은 불연속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곡면을 이뤄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종부 (71) 에 형성되고 평형 도체 (F) 에 가까이에 위치하는 사면 (71B) 은, 가동 부재 (40) 의 리어부 압압부에 상당하고 프론트부 압압부와는 별도 위치에 형성되는 다른 압압부에 의해 압압되는 복귀용 압압부를 형성한다.
피압부를 이루는 상기 종부 (71) 의 사면 (71A) 그리고 이행 모서리부의 사면 (73) 은, 닫힘 위치를 향하는, 앞서 나온 가동 부재 (40) 의 프론트부 압압부 (45) 가 강하될 때에, 그 프론트부 압압부 (45) 의 프론트부 압압면 (45A) 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압압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강하되는 상기 프론트부 압압부 (45) 가 사면 (73) 을 하방으로 압압하기 시작하여, 그 프론트부 압압부 (45) 의 강하가 진행됨에 따라서 그 압압 지점이 사면 (71A) 으로 이동한다. 상기 사면 (73) 그리고 사면 (71A) 이 순차 상기 프론트부 압압부 (45) 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되었을 때에, 그 압압력의 횡방향 분력에 의해 제 1 위치의 규제 부재 (70) 가 걸림 오목부 (F1) 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 오목부 (F1) 로 진입하고 제 2 위치에 온다. 이 제 2 위치에서는, 횡부 (72) 의 후면이 걸림부 (72B) 를 이루고 있고, 여기서 평형 도체 (F) 의 발출을 저지한다.
복귀용 피압부로서의 상기 사면 (71B) 은, 규제 부재 (70) 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부재 (40) 의 상기 다른 압압부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되고, 그 압압력의 횡방향 분력에 의해서, 상기 횡부 (72) 가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1) 로부터 나와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규제 부재 (70) 는 제 1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도 8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평형 도체 (F) 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2 위치를 향하는 규제 부재 (70) 의 횡부 (72) 의 맞닿음부 (72A) 가 평형 도체 (F) 의 걸림 오목부 (F1) 보다 전방의 측가장자리에 맞닿아, 그 규제 부재 (70) 는 제 2 위치에는 도달하지 않고 도중 위치에서 멈춘다. 따라서, 상기 피압부로서의 사면 (73) 또는 사면 (71A) 을 프론트부 압압부 (45) 로 압압하고 있는 가동 부재 (40) 는, 그 이상 강하할 수 없어, 닫힘 위치에 도달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시된 형태에서는, 평형 도체는 절결상의 걸림 오목부를 갖고 있었지만, 걸림 오목부는 창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본 발명은 유효하게 적용된다. 또한, 규제 부재는 하우징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어 있지 않아도,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10 … 하우징 20 … 단자
21 … 접촉부 40 … 가동 부재
50 … 규제 부재 51 … 축부
52 … 날개부 52B … 맞닿음부
52C … 걸림부 53A … 피압부
60 … 규제 부재 61 … 회전판부
62 … 제 1 돌부 62A … 피압부
63 … 제 2 돌부 63A … 맞닿음부
63B … 걸림부 70 … 규제 부재
71A … 피압부 72A … 맞닿음부
72B … 걸림부 73 … 피압부
F … 평형 도체 F1 … 걸림 오목부

Claims (7)

  1.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판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에서 배열 유지되어 있고 하우징의 수용부로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는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여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를 향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로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가동인 가동 부재와, 그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로의 삽입을 허용함과 함께, 그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도달하지 못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고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그 규제 부재 자체가 전체적으로 회전, 병진 (竝進) 그리고 양자의 조합 중 어느 것에 의해, 가동 부재의 열림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규제 부재는,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부와, 그 피압부에서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어 그 규제 부재가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도중 위치에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는 평형 도체와 맞닿는 맞닿음부를 갖고, 그 맞닿음부에서의 이 맞닿음에 의해 상기 도중 위치에서 멈추는 상기 규제 부재의 피압부를 압압하고 있는 가동 부재에 대하여 그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를 향한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축부와, 그 축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그 축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날개부를 갖고, 축부가 둘레 방향에서의 단상부를 갖고 있어 그 단상 (段狀) 부가 회전 중의 가동 부재에 압압되는 피압부를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가 불완전 삽입 위치의 평형 도체의 면과 대면하는 그 날개부의 면으로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평형 도체에 대하여 그 평형 도체의 폭방향에서 측방에 위치하고 있고, 그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갖고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회전판부와, 그 축선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회전판부의 일방의 면에서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돌부 (突部) 를 갖고 있고, 그 제 1 돌부가 회전 중인 가동 부재에 압압되는 피압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제 1 돌부와는 둘레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 또한 축선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회전판부의 타방의 면에서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돌부를 갖고 있고 그 제 2 돌부가 맞닿음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평형 도체에 대하여 그 평형 도체의 폭방향에서 측방에 위치하고, 가동 부재에 의해 피압부에서 압압되어 상기 폭방향으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평형 도체의 걸림 오목부로 진입하는 직동 부재 (直動部材) 로서 형성되어, 평형 도체가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규제 부재의 제 2 위치측 부분에 형성된 맞닿음부가 평형 도체의 걸림 오목부 이외의 측가장자리에 맞닿아 도중 위치에서 멈추고, 제 1 위치측 부분이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평형 도체의 측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결상 또는 창상의 걸림 오목부에 대하여, 그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규제 부재가 제 2 위치까지 이동하여, 그 걸림 오목부로 진입하는 걸림부를 갖고 있고, 그 걸림부가 평형 도체의 발출 (拔出) 방향에서 상기 걸림 오목부와 걸리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6.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에서 배열 유지되어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여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를 향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로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가동인 가동 부재와, 그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로의 삽입을 허용함과 함께, 그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도달하지 못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고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하우징과는 별도 부재로서,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에 의해 그 규제 부재 전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규제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부와, 상기 수용부에 출몰 가능한 맞닿음부를 갖고, 상기 가동 부재의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의 가동에 수반하여, 그 가동 부재에 의해 피압부가 압압되어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수용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7.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에서 배열 유지되어 평형 도체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갖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여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를 향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로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가동인 가동 부재와, 그 가동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평형 도체의 정규 위치로의 삽입을 허용함과 함께, 그 평형 도체가 정규 위치까지 도달하지 못한 불완전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가동 부재의 닫힘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고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규제 부재는, 하우징과는 별도 부재로서,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에 의해 그 규제 부재 전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규제 부재는, 가동 부재가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가동 부재에 눌려지는 복귀용 피압부를 갖고, 그 복귀용 피압부에서 눌려짐으로써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0120037905A 2011-05-13 2012-04-12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362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08404A JP5285118B2 (ja) 2011-05-13 2011-05-13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JP-P-2011-108404 2011-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207A KR20120127207A (ko) 2012-11-21
KR101362569B1 true KR101362569B1 (ko) 2014-02-13

Family

ID=47124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905A KR101362569B1 (ko) 2011-05-13 2012-04-12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57617B2 (ko)
JP (1) JP5285118B2 (ko)
KR (1) KR101362569B1 (ko)
CN (1) CN102780104B (ko)
TW (1) TWI4811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0894A1 (en) * 2012-12-19 2014-06-19 Michael D. McCulley Twist Lock Connector Locking Mechanis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784A (ja)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電気コネクタ
JP2011060459A (ja) 2009-09-07 2011-03-24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25602B (en) * 1995-11-09 1998-01-21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JPH09213416A (ja) * 1996-01-30 1997-08-15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964583B2 (ja) * 1999-10-26 2007-08-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TW572397U (en) * 2003-04-30 2004-0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576349B2 (ja) * 2006-03-24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179624B2 (ja) * 2006-07-18 2008-1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514802B2 (ja) * 2008-02-05 2010-07-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9021235B2 (en) * 2009-08-25 2015-04-28 Nec Corporation Data process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0784A (ja)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電気コネクタ
JP2011060459A (ja) 2009-09-07 2011-03-24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80104B (zh) 2015-04-01
TWI481126B (zh) 2015-04-11
KR20120127207A (ko) 2012-11-21
US20120289097A1 (en) 2012-11-15
JP2012238553A (ja) 2012-12-06
US8657617B2 (en) 2014-02-25
CN102780104A (zh) 2012-11-14
TW201308786A (zh) 2013-02-16
JP5285118B2 (ja)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502B1 (ko) 레버식 커넥터
KR100740853B1 (ko) 커넥터와 커넥터 조립 방법
JP4985206B2 (ja) コネクタ及びショート端子
KR101727363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5651652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150172B2 (ja) コネクタ
KR20210042808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362569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6645359B2 (ja) コネクタ
KR20180110136A (ko) 레버식 커넥터
KR102243096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302300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WO2021145171A1 (ja) コネクタ
US6247957B1 (en) Connector with detection member
JP6645360B2 (ja) コネクタ
JP6668950B2 (ja) コネクタ
JP2015005490A (ja) コネクタ
WO2021145173A1 (ja) コネクタ
WO2021145172A1 (ja) コネクタ
EP0713612B1 (en) Electrical connector
JP6217944B2 (ja) ハートカムロック装置
KR20150002486U (ko) 카드 커넥터
JP2024006324A (ja) コネクタ
JP2009238559A (ja) プッシュ式メモリーカー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